[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1253B1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253B1
KR102081253B1 KR1020130152665A KR20130152665A KR102081253B1 KR 102081253 B1 KR102081253 B1 KR 102081253B1 KR 1020130152665 A KR1020130152665 A KR 1020130152665A KR 20130152665 A KR20130152665 A KR 20130152665A KR 102081253 B1 KR102081253 B1 KR 102081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voltage
signal
control signal
multiple control
high le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6976A (ko
Inventor
최덕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2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253B1/ko
Priority to US14/299,950 priority patent/US9361847B2/en
Publication of KR2015006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2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4Synchronis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or the backlighting unit to avoid interferences generated intern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2Special driving of display border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8Details of driving circuits arranged to drive both scan and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주사 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을 주사 신호를 인가하는 주사 구동부, 상기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그래픽 제어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사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복수의 센싱 전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기록 타이밍 및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다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그래픽 제어부 및 상기 터치 제어부에 전달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등의 표시 패널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주사 라인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는 주사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복수의 주사 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가 순차적으로 인가될 때,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어 복수의 화소에 영상 데이터가 기입된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사용자의 접촉 위치를 인지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 장치이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표시 패널의 전면에 구비되어, 손이나 물체가 접촉하는 위치를 파악하여 입력 신호를 판단한다.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현 방식 중 하나인 정전용량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정전용량 방식은 접촉 여부에 따라 전극과 손가락 등의 도전성 물체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감지 라인에 감지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여 접촉 위치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터치스크린 패널이 표시 패널의 전면에 구비됨에 따라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신호에는 표시 패널의 주사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감지 신호, 주사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인가 타이밍이 정확히 제어되어야 한다.
한편, 최근에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IC(integrated circuit)로서 메모리가 내장된 구동 IC가 사용되고 있다. 메모리가 내장된 구동 IC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저장한 뒤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의 인가 타이밍에 맞추어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만일, 구동 IC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기록 속도가 복수의 화소에 영상 데이터가 기입되는 속도보다 빠르거나 늦은 경우에는 티어링(tearing)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티어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영상 신호의 기록 타이밍이 정확히 제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노이즈 및 티어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주사 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를 인가하는 주사 구동부, 상기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그래픽 제어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사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복수의 센싱 전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기록 타이밍 및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다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그래픽 제어부 및 상기 터치 제어부에 전달한다.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프레임 기간 동안에는 하이 레벨 전압 및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하는 파형으로 출력되고, 복수의 프레임 간의 포치 구간에는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1 수평 주기로 상기 하이 레벨 전압 및 상기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는 상기 1 수평 주기의 펄스폭으로 상기 복수의 주사 라인에 순차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상기 포치 구간이 종료되기 1 수평 주기 이전에 로우 레벨 전압으로 변동될 수 있다.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상기 포치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기록 타이밍을 상기 포치 구간의 시작점에서 소정의 제1 등록 시간 이후로 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등록 시간은 1 수평 주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다중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부터 소정의 제2 등록 시간 이후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동 타이밍을 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등록 시간은 1 수평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지연 시간 이후에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동 타이밍을 상기 프레임 기간에서 상기 다중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으로 정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프레임 기간 및 상기 프레임 기간이 종료된 이후 소정 시간까지 상기 하이 레벨 전압 및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하는 파형으로 출력되고, 복수의 프레임 간의 포치 구간에서 상기 소정 시간 이후에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기록 타이밍을 상기 포치 구간에서 상기 다중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되는 시점으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화소에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프레임 기간 동안 하이 레벨 전압 및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하는 파형의 다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복수의 프레임 간의 포치 구간 동안 상기 다중 제어신호를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타이밍을 상기 포치 구간의 시작점에서 소정의 제1 등록 시간 이후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다중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부터 소정의 제2 등록 시간 이후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동 타이밍을 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1 수평 주기로 상기 하이 레벨 전압 및 상기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상기 포치 구간이 종료되기 1 수평 주기 이전에 로우 레벨 전압으로 변동될 수 있다.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상기 포치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등록 시간은 1 수평 주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등록 시간은 1 수평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출력 패드와 티어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출력 패드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출력 패드로 2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 IC의 복잡화를 줄일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동 타이밍을 정확히 제어하여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터치스크린 패널에 노이즈 프리 시간에 맞추어 제어 신호가 출력됨으로써, 별도로 노이즈 프리 시간을 찾는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영상 신호의 기록 타이밍을 정확히 제어하여 티어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구동 IC의 메모리에 영상 신호가 기록되는 시간에 맞추어 제어 신호가 출력됨으로써, 별도로 영상 신호의 기록 시간을 찾는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 및 표시 패널(10) 위에 배치되는 터치스크린 패널(3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과 터치스크린 패널(30)의 사이에는 접착층(미도시)이 마련되어 표시 패널(10)과 터치스크린 패널(30)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층으로 OCA(Optical Clear Adhesive)가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복수의 표시 소자를 포함한다. 복수의 표시 소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 액정 디스플레이(LCD),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PDP)의 표시 소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의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30)은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 패널, 정전 용량식 터치스크린 패널, 초음파식 터치스크린 패널, 광 센서식 터치스크린 패널, 전자유도식 터치스크린 패널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터치스크린 패널(30)이 정전 용량식 터치스크린 패널로 마련된 것으로 가정하고, 이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에 포함되는 터치스크린 패널(3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 패널(30)은 투명 기판(미도시) 위에 배치된 복수의 구동 전극(31), 복수의 구동 전극(31) 위에 배치된 센싱 전극(32)을 포함한다. 복수의 구동 전극(31)과 센싱 전극(32) 사이에는 절연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31) 및 복수의 센싱 전극(32)은 감지 배선(33)을 통해 터치 제어부(34)에 연결된다.
복수의 구동 전극(31)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센싱 전극(32)은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31) 및 복수의 센싱 전극(32)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구동 전극(31) 및 복수의 센싱 전극(32)은 메탈 메시(metal mesh)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탈 메시는 높은 전도도의 금속을 미세하게 패터닝하여 제조될 수 있다.
메탈 메시는 프린팅(printing) 방식, 임프린팅(imprinting) 방식, 리소그라피(lithography) 방식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프린팅 방식은 그라비어(gravure) 또는 오프셋(offset) 방식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투명 전도성 물질(또는 금속 물질)로 투명 전극(또는 배선)을 직접 형성하는 방식이다. 임프린팅 방식은 투명 전도성 막 또는 금속 막 상에 미세 패턴을 형성한 후, 미세 패턴을 통해 투명 전도성 막(또는 금속 막)을 에치(etch)하여 투명 전극(또는 배선)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리소그래피 방식은 광, 레이저 또는 전자 빔 등의 소스를 통해 기판 상에 미세 패턴을 형성하고, 미세 패턴을 이용하여 투명 전도성 막(또는 금속 막)을 에치하여 투명 전극(또는 배선)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메탈 메시를 이루는 다수의 금속 패턴은 구리(Cu),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은(Ag) 등의 금속 물질로 0.1um 내지 10um의 선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탈 메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구동 전극(31) 및 복수의 센싱 전극(32)은 높은 전도도 및 높은 투명도를 가지게 된다.
절연층은 복수의 구동 전극(31)과 복수의 센싱 전극(32) 사이에는 개재되어 복수의 구동 전극(31)과 복수의 센싱 전극(32)을 분리시킨다. 절연층으로는 산화 실리콘(SiO2), 질화 실리콘(SiNx)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절연층으로 셀룰로오스(cellulose) 유도체, 올레핀(olefin)계 수지, 아크릴(acryl)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스틸렌(styrene)계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수지, 폴리시클로올레핀(polycycloolefin) 수지, 에폭시(epoxt) 수지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31)과 복수의 센싱 전극(32)이 절연층으로 분리됨으로써, 구동 전극(31)과 센싱 전극(32) 사이에 정전 용량이 형성된다.
터치 제어부(34)는 복수의 감지 배선(33)을 통해 복수의 구동 전극(31)에 터치 검출 신호를 인가하고, 복수의 감지 배선(33)을 통해 복수의 센싱 전극(32)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1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신호 제어부(100), 주사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및 표시부(400)를 포함한다.
표시부(400)는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PX), 복수의 주사 라인(S1~Sn)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X)는 복수의 주사 라인(S1~Sn)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주사 라인(S1~Sn)은 대략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신호 제어부(100)는 그래픽 제어부(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ImS) 및 입력 제어 신호(Icon)를 수신하여 주사 구동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영상 신호(ImS)는 복수의 화소(PX)의 휘도(luminance) 정보를 담고 있다.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어, 1024(=210), 256(=28) 또는 64(=26)개의 계조(gray)를 가지고 있다. 입력 제어 신호(Icon)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메인 클록 신호(MCLK)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100)는 영상 신호(ImS) 및 입력 제어 신호(Icon)에 따라 제1 구동 제어신호(CONT1), 제2 구동 제어신호(CONT2) 및 영상 데이터(DAT)를 생성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영상 신호(ImS)를 구분하고, 수평 동기 신호(Hsync)에 따라 주사 라인 단위로 영상 신호(ImS)를 구분하여 영상 데이터(DAT)를 생성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제1 구동 제어신호(CONT1)를 주사 구동부(200)에 전달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영상 데이터(DAT)를 제2 구동 제어신호(CONT2)와 함께 데이터 구동부(300)로 전달한다.
주사 구동부(200)는 복수의 주사 라인(S1~Sn)에 연결되고, 제1 구동 제어신호(CONT1)에 따라 복수의 주사 신호를 생성한다. 주사 구동부(200)는 복수의 주사 라인(S1~Sn)에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2 구동 제어신호(CONT2)에 따라 입력된 영상 데이터(DAT)를 샘플링 및 홀딩하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에 소정의 전압 범위를 갖는 데이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제어부(100)는 데이터 구동부(30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데이터 구동부(300)는 신호 제어부(100)의 기능이 내장된 구동 IC(integrated circuit)로 마련될 수 있다.
신호 제어부(100)는 영상 신호(ImS)의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고 터치스크린 패널(3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다중 제어신호(Mcon)를 생성한다. 다중 제어신호(Mcon)는 그래픽 제어부(20) 및 터치 제어부(34)에 전달된다.
다중 제어신호(Mcon)에 의해 그래픽 제어부(20)로부터 신호 제어부(100)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ImS)의 기록 타이밍이 제어된다. 영상 신호(ImS)의 기록 속도가 데이터 구동부(300)가 복수의 화소(PX)에 데이터 신호를 기입하는 속도보다 빠르거나 늦은 경우에는 티어링(tearing)이 발생할 수 있는데, 다중 제어신호(Mcon)에 의해 영상 신호(ImS)의 기록 타이밍이 제어됨으로써 티어링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다중 제어신호(Mcon)에 의해 터치 제어부(34)가 복수의 구동 전극(31)에 터치 검출 신호를 인가하고 복수의 센싱 전극(32)을 통해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구동 타이밍이 제어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패널(30)은 표시 패널(10)의 전면에 구비됨에 따라 터치스크린 패널(30)의 구동 시간이 표시 패널(10)의 구동 시간과 겹치게 되면 터치스크린 패널(30)의 감지 배선(33)에 커플링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다중 제어신호(Mcon)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30)의 구동 타이밍이 제어됨으로써 노이즈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다중 제어신호(Mcon)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6에서 후술한다.
상술한 구동 장치들(100, 200, 30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표시부(400) 위에 직접 장착되거나,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위에 장착되거나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표시부(400)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위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구동 장치들(100, 200, 300)은 복수의 주사 라인(S1~Sn) 및 복수의 데이터선(D1~Dm)과 함께 표시부(400)에 집적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사 구동부(200)는 한 프레임 동안 복수의 주사 라인(S1~Sn)에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S[1]~S[n])를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S[1]~S[n])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에 동기되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는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S[1]~S[n])를 하이 레벨 전압으로 나타내었다.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S[1]~S[n])는 화소 회로의 구성에 따라 로우 레벨 전압이 될 수도 있다.
복수의 프레임 간에는 소정의 포치 구간(P)이 마련된다. 즉, 제1 프레임에서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S[1]~S[n]) 순차적으로 인가되어 마지막 번째 주사 신호(S[n])가 게이트 온 전압으로 인가된 시간 이후부터 다음의 제2 프레임에서 첫 번째 주사 신호(S[1])가 게이트 온 전압으로 인가되는 시간 이전까지가 포치 구간(P)이 된다. 포치 구간(P)은 영상 신호(ImS)의 기록과 복수의 화소(PX)에의 데이터 기입과의 타이밍 오차에 의한 티어링를 회피하기 위해 마련된다.
다중 제어신호(Mcon)는 프레임 기간 동안에는 하이 레벨 전압 및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하는 파형으로 출력된다. 이때, 다중 제어신호(Mcon)는 1 수평 주기(1H)로 하이 레벨 전압 및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될 수 있다. 1 수평 주기(1H)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S[1]~S[n])는 1 수평 주기의 펄스폭으로 복수의 주사 라인(S1~Sn)에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다중 제어신호(Mcon)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과 주사 신호(S1~Sn)가 게이트 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이 일치될 수 있다.
다중 제어신호(Mcon)는 포치 구간(P)에서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된다. 이때, 다중 제어신호(Mcon)는 포치 구간(P)이 종료되기 1 수평 주기(1H) 이전에 로우 레벨 전압으로 변동될 수 있다. 로우 레벨 전압으로 변동된 다중 제어신호(Mcon)는 포치 구간(P)이 종료되는 시점, 즉 다음 프레임이 시작되는 시점에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어 첫 번째 주사 신호(S[1])가 게이트 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과 일치될 수 있다.
그래픽 제어부(20)는 다중 제어신호(Mcon)가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 수평 주기 이상 동안 하이 레벨 전압으로 출력되는 기간이 포치 구간(P)임을 알 수 있다. 즉, 그래픽 제어부(20)는 표시 패널(10)의 포치 구간(P)의 시작점 및 종료점,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S[1]~[n])가 출력되는 데이터 기입 기간의 시작점 및 데이터 기입 기간의 종료점을 알 수 있다. 그래픽 제어부(20)는 영상 신호(ImS)의 기록 속도 및 데이터 신호의 기입 속도를 고려하여 영상 신호(ImS)의 기록이 시작되는 기록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신호(ImS)의 기록 타이밍은 포치 구간(P)의 시작점에서 소정의 제1 등록 시간 이후로 정해질 수 있다. 소정의 제1 등록 시간은 1 수평 주기(1H) 이상이 될 수 있다.
터치 제어부(34)는 프레임 기간 동안 1 수평 주기(1H)로 하이 레벨 전압 및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하는 다중 제어신호(Mcon)로부터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S[1]~S[n])가 인가되는 타이밍을 알 수 있다. 하나의 주사 신호가 게이트 온 전압으로 인가되는 1 수평 주기(1H) 동안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에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데, 데이터 신호에 의해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의 전압은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가 인가되는 시점부터 1 수평 주기(1H)보다 짧은 소정의 시간 동안 변동된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의 전압이 변동되는 시간 이후부터 다음의 주사 신호가 게이트 온 전압으로 인가되기 전까지는 복수의 주사 라인(S1~Sn)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에는 전압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 노이즈 프리(noise free) 구간이 존재한다. 터치 제어부(34)는 프레임 기간 동안 다중 제어신호(Mcon)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부터 소정의 제2 등록 시간 이후의 노이즈 프리 구간에 터치 검출 신호를 복수의 구동 전극(31)에 터치 검출 신호를 인가하고 복수의 센싱 전극(32)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구동 타이밍을 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와의 차이점으로, 다중 제어신호(Mcon)가 프레임 기간이 종료된 이후 소정의 제1 지연 시간(D1)까지 하이 레벨 전압 및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하는 파형으로 출력되고, 소정의 제1 지연 시간(D1) 이후에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된다. 즉, 다중 제어신호(Mcon)가 포치 구간(P)의 시작점부터 소정의 제1 지연 시간(D1) 이후에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된다. 소정의 제1 지연 시간(D1)은 영상 신호(ImS)의 기록 속도 및 데이터 신호의 기입 속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제1 등록 시간에 일치될 수 있다. 제1 지연 시간(D1)은 1 수평 시간 이상이 될 수 있다. 즉, 그래픽 제어부(20)는 영상 신호(ImS)의 기록 타이밍을 포치 구간(P)에서 다중 제어신호(Mcon)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되는 시점으로 정할 수 있다.
다중 제어신호(Mcon)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되는 시점이 제1 등록 시간에 일치되어 정해지면, 그래픽 제어부(20)는 다중 제어신호(Mcon)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되는 시점에 맞추어 영상 신호(ImS)의 기록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그래픽 제어부(20)는 포치 구간(P)의 시작점으로부터 영상 신호(ImS)의 기록을 시작할 기록 타이밍을 찾는 별도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한편, 다중 제어신호(Mcon)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되는 기간은 포치 구간(P)의 시간과 동일하게 정해질 수 있다. 또는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되는 다중 제어신호(Mcon)가 로우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은 도 4와 마찬가지로 포치 구간(P)이 종료되기 1 수평 주기(1H) 이전이 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와의 차이점으로, 프레임 기간 동안 하이 레벨 전압 및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하는 다중 제어신호(Mcon)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이 수평 동기 신호(Hsync)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제2 지연 시간(D2) 이후가 된다. 하나의 주사 신호가 게이트 온 전압으로 인가되는 1 수평 주기(1H) 동안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에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데, 데이터 신호(Data)에 의해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의 전압은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가 인가되는 시점부터 1 수평 주기(1H)보다 짧은 소정의 시간 동안 변동된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의 전압이 변동되는 시간 이후부터 다음의 주사 신호가 게이트 온 전압으로 인가되기 전까지는 복수의 주사 라인(S1~Sn)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D1~Dm)에는 전압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 노이즈 프리(noise free) 구간이 존재한다.
소정의 제2 지연 시간(D2)은 노이즈 프리 구간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등록 시간, 즉 노이즈 프리 구간의 시작 시점에 일치될 수 있다. 즉,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S[1]~S[n])가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제2 지연 시간(D2) 이후에 다중 제어신호(Mcon)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된다.
프레임 기간 동안 다중 제어신호(Mcon)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이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S[1]~S[n])가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제2 등록 시간 이후의 노이즈 프리 구간에 대응하는 제2 지연 시간(D2) 만큼 지연되어 정해지면, 터치 제어부(34)는 프레임 기간 동안 다중 제어신호(Mcon)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에 맞추어 복수의 구동 전극(31)에 터치 검출 신호를 인가하고 복수의 센싱 전극(32)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터치 제어부(34)는 터치스크린 패널(30)의 구동 타이밍을 프레임 기간에서 다중 제어신호(Mcon)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으로 정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제어부(34)는 별도로 노이즈 프리 시간을 찾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다중 제어신호(Mcon)를 이용하여 그래픽 제어부(20) 및 터치 제어부(34)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각 신호를 위한 별도의 출력 패드가 마련될 필요가 없고 하나의 출력 패드로 2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표시 패널
20 : 그래픽 제어부
30 : 터치스크린 패널
100 : 신호 제어부
200 : 주사 구동부
300 : 데이터 구동부
400 : 표시부

Claims (20)

  1.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주사 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를 인가하는 주사 구동부, 상기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그래픽 제어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사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복수의 센싱 전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기록 타이밍 및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다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그래픽 제어부 및 상기 터치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프레임 기간 동안 제1 레벨 전압 및 제2 레벨 전압으로 스윙하는 파형으로 출력되고, 복수의 프레임 간의 포치 구간에서 상기 제1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벨 전압은 하이 레벨 전압이고, 상기 제2 레벨 전압은 로우 레벨 전압인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1 수평 주기로 상기 하이 레벨 전압 및 상기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는 상기 1 수평 주기의 펄스폭으로 상기 복수의 주사 라인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상기 포치 구간이 종료되기 1 수평 주기 이전에 로우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상기 포치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표시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기록 타이밍을 상기 포치 구간의 시작점에서 소정의 제1 등록 시간 이후로 정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록 시간은 1 수평 주기 이상인 표시 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다중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부터 소정의 제2 등록 시간 이후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동 타이밍을 정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등록 시간은 1 수평 주기보다 짧은 표시 장치.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지연 시간 이후에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동 타이밍을 상기 프레임 기간에서 상기 다중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으로 정하는 표시 장치.
  13.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주사 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를 인가하는 주사 구동부, 상기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그래픽 제어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사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복수의 센싱 전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기록 타이밍 및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다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그래픽 제어부 및 상기 터치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프레임 기간 및 상기 프레임 기간이 종료된 이후 소정 시간까지 하이 레벨 전압 및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하는 파형으로 출력되고, 복수의 프레임 간의 포치 구간에서 상기 소정 시간 이후에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기록 타이밍을 상기 포치 구간에서 상기 다중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되는 시점으로 정하는 표시 장치.
  15.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에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프레임 기간 동안 하이 레벨 전압 및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하는 파형의 다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복수의 프레임 간의 포치 구간 동안 상기 다중 제어신호를 하이 레벨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타이밍을 상기 포치 구간의 시작점에서 소정의 제1 등록 시간 이후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다중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시점부터 소정의 제2 등록 시간 이후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동 타이밍을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1 수평 주기로 상기 하이 레벨 전압 및 상기 로우 레벨 전압으로 스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상기 포치 구간이 종료되기 1 수평 주기 이전에 로우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제어신호는 상기 포치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하이 레벨 전압으로 변동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록 시간은 1 수평 주기 이상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등록 시간은 1 수평 주기보다 짧은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30152665A 2013-12-09 2013-12-09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ctive KR102081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665A KR102081253B1 (ko) 2013-12-09 2013-12-09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4/299,950 US9361847B2 (en) 2013-12-09 2014-06-09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665A KR102081253B1 (ko) 2013-12-09 2013-12-09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976A KR20150066976A (ko) 2015-06-17
KR102081253B1 true KR102081253B1 (ko) 2020-02-26

Family

ID=5327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665A Active KR102081253B1 (ko) 2013-12-09 2013-12-09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61847B2 (ko)
KR (1) KR102081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28258B (zh) * 2014-11-07 2016-04-01 速博思股份有限公司 高感測靈敏度的互電容內嵌式觸控顯示面板裝置
KR102568925B1 (ko) * 2016-10-25 2023-08-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그에 대한 터치감지방법
CN109935184B (zh) 2018-02-14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单元、栅极驱动电路、显示装置及驱动方法
CN108696271B (zh) * 2018-05-28 2022-02-25 珠海慧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容触摸按键的滑动手势识别方法及系统
KR102792338B1 (ko) * 2019-05-28 2025-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1423A (ja) 2011-04-13 2012-11-12 Japan Display West Co Ltd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駆動方法、駆動回路、ならびに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1194A (ja) 1995-07-05 1997-05-06 Texas Instr Inc <Ti> 信号混在システムにおけるノイズの低減
KR100425091B1 (ko) 2001-04-24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 소자의 제어 데이터 전송 장치
KR100504077B1 (ko) 2002-04-02 2005-07-27 일진디스플레이(주) 표시 영역 조절 기능이 있는 액정 표시장치
KR100859666B1 (ko) * 2002-07-22 2008-09-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60009597A (ko) 2004-07-26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 합성방법, 영상신호 합성장치,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1152136B1 (ko) * 2005-10-26 201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KR20070082643A (ko) * 2006-02-17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WO2010024179A1 (ja) * 2008-08-25 2010-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356321B1 (ko) * 2010-02-19 2014-0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1084260B1 (ko) * 2010-03-05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61580B1 (ko) * 2010-09-08 2017-07-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BR112013011496A8 (pt) * 2010-11-19 2016-09-13 Sharp Kk circuito de encaminhamento de dados, método de encaminhamento de dados, dispositivo de exibição, dispositivo do lado de hospedeiro e aparelho eletrônico
KR20120106214A (ko) 2011-03-18 2012-09-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이 내장된 액정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776064B1 (ko) * 2011-06-10 2017-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US9165518B2 (en) * 2011-08-08 2015-10-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54934B1 (ko) * 2011-08-08 2019-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911050B2 (ja) 2011-10-12 2016-04-27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20130100099A1 (en) * 2011-10-21 2013-04-2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daptive line time to increase frame rate
KR102005872B1 (ko) * 2011-10-26 2019-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011324B1 (ko) * 2011-11-25 2019-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1423A (ja) 2011-04-13 2012-11-12 Japan Display West Co Ltd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駆動方法、駆動回路、ならびに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61847B2 (en) 2016-06-07
US20150161955A1 (en) 2015-06-11
KR20150066976A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034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174679B1 (ko) 터치패널
CN104636012B (zh) 具有集成的触摸屏的显示装置
CN104007869B (zh) 具有集成式触摸屏的显示装置
US9335852B2 (en) In-cell touch display device
KR102173545B1 (ko) 인 셀 타입의 터치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044551B1 (ko) 터치 센싱 장치와 그 구동 방법
CN107015697B (zh) 显示装置
KR102081253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130990A (ko) 디지타이저 통합형 디스플레이
CN104820528A (zh) 带有静电电容型传感器的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2015064854A (ja) タッチスクリーン一体型表示装置
CN106201059A (zh) 带传感器的显示装置
CN110045851B (zh) 触敏显示装置和显示面板
US11755270B2 (en) Display device with a detection electrode
KR101733728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2170368B1 (ko) 인 셀 타입의 터치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1723879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2198495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20150067864A (ko) 브리지 결합된 복수의 tdi를 구비한 터치패널 모듈
KR102363093B1 (ko) 인 셀 타입의 터치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50033916A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1818548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터치 집적회로
KR102369348B1 (ko) 터치센서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60083363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