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1075B1 -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075B1
KR102081075B1 KR1020120147973A KR20120147973A KR102081075B1 KR 102081075 B1 KR102081075 B1 KR 102081075B1 KR 1020120147973 A KR1020120147973 A KR 1020120147973A KR 20120147973 A KR20120147973 A KR 20120147973A KR 102081075 B1 KR102081075 B1 KR 102081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film
polyester film
weight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8824A (ko
Inventor
김재훈
최태규
문기정
김연수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075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0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필름 진행방향으로 1축 연신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준비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도성 고분자 수지가 함유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로 인라인 코팅방식에 의해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상기 필름 진행방향 대비 수직 방향으로 5 내지 6배 연신비로 재연신하고 열처리하는 것이며,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평균입경 60nm 이하의 입자크기로 개질된 전도성 고분자의 특성으로 인하여 대전방지성의 폭간 편차를 방지하고, 횡연시의 연신비를 최적화하여 전폭의 배향각을 10도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빛의 간섭 불균일 현상을 최소화하고, 편광판의 크로스니콜법으로 정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편광판 보호필름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MANUFACTURING METHOD OF ANTI-STATIC POLYESTER FILM AND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USING POLYESTER FILM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 평균입경 60nm 이하의 전도성 고분자 수지를 함유하여 대전방지성의 폭간 편차를 방지하고, 횡연시의 연신비를 최적화하여 전폭의 배향각을 10도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빛의 간섭 불균일 현상을 최소화하고, 편광판의 크로스니콜법으로 정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중합 필름은 탄성이 좋아 잘 휘어지면서도 기계적 특성, 내열성, 투명성 및 내약품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사진용, 제도용, 오에이치피용, 전기전자 부품용, 일반산업용 및 포장용 재료 등의 용도로 산업 전 분야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분자 중합 필름의 우수한 물성에도 불구하고, 필름 표면의 고유저항이 매우 커서 마찰이 가해지면 필름 표면이 쉽게 대전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 경우, 고분자 중합 필름이 대전되면, 정전기에 의해 필름 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고, 상기 필름이 적용된 제품에는 전기쇼크가 가해져 제품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기 용제 등의 화학물질이 사용되는 필름의 제조 공정이나 가공 공정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필름의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는 공지의 기술수단으로서, 유기술폰산염 또는 유기인산염 등을 필름 제조 시 혼합하는 내부첨가법, 금속 화합물을 표면에 증착하는 금속증착법, 도전성 무기입자를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단분자 화합물 또는 고분자 화합물을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방법 중, 내부첨가법은 경시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필름 고유의 우수한 물성과 대전방지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금속증착법과 도전성 무기입자를 도포하는 방법은 대전방지성이 우수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지만, 제조단가가 너무 높아 고도의 대전방지성을 요하는 특수한 분야에만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단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도포법은 대전방지 효과가 비교적 양호하고 제조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의 성장과 함께 대전방지 필름의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에 따라, 상술한 여러 가지 대전방지 타입을 이용한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전방지 타입으로 양이온 대전방지 타입이 통용되고 있으며, 특히,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고급 필름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투명성과 대전방지 성능이 우수하여 오프라인 코팅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인라인 코팅 방식에서는 횡연신으로 인해 대전방지 성능의 폭간 편차가 발생하여 생산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또한, 횡연신을 할 때, 필름 중앙부와 외곽부의 응력 차이로 인해 필름 내 분자 배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배향각이 제어되지 않은 필름이 보호필름으로 적용될 경우 보호필름이 최종 검사까지 합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소광 상태가 깨지고 빛 샘 현상이 발생하여 검사에 지장을 주거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편광판의 결함 검사로는 크로스니콜법에 의한 육안 검사가 일반적이고, 또 다른 예로서는 40인치 이상의 대형 TV 용도로 사용되는 편광판 등에서는 크로스니콜법을 이용한 자동 이물질 검사장치에 의한 검사도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크로스니콜법은 2매의 편광판을 그 배향 주축을 직교시켜 소광 상태로 하고 이물이나 결함이 있다면 그곳이 휘점으로 나타나므로 결함 검사가 가능한 방법인데, 특히 40인치 이상의 대면적 편광판을 크로스니콜법으로 자동 검사를 실시할 때에는, 편광판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보호필름이 합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보호필름의 배향각이 제어되어 있지 않을 시에는 소광 상태가 깨지고 빛 샘 현상이 발생하여 이물질이나 결함을 놓치기 쉬워 종종 검사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71696호 및 공개특허 제2012-38840호에 의하면, 폴리에스테르(A)와 (B) 칩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를 a층의 원료로 하고, 폴리에스테르(A)칩 100%의 원료를 b층으로 하여, a:b:a의 3층 적층 필름이 되도록 제조하여, 배향각을 3이하 또는 10이하로 제어함으로써, 40인치 이상의 대형 LCD TV용 편광판의 크로스니콜법에 의한 검사에서 정밀한 검사를 실시 할 수 있고, 표면 오염방지 및 대전방지 특성이 우수한 편광판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제조방법은 인라인 코팅 시, 횡연신 공정에 의해서 필름 폭간의 코팅 두께가 다르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코팅면의 대전방지성능 편차에 의한 생산성 및 수율 저하의 문제가 지적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인라인 코팅 시, 횡연신 공정에 의해서 필름 폭간의 코팅 두께가 다르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코팅면의 대전방지성능 편차 및 빛의 간섭 불균일로 인한 생산성 및 수율 저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노력한 결과,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 평균입경 60nm 이하의 전도성 고분자 수지가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필름의 대전방지성이 우수하면서도 대전방지성능의 폭간 편차가 없도록 하고, 필름 제조공정에서 횡연시의 연신비를 최적화하는 전폭의 배향각을 10도 이하로 제어하여 빛의 간섭 불균일 현상을 최소화하고 편광판의 크로스니콜법으로 정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전방지성이 우수하면서도 대전방지성능의 폭간 편차가 거의 없고 전폭의 배향각이 제어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필름의 엣지부 및 중앙부의 대전방지성의 편차가 거의 없고, 전폭의 배향각이 10도 이하로 제어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필름 진행방향으로 1축 연신하고, 2) 전도성 고분자 수지가 함유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로 인라인 코팅방식에 의해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3) 상기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상기 필름 진행방향 대비 수직 방향으로 5 내지 6배 연신비로 재연신하고 열처리하는 것으로 수행되는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 평균입경 60nm 이하의 전도성 고분자 수지가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필름의 대전방지성이 우수하면서도 대전방지성능의 폭간 편차가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록실기, 아민기, 알킬기 및 카르복실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의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분산체로 이루어진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100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보닐이미드계, 옥사졸린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가교제 수지 100∼1000 중량부, 불소 수지 10∼100 중량부 및 아세틸렌 디올계 계면활성제 0.001∼1 중량부가 함유된 수용액이다.
이때, 상기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내 고형분 함량은 0.5∼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처리가 180 내지 220℃에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필름에 균일한 저배향각을 구현하도록 유도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되고, 필름의 전폭 배향각이 10도 이하로 제어된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 보호필름에서, 상기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엣지부 및 중앙부간 표면저항치가 107∼1010Ω/sq이내를 충족하며, 상기 대전방지성능의 편차가 10% 이하로 제어된다.
본 발명은 코팅 물성의 제어가 용이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인라인 코팅방식에 의해 대전방지층을 형성하여, 인라인 코팅 방식에서도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엣지부 및 중앙부의 대전방지성 편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전폭의 배향각을 10도 이내로 제어함으로써, 빛의 간섭 불균일이 없는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조공정으로부터 제조된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 평균입경 60nm 이하의 전도성 고분자 수지를 함유하여 대전방지성의 폭간 편차를 방지하고, 횡연시의 연신비를 최적화하여 전폭의 배향각을 10도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빛의 간섭 불균일 현상을 최소화하고, 편광판의 크로스니콜법으로 정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어 편광판 보호필름으로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필름 진행방향으로 1축 연신하고,
2) 전도성 고분자 수지가 함유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로 인라인 코팅방식에 의해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3) 상기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상기 필름 진행방향 대비 수직 방향으로 5 내지 6배 연신비로 재연신하고 열처리하는 것으로 수행되는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1: 1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작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종류는 종래 대전방지 코팅이 적용되는 기재필름으로 공지된 통상의 수지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은 폴리에스테르를 가리키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을 사용하고, 이외,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옥시카르복시산(예컨대, P-옥시벤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방족 글리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은 각각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 등이 있으며,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제3성분을 함유한 공중합체도 가능하다.
상술한 구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진공 건조 후에 압출기로 용융하여 티다이(T-DIE)를 통해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롤에 정전인가법(pinning)으로 캐스팅 드럼에 밀착시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얻고, 이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롤에서 롤과 롤 사이의 주속비 차에 의한 2.5∼4.5배의 1축 연신을 행하여 1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한다.
단계 2: 대전방지층 형성
본 발명의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중, 2단계는 1단계에서 1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메이어바(meyer bar)방식, 그라비아 방식 등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도포 전에 필름 표면에 극성기를 도입하여, 코팅층과 필름과의 접착성이나 도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코로나(corona)방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록실기, 아민기, 알킬기 및 카르복실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의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분산체로 이루어진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100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보닐이미드계, 옥사졸린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가교제 수지 100∼1000 중량부, 불소 수지 10∼100 중량부 및 아세틸렌 디올계 계면활성제 0.001∼1 중량부가 함유된 수용액이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의 각 조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전도성 고분자 수지는 평균입경이 6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nm의 입자크기로 분포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대전방지성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도성 고분자 수지의 평균입경이 60nm를 초과하면, 표면저항의 폭간 편차가 매우 커져 제품 사용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2단계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각 조성 및 함량에 따라, 코팅 물성의 제어가 용이하다. 특히, 평균입경 60nm 이하의 전도성 고분자 수지가 함유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로 인라인 코팅방식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엣지부 및 중앙부의 대전방지성 편차가 10% 이하 또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수지의 입자크기는 통상의 전도성 고분자 수지대비 20% 이하의 작은 입경크기로서, 물리적으로 입자를 미세화시킬 수 있는 통상의 수단에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입자크기 조건을 충족하는 상용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평균입경이 60nm 이하의 미세입자로 균일하게 분산된 수분산체 형태의 전도성 고분자 수지를 적용함으로써, 인라인 코팅방식에 의한 필름 제조시, 필름 폭간의 코팅두께차를 줄여, 이로 인한 코팅면의 대전방지성능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라인 코팅방식에 의한 필름 제조시, 1차 연신(종연신) 후, 2차 연신(횡연신) 실시 직전에 코팅공정이 수행되는데, 상기 횡연신시 중앙부와 엣지부의 연신응력이 상이하기 때문에 횡연신에 의하여 위치마다 물성 편차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엣지부가 중앙부보다 연신응력이 커 엣지부의 코팅두께가 더 얇게 도포되어. 최종 필름의 중앙부 및 엣지부간의 대전방지성 편차가 30%이상 발생된다. 일례로 필름의 중앙부의 표면저항치가 107Ω/sq이고 엣지부의 표면저항치가 1010Ω/sq로서 중앙부 및 엣지부간의 대전방지성의 편차가 30%인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게 되므로, 양질의 제품생산이 어려워 생산성 및 수율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횡방향의 배향 불균일도 동일한 이유로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의 경우, 60nm 이하로 평균입경을 낮춘 전도성 고분자 수지가 균일하게 분산된 코팅 조성물을 도포할 경우, 분산성 향상으로 인하여 연신이 더 많이 되더라도 중앙부 및 엣지부간의 대전방지성의 편차가 10% 이하로 최소화되므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목표하는 배향각을 균일하게 달성하기 위해 횡연신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 함유된 전도성 고분자 수지는 우수한 대전방지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이 함유된 수분산체 또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 유도체가 함유된 수분산체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폴리음이온은 산성 폴리머이며, 고분자 카르복실산 또는 고분자 술폰산, 폴리비닐술폰산 등이다. 상기 고분자 카르복실산의 일례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말레인산 등이 있으며, 상기 고분자 술폰산으로는 폴리스티렌술폰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수지에 있어서, 폴리티오펜 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에 대하여, 폴리음이온의 고형분 중량비가 과잉으로 존재하게 하는 편이 도전성을 부여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일례로 폴리티오펜 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 1중량% 사용시, 폴리음이온은 1중량%보다는 많고, 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중량% 범위 내로 사용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0.5중량%와 폴리스티렌설폰산(분자량 Mn=150,000) 0.8중량%을 함유하는 수분산체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 함유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되어 상기 필름 면과 테이프와의 박리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이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폴리우레탄 수지는 수분산 타입이며, 하이드록실기, 아민기, 알킬기 및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가 적어도 1종 이상 포함된 음이온의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분산체로 이루어진 수지를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의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분산체; 알릴아민, 비닐아민, 에틸렌아민, 비닐 피리딘,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술페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반복 단위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의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분산체; 또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반복 단위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의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분산체를 포함한다.
한편, 첨가되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양은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수지 100 ∼ 100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이때, 폴리우레탄 수지의 첨가량이 100 중량부 미만이면, 테이프와의 박리력이 저하되어 기능을 발현할 수 없게 되고, 1000 중량부를 초과하면, 테이프 박리력은 충분히 확보되나 방오 기능과 대전방지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중에 함유된 가교제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교제는 가교밀도를 조절하여 대전방지 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내용제성 및 도막성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때, 바람직한 가교제 성분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보닐이미드계, 옥사졸린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첨가되는 가교제의 양은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수지 100 ∼ 100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이때, 가교제 수지의 첨가량이 100 중량부 미만이면, 대전방지성이 발현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내용제성이 약하여 백화현상이 발생될 수가 있다. 반면에, 1000 중량부를 초과하면, 투명성은 양호하지만 대전방지성이 발현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중, 본 발명에 첨가되는 불소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되어 상기 필름의 방오성 및 내용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된다.
바람직한 불소 수지로는 테트라플로로에틸렌, 트리플로로에틸렌, 헥사플로로프로필렌 공중합체(Fluorinated ethylene copolymer propylene), 클로로 트리플로로에틸렌, 테트라플로로에틸렌 공중합체(Ethylenetetrafuoroethylene copolymer), 클로로 트리플로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 공중합체(Poly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폴리비닐플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등이 있다.
이때, 첨가되는 불소 수지의 양은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 수지 10 ∼ 10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만일, 불소 수지의 첨가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방오성이 저하되는 반면,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 테이프 박리력 및 대전방지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은 상기 코팅 조성물의 안정성, 젖음성(wetting) 및 도포 레벨링(leveling)의 향상을 위해 계면활성제를 첨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 계면활성제로서 아세틸렌 디올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젖음성, 도포 레벨링성을 구현하면서도 점착 테이프와의 박리력, 방오성 등의 주요 코팅 물성을 유지하여 품질이 우수하고 양품률이 높은 광학용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아세틸렌 디올계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2105083734-pat00001
(상기 식에서, R1, R4는 C3~C10의 직쇄 또는 분쇄의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 비닐기, 알릴기, 에티닐기, 페닐기, 아릴기, 할로겐기, C3~C10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수산기, 카르보닐기, 에스테르기 또는 카르복실기에서 선택되고, R2, R3 는 H 또는 C1~C5의 알킬기이고, m, n, p, q는 0~20의 정수이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아세틸렌 디올계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2,5,8,11-테트라메틸 6도데신-5,8 디올 에톡시실레이트(2,5,8,11-Tetramethyl 6 dodecyn-5,8 diol ethoxylate)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아세틸렌 디올계 계면활성제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메틸기, 비닐기, 알릴기, 에티닐기, 페닐기, 아릴기, 할로겐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수산기, 카르보닐기, 에스테르기 및 카르복실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개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세틸렌 디올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아세틸렌 디올계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함량은 전체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1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다. 만일 계면활성제 첨가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도막의 웨팅성이 저하되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코팅 조성물 내의 미세 기포로 인해 코팅외관 결점이 유발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은 전체 코팅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고형분의 함량이 0.5∼10.0 중량%가 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형분의 함량이 1.0∼5.0중량%가 되도록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고형분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코팅층의 피막형성 및 대전방지 기능을 발현하기에 충분하지 못하고, 10.0 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에 영향을 주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매는 실질적으로 물을 주 매체로 하는 수성 코팅액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에 대한 도포성의 향상, 투명성의 향상 등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적당한 유기용매를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유기용매로는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셀로솔브, t-부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코팅 조성물 중에 다량의 유기용매를 함유시키면, 인라인 코팅법에 적용할 경우에 건조, 연신 및 열처리 공정에서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그 함유량은 코팅 조성물 중에 1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로 제어한다.
즉, 이상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은 평균입경 60nm 이하의 전도성 고분자 수지를 함유하여 분산성을 높여 필름의 중앙부 및 엣지부간의 대전방지성의 편차를 10% 이하로 조절하고,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유하여 점착 테이프와의 박리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적절한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밀도 조절로 내용제성과 도막성능을 향상시키고, 불소 수지를 첨가하여 방오 성능을 향상시키며, 아세틸렌 디올계 계면활성제의 첨가로 인하여, 상기 코팅 조성물의 웨팅성을 향상시키는 조성으로 특정함으로써, 원하는 코팅 물성 제어가 용이하다.
단계 3: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작
본 발명의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중, 3단계는 2단계에서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재연신하여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3단계에서의 연신은 1축 연신의 방향인 필름 진행방향 대비 수직 방향으로 연신하며, 바람직한 연신비는 5.0∼6.0배로 수행함으로써, 전폭 배향각을 10도 이하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연신비가 5.0배 미만으로 수행되면, 목표하는 배향각을 구현하기 어렵고, 6.0배를 초과하면, 치수안정성에 불리하다.
상기 재연신 공정 이후, 열처리, 경화 및 건조 등을 통해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데, 균일한 저배향각 구현을 위한 바람직한 열처리 온도는 180 내지 220℃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5∼300㎛, 바람직하게는 10∼2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75㎛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것으로서, 필름의 전폭 배향각이 10도 이하로 제어된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을 제공한다.
즉, 이상의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원하는 코팅 물성의 제어가 용이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고 특히, 평균입경 60nm 이하의 입자크기로 개질된 전도성 고분자의 특성으로 인하여 대전방지성이 우수하면서도 대전방지성의 폭간 편차가 거의 없고 투명성, 점착 테이프와의 박리력, 방오 성능 및 코팅성이 우수하고 빛의 간섭 불균일 현상이 없는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엣지부 및 중앙부간 표면저항치는 107∼1010Ω/sq이내를 충족하며, 상기 대전방지성능의 편차가 10% 이하로 제어된다.
또한, 필름 제조공정에서 횡연시의 연신비를 최적화하여, 필름 전폭의 배향각을 10도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대전방지성능의 폭간 편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편광판의 크로스니콜법으로 정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편광판 보호용도에 유용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향각이 10도 이하로 제어되는 것이 중요한데, 배향각이 10도를 넘으면, 상기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점착된 편광판을 크로스니콜법으로 검사할 때 소광된 빛을 왜곡하여 편광판 품질검사에 지장을 초래한다.
이러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투명하면서도 코팅 면의 특성에 있어서 표면저항이 107∼1010Ω/sq 범위 이내이면서, 에탄올,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및 아세트산에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기용매로 세정한 전ㆍ후의 대전방지성의 변화가 101Ω 범위 이내로서, 초기 표면저항치를 유지하므로, 대전방지층의 대전방지제가 탈락하거나 용해되지 않는 우수한 내용제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수접촉각이 85도 이상의 우수한 방오성능을 가지며, 종이재질의 점착테이프(3M #244)와의 박리력 230g/18mm 이상을 충족한다.
또한, 빛의 간섭 불균일 현상을 개선하여 검사 시인성을 높이는 중요한 원단 특성인 배향각도 전폭으로 10도 이하를 만족한다.
이상의 물성을 충족하는 본 발명의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향후에도 LCD 화면의 고휘도화, 대형화 등에서 요구되는 까다로운 수준의 물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광학용 표시장치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단계 1: 1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작
평균 입경이 2.5㎛의 무정형 구형 실리카 입자가 20ppm이 들어있는 극한 점도 0.625㎗/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pellet)을 진공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7시간 동안 160℃에서 충분히 건조시킨 후, 용융하여 압출 티-다이를 통하여 냉각드럼에 정전인가법으로 밀착시켜 무정형 미연신 시트를 만들고, 이를 다시 가열하여 95℃에서 필름 진행방향으로 2.9배 연신을 수행하여 1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단계 2: 대전방지층 형성
코팅할 필름 면에 고형분으로서, 35±5nm의 평균입경 분포를 가지는 전도성 고분자 수지(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0.5중량%와 폴리스티렌술폰산(분자량 Mn=150,000) 0.8중량%를 함유하는 수분산체)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음이온의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분산체) 200 중량부, 에폭시 가교제(에스프릭스테크놀로지사, CK-7B) 200 중량부, 불소 수지(D사, AM-30) 100 중량부 및 아세틸렌 디올계 계면활성제로서, 2,5,8,11-테트라메틸 6도데신-5,8 디올 에톡시실레이트 0.1 중량부를 물에 혼합하여 대전방지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고형분의 함량은 전체 대전방지 코팅액에 대하여 1.5중량%를 함유하도록 하였다. 상기 대전방지 코팅액을 그라비어롤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1축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였다.
단계 3: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작
도포 후, 105∼140℃ 텐터 구간에서 도포된 코팅액을 건조시키고, 필름의 진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5.8배 연신하고, 200℃에서 4초간 열처리하여 38㎛ 두께의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2축 연신시 필름의 진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5.5배 연신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2축 연신시 필름의 진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5.2배 연신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100±10nm의 평균입경 분포를 가지는 전도성 고분자 수지를 함유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2축 연신시 필름의 진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4.3배 연신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2축 연신시 필름의 진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4.0배 연신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2축 연신시 필름의 진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3.7배 연신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2축 연신시 필름의 진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6.5배 연신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5에서 제조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냈다.
1. 대전방지성
대전방지 측정기(미쯔비시㈜; 모델명 MCP-T600)를 이용하여 온도 23℃, 습도 50%RH의 환경 하에 시료를 설치한 후 JIS K7194에 의거하여 필름의 엣지부(edge) 및 중앙부(center) 각각에 대한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2. 수접촉각
접촉각 측정기(Kyowa Interface Science Co., Ltd.; 모델명 Dropmaster 300)를 사용하여 이온 교환수를 증류하여 얻은 정제수로 액적법(sessile drop method)에 의하여 수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서로 다른 위치에서 5회 측정한 후, 평균값을 취하였다.
3. 배향각
제조된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 위치와 센터 위치를 A4 사이즈로 샘플링 한 후, MOA(분자배향계)를 이용하여 배향각을 측정하였다.
○: 배향각이 10도 이하인 경우
△: 배향각이 10도 ∼ 20도인 경우
×: 배향각이 20도 초과인 경우
4. 육안 검사성
제조된 필름의 주배향축이 편광 필름의 배향 축과 평행이 되도록 점착제를 이용하여 합지시켜 편광판으로 하고, 그 아래 다른 편광 필름을 배향축이 직교하도록 중첩시켜, 제조된 필름이 가장 윗 부분에 오도록 배치시킨다. 이후, 가장 아래 부분에 백색광을 조사하고, 10인의 검사원이 각각 육안으로 관찰하여 크로스니콜 하에서의 육안 검사성을 평가하였다.
검사성 양호이면 ○, 실제 사용시 문제없이 사용 가능한 수준이면 △ 및 검사성 불량이면 ×로 분류하였다.
5. 이물질 시인성
제조된 필름의 주배향 축이 편광 필름의 배향 축과 평행이 되도록 점착제를 이용하여 합지시켜 편광판으로 하고, 그 아래 다른 편광 필름을 배향축이 직교하도록 중첩시켜, 제조된 필름이 가장 윗 부분에 오도록 배치시킨다. 여기서 편광판을 제조할 때, 점착제와 편광 필름 사이에 50㎛ 크기를 갖는 흑색 금속 분말(이물질)을 50개/m2 가 되도록 혼입시켰다. 이후, 가장 아래 부분에 백색광을 조사하고, 10인의 검사원이 각각 육안으로 관찰하여 크로스니콜 하에서, 혼입시킨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하기 분류에 따라 평가하였다. 또한 측정 시에는 얻어진 필름의 중앙부와 양단부의 세 부위 필름을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검출한 이물질 개수가 가장 많은 결과를 통해, 그 필름의 이물질 시인성을 평가하였다.
크로스니콜 하 이물질 시인성 분류 기준
○: 검출한 이물질 개수가 40개/m2 이상
△: 검출한 이물질 개수가 25개/m2 이상
×: 검출한 이물질 개수가 25개/m2 미만
6. 내에탄올성
천(아사이 카세이 섬유사의 벰코트(BEMCOT))에 에탄올을 적신 후, 상기 코팅 처리된 필름 면을 0.5kg 하중으로 10회 왕복시킨 후 코팅 면의 상태를 아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대전방지성의 변화가 101Ω 범위 내에 경우
△: 대전방지성의 변화가 101 이상 상승되고 1011Ω 미만인 경우
×: 대전방지성의 변화가 1011Ω 을 초과하는 경우
7. 테이프와의 박리력
23°±3, 상대습도 50±5% 분위기 하에서 박리력 측정기(화학기기사의 AR1000)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얻어진 필름의 코팅면에 종이 점착테이프(3M제 테이프 NO. 244, 폭: 18mm)를 붙인 후 2kg하중의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해서 압착하고 1시간 방치 후에 박리속도 0.3MPM으로 180도 박리한다. 이때, 얻어진 박리력 값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2105083734-pat00002
Figure 112012105083734-pat00003
표 1 및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횡 연신 배율이 종래의 수준 또는 그 보다 낮을 경우, 배향각, 육안 검사성 및 검사 시인성 평가결과가 모두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동일한 횡 연신 배율을 사용하였더라도,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중, 평균입경이 큰 전도성 고분자 수지가 함유된 비교예 1의 경우는 엣지부 및 중앙부간의 표면저항 편차가 크게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 전도성 고분자 수지의 평균입경을 통상의 평균입경보다 20% 작은 크기 즉, 평균입경 60nm 이하의 전도성 고분자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분산성 향상으로 인하여 연신이 더 많이 되더라도 중앙부 및 엣지부간의 대전방지성의 편차가 10% 이하로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대전방지층을 형성한 후 5.0∼6.0배로 횡연신함으로써, 배향각이 10도 이하로 제어되어 육안 검사성, 검사 시인성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첫째, 본 발명은 코팅 물성의 제어가 용이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인라인 코팅방식에 의해 대전방지층을 형성하여, 인라인 코팅 방식에서도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엣지부 및 중앙부의 대전방지성 편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전폭의 배향각을 10도 이내로 제어함으로써, 빛의 간섭 불균일이 없는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이상의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종래 인라인 코팅 시, 횡연신 공정에 의해서 필름 폭간의 코팅 두께가 다르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코팅면의 대전방지성능 편차에 의한 생산성 및 수율 저하의 주요원인을 해소하였다.
둘째, 본 발명은 제조공정으로부터 제조된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 평균입경 60nm 이하의 전도성 고분자 수지를 함유하여 대전방지성의 폭간 편차를 방지하고, 횡연시의 연신비를 최적화하여 전폭의 배향각을 10도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빛의 간섭 불균일 현상을 최소화하고, 편광판의 크로스니콜법으로 정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어 편광판 보호필름으로 유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필름 진행방향으로 1축 종방향 연신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인라인 코팅방식에 의해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상기 필름 진행방향 대비 횡방향으로 연신하고 열처리가 수행된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이 평균입경 60nm 이하의 전도성 고분자 수지가 함유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종방향 연신이 2.5 내지 4.5배일 때, 횡방향 5.2 내지 6.0배로 연신되어,
    필름의 중앙부 및 엣지부간의 대전방지성의 편차가 10% 이하이고,
    필름의 전폭 배향각이 10도 이하로 제어된 편광판 보호필름용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이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록실기, 아민기, 알킬기 및 카르복실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의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분산체로 이루어진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100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보닐이미드계, 옥사졸린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가교제 수지 100∼1000 중량부, 불소 수지 10∼100 중량부 및 아세틸렌 디올계 계면활성제 0.001∼1 중량부가 함유된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필름용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내 고형분 함량이 0.5∼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필름용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가 180 내지 22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필름용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엣지부 및 중앙부의 표면저항치가 107∼1010Ω/sq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필름용 2축 연신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120147973A 2012-12-18 2012-12-18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 Active KR102081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973A KR102081075B1 (ko) 2012-12-18 2012-12-18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973A KR102081075B1 (ko) 2012-12-18 2012-12-18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824A KR20140078824A (ko) 2014-06-26
KR102081075B1 true KR102081075B1 (ko) 2020-02-25

Family

ID=5113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973A Active KR102081075B1 (ko) 2012-12-18 2012-12-18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4982B2 (en) 2016-10-20 2020-05-19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polarizer protecting film
KR102389982B1 (ko) * 2017-04-25 2022-04-2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5127A (ja) * 2008-03-25 2009-10-15 Fujifilm Corp 導電性高分子微粒子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により得られる導電性高分子微粒子およびその水系分散液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428A (ko) * 2009-01-09 2010-07-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KR101209195B1 (ko) * 2010-11-24 2012-12-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그를 이용한 편광판 보호용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5127A (ja) * 2008-03-25 2009-10-15 Fujifilm Corp 導電性高分子微粒子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により得られる導電性高分子微粒子およびその水系分散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824A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1554B2 (ja) 離型フィルム
KR101077822B1 (ko) 코팅외관 결점이 개선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제조방법
TWI406889B (zh) 抗靜電聚酯膜的製造方法,因此而製得的抗靜電聚酯膜及其用途
KR100902033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TWI746764B (zh) 偏光板
KR100902034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TWI398498B (zh) 含有乙炔二醇界面活性劑之抗靜電聚酯膜及其製造方法
JP2009196178A (ja) 離型フィルム
JP6536123B2 (ja) 離型フィルム
KR20120086225A (ko) 금속산화물이 함유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209195B1 (ko)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그를 이용한 편광판 보호용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081075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판 보호필름
KR101243050B1 (ko)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그를 이용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389982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60093422A (ko) 고투명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4603B1 (ko)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그를 이용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1463A (ko) 다양한 대전방지성능이 구현되는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 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243052B1 (ko) 극성용매가 함유된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060438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40123699A (ko)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그를 이용한 대전방지층의 내구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08944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359625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06039B1 (ko)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81076B1 (ko) 저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5016677A (ja)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5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03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521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3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9101001604

Request date: 201905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60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513

Effective date: 2019122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9122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90513

Decision date: 20191227

Appeal identifier: 2019101001604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3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