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0657B1 -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657B1
KR102080657B1 KR1020160179151A KR20160179151A KR102080657B1 KR 102080657 B1 KR102080657 B1 KR 102080657B1 KR 1020160179151 A KR1020160179151 A KR 1020160179151A KR 20160179151 A KR20160179151 A KR 20160179151A KR 102080657 B1 KR102080657 B1 KR 102080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refractive power
conve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5151A (ko
Inventor
백재현
조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657B1/ko
Priority to US15/586,351 priority patent/US10247916B2/en
Priority to CN201710468410.2A priority patent/CN108241199B/zh
Priority to CN202011576932.2A priority patent/CN112630937B/zh
Priority to CN201720722019.6U priority patent/CN207074297U/zh
Publication of KR2018007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151A/ko
Priority to US16/278,913 priority patent/US1083817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657B1/ko
Priority to US17/070,203 priority patent/US11635592B2/en
Priority to US18/122,358 priority patent/US20230213736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2Telephoto objectives, i.e. systems of the type + -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front vertex to the image plane is less than the equivalent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굴절력을 가지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굴절력을 가지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제5렌즈; 굴절력을 가지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제5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7렌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촬상 광학계{Optical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7매 렌즈로 구성된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소형 카메라는 해상도가 향상될수록 이미지 센서의 픽셀이 작아진다. 예를 들어, 12 Mega 이상의 고해상도를 구현하는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는 8 Mega 급의 해상도를 구현하는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보다 작은 픽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이미지 센서의 각 픽셀로 입사되는 광량의 감소를 수반하므로, 선명하고 밝은 화상의 구현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소형 카메라의 해상도 및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촬상 광학계의 개발이 요청된다.
US 2016-0187621 A1 US 2016-0223790 A1 US 2016-0033742 A1
본 발명은 소형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는 고해상도의 밝은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굴절력을 가지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굴절력을 가지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제5렌즈; 굴절력을 가지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제5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7렌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원거리 촬영이 가능하면서도 소형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는 촬상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 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 표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 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제1렌즈는 물체(또는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7렌즈는 상면(또는 이미지 센서)과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두께(Thickness), TTL(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 거리), IMG HT(상면의 대각길이의 1/2), 초점거리의 단위는 모두 ㎜ 단위이다. 아울러, 렌즈의 두께, 렌즈 간의 간격, TTL은 렌즈의 광축에서의 거리이다. 아울러, 렌즈의 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7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제6렌즈, 제7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1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1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1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렌즈는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굴절률은 1.6 미만일 수 있다.
제2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2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2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물체 측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제2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렌즈는 제1렌즈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일 수 있다.
제3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3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상 측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제3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3렌즈는 제2렌즈와 대체로 유사한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일 수 있다.
제4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4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4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4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4렌즈는 제1렌즈와 대체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굴절률은 1.6 미만일 수 있다.
제5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5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5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5렌즈는 제3렌즈와 대체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일 수 있다.
제6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6렌즈는 변곡점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의 양면에는 하나 이상의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6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6렌즈는 제5렌즈와 대체로 유사한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6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일 수 있다.
제7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7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7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7렌즈는 변곡점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렌즈의 양면에는 하나 이상의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7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7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7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7렌즈는 제6렌즈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7렌즈의 굴절률은 1.6 미만일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7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6127388437-pat00001
수학식 1에서 c는 해당 렌즈의 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r은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이고, A ~ J는 비구면 상수이고, Z(또는 SAG)는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이다.
촬상 광학계는 필터, 이미지 센서, 조리개를 더 포함한다.
필터는 제7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는 선명한 화상이 구현될 수 있도록 일부 파장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는 적외선 파장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상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의 표면은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조리개는 렌즈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정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조리개는 제1렌즈와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들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F No. ≤ 2.09
[조건식 2] V2 + V3 < V1
[조건식 3] V5 + V6 < V4
[조건식 4] CT2 < 0.2 ㎜
[조건식 5] 1.0 < TTL/f
상기 조건식에서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고, V1은 제1렌즈의 아베수이고, V2는 제2렌즈의 아베수이고, V3은 제3렌즈의 아베수이고, V4는 제4렌즈의 아베수이고, V5는 제5렌즈의 아베수이고, V6은 제6렌즈의 아베수이고, TTL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CT2는 상기 제2렌즈의 두께이다.
조건식 2 내지 4는 촬상 광학계의 소형화를 위한 조건이다. 예를 들어, 조건식 2 내지 4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는 전체 길이(즉, TTL)를 줄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
조건식 6은 화각이 큰 촬상 광학계를 구현하기 위한 조건이다. 예를 들어, 조건식 6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는 80도 이상의 화각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여러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100)는 제1렌즈(110),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4렌즈(140), 제5렌즈(150), 제6렌즈(160), 제7렌즈(170)를 포함한다.
제1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1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1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1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6렌즈(1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아울러, 제6렌즈(160)는 양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이다. 제7렌즈(17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아울러, 제7렌즈(170)는 양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이다.
촬상 광학계(100)는 필터(180), 이미지 센서(190), 조리개(ST)를 더 포함한다. 필터(180)는 제7렌즈(170)와 이미지 센서(190) 사이에 배치되고, 조리개(ST)는 제1렌즈(110)와 제2렌즈(120) 사이에 배치된다.
촬상 광학계(100)는 굴절률이 큰 다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5렌즈(150), 및 제6렌즈(160)는 1.6 이상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5렌즈(150), 및 제6렌즈(160)의 굴절률은 1.65보다 크고 2.0보다 작을 수 있다.
촬상 광학계(100)는 밝은 광학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100)의 F No. 2.09이다. 촬상 광학계(100)는 넓은 화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100)의 전체 화각은 83.3이다.
촬상 광학계(100)는 전술된 조건식 2 내지 5를 모두 만족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100)에서 제2렌즈(120)의 아베수(V2 = 20.35)와 제3렌즈(130)의 아베수 간의 합(V3 = 40.7)은 제1렌즈(110)의 아베수(V1 = 56.11)보다 작고, 제5렌즈(150)의 아베수(V5 = 20.35)와 제6렌즈(160)의 아베수 간의 합(V6 = 40.7)은 제4렌즈(140)의 아베수(V4 = 56.11)보다 작다. 아울러, 제2렌즈(120)의 두께는 0.13 ㎜ 이고, TTL/f 값은 1.20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은 표 1과 같다.
Figure 112016127388437-pat00002
도 4를 참조하여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200)는 제1렌즈(210), 제2렌즈(220), 제3렌즈(230), 제4렌즈(240), 제5렌즈(250), 제6렌즈(260), 제7렌즈(270)를 포함한다.
제1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2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2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2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6렌즈(2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아울러, 제6렌즈(260)는 양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이다. 제7렌즈(27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아울러, 제7렌즈(270)는 양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이다.
촬상 광학계(200)는 필터(280), 이미지 센서(290), 조리개(ST)를 더 포함한다. 필터(280)는 제7렌즈(270)와 이미지 센서(290) 사이에 배치되고, 조리개(ST)는 제1렌즈(210)와 제2렌즈(220) 사이에 배치된다.
촬상 광학계(200)는 굴절률이 큰 다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렌즈(220), 제3렌즈(230), 제5렌즈(250), 및 제6렌즈(260)는 1.6 이상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렌즈(220), 제3렌즈(230), 제5렌즈(250), 및 제6렌즈(260)의 굴절률은 1.65보다 크고 2.0보다 작을 수 있다.
촬상 광학계(200)는 밝은 광학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200)의 F No. 1.89이다. 촬상 광학계(200)는 넓은 화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200)의 전체 화각은 83.3이다.
촬상 광학계(200)는 전술된 조건식 2 내지 5를 모두 만족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200)에서 제2렌즈(220)의 아베수(V2 = 20.35)와 제3렌즈(230)의 아베수 간의 합(V3 = 40.7)은 제1렌즈(210)의 아베수(V1 = 56.11)보다 작고, 제5렌즈(250)의 아베수(V5 = 20.35)와 제6렌즈(260)의 아베수 간의 합(V6 = 40.7)은 제4렌즈(240)의 아베수(V4 = 56.11)보다 작다. 아울러, 제2렌즈(220)의 두께는 0.144 ㎜ 이고, TTL/f 값은 1.225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은 표 2와 같다.
Figure 112016127388437-pat00003
도 7을 참조하여 제3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300)는 제1렌즈(310), 제2렌즈(320), 제3렌즈(330), 제4렌즈(340), 제5렌즈(350), 제6렌즈(360), 제7렌즈(370)를 포함한다.
제1렌즈(3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3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3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3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3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6렌즈(3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아울러, 제6렌즈(360)는 양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이다. 제7렌즈(37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아울러, 제7렌즈(370)는 양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이다.
촬상 광학계(300)는 필터(380), 이미지 센서(390), 조리개(ST)를 더 포함한다. 필터(380)는 제7렌즈(370)와 이미지 센서(390) 사이에 배치되고, 조리개(ST)는 제1렌즈(310)와 제2렌즈(320) 사이에 배치된다.
촬상 광학계(300)는 굴절률이 큰 다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렌즈(320), 제3렌즈(330), 제5렌즈(350), 및 제6렌즈(360)는 1.6 이상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렌즈(320), 제3렌즈(330), 제5렌즈(350), 및 제6렌즈(360)의 굴절률은 1.65보다 크고 2.0보다 작을 수 있다.
촬상 광학계(300)는 밝은 광학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300)의 F No. 1.89이다. 촬상 광학계(300)는 넓은 화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300)의 전체 화각은 85.2이다.
촬상 광학계(300)는 전술된 조건식 2 내지 5를 모두 만족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300)에서 제2렌즈(320)의 아베수(V2 = 20.35)와 제3렌즈(330)의 아베수 간의 합(V3 = 40.7)은 제1렌즈(310)의 아베수(V1 = 56.11)보다 작고, 제5렌즈(350)의 아베수(V5 = 20.35)와 제6렌즈(360)의 아베수 간의 합(V6 = 40.7)은 제4렌즈(340)의 아베수(V4 = 56.11)보다 작다. 아울러, 제2렌즈(320)의 두께는 0.158 ㎜ 이고, TTL/f 값은 1.223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특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은 표 3과 같다.
Figure 112016127388437-pat00004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촬상 광학계
110, 210, 310 제1렌즈
120, 220, 320 제2렌즈
130, 230, 330 제3렌즈
140, 240, 340 제4렌즈
150, 250, 350 제5렌즈
160, 260, 360 제6렌즈
170, 270, 370 제7렌즈
180, 280, 380 (적외선 차단) 필터
190, 290, 390 이미지 센서 또는 상면

Claims (16)

  1.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제6렌즈, 및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제7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1렌즈 내지 제7렌즈 중 4매 이상은 굴절률이 1.6보다 크고,
    상기 제6렌즈의 굴절률은 1.65 이상인 촬상 광학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내지 상기 제7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촬상 광학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V2 + V3 < V1
    (상기 조건식에서 V1은 상기 제1렌즈의 아베수이고, V2는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이고, V3는 상기 제3렌즈의 아베수이다)
  11.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V5 + V6 < V4
    (상기 조건식에서 V4은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이고, V5는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이고, V6은 상기 제6렌즈의 아베수이다)
  1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CT2 < 0.2 ㎜
    (상기 조건식에서 CT2는 상기 제2렌즈의 두께이다)
  13. 제1항에 있어서,
    F No.가 2.09 이하인 촬상 광학계.
  14.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굴절력을 가지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굴절력을 가지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제5렌즈;
    굴절력을 가지며, 굴절률이 1.65 이상인 제6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7렌즈;
    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6렌즈는 물체 측면 또는 상 측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인 촬상 광학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7렌즈는 물체 측면 또는 상 측면에 변곡점이 형성되는 형상인 촬상 광학계.
KR1020160179151A 2016-12-26 2016-12-26 촬상 광학계 Active KR102080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151A KR102080657B1 (ko) 2016-12-26 2016-12-26 촬상 광학계
US15/586,351 US10247916B2 (en) 2016-12-26 2017-05-04 Optical imaging system
CN202011576932.2A CN112630937B (zh) 2016-12-26 2017-06-20 光学成像系统
CN201720722019.6U CN207074297U (zh) 2016-12-26 2017-06-20 光学成像系统
CN201710468410.2A CN108241199B (zh) 2016-12-26 2017-06-20 光学成像系统
US16/278,913 US10838176B2 (en) 2016-12-26 2019-02-19 Optical imaging system
US17/070,203 US11635592B2 (en) 2016-12-26 2020-10-14 Optical imaging system
US18/122,358 US20230213736A1 (en) 2016-12-26 2023-03-16 Optical imag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151A KR102080657B1 (ko) 2016-12-26 2016-12-26 촬상 광학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489A Division KR102207280B1 (ko) 2020-01-20 2020-01-20 촬상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151A KR20180075151A (ko) 2018-07-04
KR102080657B1 true KR102080657B1 (ko) 2020-02-24

Family

ID=61512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151A Active KR102080657B1 (ko) 2016-12-26 2016-12-26 촬상 광학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10247916B2 (ko)
KR (1) KR102080657B1 (ko)
CN (3) CN20707429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657B1 (ko) * 2016-12-26 2020-02-24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06896478B (zh) * 2016-12-30 2019-05-28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TWI640811B (zh) 2017-06-16 2018-11-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像系統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622829B (zh) * 2017-07-19 2018-05-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影像擷取鏡頭、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101983194B1 (ko) * 2017-10-31 2019-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JP6362202B1 (ja) * 2017-11-18 2018-07-25 エーエーシー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Aac Technologies Pte.Ltd. 撮像光学レンズ
TWI632411B (zh) 2018-01-19 2018-08-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攝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JP6501373B1 (ja) * 2018-01-23 2019-04-17 エーエーシー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Aac Technologies Pte.Ltd. 撮像光学レンズ
TWI644142B (zh) 2018-01-25 2018-12-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用光學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12526716B (zh) * 2018-05-29 2023-04-14 三星电机株式会社 光学成像系统
KR102815917B1 (ko) * 2018-07-12 2025-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WO2020014918A1 (en) * 2018-07-19 2020-01-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Imaging lens, imaging apparatus, and mobile equipment
KR102296112B1 (ko) * 2019-02-21 2021-09-01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US11644642B2 (en) 2019-02-21 2023-05-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KR102824823B1 (ko) * 2019-03-13 2025-06-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TWI687713B (zh) * 2019-04-24 2020-03-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10286470B (zh) * 2019-06-29 2021-08-17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0398820B (zh) * 2019-06-30 2021-10-19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4578519A (zh) * 2019-08-21 2022-06-03 核心光电有限公司 镜头组件
KR102416100B1 (ko) * 2019-10-15 2022-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102268263B1 (ko) * 2019-10-28 2021-06-23 주식회사 세코닉스 소형 렌즈 시스템
KR102268261B1 (ko) * 2019-10-28 2021-06-23 주식회사 세코닉스 소형 렌즈 시스템
CN114137709B (zh) * 2019-11-14 2025-01-21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TWI712830B (zh) * 2019-12-25 2020-12-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影用光學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20220082470A (ko) * 2020-12-10 2022-06-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3156621B (zh) * 2021-05-06 2021-09-10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成像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9867B2 (ja) * 2009-04-24 2013-12-18 株式会社リコー 広角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2015028586A (ja) 2013-07-02 2015-0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レンズを備えた撮像装置
CN206946076U (zh) 2016-11-28 2018-01-30 三星电机株式会社 光学成像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971B2 (ja) 1975-04-30 1983-02-14 コニカ株式会社 ダイコウケイコウカクフ−リエヘンカンレンズ
JPH05323183A (ja) * 1992-05-26 1993-12-07 Konica Corp 超広角レンズ
KR0133445B1 (ko) * 1993-09-17 1998-04-23 구자홍 광학 뷰 파인더를 일체화한 리어 포커스방식 줌렌즈
US5995299A (en) * 1998-08-13 1999-11-30 Samsung Aerospace Industries, Ltd. Compact zoom lens system
JP4472054B2 (ja) * 1999-07-19 2010-06-02 日東光学株式会社 リレーレンズおよびx線表示装置
CN102455490B (zh) * 2010-10-28 2014-0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变焦镜头
CN103135210A (zh) * 2011-11-25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变焦成像镜头
JP6037221B2 (ja) * 2012-11-16 2016-12-07 株式会社リコー 広角レンズ、撮像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および情報装置
KR101580382B1 (ko) * 2013-10-14 2015-12-24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US10018805B2 (en) 2013-10-14 2018-07-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JP6226296B2 (ja) 2014-01-10 2017-11-08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KR101627133B1 (ko) * 2014-03-28 2016-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US9354431B2 (en) * 2014-06-30 2016-05-31 Calin Technology Co., Ltd. Zoom lens
TWI510804B (zh) 2014-08-01 2015-12-01 Largan Precision Co Ltd 取像用光學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101659167B1 (ko) * 2014-10-16 2016-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JP6376561B2 (ja) * 2014-10-29 2018-08-22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TWI519809B (zh) * 2014-12-05 2016-02-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取像光學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534497B (zh) 2014-12-30 2016-05-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攝像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574037B (zh) 2015-01-30 2017-03-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取像系統、取像裝置以及電子裝置
KR102427796B1 (ko) 2015-04-08 2022-08-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JP2016212134A (ja) * 2015-04-30 2016-12-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TWI586998B (zh) * 2015-08-11 2017-06-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像用光學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595261B (zh) * 2016-02-04 2017-08-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像用光學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621874B (zh) * 2016-05-20 2018-04-2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二)
TWI646351B (zh) * 2016-07-06 2019-01-0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四)
TWI600923B (zh) * 2016-10-19 2017-10-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影光學鏡片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102080657B1 (ko) * 2016-12-26 2020-02-24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06896478B (zh) * 2016-12-30 2019-05-28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TWI629535B (zh) * 2017-02-18 2018-07-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擷取光學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9867B2 (ja) * 2009-04-24 2013-12-18 株式会社リコー 広角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2015028586A (ja) 2013-07-02 2015-0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レンズを備えた撮像装置
CN206946076U (zh) 2016-11-28 2018-01-30 三星电机株式会社 光学成像系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5025834호(1970.08.2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80855A1 (en) 2018-06-28
CN112630937A (zh) 2021-04-09
US20190179125A1 (en) 2019-06-13
US20210026114A1 (en) 2021-01-28
US11635592B2 (en) 2023-04-25
CN112630937B (zh) 2023-01-03
KR20180075151A (ko) 2018-07-04
US10247916B2 (en) 2019-04-02
CN207074297U (zh) 2018-03-06
CN108241199A (zh) 2018-07-03
US10838176B2 (en) 2020-11-17
US20230213736A1 (en) 2023-07-06
CN108241199B (zh)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657B1 (ko) 촬상 광학계
KR102425756B1 (ko) 촬상 광학계
KR102041678B1 (ko) 촬상 광학계
KR102118491B1 (ko) 촬상 광학계
KR101946261B1 (ko) 촬상 광학계
KR20180060132A (ko) 촬상 광학계
KR102803447B1 (ko) 촬상 광학계
KR102004798B1 (ko) 렌즈 모듈
KR102737556B1 (ko) 촬상 광학계
KR20200003552A (ko) 촬상 광학계
KR102071922B1 (ko) 촬상 광학계
KR101862451B1 (ko) 컨버터 광학계
KR102041700B1 (ko) 촬상 광학계
KR102067455B1 (ko) 촬상 광학계
KR20190137484A (ko) 촬상 광학계
KR20190124693A (ko) 촬상 광학계
KR102207280B1 (ko) 촬상 광학계
KR102500891B1 (ko) 촬상 광학계
KR20230024955A (ko) 촬상 광학계
KR102450049B1 (ko) 촬상 광학계
KR102409698B1 (ko) 촬상 광학계
KR102671980B1 (ko) 촬상 광학계
KR101762100B1 (ko) 촬상 광학계
KR102653208B1 (ko) 촬상 광학계
KR102691327B1 (ko)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3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12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