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0524B1 -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524B1
KR102080524B1 KR1020190091140A KR20190091140A KR102080524B1 KR 102080524 B1 KR102080524 B1 KR 102080524B1 KR 1020190091140 A KR1020190091140 A KR 1020190091140A KR 20190091140 A KR20190091140 A KR 20190091140A KR 102080524 B1 KR102080524 B1 KR 102080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task
visual elements
screen
touch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427A (ko
Inventor
강민정
박영주
박세환
최진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1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5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5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빠른 태스크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멀티태스킹 지원 방법에 있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태스크 전환을 요청하는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과정과, 구동 중인 모든 태스크들에 대한 스택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스택들 중 사용자 선택에 따른 스택의 태스크로 전환하는 과정과, 전환된 태스크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TASKING IN A USER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멀티태스킹(multi-tasking)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복수의 태스크들 간에 직관적이고 빠른 전환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디바이스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영상통화, 전자수첩, 촬영, 이메일 송수신, 방송재생, 인터넷, 음악재생, 일정관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메신저, 사전, 게임 등의 기능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기능들은 사용자 디바이스 제조 시 기본적으로 탑재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새로운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추가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멀티태스킹(multi-tasking) 기능에 의해 동시에 실행되어 복수로 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디바이스는 멀티태스킹에 의해 멀티태스킹에 따른 각 태스크들을 동시 운용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중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제공되고, 나머지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은 백그라운드로 운용되고 그의 실행화면 표시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현재 메인으로 운용 중인 최상위 태스크(예컨대, 현재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실행화면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다른 태스크(예컨대, 백그라운드로 운용되고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로 전환 시, 상기 최상위 태스크를 종료하고, 현재 운용되고 있는 모든 태스크들을 리스트로 나타낸 후 해당 리스트에서 다른 태스크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각 태스크들 간의 전환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멀티태스킹에 의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중에 현재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거나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을 위해서는 반드시 현재 사용 중인 태스크를 종료하거나 백그라운드 처리한 후 운용 중인 태스크들의 리스트 표시로 전환하고, 다시 상기 리스트에서 새로운 태스크를 선택하는 것과 같이 번거로운 절차를 걸쳐야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태스크 전환 절차는 태스크 전환에 따른 사용자의 직관성이 고려되지 않아 전환하고자 하는 태스크 선택에 불편함이 따른다. 이에,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빠르게 사용자 디바이스의 멀티태스킹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 구현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보다 효과적인 사용을 지원하기 위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복수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태스크 전환을 보다 직관적이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에 의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중 현재 작업하고 있는 태스크에서 다른 태스크로의 전환 시 적은 스텝과 간결한 인터랙션 기반으로 태스크 간 전환을 지원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멀티태스킹 지원 방법에 있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태스크 전환을 요청하는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과정과, 구동 중인 모든 태스크들에 대한 스택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스택들 중 사용자 선택에 따른 스택의 태스크로 전환하는 과정과, 전환된 태스크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태스크 전환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태스크 전환 영역을 통한 태스크 전환 인터랙션에 따라 각 태스크들의 스택들이 나열된 태스크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복수의 태스크들을 운용하고, 상기 태스크 전환 영역을 통해 상기 태스크 전환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현재 구동 중인 모든 태스크들에 대한 스택 크기 조절 및 조절된 스택을 배열하여 나타내며, 상기 스택들 기반의 태스크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현재 작업하고 있는 태스크에서 바로 다른 태스크로의 전환이 가능하여 좀 더 적은 스텝과 간결한 인터랙션을 통해 종래기술에 비해 보다 나은 태스크 간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복수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태스크 전환을 보다 직관적이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사용자 디바이스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에 의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시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태스크들 간의 전환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태스크들 운용 중 그들 간의 태스크 전환 동작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태스크 전환을 위해 제공되는 스택 구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태스크들 운용 중 그들 간의 태스크 전환 동작 설명을 위한 다른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지원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빠른 태스크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구동 중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각 태스크 간 전환을 위한 입력이 수행되면, 현재 실행 중인 모든 태스크들에 대한 스택을 보여주고, 이를 이용하여 각 태스크들 간에 직관적이고 빠른 전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현재 작업하고 있는 태스크에서 다른 태스크로의 전환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 및 운용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 및 운용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디바이스는 표시부(100), 저장부(200), 그리고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을 위한 디지털 방송 모듈, 피사체의 정적영상 및 동적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 하드 키(Hard key)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 기반의 음성통화, 영상통화, 데이터통화 등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한 통신 모듈,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정보 수집을 위한 위치정보 수집부,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뉴스크린(menu screen)을 표시하거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에 따른 각각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구성에 의해 터치 기반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0)는 앞서와 같은 실행화면을 표시할 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적응적 화면 전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멀티태스킹에 따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태스크들을 동시 운용 시 태스크 전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태스크 전환 영역을 통해 태스크 전환을 위한 터치 인터랙션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터치 인터랙션 입력 시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각 태스크들의 스택들이 나열된 태스크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00)는 태스크들의 스택 표시 시 최상위 스택에 현재 실행되고 있는 최상위 태스크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나타내고, 그 이하의 스택들에 멀티태스킹으로 운용되고 있는 다른 태스크들에 따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 일부 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식별정보를 각 스택들의 일영역에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태스크들의 스택 표시 시 운용 중인 태스크들의 수에 따라 그 크기가 리사이징된 스택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00)의 화면 구성 및 그의 화면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상기 저장부(200)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내장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외장 하드디스크, 외부 저장매체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상기 표시부(1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상기 표시부(100)를 이용한 입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사용자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사용자 디바이스의 멀티태스킹 운용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현재 작업하고 있는 태스크에서 다른 태스크로 바로 전환할 수 있는 태스크 전환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200)는 멀티태스킹 운용과 관련된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태스크 전환을 위한 터치 인터랙션에 따른 스택 표시 방식에 대한 정보, 터치 인터랙션에 따라 최종 결정된 태스크로 전환 시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00)는 본 발명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중 사용자의 터치 인터랙션에 따른 태스크 전환 기능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동시 구동에 따른 복수의 태스크들을 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상기 표시부(100)를 통해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서 태스크 전환을 위한 태스크 전환 영역에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현재 구동 중인 모든 태스크들을 스택으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태스크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태스크에 따른 스택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운용되는 태스크들의 수에 따라 스택들의 리사이징 크기를 산출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는 태스크들의 수를 미리 설정된 일정 기준치(예컨대, 총5개 등)와 비교하고, 상기 일정 기준치 이상 또는 상기 일정 기준치 미만에 따라 최상위 스택의 폭을 가감하는 리사이징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다른 하위 스택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스택들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인터랙션 기반의 태스크 전환 요청에 응답하여 태스크 전환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결과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는 각 스택들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하는 순차적 스택 선택, 특정 스택을 직접 바로 선택하는 다이렉트 스택 선택, 각 스택들 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포커싱 하여 선택하는 포커싱 스택 선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스택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순차적 스택 선택, 다이렉트 스택 선택, 및 포커싱 스택 선택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와 같은 스택 선택 방식에 따라 선택되는 특정 스택의 어플리케이션으로의 태스크 전환을 제어하고, 전환된 태스크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태스크 전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전체화면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태스크 전환에 따라 최상위로 전환된 스택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300)는 본 발명의 기능 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의 상세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의 기능 외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용 및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터치 인터랙션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유선통신 기반 또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사용자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휴대게임단말, 랩톱 컴퓨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능 제어 방법은 디지털 TV(Digital Television), DS(Digital Signage), LFD(Large Format Display) 등과 같이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에 의한 복수의 태스크들 운용 중 태스크 전환 동작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전환 방식 중 순차적 스택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태스크를 전환하는 방식(순차적 방식)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번호 <201>의 화면 예시와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1)의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화면상에는 하나의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이지만, 멀티태스킹에 따라 내부적으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이 구동 중인 상태를 가정한다. 즉, 멀티태스킹에 따른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태스크들을 동시 운용 중인 상태를 가정한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201>의 화면 예시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203>의 화면 예시와 같이 태스크 전환 기능 실행을 위한 스택을 호출하는 터치 인터랙션(이하, 스택 호출 인터랙션)을 화면상의 일영역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 영역은 태스크 전환을 위해 할당된 태스크 전환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태스크 전환 영역은 상기 실행화면에서 터치 인터랙션에 따른 일반적인 기능 실행과 관련된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화면의 일측(예컨대, 화면의 최우측)에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택 호출 인터랙션은 설정 방식에 따라 일정시간 이상 입력을 유지하는 터치앤홀드(touch&hold) 방식의 인터랙션이거나, 또는 짧은 시간 터치 후 해제하는 탭(tap) 방식의 인터랙션일 수 있다. 여기서, 터치앤홀드 방식의 인터랙션의 경우 스택 호출 후 해제되거나 계속하여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순차적 방식 및 후술하는 포커싱 방식에서는 상기 터치 인터랙션이 유지되어 호출되는 스택들 간 이동을 연속되게 지원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다이렉트 방식에서는 상기 터치 인터랙션이 해제되고 호출되는 스택들 중 특정 스택 선택을 위한 새로운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203>의 화면 예시와 같이 스택 호출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참조번호 <205>의 화면 예시와 같이 현재 운용 중인 모든 태스크들에 대한 스택을 나열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택은 태스크 전환 지원을 위해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소정의 이미지 타입으로 리사이징하여 생성한 것으로, 실행화면을 캡처하는 캡처 이미지, 스틸 이미지, 스냅 이미지 등과 같은 윈도우 이미지(window image)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택은 상기 참조번호 <205>의 화면 예시와 같이 계단식 배열을 통해 다단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모든 태스크들에 대한 스택 표시 시 구동 중인 태스크들의 수에 따라 상기 스택의 크기를 리사이징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중인 태스크들의 수에 따라 각 태스크들의 스택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늘이는 형태의 리사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205>의 화면 예시와 같이 태스크들의 스택이 호출되어 나타난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207>의 화면 예시와 같이 최상위 태스크(예컨대, Application 1의 태스크) 화면에서 특정 포인트를 터치한 후 다른 포인트로 이동(예컨대, 일 포인터를 터치한 후 왼쪽으로 이동)하는 터치 인터랙션(이하, 태스크 전환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태스크 전환 인터랙션은 플릭(flicking) 방식의 인터랙션, 드래그(draging) 방식의 인터랙션, 무브(moving) 방식의 인터랙션, 스윕(sweeping) 방식의 인터랙션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207>의 화면 예시와 같이 태스크 전환 인터랙션이 입력된 후 특정 방향(예컨대, 좌 방향)으로 이동되면, 참조번호 <209>의 화면 예시와 같이 상기 태스크 전환 인터랙션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최상위 어플리케이션의 스택이 좌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차순위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2)의 화면이 점차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는 페이드인 및 페이드아웃 방식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209>의 화면 예시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태스크 전환 인터랙션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 중 해제할 시 참조번호 <211> 화면 예시와 같이 태스크 전환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차순위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2)의 스택이 최상위로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참조번호 <211>의 화면 예시와 같이 호출된 스택 구조는 유지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되어 사라지는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1)의 스택은 최하위 스택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211>의 화면 예시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앞서와 같은 태스크 전환 인터랙션 입력에 의해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태스크 전환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참조번호 <211>의 화면 예시와 같은 상태 또는 태스크 전환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상태에서 설정된 터치 인터랙션 입력에 의하여 태스크 전환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참조번호 <211>의 화면 예시와 같이 차순위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2)의 스택이 나타난 상태에서, 상기 스택 상에 일정 시간이상 입력을 유지한 후 해제하는 터치 인터랙션(예컨대, 전환 해제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213>의 화면 예시와 같이 상기 태스크 전환에 따라 최상위에 배치된 스택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2)의 실행화면이 전체화면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으로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 호출 인터랙션에 따라 현재 운용 중인 모든 태스크들에 대한 스택을 표시할 시 각 스택들의 일 영역에 태스크 종료(Task termination) 아이템(25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태스크 종료 아이템(250)은 상기 도 2의 참조번호 <205> 내지 참조번호 <211>의 화면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태스크들의 스택들이 호출되어 나타난 상태에서 운용 중인 태스크들에 대한 태스크 관리(예컨대, 종료)의 편의성을 지원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하지 않는 태스크들에 대한 관리를 직관적이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2의 참조번호 <207>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태스크 종료 아이템(250)에 인터랙션을 입력할 시 해당 태스크의 스택이 화면상에서 제거되고 해당 태스크(즉, Application 1의 태스크)가 종료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스택의 제거에 따라 나머지 스택들에 대한 재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머지 스택들 간의 간격이 자동 조절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태스크 전환을 위해 제공되는 스택 구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번호 <301>의 화면 예시와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1)의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화면상에는 하나의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이지만, 멀티태스킹에 따라 내부적으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이 구동 중인 상태를 가정한다. 즉, 멀티태스킹에 따른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태스크들을 동시 운용 중인 상태를 가정한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301>의 화면 예시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태스크 전환 기능 실행을 위한 스택을 호출하는 터치 인터랙션(스택 호출 인터랙션)을 미리 할당된 태스크 전환 영역에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택 호출 인터랙션에 응답하여 현재 구동 중인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스택을 추출하고 그를 기반으로 태스크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스크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와 같이 현재 구동 중인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스택을 계단식 배열을 통해 다단계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터치 인터랙션에 따라 순차적 태스크 전환, 다이렉트 태스크 전환, 포커싱 태스크 전환을 지원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스택은 태스크 전환 지원을 위해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소정의 이미지 타입으로 리사이징하여 생성한 것으로, 실행화면을 캡처하는 캡처 이미지, 스틸 이미지, 스냅 이미지 등의 윈도우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캡처 이미지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태스크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각 스택은 참조번호 <303>, 참조번호 <305>, 참조번호 <307>, 그리고 참조번호 <309> 등의 화면 예시와 같이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303>의 화면 예시와 같이, 상기 터치 인터랙션 입력에 응답하여 추출된 스택을 계단식 배열을 통해 다단계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번호 <303> 화면 예시의 경우 스택 호출 인터랙션 이전에 표시부(100)를 통해 표시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1)의 실행화면에 대응하는 캡처 이미지가 최상위 스택에 제공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스택이 그 아래에 계단식으로 배열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스택들에 대한 정보는 생략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화면상에서는 나타나지 않더라도 하위의 각 스택들 역시 윈도우 이미지(즉, 캡처 이미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참조번호 <305> 및 참조번호 <307>의 화면 예시와 같이, 상기 터치 인터랙션 입력에 응답하여 추출된 스택을 계단식 배열을 통해 다단계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번호 <305> 및 참조번호 <307> 화면 예시의 경우 스택들 간 간격 조절을 통해 최상위 스택 이외에도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스택에 대한 캡처 이미지의 일부가 가장자리에 나타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참조번호 <305> 및 참조번호 <307> 화면 예시의 경우 최상위 스택의 하위 스택들에서 캡처 이미지가 일부 나타나는 가장자리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아이템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상위 스택에는 Application 1의 캡처 이미지가 제공되고, 그 아래에 Application 2, Application 3, Application 4 등에 따른 각 캡처 이미지들의 일부가 나타난 가장자리에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할 수 있는 아이템(예컨대, 참조번호 305> 및 참조번호 <307>의 화면에서 스택의 가장자리에 도시된 2, 3, 4, 5, 6)이 스택의 일부분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을 위한 아이템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캡처된 캡처 이미지의 일부분, 상기 캡처 이미지가 아이콘 크기로 리사이징된 이미지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특정 아이콘 또는 텍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참조번호 <305> 및 참조번호 <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스크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각 스택은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의 수에 따라 각 스택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늘이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번호 <305>의 경우 총4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구동 중이고 그에 따라 총4개의 스택들이 제공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번호 <307>의 경우 총6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구동 중이고 그에 따라 총6개의 스택들이 제공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참조번호 <307>의 화면 예시와 같이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수가 많은 경우(예컨대, 일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그 수에 따라 최상위 스택의 폭을 좁혀 다른 스택들 간의 간격을 확보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최상위 스택 이외에 나머지 스택들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을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참조번호 <309>의 화면 예시와 같이, 상기 터치 인터랙션 입력에 응답하여 추출된 스택을 계단식 배열을 통해 다단계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번호 <309> 화면 예시의 경우 스택들에 대한 빠른 인지 및 빠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북마크(또는 책갈피)와 같은 기능의 색인 아이템(350)이 각 스택들의 일영역(예컨대, 스택 하단, 스택 우측 등)에서 돌출되어 나타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최상위 스택에는 Application 1의 캡처 이미지가 제공되고, 상기 스택의 하단 일영역에 특정 형태의 색인 아이템(390)이 돌출되어 제공되며, 그 아래에 Application 2, Application 3, Application 4 등에 따른 각 캡처 이미지들의 일부가 나타난 스택의 하단 일영역에 특정 형태의 색인 아이템(390)이 돌출되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색인 아이템(390)의 경우 각 스택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아이콘 또는 텍스트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색인 아이템(390)의 형태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모양 및 색깔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에 의한 복수의 태스크들 운용 중 태스크 전환 동작 설명을 위한 다른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전환 방식 중 다이렉트 스택 선택에 따라 다이렉트로 특정 태스크로의 전환을 지원하는 방식(다이렉트 방식)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번호 <401>의 화면 예시와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1)의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화면상에는 하나의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이지만, 멀티태스킹에 따라 내부적으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이 구동 중인 상태를 가정한다. 즉, 멀티태스킹에 따른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태스크들을 동시 운용 중인 상태를 가정한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401>의 화면 예시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403>의 화면 예시와 같이 태스크 전환 기능 실행을 위한 스택을 호출하는 터치 인터랙션(이하, 스택 호출 인터랙션)을 화면상의 태스크 전환 영역에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403>의 화면 예시와 같이 스택 호출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참조번호 <405>의 화면 예시와 같이 현재 운용 중인 모든 태스크들에 대한 스택을 나열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택은 상기 참조번호 <405>의 화면 예시와 같이 계단식 배열을 통해 다단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모든 태스크들에 대한 스택 표시 시 구동 중인 태스크들의 수에 따라 상기 스택의 크기를 리사이징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중인 태스크들의 수에 따라 각 태스크들의 스택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늘이는 형태의 리사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최상위 스택의 폭을 가감하는 리사이징 후 하위의 스택들 간격을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405>의 화면 예시와 같이 태스크들의 스택이 호출되어 나타난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407>의 화면 예시와 같이 태스크를 전환하고자 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3)에 대응하는 스택을 선택하는 터치 인터랙션(이하, 선택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인터랙션은 탭 방식의 인터랙션, 플릭 방식의 인터랙션, 드래그 방식의 인터랙션, 무브 방식의 인터랙션, 스윕 방식의 인터랙션, 터치앤홀드 방식의 인터랙션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407>의 화면 예시에서 선택 인터랙션이 입력될 시 설정 방식에 따라 참조번호 <409>의 화면 예시 또는 참조번호 <411>의 화면 예시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이렉트 태스크 전환 방식의 경우 상기 참조번호 <409>의 화면 예시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 인터랙션에 따라 선택된 스택을 최상위로 전환하여 그의 화면을 표시하고 나머지 다른 스택들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스택보다 상위에 존재하는 어플리케이션들(예컨대, Application 1, Application 2)의 스택은 해당 순서를 가지면서 기존의 최하위 태스크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4) 스택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이렉트 태스크 전화 방식의 경우 상기 참조번호 <411>의 화면 예시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 인터랙션에 따라 선택된 스택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3)의 실행화면을 바로 전체화면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참조번호 <409>의 화면 예시와 같이 진행된 경우 사용자는 계속하여 태스크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참조번호 <409>의 화면 예시와 같은 상태에서 설정된 터치 인터랙션 입력에 의하여 태스크 전환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참조번호 <409>의 화면 예시와 같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3)의 스택이 나타난 상태에서, 상기 스택 상에 일정 시간이상 입력을 유지한 후 해제하는 터치 인터랙션(예컨대, 전환 해제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411>의 화면 예시와 같이 상기 태스크 전환에 따라 최상위에 배치된 스택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3)의 실행화면이 전체화면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에 의한 복수의 태스크들 운용 중 태스크 전환 동작 설명을 위한 다른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전환 방식 중 포커싱 스택 선택에 따라 태스크를 전환하는 방식(포커싱 방식)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번호 <501>의 화면 예시와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1)의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이고, 내부적으로 멀티태스킹에 따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태스크들이 동시 운용 중인 상태를 가정한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501>의 화면 예시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503>의 화면 예시와 같이 태스크 전환 기능 실행을 위한 스택을 호출하는 터치 인터랙션(이하, 스택 호출 인터랙션)을 화면상의 태스크 전환 영역에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503>의 화면 예시와 같이 스택 호출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참조번호 <505>의 화면 예시와 같이 현재 운용 중인 모든 태스크들에 대한 스택을 나열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택은 상기 참조번호 <505>의 화면 예시와 같이 계단식 배열을 통해 다단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모든 태스크들에 대한 스택 표시 시 구동 중인 태스크들의 수에 따라 상기 스택의 크기를 리사이징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중인 태스크들의 수에 따라 각 태스크들의 스택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늘이는 형태의 리사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최상위 스택의 폭을 가감하는 리사이징 후 하위의 스택들 간격을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505>의 화면 예시와 같이 태스크들의 스택이 호출되어 나타난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507> 내지 참조번호 <511>의 화면 예시와 같이 상기 특정 스택(예컨대, 최상위 스택 등)의 일영역을 터치한 후 다른 스택으로 이동하는 터치 인터랙션(선택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인터랙션은 플릭 방식의 인터랙션, 드래그 방식의 인터랙션, 무브 방식의 인터랙션, 스윕 방식의 인터랙션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참조번호 <507>의 화면 예시와 같이 최상위 스택의 일영역을 터치한 후 하위 스택들이 나열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선택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 인터랙션의 이동에 따라 상기 선택 인터랙션이 상기 최상위 스택에서 다른 스택으로 이동될 시 참조번호 <509> 및 참조번호 <511>의 화면 예시와 같이 상기 선택 인터랙션이 위치하는 해당 스택에 특정 효과가 부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 인터랙션이 위치하는 해당 스택을 포커싱하여 스택 선택을 위한 사용자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참조번호 <509> 및 참조번호 <511>의 예시와 같이 선택 인터랙션이 위치하는 해당 스택을 최상위로 투명 오버레이 하여 미리보기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스택들의 배열 구조의 변경 없이 선택 인터랙션이 위치하는 해당 스택을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컬러를 변경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참조번호 <507> 내지 참조번호 <511>와 같이 선택 인터랙션 이동에 따라 태스크를 전환하고자 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3)의 스택을 선택할 시 해당 스택에서 상기 선택 인터랙션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513>의 화면 예시와 같이 상기 선택 인터랙션에 따라 선택된 스택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pplication 3)의 실행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구동 중인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스택이 나타난 상태에서 스택을 하나씩 넘겨 태스크를 전환하는 순차적인 태스크 전환 동작뿐만 아니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스택을 바로 선택하는 다이렉트 태스크 전환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스택의 일영역에 입력된 터치 인터랙션을 다른 스택으로 이동하면, 터치 인터랙션의 이동에 따라 선택되는 스택에 특정 효과(예컨대, 투명 오버레이 표시, 하이라이트 표시, 컬러 변경 표시 등)를 부여하여 스택이 선택됨을 포커싱 표시하면서, 선택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스택에서 선택 인터랙션을 해제하면 해당 스택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태스크를 바로 전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300)는 사용자 선택에 다른 복수의 태스크들을 운용(601단계)하고, 최상위 태스크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603단계).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와 같은 멀티태스킹 운용 중에 터치 인터랙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605단계).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터치 인터랙션이 입력될 시 상기 터치 인터랙션이 태스크 전환 기능 수행을 위해 할당된 태스크 전환 영역 내에 입력되는 인터랙션인지 판별할 수 있다(607단계).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인터랙션이 태스크 전환 영역 외에 입력된 인터랙션인 경우 상기 터치 인터랙션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6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최상위 태스크로 운용되어 현재 화면에 나타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서 상기 터치 인터랙션에 따라 선택된 아이템의 기능을 실행하는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인터랙션이 태스크 전환 영역 내에 입력된 인터랙션인 경우 현재 운용 중인 모든 태스크들을 확인할 수 있다(611단계). 예를 들어, 현재 화면으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태스크를 비롯하여, 멀티태스킹에 따라 내부적으로 운용되는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태스크들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확인된 태스크들에 따라 스택들의 리사이징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61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확인된 태스크들의 수를 미리 설정된 일정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일정 기준치 이상 또는 상기 일정 기준치 미만에 따라 최상위 스택의 폭을 가감하는 리사이징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다른 하위 스택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산출된 결과에 따라 리사이징된 모든 태스크들의 스택을 표시할 수 있다(6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태스크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택들을 계단식으로 배열하여 다단계로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운용 중인 태스크들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모든 스택들을 상기 태스크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인터랙션 기반으로 선택되는 태스크의 스택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61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차적 태스크 전환 동작에 따른 스택들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스택 표시(도 2의 예시), 다이렉트 태스크 전환 동작에 따라 선택되는 스택 표시(도 4의 예시), 터치 인터랙션 이동에 따라 효과가 부여된 스택 표시(도 5의 예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해당 스택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태스크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619단계). 그리고 제어부(300)는 전환된 태스크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62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상기 태스크 전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전체화면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태스크 전환에 따라 최상위로 전환된 스택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표시부
200: 저장부
300: 제어부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하는 제1 태스크(task)를 위한 제1 태스크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부분적으로 오버레이된 시각적 요소(visual element)들의 스택(stack)을 표시하고,
    상기 스택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스택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각적 요소들을 이동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스택으로부터 특정 태스크에 대응하는 시각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제3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3 터치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태스크에 대응하는 시각적 요소를 상기 스택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특정 태스크에 대응하는 시각적 요소의 제거 이후 상기 스택에 남아 있는 시각적 요소들 중 연속되는 두 개의 시각적 요소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상기 부분적으로 오버레이된 시각적 요소들의 스택으로부터 시각적 요소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4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4 터치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선택된 시각적 요소에 대응하는 제2 태스크를 위한 제2 태스크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스택 내의 상기 시각적 요소들 각각은 상기 제1 태스크를 포함하는 복수의 태스크들 각각에 대응하고, 해당 태스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시각적 요소들의 수에 기반하여 상기 스택 내의 연속되는 두 개의 시각적 요소들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스크 실행 화면은 상기 제1 태스크 실행 화면 대신에 단계적으로 오버레이된 상기 시각적 요소들의 스택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미리 설정된 부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내의 상기 시각적 요소들 각각은 태스크 실행 화면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실행 화면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들에 대응하는 캡쳐된 화면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아이콘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요소의 식별 정보는 상기 스택 표시 중에 다른 시각적 요소에 의해 가려지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각적 요소들을 일정 간격으로 상기 스택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복수의 시각적 요소들에 기반하여 상기 스택 내의 시각적 요소가 오버레이드 되는 양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태스크에 대응하는 시각적 요소는 상기 스택의 최상위에 배치하고,
    상기 제2 태스크를 위한 상기 제2 태스크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동안, 제5 터치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태스크에 대응하는 시각적 요소가 최상위에 표시된 시각적 요소들의 스택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내의 시각적 요소들 각각은 상기 시각적 요소들 각각을 상기 스택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태스크 종료 아이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멀티태스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하는 제1 태스크(task)를 위한 제1 태스크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부분적으로 오버레이된 시각적 요소(visual element)들의 스택(stack)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스택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스택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각적 요소들을 이동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스택으로부터 특정 태스크에 대응하는 시각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제3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3 터치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태스크에 대응하는 시각적 요소를 상기 스택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특정 태스크에 대응하는 시각적 요소의 제거 이후 상기 스택에 남아 있는 시각적 요소들 중 연속되는 두 개의 시각적 요소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동작;
    상기 부분적으로 오버레이된 시각적 요소들의 스택으로부터 시각적 요소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4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4 터치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선택된 시각적 요소에 대응하는 제2 태스크를 위한 제2 태스크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스택 내의 상기 시각적 요소들 각각은 상기 제1 태스크를 포함하는 복수의 태스크들 각각에 대응하고, 해당 태스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태스크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되는 두 개의 시각적 요소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시각적 요소들의 수에 기반하여 상기 스택 내의 연속되는 두 개의 시각적 요소들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멀티태스크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스크 실행 화면은 상기 제1 태스크 실행 화면 대신에 단계적으로 오버레이된 상기 시각적 요소들의 스택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미리 설정된 부분을 포함하는 멀티태스크 관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내의 상기 시각적 요소들 각각은 태스크 실행 화면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실행 화면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들에 대응하는 캡쳐된 화면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멀티태스크 관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요소의 식별 정보는 상기 스택 표시 중에 다른 시각적 요소에 의해 가려지며, 아이콘 킴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태스크 관리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요소들의 스택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시각적 요소들을 일정 간격으로 상기 스택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멀티태스크 관리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복수의 시각적 요소들에 기반하여 상기 스택 내의 시각적 요소가 오버레이드 되는 양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멀티태스크 관리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스크에 대응하는 시각적 요소는 상기 스택의 최상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태스크를 위한 상기 제2 태스크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동안, 제5 터치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태스크에 대응하는 시각적 요소가 최상위에 표시된 시각적 요소들의 스택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멀티태스크 관리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내의 시각적 요소들 각각은 상기 시각적 요소들 각각을 상기 스택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태스크 종료 아이템을 포함하는 멀티태스크 관리 방법.
  20.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비 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하는 제1 태스크(task)를 위한 제1 태스크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부분적으로 오버레이된 시각적 요소(visual element)들의 스택(stack)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스택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스택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각적 요소들을 이동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스택으로부터 특정 태스크에 대응하는 시각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제3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3 터치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태스크에 대응하는 시각적 요소를 상기 스택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특정 태스크에 대응하는 시각적 요소의 제거 이후 상기 스택에 남아 있는 시각적 요소들 중 연속되는 두 개의 시각적 요소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동작;
    상기 부분적으로 오버레이된 시각적 요소들의 스택으로부터 시각적 요소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4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4 터치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선택된 시각적 요소에 대응하는 제2 태스크를 위한 제2 태스크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스택 내의 상기 시각적 요소들 각각은 상기 제1 태스크를 포함하는 복수의 태스크들 각각에 대응하고, 해당 태스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
KR1020190091140A 2019-07-26 2019-07-26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080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140A KR102080524B1 (ko) 2019-07-26 2019-07-26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140A KR102080524B1 (ko) 2019-07-26 2019-07-26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975A Division KR102006470B1 (ko) 2011-12-28 2011-12-28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901A Division KR20200018548A (ko) 2020-02-12 2020-02-12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427A KR20190091427A (ko) 2019-08-06
KR102080524B1 true KR102080524B1 (ko) 2020-05-27

Family

ID=6761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140A Active KR102080524B1 (ko) 2019-07-26 2019-07-26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5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5254A1 (en) * 2003-06-13 2004-12-16 Weingart Barry 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ascaded windows on a GUI desktop on a computer
WO2009143076A2 (en) 2008-05-23 2009-11-26 Palm, Inc. Card metaphor for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8809A (en) * 1997-09-22 1999-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iewing multiple windows within a dynamic window
JP4173718B2 (ja) * 2002-10-31 2008-10-29 富士通株式会社 ウィンドウ切替装置及びウィンドウ切替プログラム
KR101601040B1 (ko) * 2009-05-19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5254A1 (en) * 2003-06-13 2004-12-16 Weingart Barry 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ascaded windows on a GUI desktop on a computer
WO2009143076A2 (en) 2008-05-23 2009-11-26 Palm, Inc. Card metaphor for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427A (ko)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470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US107545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 in touch device
KR101760693B1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EP2352284B1 (en) Method for providing GUI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KR101683356B1 (ko) 브라우저 내의 콘텐츠 아이템들 사이에서의 어레이 모드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US201300501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 icon in a portable terminal
EP25358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multiple tasks in a mobile device
US20110087997A1 (en) List scrolling method and device adapted to the same
KR20110074426A (ko)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1302547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creens in a portable terminal
KR20120012541A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911740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301169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80524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200018548A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7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1122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1014497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90726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2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21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1122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1014497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