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001B1 - Putting training device - Google Patents
Putting train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9001B1 KR102079001B1 KR1020190100049A KR20190100049A KR102079001B1 KR 102079001 B1 KR102079001 B1 KR 102079001B1 KR 1020190100049 A KR1020190100049 A KR 1020190100049A KR 20190100049 A KR20190100049 A KR 20190100049A KR 102079001 B1 KR102079001 B1 KR 1020790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bar
- support bar
- putter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어깨와 퍼터의 그립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의 상대적 위치로 이루어진 퍼팅자체를 훈련시키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한다. 퍼팅 연습기는, 골프공에 퍼터의 헤드가 인접하도록 퍼팅 준비상태에 놓인 퍼터를 기준으로, 상기 퍼터 그립부 아래의 퍼터 샤프트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퍼터 샤프트와 결합되는 샤프트 고정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상단에 형성된 블록부를 포함하는 고정허브(fixing hub); 상기 퍼터 샤프트의 양측의 상기 블록부에 각각 결합된 제1 회동지지부 및 제2 회동지지부; 상단이 사용자의 일측 겨드랑이에 견착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1 회동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바; 상단이 사용자의 타측 겨드랑이에 견착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2 회동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바;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2 회동지지부 상측에서 상기 제1 지지바 및 제2 지지바와 결합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tting exerciser for training the putting itself consisting of the user's shoulder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user's hand holding the grip of the putter. The putter exerciser is coupled to the putter shaft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by the putter shaft under the putter grip, based on the putter prepared for putting the head of the putter adjacent to the golf ball. Fixing hub including a block portion formed on the top of the government (fixing hub); First and second pivotal support portions coupled to the block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putter shaft, respectively; A first support bar having an upper e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ser and the lower end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ivot support part; A second support bar having an upper end adhered to the user's other armpit and the lower end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pivot support part; And an angle adjuster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at an upper side of the first pivot support and the second pivot support so as to adjust an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몸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어깨와 손 및 퍼터가 일체적으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퍼팅자세를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tting exerci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tting exerciser to effectively learn the correct putting posture by acting directly on the user's body to move the shoulders, hands and putters integrally.
골프경기에서 퍼팅은 그린에 올린 골프공을 퍼터를 이용하여 굴려서 홀컵에 넣는 동작을 말한다. 퍼팅의 정확도는 골프 스코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확한 퍼팅을 위해서는 흔들림 없는 안정된 스트로크와 골프공을 정확하게 타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스트로크는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퍼터를 뒤로 스윙하는 백스트로크와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퍼터를 앞으로 스윙하는 포워드스트로크와 타격 후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앞으로 나아가는 팔로우스루로 구분될 수 있다.In a golf game, putting means rolling a golf ball on the green using a putter to put it into a hole cup. The accuracy of the putt has a decisive influence on the golf score. It is very important to hit the golf ball correctly with stable stroke without shaking for accurate putting. The stroke may be divided into a backstroke swinging the putter back to hit the golf ball, a forward stroke swinging the putter forward to hit the golf ball, and a follow-through moving forward a certain distance along the direction of the golf ball after the hit. .
퍼터는 손으로 잡는 그립부와 그립부에 연결된 퍼터 샤프트와 퍼터 샤프트의 하단에 형성되어 골프공을 직접 타격하는 헤드를 포함하여, 골프공을 짧은 거리로 보내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utter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sending a golf ball at a short distance, including a grip portion held by a hand, a putter shaft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and a head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putter shaft to directly hit the golf ball.
좋은 스코어를 위해서는 퍼팅자세가 중요하다. 퍼팅자세에 있어서는 어깨와 그립부를 잡은 손이 역삼각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스트로크 중에 이러한 역삼각형 자세가 일관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utting posture is important for a good score. In the putting pos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 holding the shoulder and the grip portion form an inverted triangle, and it is preferable that such an inverted triangle posture is maintained consistently during the above-described stroke.
그러나 퍼팅에 있어서 스트로크는 비교적 다른 골프 클럽을 사용할 때의 스윙동작에 비해 속도가 느리며, 불안정한 동작, 예를 들어 헤드를 좌우 움직임, 스트로크시 팔목의 굽혀짐 등으로 인하여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자세로 퍼팅하기가 쉽지 않다.However, in putting, the stroke is slower than swinging when using a relatively different golf club, and it is difficult to put it in a stable and desirable posture due to unstable movement, for example, the head is moved left and right, and the wrist is bent at the stroke. Uneasy.
이러한 퍼팅자체 또는 스트로크를 연습시켜 주기 위한 장치나 도구가 개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스윙자세와 스윙결과를 연습장치를 이용해 센싱하고 이를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여 스윙동작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결과적인 분석방법으로서, 머리로만 이해할 뿐 몸으로 직접 스트로크나 퍼팅자세를 익히도록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Apparatuses and tools have been disclosed for practicing such putting or strokes. For example, a method of sensing a swing posture and a swing result using a practice device and analyzing the result by software has been disclosed. However, this method is a result of the analysis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only learn the stroke or putting posture directly to the body, but only to understand the head.
또한, 종래에도 사용자의 몸에 직접 작용하여 퍼팅자세를 교정하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 장치들의 구성이 복잡하고, 상기한 역삼각형 자세로 일관성 있게 퍼팅자세를 직접 몸으로 익힐 수 있게 해주는 연습장치는 아니어서, 이러한 퍼팅 연습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게 되었다.In addition, although a device for correcting a putting posture by directly acting on a user's body has been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the configuration of these devices is complicated, and a practice device that enables the body to learn the putting posture consistently in the inverted triangle posture is described above. No, there is a need for such putting practice equipm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법과 취급이 간편하면서도 사용자의 몸에 직접 작용하여 퍼팅자세 내지 스트로크 자세를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tter exerciser to learn a putting posture or a stroke posture by acting directly on the user's body while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easy to use and handl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어깨와 퍼터의 그립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의 상대적 위치로 이루어진 퍼팅자체를 훈련시키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한다. 퍼팅 연습기는, 골프공에 퍼터의 헤드가 인접하도록 퍼팅 준비상태에 놓인 퍼터를 기준으로, 상기 퍼터 그립부 아래의 퍼터 샤프트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퍼터 샤프트와 결합되는 샤프트 고정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상단에 형성된 블록부를 포함하는 고정허브(fixing hub); 상기 퍼터 샤프트의 양측의 상기 블록부에 각각 결합된 제1 회동지지부 및 제2 회동지지부; 상단이 사용자의 일측 겨드랑이에 견착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1 회동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바; 상단이 사용자의 타측 겨드랑이에 견착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2 회동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바;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2 회동지지부 상측에서 상기 제1 지지바 및 제2 지지바와 결합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tting exerciser for training the putting itself consisting of the user's shoulder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user's hand holding the grip of the putter. The putter exerciser includes a shaft fixing portion and the shaft high coupled to the putter shaft such that the putter shaft penetrates up and down by a putter shaft under the putter grip, based on the putter prepared to be put so that the head of the putter is adjacent to a golf ball. Fixing hub including a block portion formed on the top of the government (fixing hub); First and second pivotal support portions coupled to the block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putter shaft, respectively; A first support bar having an upper e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ser and the lower end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ivot support part; A second support bar having an upper end adhered to the user's other armpit and the lower end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pivot support part; And an angle adjuster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at an upper side of the first pivot support and the second pivot support so as to adjust an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고정부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의 반쪽에 해당하는 제1 고정부; 상기 원통형상의 다른 반쪽에 해당하며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회동되며 결합되어 상기 원통형상을 이루는 제2 고정부;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퍼터 샤프트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fixing part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corresponding to a cylindrical half penetrated therein; A second fix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other half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pivo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part to form the cylindrical shape; And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to fix the putter shaft in a state where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aligned to form the cylindrical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중 하나는 상기 블록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중 나머지 하나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회동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lock part, and the other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s forward or rearward. Can be rotated to open and clo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2 회동지지부는 각각 상기 블록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봉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각 하단은 상기 블록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제2 회동지지부와 결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pivot support and the second pivot support has a rod shape protruding forward from the block portion, each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is The first pivotal support and the second pivotal support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the block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각 하단은, 전후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2 회동지지부에 결합된 회전체; 그리고 좌우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회전체에 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the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first pivot support and the second pivot support to be able to rot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rotation axis; And a connecting part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so as to be rotatabl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a rotating shaf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바는, 하단이 상기 제1 회동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 상기 하부바의 상단이 슬라이딩되며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되도록 상기 하부바와 결합되는 상부바; 상기 하부바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높이조절 잠금부; 그리고 상기 상부바의 상단에 원터치식으로 착탈되도록 결합되며, 원호의 일부 형상을 가져 상기 일측 겨드랑이에 안착되는 견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바는 상기 제1 지지바와 상응하는 방식의 상부바, 하부바, 높이조절 잠금부 및 견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bar, the low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ivot support; An upper bar coupled to the lower bar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bar slides and is inserted into the length bar; A height adjustment lock to prevent sliding of the lower bar; And a shoulder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bar in a one-touch manner, the shoulder part having a shape of a circular arc and seated on the one side armpit, wherein the second support bar corresponds to the first support bar. It may include a bar, a lower bar, a height adjustment lock and a strap.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 및 상기 상부바는 사각형 단면을 가져 상대적 회전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바의 일면에는 높이표시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ar and the upper bar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so as to prevent relative rotation, one surface of the lower bar may be formed a height display sca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 간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가이드홀이 형성된 각도조절 프레임으로서, 사용자가 하측으로 볼 때 시인이 용이하도록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의 상측 에지에 각도조절 눈금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각 하부바에 결합되는 각도조절 프레임; 그리고 일측 단부가 각 상기 하부바와 체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 및 고정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ing portion, as an angle adjusting frame formed with a guide hole for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the angl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e when viewed downward An angle adjustment scale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adjustment frame, the angle adjustment frame being coupled to each lower bar of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from the rear; And one end is fastened to each of the lower bar, the other end is a pair of angle adjustment lock sliding and fixed along the guide hole; may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의 후면에는 상기 퍼터 샤프트가 끼워지는 샤프트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블록부의 상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aft groove into which the putter shaft is fitted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angle adjusting frame, and an extension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lock part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angle adjusting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각 하단은, 전후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2 회동지지부에 결합된 회전체; 그리고 좌우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회전체에 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2 회동지지부는 각각, 상기 회전체를 관통하는 지지부 몸체; 그리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지지부 몸체를 따라 유격을 허용하도록 상기 지지부 몸체와 상기 회전체의 사이에 개재된 제1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에 체결된 고정핀; 후방으로부터 상기 고정핀에 체결되며, 상기 퍼터 샤프트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고리부; 상기 고정핀에 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리부의 전후방향으로 유격을 허용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the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first pivot support and the second pivot support to be able to rot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rotation axis; And a connecting part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so as to be rotatabl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a rotating shaft, wherein the first rotating support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support part each include a support body passing through the rotating body; And a firs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rotatable body to allow play between the rotatable body and the rotatable body, wherein the angle adjusting unit comprises: a fixing pin fastened to the angle adjusting frame; A ring portion which is fastened to the fixing pin from the rear and has a groove into which the putter shaft is fitted;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fixing pin and the angle adjustment frame, allowing clearan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r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조립 및 분리가 편리하며, 사용자의 몸체 직접 작용하여 퍼팅자세를 훈련시킬 수 있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utting exerciser that has a simple structure, is easy to assemble and separate, and can train a putting posture by directly acting on the user's bod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he effects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및 도 7은 샤프트 고정부에 퍼터 샤프트가 고정되는 방법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 putting exerci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utting exerci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using a putting exerciser by a u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show examples of how the putter shaft is fixed to the shaft fixing portion.
8 and 9 are views showing a putting exerci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putting exerci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es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 putting exerci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퍼팅 연습기는 사용자의 어깨와 퍼터(10)의 그립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의 상대적 위치로 이루어진 퍼팅자체를 훈련시키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팅자세로서 사용자의 어깨와 퍼터(10)의 그립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역삼각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의 퍼팅 연습기는 이러한 바람직한 퍼팅자세로 스트로크의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유지되도록 도움을 준다. 특히, 퍼팅 연습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작용하여 훈련효과가 몸에 기억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The putting exerciser can be applied to train the putting itself consisting of the user's shoulder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user's hand holding the grip of the
퍼팅 연습기는 고정허브(100), 제1 회동지지부(200), 제2 회동지지부(300), 제1 지지바(400), 제2 지지바(500) 및 각도조절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tting exerciser may include a
이하, 방향이나 위치관계에 있어서, 골프공에 퍼터(10)의 헤드가 인접하도록 퍼팅 준비상태에 놓인 퍼터(1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in the direc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고정허브(100)는 샤프트 고정부(110) 및 블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허브(100)는 금형에 의해 성형된 사출물 또는 성형물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고정허브(100)는 금속관제나 띠부재를 용접 또는 볼트체결한 프레임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샤프트 고정부(11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 고정부(110)는 퍼터 그립부 아래의 퍼터 샤프트에 의해 상기 원통형상의 중공된 내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퍼터 샤프트와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 고정부(110)는 개폐가능한 파이프 형태나 슬리브 형태나, 개폐가능한 링 부재 등과 같이, 퍼터 샤프트와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블록부(150)는 샤프트 고정부(1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일정한 지지체일 수 있다.The
제1 회동지지부(200) 및 제2 회동지지부(300)는 퍼터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즉 퍼터 샤프트의 양측의 블록부(15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The
제1 지지바(400)는 상단이 사용자의 일측 겨드랑이에 견착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제1 회동지지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제2 지지바(500)는 상단이 사용자의 타측 겨드랑이에 견착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제2 회동지지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제1 회동지지부(200) 및 제2 회동지지부(300)는 각각 블록부(15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의 각 하단은 블록부(15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제1 회동지지부(200) 및 제2 회동지지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 고정부(110)에 고정된 퍼터(10)는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Lower ends of the
또한,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의 하단이 블록부(150)측에 위치하고 샤프트 고정부(110)가 블록부(150)의 하측에 위치하므로, 퍼터(10)의 샤프트를 샤프트 고정부(110)에 장탈착할 때, 다른 부재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퍼터(10)를 샤프트 고정부(110)에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s of the
각도조절부(600)는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회동지지부(200) 및 제2 회동지지부(300) 상측 후방으로부터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각도조절부(600)는 제1 회동지지부(200) 및 제2 회동지지부(300) 상측 전방으로부터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와 결합될 수도 있다.The
각도조절부(600)는, 각도조절 프레임(610) 및 한 쌍의 각도조절 잠금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각도조절 프레임(610)에는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 간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가이드홀(611)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하측으로 볼 때 시인이 용이하도록 각도조절 프레임(610)의 상측 에지에 각도조절 눈금(613)이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 프레임(610)은 후방으로부터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의 각 하부바에 결합될 수 있다.The
한 쌍의 각도조절 잠금부(630)는 일측 단부가 각 하부바와 체결되고, 타측 단부가 가이드홀(611)을 따라 슬라이딩 및 고정될 수 있다.The pair of
도 3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utting exerci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using a putting exerciser by a u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지지바(400)는, 하부바(410), 상부바(430), 견착부(450), 및 높이조절 잠금부(47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하부바(410)는 하단이 제1 회동지지부(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부바(410)의 하단은 좌우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제1 회동지지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하부바(410)의 하단은 회전체(411) 및 연결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회전체(411)는 전후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제1 회동지지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도 2의 X 회전 참조). 여기서 전후방향은 사용자가 퍼팅 연습기에 결합된 퍼터(10)를 잡고 있을 때, 사용자로부터 퍼터(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된다(도 5 참조). 회동의 범위는 각도조절부(600)가 허용하는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The
연결부(413)는 좌우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회전체(411)에 결합될 수 있다(도 2의 Y회전 참조). 예를 들어, 연결부(413)는 양갈레로 갈라져 대향하는 고정편들이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편들이 회전체(411)의 양측면에 각각 대면하면서 나사체결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회전체(411)의 측면에 홀이 형성되고 홀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회동가능한 체결방식이 가능할 것이다(도 3 참조).The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와 제1 회동지지부(200) 및 제2 회동지지부(300) 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종의 힌지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간의 회동가능한 결합으로는 임의의 각도로 조절되도록 볼결합구조가 채택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상부바(430)는 하부바(410)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바(410)의 상단이 상부바(430)의 하단에 슬라이딩되며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되도록 상부바(43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바(430)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하부바(410)가 상부바(430)에 삽입되어 제1 지지바(4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키나 신체 사이즈에 추종하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높이조절 잠금부(470)는 길이가 조절된 후 하부바(410)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도록 하부바(410) 또는 상부바(430)에 체결될 수 있다.The height
견착부(450)는 상부바(430)의 상단에 원터치식으로 착탈되도록 결합되며(도 1 참조), 원호의 일부 형상을 가져 사용자의 일측 겨드랑이에 안착될 수 있다(도 5 참조).The
제2 지지바(500)는 제1 지지바(400)와 마찬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지지바(500)는 제1 지지바(400)에 상응하는 방식의 하부바(510), 상부바(530), 견착부(550) 및 높이조절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1 지지바(400)의 설명과 동일유사하므로 생략한다. 이하, 제1 지지바(400)에 대한 설명은 제2 지지바(500)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The
본 실시예에서, 하부바(410) 및 상부바(430)는 사각형 단면을 가져 상대적 회전이 방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바(430)에 하부바(410)를 삽입하거나 슬라이딩 시킬 때, 불필요하게 회전되어 다시 일치되도록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방지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하부바(410)의 일면, 예를 들어 후면에는 높이표시 눈금(415)이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하부바(410)를 상부바(430)에 삽입하면서, 또는 상부바(430)를 하부바(410)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높이표시 눈금(415)을 참조하여 길이를 조절하기가 편리하다.In addition, a
전술한 바와 같이 각도조절 프레임(610)은, 샤프트 고정부(1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의 각도 조절시 편리하도록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각도조절 프레임(610)의 중앙에는 퍼터 샤프트가 전방으로부터 또는 후방으로부터 끼워지는 샤프트홈(620)이 형성되며, 각도조절 프레임(610)의 하단 양측이 각각 연장된 연장부(690)가 블록부(150)의 상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각도조절 프레임(610)의 하단 양측이 각각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연장부가 고정허브(100)의 블록부(150)에 볼트체결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In the center of the
각도조절 프레임(6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곡선 형태의 가이드홀(611)이 형성되고, 각도조절 잠금부(630)의 일측 단부는 각 하부바(410)와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각도조절을 위해 가이드홀(611)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각도가 조절된 후에는 각도조절 잠금부(630)를 조여서 각도조절 프레임(610)과 각 하부바(410,510)가 고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6및 도 7은 샤프트 고정부(110)에 퍼터 샤프트가 고정되는 방법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how the putter shaft is fixed to the
샤프트 고정부(110)는, 제1 고정부(111), 제2 고정부(113) 및 체결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고정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고정부(111)가 상기 원통형상의 반쪽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고정부(113)는 상기 원통형상의 다른 반쪽에 해당할 수 있다.The
제2 고정부(113)는 제1 고정부(11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 예를 들어, 경첩과 같은 구조, 또는 힌지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115)는 제1 고정부(111)에 설치될 수 있다.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11)가 블록부(150)와 연결되어 있고, 제2 고정부(113)가 회전하여 제1 고정부(111)에 맞춰져서 상기 원통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first fixing
이 경우, 제1 고정부(111)의 내측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개방된 상태에서 퍼터 샤프트를 전방으로부터 제1 고정부(111)의 홈, 즉 내측면에 안착시키고, 제2 고정부(113)를 회전시켜 퍼터 샤프트의 표면을 덮으면서 제1 고정부(111)와 맞춰질 수 있다. 체결부재(115)는 일종의 스크류일 수 있으며, 체결부재(115)의 회전에 의해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의 결합이 견고하게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utter shaft is seated in a groove, that is,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이와 다르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113)가 블록부(150)와 연결되어 있고, 제1 고정부(111)가 회전하여 제2 고정부(113)에 맞춰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고정부(113)의 내측면이 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퍼터 샤프트가 후방으로부터 제2 고정부(113)에 안착된 후 제1 고정부(111)가 회전하여 퍼터 샤프트의 표면을 커버하면서 제2 고정부(113)와 맞춰지고, 체결부재(115)로 조임에 따라 결합이 견고하게 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7, the
이와 반대로, 체결부재(115)를 풀어서 조임을 해제한 후, 제1 고정부(111)에 대해 제2 고정부(113)를 열고, 퍼터(10)를 이탈시킬 수 있다.On the contrary, after releasing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는 장탈작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퍼터(10)의 장착 및 탈착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 고정부(110)는 제1 지지바(400)와 제2 지지바(500)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하측에 위치하므로, 퍼터(10)를 장착 및 탈착시에 다른 부분과의 간섭이 현저히 감소되거나 방지되어 사용에 편리함이 증가한다.As such, the putting exercis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mounting and detachment of the
샤프트 고정부(110)는,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3)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퍼터 샤프트의 표면과 접촉하는 쿠션부(117), 예를 들어, 고무패킹, 실리콘패킹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샤프트 고정부(110)에는 퍼터의 그립부에 표시된 정렬마크에 대응하도록 정렬마크가 형성될 수 있다.Alignment mark may be formed in th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8 and 9 are views showing a putting exerci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도조절부(600)의 각도조절 프레임(610)이 고정허브(100)와 일체로 된 부재가 아닌 별개의 독립된 부재인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퍼팅 연습기와 동일유사 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8 and 9 except that the
제1 회동지지부(200) 및 제2 회동지지부(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체결 방식으로 고정허브(100)의 블록부(150)에 고정될 수 있다.The
각도조절 프레임(610)은 고정허브(100)와는 연결되지 않은 별개의 부재로서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에 결합된다. 각도조절 잠금부(630)가 각도조절 프레임(610)의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볼트(690)와 같은 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The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에 각도조절부(600)가 결합되는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에 체결홀을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putting exerci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 퍼팅 연습기는 전술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의 각 하단은, 전후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제1 회동지지부(200) 및 제2 회동지지부(300)에 결합된 회전체(411)와, 좌우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회전체(411)에 결합된 연결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utting exercis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ach lower end of the
제1 회동지지부(200) 및 제2 회동지지부(300)는 각각, 지지부 몸체(310)와 제1 스프링(3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지지부 몸체(310)는 회전체(411)를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411)는 지지부 몸체(310)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제1 스프링(330)은 회전체(411)가 지지부 몸체(310)를 따라 일정범위에서 움직임(유격)을 허용하도록 지지부 몸체(310)와 회전체(411)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제1 스프링(330)으로 인해 회전체(411)가 제1 회동지지부(200) 및 제2 회동지지부(300)를 따라 전후로 약간 움직일 수가 있어서, 사용자가 퍼터 샤프트에 고정된 퍼터를 전후 방향으로 약간씩 움직일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할 수 있다.The
각도조절부(600)는, 각도조절 프레임(610), 각도조절 잠금부(630), 각도조절 프레임(610)에 체결된 고정핀(660), 고리부(670) 및 제2 스프링(680)을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670)는 후방으로부터 고정핀(660)에 체결될 수 있다. 고리부(670)에는 퍼터 샤프트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프링(680)은 고정핀(660)에 형성된 단턱부와 각도조절 프레임(610) 사이에 개재되어, 고리부(670)의 전후방향으로 유격을 허용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각도조절부의 구조로 인해, 퍼터 샤프트가 삽입된 고리부(670)의 유격이 허용되므로, 사용자가 퍼터 샤프트를 약간 움직이면서 자세를 더 잘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준다.Due to the structure of the angle adjusting portion, the clearance of the
상기 실시예들의 퍼팅 연습기는 견착부의 원터치식 탈부착, 지지바의 길이조절 및 용이한 장탈착, 높이조절 눈금, 각도조절 눈금에 의한 사용자 신체에 추종하는 조절이 용이함, 샤프트 고정부에 퍼터 샤프트의 장탈작의 편리함 등 사용상 매우 편리하고 취급 및 보관상 장점이 있다.Putting exerciser of the embodiments, the one-touch detachable attachment, length adjustment and easy mounting of the support bar, easy to adjust to follow the user body by the height adjustment scale, angle adjustment scale, the length of the putter shaft in the shaft fixing portion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such as convenience of debris, and has advantages in handling and storage.
상기 실시예들의 퍼팅 연습기에 의하면,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에 의해 어깨와 손의 위치가 따로 놀지 않도록 일종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가 스트로크시 어깨와 손이 이루는 역삼각형 구조를 계속 유지할 수 있어서, 퍼터(10)는 진자운동과 같이 안정적으로 움직이게 되어 골프공을 클럽페이스(헤드)로 스퀘어하게 타격할 수 있다. 이를 반복적으로 연습함으로써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퍼팅동작을 몸의 근육이 기억하게 되어, 효과적인 퍼팅연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퍼팅수와 골프스코어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utting exerciser of the embodiments,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고정허브
110 : 샤프트 고정부
111 : 제1 고정부
113 : 제2 고정부
117 : 쿠션부
150 : 블록부
200 : 제1 회동지지부
300 : 제2 회동지지부
400 : 제1 지지바
410 : 하부바
430 : 상부바
450 : 견착부
470 : 길이조절 잠금부
500 : 제2 지지바
600 : 각도조절부
610: 각도조절 프레임
630 : 각도조절 잠금부100: fixed hub
110: shaft fixing part
111: first fixing part
113: second fixing part
117: cushion portion
150: block portion
200: first pivot support
300: second pivot support
400: first support bar
410: lower bar
430: top bar
450: shoulder
470: length adjustment lock
500: second support bar
600: angle adjuster
610: angle adjustment frame
630: angle adjustment lock
Claims (10)
골프공에 퍼터의 헤드가 인접하도록 퍼팅 준비상태에 놓인 퍼터를 기준으로, 상기 퍼터의 그립부 아래의 퍼터 샤프트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퍼터 샤프트와 결합되는 샤프트 고정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상단에 형성된 블록부를 포함하는 고정허브(fixing hub);
상기 퍼터 샤프트의 양측의 상기 블록부에 각각 결합된 제1 회동지지부 및 제2 회동지지부;
상단이 사용자의 일측 겨드랑이에 견착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1 회동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바;
상단이 사용자의 타측 겨드랑이에 견착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2 회동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바;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2 회동지지부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지지바 및 제2 지지바와 결합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2 회동지지부는,
각각 상기 블록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봉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각 하단은,
상기 블록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제2 회동지지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In the putting exerciser to train the putting itself consisting of the user's shoulder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user's hand holding the grip of the putter,
A shaft fixing portion coupled to the putter shaft so as to penetrate upward and downward by a putter shaft under the grip portion of the putter, based on the putter prepared for putting the head of the putter adjacent to a golf ball, and the shaft fixing portion Fixing hub (blocking hub) including a block portion formed on the top;
First and second pivotal support portions coupled to the block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putter shaft, respectively;
A first support bar having an upper e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ser and the lower end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ivot support part;
A second support bar having an upper end attached to the user's other armpit and the lower end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pivotal support; And
And an angle adjuster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at an upper side of the first pivot support and the second pivot support so as to adjust an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But
The first pivot support and the second pivot support,
Each has a rod shape projecting forward from the block portion,
Lower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Putting exercis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first pivot support and the second pivot support respectively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the block portion.
상기 샤프트 고정부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의 반쪽에 해당하는 제1 고정부;
상기 원통형상의 다른 반쪽에 해당하며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회동되며 결합되어 상기 원통형상을 이루는 제2 고정부;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퍼터 샤프트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haft fixing portion,
A first fixing part corresponding to a cylindrical half penetrated therein;
A second fix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other half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pivo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part to form the cylindrical shape; And
And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to fix the putter shaft in a state where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aligned to form the cylindrical shape. Exerciser.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중 하나는 상기 블록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중 나머지 하나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The method of claim 2,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lock part,
Putting exerci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n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rotated to open and close forward or backward.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각 하단은,
전후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2 회동지지부에 결합된 회전체; 그리고
좌우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회전체에 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The method of claim 1,
Lower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A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upport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support part so as to be rotatable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with a rotation axis; And
Putter exerciser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rotatably in a rotation ax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골프공에 퍼터의 헤드가 인접하도록 퍼팅 준비상태에 놓인 퍼터를 기준으로, 상기 퍼터의 그립부 아래의 퍼터 샤프트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퍼터 샤프트와 결합되는 샤프트 고정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상단에 형성된 블록부를 포함하는 고정허브(fixing hub);
상기 퍼터 샤프트의 양측의 상기 블록부에 각각 결합된 제1 회동지지부 및 제2 회동지지부;
상단이 사용자의 일측 겨드랑이에 견착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1 회동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바;
상단이 사용자의 타측 겨드랑이에 견착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2 회동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바;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2 회동지지부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지지바 및 제2 지지바와 결합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바는,
하단이 상기 제1 회동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
상기 하부바의 상단이 슬라이딩되며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되도록 상기 하부바와 결합되는 상부바;
상기 하부바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높이조절 잠금부; 그리고
상기 상부바의 상단에 원터치식으로 착탈되도록 결합되며, 원호의 일부 형상을 가져 상기 일측 겨드랑이에 안착되는 견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바는 상기 제1 지지바와 상응하는 방식의 상부바, 하부바, 높이조절 잠금부 및 견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In the putting exerciser to train the putting itself consisting of the user's shoulder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user's hand holding the grip of the putter,
A shaft fixing portion coupled to the putter shaft so as to penetrate upward and downward by a putter shaft under the grip portion of the putter, based on the putter prepared for putting the head of the putter adjacent to a golf ball, and the shaft fixing portion Fixing hub (blocking hub) including a block portion formed on the top;
First and second pivotal support portions coupled to the block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putter shaft, respectively;
A first support bar having an upper e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ser and the lower end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ivot support part;
A second support bar having an upper end adhered to the user's other armpit and the lower end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pivot support part; And
And an angle adjuster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at an upper side of the first pivot support and the second pivot support so as to adjust an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But
The first support bar,
A lower bar having a low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ivotal support;
An upper bar coupled to the lower bar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bar slides and is inserted into the length bar;
A height adjustment lock to prevent sliding of the lower bar; And
It is coup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bar, having a shape of a circular arc seated on the side armpit;
Putting exerci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upport bar includes an upper bar, a lower bar, a height adjustment locking portion and a strap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pport bar.
상기 하부바 및 상기 상부바는 사각형 단면을 가져 상대적 회전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바의 일면에는 높이표시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lower bar and the upper bar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o prevent relative rotation,
Putting exerci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display scal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bar.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 간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가이드홀이 형성된 각도조절 프레임으로서, 사용자가 하측으로 볼 때 시인이 용이하도록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의 상측 에지에 각도조절 눈금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각 하부바에 결합되는 각도조절 프레임; 그리고
일측 단부가 각 상기 하부바와 체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 및 고정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angle adjustment unit,
An angle adjustment frame formed with a guide hole for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the angle adjustment scale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angle adjustment frame to facilitate the user when viewed from the bottom An angle adjusting frame coupled to each lower bar of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from the rear; And
Putting one end is coupled to each of the lower bar, the other end of the putting exerciser comprising a pair of angle adjustment lock sliding and fixed along the guide hole.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의 후면에는 상기 퍼터 샤프트가 끼워지는 샤프트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블록부의 상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rear of the angle adjustment frame is formed with a shaft groove into which the putter shaft is fitted,
Putting exerci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angle adjustment frame is formed with an extension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portion.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각 하단은,
전후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2 회동지지부에 결합된 회전체; 그리고
좌우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회전체에 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2 회동지지부는 각각,
상기 회전체를 관통하는 지지부 몸체; 그리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지지부 몸체를 따라 유격을 허용하도록 상기 지지부 몸체와 상기 회전체의 사이에 개재된 제1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에 체결된 고정핀;
후방으로부터 상기 고정핀에 체결되며, 상기 퍼터 샤프트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고리부;
상기 고정핀에 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리부의 전후방향으로 유격을 허용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The method of claim 8,
Lower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A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upport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support part to be rotatable in a front-rear direction with a rotation axis; And
Include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rotatably in a rotation ax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irst pivot support and the second pivot support, respectively,
A support body penetrating the rotating body; And
And a firs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rotor so that the rotor permits play along the support body.
The angle adjustment unit,
A fixing pin fastened to the angle adjusting frame;
A ring portion which is fastened to the fixing pin from the rear and has a groove into which the putter shaft is fitted;
Putting between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fixing pin and the angle adjustment frame, the putting exerciser further comprises a; allowing a clearan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r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0049A KR102079001B1 (en) | 2019-08-16 | 2019-08-16 | Putting training device |
PCT/KR2019/016760 WO2021033846A1 (en) | 2019-08-16 | 2019-11-29 | Putting practic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wing posture coaching information by using same |
US16/708,957 US11179614B2 (en) | 2019-08-16 | 2019-12-10 | Put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wing posture coach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0049A KR102079001B1 (en) | 2019-08-16 | 2019-08-16 | Putting train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9001B1 true KR102079001B1 (en) | 2020-02-19 |
Family
ID=6967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0049A Active KR102079001B1 (en) | 2019-08-16 | 2019-08-16 | Putting train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900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179614B2 (en) * | 2019-08-16 | 2021-11-23 | Jong Gi Kim | Put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wing posture coach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
KR20220110651A (en) * | 2021-01-31 | 2022-08-09 | 정승은 | A correction appliance for golf putting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56401A (en) * | 1990-12-07 | 1992-10-20 | Hodgkiss Neil J | Putting training device |
JP2003230648A (en) * | 2002-02-01 | 2003-08-19 | Soko Kim | Golf swing practice helper |
KR100490477B1 (en) * | 2002-09-27 | 2005-05-19 | 김상광 | Training supporter for golf swing |
US6932713B1 (en) * | 2003-09-17 | 2005-08-23 | Hyoung J. Kim | Golf 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
KR100794369B1 (en) * | 2007-08-27 | 2008-01-15 | 유재원 | Golf putter |
KR100917899B1 (en) * | 2007-10-19 | 2009-09-17 | 김민수 | Golf Clubs with Bending Grip |
JP3178522U (en) * | 2012-07-06 | 2012-09-20 | マルマン株式会社 | Variable length golf club |
US9943743B1 (en) | 2017-03-24 | 2018-04-17 | Mark J. Diley | Core putting stroke trainer |
US20190192943A1 (en) * | 2017-12-22 | 2019-06-27 | John McLendon | Golf swing training device |
-
2019
- 2019-08-16 KR KR1020190100049A patent/KR1020790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56401A (en) * | 1990-12-07 | 1992-10-20 | Hodgkiss Neil J | Putting training device |
JP2003230648A (en) * | 2002-02-01 | 2003-08-19 | Soko Kim | Golf swing practice helper |
KR100490477B1 (en) * | 2002-09-27 | 2005-05-19 | 김상광 | Training supporter for golf swing |
US6932713B1 (en) * | 2003-09-17 | 2005-08-23 | Hyoung J. Kim | Golf 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
KR100794369B1 (en) * | 2007-08-27 | 2008-01-15 | 유재원 | Golf putter |
KR100917899B1 (en) * | 2007-10-19 | 2009-09-17 | 김민수 | Golf Clubs with Bending Grip |
JP3178522U (en) * | 2012-07-06 | 2012-09-20 | マルマン株式会社 | Variable length golf club |
US9943743B1 (en) | 2017-03-24 | 2018-04-17 | Mark J. Diley | Core putting stroke trainer |
US20190192943A1 (en) * | 2017-12-22 | 2019-06-27 | John McLendon | Golf swing training devic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179614B2 (en) * | 2019-08-16 | 2021-11-23 | Jong Gi Kim | Put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wing posture coach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
KR20220110651A (en) * | 2021-01-31 | 2022-08-09 | 정승은 | A correction appliance for golf putting |
KR102520878B1 (en) * | 2021-01-31 | 2023-04-11 | 정승은 | A correction appliance for golf putt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13972A (en) | Golfer's head movement restraining device | |
US7156748B2 (en) | Golf training device and method | |
US7455595B1 (en) | Golf training aid | |
KR102079001B1 (en) | Putting training device | |
US7118489B1 (en) | Golf swing training device | |
US4017086A (en) | Golfer's training aid | |
US7510480B2 (en) | Golf swing training device | |
US5342055A (en) |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 |
CA1185633A (en) | Golfer's practice swing device | |
US8088018B2 (en) | Golf aid | |
EP3226986B1 (en) | Golf swing training device | |
KR101212883B1 (en) | Golf training device | |
JP6042349B2 (en) | Putter training tool and putt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JP2014030703A (en) | Swing assist device | |
US5478079A (en) | Golf training apparatus | |
KR101864784B1 (en) | Training device for golf swing | |
KR200447218Y1 (en) | Golf swing exerciser | |
US11179614B2 (en) | Put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wing posture coach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 |
KR101372576B1 (en) |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 |
KR101693719B1 (en) | Golf swing practice apparatus | |
KR20160099228A (en) | Golf club for exercise swing | |
KR102229245B1 (en) | Put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wing posture coach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 |
KR102782609B1 (en) | PUTTING TRAINING DEVICE | |
KR101944191B1 (en) | A apparatus for Putting training | |
JPS60501840A (en) | Sports stroke practic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9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