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469B1 - Food processor - Google Patents
Food proces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6469B1 KR102076469B1 KR1020180046941A KR20180046941A KR102076469B1 KR 102076469 B1 KR102076469 B1 KR 102076469B1 KR 1020180046941 A KR1020180046941 A KR 1020180046941A KR 20180046941 A KR20180046941 A KR 20180046941A KR 102076469 B1 KR102076469 B1 KR 1020764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closure
- container
- main body
- handle
- vacu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50 stock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수용조와 상기 수용조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및 상기 수용조를 둘러싸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클로져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져는, 하단이 개구된 돔의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 중 일부에는 개구된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 통과홀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와 함께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손잡이 통과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A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container detachably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container including a receiving tank accommodating a processing object and a handle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receiving tank and the receiving tank. And an enclosure detachably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enclosure is formed in the form of a dome with an open lower end, and a portion of a side is formed with a handle through hole extending from the opened lower end, At least a part of the handl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andle passage hole in the state installed in the main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클로져를 포함하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er including an enclosure.
블렌더, 원액기, 반죽기 등의 다양한 조리기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리기들은 대부분 모터를 사용하여 가공 부재(블레이드, 스크류 등)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음식을 가공한다.Various cookers, such as a blender, a stock solution, and a kneader, exist. However, most of these cookers process food by rotating a processing member (blade, screw, etc.) using a motor.
따라서, 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뿐만 아니라, 가공 부재와 식재료의 충돌,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와 식재료의 충돌 등에 의한 소음이 발생한다. 특히 높은 파워로 식재료를 빠르게 분쇄하는 블렌더의 경우 상당한 소음이 발생한다.Therefore, not only the noise generated by the motor but also the noise caus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processing member and the food material, the collision between the container accommodating the food material and the food material, and the like are generated. In particular, blenders that quickly grind food at high power generate significant noise.
이에 최근에는 조리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폐하고자 블렌더를 둘러싸는 인클로져를 탑재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 product equipped with an enclosure surrounding a blender has been used to shield noise generated from a cooker.
그러나, 현재 인클로져를 탑재한 조리기는 대부분 인클로져가 상하로 구분되어 인클로져의 상부 파트를 개방하여 식재료를 용기 내에 투입하거나, 용기를 본체로부터 분리하고, 조리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는 인클로져의 상부 파트를 닫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클로져가 용기의 전체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인클로져를 탑재한 조리기는 그렇지 않은 조리기에 비해 조리기가 차지하는 수평 면적이 크다.However, most cookers equipped with an enclosure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the upper part of the enclosure is opened to inject ingredients into the container, or th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the upper part of the enclosure is closed while the cooker is operating. It consists of. In addition, since the enclosure has a structure surrounding the entire container, the cooker equipped with the enclosure has a larger horizontal area occupied by the cooker than the other cook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클로져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는 구조를 채택하지 않으면서도 조리기가 차지하는 수평 면적으로 최소화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조리기의 소음을 차폐할 수 있는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er that can minimize the horizontal area occupied by the cooker without adopting a structure divided into an upper and a lower enclosure and more effectively shield the noise of the cook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수용조와 상기 수용조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및 상기 수용조를 둘러싸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클로져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져는, 하단이 개구된 돔의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 중 일부에는 개구된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 통과홀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와 함께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손잡이 통과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container is provided detachab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container including a receiving tank for receiving a processing object and a handle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receiving tank. And an enclosure detachably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surround the receiving tank, wherein the enclosure is formed in the form of a dome with an open lower end, and a handle passage hole extending from an opened lower end in a part of the side surface. Is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andl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andle passage hole in the stat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container.
상기 손잡이는, 상기 수용조의 하부측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may include a base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and a grip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ase portion.
상기 용기 및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통과홀의 내부에는 상기 기저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and the enclosure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por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handle passage hole.
상기 용기 및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클로져의 측면 중 일부는 상기 수용조와 기저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With the container and the enclosure installed on the body, some of the sides of the enclosure may be located between the reservoir and the base.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설치단 및 상기 용기 설치단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클로져의 하단이 안착되는 인클로져 설치단이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ontainer installation end and the container installation end in which the container is detachably installed, and an enclosure installation end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enclosure is seated.
상기 손잡이는, 상기 수용조의 하부측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 설치단 및 상기 인클로져 설치단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기저부의 하단에 인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includes a base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and a grip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is formed from at least one of the container installation end and the enclosure installation end. It may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end extending upwardly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저부는 상기 돌출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container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he base may be supported by the protruding end.
상기 용기 및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통과홀의 내부에는 상기 기저부 및 상기 돌출단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container and the enclosure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and the protruding e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handle passage hole.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설치단은 상기 인클로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container installation e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enclosure while the enclosure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 설치단의 상단과 상기 인클로져 설치단을 연결하는 설치단 연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단 연결면은 상기 인클로져의 내측벽에 접하여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n installation end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installation end and the enclosure installation end, and the installation end connection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enclosure while the enclosure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진공 펌프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로 노출되는 제1 진공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져는, 상기 용기 및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진공 유로와 상기 수용조의 내부 공간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제2 진공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vacuum pump and a first vacuum flow path fluidly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and expos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enclosure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in which the container and the enclosure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vacuum flow passage that fluidly connects the first vacuum flow passage and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on tank.
상기 제2 진공 유로의 일단은 상기 인클로져의 하단을 향해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진공 유로와 상기 제1 진공 유로가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vacuum passage may be expos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enclosure so that the enclosure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vacuum passage and the first vacuum passage may be fluid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2 진공 유로는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진공 유로와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The second vacuum flow path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first vacuum flow path while the enclosure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인클로져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는 구조를 채택하지 않으면서도 조리기가 차지하는 수평 면적으로 최소화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조리기의 소음을 차폐할 수 있다.It can minimize the horizontal area occupied by the cooker without adopting a structure that divides the enclosure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can effectively shield the noise of the cooker.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인클로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인클로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용조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수용조 및 손잡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뚜껑을 도시한 전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본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본체에 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수용조 및 손잡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enclosure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closure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tainer of a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receiving tank of FIG. 5. FIG.
FIG.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container and the handle of FIG. 5. FIG.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d of FIG. 5.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d of FIG. 5.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FIG. 1.
FIG.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main body of FIG. 1.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6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ainer and the handl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merely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 / or schematic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hapes of the exemplary view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In addition, each component in each drawing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hown to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describing a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인클로져(10), 용기(20, 도 12 참고) 및 본체(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져(10)는 용기(20)의 손잡이(22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용기(20)를 둘러싸며 본체(30)에 장착된다. 용기(20)와 인클로져(10)는 모두 본체(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이하에서는, 인클로져(10), 용기(20), 본체(30)의 순서로 각 구성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order of the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인클로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인클로져의 단면도이다.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enclosure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closure of FIG. 1.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져(10)는 하단이 개구된 돔의 형태를 형성된다. 따라서, 인클로져(10)는 환형으로 사방을 둘러싸는 측면(111)과 상부를 폐쇄하는 루프(11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측면(111) 중 일부에는 개구된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 통과홀(112)이 형성된다.A part of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져(10)는 진공 유로(122, 제2 진공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유로(122)는 측면(111) 및 루프(113)를 따라 인클로져(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인클로져(10)는 진공 유로(122)를 고정하고, 진공 유로(122)를 인클로져(10)의 내부 공간과 격리하기 위한 커버 부재(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121)는 측면(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진공 유로(122)의 일단(122a)은 인클로져(10)의 하부를 향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On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유로(122)는 측면(111)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거쳐 루프(113)를 따라서 형성되며, 루프(113)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진공 조작부(114)를 거쳐, 인클로져(10)의 내부 공간을 향해 타단(122b)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인클로져(10)는 진공 조작부(114)의 하부에 구비되어 진공 조작부(114)의 조작에 의해 승강되는 흡착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유로(122)의 타단(122b)은 흡착부(115)의 중앙에 노출될 수 있으며, 흡착부(115)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공 유로(122)의 타단(122b) 및 타측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흡착부(115)는 진공 조작부(114)의 조작에 의해 하강하여 후술하는 용기(20)의 뚜껑(210)에 형성된 흡착부 수용단(211)에 밀착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수용조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수용조 및 손잡이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뚜껑을 도시한 전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5의 뚜껑의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tainer of a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receiving tank of FIG. 5, and FIG. 7 illustrates the receiving tank and the handle of FIG. 5. 8 is a side view of the lid of FIG. 5,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d of FIG. 5.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는 뚜껑(210), 손잡이(220) 및 수용조(2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조(230)는 바닥면(231)과 측벽(232)을 포함한다. 측벽(232)은 바닥면(23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231)과 함께 음식 등의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240)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6, the
바닥면(231) 상에는 가공 대상을 가공하는 가공 부재로서, 복수의 블레이드(B1, B2, B3)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B1, B2, B3)는 바닥면(23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 부재의 일례로서, 복수의 블레이드(B1, B2, B3)를 제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 이외에 착즙용 스크류, 반죽용 후크, 거품기 등의 가공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lades B1, B2, and B3 may be provided on the
측벽(232)의 상단의 일측에는 스파우트(232a)가 형성될 수 있다. 스파우트(232a)는 가공 이후에 반액체 또는 액체 상태가 된 가공물을 컵 등의 다른 용기에 따를 때에 가공물이 스파우트(232a)를 통해 흘러나갈 수 있도록 유도한다.A
측벽(232)의 상단의 타측에는 후술하는 뚜껑(210)의 플랩(213)과 맞물리는 래치(232b)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210)측에 하나의 플랩(213)이 형성되고, 수용조(230) 측에 하나의 래치(232b)가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플랩(213) 및 래치(232b)의 수는 하나 이상이 될 수도 있다.A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조(230)는 바닥면(231)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본체 삽입단(2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삽입단(233)은 후술하는 본체(30)의 용기 설치단(310)의 용기 삽입홀(311)에 삽입되어 용기(20)가 본체(30)에 안착 및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체 삽입단(233)의 외곽 형상과 용기 삽입홀(311)의 외곽 형상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receiving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20)는 측벽(23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대략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손잡이(220)는 측벽(23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저부(221)와, 기저부(22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222)를 포함한다. 파지부(222)는 사용자가 용기(20)를 들어 이동시킬 때에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20)는 기존의 블렌더 등에 사용되는 용기와 달리 손잡이(220)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5 to 7, the
기저부(221)는 측벽(232) 높이의 1/2 이하 지점인 측벽(232)의 하부측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부(221)는 바닥면(231)과 인접한 높이에서 측벽(23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파지부(222)는 측벽(232)과 이격된 상태로 기저부(22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파지부(222)와 측벽(232) 사이의 공간은 인클로져(10)의 측면(111) 중 손잡이 통과홀(112)이 형성된 부분이 진입하는 공간이다.The gripping
파지부(222)의 외측면은 측벽(232)과 마주하는 제1 외측면(222a)과, 측벽(232)과 마주하지 않는 제2 외측면(222b)을 포함한다. 제1 외측면(222a)은 제2 외측면(222b)에 비해 측벽(232)과 인접하는 면이고, 제2 외측면(222b)은 제1 외측면(222a)에 비해 측벽(232)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면이다. The outer surface of the
사용자가 파지부(222)를 파지했을 때, 제1 외측면(222a)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아쥐는 부분이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면(222a)은 측벽(232)을 향해 돌출되는 만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When the user grips the
반면, 제2 외측면(222b)은 사용자의 손바닥이 접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2 외측면(222b)은 측벽(232)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만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제1 외측면(222a)의 만곡면의 곡률이 제2 외측면(222b)의 것보다 큰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부(222)가 대략 연직 방향으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파지부(222)의 연장 방향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222)의 일부는 상부로 갈수록 측벽(232)에 인접하도록 측벽(232) 측을 향해 기울어지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gripp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10)은 수용조(230)의 개구된 상단을 덮어 수용조(230) 내부의 수용 공간(240)을 밀폐시킨다. 뚜껑(210)은 수용조(2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 5, the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10)은 수용조(230)의 측벽(232) 상단에 안착되는 뚜껑 바디부(21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뚜껑 바디부(212)의 일측에는 스파우트 폐쇄부(214)가 형성된다. 스파우트 폐쇄부(214)는 뚜껑(210)이 수용조(230)에 결합될 때에 스파우트(232a) 상에 안착되어 스파우트(232a)를 밀폐시키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 폐쇄부(214)의 하부에는 스파우트(232a)와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 부재(214a)가 구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뚜껑 바디부(212)의 타측에는 플랩(213)이 형성된다. 플랩(213)은 일측이 뚜껑 바디부(212)에 고정되고, 타측은 적어도 1회 이상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플랩(213)은 뚜껑(210)이 수용조(230)에 결합될 때에 용기(20)의 래치(232b)와 결합되어 뚜껑(210)이 수용조(230)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뚜껑 바디부(212)의 하부에는 환형 실링 부재(215)가 외측으로 노출 형성된다. 환형 실링 부재(215)는 뚜껑(210)이 수용조(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조(230)의 측벽(232)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환형 실링 부재(215)는 뚜껑(210)이 수용조(230)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수용 공간(240)이 효과적으로 밀폐되도록 한다.The lower portion of the
뚜껑 바디부(212)의 중앙부에는 흡착부 수용단(211)이 형성된다. 흡착부 수용단(211)은 뚜껑 바디부(212)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를 형성하여, 뚜껑 바디부(212)의 상단과 단차를 형성한다. 뚜껑 바디부(212)의 상단과 흡착부 수용단(211) 사이의 높이 차로 인해 형성되는 공간은, 인클로져(10)가 용기(20)가 설치된 본체(30)에 설치되는 경우, 인클로져(10)의 흡착부(115)가 수용되는 공간이 된다.Adsorption
흡착부 수용단(211)의 중앙부에는 체크 밸브(216)가 설치되는 체크 밸브 설치 공간(211a)이 형성된다. 체크 밸브 설치 공간(211a)의 바닥면(211d)에는 제1 관통홀(211b)과 제2 관통홀(211c)이 형성된다. 제1 관통홀(211b)은 체크 밸브(216)의 포스트(216d)가 삽입되는 공간이고, 제2 관통홀(211c)은 수용조(230)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는 통로이다.The check
체크 밸브 설치 공간(211a)의 바닥면(211d)의 하부에는 제1 상부 격벽(211e)과 제2 상부 격벽(211f)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상부 격벽(211e)과 제2 상부 격벽(211f)은 환형으로 형성되며, 제1 관통홀(211b)을 중심으로 동심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격벽(211e)과 제2 상부 격벽(211f)은 후술하는 필터링 부재(217)와 함께 상하로 굴곡 형성되는 배기 유로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The first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10)은 체크 밸브(21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체크 밸브(216)는 밸브 몸체(216b, 216c), 러그(216a) 및 포스트(216d)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216)의 포스트(216d)는 제1 관통홀(211b)에 삽입된다. 포스트(216d)의 하단은 제1 관통홀(211b)을 통과하여 제1 관통홀(211b)의 주변에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크 밸브(216)는 상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일정 크기 이상이 되지 않는 이상 이탈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9, the
밸브 몸체(216b, 216c)는 제1 관통홀(211b)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며 체크 밸브 설치 공간(211a)의 바닥면(211d)에 안착된다. 밸브 몸체(216b, 216c)의 중심부(216b)는 체크 밸브 설치 공간(211a)의 바닥면(211d)을 가압하여 제1 관통홀(211b)을 밀폐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밸브 몸체(216b, 216c)의 주변부(216c)는 제2 관통홀(211c)을 덮도록 위치한다. 주변부(216c)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체크 밸브 설치 공간(211a)에 진공압이 제공되면 상방을 휘어지며 제2 관통홀(211c)을 개방시킨다.The
러그(216a)는 밸브 몸체(216b, 216c)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세척 등의 과정에서 체크 밸브(216)를 뚜껑(21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러그(216a)를 잡고 잡아당겨 체크 밸브(216)를 뚜껑(210)에서 분리할 수 있다.The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10)은 필터링 부재(217)를 포함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8 and 9, the
필터링 부재(217)는 필터 몸체(217a), 복수의 유입홀(217b), 수평 격벽(217c) 및 하부 격벽(217d)을 포함한다.The filtering
필터 몸체(217a)는 필터링 부재(217)의 최외곽을 형성한다. 필터 몸체(217a)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측면에는 복수의 돌기(미부호)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나사산(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 격벽(211e)의 외측면에는 필터 몸체(217a)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필터링 부재(217)는 제1 상부 격벽(211e)의 외측면과 필터 몸체(217a)의 내측면의 나사 결합에 의해 설치된다. 필터 몸체(217a)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는 필터링 부재(217)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필터 몸체(217a)와 사용자의 손 사이의 그립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The filtering
필터링 부재(217)가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 격벽(217d)은 제1 상부 격벽(211e)과 제2 상부 격벽(211f) 사이에 위치한다. 이 때, 제1 상부 격벽(211e)은 필터링 부재(217)의 수평 격벽(217c)에 닿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하부 격벽(217d)은 체크 밸브 설치 공간(211a)의 바닥면(211d)과 닿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하부 격벽(217d)은 필터 몸체(217a)의 내측 공간에 환형을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격벽(217d)은 하부 격벽(217d)과 필터 몸체(217a)를 연결하는 수평 격벽(217c)에 의해 필터 몸체(217a)에 지지된다.The
수평 격벽(217c)에는 수평 격벽(217c)을 관통하는 복수의 유입홀(217b)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체크 밸브(216) 및 필터링 부재(217)가 모두 설치된 뚜껑(210)이 수용조(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크 밸브 설치 공간(211a)을 통해 진공압이 제공되면, 수용 공간(240) 내의 공기는 복수의 유입홀(217b)을 통해 뚜껑(210)을 통해 배기된다. 이 때 수용 공간(240) 내의 가공물의 일부가 필터링 부재(217)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복수의 유입홀(217b)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가공물은 제1 상부 격벽(211e)과 하부 격벽(217d) 사이의 유로를 따라 상승하고, 이후, 하부 격벽(217d)과 제2 상부 격벽(211f) 사이의 유로를 따라 하강한다. 이 때 가공물은 관성 및/또는 중력에 의해 제2 관통홀(211c) 측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필터 몸체(217a)의 바닥으로 수집되고, 공기만이 제2 관통홀(211c)을 통과하여 뚜껑(210)의 외부로 배기된다.If a vacuum pressure is provided through the check
체크 밸브 설치 공간(211a)을 통해 진공압 공급이 중단되면, 체크 밸브 설치 공간(211a)이 대기압 상태가 되고, 체크 밸브 설치 공간(211a)에 비해 수용 공간(240)의 압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체크 밸브 설치 공간(211a)과 수용 공간(240) 사이의 압력 차로 인해 밸브 몸체(216b, 216c)의 주변부(216c)는 제2 관통홀(211c)을 덮으며 바닥면(211d)에 밀착되어 외부 공기가 수용 공간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When the vacuum pressure supply is interrupted through the check
사용자는 용기(20)를 세척할 때, 필터링 부재(217)를 분리하여 필터 몸체(217a) 내에 잔존하는 가공물을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user cleans the
도 10은 도 1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본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본체에 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main body of FIG. 1, FIG.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main body of FIG. 1,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container is installed in a main body of a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는 전면에 조작부(301, 302)가 구비된다. 조작부(301, 302)는 다이얼 조작부(301)와 버튼 조작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얼 조작부(301)는 조리 메뉴 선택, 조리기(1)의 작동 시간 조절, 가공 부재(B1, B2, B3)의 회전 속도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버튼 조작부(302)는 조리기(1)의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0, the
조리기(1)는 가공 부재(B1, B2, B3)를 작동시켜 가공 대상을 가공하는 제1 모드, 수용 공간(240) 내부를 음압 분위기로 형성시키는 제2 모드, 수용 공간(240) 내부를 음압 분위기로 형성시킨 이후 가공 부재(B1, B2, B3)를 작동시켜 가공 대상을 가공하는 제3 모드로 작동될 수 있으며, 버튼 조작부(302)를 조작하여 조리기(1)가 제1 모드, 제2 모드,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용기(20)는 가공 부재(B1, B2, B3)가 없는 용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후면측에는 본체(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303)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0, a
본체(30)의 상면에는 용기 설치단(310)이 형성된다.The
용기 설치단(310)은 용기(20)가 안착되어 본체(30)에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동시에 인클로져(10)가 본체(30)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용기 설치단(310)의 외곽 형상은 인클로져(10)의 개구된 하단의 형상과 매칭되도록 형성된다. The
용기 설치단(310)의 중앙부에는 용기 삽입홀(311)이 형성된다. 용기 삽입홀(311)은 용기 설치단(31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용기 삽입홀(311)의 형상은 용기(20)의 본체 삽입단(233)의 형상과 대응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는 본체 삽입단(233)이 용기 삽입홀(311)에 수용되며 본체(30)에 설치된다. 따라서, 용기 삽입홀(311)의 깊이는 본체 삽입단(233)의 높이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삽입홀(311)의 바닥면에는 모터(365)의 출력축(361)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출력축(361)은 용기(20)의 가공 부재(B1, B2, B3)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용기(20)의 하단으로 노출되는 회전 샤프트(미도시)와 결합된다. 회전 샤프트와 출력축(361)은 본체 삽입단(233)이 용기 삽입홀(311)에 수용되며 용기(20)가 본체(30)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서로 결합된다.As shown in FIG. 10, the
용기 설치단(310)의 주변에는 인클로져 설치단(320)이 형성된다. 인클로져 설치단(320)은 용기 설치단(310) 보다 낮은 위치에 용기 설치단(310)과 단차를 형성하며 용기 설치단(310)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An
인클로져 설치단(320)은 인클로져(10)의 하단이 안착되는 장소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클로져 설치단(320)은 인클로져(10)의 측면(111)의 하단이 안착되는 장소이다. 인클로져 설치단(320)의 외곽 형상은 인클로져(10)의 하단 외곽 형상과 매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클로져 설치단(320)의 폭은 인클로져(10)의 측면(111)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에는 용기 설치단(310)의 상단과 인클로져 설치단(320)을 연결하는 설치단 연결면(340)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0, an installation
설치단 연결면(340)은 인클로져(10)가 본체(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클로져(10)의 내측벽에 접하여 인클로져(10)가 본체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설치단 연결면(340)의 형상은 인클로져(10)의 내측의 하부측 형상과 매칭된다.The installation
용기 설치단(310)의 일측에는 진공 유로 연결홀(351)이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유로 연결홀(351)의 바닥면에는 진공 유로(364, 제1 진공 유로)의 일단이 노출된다.One side of the
진공 유로 연결홀(351)은, 인클로져(10)가 본체(30)에 설치될 때에, 인클로져(10)의 진공 유로(122, 제2 진공 유로) 및 커버 부재(121)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 진공 유로(364)의 일단이 진공 유로 연결홀(351)의 바닥면 상에 노출되고, 제2 진공 유로(122)의 일단(122a)이 인클로져(10)의 하단에 노출되어, 인클로져(10)가 본체(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진공 유로(364)와 제2 진공 유로(122)는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제1 진공 유로(364)의 일단과 제2 진공 유로(122)의 일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진공 유로(364)와 제2 진공 유로(122)가 기밀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실링 부재 또는 실링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인클로져(10)가 본체(30)로부터 분리됨에 동시에 제1 진공 유로(364) 제2 진공 유로(122)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The vacuum flow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전면측 상단에는 돌출단(330)이 형성된다. 돌출단(330)은 인클로져 설치단(320) 및 용기 설치단(31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돌출단(330)은 인클로져 설치단(320) 또는 용기 설치단(3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0, a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가 본체(30)에 설치된 상태에서, 돌출단(330)은 손잡이(220)의 기저부(221)에 인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기(20)가 본체(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손잡이(220)의 기저부(221)가 돌출단(330)에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in a state where the
돌출단(330)의 상면(331)은 기저부(221)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부(221)의 하부가 소정의 곡률로 볼록한 형상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단(330)의 상면(331)은 기저부(221)의 하부의 곡률과 대략 동일한 곡률로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 및 인클로져(10)가 본체(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클로져(10)의 손잡이 통과홀(112)에는 손잡이(220)의 기저부(221)와 함께 돌출단(330)이 수용될 수 있다. 돌출단(330)은 용기(20) 및 인클로져(10)가 본체(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클로져(10)의 외측면과 돌출단(330)의 전면은 대략 하나의 면(평면 또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with th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는 내부에 진공 펌프(363), 제1 진공 유로(364), 모터(365) 및 제어부(36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1, the
모터(365)는 출력축(361)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The
진공 펌프(363)는 제1 진공 유로(364)를 통해 진공압을 제공한다. 용기(20) 및 인클로져(10)가 본체(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진공 펌프(363)가 작동하면, 제1 진공 유로(364), 제2 진공 유로(122)를 통해 뚜껑(210)의 체크 밸브 설치 공간(211a)으로 진공압이 제공된다. 그리고, 체크 밸브(216)의 주변부(216c)가 상방으로 휘어지며 제2 관통홀(211c)을 개방하면, 수용조(230)의 수용 공간(240)까지 진공압이 제공되어, 수용 공간(240) 내부의 기체가 제2 진공 유로(122) 및 제1 진공 유로(364)를 통해 배기된다.The
제어부(366)는 조작부(301, 302), 모터(365) 및 진공 펌프(363)와 연결되어, 조작부(301, 302)의 조작에 따라 모터(365)와 진공 펌프(363)를 제어한다.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은 기초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조리기(1)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는 용기(20)를 본체(30)에 설치한다. 가공 부재(B1, B2, B3)를 이용해 수용 공간(240) 내의 가공 대상을 가공하는 제1 모드로 조리기(1)를 작동하는 경우에는 인클로져(10)의 설치는 필수적이지 않다. 그러나, 가공 부재(B1, B2, B3)의 작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거나, 수용 공간(240) 내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하는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조리기(1)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클로져(10)를 본체(30)에 설치하여야 한다.For use of the
사용자는 조작부(301, 302)를 조작하여 조리기(1)의 작동 모드 등을 선택한다.The user operates the
제1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366)는 모터(365)를 회전시켜 출력축(361)에 연결된 가공 부재(B1, B2, B3)를 회전시키고, 수용 공간(240) 내의 가공 대상이 가공되도록 한다.When the first mode is selected, the
제2 모드가 선택되고 사용자가 인클로져(10)의 진공 조작부(114)를 조작하여 뚜껑(210)의 흡착부(115)가 흡착부 수용단(211)에 밀착되도록 하면, 제어부(366)는 진공 펌프(363)를 작동시켜 수용 공간(240)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켜 수용 공간(240)을 음압 분위기로 형성한다. 진공 펌프(363)의 작동이 종료된 이후, 인클로져(10)를 본체(3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진공 조작부(114)를 조작하여 흡착부(115)를 상승시키면, 인클로져(10)와 용기(20)의 뚜껑(210) 사이의 공간이 대기압 분위기로 전환되어 인클로져(10)를 본체(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When the second mode is selected and the user operates the
제3 모드가 선택되고 사용자가 인클로져(10)의 진공 조작부(114)를 조작하여 뚜껑(210)의 흡착부(115)가 흡착부 수용단(211)에 밀착되도록 하면, 제어부(366)는 진공 펌프(363)를 작동시켜 수용 공간(240)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켜 수용 공간(240)을 음압 분위기로 형성한 이후, 모터(365)를 회전시켜 출력축(361)에 연결된 가공 부재(B1, B2, B3)를 회전시키고, 수용 공간(240) 내의 가공 대상이 가공되도록 한다.When the third mode is selected and the user manipulates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용기(20)의 손잡이(220)가 수용조(230)의 측면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돔 형상의 하나의 인클로져(10)를 이용해 손잡이(220)를 제외한 용기(20)의 전체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소음의 차폐 능력이 높을 뿐 아니라, 인클로져(10)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는 구조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The
또한, 인클로져(10)가 용기(20)의 손잡이(220)는 외부에 위치하도록 용기(20)를 덮으므로, 인클로져(10)의 크기를 보다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고, 조리기(1)가 차지하는 수평 면적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인클로져 설치단(320)이 용기 설치단(31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인클로져(10)가 수용조(230) 뿐만 아니라 본체(30)의 상단까지 덮어, 가공 부재(B1, B2, B3)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보다 효과적을 차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수용조 및 손잡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13 to 16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ainer and the handl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part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parts comm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20a, 20b, 20c, 20d)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20)와 비교하여 손잡이의 형상이 상이하다.As shown in Figures 13 to 16, the container (20a, 20b, 20c, 20d)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shape of the handle compared to the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용기(20a)는 손잡이(1220)의 파지부(1222)가 기저부(1221)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수용조의 측벽(232)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The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222)의 제1 외측면(1222a) 및 제2 외측면(1222b)이 모두 상방으로 갈수록 수용조의 측벽(232)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3, both the first
즉, 파지부(1222)가 기저부(1221)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수용조의 측벽(232)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다만, 인클로져(10)의 측면(111)이 수용조의 측벽(232)과 파지부(1222) 사이로 진입하기 위해, 파지부(1222)의 상단은 측벽(232)과 이격된다.That is, the gripping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20)는 파지부(222)가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됨에 반해,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20a)는 파지부(1222)가 수용조의 측벽(232)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용기(20a)를 본체(30)로부터 분리할 때에 용기(20a)를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In the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용기(20b)는 손잡이(2220)의 파지부(2222)가 제1 외측면(2222a)은 상방으로 갈수록 수용조의 측벽(232)에 인접하도록 연장됨에 반해, 제2 외측면(222b)는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In the
따라서, 파지부(2222)는 하부에서의 제1 외측면(2222a)과 제2 외측면(222b) 사이의 거리(D1) 보다 상부에서의 제1 외측면(2222a)과 제2 외측면(222b) 사이의 거리(D2)가 더 멀다. 즉, 파지부(2222)는 상부로 갈수록 제1 외측면(2222a)과 제2 외측면(222b)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된다.Accordingly, the gripping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20b)는 제1 외측면(2222a)이 수용조의 측벽(232)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용기(20b)를 본체(30)로부터 분리할 때에 용기(20b)를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The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20c)는 손잡이(3220)가 기저부(3221)와 파지부(3222) 외에 턱부(3223)를 더 포함한다. 턱부(3223)는 파지부(3222)의 단부로부터 측벽(232)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다만, 인클로져(10)의 측면(111)이 수용조의 측벽(232)과 파지부(3222) 사이로 진입하기 위해, 턱부(3223)는 측벽(232)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In the
턱부(3223)는 사용자가 파지부(3222)를 손을 감아 쥘 때, 파지부(3222)의 상단에서 걸림턱의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용기(20c)를 보다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The
도 16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20d) 역시 손잡이(4220)가 기저부(4221)와 파지부(4222) 외에 턱부(4223)를 더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턱부(4223)가 파지부(4222)의 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턱부(4223)가 측벽(23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부(4223)는 파지부(4222)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이후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도 16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20d)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턱부(4223)와 파지부(4222) 사이로 진입시켜 파지부(4222)를 파지하게 되며, 턱부(4223)는 파지부(4222)의 상단에서 걸림턱의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용기(20c)를 보다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In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조리기 10: 인클로져
20, 20a, 20b, 20c, 20d: 용기 30: 본체
111: 측면 112: 손잡이 통과홀
113: 루프 114: 진공 조작부
115: 흡착부 121: 커버 부재
122a: 제2 진공 유로 210: 뚜껑
211: 흡착부 수용단 211a: 체크 밸브 설치 공간
211b: 제1 관통홀 211c: 제2 관통홀
211d: 바닥면 211e: 제1 상부 격벽
211f: 제2 상부 격벽 212: 뚜껑 바디부
213: 플랩 214: 스파우트 폐쇄부
214a, 215: 실링 부재 216: 체크 밸브
216a: 러그 216b: 밸브 몸체 중심부
216c: 밸브 몸체 주변부 216d: 포스트
217: 필터링 부재 217a: 필터 몸체
217b: 유입홀 217c: 수평 격벽
217d: 하부 격벽
220, 1220, 2220, 3220, 4220: 손잡이
221, 1221, 2221, 3221, 4221: 기저부
222, 1222, 2222, 3222, 4222: 파지부
222a, 1222a, 2222a: 제1 외측면
222b, 1222b, 2222b: 제2 외측면
230: 수용조 231: 바닥면
232: 측벽 232a: 스파우트
232b: 래치 233: 본체 삽입단
240: 수용 공간 301: 다이얼 조작부
302: 버튼 조작부 303: 전원 코드
310: 용기 설치단 311 용기 삽입홀
320: 인클로져 설치단 330: 돌출단
331: 상면 340: 설치단 연결면
351: 진공 유로 연결홀 361: 출력축
363: 진공 펌프 364: 제1 진공 유로
365: 모터 366: 제어부
B1, B2, B3: 가공 부재(블레이드)1: Cooker 10: Enclosure
20, 20a, 20b, 20c, 20d: container 30: main body
111: side 112: handle passage hole
113: loop 114: vacuum operation unit
115: adsorption portion 121: cover member
122a: second vacuum flow path 210: lid
211: Suction part
211b: first through
211d:
211f: second upper partition 212: lid body portion
213: flap 214: spout closure
214a and 215: sealing member 216: check valve
216a:
216c:
217: filtering
217b:
217d: lower bulkhead
220, 1220, 2220, 3220, 4220: Handle
221, 1221, 2221, 3221, 4221: base
222, 1222, 2222, 3222, 4222: gripper
222a, 1222a, 2222a: first outer surface
222b, 1222b, 2222b: second outer surface
230: reservoir 231: bottom surface
232: sidewall 232a: spout
232b: latch 233: main body insertion end
240: accommodation space 301: dial operation unit
302: button operation panel 303: power cord
310:
320: enclosure installation end 330: protrusion end
331: upper surface 340: mounting surface connection surface
351: vacuum flow passage connecting hole 361: output shaft
363: vacuum pump 364: first vacuum flow path
365: motor 366: control unit
B1, B2, B3: Machining member (blade)
Claims (13)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수용조 및 상기 수용조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및
상기 수용조를 둘러싸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클로져;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져는,
하단이 개구된 돔의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 중 일부에는 개구된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 통과홀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와 함께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손잡이 통과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수용조의 하부측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및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통과홀의 내부에는 상기 기저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조리기.main body;
A container detachably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container including a receiving tank accommodating a processing object and a handle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receiving tank; And
And an enclosure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surround the receiving tank.
The enclosure,
The lower end is formed in the form of an open dome, and a part of the side surface is formed with a handle passage hole extending from the opened lower end, at least a portion of the handle through the handle passage hole in the state installed in the body with the container Exposed to the outside,
The handle is,
A base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a lower side of the reservoir and a gripp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With the container and the enclosure installed on the body,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handle passage hole, the cooker.
상기 파지부는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리기.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gripping portion extends upwardly from the base portion.
상기 용기 및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클로져의 측면 중 일부는 상기 수용조와 기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기.The method of claim 1,
With the container and the enclosure installed on the body,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enclosure is located between the reservoir and the base.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설치단 및
상기 용기 설치단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클로져의 하단이 안착되는 인클로져 설치단이 형성되는, 조리기.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A container installation end to which the container is detachably installed;
The enclosure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container installation end is formed an enclosure installation end, the lower end of the enclosure is cooker.
상기 손잡이는, 상기 수용조의 하부측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 설치단 및 상기 인클로져 설치단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기저부의 하단에 인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단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The method of claim 5,
The handle includes a base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and a grip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ase portion,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protruding end extending upwardly so as to be adjacent to a lower end of the base from at least one of the container installation end and the enclosure installation end.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저부는 상기 돌출단에 의해 지지되는, 조리기.The method of claim 6,
With the container installed in the body,
And the base is supported by the protruding end.
상기 용기 및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통과홀의 내부에는 상기 기저부 및 상기 돌출단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조리기.The method of claim 6,
With the container and the enclosure installed on the body,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and the protruding end is accommodated in the handle passage hole.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설치단은 상기 인클로져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기.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container installation end is accommodated in the enclosure while the enclosure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 설치단의 상단과 상기 인클로져 설치단을 연결하는 설치단 연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단 연결면은 상기 인클로져의 내측벽에 접하여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조리기.The method of claim 9,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n installation end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installation end and the enclosure installation end,
And the installation end connection surface is in contact with an inner wall of the enclosure such that the enclosure is fixed to the main body while the enclosure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진공 펌프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로 노출되는 제1 진공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져는, 상기 용기 및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진공 유로와 상기 수용조의 내부 공간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제2 진공 유로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vacuum pump and a first vacuum flow path fluidly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and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enclosure further comprises a second vacuum flow path for fluidly connecting the first vacuum flow path and the inner space of the reservoir while the container and the enclosure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상기 제2 진공 유로의 일단은 상기 인클로져의 하단을 향해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진공 유로와 상기 제1 진공 유로가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조리기.The method of claim 11,
One end of the second vacuum flow path is formed to be expos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enclosure,
And the enclosure is installed in the body and the second vacuum passage and the first vacuum passage are fluid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2 진공 유로는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진공 유로와 연결이 해제되는, 조리기.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second vacuum passage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vacuum passage while the enclosure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941A KR102076469B1 (en) | 2018-04-23 | 2018-04-23 | Food processor |
PCT/KR2019/004848 WO2019208993A1 (en) | 2018-04-23 | 2019-04-23 | Container and cooker including same |
CN201980027510.9A CN112004448A (en) | 2018-04-23 | 2019-04-23 | Container and cooking utensil comprising same |
US16/484,442 US11576529B2 (en) | 2018-04-23 | 2019-04-23 | Container an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
EP19744608.1A EP3797656A4 (en) | 2018-04-23 | 2019-04-23 | Container and cooker including same |
JP2019542726A JP6866492B2 (en) | 2018-04-23 | 2019-04-23 | Container and cooker equipped with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941A KR102076469B1 (en) | 2018-04-23 | 2018-04-23 | Food process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3149A KR20190123149A (en) | 2019-10-31 |
KR102076469B1 true KR102076469B1 (en) | 2020-02-13 |
Family
ID=6842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6941A Active KR102076469B1 (en) | 2018-04-23 | 2018-04-23 | Food proces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6469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1972B1 (en) * | 2013-05-29 | 2014-05-07 | (주)현대가전업 | Multipurpose mixer |
KR101490099B1 (en) * | 2014-01-29 | 2015-02-05 |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Tumbler type blender |
JP2016073335A (en) * | 2014-10-02 | 2016-05-12 |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 Electric mill mix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87180B2 (en) | 2008-07-21 | 2012-10-16 | Vita-Mix Corporation | Enclosure for a blender |
US10314436B2 (en) * | 2015-05-28 | 2019-06-11 | Sharkninja Operating Llc | Grinder attachment for blender system |
CN105919396B (en) * | 2016-07-14 | 2018-03-06 | 广东辉骏科技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vacuum juicer |
-
2018
- 2018-04-23 KR KR1020180046941A patent/KR10207646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1972B1 (en) * | 2013-05-29 | 2014-05-07 | (주)현대가전업 | Multipurpose mixer |
KR101490099B1 (en) * | 2014-01-29 | 2015-02-05 |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Tumbler type blender |
JP2016073335A (en) * | 2014-10-02 | 2016-05-12 |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 Electric mill mix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3149A (en) | 2019-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3176B1 (en) | Food processor | |
US5931333A (en) | Container system including a colander | |
KR102076470B1 (en) | Container for blender | |
CN211459906U (en) | Foreign matter trapping apparatus and utilize its cooking machine | |
CN109463978A (en) | Electric cooking appliance | |
GB2338641A (en) | Dual-function vented lid with filter | |
KR102076469B1 (en) | Food processor | |
JP6866492B2 (en) | Container and cooker equipped with it | |
WO2017145437A1 (en) | Rice cooker | |
EP3949814A1 (en) | Lid for a bowl of a food processing appliance | |
KR102287287B1 (en) | Food processor | |
CN216822736U (en) | Cooking utensil convenient to take and place | |
EP3797657B1 (en) | Blender | |
KR101971101B1 (en) | Food processor | |
CN221450464U (en) | Negative pressure eliminating structure of cooking electric appliance | |
CN213248324U (en) | Upper cover subassembly and have its cooking utensil | |
CN215127459U (en) | Filter basket and cooking utensil | |
CN213248389U (en) | Upper cover subassembly and have its cooking utensil | |
KR102436196B1 (en) | Electric rice cooker | |
CN213248391U (en) | Upper cover subassembly and have its cooking utensil | |
JPH09438A (en) | Cooking utensil | |
CN212912758U (en) | Lid assembly and have its cooking utensil | |
CN216822805U (en) | Cooking utensil and pot lid thereof | |
KR100689217B1 (en) | Electric pressure cooker | |
KR101440990B1 (en) | Pot of sealing ty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