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6284B1 - Schaumbildung polycarbonate product manufactur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Schaumbildung polycarbonate product manufactur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284B1
KR102076284B1 KR1020190156646A KR20190156646A KR102076284B1 KR 102076284 B1 KR102076284 B1 KR 102076284B1 KR 1020190156646 A KR1020190156646 A KR 1020190156646A KR 20190156646 A KR20190156646 A KR 20190156646A KR 102076284 B1 KR102076284 B1 KR 10207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raw material
dryer
mixer
gr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 동 장
Original Assignee
장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동 filed Critical 장현동
Priority to KR102019015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2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28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1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grinding, e.g. by triturating; by sievin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9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flattening,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Small extruding apparatus, e.g. handheld, toy or laboratory extr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갱이 형태의 원료를 건조, 분쇄, 압출, 발포, 성형, 냉각, 필름 접착 및 재단하여 일정한 크기의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을 제조하되, 용융된 원료에 발포를 위한 고압의 질소 가스를 주입하여 제품의 중량을 저감함과 동시에 제조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는 원료를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기, 건조된 원료를 분쇄하며 혼합하는 분쇄기, 분쇄된 원료를 가열하여 용융된 상태로 압출하는 압출기, 압출된 원료의 역류를 방지하며 이송하는 기어 펌프, 용융된 원료가 내부에서 발포되는 혼합기, 용융된 원료가 발포되도록 혼합기의 내부에 고압의 질소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기, 원료가 발포되어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를 판상으로 토출하는 금형기, 토출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압연하여 표면을 평탄화하고, 일정한 두께로 가공하는 카렌다 롤, 압연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송하며 냉각시키는 냉각 롤, 이송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표면에 보호 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 롤, 보호 필름이 접착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일정한 폭으로 1차 재단하는 폭 재단기 및, 1차 재단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2차 재단하여 일정한 길이로 분할하는 길이 재단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polycarbonate product of a certain size by drying, pulverizing, extruding, foaming, molding, cooling, film bonding and cutting the raw material in the form of granules, but by injecting high pressure nitrogen gas for foaming into the molten raw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realizing a reduction in weight and a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The apparatus for producing expanded polycarbonate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yer for drying raw materials to remove moisture, a pulverizer for pulverizing and mixing dried raw materials, an extruder for heating and crushing the pulverized raw materials and extruding them in a molten state. Gear pump to prevent backflow and transfer, Mixer in which molten raw material is foamed inside, Gas injector injecting high pressure nitrogen gas into the mixer to foam molten raw material, Polycarbonate produced by foaming raw material into plate Flattening the surface by rolling ejected mold machine, discharged plate-shaped polycarbonate, calender roll for processing to a certain thickness, cooling roll for transferring and cooling the rolled polycarbonate, and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surface of the polycarbonate being transported Primary roll of plate-shaped polycarbonate with adhesive roll and protective film Th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dth cutting machine, and a length cutting machine for dividing the polycarbonate of the first cut plate-like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Description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Schaumbildung polycarbonate product manufacturing equipment}Schaumbildung polycarbonate product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발포 방식을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알갱이 형태의 원료를 건조, 분쇄, 압출, 발포, 성형, 냉각, 필름 접착 및 재단하여 일정한 크기의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을 제조하되, 용융된 원료에 발포를 위한 고압의 질소 가스를 주입하여 제품의 중량을 저감함과 동시에 제조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ducing a polycarbonate product by using a foam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by drying, pulverizing, extruding, foaming, molding, cooling, film-gluing, and cutting granular raw materia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producing a carbonate product and injecting high pressure nitrogen gas for foaming into a molten raw material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roduct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카보네이트는 전기 절연성과 치수 안정성이 좋고, 소화성과 내산성이 있으며, 내후성이 크고, 내충격성이 매우 뛰어나 기계 또는 전기 부품, 안전 헬멧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polycarbonate, which is a kind of thermoplastic plastic, has good electrical insulation and dimensional stability, has good digestibility and acid resistance, has high weather resistance, and has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chanical or electrical parts and safety helmets.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으로는,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알칼리 수용액과 할로겐계 유기 용매를 혼합하고 포스겐을 첨가함으로써 계면에서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과 포스겐을 반응시키는 계면법과,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과 탄상 디에스테르를 용융 상태에서 반응시키는 에스테르 교환법 등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종래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0809호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9202호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6900호의 “박리 장치를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As a process for producing such a polycarbonate, an interfacial method of reacting an aromatic dihydroxy compound and phosgene at an interface by mixing an aqueous alkali solution of an aromatic dihydroxy compound and a halogen-based organic solvent and adding phosgene, and aromatic dihydroxy And a transesterification method for reacting a compound and a carbon diester in a molten state, and the related invention is related to a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and a device for producing polycarbonate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30809. Patent No. 10-1129202, "Productio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ycarbonate resin, and" Production method of polycarbonate using a peeling device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46900 has been proposed and disclosed. .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0809호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장치”에는 방향족 디하이드록시 화합물과 카본산 디에스테르를 용융중합시켜 폴리카보네이트 생성물을 형성하고, 용접 밀폐하에 약 760mmHg 이상의 압력에서 말단-캡핑제와 혼합함으로써 말단-캡핑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9202호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족 디히드록시 화합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과 탄산 디에스테르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In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30809,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ycarbonate", a polycarbonate product is formed by melt-polymerizing an aromatic dihydroxy compound and a carbonic acid diest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nd-capped polycarbonate by mixing with an end-capping agent at a pressure of about 760 mmHg or more have been proposed, and the above-described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1129202 discloses an apparatus and preparation for polycarbonate resin. Method ”for preparing a polycarbonate resin using a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of an aromatic dihydroxy compound and an carbonate dieste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an aliphatic dihydroxy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butanediol and the like Device and method The invention has been proposed.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6900호의 “박리 장치를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에는 디아릴 카보네이트 및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을 혼합 장치에서 혼합하고, 혼합된 화합물을 감압 및 승온하며 반응기에서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eparing a polycarbonate using a peeling device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46900, diaryl carbonate and an aromatic hydroxy compound are mixed in a mixing device, and the mixed compound is reduced and heated Inventions relating to the formation of polycarbonates by reaction in a reactor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들은 교환 반응 등을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되, 제조 과정에서 유입되는 불순물의 양을 저감시키거나 분자량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에 관한 기술만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방식들로는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성능은 이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되 제조에 필요한 원료의 사용량을 절감하여 중량의 감소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inventions produce a polycarbonate by using an exchange reaction, but present only a technique related to an apparatus or a method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impurities introduc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minimizing a decrease in molecular weight. In this way, the performance of the manufactured polycarbonate is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as befor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alize a weight reduction and a cost reduction by reducing the amount of raw materials required for manufacturing.

따라서, 광확산판의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PVC를 대신하기 위한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시하되, 제조에 필요한 원료의 사용량을 절감함으로써 중량의 감소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등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manufacturing polycarbonate to replace PVC, which is mainly used as a material for light diffusion plate, and to reduce the amount of raw materials required for manufacturing, and to reduce the weight and cost. Invention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0809호(2004. 04. 0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30809 (2004. 04. 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9202호(2012. 03. 1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29202 (2012. 03. 1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6900호(2019. 05. 0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46900 (20.05. 07)

본 발명에 의한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Apparatus for producing expanded polycarbonat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종래의 발명들은 교환 반응 등을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되 제조 과정에서 유입되는 불순물의 양을 저감시키거나 분자량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나,Conventional inventions provide a technique for producing a polycarbonate using an exchange reaction and the like, but a device or method for reducing the amount of impurities introduc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minimizing a decrease in molecular weight.

이러한 기술들만으로는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성능을 이전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하되 제조에 필요한 원료의 사용량을 절감하여 제품 중량의 감소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se technologies alone can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manufactured polycarbonate at the same level as before, but it is not possible to realize a reduction in the weight and cost of the product by reducing the amount of raw materials required for manufacturing. For that purpo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The present invention to realize the above object,

알갱이 형태의 원료를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기; 건조된 원료를 분쇄하며 혼합하는 분쇄기; 분쇄된 원료를 가열하여 용융된 상태로 압출하는 압출기; 압출된 원료의 역류를 방지하며 이송하는 기어 펌프; 용융된 원료가 내부에서 발포되는 혼합기; 용융된 원료가 발포되도록 상기 혼합기의 내부에 고압의 질소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기; 원료가 발포되어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를 판상으로 토출하는 금형기; 토출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압연하여 표면을 평탄화하고, 일정한 두께로 가공하는 카렌다 롤; 압연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송하며 냉각시키는 냉각 롤; 이송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표면에 보호 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 롤; 보호 필름이 접착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일정한 폭으로 1차 재단하는 폭 재단기; 및, 1차 재단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2차 재단하여 일정한 길이로 분할하는 길이 재단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를 제시한다.A dryer for drying the granules to remove moisture; A mill for pulverizing and mixing the dried raw materials; An extruder for heating the pulverized raw material and extruding it in a molten state; A gear pump for conveying and preventing backflow of the extruded raw material; A mixer in which the molten raw material is foamed therein; A gas injector for injecting nitrogen gas at a high pressure into the mixer such that the molten raw material is foamed; A mold machine for discharging the polycarbonate produced by foaming the raw material into a plate; A calender roll for rolling the discharged plate-shaped polycarbonate to planarize the surface thereof and processing it to a constant thickness; A cooling roll for transferring and cooling the rolled polycarbonate; An adhesive roll for adhering a protective film to the surface of the polycarbonate to be transferred; A width cutting machine for first cutting a plate-shaped polycarbonate to which a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a length cutting machine for secondly cutting the plate-shaped polycarbonate cut into a predetermined length. It proposes an apparatus for producing expanded polycarbonat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본 발명에 의한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는,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expanded polycarbonat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광확산판의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PVC를 대신하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제공하여 광확산판의 강도와 투과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황변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By providing polycarbonate instead of PVC, which is mainly used as a material of light diffusion plat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rength and transmittance of light diffusion plate and delaying yellowing phenomenon occurs.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에서 용융된 원료가 투입되는 혼합기의 내부로 고압의 질소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기를 구비하여 용융된 원료가 혼합기의 내부에서 발포되도록 함으로써, 원료의 사용량을 절감하여 제품 중량의 감소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A gas injector for injecting high-pressure nitrogen gas into the mixer into which the molten raw material is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polycarbonate is provided so that the molten raw material is foamed inside the mixer,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raw material used and the product weight. The effect of realizing the reduction of cost and the reduction of cost is realiz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건조기 내부에 외기관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원통관이 외기관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는 분쇄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b는 분쇄기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보조 건조기, 보조 분쇄기, 보조 압출기 및 공급부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foamed polycarbonat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organ is installed inside the dryer.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ylindrical tube installed in a form surrounding the external organ.
4A shows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grinder.
4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rinder.
Figure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dryer, auxiliary mill, auxiliary extruder and the supply unit is add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발포 방식을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carbonate product using a foaming metho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를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기(100); 건조된 원료를 분쇄하며 혼합하는 분쇄기(110); 분쇄된 원료를 가열하여 용융된 상태로 압출하는 압출기(120); 압출된 원료의 역류를 방지하며 이송하는 기어 펌프(130); 용융된 원료가 내부에서 발포되는 혼합기(140); 용융된 원료가 발포되도록 상기 혼합기(140)의 내부에 고압의 질소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기(150); 원료가 발포되어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를 판상으로 토출하는 금형기(160); 토출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압연하여 표면을 평탄화하고, 일정한 두께로 가공하는 카렌다 롤(170); 압연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송하며 냉각시키는 냉각 롤(180); 이송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표면에 보호 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 롤(190); 보호 필름이 접착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일정한 폭으로 1차 재단하는 폭 재단기(200); 및, 1차 재단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2차 재단하여 일정한 길이로 분할하는 길이 재단기(2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ure 1, the dryer 100 for drying the raw material to remove moisture; A grinder 110 for grinding and mixing the dried raw materials; An extruder 120 for heating the pulverized raw material and extruding it in a molten state; A gear pump 130 which prevents the backflow of the extruded raw material and conveys it; A mixer 140 in which the molten raw material is foamed therein; A gas injector 150 for injecting high-pressure nitrogen gas into the mixer 140 so that the molten raw material is foamed; A mold machine 160 for discharging the polycarbonate produced by foaming the raw material into a plate; A calender roll 170 for flattening the surface by rolling the discharged plate-shaped polycarbonate and processing it to a constant thickness; Cooling roll 180 for transporting and cooling the rolled polycarbonate; An adhesive roll 190 for adhering a protective film to a surface of the polycarbonate to be transferred; A width cutter 200 for first cutting a plate-shaped polycarbonate to which a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a length cutting machine 210 for dividing the first cut polycarbonate of the plate-like cut into a predetermined length; It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expanded polycarbonat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상기 건조기(100)는 알갱이 형태로 제공되는 원료를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단에 형성되고,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원료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건조된 원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단 또는 하부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dryer 100 is a device for removing moisture by drying the raw material provided in the form of granules, an inlet for the input of the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formed at the top, a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raw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t is formed therein, the outlet for the dried raw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or lower.

즉,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건조기(100)의 내부로 투입된 원료는 하방으로 이동하며 건조 및 배출 과정을 거치게 되며, 건조기(100)의 하단 또는 하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건조 중인 원료의 배출을 방지하고, 건조된 원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자동 또는 수동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야 한다.That is, the raw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dryer 100 through the inlet is moved downward and undergoes a drying and discharging process, and an out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or lower portion of the dryer 100 prevents the discharge of the raw material being dried. And, it should be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or clos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discharge the dried raw material.

이때, 상기 건조기(100)는 내부로 분사된 고온고습의 공기를 제습한 후 재가열하여 원료를 건조하는 방식인 제습 건조기 또는 내부로 열풍을 직접 분사하여 원료를 건조하는 방식인 열풍 건조기 중 어느 하나의 종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시중의 제습 건조기 또는 열풍 건조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나, 내부 공간의 면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건조 과정에서의 효율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yer 100 is a dehumidifying dryer which is a method of drying the raw material by dehumidifying the air of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injected into the inside and drying the raw material by direct injection of hot air into the drying method of any one of the hot air dryer. It may be of any kind, and may be any one of commercially available dehumidifying dryers or hot air dryers, but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the internal space and to ensure efficiency in the drying process.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기(100)는 외주연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분사구(102)가 복수 개의 층을 지어 형성된 상태로 건조기(100)의 내부 중심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공급관(101), 송풍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관(101)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관 및 상기 외기관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2, the dryer 100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center of the dryer 100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02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pply pipe 101 to be installed, an external engine for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supply pipe 101 by using a blower, and a heating heater for heating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external engine.

따라서, 상기 외기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외기는 공급관(101)의 외주연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사구(102)를 통해 건조기(100)의 내부로 분사되어 원료와 접촉함과 동시에 건조기(1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원료를 직접 또는 간접 방식으로 건조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outside engine and heated by the heater is injected into the dryer 100 through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0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ly pipe 101 to be in contact with the raw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the dryer. By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100) the raw material is dried in a direct or indirect manner.

이때, 상기 공급관(101)은 외기관에 의하여 하단 또는 중단이 지지되며 건조기(100)의 내부 중심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일측 말단부가 건조기(100)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의 타측 말단부와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upply pipe 101 is supported by a lower end or interrupted by an external organ and may b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inner center of the dryer 100, bu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ryer 100 It may be installed to be stably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end portion.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기(100)의 내부에는 외주연에 복수 개의 통공(104)이 층을 지어 형성되고, 상기 공급관(10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원통형의 원통관(103)이 공급관(101)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원료가 다량으로 투입되는 경우에도 항상 분사구(102)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열풍의 분사를 방해하지 아니하며 골고루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inside of the dryer 10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rough-hole 104 in the outer periphery layer, the cylindrical shape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ly pipe 101 Since the cylindrical tube 103 is installed in a form surrounding the supply tube 101, even when a large amount of raw material is introduced, the cylindrical tube 103 may be heated evenly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injection of hot air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jection hole 10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

이때, 상기 원통관(103)은 공급관(101)을 감싸하는 형태로 설치되기 위해 하단이 개방되거나 개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공급관(101)과 원통관(103) 사이에 원료가 투입되지 아니하도록 상단이 폐쇄되거나 폐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ylindrical tube 103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lower end or an openable form so as to surround the supply pipe 101, the raw material is not introduced between the supply pipe 101 and the cylindrical tube 103. It is preferable that the top is configured to be closed or closed.

또한, 상기 원통관(103)의 외주연에 층을 지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공(104)은 공급관(101)의 외주연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사구(102)를 통해 분사된 후 원통관(103)의 내부를 메우는 외기가 건조기(100)의 내부로 골고루 확산될 수 있도록 하여 외기에 의한 원료의 가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104 formed in a lay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tube 103 is injected throug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0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ly pipe 101 of the cylindrical tube 103 The outside air filling the inside can be evenly diffused into the interior of the dryer 100 to improve the heating effect of the raw material by the outside air.

한편, 외부로부터 상기 건조기(100)의 내부로 원료를 공급하는 방식은 컨베이어 벨트 등의 이송 장치를 이용하는 방식과 작업자에 의한 수동 공급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건조된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원료를 분쇄기(110)로 이송하는 방식으로는 컨베이어 벨트 등의 이송 장치를 이용하는 방식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supplying the raw material from the outside to the interior of the dryer 100 may be a method using a conveying device such as a conveyor belt and a manual supply method by the operator, but the raw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fter drying the crusher As a method of transferring to 110, it is preferable to adopt a method using a conveying device such as a conveyor belt.

또한, 상기 분쇄기(110)는 건조기(100)에서 건조된 원료를 분쇄하며 혼합하는 장치로써, 건조기(100)와 동일하게, 이송 장치를 통해 이송된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단에 형성되고,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원료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분쇄된 원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단 또는 하부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nder 110 is a device for crushing and mixing the raw material dried in the dryer 100, the same as the dryer 100, an inlet for the input of the raw material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device is formed at the top, the inlet A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raw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formed inside is formed, the discharge port for the pulverized raw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or bottom.

즉,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분쇄기(1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원료는 하방으로 이동하며 분쇄 및 혼합 과정을 거치게 되며, 분쇄기(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분쇄 중인 원료의 배출을 방지하고, 분쇄된 원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자동 또는 수동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야 한다.That is, the raw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grinder 110 through the inlet is moved downward and undergoes a crushing and mixing process, and the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rinder 110 prevents the discharge of the raw material being pulverized and pulverized. It shall be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opened or clos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discharge the raw materials.

이때, 상기 분쇄기(110)의 내부에는 투입된 원료를 분쇄하며 혼합하는 분쇄날 등의 분쇄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며, 이러한 분쇄수단이 구비되는 형태는 다음에 제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를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crusher 110 should be provided with a grinding means such as a grinding blade for crushing and mixing the inputted raw material, the form of such a grinding means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follow.

즉, 본 발명은 상기 분쇄기(110)의 내부에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고 동일한 높이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그 사이에 유입되는 원료를 분쇄하는 한 쌍의 분쇄날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pair of grinding blades that are configured of the same size and installed side by side at the same height and rotated inside the grinder 110, to grind the raw material introduced therebetween.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분쇄기(110)의 내부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분쇄기(1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원료를 1차로 분쇄하는 한 쌍의 1차 분쇄날(111)이 설치되고, 그 1차 분쇄날(111)의 하방에는 1차 분쇄된 원료를 2차로 분쇄하는 한 쌍의 2차 분쇄날(112)이 설치되는 2중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한 쌍의 1차 분쇄날(111)의 크기와 상호 간의 간격은 한 쌍의 2차 분쇄날(112)의 크기와 상호 간의 간격에 비해 크고 넓게 형성됨으로써 원료가 점차 더 작은 크기로 분쇄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a,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interior of the grinder 110, a pair of primary grinding blades 111 for grinding the raw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grinder 110 first. ) Is installed, and below the primary grinding blade 111 may be configured of a double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secondary grinding blades 112 for crushing the primary crushed raw material secondly is installed. The size and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primary grinding blades 111 of the pair may be formed larger and wider than the size and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secondary grinding blades 112 to allow the raw material to be gradually reduced to a smaller size.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쇄기(110)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원료를 분쇄하는 하나 이상의 분쇄날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분쇄날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대형인 복수 개의 분쇄날이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복수 개의 층을 이루는 형태 또는 소형인 복수 개의 분쇄날이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 한 층을 이루고 다시 소형인 복수 개의 분쇄날이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 다른 층을 이루는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grinder 110 and rotates,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grinding blades for crushing the raw material, when a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are installed a plurality of large grinding The blades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form a plurality of layers, or a plurality of small grinding blades ar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to form a layer, and again a plurality of small grinding blades ar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to form a different layer.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분쇄기(110)의 내부에 상기 1차 분쇄날(111) 또는 상기 2차 분쇄날(112)과 동일한 형태인 한 쌍의 수직 분쇄날(113)이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그 하방에 단일 또는 복수 개의 수평 분쇄날(114)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ir of vertical grinding blades 113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primary grinding blade 111 or the secondary grinding blade 112 in the grinder 110. ) May be install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single or a plurality of horizontal grinding blade 114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low.

또한, 상기 압출기(120)는 분쇄된 원료를 가열하여 용융된 상태로 압출하는 장치로써, 분쇄기(110)로부터 배출되는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단 일측에 형성되고,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원료가 점차 용융되며 이송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용융된 원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투입구가 형성된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의 말단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extruder 120 is a device for heating the pulverized raw material and extruding it in a molten state. An inlet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crusher 110 is inpu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and the raw material injected through the inlet gradually melts. And the space to be transported is formed inside, the outlet of the molten raw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where the inlet is formed.

즉,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압출기(120)의 내부로 투입되는 원료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며 용융 과정을 거치게 되며, 압출기(120)의 타측 말단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압출기(120)의 구동 과정에서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That is, the raw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extruder 120 through the inlet is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undergoes a melting process, and the outlet formed at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extruder 120 is the extruder 120. It must be kept open at all times during operation.

이때, 상기 압출기(120)는 원통형인 실린더 내부에 가열을 위한 히터가 구비되고 압출을 위한 스크류가 구비되는 일반적인 압출 장치의 구성을 채택하되,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어느 하나로 그 형태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ruder 120 adopts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extrus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heater for heating and a screw for extrusion inside the cylindrical cylinder, the shape is modified in any one of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즉, 상기 압출기(120)는 원통형인 실린더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제1 이송부와 제1 이송부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 이송부로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직경에 비례하여 제1 이송부 내부의 구비되는 제1 스크류는 제2 이송부 내부에 구비되는 제2 스크류에 비해 그 크기 등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extruder 1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ylindrical cylinder is divided into a first conveying part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a second conveying part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conveying part, and proportionally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conveying part. The first screw provided therein may be larger in size than the second screw provided in the second transfer part.

따라서, 제1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제1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고체 상태인 원료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 이송부의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농축되며 용융될 수 있으며, 실린더의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는 원료가 이송되는 전반적인 과정에서의 용융을 더욱 촉진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solid raw material convey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ing part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screw can be concentrated and melted in the process of entering into the second conveying part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Heater to heat the will further promote the melting in the overall process of the raw material is transferred.

즉, 상기 압출기(120)의 내부에서 이송되는 원료는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과 실린더 내부의 온도에 따라 점차 용융될 수 있으며, 상기한 구성과 같은 제1 이송부와 제2 이송부의 직경의 차이는 이송 과정에서의 용융 속도를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That is, the raw material conveyed in the extruder 120 may be gradually mel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and the temperature in the cylinder,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conveying part and the second conveying part a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ce acts as a factor in promoting the melt rate during the transfer process.

또한, 상기 압출기(120)는 제1 이송부의 내부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인 한 쌍의 스크류가 나란하게 설치되고, 제2 이송부의 내부에 한 쌍의 스크류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단일의 스크류가 설치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고체 상태인 원료가 제1 이송부의 내부에서 용융된 후 제2 이송부를 통과하며 압출된다.In addition, the extruder 120 has a pair of screw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side the first conveying portion is installed side by side, a single screw is installed in the second conveying portion is engaged with any one of the pair of screws. In this case, the raw material in the solid state is melted in the first conveying part and then extruded through the second conveying part.

이때, 상기 제1 이송부의 내부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는 제2 이송부측을 향하여 갈수록 그 직경이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고체 상태인 원료의 용융 속도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고, 제1 이송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 이송부로의 압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screws installed in a symmetrical form inside the first conveying portion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diameter toward the second conveying portion side to further promote the melting rate of the raw material in the solid state, The extrusion force to the second conveying port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onveying portion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압출기(120)를 통과하며 용융된 상태로 압출되어 유동성이 향상된 액체 상태인 원료는 압출기(120)의 배출구 측에 설치된 기어 펌프(130)에 의해 역류가 방지됨과 동시에 혼합기(140)를 향해 이송되며, 이러한 기어 펌프(130)는 한 쌍의 기어가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되는 공지의 기어 펌프(130)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aw material in the liquid state is passed through the extruder 120 in a molten state to improve the fluidity is prevented backflow by the gear pump 130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of the extruder 120 and at the same time the mixer 140 The gear pump 130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a known gear pump 130 that is configured to engage a pair of gears, and thus,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혼합기(140)는 용융된 상태의 원료가 균일한 온도를 가진 상태로 발포되도록 하는 장치로써, 기어 펌프(130)로부터 이송되는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일측 말단에 형성되고,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용융된 상태인 원료가 균일하게 혼합 후 발포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균일하게 혼합된 원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타측 말단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mixer 140 is a device for foaming the molten raw material in a state having a uniform temperature, the inlet for the raw material is transferred from the gear pump 130 is formed at one end, through the inlet A space in which the injected raw materials are uniformly mixed and then foamed is formed therei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uniformly mixed raw material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at the other end.

즉,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혼합기(140)의 내부로 투입되는 용융된 상태인 원료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며 전체의 온도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되는 혼합 과정을 거치게 되며, 혼합기(140)의 타측 말단은 공지의 노즐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원료의 배출 효과를 공지의 노즐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That is, the raw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that is introduced into the mixer 140 through the inlet is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undergoes a mixing process in which the overall temperature is uniformly dispersed, the mixer 140. Since the other end of the configuration of any one of the known nozzle shape, the effect of the discharge of the raw material can be implemented in the same way as the known nozzle.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기(14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상향 사선부와 복수 개의 하향 사선부가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구성되어 그 사이에 복수 개의 유로를 형성하는 믹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믹서부는 혼합기(140)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기어 펌프(130)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용융된 상태인 원료가 지속적으로 분리 및 재결합시킴으로써, 원료를 균질화한다.Specifically, the mixer 140 may be provided with a mixer portion configured to cross the plurality of upward diagonal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downward diagonal portions in an 'X' shape to form a plurality of flow paths therebetween. The mixer unit uniformly dissociates and recombines the raw materials in the molten state, which ar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gear pump 130 while being fixed inside the mixer 140, thereby homogenizing the raw materials.

따라서, 상기 믹서부를 통과한 용융된 상태인 원료는 구성 성분과 온도 등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노즐 형태인 혼합기(140)의 타측 말단을 통해 분사 또는 사출되었을 때 강도의 향상 등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줄무늬 등의 결함 발생이 방지되고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는 등 불량률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raw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passing through the mixer unit is uniformly formed throughout the composition, the temperature, etc., when the injection or injection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mixer 140 in the form of a nozzle, such as the improvement of the strength of the product The quality can be improved, and defect rate such as streaks can be prevented, and the defective rate can be reduced such that dimensional stability is improved.

또한, 상기 가스 주입기(150)는 혼합기(140)의 내부에 발포제를 주입하는 장치이며, 이에 따라 혼합기(140)의 상부 등 투입구 측의 일측에는 혼합기(14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용융된 원료를 발포시키기 위한 정량의 발포제가 가스 주입기(150)로부터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gas injector 150 is a device for injecting a blowing agent into the interior of the mixer 140, and thus the injection port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ixer 140 on one side of the inlet side, such as the top of the mixer 140 A quantity of blowing agent that is formed to foam the molten raw material may be supplied from the gas injector 150.

이때, 폴리스티렌 등의 원료를 발포시키기 위한 발포제로는 프로판, 부탄, 펜탄 등이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발포 공정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본 발명은 고압의 질소 가스를 발포제로 이용하여 발포율을 50% 이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원료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고, 제조되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무게를 더욱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as a blowing agent for foaming a raw material such as polystyrene, propane, butane, pentane, and the like are generally us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polycarbonate product, a foaming process may not be used. By using the gas as a blowing agent to increase the foaming rate to 50% or m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raw materials used, and to further reduce the weight of the expanded polycarbonate product to be produced.

또한, 상기 금형기(160)는 원료가 발포되어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를 판상으로 토출하는 장치로써, 발포된 상태인 폴리카보네이트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부의 일측면 또는 상단에 형성되고,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단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molder 160 is a device for discharging the polycarbonate formed by foaming the raw material in the form of a plate, a space in which the inlet for the polycarbonate in the foamed state is formed on one side or the top of the upper portion, and temporarily stored It is formed inside, the discharge port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at the bottom.

이때, 상기 금형기(160)에는 금형기(160)의 내부로 용융된 상태의 원료를 공급하는 공급부(22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된 상태의 원료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표면에 직접 도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lder 16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unit 220 for supplying the raw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to the inside of the molder 160, the raw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220 is expanded polycarbonate product It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surface of the.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건조기(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나 소형화된 보조 건조기(105), 상기 분쇄기(110)와 동일 또는 유사하나 소형화된 보조 분쇄기(115) 및 상기 압출기(120)와 동일 또는 유사하나 소형화된 보조 압출기(1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건조기(105), 상기 보조 분쇄기(115) 및 상기 보조 압출기(121)를 순차로 거쳐 형성되는 용융된 원료는 상기 공급부(220)를 통해 상기 금형기(160)의 내부로 공급되어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상단 등 일측면에 도포되거나 그 이상의 면에 도포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5,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dryer 100, but the miniaturized auxiliary dryer 105, the same or similar to the grinder 110, but miniaturized auxiliary mill 115 and The same or similar to the extruder 120, bu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iniaturized sub-extruder 121, it is formed through the sub-dryer 105, the sub-crusher 115 and the sub-extruder 121 in sequence The molten raw material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mold machine 160 through the supply unit 220 may be applied to one side, such as the top of the expanded polycarbonate product, or may be applied to more than one side.

또한, 상기 카렌다 롤(170)은 금형기(160)로부터 토출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압연하는 장치로써, 서로 인접하여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러가 금형기(160)의 하방에 수평하게 설치되거나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토출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일정한 두께로 가공함과 동시에 표면을 매끄럽게 평탄화한다.In addition, the calendar roll 170 is a device for rolling a plate-like polycarbonate discharged from the mold machine 160, a plurality of rollers that rotate adjacent to each other is installed horizontally below the mold machine 160 or inclined downward It is configured so as to process the discharged plate-shaped polycarbonate to a certain thickness and smoothly flatten th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카렌다 롤(170)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롤러,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롤러 및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금형기(160)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토출되는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가 회전하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의 사이에 끼워지며 압연될 수 있도록 금형기(160)의 하방에 배치되어야 하며, 제1 롤러 및 제3 롤러와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롤러의 구성에 의하여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는 제2 롤러의 외주연에 밀착되며 제3 롤러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calendar roll 170 includes a first roller that rotates in a forward direction, a second roller that rotates in a reverse direction, and a third roller that rotates in a forward direction, and has a plate shape discharged downward from the mold machine 160. The polycarbonate is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s rotated and must be disposed below the mold machine 160, the second roller that rotates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roller and the third roller By the configuration of the plate-like polycarbon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roller is moved to the third roller side.

이때, 상기한 정방향은 일반적으로 시계 방향을 의미하고, 역방향은 반시계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렌다 롤(170)에서 상기 냉각 롤(180)을 향하는 방향을 정방향이라하고, 그 반대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한다.In this case, the forward direction generally means a clockwise direction, the reverse direction means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from the calendar roll 170 toward the cooling roll 180 is called a forward direction, and vice versa. The direction is called reverse.

또한, 상기 냉각 롤(180)은 압연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송하며 냉각시키는 장치로써, 서로 나란하게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롤러는 내부에 채워지거나 공급 라인을 통해 내부에 공급되는 브라인 등의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어, 외주연에 접촉되는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가 냉각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oling roll 180 is a device for transporting and cooling the rolled polycarbonate, and comprises a plurality of roller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speed, each roller is inside Cooled by cooling water, such as brine, filled in o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line, the plate-shaped polycarbonat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is cooled.

또한, 상기 접착 롤(190)은 이송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표면에 보호 필름을 접착시키는 장치로써, 서로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되,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 표면에 보호필름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dhesive roll 190 is a device for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surface of the polycarbonate to be transported,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long as they rotate at the same speed It consists of a pair of rollers to allow the protective film to adhere to the plate-like polycarbonate surface passing between.

또한, 상기 폭 재단기(200)는 보호 필름이 접착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일정한 폭으로 1차 재단하는 장치이고, 상기 길이 재단기(210)는 1차 재단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2차 재단하여 일정한 길이로 분할하는 장치이며, 이와 같은 폭 재단기(200)와 길이 재단기(210)를 순차로 통과하며 분할된 각각의 폴리카보네이트는 적재부에 적재되도록 구성되어 즉시 외부로 반출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width cutting machine 200 is a device for primary cutting the plate-shaped polycarbonate bonded to the protective film to a predetermined width, the length cutting machine 210 is fixed by secondary cutting the first cut plate-shaped polycarbonate. The device is divided into lengths, such that the width cutting machine 200 and the length cutting machine 210 are sequentially passed, and each of the divided polycarbonates is configured to be loaded in the loading unit so that they can be immediately taken out.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deliver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Also,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100 : 건조기
101 : 공급관 102 : 분사구
103 : 원통관 104 : 통공
105 : 보조 건조기
110 : 분쇄기
111 : 1차 분쇄날 112 : 2차 분쇄날
113 : 수직 분쇄날 114 : 수평 분쇄날
115 : 보조 분쇄기
120 : 압출기
121 : 보조 압출기
130 : 기어 펌프
140 : 혼합기
150 : 가스 주입기
160 : 금형기
170 : 카렌다 롤
180 : 냉각 롤
190 : 접착 롤
200 : 폭 재단기
210 : 길이 재단기
220 : 공급부
100: dryer
101: supply pipe 102: injection hole
103: cylinder tube 104: through hole
105: auxiliary dryer
110: grinder
111: 1st grinding blade 112: 2nd grinding blade
113: vertical grinding blade 114: horizontal grinding blade
115: Auxiliary Grinder
120: extruder
121: auxiliary extruder
130: gear pump
140: Mixer
150: gas injector
160: Molding Machine
170: calendar roll
180: cooling roll
190: adhesive roll
200: width cutting machine
210: length cutting machine
220: supply part

Claims (6)

원료를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기(100);
건조된 원료를 분쇄하고 혼합하는 분쇄기(110);
분쇄된 원료를 가열하여 용융된 상태로 압출하는 압출기(120);
압출된 원료의 역류를 방지하며 이송하는 기어 펌프(130);
용융된 원료가 내부에서 발포되는 혼합기(140);
용융된 원료가 발포되도록 상기 혼합기(140)의 내부에 고압의 질소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기(150);
원료가 발포되어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를 판상으로 토출하는 금형기(160);
토출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압연하여 표면을 평탄화하고, 일정한 두께로 가공하는 카렌다 롤(170);
압연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송하며 냉각시키는 냉각 롤(180);
이송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표면에 보호 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 롤(190);
보호 필름이 접착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일정한 폭으로 1차 재단하는 폭 재단기(200); 및,
1차 재단된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2차 재단하여 일정한 길이로 분할하는 길이 재단기(2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건조기(100)는,
외주연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분사구(102)가 복수 개의 층을 지어 형성된 상태로 건조기(100)의 내부 중심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공급관(101);
송풍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관(101)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관(미도시);
상기 외기관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미도시); 및,
외주연에 복수 개의 통공(104)이 층을 지어 형성되고, 상기 공급관(10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공급관(101)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원통관(103);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
Dryer 100 for drying the raw material to remove moisture;
A grinder 110 for grinding and mixing the dried raw materials;
An extruder 120 for heating the pulverized raw material and extruding it in a molten state;
A gear pump 130 which prevents the backflow of the extruded raw material and conveys it;
A mixer 140 in which the molten raw material is foamed therein;
A gas injector 150 for injecting high-pressure nitrogen gas into the mixer 140 so that the molten raw material is foamed;
A mold machine 160 for discharging the polycarbonate produced by foaming the raw material into a plate;
A calender roll 170 for flattening the surface by rolling the discharged plate-shaped polycarbonate and processing it to a constant thickness;
Cooling roll 180 for transporting and cooling the rolled polycarbonate;
An adhesive roll 190 for adhering a protective film to a surface of the polycarbonate to be transferred;
A width cutter 200 for first cutting a plate-shaped polycarbonate to which a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A length cutting machine 210 for dividing the first cut polycarbonate cut into a predetermined length;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The dryer 100,
A supply pipe 101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n inner center of the dryer 100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02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An external organ (not shown) for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supply pipe 101 using a blower;
A heating heater (not shown) for heating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external engine; And,
A cylindrical cylinder tube 103 formed 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4 on an outer circumference and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ly tube 101 to surround the supply tube 101; Apparatus for producing expanded polycarbonat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110)는,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분쇄기(1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원료를 1차로 분쇄하는 한 쌍의 1차 분쇄날(111); 및,
상기 1차 분쇄날(111)의 하방에 설치되어, 1차 분쇄된 원료를 2차로 분쇄하는 한 쌍의 2차 분쇄날(112);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한 쌍의 1차 분쇄날(111)의 크기와 상호 간의 간격은 상기 한 쌍의 2차 분쇄날(112)의 크기와 상호 간의 간격에 비해 크고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rinder 110,
A pair of primary grinding blades 111 install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grinding the raw materials introduced into the grinder 110 first; And,
A pair of secondary grinding blades 112 installed below the primary grinding blades 111 to crush the primary crushed raw materials secondly;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The size and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primary grinding blades 111 of the expanded polycarbonat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and wider than the size and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secondary grinding blades 112 Manufactur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110)는,
내부에 한 쌍의 수직 분쇄날(113)이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그 하방에 단일 또는 복수 개의 수평 분쇄날(114)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rinder 110,
A pair of vertical grinding blades 113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side each other,
A device for producing a foamed polycarbonat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a single or a plurality of horizontal grinding blades 114 ar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14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상향 사선부와 복수 개의 하향 사선부가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되어 그 사이에 복수 개의 유로를 형성하고, 혼합기(140)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기어 펌프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용융된 상태인 원료를 분리 및 재결합시키는 믹서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side the mixer 140,
The plurality of upward diagonal lines and the plurality of downward diagonal lines cross each other in an 'X' shape to form a plurality of flow paths therebetween, and move horizontally by the gear pump in a fixed state inside the mixer 140. Apparatus for producing a foamed polycarbonat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mixer (not shown) for separating and recombining the raw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는,
상기 건조기(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나 소형화된 보조 건조기(105);
상기 분쇄기(110)와 동일 또는 유사하나 소형화된 보조 분쇄기(115);
상기 압출기(120)와 동일 또는 유사하나 소형화된 소형 압출기(121); 및,
상기 보조 건조기(105), 상기 보조 분쇄기(115) 및 상기 소형 압출기(121)를 순차로 거쳐 형성된 용융된 상태의 원료를 상기 금형기(160)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부(2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expanded polycarbonate product,
An auxiliary dryer 105 which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dryer 100 but is downsized;
An auxiliary grinder 115 which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grinder 110 but is miniaturized;
A compact extruder 121 which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extruder 120 but is miniaturized; And,
A supply unit 220 supplying a raw material in a molten state formed through the auxiliary dryer 105, the auxiliary grinder 115, and the compact extruder 121 sequentially into the mold machine 160; Apparatus for producing expanded polycarbonat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KR1020190156646A 2019-11-29 2019-11-29 Schaumbildung polycarbonate product manufacturing equipment Active KR1020762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646A KR102076284B1 (en) 2019-11-29 2019-11-29 Schaumbildung polycarbonate product manufactur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646A KR102076284B1 (en) 2019-11-29 2019-11-29 Schaumbildung polycarbonate product manufacturing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284B1 true KR102076284B1 (en) 2020-02-11

Family

ID=6956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646A Active KR102076284B1 (en) 2019-11-29 2019-11-29 Schaumbildung polycarbonate product manufacturing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28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1394A (en) * 2021-12-03 2022-04-12 高广西 Plastic film who can smash and magnetic separation edulcoration makes with mixing melting device
CN117799151A (en) * 2024-02-29 2024-04-02 成都航天明江科技实业有限公司 Protective film production equipment and method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380B1 (en) * 1988-02-26 1992-03-23 페르미안 리서치 코오퍼레이션 Drying method and apparatus
JPH10310658A (en) * 1997-05-14 1998-11-24 Jsp Corp Polycarbonate resin foam
KR20040030809A (en) 2001-07-17 2004-04-0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ocess for preparing polycarbonate and apparatus for preparing polycarbonate
KR20060025177A (en) * 2005-12-16 2006-03-20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Improved Mixer for Plasticizing Screws
KR20070090713A (en) * 2006-03-03 2007-09-06 다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Shutter mechanism and resin dryer
KR100988036B1 (en) * 2010-02-04 2010-10-18 박안수 Typic diminisher for waste styrofoam
KR101129202B1 (en) 2006-06-15 2012-04-16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Equipment for production of polycarbonate resin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20190046900A (en) 2016-08-29 2019-05-07 이피씨 엔지니어링 앤드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using stripping device
JP2019112502A (en) * 2017-12-21 2019-07-11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High heat-resistant and high slidabl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380B1 (en) * 1988-02-26 1992-03-23 페르미안 리서치 코오퍼레이션 Drying method and apparatus
JPH10310658A (en) * 1997-05-14 1998-11-24 Jsp Corp Polycarbonate resin foam
KR20040030809A (en) 2001-07-17 2004-04-0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ocess for preparing polycarbonate and apparatus for preparing polycarbonate
KR20060025177A (en) * 2005-12-16 2006-03-20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Improved Mixer for Plasticizing Screws
KR20070090713A (en) * 2006-03-03 2007-09-06 다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Shutter mechanism and resin dryer
KR101129202B1 (en) 2006-06-15 2012-04-16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Equipment for production of polycarbonate resin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0988036B1 (en) * 2010-02-04 2010-10-18 박안수 Typic diminisher for waste styrofoam
KR20190046900A (en) 2016-08-29 2019-05-07 이피씨 엔지니어링 앤드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using stripping device
JP2019112502A (en) * 2017-12-21 2019-07-11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High heat-resistant and high slidabl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1394A (en) * 2021-12-03 2022-04-12 高广西 Plastic film who can smash and magnetic separation edulcoration makes with mixing melting device
CN114311394B (en) * 2021-12-03 2024-01-16 佛山市顺德区飞友自动化技术有限公司 Plastic film manufacturing hybrid melting device capable of smashing and magnetic separation impurity removal
CN117799151A (en) * 2024-02-29 2024-04-02 成都航天明江科技实业有限公司 Protective film production equipment and method
CN117799151B (en) * 2024-02-29 2024-06-11 成都航天明江科技实业有限公司 Protective film production equipment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291B1 (en)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foam
US96498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lletizing wax and wax-like materials
JP41884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lding polyester articles directly from melt
US78285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polyester
KR102076284B1 (en) Schaumbildung polycarbonate product manufacturing equipment
JP6356067B2 (en) Plastic material processing equipment
EP2565004A1 (en)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pellet for extrusion molding, and composite pellet for extrusion molding produced by the method
WO2008117947A1 (en) Double extrusion panel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using waste plastic materials
JP5457933B2 (en)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pellet for extrusion molding, and composite pellet for extrusion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US20150336319A1 (en) Foamed polyester extrusion equipment which can be used in plants for producing sheets, boards or tubes of foamed polyester
JP2014534093A (en) Plastic material processing equipment
KR101347255B1 (en) Recycling Apparatus for Residue Resin of Injection Molding
JPH07205147A (en) Plastic waste treating apparatus
CN108715019B (en) Internal inflation type extrusion foaming device and forming method
US11919201B2 (en) Processing plant and method for processing plastics material for the recycling thereof
US202400098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polycondensates
KR100811562B1 (en) Functional inorganic and polyolefin resin mixing system
CN101884427A (en) Expanded food forming processing equipment
CN117799133A (en) A polymer material blending screw extruder
KR20120065881A (en) Meting and extruding unit for recycling resin
JP5775343B2 (en) Recycling method for highly foamed plastic moldings
US200600733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roducts from polymer wood fiber composite
CN212795510U (en) Plastic granules production line
JP2001179808A (en) Continuous method for molding foamed object and apparatus for the method
JP2002240032A (en) Granul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