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6279B1 -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 Google Patents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279B1
KR102076279B1 KR1020180091229A KR20180091229A KR102076279B1 KR 102076279 B1 KR102076279 B1 KR 102076279B1 KR 1020180091229 A KR1020180091229 A KR 1020180091229A KR 20180091229 A KR20180091229 A KR 20180091229A KR 102076279 B1 KR102076279 B1 KR 102076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ixing
fixing pin
holder
ten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황
채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Priority to KR102018009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279B1/ko
Priority to JP2021506256A priority patent/JP7266323B2/ja
Priority to CN201980050010.7A priority patent/CN112512464B/zh
Priority to US17/265,651 priority patent/US11369383B2/en
Priority to EP19848559.1A priority patent/EP3834784B1/en
Priority to PCT/KR2019/001318 priority patent/WO202003233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2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or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4Material properties low friction
    • A61B2017/00845Material properties low friction of moving part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2End-to-end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61B2017/12018Elastic band l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7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with a frangible part, e.g. by reduced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4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2005/4455Implan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2005/4486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with operable locking 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Endoscopes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일정 장력을 통해, 밴드를 고정하고 있는 홀더를 당김으로써, 밴드를 이상적인 길이로 창자 외측면에 감을 수 있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창자 외측면에 감겨 있는 밴드를 일정 장력으로 당김으로써, 밴드를 이상적인 길이까지 조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창자 외측면에 이상적인 길이로 감겨진 밴드가 고정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BAND TIGHTENING APPARATUS FOR INTESTINAL BINDING}
본 발명은 밴드 조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이상적으로 창자에 밴드를 바인드할 수 있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이며 대부분 대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다. 선암 이외에도 드물게 편평상피암, 악성 림프종, 악성육종, 악성칼시노이드 종양 등이 발견되며, 때로는 주위 장기의 암이 대장을 침습하거나 다른 부위에 생긴 암이 대장으로 전이되어 오기도 한다. 선암의 대부분은 선종인 양성 종양(폴립, 용종)이 진행되어 발생한다.
이러한 대장암은 변병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행, 하행 결장암과 직장암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행결장암에 비해서는 하행결장암이, 하행 결장암에 비해서는 직장암의 발병율이 높다. 이는 췌장효소의 영향으로 아래로 갈수록 덜 받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장 수술은 발병부위 상하단부를 절개하고 정상부위를 연결, 봉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수술 후 문합부위에서 발생하는 누출(leakage)은 수술 후 심각한 합병증을 야기하며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 문합부 협착을 일으키며 환자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킨다.
대장 수술 후 누출 발생 빈도는 약 8%~25%로 매우 높은 수치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수술 후 회복기를 거쳐 정상적인 배변활동이 가능한 결장암 환자들과는 달리 가장 발병율이 높은 직장암은 항문을 살리더라도 항문에 인접한 부위까지 제거하기 때문에 수술 후 회복을 하더라도 정상적인 배변활동에 심한 장애가 따른다.
이러한 문합부 누출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시행하는 일시적 장루(복부인공항문)는 대장의 연동운동으로 인해 상시로 변이 누출되기 때문 배변용 변수집봉지를 항시 착용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활동성의 제한, 누수된 변으로 인한 악취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인공항문의 관리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방법이며 무엇보다도 누수된 변으로 인한 악취, 주위사람들의 편견, 활동성의 제한, 일반의복 착용시 불편함 등의 원인으로 상당수의 환자가 극심한 정신적인 고통을 받고 있어,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근에는 변우회를 위한 인공장관기가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인공장관기는 장관부 튜브와 한 쌍의 고정부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장관 내부에 인공장관기를 삽입하고, 장관 바깥에서 고정부 튜브 사이를 장관과 함께 장관 밴드로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인공장관기의 사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공장관기를 장관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며, 고정에 의해 장관의 괴사가 일어나지 않아야 하고, 일정한 시기가 경과하면 제거가 용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생분해성 밴드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생분해성 밴드는 상기 고정부 튜브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인공장관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있어야 하고, 연동운동에도 변형이나 느슨함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또한 고정에 의해 장관의 괴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하므로 소정의 길이로 적정한 텐션을 가지도록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생분해성 밴드의 설치는 적정 길이로 추정된 생분해성 밴드를 수동으로 고정부 튜브 사이에서 장관의 둘레를 둘러서 봉합하여 이루어지거나, 일정한 길이에서 봉합이 가능하고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밴드설치기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는 환자에게 맞는 길이 즉, 적절한 텐션으로의 밴드의 공급이 용이하지 않으며, 수술시에 신속하게 환자에게 맞는 밴드로의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75584호(2003.02.27)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적절한 텐션으로 유지되는 밴드를 환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밴드와 밴드를 고정하는 고정핀 간에 이격 거리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창자 장벽의 혈행(혈액의 흐름)이 언제나 유지되는 밴드 조임을 제공할 수 있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기 설정된 장력에 의하여 고정핀이 홀더로부터 이탈하여 최적의 텐션을 밴드에 가하는 위치에 고정된 후, 의사가 어려움 없이 여분의 필요 없는 밴드부분을 잘라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밴드 조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밴드, 상기 밴드의 일측단부가 통과하도록 관통부가 형성된 고정핀, 상기 고정핀이 결합 및 이탈 가능하고, 상기 밴드의 일측단부가 고정 가능한 홀더 및 상기 홀더를 이동시키는 당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밴드는 타측단부가 창자의 외측면을 감싼 후,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홀더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당김 부재는 상기 고정핀과 상기 밴드 간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가 되도록, 상기 홀더를 상기 당김 부재 내측으로 당길 수 있다.
상기 당김 부재는 걸림쇠가 이동하도록 가이드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양측면에 고정핀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 고정부는 상기 당김 부재에 의한 장력이 상기 고정핀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핀에서 이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밴드의 양측단부를 고정시키는 밴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밴드가 상기 당김 부재 내측으로만 이동하도록 밴드의 이동 방향을 고정시키는 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거리는 3mm 내지 7mm 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로는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일면은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로는 상기 걸림쇠가 이동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당김 부재는 내부에 상기 걸림쇠가 상기 홀더를 당기는 장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로는 내측면에 고저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 고정부는 상기 고정핀의 양측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고정핀을 고정하되, 상기 홀더가 상기 당김 부재 내측으로 당겨지면서 장력이 상기 고정핀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핀의 양측면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상기 밴드는 양측단부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밴드 고정부는 상기 홈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홈이 끼워지면서 상기 밴드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고정핀 내측으로 돌출되어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밴드가 상기 당김 부재 내측으로 움직이며, 상기 당김 부재 외측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밴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에 의하면, 적절한 텐션으로 유지되는 밴드를 환자에게 공급할 수 있고, 밴드와 밴드를 고정하는 고정핀 간에 이격 거리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창자의 이완 및 수축 그리고 완전한 혈행을 가능하게 하는 밴드 조임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장력에 의하여 고정핀이 홀더로부터 이탈하여 의사가 어려움없이, 고정핀 밖의 필요없는 여분의 밴드를 자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밴드, 고정핀 및 홀더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핀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당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당김 부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당김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당김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걸림쇠, 압력 센서, 나사선 형성부, 기어, 이탈 방지부 및 동력 발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가이드로 내측면에 형성된 고저차, 고정핀의 높이 및 홀더의 높이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가이드로 내측면에 형성된 고저차, 고정핀의 높이 및 홀더의 높이를 비교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고정핀이 고정핀 고정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 및 기준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창자의 수축 및 이완에 따른 밴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로에 마찰 방지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밴드(10)는 장 밴드, 보조 밴드, 생 분해 띠, 생 분해성 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밴드(10)는 장 밴드, 보조 밴드, 생 분해 띠, 생 분해성 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장 밴드 및 보조 밴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장 밴드 및 보조 밴드의 조합인 경우, 따로 놀지 않도록 고정 걸개로 부분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장 밴드 및 보조 밴드의 조합인 경우, 창자의 외측면과 접하는 부분에 보조 밴드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장 밴드는 원사를 이용하여 직조된 형태로, 창자를 고정하고 있을 때 풀리지 않아야 하고, 최소한의 인장강도를 가지면서 대장의 연동운동으로도 변형이 없어야 하며, 대장의 외벽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일정 기간 후 생분해되는 재질로 형성되게 된다. 보통 메쉬 형태의 생분해성 봉합사 등을 사용하여 직조되어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보조 밴드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며, 미끄럽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이러한 장밴드 및 보조밴드는 텐션을 가하면서 당길 때 늘어지면서 어느 텐션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끊어지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어느 텐션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끊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밴드, 고정핀 및 홀더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밴드(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는 양측단부에 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밴드(10)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홈(11)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밴드(10)는 일측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단부가 창자의 외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100)은 밴드(10)의 일측단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부(120)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관통부(120)는 밴드(10)의 타측단부가 통과할 수 있다. 즉, 밴드(10)의 타측단부는 창자의 외측면을 감싼 후, 관통부(120)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홀더(200)는 고정핀(100)과 결합할 수 있고, 고정핀(10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홀더(200)는 양측면에 고정핀 고정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 고정부(250)는 탄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핀 고정부(250)는 고정핀(100)의 양측면을 가압함으로써, 고정핀(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홀더(200)가 당겨지면서 장력이 고정핀(100)에 가해지는 경우, 고정핀 고정부(250)는 수직으로 고정핀(100)을 가압함으로써, 고정핀(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핀 고정부(250)가 고정핀(100)을 가압하는 힘보다 강한 장력이 홀더(200)에 가해지는 경우, 고정핀 고정부(250)는 고정핀(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홀더(200)는 고정핀(10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핀 고정부(250)가 가압하는 고정핀(100)의 양측면은 고정핀 고정부(250)와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11)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핀 고정부(250)가 부드럽게 이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더(200)는 밴드(10)의 일측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홀더(200)는 밴드(10)의 타측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홀더(200)는 창자의 외측면을 감싼 후, 관통부(120)를 통과한 밴드(10)의 타측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홀더(200)는 밴드(10)의 양측단부를 고정시키는 밴드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홀더(200)는 제1홀더 케이스(210)와 제2홀더 케이스(220)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홀더(200) 내부에 밴드 고정부(2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 고정부(240)는 밴드(1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홈(11)에 대응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가 홈(11)을 끼움으로써, 밴드 고정부(240)는 밴드(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밴드 고정부(240)는 제1밴드 고정부(241) 및 제2밴드 고정부(242)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밴드 고정부(241) 및 제2밴드 고정부(242)는 밴드(10)의 홈(11)에 대응하도록 돌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밴드 고정부(240)가 제1밴드 고정부(241) 및 제2밴드 고정부(242)로 구현됨으로써, 보다 강하게 밴드(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홀더(200)는 후술할 걸림쇠(330)가 걸릴 수 있는 걸림쇠 걸림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쇠 걸림부(230)는 걸림쇠(330)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밴드(10)가 삽입되는 홀더(200)의 일면이 아닌 홀더(20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핀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고정핀(100)은 고정핀 케이스(110) 및 관통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 케이스(110)의 양측면에는 고정핀 고정부(250)와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부(120)는 고정핀 케이스(110)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관통부(120)는 밴드(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부(120)의 내측면에는 밴드(10)가 특정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밴드(10)의 이동 방향을 고정시키는 고정 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돌기(121)는 관통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 돌기(121)는 밴드(10)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 돌기(121)의 경사면은 넘어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밴드(10)가 고정 돌기(121)의 경사면을 넘어간 이후, 그 반대 방향인 타측으로 이동하려는 경우,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된 돌기에 밴드(10)가 걸림으로써,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 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돌기(121)는 밴드(10)가 후술할 당김 부재(300) 내측으로만 이동하고, 당김 부재(300) 외측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밴드(10)의 이동 방향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밴드(10)의 일측단부가 고정핀(100)을 통과하여 홀더(200)에 고정될 수 있고, 밴드(10)의 타측단부는 창자(1)의 외측면을 감싼 후, 고정핀(100)을 통과하여 홀더(200)에 고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당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당김 부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당김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당김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걸림쇠, 압력 센서, 나사선 형성부, 기어, 이탈 방지부 및 동력 발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당김 부재(300)는 홀더(200)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홀더(200)를 당김 부재(3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고정핀(100)이 홀더(20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당김 부재(300)는 고정핀(100)에도 장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당김 부재(300)는 본체(310) 및 가이드로(320)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당김 부재(300)는 고정핀(100)과 밴드(10) 간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가 되도록 홀더(200)를 당김 부재(300) 내측으로 당길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거리는 3mm 내지 7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mm일 수 있다. 즉, 기준 거리는 5mm에서 ±2mm의 오차를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기준 거리는 창자(장관) 내에 존재하는 변 우회용 장관 관리기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창자(장관) 내에 존재하는 변 우회용 장관 관리기의 외경에 대응하여, 창자(장관)의 외경이 상이해지기 때문에, 변 우회용 장관 관리기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기준 거리가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창자(장관) 내에 존재하는 변 우회용 장관 관리기의 외경이 22mm인 경우, 1000gmN 내지 2000gmN의 장력을 가했을 때, 기준 거리에 해당하는 고정핀(100)과 밴드(10) 간의 이격 거리를 3mm 내지 7mm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거리는 장관 관리기의 외경에 대응하여 가감이 있을 수 있다.
이는 창자의 이완 및 수축 그리고 혈행을 고려하여 밴드(10)를 감기 위하여 설정된 것이다.
또한, 당김 부재(300)는 기 설정된 장력을 홀더(200)에 가하는 경우, 추가로 장력을 홀더(200)에 가하지 않고, 후술할 걸림쇠(330)를 원 위치로 돌릴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당김 부재(300)의 본체(310) 및 가이드로(320)는 하우징으로써, 본체(310) 및 가이드로(320)가 분리되어 하우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체(310) 및 가이드로(320)가 일체되어 하우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이드로(320)는 걸림쇠(3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로(320)는 일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개방된 일면의 외측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당김 부재(300)가 당김 부재(300) 내측으로 홀더(200)를 당김으로써, 밴드(10)와 곡면으로 형성된 일면이 맞닿는 경우에, 창자의 형태를 고려한 것이다.
즉, 창자의 외측면은 곡면으로써, 밴드(10)의 외측면 또한 곡면으로 형성될 것으며, 밴드(10)의 외측면과 맞닿는 가이드로(320)의 일면 또한 곡면으로 형성되어야 창자의 외측면에 손상이 생기거나, 밴드(10)의 외측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쇠(330)는 단부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걸림쇠(330)의 단부는 상술한 걸림쇠 걸림부(230)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쇠(330)의 단부가 곡선으로써, 갈고리 형태인 경우, 가이드로(320)는 길이 방향으로 타면이 개방되어 걸림쇠 이동 가이드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310)의 외측면에는 당김 부재(3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34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가압부(350)를 통해 전원부(370)의 스위치를 on/off 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350)를 누름으로써, 당김 부재(300)가 홀더(200)를 당김 부재(300) 내측으로 당길 수 있다.
그리고 본체(310)의 외측면에는 윈도우부(38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윈도우부(380)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380)를 통해서 사용자는 이탈 방지 돌기(334)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당김 부재(300)가 어느 정도로 홀더(200)를 당겼는지, 즉 당김 부재(300)가 어느 정도로 밴드(10)를 당겼는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310)의 외측면에는 표시부(38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시부(381)는 현재 당김 부재(300)가 가하고 있는 장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후술할 압력 센서(331)가 측정한 홀더(200)를 당기는 장력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어느 정도의 장력이 가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표시부(381)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작부(340)가 발생시킨 전기적 신호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조작부(340)에 의해 홀더(200)에 가해지는 장력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경우, 해당 증가 또는 감소되는 장력에 대하여 표시부(381)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현재 전원부(370)의 배터리 잔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340)는 홀더(200)에 가해질 특정 장력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해당 특정 장력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도록 홀더(200)에 장력이 가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설정된 장력에 의하여 홀더(200) 및 고정핀(300)이 분리될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 및 장력으로 밴드(10)를 창자 외측면에 감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이드로(320) 내부에는 걸림쇠(3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310) 내부에는 압력 센서(331), 나사선 형성부(332), 이탈 방지부(333), 이탈 방지 돌기(334), 기어(335), 동력 발생부(360) 및 전원부(37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쇠(330)는 홀더(200)의 걸림쇠 걸림부(230)에 걸리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331)는 걸림쇠(330)가 홀더(200)를 당기는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센서(331)는 걸림쇠(330)가 홀더(200)를 당기는 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곳에 배치되는 것으로, 본체(310) 내부 어디에도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압력 센서(331)가 걸림쇠(330)와 나사선 형성부(332)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압력 센서(331)의 배치가 걸림쇠(330) 및 나사선 형성부(33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력 센서(331)의 일면에는 걸림쇠(3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331)의 타면에는 나사선 형성부(33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선 형성부(332)의 외측면에는 기어(335)가 배치될 수 있고, 나사선 형성부(332)의 일측으로 이탈 방지부(333)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어(335)의 내측면은 나사선 형성부(332)의 나사선과 대응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어(335)의 외측면은 동력 발생부(360)의 동력 전달부와 대응하도록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동력 발생부(360)는 전원부(370)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발생시킨 동력을 동력 전달부를 통해 기어(335)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기어(335)는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나사선 형성부(33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나사선 형성부(332)는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걸림쇠(330)를 당김으로써, 장력을 홀더(200)에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동력 발생부(360)가 발생시킨 동력으로써, 홀더(200)에 장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탈 방지부(333)의 표면에는 이탈 방지 돌기(334)가 형성되어 기어(33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기어(335)의 과도한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걸림쇠(330)가 홀더(200)에 과도한 장력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걸림쇠(330)가 장력을 홀더(200)에 가할 때, 압력 센서(331)는 기 설정된 장력과 대응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동력 발생부(360)는 걸림쇠(330)를 원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걸림쇠(330)를 원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기어(335) 및 나사선 형성부(332)가 전달받고, 걸림쇠(330)는 해당 동력을 통해 원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걸림쇠(330)가 기 설정된 장력을 홀더(200)에 가하는 경우까지, 걸림쇠(330)는 홀더(200)에 장력을 가할 수 있으며, 걸림쇠(330)가 기 설정된 장력을 홀더(200)에 가하는 경우, 걸림쇠(330)는 홀더(200)에 더 이상 장력을 가하지 않으며, 걸림쇠(330)는 홀더(200)에 장력을 가하기 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사가 밴드(10)를 보다 편하게 자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밴드(10)가 창자(1)의 외측면을 감싼 후, 고정핀(100)을 통과하여, 홀더(200)에 고정된 상태로서, 홀더(200)에 형성된 걸림쇠 걸림부(230)에 결림쇠(330)가 걸려진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걸림쇠 걸림부(230)에 걸린 걸림쇠(330)가 장력을 홀더(200)에 가함으로써, 밴드(10), 고정핀(100) 및 홀더(200)를 당기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걸림쇠 걸림부(230)에 걸린 걸림쇠(330)가 장력을 홀더(200)에 가함으로써, 밴드(10), 고정핀(100) 및 홀더(200)를 당기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가이드로 내측면에 형성된 고저차, 고정핀의 높이 및 홀더의 높이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가이드로 내측면에 형성된 고저차, 고정핀의 높이 및 홀더의 높이를 비교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고정핀이 고정핀 고정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도 15의 (a) 및 도 16은 가이드로(320)의 내측면에 고저차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l1은 가이드로(320)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의 높이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 15의 (b) 및 도 16의 l2는 홀더의 높이를 의미하며, 도 15의 (c) 및 도 16의 l3은 고정핀(100)의 높이를 의미한다.
즉, 가이드로(3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저차가 반영된 가이드로(320) 내부의 수납 공간의 높이에 비하여, 홀더(200)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홀더(200)는 가이드로(320) 내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수납될 수 있지만, 고정핀(100)의 높이는 수납 공간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수납 공간에 수납될 수 없으며, 가이드로(3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저차에 의하여 생성된 걸림턱에 걸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도 17은 고정핀 고정부(250)가 고정핀의 오목부(1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걸림쇠(330)가 걸림쇠 걸림부(230)에 걸려 홀더(200)를 당김 부재(300) 내측으로 당길 때, 밴드(10), 고정핀(100) 및 홀더(200)에는 장력이 가해질 것이다.
이 경우, 가이드로(320)의 내측으로 밴드(10), 고정핀(100) 및 홀더(200)는 이동될 것이며, 홀더(200)는 가이드로(320)의 수납 공간에 수납될 것이다. 그러나 고정핀(100)은 수납 공간에 수납될 수 없으므로 걸림턱에 걸려질 것이고, 당김 부재(300) 내측으로 고정핀(100)에 계속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고정핀(100)의 양측면을 고정핀 고정부(250)가 수직으로 가압하는 하는 힘보다 장력이 강해지는 시점이 발생할 것이다. 그 때, 고정핀 고정부(250)는 오목부(111)로부터 이탈함으로써, 고정핀(100)과 홀더(200)는 분리될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 및 기준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8은 고정핀(100)의 양측면을 고정핀 고정부(250)가 수직으로 가압하는 하는 힘보다 당김 부재(300) 내측으로 고정핀(100)에 가해지는 장력이 강한 경우, 고정핀 고정부(250)가 오목부(111)로부터 이탈하여, 홀더(200)는 가이드로(320) 내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며, 고정핀(100)이 걸림턱에 걸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8을 참고하면, 홀더(200)가 가이드로(320) 내부의 수납 공간으로 수납되는 과정에서 밴드(10) 또한 당김 부재(300) 내측, 즉, 가이드로(320) 내측으로 당겨지는바, 창자(1)의 외측면을 감싼 밴드(10) 부분에는 일정 텐션이 가해지며, 이를 통해 밴드(10)가 창자(1)의 외측면에 대응하도록 조여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9의 경우, 고정핀(100)과 밴드(10) 간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A)가 되도록 당김 부재(300) 내측으로 홀더(200)를 당긴 것을 나타낸 것이며, 여기서 기준 거리(A)는 밴드(10)의 외측면과 고정핀(100) 간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거리(A)는 상술하였듯이 3mm 내지 7mm일 수 있으며, 이는 창자(1)의 이완 및 수축을 고려하여 밴드(10)를 감기 위하여 설정된 것이다.
또한, 상술하였듯이 가이드로(320)의 개방된 일면의 외측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바, 당김 부재(300) 내측으로 홀더(200)를 당김으로써, 가이드로(320)의 개방된 일면과 창자(1)의 외측면에 감겨진 밴드(10)의 외측면과 맞닿더라도, 밴드(10)의 외측면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도이다.
도 20은 창자(1)에 밴드(10)가 이상적인 텐션으로 감겨져서, 고정핀(100) 및 홀더(200)가 이탈하고, 걸림쇠 걸림부(230)로부터 걸림쇠(330)가 이탈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핀(100) 및 홀더(200) 사이에 남겨진 밴드(10)를 컷팅하여 창자(1) 외측면에 밴드(10)가 이상적인 텐션으로 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은 고정핀(100) 및 홀더(200) 사이에 남겨진 밴드(10)를 컷팅한 이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면, 고정핀(100)에 의해 밴드(10)가 창자(1) 외측면에 고정된 후, 밴드(10)의 특정 부위(고정핀(100)과 홀더(200)사이)를 가위 또는 초음파 절삭기 등으로 잘라줄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창자의 수축 및 이완에 따른 밴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고할 때, 창자(1)는 수축 및 이완하는바, 만약 기준 거리가 없이 밴드(10)를 창자(1) 외측면에 감은 경우, 창자(1)가 수축 및 이완하는 과정에서 밴드(10)의 이상적인 텐션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하였듯이, 고정핀(100)과 밴드(10) 간의 이격 거리가 3mm 내지 7mm의 기준 거리(A)가 되도록 당김 부재(300) 내측으로 홀더(200)를 당김으로써, 창자(1) 외측면에 이상적인 텐션으로 밴드(10)가 감겨지도록 할 수 있으며, 창자(1)가 이완하는 경우에도 고정핀(100)과 밴드(10) 간에 형성된 기준 거리에 의하여, 밴드(10)의 이상적인 텐션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2의 (a)는 창자(1)가 수축된 경우에 밴드(10)가 창자(1)의 외측면에 감겨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2의 (b)는 창자(1)가 이완된 경우에 밴드(10)가 창자(1)의 외측면에 감겨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로에 마찰 방지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a)는 가이드로(320)에 마찰 방지부(321)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b)는 가이드로(320)에 마찰 방지부(321)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c)는 가이드로(320)에 마찰 방지부(321)가 설치되어 밴드(10)와 가이드로(320) 간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작동 예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로(320)는 일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개방된 일면의 외측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개방된 일면의 외측 표면에 마찰 방지부(3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 방지부(321)는 바퀴 또는 요철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밴드(10)의 외측면과 가이드로(320)의 일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마찰 방지부(321)의 경우, 하나 이상이 설치되면 되는 것으로, 도 23에 도시된 것처럼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밴드(10)의 외측면과 가이드로(320)의 일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밴드(10)에 텐션이 추가로 증가하여 창자 외측면의 조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태에서 정지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밴드 11: 홈
100: 고정핀 110: 고정핀 케이스
111: 오목부 120: 관통부
121: 고정 돌기 200: 홀더
210: 제1홀더 케이스 220: 제2홀더 케이스
230: 걸림쇠 걸림부 240: 밴드 고정부
241: 제1밴드 고정부 242: 제2밴드 고정부
250: 고정핀 고정부 300: 당김 부재
310: 본체 320: 가이드로
321: 마찰 방지부 330: 걸림쇠
331: 압력 센서 332: 나사선 형성부
333: 이탈 방지부 334: 이탈 방지 돌기
335: 기어 340: 조작부
350: 가압부 360: 동력 발생부
370: 전원부 380: 윈도우부
381: 표시부

Claims (14)

  1.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밴드;
    상기 밴드의 일측단부가 통과하도록 관통부가 형성된 고정핀;
    상기 고정핀이 결합 및 이탈 가능하고, 상기 밴드의 일측단부가 고정 가능한 홀더;및
    상기 홀더를 이동시키는 당김 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밴드는
    타측단부가 창자의 외측면을 감싼 후,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홀더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부재는
    상기 고정핀과 상기 밴드 간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가 되도록, 상기 홀더를 상기 당김 부재 내측으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부재는
    걸림쇠가 이동하도록 가이드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양측면에 고정핀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 고정부는
    상기 당김 부재에 의한 장력이 상기 고정핀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핀에서 이탈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밴드의 양측단부를 고정시키는 밴드 고정부;
    를 포함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밴드가 상기 당김 부재 내측으로만 이동하도록 밴드의 이동 방향을 고정시키는 고정 돌기;
    를 포함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거리는
    3mm 내지 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는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일면은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는
    상기 걸림쇠가 이동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부재는
    내부에 상기 걸림쇠가 상기 홀더를 당기는 장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는
    내측면에 고저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고정부는
    상기 고정핀의 양측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고정핀을 고정하되, 상기 홀더가 상기 당김 부재 내측으로 당겨지면서 장력이 상기 고정핀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핀의 양측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양측단부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밴드 고정부는
    상기 홈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홈이 끼워지면서 상기 밴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고정핀 내측으로 돌출되어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밴드가 상기 당김 부재 내측으로 움직이며, 상기 당김 부재 외측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밴드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KR1020180091229A 2018-08-06 2018-08-06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Active KR102076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229A KR102076279B1 (ko) 2018-08-06 2018-08-06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JP2021506256A JP7266323B2 (ja) 2018-08-06 2019-01-31 腸管バインドのためのバンド締め付け装置
CN201980050010.7A CN112512464B (zh) 2018-08-06 2019-01-31 用于捆扎肠的带束紧装置
US17/265,651 US11369383B2 (en) 2018-08-06 2019-01-31 Band tightening apparatus for binding intestine
EP19848559.1A EP3834784B1 (en) 2018-08-06 2019-01-31 Band tightening apparatus for binding intestine
PCT/KR2019/001318 WO2020032334A1 (ko) 2018-08-06 2019-01-31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229A KR102076279B1 (ko) 2018-08-06 2018-08-06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279B1 true KR102076279B1 (ko) 2020-02-11

Family

ID=6941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229A Active KR102076279B1 (ko) 2018-08-06 2018-08-06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69383B2 (ko)
EP (1) EP3834784B1 (ko)
JP (1) JP7266323B2 (ko)
KR (1) KR102076279B1 (ko)
CN (1) CN112512464B (ko)
WO (1) WO2020032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238B1 (ko) * 2017-08-08 2019-07-30 김재황 자동 텐션 측정기
CN112168270B (zh) * 2020-11-05 2023-08-08 新疆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血管结扎装置和血管结扎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1733A1 (de) * 1997-06-09 1998-12-10 Arnold Dipl Ing Dr Med Pier Laparoskopisch einsetzbares Magenband
KR20020042634A (ko) * 1999-08-05 2002-06-05 리샤르 깡쎌 위 협착 밴드 원격제어장치
KR100375584B1 (ko) 2000-10-10 2003-03-08 김재황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 관리기
EP1747770A1 (en) * 2005-07-28 2007-01-31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oactive polymer actuated gastric band
JP2015523144A (ja) * 2012-07-06 2015-08-13 リソーバブル・デバイシズ・アクチボラグ 組織結紮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7378A (en) * 1994-09-02 1998-01-13 Sam S. Ah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neurysm repair
IL129032A (en) 1999-03-17 2006-12-31 Moshe Dudai Stomach strap
BR0210263A (pt) * 2002-04-09 2004-07-20 Jae Hwang Kim Dispositivo de desvio fecal interno
US7879068B2 (en) 2005-01-14 2011-02-01 Ethicon Endo-Surgery, Inc. Feedback sensing for a mechanical restrictive device
US20070185373A1 (en) 2006-02-03 2007-08-09 Ethicon Endo-Surgery, Inc. Gastric band introduction device
US20090149876A1 (en) * 2007-12-06 2009-06-11 Manoj Patel Surgical clamp and method of clamping an organ
CN102245114B (zh) * 2008-12-02 2013-12-11 伊西康内外科公司 用于中空器官切除和闭合的装置
US8617049B2 (en) * 2009-09-18 2013-12-31 Ethicon Endo-Surgery, Inc. Symmetrical drive system for an implantable restriction device
MX2013003943A (es) * 2010-10-11 2013-07-29 Ideal Ind Dispositivos de amarre de lazada de cables y metodos para usar los mismos.
KR20140022270A (ko) 2012-08-14 2014-02-24 정으뜸어진 인체 내장형 인공 배변장치
CN205831844U (zh) * 2016-01-07 2016-12-28 王劲 一次性管型内脏捆扎提拉器
KR101649351B1 (ko) * 2016-04-12 2016-08-18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인공장관 고정을 위한 생분해성 메쉬 밴드
KR101918685B1 (ko) 2016-09-27 2018-11-14 주식회사 엔도비전 인공 장관 관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1733A1 (de) * 1997-06-09 1998-12-10 Arnold Dipl Ing Dr Med Pier Laparoskopisch einsetzbares Magenband
KR20020042634A (ko) * 1999-08-05 2002-06-05 리샤르 깡쎌 위 협착 밴드 원격제어장치
KR100375584B1 (ko) 2000-10-10 2003-03-08 김재황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 관리기
EP1747770A1 (en) * 2005-07-28 2007-01-31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oactive polymer actuated gastric band
JP2015523144A (ja) * 2012-07-06 2015-08-13 リソーバブル・デバイシズ・アクチボラグ 組織結紮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12464A (zh) 2021-03-16
JP2021531926A (ja) 2021-11-25
EP3834784A1 (en) 2021-06-16
JP7266323B2 (ja) 2023-04-28
CN112512464B (zh) 2022-12-16
EP3834784A4 (en) 2022-05-04
EP3834784B1 (en) 2025-03-19
US11369383B2 (en) 2022-06-28
US20210307757A1 (en) 2021-10-07
WO2020032334A1 (ko)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20879A1 (en) Endoluminal sleeve gastroplasty
US11559300B2 (en) Endoluminal sleeve gastroplasty
US805738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hollow organ volume
AU2015329518B2 (en) Endoluminal sleeve gastroplasty
KR102076279B1 (ko)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JP5474984B2 (ja) 脱出の外科手術のための装置
MX2007001508A (es) Dispositivo de introduccion de banda gastrica.
BRPI0704536B1 (pt) "Instrumento endoscópico a ser usado com um endoscópio"
US20110245860A1 (en) Methods to size a gastric pouch
US8236022B2 (en) Implantable device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RU2718320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стяжения кожи
JP2015503419A (ja) 結腸内視鏡検査用の張力圧縮方法および装置
EP2635235B1 (en) Preformed gastric band
CN110996832B (zh) 用于人造肠道系统的肠带
BR112015023344B1 (pt) Dispositivo para intermitentemente obstruir uma abertura gástrica; e método de reconfiguração instalação de um dispositivo de oclusão
HK40050803A (en) Band tightening apparatus for binding intestine
CN119949911A (zh) 胃肠外科用结直肠固定牵出辅助装置
FR2805731A1 (fr) Ecarteur hamac pour anse intestinale a l'usage de video-cuelio-chirurg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5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1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