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416B1 - Dc-dc 컨버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Dc-dc 컨버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5416B1 KR102075416B1 KR1020180083100A KR20180083100A KR102075416B1 KR 102075416 B1 KR102075416 B1 KR 102075416B1 KR 1020180083100 A KR1020180083100 A KR 1020180083100A KR 20180083100 A KR20180083100 A KR 20180083100A KR 102075416 B1 KR102075416 B1 KR 1020754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pulse
- voltage
- unit
- pum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DC-DC 컨버터의 실시예이다.
도 3은 도 1의 레귤레이션부의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부의 실시 예이다.
도 5는 도 4의 검출기의 일 예이다.
도 6은 램프신호와 펌프전압에 대한 펄스신호의 일 실시 예이다.
도 7은 램프신호와 펌프전압에 대한 펄스신호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8은 램프신호와 펌프전압에 대한 펄스신호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C-DC 컨버터의 실시 예이다.
도 11은 도 9의 디지털보상부의 실시 예이다.
도 12는 도 11의 판단부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 예이다.
도 13은 도 11의 판단부의 동작에 대한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4는 도 9의 DC-DC 컨버터의 DCR 에러를 보정하는 타이밍 도이다.
도 15는 도 1의 DC-DC 컨버터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6은 도 9의 DC-DC 컨버터의 동작 순서도이다.
100: 펄스신호 생성부
200: 레귤레이션부
300: 제어부
310: 펄스폭제어부
311: EPC
312: 검출기
313: 펌프신호 생성기
314: 딜레이 유닛
320: 전하펌프부
400: 디지털보상부
410: 판단부
420: 클럭생성부
Claims (21)
-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 생성부;
상기 펄스신호 생성부로부터 출력받는 상기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입력전압과 접지에 대한 레귤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레귤레이션부; 및
상기 레귤레이션부의 출력전압 및 목표전압 사이의 전압차에 기초하여 업-다운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업-다운신호의 펄스폭이 일정크기 이상일 때, 상기 펄스신호의 듀티 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션부에 로드되는 로드전류가 과도응답상태로 판단될 때, 과도응답신호를 생성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로부터 출력받는 상기 과도응답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과도응답상태에서 발생한 DONE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DONE신호의 개수에 기초하여, 보상클럭을 생성하여 펌프신호 생성기에 제공하는 클럭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펄스폭이 일정크기 이상인 상기 업-다운신호의 업신호가 1이고, 다운신호가 0인 경우,
상기 펄스신호 중 상기 입력전압과 관련된 제1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증가시키고, 접지와 관련된 제2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감소시키는 DC-DC 컨버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펄스폭이 일정크기 이상인 상기 업-다운신호의 업신호가 0이고, 다운신호가 1인 경우,
상기 제1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는 DC-DC 컨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션부는, 상기 출력전압을 분할하여 상기 제어부에 분배전압을 인가하는 분배저항부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배전압과 기준전압에 대한 비교동작을 수행하는 EPC(Edge-pursuit comparator);
상기 업-다운신호 중 펄스폭이 일정크기 이상인 업-다운신호를 검출하여, 결정신호로 출력하는 검출기;
상기 결정신호에 기초하여, 펌프제어신호와 상기 DONE신호를 생성하는 펌프신호 생성기; 및
상기 DONE신호를 딜레이시켜 생성되는 리셋신호를 상기 EPC로 출력하는 딜레이유닛을 포함하는 DC-DC 컨버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PC의 비교동작에 대한 속도는, 상기 분배전압과 기준전압 사이의 전압차의 크기에 따라 증감되는 DC-DC 컨버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Power UP 회로와 Thyristor 기반의 회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전압을 기초로, 펌프전압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부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펌프부는, 상기 펄스폭이 일정크기 이상인 상기 업-다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펄스신호 생성부에 출력하는 DC-DC 컨버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전압과 비교되기 위한 램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펄스신호 생성부에 제공하는 램프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신호 생성부는, 상기 펌프전압과 상기 램프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펌프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는 DC-DC 컨버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DONE신호와 상기 리셋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로드전류에 대한 과도응답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DC-DC 컨버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리셋신호를 반전시킨 반전리셋신호와 상기 반전리셋신호를 단위지연시킨 딜레이신호가 상기 DONE 신호의 발생구간에서 하이(High)일 때, 상기 과도응답상태로 판단하는 DC-DC 컨버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반전리셋신호와 상기 딜레이신호 중 상기 딜레이신호가 상기 DONE 신호의 발생구간에서 로우(low)일 때, 안정상태로 판단하는 DC-DC 컨버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결정신호의 발생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로드전류에 대한 과도응답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DC-DC 컨버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결정신호의 발생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일 때, 상기 과도응답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결정신호의 발생속도가 일정속도 미만일 때, 안정상태로 판단하는 DC-DC 컨버터. - DC-DC 컨버터의 동작방법으로서,
펄스신호 생성부가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레귤레이션부가 상기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입력전압과 접지에 대한 레귤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레귤레이션 동작을 통해 출력된 출력전압 및 목표전압 사이의 전압차에 기초하여, 업-다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업-다운신호의 펄스폭이 일정크기 이상일 때, 상기 펄스신호의 듀티 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레귤레이션부에 로드되는 로드전류가 과도응답상태로 판단될 때, 판단부가, 과도응답신호를 생성하여 클럭생성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클럭생성부가 상기 과도응답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과도응답상태에서 발생한 DONE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DONE신호의 개수에 기초하여, 보상클럭을 생성하여 펌프신호 생성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의 동작방법. - 삭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펌프신호 생성기가 상기 과도응답신호에 응답하여, 펌프전압을 보상클럭에 따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의 동작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펄스신호 생성부가 상기 펌프전압과 램프신호에 따라, 제1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감소시키고, 제2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증가시는 단계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의 동작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증가시는 단계는, 상기 레귤레이션부가 제1 및 제2 펄스신호의 듀티 비의 변화에 따라, 레귤레이션 동작을 수행하여 인덕터전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의 동작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100A KR102075416B1 (ko) | 2018-07-17 | 2018-07-17 | Dc-dc 컨버터 및 그 동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100A KR102075416B1 (ko) | 2018-07-17 | 2018-07-17 | Dc-dc 컨버터 및 그 동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8883A KR20200008883A (ko) | 2020-01-29 |
KR102075416B1 true KR102075416B1 (ko) | 2020-02-10 |
Family
ID=6932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3100A Active KR102075416B1 (ko) | 2018-07-17 | 2018-07-17 | Dc-dc 컨버터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541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0350B1 (ko) * | 2019-04-23 | 2021-03-2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용량 배터리 보호 기능을 내장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1768B1 (ko) * | 2011-02-08 | 2013-04-05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디지털 펄스 폭 변조기 및 제어 방법 |
-
2018
- 2018-07-17 KR KR1020180083100A patent/KR102075416B1/ko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W. Jung. "Low-Power Energy Efficient Circuit Techniques for Small IoT Systems". University of Michigan. 2017.* |
정병건. "DC-DC 벅 컨버터의 빠른 과도 응답을 위한 엣지 추적 비교기를 사용한 차동 장치 지원 피드백 기법". 고려대 석사학위 논문. 2017.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8883A (ko) | 2020-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85858B2 (en) | DC/DC converter,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 |
US7733189B1 (en) | Oscillator comprising foldover detection | |
US9190909B2 (en) | Control device for multiphase interleaved DC-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9804621B2 (en) | Current-parking switching regulator downstream controller pre-driver | |
US7268448B2 (en) | Plural output switching regulator with phase comparison and delay means | |
US8049480B2 (en) | Comparator-system DC-DC converter | |
TWI677176B (zh) | 用於調節功率變換器中的一個或多個閾值的系統和方法 | |
US8994350B2 (en) | Load transient detection and clock reset circuit | |
US8836307B2 (en) | Voltage regulator and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generation method thereof | |
JP5860525B2 (ja) | 不連続モードdc−dcコンバータ | |
US11245323B2 (en) | Multi-phase power supply dynamic response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 |
US9231470B2 (en) | Control circuit, time calculating unit, and operating method for control circuit | |
US9847720B2 (en) | SIDO power converter operable in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1483386B (zh) | 直流转直流变换器 | |
US20200161968A1 (en) | Charge pump | |
KR102132402B1 (ko) | 이중모드 ldo 레귤레이터 및 그 동작 방법 | |
US11522448B2 (en) | Autonomous current sharing for power stages | |
KR102075416B1 (ko) | Dc-dc 컨버터 및 그 동작 방법 | |
US8970186B2 (en) | DC-DC converter with an auxiliary circuit for performing soft-switching | |
US10404177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 |
CN107196528A (zh) | 开关电源装置的控制方法和控制电路 | |
US20150381034A1 (en) | Charge Pump Device and Driving Capability Adjustment Method Thereof | |
US20160028309A1 (en) | Power source circuit | |
WO2017107193A1 (zh) | 低压差稳压器及电压调节方法 | |
CN106849647A (zh) | 同步降压型直流对直流转换器及其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