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5321B1 - 접이식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321B1
KR102075321B1 KR1020190169577A KR20190169577A KR102075321B1 KR 102075321 B1 KR102075321 B1 KR 102075321B1 KR 1020190169577 A KR1020190169577 A KR 1020190169577A KR 20190169577 A KR20190169577 A KR 20190169577A KR 102075321 B1 KR102075321 B1 KR 10207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s
leg
user
horizontal bar
walking a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우
오준영
김경문
Original Assignee
정현우
오준영
김경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우, 오준영, 김경문 filed Critical 정현우
Priority to KR1020190169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32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54Special bea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서 있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전방 좌우 및 후방 좌우에 위치하는 다수의 다리와; 상기 다리를 간격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다리가 최대한 벌어져 사용자의 전후방 좌우에 위치하게 하거나, 모든 다리가 서로에 대해 근접하여 좁혀져 한 곳으로 모아지게 하는 링크기구와; 일단부가 다리 상단부에 연결핀으로 연결되어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타단부가 이웃하는 다리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다수의 수평바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는, 네 개의 다리와 수평바를 하나로 모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접은 상태에서의 부피가 매우 작아 운반이나 보관 등의 취급이 간편하다.

Description

접이식 보행보조기{Foldable walking aid}
본 발명은 보행이 불편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한 접이식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병원이나 양로원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보행보조기는, 보행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등이 보행 시, 몸을 어느 정도 지탱할 수 있게 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보행보조기에는, 지팡이나 목발에서부터, 하단에 고무발이나 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워커(walker)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워커는, 사용자가 그 안에 들어가 양팔로 자신의 체중을 의탁한 채 밀면서 보행하는 구조를 가져, 하체의 수술을 마친 환자나, 자세 균형이 불안한 파킨슨 질환 환자의 재활 및 근육 훈련에도 많이 활용되며, 노화에 의해 보행이 어려운 노인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워커(이하, 보행보조기)는 사용하기에는 좋지만 접을 수 없어서 보관이나 운반이 번거롭다는 단점을 갖는다. 가령, 보행보조기 사용자가 원거리 이동할 때, 보행보조기를 차량에 실어야 하는데, 부피가 크기 때문에 싣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을 수 있는 형태의 보행보조기가 다양하게 개발되기도 하였다. 가령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815호에는, 팔받침과 캐스터가 장착된 바디의 양측이 절첩부에 의해 연결되어 펼쳐지거나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절첩보행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절첩보행기는, 사용자의 몸이 수용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되고 하단에 캐스터가 구비된 바디, 바디의 상단에 장착된 팔받침, 팔받침 및 캐스터에 장착되어 캐스터의 제동기능을 하는 제동부를 구비하고, 바디는 좌측과 우측에 나란히 배치된 측방프레임, 측방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측방프레임이 밀착되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절첩부로 구성되며, 팔받침은 측방프레임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바, 지지바에 수평으로 부착되어 전방부가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바, 절곡바와 전방종단부를 연결하여 회동하는 조인트, 절곡바의 상부에 부착된 쿠션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절첩보행기는, 벌어져 있는 좌우측 측방프레임의 간격 조절 정도만 가능하고, 실질적으로 부피를 줄이는 효과는 거의 없다. 더욱이 측방프레임을 겹치기 위해서는 팔받침을 떼거나 위치조절을 따로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815호 (절첩보행기)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6683호 (카트형 보행보조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26786호 (보행 보조차의 접철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네 개의 다리와 수평바를 하나로 모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접은 상태에서의 부피가 매우 작아 운반이나 보관 등의 취급이 간편한 접이식 보행보조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는, 서 있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전방 좌우 및 후방 좌우에 위치하는 다수의 다리와; 상기 다리를 간격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다리가 최대한 벌어져 사용자의 전후방 좌우에 위치하게 하거나, 모든 다리가 서로에 대해 근접하여 좁혀져 한 곳으로 모아지게 하는 링크기구와; 일단부가 다리 상단부에 연결핀으로 연결되어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타단부가 이웃하는 다리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다수의 수평바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다리는 직선 연장된 형태를 취하며, 네 개가 상호 평행한 상태로 서로에 대해 진퇴운동이 가능하고, 상단부에 고정구멍을 가지며, 상기 수평바는; 네 개의 다리 중 세 개의 다리 상단부에 연결핀을 통해 연결되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에 다른 연결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링크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보행보조기의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다리에 포개어지는 연장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핀이 구비된다.
아울러, 서 있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전방 좌우 및 후방 좌우에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로 사용자에게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각 단면의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고, 상부로 개방된 내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일정폭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네 개의 다리와; 상기 네 개의 다리 중 세 개의 다리 내부에 수용되며, 하단부에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진 주행돌기가 구비되고, 사용 시, 상기 수납공간부의 외부로 인출된 후 가이드홈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여 이웃 다리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수평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수평바와; 상기 다리를 간격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다리가 최대한 벌어져 사용자의 전후방 좌우에 위치하게 하거나, 모든 다리가 서로에 대해 근접하여 좁혀져 한 곳으로 모아지게 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네 개의 다리가 모아진 상태에서 다리에 체결되어 다리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다리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리고정수단은; 상기 다리를 통과시키는 사각구멍을 가지는 엽전형베어링과, 상기 엽전형베어링을 감싸며 회전 가능한 스위블홀더와, 상기 스위블홀더의 일측에 고정되는 경첩과, 상기 경첩을 통해 스위블홀더에 연결되고, 이웃하는 다리를 수용하는 홀딩홈을 가지는 연장바디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는, 네 개의 다리와 수평바를 하나로 모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접은 상태에서의 부피가 매우 작아 운반이나 보관 등의 취급이 간편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이식 보행보조기를 접은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접이식홀더의 구조를 별도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접이식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고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접이식 보행보조기를 접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리의 수납공간부 내에 측부수평바가 끼워진 모습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접이식 보행보조기를 접은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행보조기(10)는, 네 개의 다리(20), 다리 사이의 링크기구(30), 다리 상단부의 수평바를 포함한다.
다리(20)는 사각 단면을 갖는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네 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룬다. 다리(20)는 서로에 대해 최대한 이격된 상태로 사용자의 전방 좌우 및 후방 좌우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사용자공간(80)에 위치한 상태로 양손을 측부수평바(51)를 잡아 지지한다.
아울러 각 다리(20)는 고정부(21)와 연장부(22)를 갖는다. 연장부(22)는 고정부(21)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다. 고정부(21)에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걸림구멍(21a)이 형성되고, 연장부(22)에는 외측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는 탄력돌출핀(22a)이 구비된다. 탄력돌출핀(22a)은 다리(20)의 길이가 적절히 조절된 상태에서 자신의 앞에 있는 걸림구멍(21a)에 끼워져, 고정부(21)에 대한 연장부(22)의 돌출길이를 고정한다.
아울러 네 개의 다리(20) 중 두 개의 다리(20) 하단에는 휠(24)이 구비되고, 나머지 두 개의 다리(20) 하단에는 고무발(25)이 고정된다. 휠(24)이 위치한 방향이 전방이다. 휠(24)은 연장부(22) 하단에 고정되는 휠브라켓(24a)과, 휠브라켓(24a)에 구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휠본체(24b)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방에 위치한 두 개의 다리(20) 상단부에는 두 개씩의 상단힌지(21e)가 구비되고, 후방에 위치한 두 개의 다리(20) 상단부에는 한 개씩의 상단힌지(21e)가 위치한다. 상단힌지(21e)는 제1,2링크로드(31a,31b)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각 다리(20)에는 수직슬라이더(33)가 끼워져 있다. 수직슬라이더(33)도 사각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고정부(21)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다. 각 수직슬라이더(33)의 하단부에는 가동힌지(33a)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힌지(33a)는 제1링크로드(31a) 또는 제2링크로드(31b)의 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링크기구(30)는, 다리(20)를 간격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본 기능을 한다. 즉, 네 개의 다리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한 벌어져 사용자의 전방 및 후방 좌우에 위치하게 하거나, 도 4와 같이, 서로에 대해 최대로 근접하여 좁혀져 한 곳으로 모아지게 하는 기능을 한다. 다리를 좁혀 모아지게 하는 이유는, 보행보조기(10)를 휴대하거나 아니면 별도의 수납함에 보관하기 위함이다.
링크기구(30)는, 제1링크로드(31a)와 제2링크로드(31b) 및 중앙핀(32)을 갖는다. 제1,2링크로드(31a,31b)는 중앙부가 교차된 상태로 교차부분에 중앙핀(32)을 갖는다. 중앙핀(32)은 제1링크로드(31a)와 제2링크로드(31b)의 중앙부분을 연결시키며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링크로드(31a)의, 일단부는 일측 고정부(21)의 상단힌지(21e)에, 타단부는 이웃하는 다리(20)에 채워진 수직슬라이더(33)의 가동힌지(33a)에 링크된다. 또한 제2링크로드(31b)의 일단부는 수직슬라이더(33)의 가동힌지(33a)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이웃 다리(20)의 상단힌지(21e)에 링크된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다리(20)의 간격을 좁히기 시작하면, 링크기구(30)의 제1,2링크로드(31a,31b)가 교차 운동함과 동시에 수직슬라이더(33)가 하강한다. 마침내, 다리(20)의 간격을 완전히 좁히면 수직슬라이더(3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하강하여 있다. 이 상태에서 다리(20)의 간격을 다시 넓히면, 수직슬라이더(33)가 고정부(21)를 따라 슬라이딩 하며 상단힌지(21e)의 바로 아래까지 상승한다.
한편, 상기 수평바는, 일단부가 다리 상단부에 연결핀으로 연결되어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타단부가 이웃하는 다리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방에 위치한 두 개의 다리 상단부를 연결하는 전방수평바(52),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를 연결하는 두 개의 측부수평바(51)를 포함한다. 전방수평바(52)와 측부수평바(51)는 ㄷ자의 평면 형상을 제공하며 사용자를 받아들인다.
전방수평바(52) 및 측부수평바(5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다리(20)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방수평바(52) 및 측부수평바(51)를 제거할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20)를 하나로 모아 집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방수평바(52)는, 분절블록(52b)과 연장로드(52a)로 이루어진다. 분절블록(52b)과 연장로드(52a)는 연결핀(53)으로 링크되며 일직선을 이룬다. 연장로드(52a)는 분절블록(52b)에 대해 절곡 가능하다. 또한 분절블록(52b)은 다리(20) 상단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연결브라켓(21f)에 연결핀(53)으로 연결된다. 연결핀(53)은 일반적인 핀으로서 연결대상물을 링크시킴과 동시에 상대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연장로드(52a)의 자유단부에는 볼핀(54)이 장착된다. 볼핀(54)는, 연장로드(52a)를 관통하는 핀본체(54b), 핀본체(54b)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버튼(54a), 핀본체(54b)의 하단부 주연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걸림볼(54c)을 갖는다. 볼핀(54) 자체는 일반적인 접속용 기계요소이다.
아울러, 도 2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의 일측 다리(20) 상단부에는 일정 내경을 갖는 제1고정구멍(21c)과 받침탭(21b)이 마련되어 있다. 제1고정구멍(21c)은 전방수평바(52)의 볼핀(54)이 끼움 결합하는 구멍이다.
받침탭(21b)은 고정부(21)에 일체를 이루며 측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판으로서 제2고정구멍(21d)을 제공한다. 제2고정구멍(21d)은 제1고정구멍(21c)과 같은 크기를 갖는 관통구멍으로서, 측부수평바(51)의 볼핀(54)과 결합한다. 받침탭(21b)은 전방의 양측다리(20) 모두에 형성되어 있다.
측부수평바(51)도 전방수평바(5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측부수평바(51)는, 후방 다리의 상단부에 링크되는 분절블록(51b), 분절블록(51b)에 연결핀(53)으로 링크되는 연장로드(51a)를 포함한다. 아울러 연장로드(51a)의 자유단부에는 볼핀(54)이 구비된다. 양측 측부수평바(51)를 전방다리(20) 측으로 각각 회전시켜 볼핀(54)을 제2고정구멍(21d)에 끼움으로서 장착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10)는, 측부수평바(51)와 전방수평바(52)에 분절블록(51b,52b)이 각각 적용되어 있으므로, 볼핀(54)을 제1,2고정구멍(21c,21d)으로부터 분리한 후, 연장로드(51a,52a)를 반대방향으로 270도 회전시킬 수 있다. 말하자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m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켜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다리(20)의 옆에 나란히 붙여 놓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측부수평바(51)와 전방수평바(52)를 270도 회전시켜 다리(20) 옆에 포개고, 또한 다리(20)의 간격을 최대한 좁혀 오므리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팩트한 크기로 접혀 축소된다. 보행보조기(10)가 상기한 간단한 방식으로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보행보조기(10)를, 가령, 승용차의 트렁크에 쉽게 넣을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침대 밑이나 적절한 틈새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행보조기(1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접이식홀더의 구조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접이식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고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접이식 보행보조기를 접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다리의 수납공간부 내에 측부수평바가 끼워진 모습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행보조기(10)는, 네 개의 다리(61), 두 개의 측부수평바(63), 하나의 전방수평바(65), 링크기구(30), 다리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다리(61)는, 서 있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전방 좌우 및 후방 좌우에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로, 사용자공간(80)을 제공한다.
각각의 다리(61)는 사각 단면의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상부로 개방된 수납공간부(61c)를 제공한다. 수납공간부(61c)는 다리의 길이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공간으로서 바닥부에는 철편(도 10의 61f)을 구비한다. 철편(61f)은 측부수평바(63) 및 전방수평바(65)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자석(64)에 흡착되며, 수납공간부(61c)에 수납된 측부수평바(63)나 전방수평바(65)를 수납공간부(61c) 내부에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납공간부(61c) 내부의 마주하는 내벽면에는, 가이드홈(61b)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61b)은 일정폭을 가지며 수직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도 5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는 막혀 있다. 가이드홈(61b)은 측부수평바(63)나 전방수평바(65)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주행돌기(63a)가 끼워지는 홈이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61b)은, 다리(61)의 내벽면에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측부수평바(63)에 구비되어 있는 주행돌기(63a)가 가이드홈(61b)에 끼워진 상태로 주행한다.
상기 전방수평바(65)는, 수납공간부(61c)의 내부에 끼워지는 사각봉으로서, 하단부에는 주행돌기(65a)와 자석(64), 상단부에는 볼핀(54)을 갖는다. 전방수평바(65)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직으로 세워 다리(61) 내부에 수납시킨다. 이 때 자석(64)은 상기한 철편(61f)에 흡착 고정된다.
전방수평바(65)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힘을 가해 전방수평바(65)를 수직으로 당겨 올린 후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볼핀(54)이 상기 제1고정구멍(21c)에 결합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주행돌기(65a)는 가이드홈(61b)의 상단부에 걸려 하부로 이탈하지 않는다.
측부수평바(63)도 전방수평바(65)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리(61)의 수납공간부(61c)에 수납시킨다. 측부수평바(63)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측부수평바(63)를 다리(61)의 상부로 뽑은 후 받침탭(21b) 측으로 회전시켜 제2고정구멍(21d)에 결합시킨다. 이 때 주행돌기(63a)는 가이드홈(61b)의 상단부에 막혀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다리고정수단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개의 다리(61)가 모아진 상태에서 다리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접이식홀더(70)이다. 접이식홀더(70)는 전방 좌측 다리(61)에 두 개, 우측 다리(61)에 한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접이식홀더(70)는, 엽전형베어링(71), 스위블홀더(72), 경첩(74), 연장바디(73), 자석(75)을 갖는다. 엽전형베어링(71)은 다리(61)를 통과시키는 사각구멍(71a)을 가지는 베어링으로서 상기 스위블홀더(72)에 감싸인다. 엽전형베어링(71)의 외주면과 스위블홀더(72)의 내주면 사이에 베어링볼(미도시)이 내장됨은 물론이다.
스위블홀더(72)는 엽전형베어링(71)을 감싼 상태로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다. 스위블홀더(72)는 일측으로 연장되며 그 저면에 경첩(74)을 구비한다. 경첩(74)은 스위블홀더(72)에 연장바디(73)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바디(73)가 스위블홀더(72)에 대해 직각으로 꺽일 수 있게 한다.
연장바디(73)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으로서 측방향으로 개방된 홀딩홈(73a)을 제공한다. 홀딩홈(73a)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다리(61)를 수용 고정한다. 홀딩홈(73a)에 이웃 다리(61)가 고정되어 있는 이상, 엽전형베어링(71)이 끼워져 있는 다리와 이웃다리의 간격은 벌어지지 않는다.
아울러 자석(75)은, 접이식홀더(70)를 사용하지 않을 때 휠브라켓(24a)에 흡착되어, 접이식홀더(7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접이식홀더(70)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모습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블홀더(72)가 위아래로 포개어져 있고, 연장바디(73)는 하부로 꺾여 자석(75)을 통해 휠브라켓(24a)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접이식홀더(7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장바디(73)를 휠브라켓(24a)으로부터 분리한 후 접이식홀더(70)를 필요한 높이로 올린 다음 홀딩홈(73a)에 이웃 다리(61)를 끼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보행보조기 20:다리 21:고정부
21a:걸림구멍 21b:받침탭 21c:제1고정구멍
21d:제2고정구멍 21e:상단힌지 21f:연결브라켓
22:연장부 22a:탄력돌출핀 24:휠
24a:휠브라켓 24b:휠본체 25:고무발
30:링크기구 31a:제1링크로드 31b:제2링크로드
32:중앙핀 33:수직슬라이더 33a:가동힌지
51:측부수평바 51a:연장로드 51b:분절블록
52:전방수평바 52a:연장로드 52b:분절블록
53:연결핀 54:볼핀 54a:버튼
54b:핀본체 54c:걸림볼 61:다리
61b:가이드홈 61c:수납공간부 61f:철편
63:측부수평바 63a:주행돌기 64:자석
65:전방수평바 65a:주행돌기 70:접이식홀더
71:엽전형베어링 71a:사각구멍 72:스위블홀더
73:연장바디 73a:홀딩홈 74:경첩
75:자석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서 있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전방 좌우 및 후방 좌우에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로 사용자에게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각 단면의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고, 상부로 개방된 수납공간부의 내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일정폭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네 개의 다리와;
    상기 네 개의 다리 중 세 개의 다리 내부에 수용되며, 하단부에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진 주행돌기가 구비되고, 사용 시, 상기 수납공간부의 외부로 인출된 후 가이드홈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여 이웃 다리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수평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수평바와;
    상기 다리를 간격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다리가 최대한 벌어져 사용자의 전후방 좌우에 위치하게 하거나, 모든 다리가 서로에 대해 근접하여 좁혀져 한 곳으로 모아지게 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네 개의 다리가 모아진 상태에서 다리에 체결되어 다리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다리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접이식 보행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수단은;
    상기 다리를 통과시키는 사각구멍을 가지는 엽전형베어링과,
    상기 엽전형베어링을 감싸며 회전 가능한 스위블홀더와,
    상기 스위블홀더의 일측에 고정되는 경첩과,
    상기 경첩을 통해 스위블홀더에 연결되고, 이웃하는 다리를 수용하는 홀딩홈을 가지는 연장바디를 구비하는 접이식 보행보조기.
KR1020190169577A 2019-12-18 2019-12-18 접이식 보행보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207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577A KR102075321B1 (ko) 2019-12-18 2019-12-18 접이식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577A KR102075321B1 (ko) 2019-12-18 2019-12-18 접이식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321B1 true KR102075321B1 (ko) 2020-02-07

Family

ID=6957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577A Expired - Fee Related KR102075321B1 (ko) 2019-12-18 2019-12-18 접이식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493A (ko) * 2020-04-27 2021-11-04 유한회사 티엠엑스 접이식 환자 보행보조기
KR20240111854A (ko) 2023-01-10 2024-07-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형 보행보조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025A (ja) * 1991-01-23 1995-01-27 Zojirushi Bebii Kk 歩行補助器
KR200230947Y1 (ko) * 2001-02-19 2001-07-04 정동명 목발
KR200366683Y1 (ko) 2004-08-02 2004-11-09 이진우 카트형 보행보조기
KR200419809Y1 (ko) * 2006-04-11 2006-06-26 임청산 휴대 할 수 있는 절첩형 보행 보조기
US8186367B1 (en) * 2009-07-21 2012-05-29 University Of South Florida Foldable walker
KR200464815Y1 (ko) 2011-02-21 2013-01-21 미키코리아(주) 절첩보행기
JP3197229U (ja) * 2015-01-10 2015-04-30 中山豪真精工制品有限公司 折りたたみ式歩行器
US20180116899A1 (en) * 2015-02-24 2018-05-03 Bobergo B.V. Rollator-trolley with adjustable handle position depending on use
KR102026786B1 (ko) 2018-04-09 2019-09-30 주식회사 영화의료기 보행 보조차의 접철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025A (ja) * 1991-01-23 1995-01-27 Zojirushi Bebii Kk 歩行補助器
KR200230947Y1 (ko) * 2001-02-19 2001-07-04 정동명 목발
KR200366683Y1 (ko) 2004-08-02 2004-11-09 이진우 카트형 보행보조기
KR200419809Y1 (ko) * 2006-04-11 2006-06-26 임청산 휴대 할 수 있는 절첩형 보행 보조기
US8186367B1 (en) * 2009-07-21 2012-05-29 University Of South Florida Foldable walker
KR200464815Y1 (ko) 2011-02-21 2013-01-21 미키코리아(주) 절첩보행기
JP3197229U (ja) * 2015-01-10 2015-04-30 中山豪真精工制品有限公司 折りたたみ式歩行器
US20180116899A1 (en) * 2015-02-24 2018-05-03 Bobergo B.V. Rollator-trolley with adjustable handle position depending on use
KR102026786B1 (ko) 2018-04-09 2019-09-30 주식회사 영화의료기 보행 보조차의 접철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97229 U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493A (ko) * 2020-04-27 2021-11-04 유한회사 티엠엑스 접이식 환자 보행보조기
KR102349883B1 (ko) 2020-04-27 2022-01-11 유한회사 티엠엑스 접이식 환자 보행보조기
KR20240111854A (ko) 2023-01-10 2024-07-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형 보행보조기
KR102691421B1 (ko) 2023-01-10 2024-08-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형 보행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1381A (en) Invalid walker
US9655806B2 (en) Multiple use ambulatory device
US20130319488A1 (en) Folding walker with height adjustable crutches
CN105105934B (zh) 多功能分离式助力轮椅
US8998222B2 (en) Foldable rollator
US8708363B1 (en) Folding walker
JP2001008991A (ja) 歩行補助器
US8061376B2 (en) Stable wheeled walker device
US20170332748A1 (en) Walking cane clamp and base for use with walkers and rollators
US20140296039A1 (en) Walker Apparatus
US20170202727A1 (en) Folding step for use with mobility device
KR102075321B1 (ko) 접이식 보행보조기
US12109168B2 (en) Folding rollator
US10045896B2 (en) Standing-up assist tool and walking support device
KR101629724B1 (ko) 환자용 이동 보조로봇 및 이를 이용한 환자 이동방법
US9375380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US20020070533A1 (en) Foldable rollator with transport feature
US20050109379A1 (en) Lower leg crutch
KR101019660B1 (ko) 보행 보조기
JPH08224278A (ja) 病弱者リフト装置
JPS5929710Y2 (ja) ベツド
KR200490704Y1 (ko)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
KR100796781B1 (ko) 보행보조기
JPH1128220A (ja) 上体支持装置
JP2001017491A (ja) 歩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