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5113B1 - 각도 가변형 밸브 - Google Patents

각도 가변형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113B1
KR102075113B1 KR1020180127618A KR20180127618A KR102075113B1 KR 102075113 B1 KR102075113 B1 KR 102075113B1 KR 1020180127618 A KR1020180127618 A KR 1020180127618A KR 20180127618 A KR20180127618 A KR 20180127618A KR 102075113 B1 KR102075113 B1 KR 10207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ngle
variable
fixing
variable ang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규찬
Original Assignee
안규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규찬 filed Critical 안규찬
Priority to KR1020180127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1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49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being turned through an angle when passing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100); 밸브(1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연결부(300); 밸브(1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연결부(400); 및 상기 밸브(100)와 제1 연결부(300) 및/또는 제2 연결부(40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회전에 따라 각도가 변화하는 가변 각도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300), 가변 각도부(200), 밸브(100) 및 제2 연결부(400)의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B)를 포함하여, 가변 각도부(200)에 의해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환경에서의 밸브 설치를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각도 가변형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도 가변형 밸브{Variable angle valve}
본 발명은 각도 변경이 가능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 플러그 또는 니플을 포함하는 연결부, 각도 변형이 가능한 가변 각도부 및 밸브가 구비되어, 다른 관형부재와 신속한 결합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가 설치되는 공간의 형태에 적합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는 각도 가변형 밸브에 관한 것이다.
밸브는 관형부재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이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관형부재의 중간 또는 관 끝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관형부재와 결합되는 밸브 몸체와, 밸브 몸체에 결합되어 밸브 몸체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 밸브체의 동작 과정에서 밸브 몸체와 밸브체 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밸브 시트 등으로 구성된다.
밸브는 용도, 구조, 동작 방식 등에 의해 여러 가지로 분류되며, 밸브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맞게 적절한 것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조에 의해 분류되는 대표적인 밸브의 종류로는 실린더 내에 실린더와 유사한 구경을 가지며 내부에 관통된 유로가 형성된 볼을 삽입하여 핸들 조작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는 볼 밸브, 핸들의 작동에 의해 스핀들이 상하로 작동하여 시트가 노즐을 개폐시키는 글로브 밸브, 원추형의 플러그를 밸브 몸체 내부에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유로가 개폐되는 플러그 밸브, 핸들 조작에 의해 유로의 법선 방향에 설치된 밸브판을 직선 운동시킴으로써 유로가 개폐되는 게이트 밸브가 있으며, 이 외에도 버터플라이 밸브, 다이아프램 밸브, 니들 밸브, 앵글 밸브 등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존재한다.
또한, 밸브는 동작 방식에 따라 핸드 휠, 기어박스, 레버 등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개폐를 조절하는 수동 밸브, 전동식, 공기식, 자기식 등의 자동방식을 이용하여 개폐를 조절하는 자동 밸브, 유체의 압력, 부력 또는 원심력 등에 의해 개폐를 조절하는 자주식 밸브 등으로도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밸브를 설치할 때, 통상적으로 두 개의 관형부재 사이에 소켓, 플러그 또는 니플과 같은 연결구, 밸브, 또 다른 연결구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며, 연결구에 연결되는 관형부재의 휨 현상을 방지하고, 밸브가 설치되는 공간에 가장 적합한 배관 방식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각 연결구와 밸브 사이에 엘보우와 같은 배관 부재를 함께 연결하는 방식이 더욱 선호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경우에는 작업 현장에서 각 배관 부재들을 일일이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더 소요되고, 각 배관 부재를 연결하는 작업시에 충분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결합부에서 유체의 누출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엘보우는 45도와 90도로, 밸브가 설치되는 공간에 이러한 기성 엘보우를 사용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배관이 더욱 복잡해지고 배관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연결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밸브 및 설치 장소에 최적화 된 배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밸브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858164호(2018.05.09 등록)
본 발명에서는 소켓, 플러그 또는 니플을 포함하는 연결부, 각도 변형이 가능한 가변 각도부 및 밸브가 구비되어, 다른 관형부재와 신속한 결합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가 설치되는 공간의 형태에 적합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는 각도 가변형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각도 가변형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100); 밸브(1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연결부(300); 밸브(1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연결부(400); 및 상기 밸브(100)와 제1 연결부(300) 및/또는 제2 연결부(40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회전에 따라 각도가 변화하는 가변 각도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300), 가변 각도부(200), 밸브(100) 및 제2 연결부(400)의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B)를 포함하는, 각도 가변형 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변 각도부(200)는,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결합면이 상기 유로(B)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몸체(210)는 상기 결합면으로부터 제2 몸체(2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211)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211)의 말단에는 결합면과 평행한 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끼움돌기(2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220)에는 상기 돌기(211)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홈(221)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홈(221)에 돌기(211)가 끼워짐으로써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220)의 외면에서 제1 몸체(210)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고정홈(2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210) 및 제 2 몸체(220)에 각각 고정홈(23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고정요홈(231) 및 제2 고정요홈(233)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요홈(231) 및 제2 고정요홈(233)은 고정홈(230)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230)에 삽입되어, 제1 몸체(210)에 대한 제2 몸체(2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핀(240)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각도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300) 및 제2 연결부(400)는 소켓, 니플, 플러그 및 나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도 가변형 밸브는, 소켓, 플러그 또는 니플을 포함하는 연결부, 각도 변형이 가능한 가변 각도부 및 밸브가 구비되어, 다른 관형부재와 신속한 결합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가 설치되는 공간의 형태에 적합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밸브(10)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밸브(10) 중 가변 각도부(20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각도부(200)의 결합면인 A-A’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240)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밸브(10)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밸브(10)는 밸브(100), 밸브(1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연결부(300), 밸브(1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연결부(400) 및 상기 밸브(100)와 제1 연결부(300) 및/또는 제2 연결부(40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회전에 따라 각도가 변화하는 가변 각도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300), 가변 각도부(200), 밸브(100) 및 제2 연결부(400)의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밸브(10)에는, 가변 각도부(200)는 제1 연결부(300)와 밸브(100) 사이에 하나가 형성되고, 제2 연결부(400)와 밸브(100) 사이에 또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총 두 개의 가변 각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연결부(300)와 밸브(100) 사이에만 형성되거나, 제2 연결부(400)와 밸브(100) 사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가변 각도부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밸브를 설치하는 배관 작업시, 작업 현장에서 밸브의 양측에 소켓, 플러그, 니플, 나사 등의 연결구를 결합하여 사용하며, 밸브가 설치되는 공간이나 위치에 따라 추가적으로 엘보우를 더 결합하여 작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으로 인한 총 작업 시간의 지연이 발생하고, 각 부품의 결합 부위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밸브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증가하며, 결합면의 밀폐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유로를 흐르는 유체가 해당 결함 부위에서 누출될 가능성이 있어 안전상의 위험이 발생할 수도 있다.
반면, 본 발명의 각도 가변형 밸브(10)는 밸브(100), 가변 각도부(200), 제1 연결부(300) 및 제2 연결부(4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작업 현장에서 각 부품을 결합할 필요 없이 각도만 조절한 뒤 바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각 부품의 연결 부위로 인한 공간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결합부위의 불완전한 밀폐를 예방할 수 있어 안전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예로 90도와 180도의 각을 갖는 각도 가변형 밸브(10)를 도시하였지만, 가변 각도부(2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이 외에도 다양한 각도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이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밸브(100)는 밸브 내 유로(B)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이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볼 밸브, 글로브 밸브, 플러그 밸브, 게이트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다이아프램 밸브, 니들 밸브, 앵글 밸브, 컨트롤 밸브, 체크 밸브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100)의 작동 방식은, 핸드 휠, 기어박스, 레버 등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개폐를 조절하는 수동 방식, 전동식, 공기식, 자기식 등의 자동방식을 이용하여 개폐를 조절하는 자동 방식 또는 유체의 압력, 부력 또는 원심력 등에 의해 개폐를 조절하는 자주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300) 및 제2 연결부(400)는 소켓, 니플, 플러그 및 나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소켓, 니플 또는 플러그로 이루어지는 경우,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 수작업만으로도 두 관형부재를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각도부(200)의 단면도이고, 도 3은 가변 각도부(200)를 해체시켰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변 각도부(200)는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를 포함하고, 이들의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B)가 존재하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는 유로(B)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들의 결합면인 A-A'면이 유로(B)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변 각도부(200)를 구성하는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유로(B)의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결합면, 즉 타원형의 결합면을 갖고, 유로(B)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회전 각에 따라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이루는 각이 변하게 된다.
제1 몸체(210)가 제1 연결부(300) 또는 제2 연결부(400)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2 몸체(220)가 밸브(100)와 연결되며, 반대로 제1 몸체(210)가 밸브(100)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1 몸체(210)가 제1 연결부(300) 또는 제2 연결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러 개의 가변 각도부(200)가 구비되는 경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인접한 다른 가변 각도부(200')의 제1 몸체(210') 또는 제2 몸체(2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몸체(210)는 상기 결합면으로부터 제2 몸체(2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돌기(211)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211)의 말단에는 결합면과 평행한 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끼움돌기(213)가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211)의 제1 몸체(210) 방향에는 제1 끼움돌기(213)보다 원주가 작은 제1 요홈(212)이 형성되고, 제2 몸체(210) 방향에는 제1 끼움돌기(213)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몸체(220)에는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돌기(211)와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홈(221)이 형성되어, 돌기(211)를 수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끼움돌기(213)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요홈(222)과 제1 요홈(212)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제2 끼움돌기(223)가 형성되어, 제1 몸체(210)의 제1 끼움돌기(213)가 제2 몸체(220)의 제2 요홈(222)에 결합되고, 제2 몸체(220)의 제2 끼움돌기(223)가 제1 몸체(210)의 제1 요홈(212)에 결합되어 서로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또한, 제1 요홈(212), 제1 끼움돌기(213), 제2 끼움돌기(223) 및 제2 요홈(222)의 상기 결합면과 평행한 방향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는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유로(B)의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는 결합면을 가지므로, 위와 같이 제1 몸체(210) 및/또는 제2 몸체(220)를 회전시키는 경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형성하는 각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회전각을 변화시킴으로써 각도 가변형 밸브(10)의 가변 각도부(200)의 각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요홈(212)에는 유로(B)의 밀폐력을 확보하기 위한 오링(215)이 구비될 수 있는데, 오링(215)에 의해 점유되는 부피를 확보하기 위해 제1 요홈(212)의 원주방향 내면과 제2 끼움돌기(223)의 원주방향 외면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 각도부(200)에는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 수단은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230) 및 고정홈(230) 내에 수용되는 고정핀(240)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홈(230)은 제2 몸체(220)의 외면에서 제1 몸체(210)의 내부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몸체(210)의 외면에서 제2 몸체(220)의 내부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되거나, 2개 이상의 고정홈(230)이 형성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홈(230)의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요홈이 제1 몸체(210) 및 제2 몸체(220) 각각에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제1 몸체(210)에는 제1 고정요홈(231)이, 제2 몸체(220)에는 제2 고정요홈(233)이 형성되어, 이후 설명될 고정핀(240)의 쐐기(243)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쐐기(243)에 의해 고정핀(240)이 고정홈(230) 내에 고정 결합되면,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더 이상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므로,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형성하는 각도가 특정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에 형성되는 고정홈(230)의 개수가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닌데, 제2 몸체(220)의 외면으로부터 제1 몸체(210)와의 결합면까지 관통 형성되는 고정홈(230)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결합면으로부터 제1 몸체(210)의 내부까지 형성되는 고정홈(230)은 각도 가변형 밸브(10)의 가변 각도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결합면인 A-A'면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2 몸체(220)와의 결합면으로부터 제1 몸체(210)의 내부까지 형성되는 고정홈(230)은, 유로(B)의 중심점에 대하여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4에는 일 예로 18개의 고정홈(23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각 고정홈(230)은 서로 동일한 각을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각을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각 고정홈(230)이 나타내는 각은, 가변 각도부(200)가 나타내는 각과 동일하므로, 가변 각도부(200)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각 고정홈(230)은 다양한 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가변 각도부(2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에서, 결합면과 제2 몸체(220)가 나타내는 최소 각도가 45도인 경우, 제2 몸체(220)를 결합면에 대하여 180도 회전시키면 도 1에 도시된 밸브(100)의 우측과 같이 가변 각도부(200)가 90도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몸체(210)의 내부까지 형성되는 고정홈(230)이 총 8개라면 각 고정홈(230)은 22.5도 간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가변 각도부(200)가 나타낼 수 있는 각은 90도, 112.5도, 135도, 157.5도 및 180도이다.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결합면과 제2 몸체(220)가 나타내는 최소 각도를 변화시키거나, 제1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홈(230)의 개수, 또는 각 고정홈(230)이 배치되는 각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각도가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고정홈(230)에 고정핀(240)이 인입되면,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회전이 불가능해지므로, 가변 각도부(200)의 각도가 조절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24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고정핀(240)은 쐐기홈(245)과, 쐐기홈(245) 내부에 수용되며, 쐐기홈(245)과 스프링(247)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쐐기(243)를 포함한다.
고정핀(240)이 고정홈(230)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에 위치한 쐐기(243)의 일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고정핀(240)이 고정홈(230) 내부로 인입될 때, 스프링(247)이 압축되며 쐐기(243)가 쐐기홈(245) 내부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고정핀(240)의 고정홈(230) 내부로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고정핀(240)의 인입이 계속 진행되면, 쐐기(243)가 제1 고정요홈(231) 또는 제2 고정요홈(233)에 위치했을 때, 스프링(247)이 이완되며 쐐기(243)가 이들 고정요홈(231, 233)에 배치되게 된다. 쐐기(243)가 제2 고정요홈(233)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핀(240)을 계속 눌러 인입시키면, 스프링(247)이 다시 압축되며, 쐐기(243)가 쐐기홈(245) 내부로 이동하여 고정핀(240)의 인입이 계속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쐐기(243)가 제1 고정요홈(231)에 배치되면 고정핀(240)은 고정홈(230)에 막혀 더 이상 안쪽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쐐기(243)의 후면과 쐐기(243)의 길이방향의 사잇각은 직각 또는 예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깥쪽으로 고정핀(240)을 당기더라도 고정핀(240)이 이동하지 않아, 고정핀(240)이 이탈되지 않으므로, 설정된 가변 각도부(200)의 각도가 고정,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도 가변형 밸브(10)는 각도 변경 및 고정이 가능한 가변 각도부(200)를 포함하며, 이 가변 각도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변 각도부(2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각도 가변형 밸브(10)는 밸브의 시공을 위해 여러 개의 부품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 빠르고 간편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며, 설치 공간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각도 변경이 가능하고, 변경될 수 있는 각도 범위가 넓어, 사용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공간에 최적화된 배관을 설치할 수 있으며, 변경된 각도의 고정이 가능하므로 설치 후 각도 변화에 의한 누출 또는 연결 해체 등의 문제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각도 가변형 밸브 100: 밸브
200: 가변 각도부 210: 제1 몸체
211: 돌기 212: 제1 요홈
213: 제1 끼움돌기 215: 오링
220: 제2 몸체 221: 돌기홈
222: 제2 요홈 223: 제2 끼움돌기
230: 고정홈 231: 제1 고정요홈
233: 제2 고정요홈 240: 고정핀
241: 고정핀 몸체 243: 쐐기
245: 쐐기홈 247: 스프링
300: 제1 연결부 400: 제2 연결부

Claims (7)

  1. 밸브(100);
    밸브(1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연결부(300);
    밸브(1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연결부(400); 및
    상기 밸브(100)와 제1 연결부(300) 및/또는 제2 연결부(40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회전에 따라 각도가 변화하는 가변 각도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300), 가변 각도부(200), 밸브(100) 및 제2 연결부(400)의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B)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각도부(200)는,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결합면이 상기 유로(B)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제2 몸체(220)의 외면에서 제1 몸체(210)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고정홈(2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210) 및 제 2 몸체(220)에 각각 고정홈(23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고정요홈(231) 및 제2 고정요홈(233)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요홈(231) 및 제2 고정요홈(233)은 고정홈(230)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가변형 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210)는 상기 결합면으로부터 제2 몸체(2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211)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211)의 말단에는 결합면과 평행한 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끼움돌기(2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220)에는 상기 돌기(211)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홈(221)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홈(221)에 돌기(211)가 끼워짐으로써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가변형 밸브.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230)에 삽입되어, 제1 몸체(210)에 대한 제2 몸체(2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핀(240)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가변형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각도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가변형 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300) 및 제2 연결부(400)는 소켓, 니플, 플러그 및 나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가변형 밸브.
KR1020180127618A 2018-10-24 2018-10-24 각도 가변형 밸브 Active KR10207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618A KR102075113B1 (ko) 2018-10-24 2018-10-24 각도 가변형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618A KR102075113B1 (ko) 2018-10-24 2018-10-24 각도 가변형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113B1 true KR102075113B1 (ko) 2020-02-07

Family

ID=6957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618A Active KR102075113B1 (ko) 2018-10-24 2018-10-24 각도 가변형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8302A (zh) * 2021-04-23 2021-06-29 广东玛格家居有限公司 可调节旋转角度通风管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892A (ja) * 1993-11-25 1995-06-06 Sekisui Chem Co Ltd 自在継手
KR20020030550A (ko) * 2000-10-18 2002-04-25 김춘일 호스연결용 각도 가변 엘보우
JP2003240173A (ja) * 2002-02-21 2003-08-27 Fujii Gokin Seisakusho Co Ltd 管継手
JP2003343778A (ja) * 2002-05-24 2003-12-03 Fujii Gokin Seisakusho Co Ltd ガス栓
KR101858164B1 (ko) 2016-04-19 2018-05-15 (주)씨디씨뉴매틱 호스용 밸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892A (ja) * 1993-11-25 1995-06-06 Sekisui Chem Co Ltd 自在継手
KR20020030550A (ko) * 2000-10-18 2002-04-25 김춘일 호스연결용 각도 가변 엘보우
JP2003240173A (ja) * 2002-02-21 2003-08-27 Fujii Gokin Seisakusho Co Ltd 管継手
JP2003343778A (ja) * 2002-05-24 2003-12-03 Fujii Gokin Seisakusho Co Ltd ガス栓
KR101858164B1 (ko) 2016-04-19 2018-05-15 (주)씨디씨뉴매틱 호스용 밸브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8302A (zh) * 2021-04-23 2021-06-29 广东玛格家居有限公司 可调节旋转角度通风管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82082C1 (en) Cable connection assembly
US4270559A (en) Method for installing an adjustable flow restricting valve member in a tubular pipe, and a valve device for utilization of the method
TWI696776B (zh) 閥及具有逆向漸縮軸之閥連結器
US7857361B1 (en) Coupler assembly
US7363935B2 (en) Field configurable shut-off valve
CA3079852C (en) Reversible ball valve
RU2402713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US9970568B2 (en) Emergency shut-off valve
KR102075113B1 (ko) 각도 가변형 밸브
RU2209354C2 (ru) Вентиль, в частности вентиль радиатора отопления
US5806563A (en) Dual ball valve assembly
US5950985A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US6820630B2 (en) Swiveling intake elbow for dry sectional gate valve
EP1781977B1 (en) Water supply shut off valve with quick connect having flow regulation
EP0051993A1 (en) Blocked ball valve
US20020157716A1 (en) Valve system
EP3315836A1 (en) Valve assembly with anti-extrusion valve seat
KR102029998B1 (ko)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US20210071762A1 (en) Seal and Plumbing Fitting
BRPI0519151B1 (pt) Corpo de válvula
US10527213B2 (en) Wedge clamp quick release connector
US6935613B1 (en) Compact integrated flanged isolator ball valve
CN117685434A (zh) 一种航空发动机吹转启动用的快插接头装置及航空器
US3406942A (en) Fluid flow controlling connector
KR20090002170U (ko)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