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4928B1 - 보일러용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928B1
KR102074928B1 KR1020180037137A KR20180037137A KR102074928B1 KR 102074928 B1 KR102074928 B1 KR 102074928B1 KR 1020180037137 A KR1020180037137 A KR 1020180037137A KR 20180037137 A KR20180037137 A KR 20180037137A KR 102074928 B1 KR102074928 B1 KR 10207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flue
exhaust
boil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438A (ko
Inventor
김규호
이헌재
한상민
이현철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7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92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92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6Mouths; Inlet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3Joints; Connections between stack/duct and combus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걸림턱을 형성한 배기파이프를 구비하고, 배기파이프를 내주면에 패킹홈을 형성한 연도 내로 삽입 결합하며, 이 패킹홈에 배기파이프와 연도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패킹을 설치하고, 배기파이프와 연도 하단부 외주면에 배기파이프의 걸림턱에 걸림되는 경사돌기부를 형성한 밴드부를 밀착 고정함으로써, 배기파이프의 과삽입걸림턱에 연도의 과삽입방지턱이 밀착되어 연도의 진입깊이가 제한되되, 밴드부의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경사돌기부가 배기파이프의 걸림턱에 걸림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연도가 상기 배기파이프에서 강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파이프 방향으로 연도 삽입시, 연도의 과삽입방지턱이 배기파이프의 과삽입걸림턱에 밀착되어 연도의 진입깊이가 제한되고, 이 연도의 진입깊이 제한으로 미숙련된 작업자 또는 숙련된 작업자가 연도를 배기파이프 내로 손쉽게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연도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 밴드부의 경사돌기부가 배기파이프의 걸림턱에 견고하게 걸림 고정되어, 연도 강제이탈시 경사돌기부가 걸림턱에 걸림되어 연도의 강제이탈이 방지되고, 밴드부에 의해 연도 및 배기파이프 형상이 변형될 우려가 없고, 밴드부의 경사돌기부가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하는 단순 시공 방식에 의해 시공시간이 단축된다.

Description

보일러용 배기장치{Boiler air exhauster}
본 발명은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파이프의 과삽입걸림턱에 연도의 과삽입방지턱이 밀착되도록 하되, 배기파이프와 연도의 하단부 사이를 이음 연결하는 밴드부의 경사돌기부가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하여, 연도가 배기파이프에서 강제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에서 연소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유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를 실외로 배기할 수 있도록 보일러의 배기관에는 연도관을 연결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이때, 이 배기관은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이 배기관에 연도관을 연장 형성하여, 연도관을 통해 배기가스를 실외로 배출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보일러 내의 배기가스를 보일러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결된 배기관과,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배기관 내로 삽입 결합되고,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연도관과, 배기관과 연도관 사이의 이음새를 따라 밀착 형성되어 이 틈새를 마감하는 기밀밴드 및 기밀밴드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기밀밴드가 배기관과 연도관 사이의 이음매에 밀착되도록 하는 클램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밀밴드는 상기 배기관과 연도관 사이의 단턱 높이에 대응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 및 상기 연도관 외면에 밀착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의 기밀밴드 지지부에 압입되어 상기 배기관 및 상기 연도관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그러면, 상기 배기관과 상기 연도관 사이의 틈새가 상기 기밀밴드에 의해 견고하게 밀폐되어, 상기 배기관과 상기 연도관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배기가스가 실내로 누수되는 것이 차단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연도관을 강제 이탈시 이 연도관이 배기관의 내주면을 타고 그대로 상방으로 이탈되고, 이 연도관 이탈로 인해 배기관 상방으로 토출되는 배기가스가 실내로 그대로 유입되며, 또한, 클램프로 기밀밴드 조임시, 이 기밀밴드의 압입력에 의해 연도관 형상이 변형될 우려가 있고, 연도관 형상 변형으로 인해 연도관과 배기관 상단 사이의 틈새가 벌어져, 이 틈새를 통해 실내로 배기가스가 유입될 우려가 있으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537107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면에 걸림턱을 형성한 배기파이프를 구비하고, 이 배기파이프를 내주면에 패킹홈을 형성한 연도 내로 삽입 결합하며, 이 패킹홈에 배기파이프와 연도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패킹을 설치하고, 배기파이프와 연도 하단부 외주면에 배기파이프의 걸림턱에 걸림되는 경사돌기부를 형성한 밴드부를 밀착 고정함으로써, 배기파이프의 과삽입걸림턱에 연도의 과삽입방지턱이 밀착되어 연도의 진입깊이가 제한되되, 밴드부의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경사돌기부가 배기파이프의 걸림턱에 걸림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연도가 상기 배기파이프에서 강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는, 중공형상으로 그 외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턱을 형성하고, 보일러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보일러 내의 배기가스가 보일러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파이프와; 중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패킹홈을 형성하고, 하단부가 상기 배기파이프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파이프의 삽입을 허용하여 상기 배기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연도; 일 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배기파이프와 연도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고정되어, 상기 배기파이프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연도의 하단부를 감싸 커버하고, 그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상기 배기파이프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의 걸림턱에 걸림되는 경사돌기부를 형성한 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는, 외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걸림턱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상기 걸림턱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배기파이프와 연도 사이를 이음 연결하는 상기 밴드부의 경사돌기부가 걸림되도록 하여, 상기 배기파이프에 삽입되는 상기 연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도의 하단부는, 상협하광 구조 또는 "ㄴ"자 구조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그 양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되는 밀착판부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판부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상기 밀착판부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켜, 상기 밴드부의 조임력을 제한하는 제한턱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연도의 하단부 외면을 감싸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도의 하단부 외면을 눌러 가압하는 가압밴드; 및 상기 커버부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그 내주면을 따라 상기 배기파이프의 걸림턱에 걸림되는 경사돌기부를 형성한 하단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기부는, 상기 배기파이프의 외면 방향을 향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기부는, 그 말단에 상기 배기파이프의 걸림턱 방향을 향해 적어도 1회 이상 굴곡지거나 또는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연장걸림돌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기부는, 내주면 중앙부에 상기 배기파이프 외면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보조돌기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기부는, 그 직경이 배기파이프의 외면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의 걸림턱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는 상단 테두리에 경사진 과삽입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연도는 상기 패킹홈 상부에 상기 과삽입걸림턱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과삽입걸림턱에 걸림되는 과삽입방지턱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파이프 방향으로 연도 삽입시, 연도의 과삽입방지턱이 배기파이프의 과삽입걸림턱에 밀착되어 연도의 진입깊이가 제한되고, 이 연도의 진입깊이 제한으로 미숙련된 작업자 또는 숙련된 작업자가 연도를 배기파이프 내로 손쉽게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연도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 밴드부의 경사돌기부가 배기파이프의 걸림턱에 견고하게 걸림 고정되어, 연도 강제이탈시 경사돌기부가 걸림턱에 걸림되어 연도의 강제이탈이 방지되고, 밴드부를 연도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하되, 이 밴드부의 경사돌기부가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밴드부에 의해 연도 및 배기파이프 형상이 변형될 우려가 없고, 특히, 배기파이프에 연도를 삽입한 후 밴드부의 경사돌기부가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하는 단순 시공 방식에 의해 시공시간 단축과 동시에, 배기파이프와 연도 사이의 연결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의 밴드부의 다른 실시예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기파이프(100)는 중공형상으로 그 외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턱(101)을 형성하고, 보일러(10)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보일러(10) 내의 배기가스가 보일러(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상기 보일러(10) 상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직경은 상기 연도(2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연도(200)내로 삽입된다.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상기 연도(200)의 패킹홈(201)에 결합된 밀폐패킹(300)과 마찰되면서 상기 밀폐패킹(300)를 눌러 가압한다.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상단 테두리에 경사진 과삽입걸림턱(102)을 형성한다.
상기 과삽입걸림턱(102)은 상기 연도(200)의 과삽입방지턱(202)이 걸림되도록 하여, 상기 연도(200)가 상기 배기파이프(100)로 정해진 깊이 이상 진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외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걸림턱(101)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상기 걸림턱(101)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연도 사이를 이음 연결하는 상기 밴드부(400)의 경사돌기부(401)가 걸림되도록 하여, 상기 배기파이프(100)에 삽입되는 상기 연도(20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연도(200)는 중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패킹홈(201)을 형성하고, 하단부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삽입을 허용하여 상기 배기파이프(10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연도(200)의 상단은 실외로 노출되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실외로 배출한다.
상기 연도(200)는 그 내부공간으로 상기 배기파이프(100)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연도(200)의 직경은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홈(201)에는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패킹(300)가 결합된다.
상기 연도(200)의 하단은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도(200)는 상기 패킹홈(201) 상부에 상기 과삽입걸림턱(102)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과삽입걸림턱(102)에 걸림되는 과삽입방지턱(202)을 더 형성한다.
상기 과삽입방지턱(202)은 상기 과삽입걸림턱(102)에 걸림되어, 상기 연도(200)의 하단이 상기 보일러(10) 상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밀폐패킹(300)이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연도(200)는 상기 과삽입방지턱(202)을 기준으로 그 상단부 단면 직경이 하단부 단면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는 상협하광 구조 또는 "ㄴ"자 구조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는 내측 방향을 향해 굴곡지게 절곡 형성되어, 곡면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는 커링, 포밍 또는 압착방식에 의해 곡면 구조를 갖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는 상기 밴드부(400)의 가압밴드(404)에 조임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 직경은 상기 밴드부(400)의 커버부(403)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403)에 감싸진다.
밀폐패킹(300)은 상기 연도(200)의 패킹홈(201)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한다.
상기 밀폐패킹(300)은 형상변형이 자유로운 고무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패킹(300)은 상기 연도(200) 내로 삽입되는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마찰되고,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외면에 눌림되어 형상 변형되면서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한다.
밴드부(400)는 일 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연도(200)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고정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연도의 하단부를 감싸 커버하고, 그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상기 배기파이프(100)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경사돌기부(401)를 형성한다.
상기 경사돌기부(401)는 상기 밴드부(400)의 내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경사돌기부(401)는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되어 상기 연도(200)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상방으로 강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밴드부(400)는 그 양단에 체결부재(B)에 의해 체결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되는 밀착판부(402)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판부(402)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상기 밀착판부(402)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켜, 상기 밴드부(400)의 조임력을 제한하는 제한턱(402a)을 더 형성한다.
상기 제한턱(402a)의 두께는 상기 밴드부(400) 조임력에 의해 상기 연도(200)와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외면 형상이 변형되기 이전 시점의 강도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부(400)는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을 감싸 커버하는 커버부(403)와, 상기 커버부(403)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을 눌러 가압하는 가압밴드(404) 및 상기 커버부(403)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그 내주면을 따라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경사돌기부(401)를 형성한 하단밴드(405)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밴드(404)는 상기 밴드부(400)에 의해 상기 연도(200)의 외면 방향으로 조임되어, 상기 연도(200)를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 방향으로 눌러 밀착 고정한다.
상기 하단밴드(405)는 상기 밴드부(400)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 방향으로 조임되어, 상기 경사돌기부(401)가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으로 진입되도록 한다.
상기 경사돌기부(401)는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외면 방향을 향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된다.
상기 경사돌기부(401)는 그 말단에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 방향을 향해 적어도 1회 이상 굴곡지거나 또는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연장걸림돌부(401a)를 더 형성한다.
상기 연장걸림돌부(401a)는 커링, 포밍 또는 압착방식에 의해 곡면 구조 또는 직각 구조를 갖도록 절곡 형성되고,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경사돌기부(401)는 내주면 중앙부에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보조돌기부(401b)를 더 형성한다.
상기 보조돌기부(401b)는 상기 경사돌기부(401) 상단부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되어 상기 연도(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경사돌기부(401)는 그 직경이 배기파이프(100)의 외면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보일러(10) 상면에 고정설치된 배기파이프(100)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배기파이프(100) 방향으로 연도(200)를 삽입하여, 상기 연도(200) 내에 상기 배기파이프(100)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도(200)의 패킹홈(201)에는 상기 밀폐패킹(300)이 설치되어 있고, 그 상태에서 상기 연도(200)를 상기 배기파이프(100) 내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외면에 상기 밀폐패킹(300)이 마찰되면서 형상 변형된다.
그러면, 상기 밀폐패킹(300)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한다.
여기서,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밀폐패킹(30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연도(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과삽입방지턱(202)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주면을 따라 진입되다가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과삽입걸림턱(102)에 걸림되어 상기 연도(200)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내로 정해진 깊이 이상 진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특히, 상기 연도(200)의 과삽입방지턱(202)이 상기 과삽입걸림턱(102)에 걸림되는 위치는, 상기 연도(200)의 하단이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 상단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거리에 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01)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과삽입걸림턱(102)에 상기 과삽입방지턱(202)이 걸림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연도(200)의 하단이 복수개의 걸림턱(101)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연도(200)의 하단을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시키거나 혹은 상기 걸림턱(101)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위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400)의 커버부(403)가 상협하광 구조 또는 "ㄴ"자 구조로 절곡 형성된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커버부(403)가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를 감싸고, 이와 동시에 상기 밴드부(400)의 가압밴드(404)가 상기 연도(200)의 하단 외주면에 위치되되, 상기 하단밴드(405)의 경사돌기부(401)가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과 동일 수평선상의 주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밴드부(400)의 밀착판부(402)에 체결부재(B)를 체결하여 상기 밀착판부(40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밴드부(400)의 커버부(403), 가압밴드(404) 및 하단밴드(405)가 동시에 조임되고, 이에따라, 상기 가압밴드(404)가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을 눌러 상기 연도(200) 내주면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하단밴드(405)의 경사돌기부(401)가 상기 걸림턱(101) 내로 진입되어,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403)는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주면 방향으로 조여져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를 감싸 커버한다.
여기서, 상기 연도(200)를 파지한 상태로, 이 연도(20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연도(200)에 결합된 상기 밴드부(400)의 경사돌기부(401)가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되어, 상기 연도(200)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경사돌기부(401)의 말단에는 연장돌기부(40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돌기부(401a)를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밴드부(400)가 상기 걸림턱(101)에 견고하게 걸림고정된다.
만약, 상기 밴드부(400)의 경사돌기부(401) 상단이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외면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돌기부(401)의 보조돌기부(401b)가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되어 상기 연도(200)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연도(20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밴드부(400)의 체결부재(B)를 이탈시켜, 상기 밴드부(400)의 조임이 해제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연도(200)를 상기 배기파이프(100) 방향으로 더 진입시키거나 혹은 상기 배기파이프(100) 상방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400)의 경사돌기부(401)가 다른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되도록 상기 밴드부(400)의 밀착판부(402)를 체결부재(B)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밴드부(400)가 조임되어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연도(200)의 이음 부분이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도(200)의 과삽입방지턱(202)이 배기파이프(100)의 과삽입걸림턱(102)에 걸림되도록 하여 연도(200)의 진입깊이를 제한하되, 이 배기파이프(100)와 연도(200)의 이음매 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밴드부(400)의 경사돌기부(401)가 걸림턱(101)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여 연도(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는, 배기파이프(100) 방향으로 연도(200) 삽입시, 연도(200)의 과삽입방지턱(202)이 배기파이프(100)의 과삽입걸림턱(102)에 걸림되어 연도(200)의 진입깊이가 제한되고, 이 연도(200)의 진입깊이 제한으로 미숙련된 작업자 또는 숙련된 작업자가 연도(200)를 배기파이프(100) 내로 손쉽게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연도(20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 밴드부(400)의 경사돌기부(401)가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견고하게 걸림 고정되어, 연도(200) 강제이탈시 경사돌기부(401)가 걸림턱(101)에 걸림되어 연도(200)의 강제이탈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 보일러 100 : 배기파이프
101 : 걸림턱 102 : 과삽입걸림턱
200 : 연도 201 : 패킹홈
202 : 과삽입방지턱 300 : 밀폐패킹
400 : 밴드부 401 : 경사돌기부
401a : 연장돌기부 401b : 보조돌기부
402 : 밀착판부 402a : 제한턱
403 : 커버부 404 : 가압밴드
405 : 하단밴드 B : 체결부재

Claims (10)

  1. 중공형상으로 그 외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턱(101)을 형성하고, 보일러(10)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보일러(10) 내의 배기가스가 보일러(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파이프(100)와;
    중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패킹홈(201)을 형성하고, 하단부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삽입을 허용하여 상기 배기파이프(10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연도(200);
    상기 연도(200)의 패킹홈(201)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패킹(300); 및
    일 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연도(200)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고정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연도의 하단부를 감싸 커버하고, 그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상기 배기파이프(100)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경사돌기부(401)를 형성한 밴드부(400);
    로 구성되고,
    상기 밴드부(400)는,
    그 양단에 체결부재(B)에 의해 체결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되는 밀착판부(402)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판부(402)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상기 밀착판부(402)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켜, 상기 밴드부(400)의 조임력을 제한하는 제한턱(402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2. 중공형상으로 그 외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턱(101)을 형성하고, 보일러(10)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보일러(10) 내의 배기가스가 보일러(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파이프(100)와;
    중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패킹홈(201)을 형성하고, 하단부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삽입을 허용하여 상기 배기파이프(10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연도(200);
    상기 연도(200)의 패킹홈(201)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패킹(300); 및
    일 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연도(200)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고정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연도의 하단부를 감싸 커버하고, 그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상기 배기파이프(100)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경사돌기부(401)를 형성한 밴드부(400);
    로 구성되고,
    상기 밴드부(400)는,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을 감싸 커버하는 커버부(403)와;
    상기 커버부(403)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을 눌러 가압하는 가압밴드(404); 및
    상기 커버부(403)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그 내주면을 따라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경사돌기부(401)를 형성한 하단밴드(40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는,
    상협하광 구조 또는 "ㄴ"자 구조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기부(401)는,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외면 방향을 향해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5. 중공형상으로 그 외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턱(101)을 형성하고, 보일러(10)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보일러(10) 내의 배기가스가 보일러(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파이프(100)와;
    중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패킹홈(201)을 형성하고, 하단부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삽입을 허용하여 상기 배기파이프(10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연도(200);
    상기 연도(200)의 패킹홈(201)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패킹(300); 및
    일 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연도(200)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고정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연도의 하단부를 감싸 커버하고, 그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상기 배기파이프(100)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경사돌기부(401)를 형성한 밴드부(400);
    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돌기부(401)는,
    그 말단에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 방향을 향해 적어도 1회 이상 굴곡지거나 또는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연장걸림돌부(401a)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6. 중공형상으로 그 외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턱(101)을 형성하고, 보일러(10)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보일러(10) 내의 배기가스가 보일러(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파이프(100)와;
    중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패킹홈(201)을 형성하고, 하단부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삽입을 허용하여 상기 배기파이프(10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연도(200);
    상기 연도(200)의 패킹홈(201)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패킹(300); 및
    일 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연도(200)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고정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연도의 하단부를 감싸 커버하고, 그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상기 배기파이프(100)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경사돌기부(401)를 형성한 밴드부(400);
    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돌기부(401)는,
    내주면 중앙부에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보조돌기부(401b)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7. 중공형상으로 그 외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턱(101)을 형성하고, 보일러(10)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보일러(10) 내의 배기가스가 보일러(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파이프(100)와;
    중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패킹홈(201)을 형성하고, 하단부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삽입을 허용하여 상기 배기파이프(10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연도(200);
    상기 연도(200)의 패킹홈(201)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패킹(300); 및
    일 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연도(200)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고정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연도의 하단부를 감싸 커버하고, 그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상기 배기파이프(100)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경사돌기부(401)를 형성한 밴드부(400);
    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돌기부(401)는,
    그 직경이 배기파이프(100)의 외면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8. 중공형상으로 그 외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턱(101)을 형성하고, 보일러(10)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보일러(10) 내의 배기가스가 보일러(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파이프(100)와;
    중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패킹홈(201)을 형성하고, 하단부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삽입을 허용하여 상기 배기파이프(10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연도(200);
    상기 연도(200)의 패킹홈(201)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패킹(300); 및
    일 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연도(200)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고정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연도의 하단부를 감싸 커버하고, 그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상기 배기파이프(100)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되는 경사돌기부(401)를 형성한 밴드부(400);
    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상단 테두리에 경사진 과삽입걸림턱(102)을 형성하고,
    상기 연도(200)는 상기 패킹홈(201) 상부에 상기 과삽입걸림턱(102)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과삽입걸림턱(102)에 걸림되는 과삽입방지턱(202)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37137A 2018-03-30 2018-03-30 보일러용 배기장치 Active KR102074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137A KR102074928B1 (ko) 2018-03-30 2018-03-30 보일러용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137A KR102074928B1 (ko) 2018-03-30 2018-03-30 보일러용 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438A KR20190114438A (ko) 2019-10-10
KR102074928B1 true KR102074928B1 (ko) 2020-02-07

Family

ID=6820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137A Active KR102074928B1 (ko) 2018-03-30 2018-03-30 보일러용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9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784A (ja) * 1999-02-01 2000-08-08 Sharp Corp 給排気筒
JP2001153341A (ja) * 1999-11-29 2001-06-08 Taihei:Kk 燃焼器具用煙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9968A (ko) * 2006-12-26 2008-07-0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구 구조
KR101537107B1 (ko) 2013-12-05 2015-07-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784A (ja) * 1999-02-01 2000-08-08 Sharp Corp 給排気筒
JP2001153341A (ja) * 1999-11-29 2001-06-08 Taihei:Kk 燃焼器具用煙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438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400B1 (ko)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방법
KR101476570B1 (ko) 케이블 아웃렛 커넥터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장치
CN101285547B (zh) 可扣紧的卡箍和具有卡箍的管连接结构
US20080254729A1 (en) Chimney lining and venting apparatus for use with emissions from an appliance, and method of assembly
US10851922B2 (en) Adjustable collar
KR20150065458A (ko) 보일러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
KR102074928B1 (ko) 보일러용 배기장치
TW201743006A (zh) 具有凸片保持件及觀察孔之管配件
KR20070003717A (ko) 파이프 커플링
KR20140044347A (ko)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KR20160034542A (ko) 진공배관용 센터링
KR102045954B1 (ko) 가스차단 기능을 겸비한 입상관 클램프 장치
KR101858064B1 (ko) 보일러용 배기장치
RU200411830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герметичного прохода в стенке
KR102037822B1 (ko) 보일러용 배기장치
KR20180030958A (ko) 파이프 연결구
JP2007168904A (ja) 開口を有する運搬容器の締付リングの係止システム
KR20200065772A (ko) 케이블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 글랜드
TWI493125B (zh) 軟管夾具
KR20190026101A (ko) 입상배관 연결용 클램핑 장치
KR101990141B1 (ko) 파이프 연결구조체
KR101316016B1 (ko) 원터치 방식의 배관연결구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 방법
KR100666109B1 (ko) 연결구
CN217594088U (zh) 气体净化装置
KR101262098B1 (ko) 파이프 고정용 그립 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