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761B1 - Protecting device for passengers of vehicle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evice - Google Patents
Protecting device for passengers of vehicle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4761B1 KR102074761B1 KR1020130147293A KR20130147293A KR102074761B1 KR 102074761 B1 KR102074761 B1 KR 102074761B1 KR 1020130147293 A KR1020130147293 A KR 1020130147293A KR 20130147293 A KR20130147293 A KR 20130147293A KR 102074761 B1 KR102074761 B1 KR 1020747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 acceleration signal
- speed
- internal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8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전방 도어 및 좌우 후방 도어를 구획하는 비 필러(B-pillar)에 설치되어, 측면 충돌시 제1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 축 가속도신호 및 상기 제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축 가속도신호를 출력하는 2축 가속도센서, 차량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 내부에서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내부 가속도신호를 출력하는 내부 가속도센서 및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 및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를 기반으로, 측면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는 에어백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를 기반으로 제1, 2 축 임계속도를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에 대응하는 제1, 2 축 속도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제1, 2 축 임계속도 및 상기 제1, 2 축 속도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와 임계가속도신호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제1, 2 축 임계속도가 상기 제1, 2 축 속도 이상이고,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가 상기 임계가속도신호이상이면, 상기 측면 에어백을 전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non-pillar (B-pillar) for partitioning the left and right front door and the left and right rear door, the first axis acceleration signal acting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during side impact and the first orthogonal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A two-axis acceleration sensor for outputting a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 acting in a two-axis direction, an internal acceleration sensor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n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cting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and the interior And an airbag electronic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ployment of the side airbag based on the acceleration signal and the first and two-axis acceleration signals, wherein the airbag electronic control unit comprises a first and second axis threshold based on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a speed, a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s, and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and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respectively. , Comparing unit for comparing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nd the critical acceleration signal,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 and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ritical acceleration signal, the side airbag is deployed. It provides 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control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돌시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에어백 전개를 위한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자동차 충돌 사고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체의 전면과 측면에 다양한 구조를 갖는 차체구조를 응용함은 물론 개발시 전방충돌과 측면충돌 등의 충돌사고를 대비한 실험을 수행해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되는데, 이러한 실험은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중요 요소로서 각 나라에서 충돌 실험시 측정된 안전수치의 한계를 법규로 제정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 in the event of a car crash, the vehicle structure having various structures on the front and side of the body is applied, as well as the experiment for the collision of the front collision and the side collision during the development is carried out and the safety of the passenger This experi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nsure the safety of the vehicle, which is the regulation of the limits of safety values measured at the time of collision test in each country.
이에 따라, 현재 생산되는 자동차에는 충돌로 인한 승객의 안전과 충돌시험에 의한 안전수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방차체와 다양한 결합구조를 가진 전방자체의 전방충돌에 대한 안전수치를 확보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 자체적인 안전성만으로는 승객의 부상을 방지할 수 없어 현재에는 자동차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감지해 승객의 상체부위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에어백을 장착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secure safety of passengers due to collisions and safety values by crash tests, currently produced automobiles have secured safety values for forward collisions of various front bodies and front bodies having various coupling structures. As the safety of the car itself does not prevent injuries of passengers, airbags are currently installed to detect the impact of a car crash and to protect the upper body of the passenger.
이러한, 에어백은 자동차 충돌시 승객과 자동차 구조물 사이에 에어백이 펼쳐지도록 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는 복수의 가속도센서의 신호에 따라 소정 형상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인플레이터를 폭발시켜 발생되는 가스를 이용해 급격하게 팽창시키면서 승객이 자동차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부딪쳐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동차의 각 부위에 설치된다.Such an airbag is such that the airbag is deployed between the passenger and the vehicle structure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he gas generated by exploding the inflato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of the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 to signals of a plurality of acceleration sensors detect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t is installed on each part of the car to prevent the passenger from being directly injured by the direct impact on the car structure while inflating rapidly.
그러나, 최근 들어 복수의 가속도센서가 충돌이 발생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환경 또는 노이즈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에어백이 전개되는 오동작이 발생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However, recently, even though a plurality of acceleration sensors do not generate a collision, a signal is generated by the environment or noise, thereby causing a malfunction in which an airbag is deployed.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시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에어백 전개를 위한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deploying a stable and reliable airbag to protect the driver and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는, 좌우 전방 도어 및 좌우 후방 도어를 구획하는 비 필러(B-pillar)에 설치되어, 측면 충돌시 제1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 축 가속도신호 및 상기 제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축 가속도신호를 출력하는 2축 가속도센서, 차량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 내부에서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내부 가속도신호를 출력하는 내부 가속도센서 및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 및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를 기반으로, 측면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는 에어백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를 기반으로 제1, 2 축 임계속도를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에 대응하는 제1, 2 축 속도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제1, 2 축 임계속도 및 상기 제1, 2 축 속도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와 임계가속도신호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제1, 2 축 임계속도가 상기 제1, 2 축 속도 이상이고,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가 상기 임계가속도신호이상이면, 상기 측면 에어백을 전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non-pillar (B-pillar) partitioning the left and right front doors and the left and right rear doors, and the first axis acceleration signal and the first axis acting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during side impacts. A two-axis acceleration sensor for outputting a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 acting in a second axis direction orthogonal to one axis direction,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n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cting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inside the vehicle; An internal acceleration sensor and an airbag electronic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ployment of the side airbag based on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nd the first, two-axis acceleration signal, wherein the airbag electronic control unit, based on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 and the first Comparing unit for comparing the 1 and 2 axis speed, and comparing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nd the critical acceleration signal, and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 is grea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is the threshold If it is more than an acceleration signal,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eploying the side airbag.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를 적분하여 상기 제1, 2 속도를 산출한다.The calcul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first and second speeds by integrating the first and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 축 임계속도와 상기 제1 축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축 속도가 상기 제1 축 임계속도 이상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부, 상기 제2 축 임계속도와 상기 제2 축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축 속도가 상기 제2 축 임계속도 이상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부 및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와 상기 임계가속도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가 상기 임계가속도신호 이상이면 제3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비교부를 포함한다.The com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first axis critical speed with the first axis speed, and outputs a first signal when the first axis spe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axis critical speed. Comparing the second axis speed with the second axis speed, and outputting a second signal when the second axis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axis speed, and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nd the critical acceleration signal. In comparison, a third comparison unit outputting a third signal when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acceleration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신호 입력시, 측면 충돌로 판단하여 상기 측면 에어백을 전개한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pon inputting the first to third signals, determines that the side collision occurs and deploys the side airbag.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제어방법은, 측면 충돌시 좌우 전방 도어 및 좌우 후방 도어를 구획하는 비 필러(B-pillar)에 설치된 2축 가속도센서로부터 전송된 제1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 축 가속도신호 및 상기 제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축 가속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차량의 중앙에 배치된 내부 가속도센서로부터 전송된 상기 차량 내부에서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내부 가속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를 기반으로 제1, 2 축 임계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에 대응하는 제1, 2 축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2 축 임계속도 및 상기 제1, 2 축 속도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와 임계가속도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2 축 임계속도가 상기 제1, 2 축 속도 이상이고,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가 상기 임계가속도신호이상이면, 측면 에어백을 전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cting in a first axial direction transmitted from a two-axis acceleration sensor installed in a non-pillar (B-pillar) that partitions left and right front doors and left and right rear doors in a side collision. Receiving a first axis acceleration signal and a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 acting in a second 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direction, the second axis in the vehicle transmitted from an internal acceleration sensor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Receiving an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cting in a direction, determining first and second axis critical speeds based on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nd calculating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two axis acceleration signals;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and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and comparing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with a critical acceleration signal and comparing results of the comparison step, And deploying a side airbag when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and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ritical acceleration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 및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filtering the first and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s and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를 적분하여 내부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내부 속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 축 임계속도를 결정한다.In the determin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is integrated to determine an internal speed, and the first and second axis critical speeds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peed are determin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를 적분하여 상기 제1, 2 축 속도를 산출한다.In the calculat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two axis acceleration signals are integrated to calculate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제1 축 임계속도와 상기 제1 축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축 속도가 상기 제1 축 임계속도 이상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축 임계속도와 상기 제2 축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축 속도가 상기 제2 축 임계속도 이상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와 상기 임계가속도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가 상기 임계가속도신호 이상이면 제3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compar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ing the first axis critical speed and the first axis speed, and outputting a first signal when the first axis spe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axis critical speed, the second Comparing an axis threshold speed with the second axis speed, and outputting a second signal when the second axis spe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axis speed, and comparing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with the critical acceleration signal, And outputting a third signal if the acceleration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acceleration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개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신호 입력시, 측면 충돌로 판단하여 상기 측면 에어백을 전개한다.In the deploy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to third signals are input, the deployment of the side airbag is determined as a side collision.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좌우 전방 도어 및 좌우 후방 도어를 구획하는 비 필러(B-pillar)에 설치되어 서로 직교하는 제1, 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 2 축 가속도신호 및 차량의 내부에서 제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내부 가속도신호를 기반으로 측면 충돌 여부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측면 도어의 도어슬램과 같은 상황에서 측면 에어백의 오전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Passenger protec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non-pillar (B-pillar) for partitioning the left and right front doors and the left and right rear doors, the first, which acts in the first and two axial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ning of the side airbag in a situation such as a door slam of the side door by judging whether or not the side collision is based on the two-axis acceleration signal and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cting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inside the vehicle. There is th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를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를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1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는, 2축 가속도센서(110), 내부 가속도센서(120) 및 에어백 전자제어유닛(1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includes a two-
실시 예에서, 내부 가속도센서(120)는 에어백 전자제어유닛(130)과 분리된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에어백 전자제어유닛(13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In an embodiment, the
2축 가속도센서(110)는 좌우 전방 도어 및 좌우 후방 도어를 구획하는 비 필러(B-pillar)에 설치되어, 측면 충돌시 제1 축 방향(X축)으로 작용하는 제1 축 가속도신호(ax) 및 상기 제1 축 방향(X축)과 직교하는 제2 축 방향(Y축)으로 작용하는 제2 축 가속도신호(ay)를 출력한다.The
즉, 2축 가속도센서(110)는 차량의 좌, 우측의 비 필러에 설처되며,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That is, the two-
2축 가속도센서(110)는 차량 측면의 충돌 발생시,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충격에 대응하는 제1 축 가속도신호(ax) 및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충격에 대응하는 제2 축 가속도신호(ay)를 에어백 전자제어유닛(130)으로 전달한다.The two-
내부 가속도센서(120)는 상기 차량 측면의 충돌 발생시, 차량 내부에서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내부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내부 충격에 대응하는 내부 가속도신호(am)를 에어백 전자제어유닛(130)으로 전달한다.The
에어백 전자제어유닛(130)은 결정부(132), 산출부(134), 비교부(136) 및 제어부(138)을 포함한다.The airbag
결정부(132)는 내부 가속도센서(120)로부터 전달된 내부 가속도신호(am)를 400Hz 로 필터링한 후 100Hz 로 재 필터링하고, 적분하여 내부 속도(amv)를 산출한다.The
이때, 결정부(132)는 산출된 내부 속도(amv)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제1, 2 축 임계속도(agx, agy)를 결정한다.At this time, the
즉, 제1, 2 축 임계속도(agx, agy)는 내부 속도(amv) 별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1, 2 축 가속도신호(ax, ay)에 대한 임계값일 수 있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agx and agy are set for each internal speed amv, and may be threshold values for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 signals ax and ay.
여기서, 산출부(134)는 2축 가속도센서(110)로부터 입력된 제1 축 가속도신호(ax)를 400Hz 로 필터링한 후 100Hz 로 재 필터링하고, 적분하여 제1 축 속도(axv)를 산출하고, 2축 가속도센서(110)로부터 입력된 제2 축 가속도신호(ay)를 400Hz 로 필터링한 후 100Hz 로 재 필터링하고, 적분하여 제1 축 속도(ayv)를 산출하여 비교부(136)로 전달한다.Here, the calculating
이때, 결정부(132) 및 산출부(134)는 400 Hz의 하드웨어 필터링을 수행하고, 필터링된 신호를 100 Hz의 소프트웨어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노이즈 성분 등을 제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산출부(134)는 내부 가속도센서(120)로부터 전달된 내부 가속도신호(am)를 5 KHz로 필터링하고 400 Hz 및 40 Hz로 연속 필터링하여, 비교부(136)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비교부(136)는 결정부(132)에서 결정된 제1, 2 축 임계속도(ax, ay)에 대응하는 제1, 2 축 속도(axv, ayv)을 비교하고, 산출부(134)에서 필터링된 내부 가속도신호(am)와 기 설정된 임계가속도신호(amg)를 비교한다.The
즉, 비교부(136)는 제1 축 속도(axv)와 제1 축 임계속도(agx)를 비교하여, 제1 축 속도(axv)가 제1 축 임계속도(agx) 이상이면 제1 신호(high1)를 출력하고, 제1 축 속도(axv)가 제1 축 임계속도(agx) 미만이면 그라운드 신호, 즉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부(136_1), 제2 축 속도(ayv)와 제2 축 임계속도(agy)를 비교하여, 제2 축 속도(ayv)가 제2 축 임계속도(agy) 이상이면 제2 신호(high2)를 출력하고, 제2 축 속도(ayv)가 제2 축 임계속도(agy) 미만이면 그라운드 신호, 즉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부(136_2) 및 내부 가속도신호(am)와 임계가속도신호(amg)를 비교하여, 내부 가속도신호(am)가 임계가속도신호(amg) 이상이면 제3 신호(high3)를 출력하고, 내부 가속도신호(am)가 임계가속도신호(amg) 미만이면 그라운드 신호, 즉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비교부(136_3)를 포함한다.That is, the
여기서, 제1 내지 제3 비교부(136_1 ~ 136_3)는 op-amp 또는 엔드게이트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Here, the first to third comparison units 136_1 to 136_3 may be op-amps or end gat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38)는 제1 내지 제3 비교부(136_1 ~ 136_3)에서 제1 내지 제3 신호(high1 ~ high3)가 입력되면, 측면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만약, 제어부(138)는 제1 내지 제3 신호(high1 ~ high3)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지 않으면, 측면 충돌이 아닌 측면 도어 슬램으로 판단하여, 측면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signals high1 to high3 is not input, the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는 측면 도어 슬램에 의한 측면 에어백의 전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deployment of the side air bag by the side door slam.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는 측면 충돌시 좌우 전방 도어 및 좌우 후방 도어를 구획하는 비 필러(B-pillar)에 설치된 2축 가속도센서(110)로부터 전송된 제1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 축 가속도신호(ax) 및 상기 제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축 가속도신호(ay)를 수신하고(S110), 차량의 중앙에 배치된 내부 가속도센서(120)로부터 전송된 상기 차량 내부에서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내부 가속도신호(am)를 수신하며(S120), 제1, 2 축 가속도신호(ax, ay) 및 내부 가속도신호(am)를 필터링하고(S130), 내부 가속도신호(am)를 기반으로 제1, 2 축 임계속도(agx, agy)를 결정한다(S140).Referring to FIG. 2, 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acts in a first axial direction transmitted from a two-
그리고,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는, 제1, 2 축 가속도신호(ax, ay)에 대응하는 제1, 2 축 속도(axv, axy)를 산출하고(S150), 제1 축 임계속도(agx)와 제1 축 속도(axv)를 비교하여, 제1 축 속도(axv)가 제1 축 임계속도(agx) 이상이면 제1 신호(high1)를 출력하고(S160), 제2 축 임계속도(agy)와 제2 축 속도(ayv)를 비교하여, 제2 축 속도(ayv)가 제2 축 속도(agy) 이상이면 제2 신호(high2)를 출력하고(S170), 내부 가속도신호(am)와 임계가속도신호(amg)를 비교하여, 내부 가속도신호(am)가 임계가속도신호(amg) 이상이면 제3 신호(high3)를 출력한다(S180).Then, the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the vehicle calculates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axv and axy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s ax and ay (S150), and the first axis critical speed agx. And the first axis speed axv, the first signal high1 is output when the first axis speed axv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axis critical speed agx (S160), and the second axis critical speed agy is measured. ) Is compared with the second axis speed ayv, and when the second axis speed ayv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axis speed agy, the second signal high2 is output (S170), and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m The threshold acceleration signal amg is compared to output a third signal high3 when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m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acceleration signal amg (S180).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는 (S160) 단계 내지 (S180) 단계에서, 제1 내지 제3 신호(high1 ~ high3)가 모두 입력되면 측면 에어백을 전개하고, 제1 내지 제3 신호(high1 ~ high3)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지 않으면 측면 에어백을 미전개한다(S190).In step S160 to step S180, when the first to third signals high1 to high3 are all input, the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the vehicle deploys the side airbag, and among the first to third signals high1 to high3. If at least one is not input, the side airbag is not deployed (S190).
자세히 설명하면, 에어백 전자제어유닛(130)은 결정부(132), 산출부(134), 비교부(136) 및 제어부(138)을 포함한다.In detail, the airbag
결정부(132)는 내부 가속도센서(120)로부터 전달된 내부 가속도신호(am)를 400Hz 로 필터링한 후 100Hz 로 재 필터링하고, 적분하여 내부 속도(amv)를 산출한다.The
이때, 결정부(132)는 산출된 내부 속도(amv)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제1, 2 축 임계속도(agx, agy)를 결정한다.At this time, the
즉, 제1, 2 축 임계속도(agx, agy)는 내부 속도(amv) 별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1, 2 축 가속도신호(ax, ay)에 대한 임계값일 수 있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agx and agy are set for each internal speed amv, and may be threshold values for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 signals ax and ay.
여기서, 산출부(134)는 2축 가속도센서(110)로부터 입력된 제1 축 가속도신호(ax)를 400Hz 로 필터링한 후 100Hz 로 재 필터링하고, 적분하여 제1 축 속도(axv)를 산출하고, 2축 가속도센서(110)로부터 입력된 제2 축 가속도신호(ay)를 400Hz 로 필터링한 후 100Hz 로 재 필터링하고, 적분하여 제1 축 속도(ayv)를 산출하여 비교부(136)로 전달한다.Here, the calculating
이때, 결정부(132) 및 산출부(134)는 400 Hz의 하드웨어 필터링을 수행하고, 필터링된 신호를 100 Hz의 소프트웨어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노이즈 성분 등을 제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산출부(134)는 내부 가속도센서(120)로부터 전달된 내부 가속도신호(am)를 5 KHz로 필터링하고 400 Hz 및 40 Hz로 연속 필터링하여, 비교부(136)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비교부(136)는 결정부(132)에서 결정된 제1, 2 축 임계속도(ax, ay)에 대응하는 제1, 2 축 속도(axv, ayv)을 비교하고, 산출부(134)에서 필터링된 내부 가속도신호(am)와 기 설정된 임계가속도신호(amg)를 비교한다.The
즉, 비교부(136)는 제1 축 속도(axv)와 제1 축 임계속도(agx)를 비교하여, 제1 축 속도(axv)가 제1 축 임계속도(agx) 이상이면 제1 신호(high1)를 출력하고, 제1 축 속도(axv)가 제1 축 임계속도(agx) 미만이면 그라운드 신호, 즉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부(136_1), 제2 축 속도(ayv)와 제2 축 임계속도(agy)를 비교하여, 제2 축 속도(ayv)가 제2 축 임계속도(agy) 이상이면 제2 신호(high2)를 출력하고, 제2 축 속도(ayv)가 제2 축 임계속도(agy) 미만이면 그라운드 신호, 즉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부(136_2) 및 내부 가속도신호(am)와 임계가속도신호(amg)를 비교하여, 내부 가속도신호(am)가 임계가속도신호(amg) 이상이면 제3 신호(high3)를 출력하고, 내부 가속도신호(am)가 임계가속도신호(amg) 미만이면 그라운드 신호, 즉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비교부(136_3)를 포함한다.That is, the
여기서, 제1 내지 제3 비교부(136_1 ~ 136_3)는 op-amp 또는 엔드게이트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Here, the first to third comparison units 136_1 to 136_3 may be op-amps or end gat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38)는 제1 내지 제3 비교부(136_1 ~ 136_3)에서 제1 내지 제3 신호(high1 ~ high3)가 입력되면, 측면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만약, 제어부(138)는 제1 내지 제3 신호(high1 ~ high3)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지 않으면, 측면 충돌이 아닌 측면 도어 슬램으로 판단하여, 측면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signals high1 to high3 is not input,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Al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erms used generally,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차량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 내부에서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내부 가속도신호를 출력하는 내부 가속도센서; 및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 및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를 기반으로, 측면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는 에어백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를 기반으로 제1, 2 축 임계속도를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에 대응하는 제1, 2 축 속도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제1, 2 축 임계속도 및 상기 제1, 2 축 속도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와 임계가속도신호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제1, 2 축 임계속도가 상기 제1, 2 축 속도 이상이고,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가 상기 임계가속도신호이상이면, 상기 측면 에어백을 전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It is installed in a non-pillar (B-pillar) for partitioning the left and right front doors and the left and right rear doors, and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first axis acceleration signal acting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during side impact A two-axis acceleration sensor for outputting a functioning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
An internal acceleration sensor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n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cting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in the vehicle; And
And an airbag electronic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deployment of the side airbag based on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nd the first and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s.
The airbag electronic control unit,
A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first and second axis critical speeds based on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s;
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and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respectively, and comparing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nd a critical acceleration signal; And
And a control unit for deploying the side airbag when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and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acceleration signal.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를 적분하여 상기 제1, 2 속도를 산출하는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alculation unit,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for calculating the first and second speed by integrating the first and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 축 임계속도와 상기 제1 축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축 속도가 상기 제1 축 임계속도 이상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부;
상기 제2 축 임계속도와 상기 제2 축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축 속도가 상기 제2 축 임계속도 이상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부; 및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와 상기 임계가속도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가 상기 임계가속도신호 이상이면 제3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비교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arison unit,
A first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first axis speed with the first axis speed and outputting a first signal when the first axis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axis speed;
A second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second axis critical speed with the second axis speed and outputting a second signal when the second axis spe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axis speed; And
And a third comparing unit which compares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with the threshold acceleration signal and outputs a third signal if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acceleration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신호 입력시, 측면 충돌로 판단하여 상기 측면 에어백을 전개하는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to deploy the side airbag by determining that the side collision, when the first to third signal input.
차량의 중앙에 배치된 내부 가속도센서로부터 전송된 상기 차량 내부에서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내부 가속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를 기반으로 제1, 2 축 임계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에 대응하는 제1, 2 축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2 축 임계속도 및 상기 제1, 2 축 속도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와 임계가속도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2 축 임계속도가 상기 제1, 2 축 속도 이상이고,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가 상기 임계가속도신호이상이면, 측면 에어백을 전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제어방법.A first axis acceleration signal acting in a first axis direction transmitted from a biaxial acceleration sensor installed in a non-pillar (B-pillar) partitioning the left and right front doors and the left and right rear doors in a side collision and orthogonal to the first axis direction Receiving a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 acting in a second axis direction;
Receiving an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cting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within the vehicle transmitted from an internal acceleration sensor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Determining first and second axis critical speeds based on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Calculating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s;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and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respectively, and comparing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nd a critical acceleration signal; And
And deploying a side airbag when the first and second axis critical speeds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and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ritical acceleration signal. Passenger protection device control method.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 및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d filtering the first and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s and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s.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를 적분하여 내부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내부 속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 축 임계속도를 결정하는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And determining the internal speed by integrating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and determining the first and second axis critical speeds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peed.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제1, 2 축 가속도신호를 적분하여 상기 제1, 2 축 속도를 산출하는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alculating step,
And calculating the first and second axis speeds by integrating the first and second axis acceleration signals.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제1 축 임계속도와 상기 제1 축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축 속도가 상기 제1 축 임계속도 이상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축 임계속도와 상기 제2 축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축 속도가 상기 제2 축 임계속도 이상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와 상기 임계가속도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내부 가속도신호가 상기 임계가속도신호 이상이면 제3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mparing step,
Comparing the first axis speed with the first axis speed and outputting a first signal when the first axis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axis speed;
Comparing the second axis speed with the second axis speed and outputting a second signal if the second axis spe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axis speed; And
And comparing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with the threshold acceleration signal, and outputting a third signal if the internal acceleration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acceleration signal.
상기 전개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신호 입력시, 측면 충돌로 판단하여 상기 측면 에어백을 전개하는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9,
The development step,
When the first to third signals are input, the control method for 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deploying the side airbag is determined to be a side collis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7293A KR102074761B1 (en) | 2013-11-29 | 2013-11-29 | Protecting device for passengers of vehicle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7293A KR102074761B1 (en) | 2013-11-29 | 2013-11-29 | Protecting device for passengers of vehicle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2535A KR20150062535A (en) | 2015-06-08 |
KR102074761B1 true KR102074761B1 (en) | 2020-02-07 |
Family
ID=5350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7293A Active KR102074761B1 (en) | 2013-11-29 | 2013-11-29 | Protecting device for passengers of vehicle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476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8967B1 (en) | 2017-12-12 | 2019-08-21 | 에이온 주식회사 | Molding platform device for 3D printer |
CN111623869B (en) * | 2020-05-20 | 2022-01-04 | 北京必创科技股份有限公司 |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edge calculation and data monitoring and edge calculation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8124B1 (en) | 1994-07-21 | 1999-07-15 | 게오르크 콜프, 한스-울리히 슈타이거 | Method of starting side airbag of passive safety device for a car |
KR100362326B1 (en) | 1999-03-02 | 2002-11-25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Crash detection apparatus of vehicle responsive to asymmetric collisio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4914A (en) * | 2005-01-21 | 2006-07-2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ir bag control method |
US8095275B2 (en) * | 2008-08-28 | 2012-01-10 | Trw Automotive U.S.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safety device |
KR101627502B1 (en) * | 2010-03-18 | 2016-06-07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automobile |
KR20130031641A (en) * | 2011-09-21 | 2013-03-29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Protecting device for passengers of vehicle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evice |
-
2013
- 2013-11-29 KR KR1020130147293A patent/KR1020747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8124B1 (en) | 1994-07-21 | 1999-07-15 | 게오르크 콜프, 한스-울리히 슈타이거 | Method of starting side airbag of passive safety device for a car |
KR100362326B1 (en) | 1999-03-02 | 2002-11-25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Crash detection apparatus of vehicle responsive to asymmetric collis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2535A (en) | 2015-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0110B1 (en) | Side air bag for pre-crash | |
US7484756B2 (en) | Vehicle side impact crash detection for deployment of curtain and side airbags | |
US8733791B2 (en) | Collision sensing device and occupant protecting system | |
US9415737B2 (en) |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 |
JP4716145B2 (en) | Vehicle collision detection device | |
KR102131448B1 (en) | Apparatus for protecting a passenger of an autombile | |
US10358847B2 (en) | Pressure sensor malfunction detection device | |
KR102074761B1 (en) | Protecting device for passengers of vehicle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evice | |
US8924089B2 (en) | Automobi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utomobile | |
CN112172724A (en) | Method for detonating an airbag | |
JP3003484B2 (en) | Vehicle collision detection device | |
JP2015182584A (en) | occupant protection control device | |
JP2017030703A (en) | Vehicle airbag control system | |
KR100747399B1 (en) | Control method of side airbag module | |
KR101627502B1 (en) |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automobile | |
KR20120071995A (en) | Control method for side impact passenger protecting apparatus | |
KR2013011301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bag | |
KR101697927B1 (en) |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automobile | |
KR101676666B1 (en) | Airbag control device of automobile | |
JP2003040077A (en) | Airbag actuator | |
KR20150057844A (en) | Airbag control device and the operating method | |
JP2023133952A (en) | Collision detection device | |
JP2015182583A (en) | occupant protection control device | |
JP2020175721A (en) | Airbag deployment method and airbag system | |
JP2020175722A (en) | Airbag deployment method and airba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