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666B1 - Sub handle for a brush cutter - Google Patents
Sub handle for a brush cut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4666B1 KR102074666B1 KR1020180052772A KR20180052772A KR102074666B1 KR 102074666 B1 KR102074666 B1 KR 102074666B1 KR 1020180052772 A KR1020180052772 A KR 1020180052772A KR 20180052772 A KR20180052772 A KR 20180052772A KR 102074666 B1 KR102074666 B1 KR 1020746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hinge portion
- pipe
- present
- hi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571 Occupatio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4—Handle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with two or more cu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예초기의 손잡이에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구와, 상기 한쌍의 결합구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중앙에 축공이 형성된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에 일측에 형성된 제2힌지부가 제1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3힌지부를 구비하는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제3힌지부에 제2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기 위한 제4힌지부를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제2파이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구의 일측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리에는 걸이줄이 연결되는 예초기용 보조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본 발명의 효과로는 휴대용 예초기의 손잡이에 결합되는 보조손잡이에 의해 예초작업시 예초칼날의 회전 및 절삭압력에 의해 손잡이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힘 소모를 최소화하고, 보조손잡이에 두개의 관절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어깨넓이에 맞춰서 편하게 예초작업을 할 수 있으며, 보조손잡이에 걸이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두 팔을 완전히 편하게 뻗은 상태로 작업이 가능해져 칼날과 작업자간에 안전거리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팔과 어깨,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couplers coupled by a fastener to the handle of a portable mowing machine, a first hinge portion formed in any one of the pair of coupling spheres and the shaft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irst hinge portion formed on one side A first pipe having a second hing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shaft and having a third hinge portion at the other side, and a second hing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hinge portion of the first pipe. 4 hinge portion is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made of a second pipe having a handle, the coupling r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er, to provide an auxiliary handle for the lawn mower connected to the hook line, I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uxiliary handle is coupled to the handle of the portable mowing device by the handle and the handle pressure by the rotation and cutting pressure of the blade when mowing It prevents losing, minimiz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by forming two joints on the auxiliary handle, you can comfortably mow to fit the width of the shoulder of the worker, and make the two arms completely comfortable by forming a hook line on the auxiliary handle. It is possible to work in an extended state to maintain a sufficient safety distance between the blade and the work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minimize the burden on the arm, shoulder, waist of the work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초기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초기 칼날의 회전 및 절삭압력에 의해 예초기 손잡이가 회전하는 단점을 해결하고 인체공학적이면서 가장 편한 자세로 예초작업이 가능한 예초기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handle for mow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handle for mowers, which solves the disadvantage of rotating the mower handle by the rotation and cutting pressure of the mower blade and is capable of mowing in an ergonomic and most comfortable posture. will be.
일반적으로 휴대용 예초기는 잡풀이나 잡목 등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도구로, 대개 작업자의 어깨에 메고 예초칼날이 끝단에 달린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a portable mower is a tool used to remove a weed or a lumber, and is usually carried on the shoulder of the operator and holding the handle with the two ends of the mowing blade to perform the work.
종래의 예초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4), 엔진에 연결된 지지튜브(2)(2'), 지지튜브에 축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튜브(3)(3'), 회전컷터(1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컷터홀더(15)(15'), 컷터 홀더가 지지튜브의 세로축과 컷터의 회전측에 직교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추축운동을 할 수 있게 상기 컷터 홀더를 지지하고 그리고 슬라이더 튜브의 축방향 이동을 컷터홀더의 추축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한쪽끝이 슬라이더 튜브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끝이 컷터홀더에 추축으로 연결되어있는 연결 막대(14)(14')를 포함하는 홀더지지 장치(14)(14')(34)및 지지튜브와 슬라이더를 통해 뻗어서 컷터가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컷터와 엔진을 연결시키고 컷터 홀더의 추축운동을 가능하게하는 구동전송장치(16)(16a)(16b)(36)를 구성하고 있는 휴대용 동력 풀베는 기계에 있어서, 추축레버(21)가 지지튜브와 슬라이더 튜브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있고, 선(W)과 압축코일스프링(26)이 레버의 추축운동을 슬라이더 튜브의 축방향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가 지지튜브에 대해 슬라이더 튜브를 실질적으로 고착시키기 위해 선정된 각도의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동력 풀베는기계가 국내특허공개 제1987-000764호로 공개된바 있다.Conventional mowers rotate the engine 4, the support tubes 2 and 2 'connected to the engine, the slider tubes 3 and 3' slidably axially mounted on the support tubes, as shown in FIG.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예초기는 손잡이의 끝단에 예초칼날이 형성되어 칼날 회전 및 절삭압력의 반작용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손잡이가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By the way, the conventional mowing machine is a mowing blade is formed on the end of the handle is a force to rotate the handl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reaction of the blade rotation and cutting pressure.
따라서 이를 억제하기 위한 보조손잡이가 손잡이의 일단에 결합되어 다른 손으로 이를 잡아 손잡이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the auxiliary handle for suppressing i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to hold it with the other hand to prevent the handle from rotating.
그런데 이는 보조손잡이의 길이와 위치가 완전히 고정된 상태여서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조절할 수 없고, 또 작업자가 편한 자세로 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However, this is because the length and position of the auxiliary handle is completely fixed state can no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worker, and also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operator can not work in a comfortable posture.
또한 손잡이이 끝단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 칼날의 진동과 압력이 보조손잡이를 통해 다른 팔로 전달되어 장시간 작업하는데 매우 어려움이 있고, 작업자에게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직업병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vibration and pressure of the rotary blade with the handle rotating at high speed at the end is transmitted to the other arm through the auxiliary handle, which makes it very difficult to work for a long time, and makes it easy for the worker to feel tired and can lead to occupational diseases in severe cases. Have
[선행기술문헌][Preceding technical literature]
1. 국내특허공개공보 : 1987-000764호1. Domestic Patent Publication: 1987-000764
2. 국내등록특허 : 제10-1571919호2.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571919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초기의 손잡이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손잡이를 설치하되 상기 보조손잡이에 관절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어깨넓이에 맞춰서 편하게 예초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두개의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예초작업함으로써 안전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예초칼날로 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관절에 의해 완충시켜 손저림 및 작업피로도를 낮출 수 있고, 또 상기 보조손잡이에 걸이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어깨 멜빵에 걸어 예초칼날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팔을 완전히 편하게 뻗은 상태, 즉 차렷자세로 팔을 내리고 작업을 할 수 있어 어깨와 허리에 부담을 주지 않고 예초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n auxiliary handle for assisting the handle of the lawn mower to form a joint in the auxiliary handle to be able to work comfortably in accordance with the shoulder width of the operator, In addition, by holding the two handles with both hands to mow to maintain a safe distance,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mowing blade can be buffered by the joint to reduce the hand grip and work fatigue, and also form a hook line on the auxiliary handle By allowing them to hang on the shoulder suspenders to support the mowing blades, the arms are fully stretched out, that is, the arms can be lowered and worked in a clear position so that the mowing can be done without burdening the shoulders and the wais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휴대용 예초기의 손잡이에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구와, 상기 한쌍의 결합구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중앙에 축공이 형성된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에 일측에 형성된 제2힌지부가 제1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3힌지부를 구비하는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제3힌지부에 제2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기 위한 제4힌지부를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제2파이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구의 일측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리에는 걸이줄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Looking at the 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couplers coupled by a fastener to the handle of the portable mowing machine, and formed in any one of the pair of couplers and the shaft in the center A first pipe having a ball formed therein, a second hinge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hinge part to be rotatable by a first hinge shaft, and having a third hinge part at the other side thereof; The second hinge is provided with a fourth hinge part to be rotatably coupled by a second hinge shaft to one end and a second pipe having a handle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coupling ring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upling tool. The hoo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connec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제1파이프는 작은직경파이프와 큰직경파이프로 분리되되 상기 작은직경파이프는 큰직경파이프에 삽입되되 고정구에 의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ipe is separated into a small diameter pipe and a large diameter pipe, but the small diameter pipe is inserted into the large diameter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by a fixtu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걸이줄은 일측에는 고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고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hook is formed on the other sid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휴대용 예초기의 손잡이에 결합되는 보조손잡이에 의해 예초작업시 예초칼날의 회전 및 절삭압력에 의해 손잡이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힘 소모를 최소화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o minimize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preventing the handle twisted by the rotation and cutting pressure of the cutting blade during the mowing operation by the auxiliary handle coupled to the handle of the portable mowing device.
또 본 발명은 보조손잡이에 두개의 관절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어깨넓이에 맞춰서 편하게 예초작업을 할 수 있고, 예초칼날, 즉 손잡이로 부터 전해지는 진동이 분절된 두개의 관절에 의해 완충되도록 하여 손저림 및 작업피로도를 낮출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wing comfortably in accordance with the shoulder width of the operator by forming two joints in the auxiliary handle, and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cutting blade, that is, the handle is buffered by the two joints segmented hand and Work fatigue can be lowered.
또한 본 발명은 보조손잡이에 걸이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되 이를 어깨 멜빵에 걸어 손잡이, 즉 예초칼날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두 팔을 완전히 편하게 뻗은 상태로 작업이 가능해져 칼날과 작업자간에 안전거리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팔과 어깨,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하여 사고의 우려는 줄이면서 작업은 편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form a hook line in the auxiliary handle, but by holding it on the shoulder suspenders to support the handle, that is, mowing blades, it is possible to work with both arms fully extended to maintain a safe distance between the blade and the operato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burden on the arms, shoulders, and waist of the worker is to reduce the risk of accidents while working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be comfortable and stable.
도 1은 종래 휴대용 예초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보조손잡이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보조손잡이를 휴대용 예초기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참고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mower.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ary handle for a m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FIG.
4 is a plan view of FIG.
5 is a reference diagram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portable mower.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ference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term "comprising" embod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 / 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lthough not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ommonly defined terms used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to have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ly disclosed contents,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official meaning unless defined.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erspective view specifically illustrate an ideal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llustrations, for example, manufacturing methods and / or specifications,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of the illustrated region, and includes, for example, modification of the form by manufacture. For example, areas shown or described as flat may have properties that are generally rough and / or rough. In addition, the reg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approximate in nature, and their shapes are not intended to show the exact shapes of the regions, and are not intended to narro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보조손잡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xiliary handle for a mow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보조손잡이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보조손잡이를 휴대용 예초기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참고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handle for a m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Figure 2, Figure 4 is a plan view of Figure 2, Figure 5 is a secondary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showing a state of coupling to a portable mower, FIG.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reference diagram for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Firs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to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보조손잡이(100)는 휴대용 예초기(A)의 손잡이(B)에 체결구(110a)에 의해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구(110,120)와, 상기 한쌍의 결합구(110,1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중앙에 축공(124)이 형성된 제1힌지부(123)와, 상기 제1힌지부(123)에 일측에 형성된 제2힌지부(141)가 제1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3힌지부(142)를 구비하는 제1파이프(140)와, 상기 제1파이프(140)의 제3힌지부에 제2힌지축(160a)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기 위한 제4힌지부(151)를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는 손잡이(152)를 구비하는 제2파이프(150)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구(110,120)의 일측에는 연결고리(11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리(113)에는 걸이줄(170)이 연결된다.
상기 결합구(110,120)는 제1결합구(110)와 제2결합구(120)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서로 양분된 상태이므로 기존의 예초기 손잡이(B)에 결합하기 용이하다.The coupler (110, 120) is composed of the
이때 상기 각 결합구(110,120)의 일측면에는 반원형의 오목홈(111,121)이 형성되는데, 이는 대개의 휴대용 예초기의 손잡이(B)가 원통형이기 때문이다.At this time, semicircular
상기 체결구(110a)는 나사 또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데, 각 결합구(110,120)의 모서리에 천공된 통공(112)에 관통되어 결합된다.The fastener (110a) is made of a screw or bolt and nut, it is coupled through a
상기 제2결합구(120)에 형성된 제1힌지부(123)에는 제1파이프(140)의 제2힌지부(141)가 제1힌지축(130a)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제1파이프(140)의 제3힌지부(142)에는 제2파이프(150)의 제4힌지부(151)가 제2힌지축(160a)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된다. 이때 이때 상기 제1힌지축(130a) 및 제2힌지축(160a)은 제1파이프(140) 및 제2파이프(150)에 직접 나사결합될 수도 있고, 나비너트(160b)에 의해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1파이프(140)는 작업자의 어깨넓이에 맞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제1파이프(140)를 양분하되, 하나는 작은직경파이프(140a)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작은직경파이프(140a)보다 더 큰 직경의 큰직경파이프(140b)로 이루어져 큰직경파이프(140b)에 작은직경파이프(140a)를 끼워서 결합한 다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이때 작은직경파이프(140a)와 큰직경파이프(140b)의 고정은 고정구(140d)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구(140d)는 큰직경파이프(140b)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구홀더(140c)에 결합되어 작은직경파이프(140a)를 눌러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때 고정구(140d)는 고정구홀더(140c)에 핀(140e)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되 일측이 다른 쪽 직경보다 큰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작은직경파이프(140a)를 눌러 고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 본발명 보조손잡이(100)는 걸이줄(170)에 의해 어깨 멜빵(D)에 걸 수 있는데, 상기 걸이줄(170)에 의해 손잡이와 보조손잡이의 상당한 무게를 감당할 수 있게 되어 손잡이를 잡게 되는 오른손과 보조손잡이를 잡게 되는 왼손을 완전히 편하게 차렷자세로 뻗을 수 있게 되어 예초칼날(C)과 작업자간에 안전거리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칼날에 의한 안전사고의 우려는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의 팔과 어깨,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이면서도 편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걸이줄(170)은 일측에는 고리부(17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고리(172)가 형성되되, 상기 고리부는 결합구(110,12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고리(113)에 걸리도록 하고, 걸고리는 멜빵(D)에 걸 수 있도록 한다.The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본 발명 예초기용 보조손잡이
110,120: 결합구 123: 제1힌지부
124: 제2힌지부 140: 제1파이프
142: 제3힌지부
150: 제2파이프 151: 제4힌지부
170: 걸이줄
A: 휴대용 예초기 B: 손잡이100: auxiliary handle for mowing the present invention
110,120: Coupling Sphere 123: First Hinge
124: second hinge portion 140: the first pipe
142: third hinge portion
150: second pipe 151: fourth hinge portion
170: hanger
A: portable mower B: handle
Claims (3)
상기 한쌍의 결합구중 어느 하나의 결합구에는 중앙에 축공이 형성된 제1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부에는 제1파이프가 결합되되,
상기 제1파이프는 작은직경파이프와 큰직경파이프로 이루어져 작은직경파이프가 큰직경파이프에 삽입되어 고정구에 의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파이프의 일측에는 제2힌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3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힌지부는 결합구의 제1힌지부에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제3힌지부에는 일측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제2파이프가 결합되되,
상기 제2파이프의 타측에는 제1파이프의 제3힌지부에 제2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기 위한 제4힌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보조손잡이. In the handle of the portable mow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air of couplings that are coupled by a fastener, one side of the coupling is formed with a connecting ring, in the auxiliary handle for the lawn mower, the hook is connected to the hook,
Any one of the pair of couplers is formed with a first hinge portion formed with a shaft hole in the center,
A first pipe is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The first pipe consists of a small diameter pipe and a large diameter pipe so that the small diameter pipe is inserted into the large diameter pipe to adjust the length by the fixture,
A second hing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ipe and a third hing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axis to the first hinge portion of the coupler, and one side to the third hinge portion. The second pipe having a handle is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of the second pip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inge portion of the first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hinge for rotatably coupled by a second hinge axi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2772A KR102074666B1 (en) | 2018-05-08 | 2018-05-08 | Sub handle for a brush cut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2772A KR102074666B1 (en) | 2018-05-08 | 2018-05-08 | Sub handle for a brush cut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8512A KR20190128512A (en) | 2019-11-18 |
KR102074666B1 true KR102074666B1 (en) | 2020-02-07 |
Family
ID=6872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2772A Active KR102074666B1 (en) | 2018-05-08 | 2018-05-08 | Sub handle for a brush cut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466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7518B1 (en) | 2009-07-29 | 2011-09-27 | 이정훈 | Mowers |
KR101192950B1 (en) * | 2011-04-19 | 2012-10-18 | 임병준 | Protect cover and plant cutter employing the same |
KR101679796B1 (en) * | 2015-11-06 | 2016-11-25 | 최병섭 | Supported device for brush cutt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47749U (en) * | 1989-09-14 | 1991-05-07 |
-
2018
- 2018-05-08 KR KR1020180052772A patent/KR10207466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7518B1 (en) | 2009-07-29 | 2011-09-27 | 이정훈 | Mowers |
KR101192950B1 (en) * | 2011-04-19 | 2012-10-18 | 임병준 | Protect cover and plant cutter employing the same |
KR101679796B1 (en) * | 2015-11-06 | 2016-11-25 | 최병섭 | Supported device for brush cutte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03047749 U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8512A (en) | 2019-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01032B2 (en) | Power tool accessory with brace | |
JP4995381B2 (en) | Cutting tools, especially garden shears | |
US20170014986A1 (en) | Apparatus for ergonomic application of rotational handle garden tool | |
JPS63245375A (en) | Vibration-damping control handle for portable power tool | |
JPS6031625B2 (en) | cutting device | |
CN103381591B (en) | Pivoting device | |
TWI689381B (en) | Hand tools to increase working head strength | |
US20190059345A1 (en) | Handle For A Fishing Pole | |
US20110016728A1 (en) | Ergonomic scissors | |
KR102074666B1 (en) | Sub handle for a brush cutter | |
WO2018071827A1 (en) | Adjustable one handed string trimmer | |
US3540123A (en) | Mowing machine | |
JP6138187B2 (en) | Mowing mower by standing posture | |
CN101116389B (en) | Hand-operated electrical machine tool and coupler for a hand-operated electrical machine tool | |
CN207593722U (en) | Improved structure of handle for hand tool | |
US20130333229A1 (en) | Swivel-clamp reach extension pole device | |
CN207573937U (en) | A garden power tool | |
CN107683643A (en) | Ergonomic swivel handle garden tool set | |
TWI659685B (en) | Electric lawn mower | |
US2889730A (en) | Swivel jaw pliers | |
CN217694368U (en) | Portable movable universal handle | |
CA2551779A1 (en) | Offset crank speed wrench with lever arm | |
JPH0937A (en) | Handle device for mower | |
CN209551322U (en) | A kind of portable chain saw sharpening machine | |
CN111885912B (en) | Cutting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