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4644B1 -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644B1
KR102074644B1 KR1020140152906A KR20140152906A KR102074644B1 KR 102074644 B1 KR102074644 B1 KR 102074644B1 KR 1020140152906 A KR1020140152906 A KR 1020140152906A KR 20140152906 A KR20140152906 A KR 20140152906A KR 102074644 B1 KR102074644 B1 KR 102074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spension
cross member
adjustable
faste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614A (ko
Inventor
이승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6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6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50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종의 변경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부품에 따라 제원을 변경하여,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있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는, 복수의 링크부재가 서로 링크연결되거나 체결됨으로써 구성되는 멀티링크타입 현가장치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상기 멀티링크타입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크로스멤버가 차량의 저면에 설치되는 위치가 가변되고, 상기 크로스멤버와 트레일링암을 연결하는 서스펜션암은 길이조절가능하게 제공된다.

Description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Adjustable type SUSpens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종의 변경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부품에 따라 제원을 변경하여,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있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현가장치가 장착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통상적으로 상기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제원을 변경할 수 없어서, 차종이 변경되거나, 차량에 탑재되는 부품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새로이 현가장치가 변경되어야 하므로, 상기 현가장치의 개발비의 증가, 차체 부품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차량의 종류(세단, 해치백, SUV, CUV)가 변경되거나 차량의 제원(전고, 휠 베이스 등)이 달라지면, 상기 현가장치도 그에 맞게 변형되어야 한다.
또한,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자동차, 수소연료 전지차 등과 같은 친환경 자동차의 보급 및 개발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친환경 자동차에서는 종래의 내연기관을 탑재한 자동차 대비 항속거리 확보를 위한 부품, 예컨대 고전압 배터리, 수소탱크(3) 등이 장착된다. 이러한 친환경 자동차용 부품의 탑재에 따라 상기 현가장치의 레이아웃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차량 저면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CTBA(Couple Torsion Beam Axle)로 현가장치의 종류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상기 CTBA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토션빔(111)과, 상기 토션빔(111)의 단부에 각각 대략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트레일링암(113)과, 상기 트레일링암(113)의 일측과 차체(101)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저버(116)와 스프링(117) 및 상기 스프링(117)을 지지하는 스프링시트(118)를 포함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한 종류로서, 장착되는 공간이 적어 친환경 자동차용 부품의 탑재를 위한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상기 CTBA도 수소탱크(3), 고전압 배터리와 같은 상기 친환경 자동차용 부품의 탑재로 인하여 차량 저면의 레이아웃이 변경되는 경우, CTBA의 토션빔(111)이 이동되어야 하지만, 상기 토션빔(111)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다른 타입의 현가장치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레이아웃을 갖는 현가장치가 개발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링크타입의 현가장치에서도 크로스멤버(111)가 차체(1)의 저면에 형성된 크로스멤버 마운트(102)에 고정됨으로써, 차체(1) 저면의 레이아웃의 변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6-000679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후륜에 장착되는 CTBA의 각 구성요소의 제원을 변경하도록 하여,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있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는, 복수의 링크부재가 서로 링크연결되거나 서로 체결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차량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크로스멤버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체와 체결되는 부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멤버가 상기 차체의 저면에 체결되도록 상기 차체의 저면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크로스멤버 마운트에는 상기 크로스멤버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크로스멤버를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공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공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멤버의 양단에는 각각 체결볼트가 상기 체결공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크로스멤버가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멤버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센터멤버와, 상기 센터멤버의 양단에 각각 상기 센터멤버에 대하여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에 체결되는 사이드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멤버와 상기 사이드멤버가 결합되는 부위는, 상기 센터멤버와 상기 사이드멤버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파이프 형성되고, 상기 센터멤버와 상기 사이드멤버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는 상기 파이프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는 둘레의 절반이상이 상기 센터멤버와 상기 사이드멤버 중 나머지의 단부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멤버의 단부에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단부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멤버의 단부에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센터멤버의 단부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멤버와 상기 사이드멤버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상기 파이프를 감싸는 부위가 상기 파이프를 조여 상기 센터멤버와 상기 사이드멤버를 고정시키는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멤버와 일측과 차량의 휠이 장착되는 트레일링암에 각각 양단이 링크연결되는 서스펜션암은 그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스펜션암은,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에 대하여 출납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케이스와 체결되는 내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에 상기 내부케이스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에 조여짐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가변된 길이를 유지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에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를 체결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스펜션암은, 상기 크로스멤버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트레일링암을 연결하는 어퍼링크과, 상기 어퍼링크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크로스멤버의 하부면 일측과 상기 트레일링암을 연결하는 로워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에 따르면, 차종의 변경 또는 차량 저면의 레이아웃 변경에 따라 센터멤버가 장착되는 위치를 변경하거나, 서스펜션암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현가장치를 공용화할 수 있다.
따라서, 차종이 변경되거나, 친환경 자동차용 부품의 탑재에 따른 차량 저면 레이아웃이 변경되더라도 새로이 현가장치를 개발하지 않고도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친환경 차량에 현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현가장치가 차량의 저면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크로스멤버가 차체 마운트에 체결되는 방식을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크로스멤버가 차체 마운트에 체결되는 방식을 도시한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멤버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서스펜션암의 길이가 조정되는 방식을 도시한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서스펜션암의 길이가 조정되는 방식을 도시한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는, 복수의 링크부재가 서로 링크연결되거나 체결됨으로써 구성되는 멀티링크타입 현가장치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상기 멀티링크타입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크로스멤버가 차량의 저면에 설치되는 위치가 가변되고, 상기 크로스멤버와 트레일링암(13)을 연결하는 서스펜션암은 길이조절가능하게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에서는 차량 성능의 영향은 적고 다양한 레이아웃의 대응이 필요한 크로스멤버와 서스펜션암은 그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고, 차량의 성능에 영향이 크고 차체의 구조를 공용화할 수 있는 트레일링암(13), 쇽업쇼버(16) 및 스프링(17)은 고정되도록 한다.
즉, 서스펜션암, 예컨대 어퍼링크(14)와 로워링크(15)는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중(횡강성)을 지지하는데, 상기 크로스멤버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크로스멤버가 마운트되는 부위가 동일하게 이동하여 타이어의 거동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않고, 횡강성이 미세하게 변화하여 전체적으로는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상기 크로스멤버와 서스펜션암을 그 위치 또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한다. 한편, 트레일링암(13)은 횡력스티어, 제동스티어에 민감하고, 쇽업저버(16) 및 스프링(17)도 레버비와 관계가 있어서 성능변화가 크게 발생하므로, 차종이 변하더라도 고정되도록 한다.
크로스멤버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차체(1)의 저면 레이아웃이 변경되거나, 차체(1)의 저면에 각종 부품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크로스멤버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차체(1)와 체결되는 부위가 가변된다.
상기 크로스멤버는 그 단부가 각각 상기 차체(1)의 저면에 형성된 크로스멤버 마운트(2)에 체결되는데,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2)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크로스멤버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공에 상기 크로스멤버와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2)를 관통하는 체결볼트를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크로스멤버를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2)에 체결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체결공은 그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2)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2a)이 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멤버의 단부와 상기 관통공(2a)을 관통시켜 체결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크로스멤버를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상기 차체(1)에 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상기 체결공의 다른 예로서,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2)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2b)이 될 수 있다. 상기 슬롯(2b)을 이용하여 상기 크로스멤버를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2)에 체결시키면, 상기 크로스멤버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로스멤버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서, 상기 크로스멤버를 센터멤버(11)와 사이드멤버(12)로 각각 제작하고, 상기 사이드멤버(12)를 차체(1)에 고정하며, 상기 사이드멤버(12)에 대하여 상기 센터멤버(11)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크로스멤버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멤버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센터멤버(11)와, 상기 센터멤버(11)의 양단에 상기 센터멤버(11)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가능하고, 차체(1)의 저면에 체결되는 사이드멤버(1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멤버(12)는 복수의 관통공(2a) 또는 슬롯(2b)이 형성되어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상태로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2)에 체결될 수도 있고,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센터멤버(11)와 상기 사이드멤버(12)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기 센터멤버(11)의 양단과 상기 사이드멤버(12)의 일단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기 센터멤버(11)와 상기 사이드멤버(1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파이프(11a)가 설치되고, 나머지의 단부가 상기 파이프(11a)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도 8에는 상기 센터멤버(11)의 단부에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파이프(11a)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멤버(12)의 단부가 상기 파이프(11a)를 감싸도록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멤버(12)의 단부는 상기 센터멤버(11)에 형성된 파이프(11a)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파이프(11a)가 상기 센터멤버(11)의 본체와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를 갖도록 상기 파이프(11a)를 감싸는데, 상기 사이드멤버(12)의 단부는 상기 파이프(11a) 둘레의 절반이상을 감싸도록 하여, 상기 사이드멤버(12)의 단부로부터 상기 파이프(11a)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센터멤버(11)는 상기 사이드멤버(12)로부터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스틸밴드(11b)와 같은 조임수단을 통하여 상기 사이드멤버(12)의 단부가 상기 센터멤버(11)의 파이프(11a)를 조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센터멤버(11)와 상기 사이드멤버(12)는 그 위치가 서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멤버(12)의 단부에 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멤버(11)의 단부가 상기 사이드멤버(12)에 형성된 파이프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에서 상기 파이프의 절반 이상이 상기 센터멤버의 단부에 의해 감싸지고, 스틸밴드(11b)와 같은 조임수단으로 조여진다.
이와 같이, 크로스멤버를 센터멤버(11)와 사이드멤버(12)로 구성함으로써,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멤버(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9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도 10에는 센터멤버(11)가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와 도 13에는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링크부재의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서스펜션암, 예컨대 상기 크로스멤버의 상부 일측과 트레일링암(13)을 링크연결하는 어퍼링크(14)와, 상기 어퍼링크(14)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크로스멤버의 하부 일측과 상기 트레일링암(13)을 링크연결하는 로워링크(15) 등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크로스멤버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체결부위의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트레일링암(13)과 상기 크로스멤버를 연결하는 서스펜션암의 길이가 가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어퍼링크(14)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상기 어퍼링크(14)를 외부케이스(14a)(14a')와 상기 외부케이스(14a)(14a')에 대하여 길이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14a)(14a')에 대하여 출납하는 내부케이스(14b)(14b')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2에는 소위 턴버클 방식으로 상기 어퍼링크(14)의 길이를 조절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4a)의 내부면과 상기 내부케이스(14b)의 외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하고, 상기 외부케이스(14a)와 상기 내부케이스(14b)를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그 길이를 조절하고, 길이조절이 완료된 후에 상기 내부케이스(14b)의 외측에 체결된 고정볼트(14c)를 상기 외부케이스(14a)쪽으로 조임으로써, 길이 조절된 어퍼링크(14)가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에는 외부케이스(14a')와 내부케이스(14b')에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케이스(14a')에서 상기 내부케이스(14b')를 슬라이딩시켜 길이를 조절한 후, 체결볼트(14d)를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어퍼링크(14)는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종류가 변하거나,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등과 같은 친환경 자동차에서 내연기관이 탑재된 자동차 대비 항속거리를 늘이기 위한 친환경 시스템용 부품의 탑재로 인하여 차체 저면의 레이아웃이 변하더라도, 크로스멤버가 차체 저면의 크로스멤버 마운트(2)에 체결되는 위치를 가변시키거나, 크로스멤버를 구성하는 센터멤버(11)를 가변시킬 수 있고, 서스펜션암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차체 저면의 레이아웃에 대한 제약을 덜 받게 된다.
이로써, 한 종류의 멀티링크타입 현가장치를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있어서, 상기 현가장치를 공용화할 수 있어서, 원가경쟁력 확보와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1 : 차체 2 : 크로스멤버 마운트
2a : 관통공 2b : 슬롯
11 : 센터멤버 11a : 파이프
11b : 스틸밴드 12 : 사이드멤버
13 : 트레일링암 14 : 어퍼링크
14a, 14a' : 외부케이스 14b, 14b' : 내부케이스
14c : 고정볼트 14d : 체결볼트
15 : 로워링크 16 : 쇽업저버
17 : 스프링 111 : 토션빔
113 : 트레일링암 116 : 쇽업저버
117 :스프링 118 : 스프링시트

Claims (17)

  1. 복수의 링크부재가 서로 링크연결되거나 서로 체결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차량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크로스멤버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체와 체결되는 부위가 가변되고,
    상기 크로스멤버가 상기 차체의 저면에 체결되도록 상기 차체의 저면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크로스멤버 마운트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멤버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센터멤버와, 상기 센터멤버의 양단에 각각 상기 센터멤버에 대하여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에 체결되는 사이드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에는 상기 크로스멤버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크로스멤버를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의 양단에는 각각 체결볼트가 상기 체결공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크로스멤버가 상기 크로스멤버 마운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멤버와 상기 사이드멤버가 결합되는 부위는,
    상기 센터멤버와 상기 사이드멤버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파이프 형성되고,
    상기 센터멤버와 상기 사이드멤버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는 상기 파이프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둘레의 절반이상이 상기 센터멤버와 상기 사이드멤버 중 나머지의 단부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멤버의 단부에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단부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멤버의 단부에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센터멤버의 단부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멤버와 상기 사이드멤버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상기 파이프를 감싸는 부위가 상기 파이프를 조여 상기 센터멤버와 상기 사이드멤버를 고정시키는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와 일측과 차량의 휠이 장착되는 트레일링암에 각각 양단이 링크연결되는 서스펜션암은 그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암은,
    외부케이스 와,
    상기 외부케이스에 대하여 출납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케이스와 체결되는 내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에 상기 내부케이스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에 조여짐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가변된 길이를 유지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에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를 체결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암은,
    상기 크로스멤버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트레일링암을 연결하는 어퍼링크과,
    상기 어퍼링크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크로스멤버의 하부면 일측과 상기 트레일링암을 연결하는 로워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KR1020140152906A 2014-11-05 2014-11-05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Active KR102074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906A KR102074644B1 (ko) 2014-11-05 2014-11-05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906A KR102074644B1 (ko) 2014-11-05 2014-11-05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14A KR20160053614A (ko) 2016-05-13
KR102074644B1 true KR102074644B1 (ko) 2020-02-07

Family

ID=5602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906A Active KR102074644B1 (ko) 2014-11-05 2014-11-05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083B1 (ko) 2019-06-17 2021-03-09 임빈 쇽업소버의 감쇠력 조절 제어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714B1 (ko) * 2006-12-14 2008-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크로스 멤버 장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164Y1 (ko) * 1995-12-19 1998-09-15 김태구 자동차용 뒤차축현가장치의 구조
KR20000060939A (ko) * 1999-03-22 2000-10-16 정몽규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FR2853281B1 (fr) 2003-04-04 2005-05-27 Renault Sa Essieu souple arriere a palonnier, et vehicule correspond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714B1 (ko) * 2006-12-14 2008-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크로스 멤버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14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2464B2 (en) Steering support member structure
US8056912B2 (en) Multi-link suspension device and method for suspending wheels
US8210508B2 (en) Bump stopper for suspension system
JP6160704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部を備える車両
US20140232083A1 (en) Torsion bar spring arrangement for a wheel suspension of a motor vehicle
US9869360B2 (en) Multi-piece nut for use with a shock
US9579946B2 (en) Trailing arm bush for coupled torsion beam axle
US5368326A (en) Apparatus for insuring neutral stabilizer bar installation
US20140042776A1 (en) Vehicle with angled link cab suspension
KR10145075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마운팅 브라켓
KR20160122819A (ko) 자동차용 섀시 시스템
US20180245652A1 (en) Elastomer spring for vehicle
KR102074644B1 (ko)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KR20150113250A (ko) 판스프링타입 서스펜션장치
CN202641293U (zh) 一种汽车悬架
KR101640680B1 (ko) 차량 서스펜션시스템용 완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서스펜션시스템 보조장치
CN116573048A (zh) 模块化底盘和车辆
KR101624506B1 (ko) 캠버각 조절식 리어 액슬
KR101682809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KR102278299B1 (ko) 보조 쇽업소버 장치
KR101831951B1 (ko) 독립형 에어서스펜션의 분할형 피복 부싱을 사용한 링크 장치
CN222408417U (zh) 一种伸缩备胎架
US12330469B1 (en) Vehicle chassis system with an offset track bar
US10300757B2 (en) Hydraulic mount apparatus and a suspension system that utilizes the hydraulic mount apparatus
KR102263724B1 (ko) 차량의 서스펜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