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4270B1 - 절첩식 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270B1
KR102074270B1 KR1020180134352A KR20180134352A KR102074270B1 KR 102074270 B1 KR102074270 B1 KR 102074270B1 KR 1020180134352 A KR1020180134352 A KR 1020180134352A KR 20180134352 A KR20180134352 A KR 20180134352A KR 102074270 B1 KR102074270 B1 KR 102074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long side
piece
plate
b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979A (ko
Inventor
박성락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피 filed Critical (주)케이엠피
Publication of KR20190128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2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밑판과 4개의 측판으로 조립되는 절첩식 상자를 한벌의 금형으로 성형토록 하여 금형비용을 절감케 함과 동시에 간편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또한 빈 상자의 적재보관을 위하여 상자를 절첩한 다음 다층으로 적층할때 상자에 구성된 지지수단에 의해 안정적인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특히 밑판 양측에 구성된 장측판의 절첩 및 조립시 안정적인 회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 조립시 장측판이 직립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함으로서, 단측판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절첩된 상태에서는 장측판을 견고히 지지하여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밑판과 양측 장측판과 단측판을 한벌의 금형으로 사출성형토록 하되, 밑판의 각 모서리에 절곡지지편을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하여, 양측판을 절첩한 상태에서도, 절곡지지편의 상단부가 절첩된 양측판보다 윗쪽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서, 절첩된 상자 위에 또다른 절첩상자를 적층하면, 상부에 위치한 절첩상자의 밑판하향돌출부가, 하부에 위한 절첩상자의 밑판 각 모서리에 돌출구성된 절곡지지편에 결합되어 견고한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특히 밑판 각 모서리에 구성된 절곡지지편 중 단측판쪽에 위치한 절곡지지편의 두께를 줄인 안내편을 구성하고, 장측판 양측 단부에는 안내편에 끼워져 회전하는 안내홈을 구성하여, 장측판의 회전시 안내홈이 안내편을 따라 이동되게 하고, 또한 절첩시에는 안내홈에 안내편이 끼워져 위치되게 하며, 장측판의 장측판 절삭부와, 이와 접하는 절곡지지편에는, 돌출편과 결합홈을 구성하여, 장측판의 조립시 이들이 결합되어 조립된 상태의 장측판이 직립고정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상자{FOLDING TYPE BOX}
본 발명은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한벌의 금형으로 절첩식 상자를 성형토록 함과 동시에, 빈 상자의 보관을 위하여 양측판을 절첩한 상태에서도 절첩된 상자의 적층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절첩식 상자의 절첩과 조립을 위한 장측판의 안정적인 회전작동과, 조립을 위한 직립시, 직립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함으로서, 단측판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첩식 상자는, 상자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조립하여 농수산물이나 각종 공산품을 담아 운송,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사용이 끝난 빈 상자는 절첩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서, 적재공간을 줄일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어 사용이 점차 늘고 있다.
절첩식 상자에 관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0367522호 "조립하여 절첩할 수 있는 분리형 상자"(특허문헌 1)와, 실용신안등록 제20-0407979호 "사용이 간편한 절첩식 상자"(특허문헌 2) 등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상자의 네측벽판을 장측벽판과 이등분시킨 좌,우단측벽판으로 분리되게 사출성형하되, 각 측벽판의 상접부를 조립식 경첩으로 형성시켜서 각각 분리된 장측벽판과 좌,우단측벽판을 경첩형으로 조립하여 네측벽판의 상자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가 있고, 빈상자로 운반 및 보관시에는 이등분된 좌,우단측벽판을 양쪽 장측벽판의 내측으로 접어서 부피를 축소 할 수가 있고, 운반시에는 공지의 손수레 상부에 여러층으로 높게 쌓아 올려 높이가 높은 상자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조립하여 절첩할 수가 있는 분리형 상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양 장,단측벽이 절첩되는 절첩식 상자에서, 양 단측벽의 외측상단부에 돌출된 이중 횡리브의 사이간격 함입단의 좌우양쪽 끝단에 종통공을 관통시킨 외측격편을 형성시키고, 외측에 체결돌기를, 하부쪽에 사선방향 탄력편을, 그리고 외부쪽 가운데에 외향경사진 삼각돌기를 각각 형성시킨 체결구를 좌우양쪽 외측격편의 내부쪽으로 외측 체결돌기가 상돌출구의 중앙을 관통시킨 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이 되고, 하부쪽의 사선방향 탄력편이 외측격편 내부의 하면에 상접이 되고, 외부면의 외향경사진 삼각돌기가 외측격편의 종통공에 끼워지도록 삽입시키고, 이렇게 좌우양쪽의 외측격편에 삽입된 양쪽 체결구의 사이에 작동대를 양쪽 외측접속부로서 양쪽 체결구의 접속요함부에 압입으로 연결시켜서, 좌우양쪽 체결구의 하부쪽 사선방향 탄력편으로 상향 탄발되는 작동대를 하향으로 눌렀을때, 체결구의 외측 체결돌기가 이와 상접하는 장측벽 양측변의 상부단 내측에 형성시킨 체결홈의 상부 내측돌기에 걸려 체결되어 있다가 하향하면서 간편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체결 또는 분리가 간편한 사용이 간편한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조립식 상자 제작을 위하여 밑판과 4개의 측판이 조립되는 구조들로서, 상자 제작을 위한 금형을 통상 5벌정도 준비하여야 함으로 금형 제작비용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성형된 밑판의 각 측면에 측판을 다시 조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자가 특허 제10-1266847호 "절첩식 상자"(특허문헌 3)를 출원하여 등록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절첩식 상자의 성형시 밑판의 각면에 측판이 절첩가능케 연결된 상태로 성형되게 하되, 밑판과 각 측판 사이에는 연결고정판으로 연결되게 구성하고, 상기 성형된 상자의 조립시 연결고정편을 회전시켜 밑판 테두리에 결합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각 측판이 연결고정판을 축으로 내측방향으로 절첩가능케 구성, 한벌의 금형으로 절첩식 상자의 성형이 가능토록 하여 금형제작비용을 절감케 함은 물론, 성형된 상자의 조립이 간편할 뿐 아니라, 안정되게 적층가능케 한다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3의 경우 발명자가 등록한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한벌의 금형으로 절첩식 상자를 성형토록 한 것으로서, 금형비용을 절감케 함은 물론 조립이 간편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사용후 빈상자의 운송 및 보관을 위하여, 빈 상자를 절첩시킨 다음 복층으로 적층할 경우 적층되는 상자 상호간에 별도의 지지수단이 없어 적층이 안정적이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절첩식 상자를 안정적으로 여러층 적층하기가 불편한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자가 특허 제10-2016-0151077호 "절첩식 상자"(선출원발명이라 함)로 선출원한 것이 있다.
상기 선출원발명의 기술구성을 검토하여 보면, 밑판의 각 테두리에 장측판과 단측판을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한 절첩식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밑판의 각 모서리에 절곡지지편을 돌출구성하고, 상기 각 절곡지지편의 높이는 단측판과 장측판을 밑판 상에 절첩한 상태에서 장측판 위로 돌출되게 하고, 밑판 저면에는 하향돌출부를 구성하고, 장측판과 단측판의 양측 하단부에, 장측판 절삭부와 단측판 절삭부를 구성하고, 밑판 각 모서리에 돌출구성되는 절곡지지편은 "ㄱ"형으로 절곡되게 하고, 밑판 저면에 돌출구성된 하향돌출부 외측에는 걸림턱이 구성되게 하여, 절첩된 상자를 적층하면, 밑판의 하향돌출부가 절곡지지편의 내측면에 끼워지게 함과 동시에, 밑판 저면 테두리에 구성된 걸림턱이 절곡지지편 상단부에 안치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선출원 발명의 경우 밑판과 4개의 측판으로 조립되는 절첩식 상자를 한벌의 금형으로 성형토록 하여 금형비용을 절감케 함과 동시에 간편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특히 빈 상자의 적재보관을 위하여 상자를 절첩한 다음, 다층으로 적층할때 상자에 구성된 지지수단에 의해 안정적인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밑판 양측에 절첩식으로 구성되는 장착판을 절첩하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회전을 안내하는 수단이 없어 안정적인 작동에 장애가 될 수 있고, 또한 절첩된 상태에서 장측판을 지지해주는 수단이 장측판 연결판 밖에 없기 때문에 절첩된 상태에서 외부충격이 가해지면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특히 조립을 위하여 밑판으로부터 양측 장측판을 수직으로 직립시킨 상태에서, 단측판을 수직으로 직립시키고자 할 때, 장측판으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장측판이 밑판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단측판을 수직으로 직립시키게 되면, 단측판의 양측 단부가 기울어진 장측판 내측면과 간섭하게 되므로 상자의 조립에 어려움이 있는 등의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67522호 "조립하여 절첩할 수 있는 분리형 상자" 실용신안등록 제20-0407979호 "사용이 간편한 절첩식 상자" 특허 제10-1266847호 "절첩식 상자"
본 발명은 밑판과 4개의 측판으로 조립되는 절첩식 상자를 한벌의 금형으로 성형토록 하여 금형비용을 절감케 함과 동시에 간편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또한 빈 상자의 적재보관을 위하여 상자를 절첩한 다음 다층으로 적층할때 상자에 구성된 지지수단에 의해 안정적인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특히 밑판 양측에 구성된 장측판의 절첩 및 조립시 안정적인 회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 조립시 장측판이 직립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함으로서, 단측판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절첩된 상태에서는 장측판을 견고히 지지하여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밑판과 양측 장측판과 단측판을 한벌의 금형으로 사출성형토록 하되, 밑판의 각 모서리에 절곡지지편을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하여, 양측판을 절첩한 상태에서도, 절곡지지편의 상단부가 절첩된 양측판보다 윗쪽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서, 절첩된 상자 위에 또다른 절첩상자를 적층하면, 상부에 위치한 절첩상자의 밑판하향돌출부가, 하부에 위한 절첩상자의 밑판 각 모서리에 돌출구성된 절곡지지편에 결합되어 견고한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특히 밑판 각 모서리에 구성된 절곡지지편 중 단측판쪽에 위치한 절곡지지편의 두께를 줄인 안내편을 구성하고, 장측판 양측 단부에는 안내편에 끼워져 회전하는 안내홈을 구성하여, 장측판의 회전시 안내홈이 안내편을 따라 이동되게 하고, 또한 절첩시에는 안내홈에 안내편이 끼워져 위치되게 하며, 장측판의 장측판 절삭부와, 이와 접하는 절곡지지편에는, 돌출편과 결합홈을 구성하여, 장측판의 조립시 이들이 결합되어 조립된 상태의 장측판이 직립고정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밑판과 양측 장측판과 단측판을 한벌의 금형으로 사출성형토록 하되, 밑판의 각 모서리에 절곡지지편을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하여, 양측판을 절첩한 상태에서도, 절곡지지편의 상단부가 절첩된 양측판보다 윗쪽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서, 절첩된 상자 위에 또다른 절첩상자를 적층하면, 상부에 위치한 절첩상자의 밑판하향돌출부가, 하부에 위한 절첩상자의 밑판 각 모서리에 돌출구성된 절곡지지편에 결합되어 견고한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특히 밑판 각 모서리에 구성된 절곡지지편 중 단측판쪽에 위치한 절곡지지편의 두께를 줄인 안내편을 구성하고, 장측판 양측 단부에는 안내편에 끼워져 회전하는 안내홈을 구성하여, 장측판의 회전시 안내홈이 안내편을 따라 이동되게 하고, 또한 절첩시에는 안내홈에 안내편이 끼워져 위치되게 하며, 장측판의 장측판 절삭부와, 이와 접하는 절곡지지편에는, 돌출편과 결합홈을 구성하여, 장측판의 조립시 이들이 결합되어 조립된 상태의 장측판이 직립고정되게 함으로서, 절첩식 상자의 성형과 조립이 간편할 뿐 아니라, 많은 량의 절첩식 상자를 안정되게 적층할 수 있게 되고, 특히 밑판 양측에 구성된 장측판의 절첩 및 조립시 안정적인 회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 조립시 장측판이 직립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함으로서, 단측판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절첩된 상태에서는 장측판을 견고히 지지하여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전개상태 사시도
도 2 :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3 :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4 :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5 :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6 : 도 1의 측면구성도
도 7 : 도 1의 평면구성도
도 8 : 본 발명의 절첩상태 사시도
도 9 : 도 8의 측면구성도
도 10 : 도 8의 평면구성도
도 11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전개된 상태도
도 12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평면구성도로서 전개된 상태도
도 13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평면구성도로서 절첩된 상태도
도 14 : 본 발명의 절첩상태에서 다층으로 적층한 상태의 사시도
도 15 : 도 14의 상태에서 밑판의 하향돌출부가 절곡지지판에 끼워진 상태도
도 16 : 본 발명의 조립상태도
도 17 : 도 16의 측면구성도
도 18 : 도 16의 상자를 적층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절첩식 상자(10)를 한벌의 사출금형으로 성형한 전개상태의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절첩식 상자(10)를 절첩한 상태 및 절첩한 상자를 적층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절첩식 상자(10)를 조립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절첩식 상자(10)는 사각형상의 밑판(20)과 밑판(20)의 4개면에 절첩식으로 연결되는 두개의 장측판(40)과 두개의 단측판(60)으로 구성된다.
밑판(20)과 장측판(40)의 연결은 긴 사각형으로 구성된 장측판 연결편(41)을 통하여 연결하되, 장측판 연결편(41)의 일측은 밑판(20)과, 타측은 장측판(40)과 2단절첩가능하게 연결하고, 밑판(20)과 단측판(60)의 연결은 얇은 판상으로 구성된 단측판 연결편(61)을 통하여 2단절첩가능케 연결한다.
밑판(20)의 각 모서리에는 "ㄱ"형으로 절곡구성된 절곡지지판(80)을 돌출구성하되, 상기 절곡지지편(80)의 높이는 도 8에서와 같이 장,단측판(40)(60)을 절첩한 상태에서도 절곡지지편(80)의 상단부(81)가 절첩된 장측판(40)보다 윗쪽으로 돌출되게 한다.
밑판(20) 저면에는 도 6 및 도 9에서와 같이 하향돌출부(21)를 구성하여 하향돌출부(21) 외측에 외측면(22)과 걸림턱(23)을 구성한다.
장측판(40)과 단측판(60) 하단 양측단부에는 장측판 절삭부(42)와 단측판 절삭부(62)를 구성하되, 상기 장,단측판 절삭부(42)(62)는 장,단측판(40)(60)의 절첩시, 양측판의 하단부가 절곡지지편(80)과 간섭되지 않게 하여 원활한 절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장측판(40)의 양측 단부에는 걸림공(43)이 형성된 걸림편(44)을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하고, 단측판(60)의 양측 단부에는 걸림돌기(63)가 형성된 결합편(64)을 구성하여, 조립시 단측판(60)의 걸림돌기(63)가 장측판(40)의 걸림공(43)에 끼워져 결합되게 한다.
장측판(40)과 단측판(60)이 연결되는 밑판(20)의 테두리에는 장측판 결합공(46)과, 단측판 결합공(66)을 구성하고, 장측판(40) 내측 하단에는 장측판 결합돌기(45)를, 단측판(60) 내측 하단에는 단측판 결합돌기(65)를 각각 구성하여, 조립시 장측판 결합공(48)에 장측판 결합돌기(45)가 끼워지고, 단측판 결합공(66)에 단측판 결합돌기(65)가 끼워져 결합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절첩식 상자(10)의 기술요지는 장측판(40)을 절첩 혹은 조립하고자 장측판(40)을 회전시킬때, 장측판(40) 양측 단부를 지지하여 안정적인 회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절첩이 상부에 위치하는 장측판(40)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밑판(20) 각 모서리에 돌출구성된 절곡지지편(80) 중 단측판(60)쪽에 위치하는 절곡지지편(80)을 1/2이하로 절삭하여 얇게 구성한 안내편(85)을 구성하되, 일부는 후육부(86)로 잔류시켜 두께가 얇아짐에 따른 안내편(85)을 보강케 한다.
이때 안내편(85)의 두께는, 절곡지지편(80)의 두께 1/2~1/6정도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내편(85)의 두께가 두꺼우면 장측판(40)에 구성되는 안내홈(48)의 넓이가 넓어지게 되고, 얇으면 안내편(85)의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장측판(40) 양측 하단부에 구성된 장측판 절삭부(42)에는 안내홈(48)을 부가하여 장측판(40)이 절첩 및 조립을 위하여 회전시킬때, 안내홈(48)이 안내편(85)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되게 한다.
동시에 장측판(40)을 완전히 절첩한 상태에서는 도 8 및 도 10에서와 같이 절곡지지편(80)의 안내편(85)에 장측판(40)의 안내홈(48)이 끼워진 상태로 절첩되게 함으로서, 절첩된 장측판(40)의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밑판(20)의 각 모서리에 절곡지지편(80)을 돌출구성하되, 절곡지지편(80)의 내측면(82) 단부, 즉 장측판 절삭부(42)와 조립되는 부분에, 결합홈(89)을 수직으로 요입구성하고, 상기 절곡지지편(80)과 조립되는 장측판 절삭부(42) 내측면에 돌출편(49)을 구성하여, 장측판(40)의 조립을 위하여 수직으로 직립시키면, 장측판 절삭부(42)의 돌출편(49)이 절곡지지편(80)의 결합홈(89)에 끼워져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장측판(40) 조립시 장측판 절삭부(42) 내측면에 구성된 돌출편(49)이 절곡지지편(80)의 결합홈(89)에 끼워져 결합되게 함으로서, 장측판(40)으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장측판(40)이 직립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단측판(60)의 조립을 위한 직립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절첩식 상자(10)를 구성하되, 밑판(20) 각 테두리에 장측판 연결편(41)과 단측판 연결편(61)을 통하여 장측판(40)과 단측판(60)을 일체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절첩식 상자(10)를 한벌의 금형으로 성형토록 함으로서, 금형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밑판(20) 테두리에 장,단측판(40)(60) 연결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없게 되므로 조립식 상자(10)의 제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절첩식 상자(10)는 상자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장,단측판(40)(60)을 조립하여 사용하게 되고, 사용후 빈 상자를 운송,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절첩하여 운송보관토록 함으로서, 취급이 간편할 뿐 아니라, 좁은 공간에 보다 많은 상자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절첩식 상자(10)가 절첩된 상태에서 운송, 보관하고자 할 경우, 다층으로 적층하더라도 밑판(20) 각 모서리에 돌출구성된 절곡지지편(80)에 의해, 안정되게 적층시킬 수 있어 보다 많은 량의 절첩식 상자(10)를 적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첩식 상자(10)의 조립과 절첩 및 적층과정을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절첩식 상자(10)가 전개된 상태로 성형된 상태에서 사용을 위하여서는 1차적으로 장측판 연결편(41)과 단측판 연결편(61)을 밑판(20) 테두리에 결속하여 조립하여야 한다.
즉 장측판(40)과 단측판(60)을 밑판(20)과 연결하는 장측판 연결편(41)과 단측판 연결편(61)을 180°절첩하여, 장측판 연결편(41)과 단측판 연결편(61)에 구성된 장측판 결합돌기(45)과 단측판 결합돌기(65)이, 장측판 결합공(46)과 단측판 결합공(66)에 끼워지게 한다.
이때 단측판 연결편(61)이 밑판(20)과 먼저 조립되게 한 다음 장측판 연결편(41)이 조립되게 하면 도 13에서와 같이 절첩식 상자(10)가 조립된다.
상기에서 단측판 연결편(61)을 180°절첩시켜 단측판 결합돌기(65)가 단측판 결합공(66)에 끼워지게 하면 단측판(60)은 자연스럽게 90°로 회전하여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절첩과정에서 각 모서리에 돌출구성된 절곡지지편(80)이 절첩에 장애가 될 수 있으나, 단측판(60) 양측 하단부에 구성된 단측판 절삭부(62)에 의해 절첩에는 문제가 없다.
단측판(60)이 밑판(20)으로부터 90°직립된 상태에서 장측판 연결편(41)을 180°절첩시켜 장측판 결합돌기(45)가, 장측판 결합공(46)에 끼워지게 하면 장측판(40)은 자연스럽게 90°로 회전하여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절첩과정에서 각 모서리에 돌출구성된 절곡지지편(80)이 절첩에 장애가 될 수 있으나, 장측판(40) 양측 하단부에 구성된 장측판 절삭부(42)에 의해 절첩에는 문제가 없다.
상기에서와 같이 장측판(40)을 90°회전시키면 양측단부에 구성된 걸림편(44)이 단측판(60) 양측 단부 외측에 위치되고, 동시에 단측판(60)에 구성된 걸림돌기(63)가 장측판(40)의 걸림편(44)에 구성된 걸림공(43)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밑판(20) 상에 수직으로 절첩된 장,단측판(40)(6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상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밑판(20) 상에 장,단측판(40)(60)을 조립하여 상자의 용도로 사용후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절첩하여 보관하게 되며 절첩은 다음과 같이 된다.
도 13에서와 같이 절첩식 상자(10)가 조립된 상태에서 단측판(60)을 잡고 밑판(20)쪽으로 밀면 장측판(40)의 걸림공(43)에 끼워진 걸림돌기(63)가 이탈하면서 단측판(60)은 단측판 연결편(61)을 축으로 90°회전하여 밑판(20)과 접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다시 장측판(40)을 잡고 밑판(20)쪽으로 밀면 장측판(40)은 장측판 연결편(41)을 축으로 90°회전하여 단측판(60) 상에 접하게 되면서 도 8에서와 같이 절첩이 완료되고, 이때 밑판(20) 각 모서리에 구성된 절곡지지편(80)은 장,단측판(40)(60)보다 윗쪽으로 돌출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장측판(40)이 조립된 상태에서 절첩을 위하여 밑판(20)쪽으로 하향회전시키거나, 절첩된 장측판(40)을 조립을 위하여 상향회전시킬때 장측판(40) 양측 단부에 구성된 안내홈(48)이 절곡지지편(80)의 안내편(85)에 끼워진 상태에서 안내편(85)을 따라 회전되게 함으로서, 장측판(40)의 안정된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장측판(40)의 절첩 및 조립시 장측판(40)의 회전균형이 틀어지면서 원활한 절첩과 조립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절첩시 밑판(20)상에 단측판(60)을 절첩시킨 다음 장측판(40)을 절첩시키면 장측판(40) 양측 단부에 구성된 안내홈(48)이 절곡지지편(80)의 안내편(85)을 따라 회전하다가 90°회전하여 단측판(60)과 접하게 되면 회전을 멈추면서 절첩이 완료되며, 이때 장측판(40) 양측 단부에 구성된 안내홈(48)에 절곡지지편(80)의 안내편(85)이 끼워진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절첩된 상태에서 장측판(40)에 외부 힘이 가해지더라도 장측판(40) 양측에 구성된 안내홈(48)이 절곡지지편(80)의 안내편(81)에 끼워진 상태로 장측판(40)을 지지하게 되므로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절첩식 상자(10)의 절첩이 완료되면 절첩된 상자를 다층으로 적층하여 한정된 공간에 보다 많은 량의 상자를 안정되게 적층보관할 수 있다.
즉 절첩된 상자를 바닥에 안치한 상태에서 그 위에 또다른 적첩된 상자를 적층하게 되면, 밑판(20) 저면에 돌출구성된 하향돌출부(21)가 각 모서리에 돌출구성된 절곡지지편(80)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안정적인 적층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밑판(20) 저면에 구성된 하향돌출부(21)가 절곡지지편(80)에 끼워지게 되면, 밑판(20) 테두리에 구성된 걸림턱(23)이 절곡지지편(80)의 상단부(81)에 안치되고, 동시에 하향돌출부(21)의 외측면(22)은 절곡지지편(80)의 내측면(82)과 접촉하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인 적층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절첩식 상자(10)는 밑판(20) 각 모서리에 절곡지지편(80)을 돌출구성하되, 장,단측판(40)(60)을 절첩한 상태에서도 절첩된 장,단측판(40)(60)보다 윗쪽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서, 절첩된 상자를 절첩할때 밑판(20) 저면에 돌출구성된 하향돌출부(21)가 절곡지지편(80)에 끼어져 결합되게 함으로서 절첩상자를 안정되게 다층으로 적층할 수 있게, 특히 장측판(40) 양측에 구성된 안내홈(48)이 절곡지지편(80)의 안내편(85)에 끼워진 상태로 절첩, 혹은 조립이 되므로 안정적인 회전동작을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절첩된 상태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뿐만 아니라, 절곡지지편(80)에 구성된 안내편(85)의 두께가 1/2이하로 얇게 구성되어 있어 단측판(60)의 회전시 단측판 절삭부(62)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단측판 절삭부(62)의 크기를 안내편(85)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조립된 상태에서 단측판 절삭부(62)와 안내편(85) 사이의 틈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양질의 절첩식 상자(1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절곡지지편(80) 일측에 결합홈(89)을 구성하고, 장측판 절삭부(42)에 돌출편(49)을 구성할 경우, 절첩된 상태의 상자를 다시 조립하여 상자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즉 절첩식 상자(10)가 도 14에서와 같이 절첩된 상태에서, 상자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장측판(40)을 외측으로 당겨올리면 장측판(40)이 장측판 연결편(41)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직립하게 된다.
장측판(40)이 수직에 가깝게 직립이 되면 장측판절삭부(42)가 절곡지지편(80)과 접하게 되고, 이때 장측판 절삭부(42) 내측면에 구성된 돌출편(49)이 절곡지지편(80)의 내측면(82) 단부에 걸려 회전이 잠시 멈춰질 수 있으나, 상기한 상태에서 장측판(40)을 외측방향으로 좀 더 세게 잡아당기면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양측 절곡지지편(80)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면서 수직으로 직립되고, 동시에 장측판 절삭부(42)의 돌출편(49)이 절곡지지편(80)에 구성된 결합홈(89)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걸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장측판(40)의 돌출편(49)이, 절곡지지편(80)의 결합홈(89)에 끼워지게 되면 장측판(40)으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장측판(40)이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자를 조립하려는 사용자의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단측판(60)을 잡고, 외측방향으로 잡아 당겨 회전시키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상자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후 절첩시에도, 단측판(60)을 절첩시키더라도, 장측판(40)은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외력을 가하여 내측방향으로 밀면 절곡지지편(80)의 결합홈(89)에 끼워져 있던 장측판 절삭부(42)의 돌출편(49)이 이탈하면서 절첩이 되므로 간편하게 조립식 상자(10)의 절첩이 완료된다.
(10)--절첩식 상자 (20)--밑판
(21)--하향돌출부 (22)--외측면
(23)--걸림턱 (40)--장측판
(41)--장측판 연결편 (42)--장측판 절삭부
(43)--걸림공 (44)--걸림편
(45)--장측판 결합돌기 (46)--장측판 결합공
(48)--안내홈 (49)--돌출편
(60)--단측판 (61)--단측판 연결편
(62)--단측판 절삭부 (63)--걸림돌기
(64)--결합편 (65)--단측판 결합돌기
(66)--단측판 결합공 (67)--내측면
(80)--절곡지지편 (81)--상단부
(82)--내측면 (85)--안내편
(86)--후육부 (89)--결합홈

Claims (3)

  1. 밑판(20)의 각 테두리에 장측판(40)과 단측판(60)을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한 절첩식 상자를 구성하되, 밑판(20)의 각 모서리에 "ㄱ"형 절곡지지편(80)을 돌출구성하고, 상기 절곡지지편(80)의 상단부(81)는 단측판(60)과 장측판(40)을 밑판(20) 상에 절첩한 상태에서 장측판(40)위로 돌출되게 하고, 밑판(20) 저면에는 하향돌출부(21)를 구성하고, 장측판(40)의 양측 단부에 구성된 장측판절삭부(42)에 안내홈(48)을 요입구성하고, 절곡지지편(80) 중 단측판(60)쪽에 위치한 절곡지지편(80)에는 후육부(86)와, 후육부(86)의 두께보다 얇은 안내편(85)을 구성하여 장측판(40)의 절첩 및 조립을 위한 회전시나, 보관을 위한 절첩시 장측판(40)의 안내홈(48) 내에 절곡지지편(80)의 안내편(85)이 끼워지게 하되, 절곡지지편(80)을 구성하는 안내편(85)은 후육부(86) 두께의 1/2~1/6두께로 얇게 구성함으로서, 단측판(60)의 회전시 안내편(85)과 단측판 절삭부(62)와의 접촉을 줄여, 단측판(60)의 조립시 단측판 절삭부(62)와, 안내편(85) 사이의 틈발생을 줄일 수 있게 한 절첩식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절곡지지편(80)의 내측면(82) 단부에 결합홈(89)을 구성하고, 장측판(40)의 장측판 절삭부(42)에 돌출편(49)을 구성하여, 장측판(40)을 직립시키면, 장측판 절삭부(42)의 돌출편(49)이 절곡지지편(80)의 결합홈(89)에 끼워져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2. 삭제
  3. 삭제
KR1020180134352A 2018-05-09 2018-11-05 절첩식 상자 Active KR102074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52884 2018-05-09
KR1020180052884 2018-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79A KR20190128979A (ko) 2019-11-19
KR102074270B1 true KR102074270B1 (ko) 2020-02-06

Family

ID=6877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352A Active KR102074270B1 (ko) 2018-05-09 2018-11-05 절첩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2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979Y1 (ko) 2005-11-22 2006-02-06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사용이 간편한 절첩식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522Y1 (ko) 2004-08-11 2004-11-12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조립하여 절첩할 수가 있는 분리형상자
KR200451812Y1 (ko) * 2008-11-14 2011-01-13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절첩상자
KR101266847B1 (ko) 2012-01-30 2013-05-24 (주)케이엠피 절첩식 상자
KR101373713B1 (ko) * 2012-02-09 2014-03-13 엔피씨(주) 절첩식 운반 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979Y1 (ko) 2005-11-22 2006-02-06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사용이 간편한 절첩식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79A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550B2 (en) Collapsible container
US20120152799A1 (en)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KR101926420B1 (ko) 절첩식 상자
KR102074270B1 (ko) 절첩식 상자
US11160711B2 (en) Corrugated cardboard coffin
JP5681927B2 (ja) 運搬用容器
JP2014218256A (ja) 組立容器
KR101266847B1 (ko) 절첩식 상자
KR102161496B1 (ko) 접이식 다용도 수납상자
KR101572778B1 (ko) 조립식 상자
JP6117730B2 (ja) 組立式発泡箱
KR20180034293A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JP5596316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KR200373835Y1 (ko) 플라스틱제의 접철식 상자
CN207644845U (zh) 一种可拆卸可叠加的储物箱
JPH0624440A (ja) 折畳み可能な通い箱
JP4121517B2 (ja) コンテナのスタック構造
KR200370413Y1 (ko) 수납용 상자
KR200480217Y1 (ko) 테이블 겸용 수납박스
JPH072413Y2 (ja) 積み重ね式コンテナ
JP2008247453A (ja) コンテナ
JP3554843B2 (ja) 台枠を備えた組立収納ケース
KR101765748B1 (ko) 포장 용기
KR200365587Y1 (ko) 절첩식 상자
KR200367522Y1 (ko) 조립하여 절첩할 수가 있는 분리형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3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