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954B1 -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self-diagnostic function for railway vehicle - Google Patents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self-diagnostic function for railway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3954B1 KR102073954B1 KR1020180031999A KR20180031999A KR102073954B1 KR 102073954 B1 KR102073954 B1 KR 102073954B1 KR 1020180031999 A KR1020180031999 A KR 1020180031999A KR 20180031999 A KR20180031999 A KR 20180031999A KR 102073954 B1 KR102073954 B1 KR 1020739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led module
- operator computer
- controller
- batte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4092 self-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4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 B60Q3/41—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for mass transit vehicles, e.g. buses
- B60Q3/46—Emergency lighting, e.g. for escape rou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lighting, e.g. room lamps with reading lamps
- B60Q3/745—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lighting, e.g. room lamps with reading lamps using lighting panels or mats, e.g. electro-luminescent panels, LED m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05B45/58—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involving end of life detection of LE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진단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전원 감지부(125)와,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되는 외부전력을 LED모듈(130)로 스위칭하거나 또는 충전배터리(150) 전원 공급을 LED모듈(130)로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115)와, LED모듈(130)과, 충전배터리(150)와, 외부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충전배터리(150)의 전원이 LED모듈(130)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제어부(120)와, 운영자 컴퓨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어부(120)에 기준 전압상승변화값이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20)는 철도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충전배터리(150)의 전압상승변화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전압상승변화값을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며, 운영자 컴퓨터(200)는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운행 중의 전압상승변화값에 기초하여서 충전배터리의 잔류 수명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충전배터리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tic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25 and the external power input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120 The power switch unit 115 for switching to the module 130 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50 to the LED module 130, the LED module 130, the rechargeable battery 150,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are input. If not, the control unit 120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50 is supplied to the LED module 130, and comprises an operator computer 200, the reference voltage increase change value in the control unit 120 The controller 120 calculates a voltage increase change valu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50 while the railroad vehicle is in operation, transmits the calculated voltage increase change value to the operator computer 200, and operates the operator computer 200. ) Is the fortune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20. According hayeoseo based on a rise in the voltage change valu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alculates the remaining life of the battery charge,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dict the lif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비상등의 충전배터리의 잔류 수명, LED의 이상 유무 확인 및 LED의 잔류 수명을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로 객실의 천장에 매입 설치되는 비상등의 관리를 원격에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lighting, and in particular, by making it possible to remotely check the remaining lif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f emergency light installed in the railway vehic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ED and the remaining life of the LED, it is mainl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cab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equipped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suitable for remotely and conveniently managing emergency lights.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여객 및 승무원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대피설비와 구조를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에 따라 축전지 전원으로 작동되도록 규정되어 있는 장치들 중에 비상조명등이 포함되어 있다.In general, it is required to provide evacuation facilities and structures so that passengers and crews can escape quickly and safely in the event of a fire in a railroad car. This is included.
비상조명등은 객실, 화장실, 비상출구 주변의 출입문 등에 설치되며, 이중화 구조로 구성하고, 축전지 전원에 의하여 바닥을 기준으로 10룩스 이상의 밝기로 30분 이상 작동되도록 하고 있다.Emergency lights are installed in guest rooms, restrooms, entrance doors around emergency exits, and are constructed in a redundant structure and operated for more than 30 minutes with brightness of 10 lux or more based on the floor by battery power.
따라서 국내 철도차량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비상조명등은 운전실(고속 철도차량은 객차에도 장착됨)에 장착된 축전지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여러 조명 시스템과 함께 운전실에 설치된 차상 컴퓨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동작된다.Therefore, emergency lights installed in domestic railroad cars are connected to batteries installed in the cab (high-speed rail cars are also mounted in passenger cars) and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on-board computer devices installed in the cab along with other lighting systems. .
철도차량의 실내 조명 시스템은 객실 측면등(상단, 하단), 객실 독서등, 화장실등, 수유실등, 출입문 복도등, 배전반 복도등, 화장실 복도등, 갱웨이등, 승무원실등, 행선표시기등, 스텝등으로 구성되며, 축전지 전원 공급 상태, 충전기 이상 여부 및 주변 비상상태 발생 여부 등의 조건에 따라 운전실에 설치된 차상 컴퓨터는 운영 모드(최대, 감소, 안전, 최소 모드)를 정하여 점등 제어를 하게 된다. The interior lighting system of the railroad car is equipped with cabin side light (top and bottom), cabin reading light, toilet light, nursing room light, door corridor light, switchboard hall light, toilet corridor light, gangway light, crew room light, destination indicator light, It is composed of step lamps, and the on-board computer installed in the cab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such as battery power supply status, charger abnormality and surrounding emergency condition. .
비상조명등이 축전지의 전원에 연결되어 차상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점등되도록 운영되고 있지만, 화재나 충돌, 탈선, 전복 등으로 인해 전원선 또는 통신선로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비상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비상조명등이 점등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어떠한 상황 하에서도 승객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시야를 확보해 줄 수 있는 추가적인 보완 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The emergency lights are connected to the battery power and are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onboard computer.However, if a problem occurs in the power line or communication line due to fire, collision, derailment, or overturning, the emergency lights are turned on despite the emergency condition. It may not be lit. Therefore, additional supplementary measures are necessary to ensure visibility for passengers to evacuate safely under any circumstanc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기술이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고 특허등록된 등록특허 제10-1774386호(공고일: 2017년 09월 05일)에 의한 "열차의 비상조명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has been disclosed by the patent application No. 10-1774386 (patent date: September 05, 2017)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ergency lighting system of the train" is disclosed have.
위 등록특허 제10-1774386호에 의한 "열차의 비상조명시스템"은 그 등록공보에 잘 개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센서부, 전원부, 축전지부, 조명부로 구성되어서, 비상시에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철도차량 내부의 승객의 존재 여부를 검지하여 개별 조명장치에 포함된 축전지로부터 승객의 대피를 위한 최소의 조명을 확보할 수 있는 비상조명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Emergency lighting system of trains" according to the above Patent No. 10-1774386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a sensor unit, a power supply unit, a battery unit, an illumination unit, as well disclosed in the registered publication, the railway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in an emergency The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n emergency lighting system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passengers in a vehicle and secures minimal lighting for evacuation of passengers from a battery included in an individual lighting devi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 제10-1774386호에 의한 "열차의 비상조명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of a train" according to the above Patent No. 10-1774386 has the following problems.
등록특허 제10-1774386호에 의한 "열차의 비상조명시스템"에 의한 제어부는 외부공급전원을 감시하고, 센서부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통해 비상상태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부를 제어하여 축전지부에 의해서 조명부가 점등되도록 동작된다. The control unit by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registered patent No. 10-1774386 monitors the external power suppl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condition is generated through a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The lighting unit is operated to turn on.
대부분의 일반 조명등과 마찬가지로 비상등의 조명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천장 안쪽으로 위치되어 있어서 외부에서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비상조명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축전지부와 제어부 등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탈거하여 측정장비로 측정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성품의 잔류 수명은 장비를 통해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방안이 동원되어야 한다. As with most general lights, the rest of the lights, except for the emergency lights, are located inside the ceiling and are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Therefore, in order to check the state of the battery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stituting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it must be removed and measured by measuring equipment. However, this task is time consuming and expensive. Nevertheless, the residual life of the components cannot be measured by the equipment, so separate measures must be mobilized.
비상조명시스템은 비상상태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한 장치이기 때문에 정상 상태를 유지하고 구성품의 수명이 일정 기간 이내 보장될 수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특별한 대책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is a device in case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a normal state and the life of the component can be guaranteed within a certain period,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is no special measur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의 목적은,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tic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비상등의 충전배터리의 잔류 수명, LED의 이상 유무 확인 및 LED의 잔류 수명을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로 객실의 천장에 매입 설치되는 비상등의 관리를 원격에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First, it is possible to remotely check the remaining lif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f emergency lamps installed in railway vehicles, check for abnormalities of LEDs, and the remaining life of LEDs. To do it,
둘째, 충전배터리 또는 LED모듈의 상태를 스스로 진단하여 이상 유무뿐 아니라 잔류 수명을 원격에 있는 운영자가 알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상조명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관리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하며,Secondly,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increas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by diagnosing the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r LED module by itself so that the remote operator can know not only the abnormality but also the remaining life.
셋째, 충전배터리는 차량의 운행과 정차에 따라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수명이 남았는지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므로 이 잔류 수명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도록 하며,Third, because the rechargeable battery repeats charging and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driving and stopping of the vehicle, it is necessary to predict how much life remains, so that the prediction of the remaining life can be made.
넷째, LED모듈의 잔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조명등으로서의 본연의 역할을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Fourth, to provide an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that can be expected to predict the remaining life of the LED module to always maintain its role as emergency light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은, 철도차량이 전복, 전력차단, 화재 또는 충돌을 포함하는 비상상태(이하, 비상상태)에 외부전력이 정상적으로 철도차량에 구비된 객실등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철도차량에 조명을 공급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전원공급부로부터 외부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외부전원 감지부와,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되는 외부전력을 LED모듈로 스위칭하거나 또는 충전배터리 전원 공급을 LED모듈로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와, 철도차량에 설치되어 비상상태 시에 철도차량에 조명을 제공하는 LED모듈과, 철도차량으로 정상적으로 외부전력이 공급되고 있을 때는 축전하고, 외부의 전력공급이 차단된 경우 상기 LED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와, 상기 외부전원 감지부가 검출한 전압값을 수신하고, 이 수신한 전압값을 기초로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 스위칭부가 외부전원이 LED모듈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고, 외부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충전배터리의 전원이 LED모듈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제어부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구비되는 운영자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와 운영자 컴퓨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기준 전압상승변화값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에 기준 전압상승변화값이 저장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전압상승변화값을 운영자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철도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상기 충전배터리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검출하여서 상기 검출된 충전배터리의 전압값에 의해서 상기 충전배터리의 각 주기에서의 전압상승변화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전압상승변화값을 상기 운영자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자 컴퓨터는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운행 중의 전압상승변화값에 기초하여서 충전배터리의 잔류 수명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xternal power is normally in an emergency state (hereinafter, emergency state) including the railway vehicle overturn, power cut, fire or collision In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to provide lighting to the railway vehicle when it is not supplied to the cabin provided in the railway vehicle, an external power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and input from the controller A power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external power input to the LED module or the charging battery power supply to the LED module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an LED module installed in the railway vehicle to provide lighting to the railway vehicle in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external power is normally supplied by railroad cars, When the external power supply is cut off, it receives a charging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D module and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external power detection unit, and determines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based on the received voltage valu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to the LED module when the external power is input, and the controller switches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to be supplied to the LED module when the external power is not input.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or computer provided in the cab of the control unit, the reference voltage increase change value is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operator computer, the control unit is stored The voltage rise chang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operator's computer,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a railway vehicle. While periodically detecting the voltag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calculating a voltage increase change value in each cycl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based on the detected voltage value of the charge battery, and converting the calculated voltage increase change value to the operator computer. And the operator computer calculates the remaining lif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based on the change in voltage rise during oper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비상등의 충전배터리의 잔류 수명, LED의 이상 유무 확인 및 LED의 잔류 수명을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고, 그 결과 주로 객실의 천장에 매입 설치되는 비상등의 관리를 원격에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remotely check the remaining lif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f emergency lamps installed in railway vehicles, the presence of LEDs, and the remaining life of LEDs remotely. As a result, it is convenient to remotely manage the emergency light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cabi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erformed.
둘째, 충전배터리 또는 LED모듈의 상태를 스스로 진단하여 이상 유무뿐 아니라 잔류 수명을 원격에 있는 운영자가 알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비상조명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관리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it is effective to diagnose the status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r LED module by the operator remotely and not only whether there is any abnormality but also the remaining lif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increas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There is.
셋째, 충전배터리는 차량의 운행과 정차에 따라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수명이 남았는지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므로 이 잔류 수명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since the rechargeable battery repeats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driving and the stop of the vehicl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how long the remaining battery life remains, and thus, the residual battery may have an effect of predicting the remaining life.
넷째, LED모듈의 잔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조명등으로서의 본연의 역할을 항상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remaining life of the LED module has the effect that can always maintain its role as emergency ligh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LED모듈(130)의 요부 예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structural diagram of the main part of FIG. 1. FIG.
3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of the
다음은 본 발명인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tic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emed that the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rticular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that is described,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은, 철도차량의 복수의 객실 내부에서 AC일반등 및 DC등과 함께 배치되며, 철도차량이 전복, 전력차단, 화재 또는 충돌을 포함하는 비상상태(이하, 비상상태)에 외부전력이 정상적으로 철도차량에 구비된 객실등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철도차량의 객실에 조명을 공급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전원 감지부(125)와 전원 스위칭부(115)와 LED모듈(130)과 충전배터리(150)와 제어부(120)와 철도차량의 운전실(미도시)에 구비되는 운영자 컴퓨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cabin of a plurality of railway vehicles together with the AC general light and DC, the railway vehicle overturn, power cut, fire or collision In an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supplying lighting to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railway vehicle when the external power is not normally supplied to a cabin provided in the railway vehicle in an emergency state (hereinafter, emergency state), the external power detection unit ( 125, a
상기 외부전원 감지부(125)는 외부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외부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외부전원 감지부(125)는 예컨대 전압 감지에 의해서 외부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상기 전원 스위칭부(115)는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되는 외부전력을 LED모듈(130)로 스위칭하거나 또는 충전배터리(150) 전원 공급을 LED모듈(130)로 스위칭하는 구성이다.The
상기 LED모듈(130)은 철도차량의 객실 내부(천장이나 측벽)에 설치되어 비상상태 시에 철도차량에 조명을 제공한다.The
상기 충전배터리(150)는 철도차량으로 정상적으로 외부전력이 공급되고 있을 때는 축전하고, 비상상태와 같이 외부의 전력공급이 차단된 경우 상기 LED모듈(130)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The
상기 제어부(120)는 외부전원 감지부(125)가 검출한 전압값을 수신하고, 이 수신한 전압값을 기초로 예컨대 철도차량 비상상태인지 즉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 스위칭부(115)가 외부전원이 LED모듈(130)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고, 외부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충전배터리(150)의 전원이 LED모듈(130)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구성이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은,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값을 원격의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16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상기 통신모듈(160)과 운영자 컴퓨터(200)는 예컨대 RS-485 통신 규격에 의해서 통신될 수 있다.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120)와 운영자 컴퓨터(20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기준 전압상승변화값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20)에 기준 전압상승변화값이 저장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된 전압상승변화값을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며, 이때 운영자 컴퓨터(200)는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기준 전압상승변화값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120)는 철도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상기 충전배터리(150)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즉, 일정 시간 간격으로 검출하여서 상기 검출된 충전배터리(150)의 전압값에 의해서 상기 충전배터리(150)의 해당 주기(일정 시간 동안)의 전압상승변화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전압상승변화값을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운행 중의 전압상승변화값에 기초하여서 충전배터리의 잔류 수명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철도차량의 전체를 제어하는 TCMS(Train Control Management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AC 전원 또는 DC 전원)을 직류의 기준 전압으로 강하하는 전압변환부(111)와, LED모듈(130)의 전단에 구비되고, LED모듈(130)의 각 LED가 동작하기 위한 동작전압으로 승압하고 정전류로 출력하는 승압 및 정전류부(112)와, 상기 충전배터리(150)에 충전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과충전을 막는 충전회로부(15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도 있다.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voltage conversion unit for dropping the power source (AC power supply or DC power supply)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a reference voltage of direct current And a boosting and constant
상기 전압변환부(111), 승압 및 정전류부(112), 외부전원 감지부(125), 전원 스위칭부(115), 제어부(120), LED전압 측정부(142), 배터리전압 측정부(144), 전압검출 스위칭부(146), 충전회로부(152), 충전배터리(150)와 통신모듈(160)은 철도차량용 비상조명등(100)에 구비된다.The
철도차량용 비상조명등(100)은 예컨대 비상상태 등으로 인해 전원선이 손상되어 철도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없을 때 충전배터리(150)의 전원을 LED모듈(130)에 연결하여 조명을 제공하는 램프로서, 철도차량의 객실의 주로 천장에 설치되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객실의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은, 크게 보면 상기 철도차량용 비상조명등(100)과 운영자 컴퓨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with a self-diagnostic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의하면, 충전배터리(150)의 잔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데, 이는 충전배터리(150)의 수명이 다할수록 초기 충전전압이 낮아지고, 충전 상승 시간이 짧아져서 전압상승변화값이 커진다는 실험적 고찰의 결과이다.According to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tic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remaining life of the
이를 수신한 운영자 컴퓨터(200)는 충전배터리(150)의 잔류 수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이를 표시부를 통해서 표시한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에는, 충전배터리(150)의 전압상승변화값과 충전배터리(150)의 잔류 수명이 테이블값으로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저장되어 있는 배터리 잔류 수명 데이터베이스(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충전 중인 상태에서의 전압상승변화값을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전압상승변화값에 일대일로 매칭된 잔류수명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추출한 잔류수명데이터를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배터리 잔류 수명 데이터베이스(211)에는 전압상승변화값이 얼마일 때 수명이 몇 시간 남았는지를 통계 테이블값으로 저장하고 있다.The battery
전압상승변화값에 일대일로 대응된 배터리수명시간을 테이블값으로 저장한 통계데이터값이 운영자 컴퓨터(200)에 저장되어 있고, 전압상승변화값이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되면, 운영자 컴퓨터(200)는 이 수신한 전압상승변화값에 일대일로 매칭된 잔류 수명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인 수명값을 운영자 컴퓨터의 화면표시부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When the statistical data value storing the battery life time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rise change value as a table value is stored in the
예컨대, 비상상태가 발생하여 충전배터리(150)로 1시간 이상 LED모듈(130)을 점등시키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충전배터리(150) 충전 시 초기 전압은 12V 이상이고 완만한 상승 곡선을 보일 것이다. 그러나 수명이 다하게 되면 초기 전압이 12V 미만으로 되고, 14V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현격하게 짧아지게 된다.For example, except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와 운영자 컴퓨터(20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비상조명등(100)이 설치될 시의 초기의 충전배터리(150)가 완충전되었을 때의 전압값(이하, 기준 충전전압값)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기준 충전전압값이 상기 제어부(120)에 저장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된 기준 충전전압값을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검출한 충전배터리(150)의 전압값과 산출한 전압상승변화값을 함께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운행 중의 충전 전압값과 전압상승변화값에 기초하여서 충전배터리(150)의 잔류 수명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에는, 전압상승변화값과 충전배터리(150)의 잔류 수명이 테이블값으로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저장되어 있는 배터리 잔류 수명 데이터베이스(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충전배터리(150)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의 충전전압이 기준 충전전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전압상승변화값에 일대일로 매칭된 잔류수명데이터를 추출하여서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충전 중의 전압상승변화값이 상기 기준 전압상승변화값보다 큰 경우에는, 알람 신호를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충전배터리(150)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의 충전전압이 기준 충전전압값 미만이고, 충전 중인 상태의 전압상승변화값이 상기 기준 전압상승변화값보다 큰 경우에 알람 신호를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수신한 운영자 컴퓨터(200)는 충전배터리(150)의 잔류 수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판단한다.In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와 충전배터리(15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20)가 충전배터리(150)의 전압을 검출하도록 하는 배터리전압 측정부(144)와, 상기 충전배터리(150)와 배터리전압 측정부(144) 사이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스위칭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와 충전배터리(150)를 스위칭 온하여서 접속시키고, 제어부(120)로부터 스위칭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20)와 충전배터리(150)를 스위칭 오프하는 전압검출 스위칭부(146)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provided with a self-diagnostic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전압 측정부(144)는 2 개의 저항소자(R1,R2)로 구성되는 전압분배기로 구성되고, 상기 전압검출 스위칭부(146)는 릴레이(1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attery
철도차량이 정상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충전배터리(150)를 충전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릴레이(146')에 인에이블 신호(스위칭 제어신호)를 보내서 릴레이(146') 연결을 제2 스위칭단자(b)로 변경시키고, 분배 저항에 의해 전압 분배된 전압을 제어부(120)가 감지하도록 동작한다.When the railway vehicle is supplied with power in a normal state, the charging
제어부(120)는 전압 감지가 끝나면 릴레이(146')에 신호를 보내 릴레이(146') 연결을 제1 스위칭단자(a)로 변경함으로서 충전배터리(150)가 계속 충전할 수 있게 한다.The
이에 의하면, 충전배터리(150)는 계속 충전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릴레이(146')가 충전배터리(150)의 충전과는 무관하게 연결되므로, 충전배터리(150)의 전력 소모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while the
즉, 상기와 같이 릴레이(146')를 채택하고, 제어부(120)가 충전배터리(150)의 전압을 검출할 때만 릴레이(146')를 연결하는 구성에 의하여, 충전배터리(150) 전원이 분배저항(R1,R2)에 의해 계속 방전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방전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by adopting the relay 146 'as described above and connecting the relay 146' only when the
제어부(120)는 일정 시간(예컨대 20분 주기)이 되면 릴레이(146')에 인에이블 신호(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충전 중인 충전배터리(150)를 분배저항(R1,R2)에 연결한 후 검출이 끝나면 릴레이(146') 연결을 오프하는 것이다.The
다음은 LED모듈(130)의 상태를 점검하는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will be described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checking the state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LED모듈(130)의 양단의 전압 또는 전류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이 측정한 LED모듈(130)의 전압이나 전류값을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수신한 LED모듈(130)의 전압이나 전류값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전압이나 전류의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경우에는 LED모듈(130)이 이상상태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수신한 LED모듈(130)의 전압이나 전류값이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기준 전압이나 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LED모듈(130)에 구비된 복수의 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개방된 상태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밝기의 측정에 의해서 LED모듈(130)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조도센서가 필요할 뿐 아니라 회로가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에 제작 원가제작 원가는 문제가 있으나,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만 가지고도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LED모듈(130)의 이상 유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Checking the status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수신한 LED모듈(130)의 전압값이 내부에 저장된 기준 전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LED모듈(130)에 구비된 복수의 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단락된 상태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은, LED모듈(130)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LED전압 측정부(14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20)는 LED전압 측정부(142)가 측정한 전압값을 수신하여서 LED모듈(130)의 전압값을 인식하게 된다.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다음으로 LED의 수명을 예측하는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which predicts the lifetime of LED is demonst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LED모듈(130)이 발광동작하는 동작임계전압값(Vf)을 검출하고, 이 검출한 LED모듈(130)의 동작임계전압값을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한다.In the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에는, LED모듈(130)의 동작임계전압값과 LED모듈(130)의 잔류 수명이 테이블값으로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저장되어 있는 LED 잔류 수명 데이터베이스(2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동작임계전압값(Vf)을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동작임계전압값(Vf)에 일대일로 매칭된 LED 잔류수명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추출한 LED 잔류수명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이에 의하면, LED모듈(130)의 동작임계전압값의 측정에 의해서 LED모듈의 남아 있는 잔류 수명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the remaining life of the LED module can be predicted by measuring the operating threshold voltage value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의 충전배터리의 잔류 수명 예측 방법과 LED모듈의 이상유무 확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predicting the remaining life of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method for confirming an abnormality of an LED module of an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충전배터리의 잔류 수명을 판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remaining lif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will be described.
상기 제어부(120)에는 조명등이 설치되는 초기 충전배터리(150)가 완충전되었을 때의 전압값(기준 충전전압값)과 충전되고 있을 때의 전압상승 변화값(기준 전압상승변화값)이 저장되어 있고,The
차량이 정상적으로 운행될 때는 차량용 전원이 공급되므로 배터리가 충전상태이다. 이때 제어부(120)는 주기적(예를 들면 20분 간격)으로 전압을 측정하여 전압상승변화폭 데이터를 운영자 컴퓨터에 전송한다. 충전배터리가 충전 전압 상승변화폭이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에는 알람 신호를 같이 보낸다.When the vehicle runs normally, the vehicle power is supplied, so the battery is charged. At this time, the
제어부(120)에서 운영자컴퓨터로 보내는 데이터는 배터리 완충전 시 전압값과 충전 시 전압상승변화 값에 대한 초기 셋팅 값, 차량이 운영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전압과 전압상승변화 값, 그리고 알람 신호이다.The data sent from the
다음으로 LED모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how to check the LED module for abnormalities.
철도차량에서 비상조명등으로 사용되는 LED모듈(130)은, 여러 개의 LED를 조합하여 구성한다. LED를 다양한 구성으로 조합할 수 있으나, 도 3은 33개의 LED를 3개씩 병렬로 연결하고 11개를 다시 직렬로 구성한 예를 보인 것이다. 구성되는 LED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더라도 조명이 어느 정도 유지될 수 있다는 것과 LED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객실등에 이런 직병렬 구성이 많이 사용된다.The
LED는 사용 중에 전기적인 충격(서지, 과전압, 과전류 등)이나 수명이 다해 감에 따라 광학적 특성과 전기적인 특성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특성을 분석해보면 LED의 상태를 알 수 있다.LED's opt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change as they are exposed to electrical shocks (surge, overvoltage, overcurrent, etc.) or end of life. Thus, analyzing these characteristics reveals the state of the LED.
그러나 여러 개의 LED로 모듈을 구성하게 되면 개별 LED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큰 의미를 갖지 못하지만 LED모듈(130) 단위의 특성을 진단하는 것은 필요하다. LED가 전기적인 충격을 받으면 내부 회로가 끊어지거나(open), 단락(short) 상태가 된다. However, if the module is composed of several LEDs, it is not only difficul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LEDs but also does not have a great meaning, but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예를 들어서 도 3에 도시된 LED모듈의 경우, LED모듈(130)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LED가 개방(open)되면 당초 3개의 병렬로 분산되던 전류가 2개로 나뉘어 흐르기 때문에 정상적인 LED에 많은 전류가 흐름으로 인해 밝기와 전압이 증가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LED module shown in FIG. 3, when at least one LED is opened in the
도 3에서, LED모듈(130)의 (+)단자를 통해 600mA 전류를 보내면, 병렬 연결된 LD1, LD12, LD23에 각각 200mA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만일 LED(D1)이 오픈(open)되면 전류가 LED(D12)와 LED(D23)로 흘러야하기 때문에 각각 100mA씩 증가된 300mA의 전류가 흐름으로 인해 밝기와 전압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In FIG. 3, when 600 mA current is sent through the (+) terminal of the
반면, LED(D1)이 단락된 경우, 모든 전류는 단락된 LED(D1)으로 흐르게 되어 LED(D12)와 LED(D23)은 소등된다. 이때 3개의 병렬 연결된 LED에는 전압이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D D1 is shorted, all currents flow to the shorted LED D1 so that the LEDs D12 and LEDs D23 are turned off. At this time, three parallel LEDs show little voltage.
이러한 전기적인 특성 변화를 통해 LED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따라서 LED+와 LED- 간 전압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들 데이터의 통계적 변화를 분석하여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is change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allows the LED to be monitored. Therefore, the voltage between LED + and LED- can be checked periodically to store data, and to analyze the statistical changes of these data to perform self-diagnosi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로 이해해야만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 비상조명등
111 : 전압변환부
112 : 승압 및 정전류부
115 : 전원 스위칭부
120 : 제어부
125 : 외부전원 감지부
130 : LED모듈
142 : LED전압 측정부
144 : 배터리전압 측정부
146 : 전압검출 스위칭부
150 : 충전배터리
152 : 충전회로부
160 : 통신모듈
200 : 운영자 컴퓨터
211 : 배터리 잔류 수명 데이터베이스
212 : LED 잔류 수명 데이터베이스100: emergency lighting
111: voltage converter
112: boost and constant current unit
115: power switching unit
120: control unit
125: external power detector
130: LED module
142: LED voltage measuring unit
144: battery voltage measuring unit
146: voltage detection switching unit
150: rechargeable battery
152: charging circuit
160: communication module
200: operator computer
211: Battery Remaining Life Database
212: LED Residual Life Database
Claims (4)
외부전원공급부로부터 외부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외부전원 감지부(125)와,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되는 외부전력을 LED모듈(130)로 스위칭하거나 또는 충전배터리(150) 전원 공급을 LED모듈(130)로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115)와,
철도차량의 객실 내부에 설치되어 비상상태 시에 철도차량에 조명을 제공하는 LED모듈(130)과,
철도차량으로 정상적으로 외부전력이 공급되고 있을 때는 축전하고, 외부의 전력공급이 차단된 경우 상기 LED모듈(1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150)와,
상기 외부전원 감지부(125)가 검출한 전압값을 수신하고, 이 수신한 전압값을 기초로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 스위칭부(115)가 외부전원이 LED모듈(130)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고, 외부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충전배터리(150)의 전원이 LED모듈(130)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제어부(120)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구비되는 운영자 컴퓨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120)와 운영자 컴퓨터(20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기준 전압상승변화값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20)에 기준 전압상승변화값이 저장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된 전압상승변화값을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120)는 철도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상기 충전배터리(150)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검출하여서 상기 검출된 충전배터리(150)의 전압값에 의해서 상기 충전배터리(150)의 각 주기에서의 전압상승변화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전압상승변화값을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운행 중의 전압상승변화값에 기초하여서 충전배터리의 잔류 수명을 산출하며,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에는,
충전배터리(150)의 전압상승변화값과 충전배터리(150)의 잔류 수명이 테이블값으로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저장되어 있는 배터리 잔류 수명 데이터베이스(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충전 중인 상태에서의 전압상승변화값을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전압상승변화값에 일대일로 매칭된 잔류수명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추출한 잔류수명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20)는 충전 중의 전압상승변화값이 상기 기준 전압상승변화값보다 큰 경우에는, 알람 신호를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120)와 충전배터리(15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20)가 충전배터리(150)의 전압을 검출하도록 하는 배터리전압 측정부(144)와,
상기 충전배터리(150)와 배터리전압 측정부(144) 사이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스위칭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와 충전배터리(150)를 스위칭 온하여서 접속시키고, 제어부(120)로부터 스위칭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20)와 충전배터리(150)를 스위칭 오프하는 전압검출 스위칭부(146)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며,
상기 전압검출 스위칭부(146)는 릴레이(146')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20)는 충전배터리(150)의 전압을 검출할 때만 상기 릴레이(146')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
Emergency lighting for railway vehicles that provide lighting to railway vehicles when the railway vehicle cannot be supplied to a cabin equipped with the railway vehicle in an emergency state (hereinafter, emergency state) including rollover, power interruption, fire or collision. In the system,
An external power detector 125 for detecting whether external power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A power switching unit 115 for switching external power input to the LED module 130 according to a switching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20 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50 to the LED module 130;
An LED module 130 installed inside a cabin of a railroad vehicle and providing lighting to the railroad vehicle in an emergency;
When external power is normally supplied to railway cars, it accumulates Charging battery 150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D module 130 when the external power supply is cut off,
Receives a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external power detection unit 125, and determines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based on the received voltage value, when the external power supply is input the power switching unit 115 ) Is switched so that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to the LED module 130, and if the external power is not input, the controller 120 for switching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50 is supplied to the LED module 1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or computer 200 is provided in the cab of the railway vehicle,
A reference voltage increase change value is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controller 120 and the operator computer 200,
When the reference voltage increase change value is stored in the control unit 120,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the stored voltage increase change value to the operator computer 200,
The controller 120 periodically detects the voltage of the charging battery 150 while the railroad vehicle is running, and accordingly detects the voltage of the charging battery 150 based on the detected voltage value of the charging battery 150. Calculate a rise change value, and transmit the calculated rise rise value to the operator computer 200,
The operator computer 200 calculates the remaining lif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based on the voltage increase change value during oper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20,
The operator computer 200,
A battery residual life database 211 is provided in which the voltage rise change valu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50 and the residual lif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50 correspond to one-to-one correspondence as table values.
When the operator computer 200 receives the voltage increase change value in the state of being charged from the controller 120, the operator computer 200 extracts the residual life data matched one-to-one to the voltage rise change value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20, and The extracted residual life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operator computer 200 when the voltage increase change value during charging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increase change value.
A battery voltage measurement unit 144 connected between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charging battery 150 and allowing the control unit 120 to detect the voltage of the charging battery 150;
Is connected between the charging battery 150 and the battery voltage measuring unit 144, when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charging battery 150 by switching on, When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20, the voltage detection switching unit 146 for switching off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charge battery 150 is further included,
The voltage detection switching unit 146 is composed of a relay 146 ',
The control unit 120 is a railway vehicle emergency lighting system having a self-diagnosi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ing the relay (146 ') only when detecting the voltag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50).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LED모듈(130)의 양단의 전압 또는 전류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LED모듈(130)의 전압이나 전류값을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수신한 LED모듈(130)의 전압값이 내부에 저장된 기준 전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LED모듈(130)에 구비된 복수의 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단락된 상태라고 판정하며,
상기 LED모듈(130)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LED전압 측정부(14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20)는 LED전압 측정부(142)가 측정한 전압값을 수신하여서 LED모듈(130)의 전압값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120 periodically measures the voltage or current at both ends of the LED module 130, and transmits the measured voltage or current of the LED module 130 to the operator computer 200.
When the voltage value of the received LED module 13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alue stored therein, the operator computer 200 indicates tha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LEDs included in the LED module 130 is short-circuited. To judge,
LED voltage measuring unit 142 for measuring the voltage of both ends of the LED module 130 is further included,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voltage value measured by the LED voltage measuring unit 142 LED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ognizing the voltage value of the module (130).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LED모듈(130)이 발광동작하는 동작임계전압값(Vf)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LED모듈(130)의 동작임계전압값을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에는, LED모듈(130)의 동작임계전압값과 LED모듈(130)의 잔류 수명이 테이블값으로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저장되어 있는 LED 잔류 수명 데이터베이스(2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동작임계전압값(Vf)을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동작임계전압값(Vf)에 일대일로 매칭된 LED 잔류수명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추출한 LED 잔류수명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ler 120 detects an operation threshold voltage value Vf at which the LED module 130 emits light and transmits the detected operation threshold voltage value of the LED module 130 to the operator computer 200. ,
The operator computer 200 is provided with an LED residual life database 212 in which the operation threshold voltage value of the LED module 130 and the residual life of the LED module 130 correspond to one-to-one as table values, and are stored.
When the operator computer 200 receives the operation threshold voltage value Vf from the controller 120, the operator computer 200 extracts LED residual life data that is matched one-to-one to the operation threshold voltage value Vf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20. And emergency light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with a self-diagnosis function, which displays the extracted LED residual life data on a display unit.
상기 운영자 컴퓨터(200)는 철도차량의 전체를 제어하는 TCMS(Train Control Management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진단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비상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or computer 200 is a railway vehicle emergency lighting system having a self-diagnostic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CMS (Train Control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the entire railway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1999A KR102073954B1 (en) | 2018-03-20 | 2018-03-20 |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self-diagnostic function for railway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1999A KR102073954B1 (en) | 2018-03-20 | 2018-03-20 |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self-diagnostic function for railway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0263A KR20190110263A (en) | 2019-09-30 |
KR102073954B1 true KR102073954B1 (en) | 2020-02-05 |
Family
ID=6809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1999A Active KR102073954B1 (en) | 2018-03-20 | 2018-03-20 |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self-diagnostic function for railway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395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4439B1 (en) | 2020-04-23 | 2020-11-04 | 김태형 | Intelligent cabin lighting system for emergency escape guidance and ambient lighting, and method thereof |
CN112731027B (en) * | 2020-12-23 | 2024-03-08 |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 Energy storage type tramcar charging pile safety protection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9989B1 (en) * | 2004-09-24 | 2007-09-19 |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 Automatic self-diagnosis device such as emergency lighting |
KR101559569B1 (en) | 2011-01-31 | 2015-10-15 | 주식회사 그린우전 | Lighting apparatus for evacuation guidance |
JP2016203879A (en) | 2015-04-27 | 2016-12-08 | コイト電工株式会社 | Railway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system and interior lamp unit |
KR101774386B1 (en) * | 2015-12-01 | 2017-09-0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trai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358Y1 (en) | 2008-11-21 | 2010-09-28 | 주식회사 우진기전 | Emergency light driving device that also serves as a reading light in railway vehicles |
-
2018
- 2018-03-20 KR KR1020180031999A patent/KR10207395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9989B1 (en) * | 2004-09-24 | 2007-09-19 |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 Automatic self-diagnosis device such as emergency lighting |
KR101559569B1 (en) | 2011-01-31 | 2015-10-15 | 주식회사 그린우전 | Lighting apparatus for evacuation guidance |
JP2016203879A (en) | 2015-04-27 | 2016-12-08 | コイト電工株式会社 | Railway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system and interior lamp unit |
KR101774386B1 (en) * | 2015-12-01 | 2017-09-0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trai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0263A (en) | 2019-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86638B2 (en) | Autonomous emergency light unit for an aircraft and emergency lighting system comprising such light unit | |
EP3254353B1 (en) | Wireless control and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mergency luminaire | |
US7573396B2 (en) | Air craft emergency lighting system | |
US9655186B2 (en) |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n aircraft and aircraft comprising such emergency lighting system | |
KR101225055B1 (en) | Apparrutus and method to inspect obstruction light for flight, and system using thereof | |
CN110687445A (en) | Railway signal circuit relay sta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KR102073954B1 (en) |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self-diagnostic function for railway vehicle | |
US9302771B2 (en) | Lighting | |
EP1529250A2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networked communication devices | |
KR100964424B1 (en) | Fire detection system | |
CN110281976B (en) | Axle counting system | |
EP2837258B1 (en) | Battery monitoring in emergency lighting systems | |
KR102460137B1 (en) | Automatic identification apparatus of faulty doors for electric vehicle | |
KR102174439B1 (en) | Intelligent cabin lighting system for emergency escape guidance and ambient lighting, and method thereof | |
KR101303320B1 (en) | Apparrutus and method to inspect obstruction light for flight, and system using thereof | |
JP2018054398A (en) | Ground fault current detector | |
KR20180032737A (en) | System for predicting residual service life of uniinterruptible power supply | |
KR102475797B1 (en) | Dual-System Modular LED Signal device and the Method Ensuring Maintenance Safety | |
BG109785A (en) | Led signal lamps and method for reliable control of led signal lamps | |
US20070069657A1 (en) | Elevator lights | |
CN208515596U (en) | A kind of city rail vehicle guest room lighting control system | |
KR101777378B1 (en) | auto-fire detection equipment | |
KR102475801B1 (en) | Dual-System Modular LED Signal with Self-Diagnostic Function | |
CN218547344U (en) | Tunnel pedestrian crossheading access door and vehicle crossheading rolling door automatic detection system | |
CN208500059U (en) | Elevator emergency alarm ligh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