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3703B1 -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703B1
KR102073703B1 KR1020180076039A KR20180076039A KR102073703B1 KR 102073703 B1 KR102073703 B1 KR 102073703B1 KR 1020180076039 A KR1020180076039 A KR 1020180076039A KR 20180076039 A KR20180076039 A KR 20180076039A KR 102073703 B1 KR102073703 B1 KR 102073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ct lens
pressing piece
present
screw thr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492A (ko
Inventor
박지연
Original Assignee
박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연 filed Critical 박지연
Priority to KR102018007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7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70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5Contact lens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4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 에 관한 것으로, 콘택트렌즈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단에 상방으로 단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단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하단의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체결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뚜껑; 및 상기 뚜껑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뚜껑이 상기 몸체에 체결될 때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액상을 밀폐시키는 오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오링 및 나사산을 통해 몸체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몸체 내부에 수용된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ONE TIME CONTACT LENS CASE}
본 발명은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렌즈의 보관과 더불어 식염수를 통해 렌즈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안경 대신에 눈의 각막에 직접 붙여서 사용하는 렌즈로, 일반 안경으로는 시력 교정 효과가 적은 심한 근시, 원시, 난시 따위의 교정을 위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최근에는 미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콘택트렌즈는 착용자가 렌즈를 착용하지 아니할 때에는 콘택트렌즈의 특성상 항상 수분이 유지되어야만 하므로, 액체가 담겨진 보관용기에 보관하게 된다.
근래에는 편의를 위한 일회용 콘택트렌즈가 상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콘택트렌즈는 외출이나 여행 시 일회성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외출이나 여행 시 외부 충격에 의해 렌즈 보관용기의 뚜껑이 분리되거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이 외부로 흘러나와 렌즈가 말라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출이나 여행 시 렌즈 착용에 따른 안구건조증을 일시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인공눈물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0663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6-004170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84-000414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2-00118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일회용 렌즈 보관용기가 외부 충격 및 흔들림에 의해 내부 액상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의 인공눈물을 소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는, 콘택트렌즈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단에 상방으로 단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단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하단의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체결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뚜껑; 및 상기 뚜껑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뚜껑이 상기 몸체에 체결될 때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액상을 밀폐시키는 오링;을 포함한다.
또한, 일단과 타단이 상기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체결된 뚜껑의 외주면을 각각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뚜껑 개방 시 회전력이 동반된 외력이 가해지면, 절단되어 상기 뚜껑과 몸체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단 및 상기 뚜껑의 상단에는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탄성의 제1 누름편 및 제2 누름편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누름편 및 제2 누름편이 눌림에 따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관의 단부에는 상기 토출관을 개폐시키는 커버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측 하면에 돌출된 지지대의 단부에는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콘택트렌즈의 하면과 대응되는 거치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누름편 및 제2 누름편에 의해 상기 몸체에 수용된 콘택트렌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 따르면, 오링 및 나사산을 통해 몸체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몸체 내부에 수용된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몸체 및 뚜껑을 연결 고정시키는 밀폐부재를 구비하되, 뚜껑 개방 시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 및 흔들림에 의해 임의적으로 뚜껑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는 휴대 시 내부 액상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100)는 몸체(110), 뚜껑(120), 오링(130) 및 밀폐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내부에 콘택트렌즈가 수용되도록 상방이 개방된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10)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단턱(112)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112)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1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나사산(113)은 상하측 중 어느 하나가 더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 나사산(113)이 나사 결합 시 기밀하게 결합되기 위함이다.
상기 뚜껑(120)은 상기 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방이 개방되도록 삽입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1)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산(113)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122)이 형성된다.
상기 오링(130)은 상기 뚜껑(120)의 삽입홈(121)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뚜껑(120)이 상기 몸체(110)에 체결될 때, 상기 단턱(112)의 상단에 밀착되며, 상기 몸체(110)에 수용되는 액상을 밀폐시킨다.
상기 밀폐부재(140)는 상기 뚜껑(120)이 상기 몸체(110)에서 외부의 흔들림이나 외력에 의해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10) 및 상기 몸체(110)에 체결된 뚜껑(120)의 각 외주면에 서로를 연결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140)는 상기 뚜껑(120) 개방 시 회전력이 동반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밀폐부재(140)가 절단되며 상기 뚜껑(120)이 상기 몸체(11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는 휴대 시 내부 액상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인공눈물용기를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200)는 몸체(210), 뚜껑(220), 오링(230) 및 밀폐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10)는 내부에 콘택트렌즈가 수용되도록 상방이 개방된 수용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단턱(212)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212)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213)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210)의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된 토출관(217)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관(217)은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을 외부로 토출시킨다.
또한, 상기 토출관(217)의 단부에는 상기 토출관(217)을 개폐시키는 커버(218)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210) 내부에는 상기 콘택트렌즈를 보관하거나, 안구건조증에 사용될 수 있는 액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액상은 식염수 또는 안약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21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된 제1 누름편(2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10)의 내측 하면, 즉, 상기 제1 누름편(214)에는 상방으로 지지대(215)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대(215)의 단부에는 상기 콘택트렌즈의 하면과 대응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거치판(216)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215) 및 거치판(216)은 상기 제1 누름편(214) 및 후술될 제2 누름편(223)이 서로 눌림에 따라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수용된 콘택트렌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몸체(210)의 수용부(211)의 깊이는 상기 제1 누름편(214) 및 제2 누름편(223)이 눌림에 따라 상기 몸체(210)에 수용된 콘택트렌즈가 상기 제2 누름편(223)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상기 콘택트렌즈가 상기 제1 누름편(214) 및 제2 누름편(223)이 눌림에 따라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뚜껑(220)은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방이 개방되도록 삽입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21)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산(213)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2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뚜껑(22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된 제2 누름편(22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누름편(223)은 상기 제1 누름편(214)과 함께 착용자에 의해 눌림에 따라 상기 토출관(217)을 통해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을 외부로 토출 시킬 수 있다.
상기 오링(230)은 상기 뚜껑(220)의 삽입홈(221)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뚜껑(220)이 상기 몸체(210)에 체결될 때, 상기 단턱(212)의 상단에 밀착되며, 상기 몸체(210)에 수용되는 액상을 밀폐시킨다.
상기 밀폐부재(240)는 상기 뚜껑(220)이 상기 몸체(210)에서 외부의 흔들림이나 외력에 의해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210) 및 상기 몸체(210)에 체결된 뚜껑(220)의 각 외주면에 서로를 연결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240)는 상기 뚜껑(220) 개방 시 회전력이 동반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밀폐부재(240)가 절단되며 상기 뚜껑(220)이 상기 몸체(21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뚜껑(220)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210)에 수용되는 콘택트렌즈의 상면과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거치판(미도시) 및 상기 뚜껑의 내측과 상기 상부거치판을 연결하는 상부지지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215) 및 상부지지대는 탄성 재질 또는 스프링(미도시)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몸체(210)에 수용된 콘택트렌즈가 상기 제1 누름편(214) 및 제2 누름편(223)에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2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몸체(210)에 수용된 콘택트렌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뚜껑(220)을 회전시켜 상기 밀폐부재(240)가 절단되도록 한다
상기 밀폐부재(240)가 절단됨에 따라 상기 뚜껑(220)이 상기 몸체(210)에서 회전 및 개방 가능하게 되며, 상기 콘택트렌즈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콘택트렌즈의 유무와 상관없이 상기 몸체(210)에 수용된 액상을 착용자가 안구건조증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할 경우, 상기 토출관(217)에 결합된 커버(218)를 분리시킨 다음 상기 제1 누름편(214) 및 제2 누름편(223)을 눌러 상기 몸체(210)에 수용된 액상을 토출시켜 착용자의 안구에 넣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일회용 콘택트렌즈를 보관함은 물론, 안구건조증을 해소하기 위한 인공눈물까지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 따르면, 오링 및 나사산을 통해 몸체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몸체 내부에 수용된 액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몸체 및 뚜껑을 연결 고정시키는 밀폐부재를 구비하되, 뚜껑 개방 시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 및 흔들림에 의해 임의적으로 뚜껑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보관용기 110: 몸체
111: 수용부 112: 단턱
113: 제1 나사산 120: 뚜껑
121: 삽입홈 122: 제2 나사산
130: 오링 140: 밀폐부재

Claims (4)

  1. 콘택트렌즈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단에 상방으로 단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단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하단의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체결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뚜껑; 및
    상기 뚜껑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뚜껑이 상기 몸체에 체결될 때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액상을 밀폐시키는 오링;을 포함하고,
    일단과 타단이 상기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체결된 뚜껑의 외주면을 각각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뚜껑 개방 시 회전력이 동반된 외력이 가해지면, 절단되어 상기 뚜껑과 몸체가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의 하단 및 상기 뚜껑의 상단에는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탄성의 제1 누름편 및 제2 누름편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누름편 및 제2 누름편이 눌림에 따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관의 단부에는 상기 토출관을 개폐시키는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 하면에 돌출된 지지대의 단부에는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콘택트렌즈의 하면과 대응되는 거치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누름편 및 제2 누름편에 의해 상기 몸체에 수용된 콘택트렌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76039A 2018-06-29 2018-06-29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2073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039A KR102073703B1 (ko) 2018-06-29 2018-06-29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039A KR102073703B1 (ko) 2018-06-29 2018-06-29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92A KR20200002492A (ko) 2020-01-08
KR102073703B1 true KR102073703B1 (ko) 2020-02-05

Family

ID=6915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039A Expired - Fee Related KR102073703B1 (ko) 2018-06-29 2018-06-29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28557A (ko) 2023-08-21 2025-03-04 엘앤피랩 주식회사 결합력 및 이탈력이 향상된 일회용 콘텍트렌즈 케이스 커버, 이를 포함하는 일회용 콘텍트렌즈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52769A1 (ja) * 2023-09-08 2025-03-13 株式会社フジクラ ハイドロゲル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ハイドロゲル構造体の中間体
KR102712761B1 (ko) * 2024-07-04 2024-10-02 (주)화인 일회용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543A (ja) * 2003-11-28 2005-06-23 Tomey Corp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兼用液剤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459B1 (ko) * 2007-12-24 2009-10-08 강동원 콘택트렌즈 보관 케이스
KR20120016541A (ko) * 2010-08-16 2012-02-24 김경아 콘택트 렌즈 케이스
KR20180037391A (ko) * 2016-10-04 2018-04-12 이상원 콘택트렌즈 착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543A (ja) * 2003-11-28 2005-06-23 Tomey Corp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兼用液剤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28557A (ko) 2023-08-21 2025-03-04 엘앤피랩 주식회사 결합력 및 이탈력이 향상된 일회용 콘텍트렌즈 케이스 커버, 이를 포함하는 일회용 콘텍트렌즈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92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703B1 (ko)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
US20170042309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multi-staged refillable container
KR101590306B1 (ko) 콘텍트렌즈 포장용기
RU2008116058A (ru) Упаковка для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ой линзы с деформируемой нижней частью и способ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20190002594U (ko) 콘택트렌즈 보관 및 진열용 용기
KR102020362B1 (ko)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JP5753417B2 (ja) 気密コンパクト
KR20090050388A (ko) 소프트 렌즈 포장용기
KR200428747Y1 (ko)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보관함
KR200377352Y1 (ko) 콘택트 렌즈 케이스
KR102228121B1 (ko) 콘텍트 렌즈 케이스
WO2006129904A1 (en) Medicine container
KR20180033403A (ko) 언니의 인공눈물 용기
KR20210075316A (ko) 보관 및 세척이 가능한 렌즈통
KR200292899Y1 (ko) 콘텍트렌즈 보관용기
KR20190077675A (ko) 밀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KR101357884B1 (ko) 콘텍트렌즈 보관용기 케이스
KR20240156524A (ko) 콘택트 렌즈 보관 용기
KR200466083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2593360B1 (ko) 콘텍트렌즈의 수납구조를 갖는 안경 케이스
KR102279514B1 (ko) 아이브로우 용기
KR101336419B1 (ko) 밀폐형 화장품 용기
KR200377351Y1 (ko) 걸이식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KR20180124342A (ko)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