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810B1 -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2810B1 KR102072810B1 KR1020170049048A KR20170049048A KR102072810B1 KR 102072810 B1 KR102072810 B1 KR 102072810B1 KR 1020170049048 A KR1020170049048 A KR 1020170049048A KR 20170049048 A KR20170049048 A KR 20170049048A KR 102072810 B1 KR102072810 B1 KR 1020728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 holder
- housing
- rotating
- ball bea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6—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with a variable apex prism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6—Special arrangements of screening, diffusing, or reflecting devices, e.g. in studio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 H04N5/2254—
-
- H04N5/2257—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며, 내부로 입사된 광이 상기 렌즈 모듈을 향하도록 상기 광의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모듈은 상기 광의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 부재가 장착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제1축 및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초점 조정, 줌, 손떨림 보정 등의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omprising: a lens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a reflection module disposed in front of the lens module and configured to change a path of the light so that light incident therein is directed toward the lens module, wherein the reflection module is equipped with a reflection member that changes the path of the light. A holder, the holder may be supported on the housing to be rotatable about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simple, the size can be reduced,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while implementing functions such as auto focusing, zooming, and camera shake cor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용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 및 줌 기능 등을 부가되고 있다.Recently, cameras are basically employ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and notebook computers, and auto-focus functions, image stabilization functions, and zoom functions are added to mobile terminal cameras.
그러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결국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크기도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the structure of the camera module becomes complicated, and the size thereof increases, so that the siz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which the camera module is mounted also increases.
또한, 손떨림 보정을 위하여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를 직접 움직이는 경우에는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 자체의 무게와,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다른 부재들의 무게를 모두 고려하여야 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구동력이 필요하게 되어, 전력 소모가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n directly moving a lens or an image sensor to compensate for image stabilization, the weight of the lens or the image sensor itself and the weight of other members to which the lens or the image sensor is attached must be conside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becomes seve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자동 초점 조정, 줌, 손떨림 보정 등의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the structure of which is simple and can be reduced in size while implementing functions such as auto focusing, zooming, and camera shake correction.
또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o provide a camera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that can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반사 모듈은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반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회전판을 사이에 끼운 상태로 지지되는 회전홀더; 및 상기 회전홀더가 유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고, 구동마그네트와 구동코일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회전홀더에는 각각 선택적으로 풀링마그네트 또는 풀링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풀링마그네트와 상기 풀링요크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홀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구동마그네트와 상기 풀링마그네트는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image stabilization refl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rotating holder having a reflective member and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a rotating plate is sandwiched between inner walls of the housing so as to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nd 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flow the rotating holder, the driving unit including a driving magnet and a driving coil, wherein the housing and the rotating holder are each provided with a pulling magnet or a pulling yoke, respectively, the pulling magnet and the The rotating holder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by the attractive force of the pulling yoke, and the driving magnet and the pulling magnet may be provided separat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자동 초점 조정, 줌, 손떨림 보정 등의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imple in structure and reduced in size while implementing functions such as auto focusing, zooming, and camera shake correction. In addition,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회전판과 회전홀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덮개를 제외한 나머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하우징과 기판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하우징과 회전홀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홀더가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홀더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회전홀더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홀더가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홀더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회전홀더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전홀더가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전홀더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2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회전홀더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3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4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회전홀더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rotating plate and the rotating holder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holder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rest of the camera module except for a co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of the housing and the substrate in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and the rotating holder in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1C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rotating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12A to 12C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rotating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housing and a rotating holder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to 15C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rotating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16A to 16C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rotating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housing and a rotating holder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A to 19C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rotating hol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20A to 20C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rotating hol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housing and a rotating holder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housing and a rotating holder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uggest other embodiments that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ddition, modification, or deletion of the elements. It is said to be included in the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는 카메라 모듈(1000-1001,1002,1003,1004,1005)이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된다.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000-1001,1002,1003,1004,1005)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Y축 방향,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Front Surface)에서 후면(Rear Surface)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era modules 1000-1001, 1002, 1003, 1004, and 1005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nd the optical axis (Z axis) of the lens is the thickness direction (Y axis direc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ar surface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0)에 구비된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X축 방향 또는 Z축 방향).For example, the optical axis (Z axis) of the plurality of lenses included in the camera module 1000 may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the X axis direction or the Z axis direction).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0)이 자동 초점 조정(Auto Focusing, 이하 AF), 줌(Zoom) 및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ing, 이하 OIS) 등의 기능을 구비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1)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Therefore, even if the camera module 1000 includes functions such as auto focusing (AF), zooming, and optical image stabilizing (OIS),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AF, Zoom 및 OIS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F, zoom, and OIS functions.
AF, Zoom 및 OIS 기능 등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1000)은 다양한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비하여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증가한다.Since the camera module 1000 having the AF, zoom, and OIS functions has to be provided with various components, the size of the camera module increases as compared with a general camera module.
카메라 모듈(1000)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면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소형화에 문제가 될 수 있다.If the size of the camera module 1000 is increased, there may be a problem in miniaturization of the portable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Zoom 기능을 위하여 적층 렌즈의 수가 많아지게 되고, 다수의 적층 렌즈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적층되는 렌즈의 수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적층 렌즈의 수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어 Zoom 성능이 약해지게 된다.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increases the number of laminated lenses for the zoom function, and when a plurality of laminated lenses ar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re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acked lenses. do. Accordingly, if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not increased, the number of laminated lenses cannot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zoom performance is weakened.
또한, AF 및 OIS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렌즈 군을 광축 방향 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렌즈 군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렌즈군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AF and OIS functions, an actuator for moving the lens group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r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should be installed. When the optical axis (Z axis) of the lens group is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 actuator for moving the lens group must also be install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us,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increased.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므로, AF, Zoom 및 OIS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를 소형화할 수 있다.
However, the camera modul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so that the optical axis (Z axis) of the plurality of lenses is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ortabl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1)은 하우징(1010)에 구비되는 반사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모듈(1300)을 포함한다.2, 3A, and 3B, the
반사모듈(1100)은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1)을 상부에서 덮어주는 덮개(1030)의 개구부(1031, 도 3a 참조)를 통해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1100)을 통해 렌즈모듈(1200)로 향하도록 진행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이를 위해 반사모듈(1100)은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재(111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개구부(1031)를 통해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1100)에 의해 렌즈모듈(1200)을 향하도록 경로가 바뀌게 된다. 가령, 카메라 모듈(1001)의 두께 방향(Y축 방향)으로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1100)에 의해 광축(Z축) 방향과 대략 일치하도록 경로가 변경된다.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렌즈모듈(1200)은 반사모듈(11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된 광이 통과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이미지센서모듈(1300)은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1310) 및 이미지센서(1310)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3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미지센서모듈(1300)은 렌즈모듈(1200)에서 입사되는 광을 필터링하는 광학필터(13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필터(1340)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다.The
하우징(1010)의 내부공간에서, 렌즈모듈(1200)을 중심으로 이의 전방에 반사모듈(1100)이 구비되고, 렌즈모듈(1200)의 후방에 이미지센서모듈(1300)이 구비된다.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1)은 하우징(1010)에 구비되는 반사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모듈(1300)을 포함한다. 2 to 10, the
하우징(1010)의 내부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반사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센서모듈(1300)이 구비된다. 물론, 반사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센서모듈(1300)이 내삽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한다(여기서, 이미지센서모듈(1300)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1320)은 하우징(1010)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가령,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0)은 내부공간에 반사모듈(1100) 및 렌즈모듈(1200)이 모두 내삽되도록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령, 반사모듈(1100)과 렌즈모듈(1200)을 각각 내삽하는 별도의 하우징이 상호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Inside the
그리고, 하우징(1010)은 덮개(1030)에 의해 내부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덮여진다. The
덮개(1030)는 광이 입사하도록 개구부(1031)를 구비하며, 개구부(1031)를 통해 입사된 광은 반사모듈(11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렌즈모듈(1200)로 입사한다. 덮개(1030)는 하우징(1010)의 전체를 덮도록 일체로 구비되거나, 반사모듈(1100)과 렌즈모듈(1200)을 각각 덮는 별개의 부재로 나누어져 구비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반사모듈(1100)은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재(1110)를 구비한다. 그리고, 렌즈모듈(1200)로 입사된 광은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후 이미지센서(1310)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To this end, the
하우징(1010)은 내부공간에 반사모듈(1100) 및 렌즈모듈(1200)을 구비한다. 이에, 하우징(1010)의 내부공간은 반사모듈(1100)이 배치되는 공간과 렌즈모듈(1200)이 배치되는 공간이 돌출벽(1007)에 의해 상호 구별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벽(1007)을 기준으로 전방측에는 반사모듈(1100)이 구비되고 후방측에는 렌즈모듈(1200)이 구비될 수 있다. 돌출벽(1007)은 하우징(1010)의 측벽에서 내부공간으로 양쪽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전방측에 구비되는 반사모듈(1100)의 경우, 하우징(1010)의 내벽면에 구비되는 풀링요크(1153)와 회전홀더(1120)에 구비되는 풀링마그네트(1151)의 인력에 의해 회전홀더(1120)가 하우징(1010)의 내벽면에 밀착 지지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하우징(1010)에 풀링마그네트가 구비되고 회전폴더(1120)에 풀링요크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설명한다.In the case of the
그리고, 하우징(1010)의 내벽면과 회전홀더(1120)의 사이에는 제1 볼베어링(1131), 회전판(1130) 및 제2 볼베어링(1133)이 구비되며, 이하 상술하겠지만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안착홈(1132, 1133, 1021, 1121)에 일부가 삽입되면서 밀착되므로 회전홀더(1120) 및 회전판(1130)을 하우징(1010)의 내부공간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회전홀더(1120)와 돌출벽(1007) 사이에 약간의 공간이 필요하고, 회전홀더(1120)가 하우징(1010)에 장착되고 난 후에는 풀링요크와 풀링마그네트의 인력에 의해 회전홀더(1120)가 하우징(1010)의 내벽면에 밀착되므로 회전홀더(1120)와 돌출벽(1007) 사이에 약간의 공간이 남게 된다. In addition, a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홀더(1120)를 지지하면서 돌출벽(1007)에 끼워지는 후크 형상의 스토퍼(1050)를 구비할 수 있다(물론, 스토퍼(1050)가 없더라도 풀링마그네트(1151)와 풀링요크(1153)에 의한 인력에 의해 고정 가능하다). 스토퍼(1050)는 후크 형상으로 구비되어 후크 부분이 돌출벽(1007)의 상부에 걸림된 상태로 회전홀더(1120)를 지지할 수 있다. 스토퍼(1050)는 반사모듈(1100)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회전홀더(1120)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반사모듈(1100)이 구동되는 경우에는 추가로 회전홀더(1120)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스토퍼(1050)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토퍼(1050)는 양쪽에서 돌출되는 돌출벽(1007)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회전홀더(1120)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스토퍼(1050)와 회전홀더(1120)의 사이에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스토퍼(1050)를 탄성재질로 구비하여 회전홀더(1120)가 스토퍼(1050)에 지지된 상태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provided with a hook-shaped
또한, 하우징(1010)은 반사모듈(1100)과 렌즈모듈(1200)을 각각 구동하기 위해 제1 구동부(1140)와 제2 구동부(1240)를 구비한다. 제1 구동부(1140)는 반사모듈(11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을 포함하고, 제2 구동부(1240)는 렌즈모듈(120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코일(1241b, 1243b)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 1241b, 1243b)은 메인기판(1070)에 실장된 상태로 하우징(1010)에 구비되므로, 하우징(1010)에는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 1241b, 1243b)이 하우징(1010)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관통홀(1015, 1016, 1017, 1018, 1019)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 1241b, 1243b)이 실장되는 메인기판(1070)은 도면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자가 1개로 구비되므로 외부전원 및 신호 연결이 용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메인기판(1070)은, 가령, 반사모듈(1100)용 코일이 실장되는 기판과 렌즈모듈(1200)용 코일이 실장되는 기판을 분리하는 등에 의해 복수 개의 기판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Here, the
반사모듈(1100)은 개구부(1031)를 통해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이미지가 번지거나 동영상이 흔들릴 수 있으며, 이 경우 반사모듈(1100)은 반사부재(1110)가 장착된 회전홀더(1120)를 움직여 사용자의 손떨림 등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이미지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 시 흔들림이 발생할 때, 흔들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회전홀더(1120)에 부여함으로써 흔들림을 보상한다. The
그리고, 본 실시예는 렌즈 등을 포함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회전홀더(1120)의 이동에 의해 OIS 기능이 구현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include a lens or the like, the OIS function is implemented by the movement of the relatively light
즉, 본 실시예에서는,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렌즈가 구비되는 렌즈배럴 또는 이미지센서를 이동시키지 않고, 반사부재(1110)가 구비되는 회전홀더(1120)를 이동하여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여, 손떨림 등이 보정된 광이 렌즈모듈(1200)에 입사되도록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반사모듈(1100)은 하우징(1010)에 지지되게 구비되는 회전홀더(1020), 회전홀더(1020)에 장착되는 반사부재(1110), 및 회전홀더(1120)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1140)를 포함한다.The
반사부재(1110)는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가령, 반사부재(1110)는 광을 반사시키는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Prism)일 수 있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실시예와 관련한 도면의 도시에서는 반사부재(1110)를 프리즘으로 도시한다).The
반사부재(1110)는 회전홀더(1120)에 고정된다. 회전홀더(1120)에는 반사 부재(1110)가 장착되는 장착면(1123)이 구비된다.The
회전홀더(1120)의 장착면(1123)은 광의 경로가 변경되도록 경사진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장착면(1123)은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에 대하여 30~60도 기울어진 경사면일 수 있다. 그리고, 회전홀더(1120)의 경사면은 광이 입사되는 덮개(1030)의 개구부(1031)를 향할 수 있다.The mounting
반사부재(1110)가 장착된 회전홀더(1120)는 하우징(1010)의 내부공간에 움직임이 가능하게 수용된다. 가령, 회전홀더(1120)는 하우징(1010) 내에서 제1축(X축) 및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축(X축) 및 제2축(Y축)은 광축(Z축)에 수직한 축을 의미할 수 있고, 제1축(X축)과 제2축(Y축)은 상호 수직한 축일 수 있다.The
회전홀더(1120)는 제1축(X축) 및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이 원활하도록 제1축(X축)을 따라 정렬된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된 제2 볼베어링(1133)에 의해 하우징(1010)에 지지된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일 예로 제1축(X축)을 따라 정렬되는 2개의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되는 2개의 제2 볼베어링(1133)을 개시한다. 그리고, 이하 설명하는 제1 구동부(1140)에 의해 제1축(X축) 및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이하 설명하는 제2 내지 제5 실시예와는 달리 제1 실시예는 제1축(X축) 및 제2축(Y축)을 각각 담당하는 볼베어링이 구비되므로, 제1축(X축)을 따라 정렬되는 2개의 제1 볼베어링(1131)은 제1축(X축)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되는 2개의 제2 볼베어링(1133)은 제2축(Y축)을 따라 연장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안착홈(1132, 1133, 1021, 1121)의 형상도 제1 및 제2 볼베어링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반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6b 참조). 한편, 도 6b의 도시에서는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이 각각 2개 구비되는 것을 도시했으나,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제1축(X축) 또는 제2축(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Here, unlike the second to fifth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firs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ball bearing for each of the first axis (X axis) and the second axis (Y axis), and thus, the first axis (X axis). The two
또한,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각각 회전판(1130)의 전면과 후면에 구비되며(또는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이 반대로 회전판(1130)의 후면과 전면에 위치를 바꿔 구비되는 것도 가능, 즉, 제1 볼베어링(1131)이 제 2축(Y축), 제2 볼베어링(1133)이 제1축(X축)을 따라 정렬될 수 있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설명함), 회전판(1130)은 회전홀더(1120)와 하우징(1010)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홀더(1120)에 구비되는 풀링마그네트(1151) - 또는 풀링요크 - 와 하우징(1010)에 구비되는 풀링요크(1153) - 또는 풀링마그네트 - 의 인력에 의해 회전홀더(1120)가 회전판(1130)을 매개로 하우징(1010)에 지지될 수 있다(물론,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도 회전홀더(1120)와 하우징(101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음).In addition, the
회전판(113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이 삽입되도록 안착홈(1132, 113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안착홈(1132, 1134)은 제1 볼베어링(1131)이 일부 삽입되는 제1 안착홈(1132)과 제2 볼베어링(1133)이 일부 삽입되는 제2 안착홈(1134)을 포함할 수 있다. Mounting
또한, 하우징(1010)에는 제1 볼베어링(1131)이 일부 삽입되도록 제3 안착홈(1021)이 구비될 수 있고, 회전홀더(1120)에는 제2 볼베어링(1133)이 일부 삽입되도록 제4 안착홈(1121)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이상 설명한 제1 안착홈(1132), 제2 안착홈(1134), 제3 안착홈(1021), 및 제4 안착홈(1121)은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반구 또는 다각(다각 기둥 또는 다각 뿔)의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물론,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의 회전 용이성을 위해 홈의 깊이는 반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이 홈의 내부로 전체가 잠기지 않고 일부는 노출되어 회전판(1130)과 회전홀더(1120)의 회전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홈(1132), 제2 안착홈(1134), 제3 안착홈(1021), 및 제4 안착홈(1121)은 제1축(X축)을 따라 정렬된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된 제2 볼베어링(1133)에 상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The
여기서,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제1 안착홈(1132), 제2 안착홈(1134), 제3 안착홈(1021), 및 제4 안착홈(1121)에서 구름 이동하거나 미끄럼 이동하면서 베어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한편,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하우징(1010), 회전판(1130) 및 회전홀더(1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 구비되는 구조일 수 있다. 가령, 제1 볼베어링(1131)은 하우징(1010) 또는 회전판(1130)에 고정 구비되고, 제2 볼베어링(1133)은 회전판(1130) 또는 회전홀더(1120)에 고정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볼베어링(1131) 또는 제2 볼베어링(1133)이 고정 구비되는 부재와 대향하는 부재에만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볼베어링의 회전이 아닌 미끄럼 이동에 의한 마찰 베어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하우징(1010), 회전판(1130) 및 회전홀더(1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 구비되는 구조일 경우에는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물론, 반구형은 일 예이고, 반구보다 더 크거나 반구보다 더 작은 돌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볼베어링(1131, 1133)이 각각 제1축(X축) 및 제2축(Y축)을 따라 연장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Here, when the
그리고,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은 별도로 제조된 것을 하우징(1010), 회전판(1130) 및 회전홀더(1120) 중 어느 하나에 부착할 수 있다. 또는, 제1 볼베어링(1131)과 제2 볼베어링(1133)을 하우징(1010), 회전판(1130) 및 회전홀더(1120)의 제조시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제1 구동부(1140)는 회전홀더(1120)가 2개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The
일 예로, 제1 구동부(1140)는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 및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에 전원을 인가하면,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와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가 장착된 회전홀더(1120)를 제1축(X축) 및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는 회전홀더(112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 중 일부(1141a)는 회전홀더(112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나머지(1143a, 1145a)는 회전홀더(112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은 하우징(10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은 메인기판(1070)을 매개로 하우징(101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은 메인기판(1070)에 구비되며, 메인기판(1070)은 하우징(1010)에 장착된다. 여기서, 도면의 도시에서 메인기판(1070)은 반사모듈(1100)용 코일과 렌즈모듈(1200)용 코일이 모두 실장되도록 전체적으로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예시를 도시하나, 메인기판(1070)은 반사모듈(1100)용 코일과 렌즈모듈(1200)용 코일이 각각 실장되도록 2개 이상의 기판으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메인기판(1070)의 하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보강판(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A reinforcing plate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홀더(1120)를 회전시킬 때, 회전홀더(112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하여 위치 센서(1141c, 1143c)가 필요하다. 위치 센서(1141c, 1143c)는 홀 센서일 수 있다.Therefore,
위치 센서(1141c, 1143c)는 각 코일(1141b, 1143b)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며, 각 코일(1141b, 1143b)이 장착되는 메인기판(1070)에 위치 센서(1141c, 1143c)가 장착될 수 있다.The
한편, 메인기판(1070)에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과 같은 흔들림 요인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 회로소자(Driver IC,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홀더가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1A to 11C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rotation holder rotated about a first ax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A to 12C are holde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image is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제1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축(X축)을 따라 볼베어링이 배열된 제1 볼베어링(1131)을 타고 회전판(1130)이 회전하게 되면서 회전홀더(1120)는 덩달아 회전하게 된다(이 경우 회전홀더(1120)는 회전판(1130)에 상대이동하지 않음). 또한,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2축(Y축)을 따라 볼베어링이 배열된 제2 볼베어링(1133)을 타고 회전홀더(1120)가 회전하게 된다(이 경우 회전판(1130)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회전홀더(1120)가 회전판(1130)에 상대이동하게 됨).11A to 11C, when rotating about the first axis (X axis), the
즉, 제1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 볼베어링(1131)이 작용하고,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2 볼베어링(1133)이 작용한다. 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2축(Y축)을 기준으로 정렬된 제2 볼베어링(1133)은 안착홈에 끼워진 상태로 움직일 수 없는 구조이고,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축(X축)을 기준으로 정렬된 제1 볼베어링(1131)이 안착홈에 끼워진 상태로 움직일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That is, when rotating about the first axis (X axis), the
렌즈모듈(1200)로 반사모듈(1100)에 의해 경로가 변경된 광이 입사된다. 그러므로 렌즈모듈(12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적층 렌즈는 광축이 반사모듈(1100)에서 광이 출사되는 방향인 Z축으로 정렬된다. 그리고, 렌즈모듈(1200)은 AF, 줌 기능 등의 구현을 위해 제2 구동부(1240)를 구비한다. 아울러, AF, 줌 기능의 구현을 위해 손떨림 보정을 위한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가벼운 렌즈모듈(120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Light whose path is changed by the
렌즈모듈(1200)은 하우징(10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렌즈홀더(1220), 내부에 적층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홀더(1220), 및 렌즈홀더(1220)를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1240)를 포함한다.The
렌즈홀더(1220)에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렌즈가 수용되며,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렌즈홀더(1220)에 장착된다.The
반사모듈(11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된 광은 복수의 렌즈를 통과하며 굴절된다.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은 렌즈모듈(1100)의 두께 방향(Y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다.The light whose direction of travel is changed by the
렌즈홀더(1220)는 AF(오토포커스)를 위하여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렌즈홀더(1220)는 반사모듈(11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된 광이 복수의 렌즈를 통과하는 방향(그 반대 방향을 포함함)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제2 구동부(1240)는 렌즈홀더(1220)가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제2 구동부(1240)는 렌즈홀더(1220)와 반사모듈(1100)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렌즈홀더(1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일 예로, 제2 구동부(1240)는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 및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1241b, 1243b)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복수의 코일(1241b, 1243b)에 전원을 인가하면,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와 복수의 코일(1241b, 1243b)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가 장착된 렌즈홀더(122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는 렌즈홀더(122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는 렌즈홀더(122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복수의 코일(1241b, 1243b)은 하우징(10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코일(1241b, 1243b)은 메인기판(1070)에 실장된 상태로, 메인기판(1070)이 하우징(101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의 도시에서는 메인기판(1070)에 반사모듈(1100)용 코일과 렌즈모듈(1200)용 코일이 모두 실장된 형상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메인기판(1070)은 반사모듈(1100)용 코일과 렌즈모듈(1200)용 코일이 각각 실장된 별개의 기판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홀더(1220)를 이동시킬 때, 렌즈홀더(122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하여 위치 센서(1243c)가 필요하다. 위치 센서(1243c)는 홀 센서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위치 센서(1243c)는 코일(1243b)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며, 코일(1243b)이 장착되는 메인기판(1070)에 위치 센서(1243c)가 장착될 수 있다.The
렌즈홀더(1220)는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010)에 구비된다. 일 예로, 렌즈홀더(1220)와 하우징(1010) 사이에는 복수의 볼 부재(1250)가 배치된다.The
복수의 볼 부재(1250)는 AF 과정에서 렌즈홀더(12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베어링의 역할을 한다. 또한, 렌즈홀더(1220)와 하우징(101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도 한다.The plurality of
복수의 볼 부재(1250)는 광축(Z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광축(Z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볼 부재(1250)는 렌즈홀더(1220)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The
렌즈홀더(1220)와 하우징(1010)이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의 볼 부재(1250)를 수용하는 복수의 가이드홈(1221, 1231)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복수의 볼 부재(1250)는 복수의 가이드홈(1221, 1231)에 수용되어 렌즈홀더(1220)와 하우징(1010) 사이에 끼워진다.The plurality of
복수의 가이드홈(1221, 1231)은 광축(Z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복수의 볼 부재(1250)는 복수의 가이드홈(1221, 1231)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광축(Z축)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볼 부재(1250)는 광축(Z축) 방향으로만 구름운동 가능하다.In the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이를 위하여, 복수의 가이드홈(1221, 1231) 각각은 광축(Z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가이드홈(1221, 1231)의 단면은 둥근형상,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To this end, each of the plurality of
여기서, 복수의 볼 부재(1250)가 렌즈홀더(1220) 및 하우징(101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렌즈홀더(1220)는 하우징(1010)을 향해 가압된다.Here, the
이를 위하여, 하우징(1010)에는 렌즈홀더(1220)에 장착된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와 마주보도록 요크(1260)가 장착될 수 있다. 요크(1260)는 자성체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요크(1260)와 복수의 마그네트(1241a, 1243a)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렌즈홀더(1220)는 복수의 볼 부재(1250)와 접촉한 상태에서 제2 구동부(1240)의 구동력에 의해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n attractive force acts between the
도 1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회전홀더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rotation holder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및 도 14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2)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과 비교할 때 반사모듈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반사모듈의 구성에 대해서 상술하고 구성이 동일한 나머지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13 and 14,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2)은 하우징(1010-2)에 구비되는 반사모듈(1100-2),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모듈(1300)을 포함한다.The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1100-2)은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별도의 추가구성 없이 회전홀더(1120-2)가 제3 볼베어링(1142)을 매개로 하우징(1010-2)의 내면에 지지된다(즉, 제1 실시예의 회전판(1130) 대응구성 없음).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reflection module 110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tary holder 1120-2 without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through the
이를 위해, 하우징(1010-2)에는 회전홀더(1120-2)에 대향하는 부분에 회전홈(1041)을 구비하고, 회전홀더(1120-2)에는 회전홈(1041)에 삽입되는 회전돌기(1025)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회전홀더(1120-2)는 소정 축(가령, X축, Y축)을 기준으로 2자유도를 갖는 회전만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회전홈(1041) 및 회전돌기(1025)는, Z축 방향에서 볼 때, 가령,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 형상일 수 있다(원형은 회전 자유도가 추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외함). 이는 회전홈(1041) 및 회전돌기(1025)가 다각형으로 구비되면 회전돌기(1025)가 회전홈(1041)에 삽입된 후에는 Z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모서리 부분이 상호 걸림된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To this end, the housing 1010-2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회전홈(1041) 및 회전돌기(1025)의 테두리는 소정 축(X축, Y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경사면 또는 둥근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dge of the
아울러, 회전홈(1041)의 테두리에는 제1축(X축)을 따라 정렬된 제3 볼베어링(1142)이 구비된다(회전홈(1041)의 양쪽 테두리에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홈(1041)의 테두리에는 제3 볼베어링(1142)이 삽입되도록 안착홈(1042)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홈(1042)은 테두리를 따라 제1축(X축) 방향으로 길게 직선 또는 곡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1042)의 단면은 둥근 형상,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dge of the
그리고, 제3 볼베어링(1142)은 하우징(1010-2) 또는 회전홀더(1120-2)에 자유회전 가능하거나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볼베어링(1142)은 하우징(1010-2) 또는 회전홀더(1120-2)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구형 또는 반구형(반구보다 작거나 클 수 있음)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볼베어링(1142)은 하우징(1010-2) 또는 회전홀더(1120-2)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일체로 제작되거나, 제3 볼베어링(1142)은 별도로 제작하여 하우징(1010-2) 또는 회전홀더(1120-2)에 부착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의 반사모듈(1100-2)은 제1축(X축)을 따라 정렬된 제3 볼베어링(1142)을 포함하므로, 회전홀더(1120-2)는 제3 볼베어링(1142)을 매개로 하우징(1010-2)에 풀링마그네트(1151)와 풀링요크(1153)의 인력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제1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제1축(X축)에 수직하는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Since the reflective module 1100-2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이 경우, 제1축(X축)을 따라 정렬된 제3 볼베어링(1142) 만을 구비하므로, 제1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홀더(1120-2)의 회전축이 대략 제3 볼베어링(1142)을 연결하는 제1축(X축)에 해당하나,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3 볼베어링(1142)이 구비되는 하우징(1010-2)의 내면에서 회전홀더(1120-2)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가상의 지점에 제2축(Y축)과 대략 평행한 회전홀더(1120-2)의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회전축의 위치는 설계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a 내지 도 16c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In this case, since only the
반사모듈(1100-2)은 반사부재(1110-2), 반사부재(1110-2)가 장착되는 회전홀더(1120-2), 회전홀더(1120-2)를 지지하는 하우징(1010-2) 및 회전홀더(1120-2)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부(1140)를 포함한다.The reflection module 1100-2 includes a reflection member 1110-2, a rotation holder 1120-2 on which the reflection member 1110-2 is mounted, and a housing 1010-2 supporting the rotation holder 1120-2. And a
반사부재(1110-2)는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반사 부재(1110-2)는 광을 반사시키는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Prism)일 수 있다. 반사부재(1110-2)는 회전홀더(1120-2)에 고정된다.The reflective member 1110-2 is configured to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For example, the reflective member 1110-2 may be a mirror or a prism that reflects light. The reflection member 1110-2 is fixed to the rotation holder 1120-2.
제1 구동부(1140)는 회전홀더(1120-2)가 2개의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가령, 제1 구동부(1140)는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 및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을 포함하며, 회전홀더(1120-2)의 위치를 감지하고자 위치 센서(1141c, 1143c)를 구비할 수 있다. 이의 구동 및 구비 위치와 관련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홀더가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홀더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5A to 15C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rotation holder rotated about a first axi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6A to 16C are rotatio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holder is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회전홀더(1120-2)가 제1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3 볼베어링(1142)이 배열된 제1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제1축(X축)을 따라 정렬된 제3 볼베어링(1142) 만을 구비하므로, 제1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홀더(1120-2)의 회전축은 대략 제3 볼베어링(1142)을 연결하는 연장선으로 대략 제1축(X축)과 나란한 축이 된다.15A to 15C, when the rotation holder 1120-2 rotates about the first axis (X axis), the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회전홀더(1120-2)가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3 볼베어링(1142)이 구비되는 하우징(1010-2)의 내면에서 회전홀더(1120-2)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가상의 지점에서 제2축(Y축)과 대략 평행한 회전홀더(1120-2)의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축이 제3 볼베어링(1142)과 회전홀더(1120-2)의 접촉 부분에서 이격된 부분에 구비되므로 회전홀더(1120-2)의 미끄럼 이동량이 제1축(X축)을 기준으로 이동하는 경우보다 많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6A through 16C, when the rotation holder 1120-2 rotates about the second axis (Y-axi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10-2 provided with the
도 1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회전홀더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rotation holder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과 비교할 때 반사모듈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반사모듈의 구성에 대해서 상술하고 구성이 동일한 나머지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17 and 18, th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3)은 하우징(1010-3)에 구비되는 반사모듈(1100-3),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모듈(1300)을 포함한다.The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1100-3)은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별도의 추가구성 없이 회전홀더(1120-3)가 제4 볼베어링(1143)을 매개로 하우징(1010-3)의 내면에 지지된다(즉, 제1 실시예의 회전판(1130) 대응구성 없음).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reflection module 1100-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the rotary holder 1120-3 without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and the
이를 위해, 하우징(1010-3)에는 회전홀더(1120-3)에 대향하는 부분에 회전홈(1043)을 구비하고, 회전홀더(1120-3)에는 회전홈(1043)에 삽입되는 회전돌기(1026)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회전홀더(1120-3)는 소정 축(가령, X축, Y축)을 기준으로 2자유도를 갖는 회전만을 갖도록 하기 위해, 회전홈(1043) 및 회전돌기(1026)는, Z축 방향에서 볼 때, 가령,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 형상일 수 있다(원형은 회전 자유도가 추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외함). 이는 회전홈(1043) 및 회전돌기(1026)가 다각형으로 구비되면 회전돌기(1026)가 회전홈(1043)에 삽입된 후에는 Z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모서리 부분이 상호 걸림된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To this end, the housing 1010-3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회전홈(1043) 및 회전돌기(1026)의 테두리는 소정 축(X축, Y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경사면 또는 둥근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dges of the
아울러, 회전홈(1043)의 테두리에는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된 제4 볼베어링(1143)이 구비된다(회전홈(1043)의 양쪽 테두리에 Y축 방향으로 정렬되게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홈(1043)의 테두리에는 제4 볼베어링(1143)이 삽입되도록 안착홈(1044)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홈(1044)은 테두리를 따라 제2축(Y축) 방향으로 길게 직선 또는 곡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1044)의 단면은 둥근 형상,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dge of the
그리고, 제4 볼베어링(1143)은 하우징(1010-3) 또는 회전홀더(1120-3)에 자유회전 가능하거나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4 볼베어링(1143)은 하우징(1010-3) 또는 회전홀더(1120-3)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구형 또는 반구형(반구보다 작거나 클 수 있음)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4 볼베어링(1143)은 하우징(1010-3) 또는 회전홀더(1120-3)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일체로 제작되거나, 제4 볼베어링(1143)은 별도로 제작하여 하우징(1010-3) 또는 회전홀더(1120-3)에 부착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의 반사모듈(1100-3)은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된 제4 볼베어링(1143)을 포함하므로, 회전홀더(1120-3)는 제4 볼베어링(1143)을 매개로 하우징(1010-3)에 풀링마그네트(1151)와 풀링요크(1153)의 인력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제2축(Y축)에 수직하는 제1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Since the reflective module 1100-3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이 경우,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된 제4 볼베어링(1143) 만을 구비하므로,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홀더(1120-3)의 회전축이 대략 제4 볼베어링(1143)을 연결하는 제2축(Y축)이나, 제1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4 볼베어링(1143)이 구비되는 하우징(1010-3)의 내면에서 회전홀더(1120-3)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가상의 지점에 제1축(X축)과 대략 평행한 회전홀더(1120-3)의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9a 내지 도 20c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In this case, since only the
반사모듈(1100-3)은 반사부재(1110-3), 반사부재(1110-3)가 장착되는 회전홀더(1120-3), 회전홀더(1120-3)를 지지하는 하우징(1010-3) 및 회전홀더(1120-3)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부(1140)를 포함한다.The reflection module 1100-3 includes a reflection member 1110-3, a rotation holder 1120-3 on which the reflection member 1110-3 is mounted, and a housing 1010-3 supporting the rotation holder 1120-3. And a
반사부재(1110-3)는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반사 부재(1110-3)는 광을 반사시키는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Prism)일 수 있다. 반사부재(1110-3)는 회전홀더(1120-3)에 고정된다.The reflective member 1110-3 is configured to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For example, the reflective member 1110-3 may be a mirror or a prism that reflects light. The reflective member 1110-3 is fixed to the rotation holder 1120-3.
제1 구동부(1140)는 회전홀더(1120-3)가 2개의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가령, 제1 구동부(1140)는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 및 복수의 마그네트(1141a, 1143a, 1145a)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1141b, 1143b, 1145b)을 포함하며, 회전홀더(1120-3)의 위치를 감지하고자 위치 센서(1141c, 1143c)를 구비할 수 있다. 이의 구동 및 구비 위치와 관련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전홀더가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전홀더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19A to 19C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rotation hol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rotated about a first axis, and FIGS. 20A to 20C are rotatio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ally shows how the holder is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도 19a 내지 도 19c를 참조하면, 회전홀더(1120-3)가 제1축(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4 볼베어링(1143)이 구비되는 하우징(1010-3)의 내면에서 회전홀더(1120-3)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가상의 지점에서 제1축(X축)과 대략 평행한 회전홀더(1120-3)의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축이 제4 볼베어링(1143)과 회전홀더(1120-3)의 접촉 부분에서 이격된 부분에 구비되므로 회전홀더(1120-3)의 미끄럼 이동량이 제2축(Y축)을 기준으로 이동하는 경우보다 많을 수 있다.19A to 19C, when the rotation holder 1120-3 rotates about the first axis (X-axis), it rotat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10-3 provided with the
도 20a 내지 도 20c를 참조하면, 회전홀더(1120-3)가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4 볼베어링(1143)이 배열된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제2축(Y축)을 따라 정렬된 제4 볼베어링(1143) 만을 구비하므로,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홀더(1120-3)의 회전축은 대략 제4 볼베어링(114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며, 이는 대략 제2축(Y축)과 평행하다.
20A to 20C, when the rotation holder 1120-3 rotates about the second axis (Y axis), the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2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회전홀더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housing and a rotating holder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 및 도 22을 참고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4)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2)과 비교할 때 제3 볼베어링(1142)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회전홀더(1120-2)에 구비된다는 차이만 있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안착홈의 구성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하고 구성이 동일한 나머지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21 and 22, in th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4)은 하우징(1010-2)에 구비되는 반사모듈(1100-2),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모듈(1300)을 포함한다.The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1100-2)은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제3 볼베어링(1142)이 안착되는 안착홈(1027)이 회전홀더(1120-2)에 구비된다. 여기서, 안착홈(1027)은 회전돌기(1025)의 테두리에 제1축(X축) 방향으로 길게 직선 또는 곡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1027)의 단면은 둥근 형상,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그 외에 다른 구성은 모두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reflective module 1100-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아울러, 안착홈(1027)이 회전홀더(1120-2)에 구비되는 구조에 따라 제3 볼베어링(1142)이 구비되는 위치만 다소 상이할 뿐, 회전홀더(1120-2)가 제1축(X축) 또는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메커니즘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와 관련한 도시는 도 15a 내지 도 15c 및 도 16a 내지 도 16c로 갈음한다.
In addition, only the position where the
도 23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4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회전홀더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FIG.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housing and a rotating holder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 및 도 24을 참고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5)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3)과 비교할 때 제4 볼베어링(1143)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회전홀더(1120-3)에 구비된다는 차이만 있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안착홈의 구성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하고 구성이 동일한 나머지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Referring to FIGS. 23 and 24, the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5)은 하우징(1010-3)에 구비되는 반사모듈(1100-3),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모듈(1300)을 포함한다.The
제5 실시예에 따른 반사모듈(1100-3)은 제3 실시예와는 달리 제4 볼베어링(1143)이 안착되는 안착홈(1028)이 회전홀더(1120-3)에 구비된다. 여기서, 안착홈(1028)은 회전돌기(1025)의 테두리에 제2축(Y축) 방향으로 길게 직선 또는 곡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1028)의 단면은 둥근 형상,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그 외에 다른 구성은 모두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Unlike the third embodiment, the reflective module 1100-3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cludes a mounting
아울러, 안착홈(1028)이 회전홀더(1120-3)에 구비되는 구조에 따라 제4 볼베어링(1143)이 구비되는 위치만 다소 상이할 뿐, 회전홀더(1120-3)가 제1축(X축) 또는 제2축(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메커니즘은 제3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이와 관련한 도시는 도 19a 내지 도 19c 및 도 20a 내지 도 20c로 갈음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2)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500, 1000)이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the portable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2)에 복수의 카메라 모듈(500, 1000)이 장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복수의 카메라 모듈(500, 10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메라 모듈은, 도 2 내지 도 23을 참조로 설명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1001, 1002, 1003, 1004, 1005)일 수 있다.At least one camera module among the plurality of
즉, 듀얼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우, 2개의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1001, 1002, 1003, 1004, 1005)로 구비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dual camera module, at least one of two camera modules may be provided as the camera module 1000-1001, 1002, 1003, 1004, 10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자동 초점 조정, 줌, 손떨림 보정 등의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rough such an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function such as auto focusing, zooming, and image stabilization,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reducing the size. In addition,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2: 휴대용 전자기기
1000(1001, 1002, 1003, 1004, 1005): 카메라 모듈
1100, 1100-2, 1100-3: 반사모듈
1110, 1110-2, 1110-3: 반사부재
1120, 1120-2, 1120-3: 회전홀더
1010, 1010-2, 1010-3: 하우징
1140: 제1 구동부
1200: 렌즈모듈
1220: 렌즈홀더
1240: 제2 구동부
1300: 이미지 센서 모듈1, 2: portable electronic devices
1000 (1001, 1002, 1003, 1004, 1005): camera module
1100, 1100-2, 1100-3: reflection module
1110, 1110-2, 1110-3: reflective member
1120, 1120-2, 1120-3: rotating holder
1010, 1010-2, 1010-3: housing
1140: first driving unit
1200: lens module
1220: lens holder
1240: second drive unit
1300: image sensor module
Claims (22)
반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회전판을 사이에 끼운 상태로 지지되는 회전홀더; 및
상기 회전홀더가 유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고, 구동마그네트와 구동코일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회전홀더에는 각각 선택적으로 풀링마그네트 또는 풀링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풀링마그네트와 상기 풀링요크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홀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구동마그네트와 상기 풀링마그네트는 별개로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rotating holder having a reflective member and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a rotating plate is sandwiched between inner walls of the housing so as to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nd
And 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allow the rotation holder to flow and including a driving magnet and a driving coil.
Each of the housing and the rotating holder is selectively provided with a pulling magnet or a pulling yoke, and the rotating holder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by the attractive force of the pulling magnet and the pulling yoke.
The driving magnet and the pulling magnet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amera shake correction reflection module.
상기 회전판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광축에 대략 수직하는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회전판에 대해 광축 및 상기 제1축에 대략 수직하는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plate is rotatable about a first ax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the rotation holder is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plate about the optical axis and the second ax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홀더와 함께 움직이고,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판에 상대 회전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ng plate moves with the rotating holder when the rotating plate rotates about the first axis.
The rotation holder is an image stabilization reflection module that rotates relative to the rotating plate when the rotation about the second axis.
반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회전판을 사이에 끼운 상태로 지지되는 회전홀더; 및
상기 회전홀더가 유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회전홀더에는 각각 선택적으로 풀링마그네트 또는 풀링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풀링마그네트와 상기 풀링요크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홀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하우징과 대향하는 일면과 상기 회전홀더와 대향하는 타면에 각각 제1축과 상기 제1축에 수직하는 제2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볼베어링 세트를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rotating holder having a reflective member and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a rotating plate is sandwiched between inner walls of the housing so as to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nd
And 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allow the rotation holder to flow.
Each of the housing and the rotating holder is selectively provided with a pulling magnet or a pulling yoke, and the rotating holder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by the attractive force of the pulling magnet and the pulling yoke.
The rotating pl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ll bearing sets arranged on one surface facing the housing and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rotary holder in a first axis and a second 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respectively.
반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회전판을 사이에 끼운 상태로 지지되는 회전홀더; 및
상기 회전홀더가 유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회전홀더에는 각각 선택적으로 풀링마그네트 또는 풀링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풀링마그네트와 상기 풀링요크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홀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판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는 광축에 대략 수직하는 제1축을 따라 정렬된 적어도 2개의 제1 볼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홀더와 상기 회전판의 사이에는 광축 및 상기 제1축에 대략 수직하는 제2축을 따라 정렬된 적어도 2개의 제2 볼베어링이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rotating holder having a reflective member and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a rotating plate is sandwiched between inner walls of the housing so as to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nd
And 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allow the rotation holder to flow.
Each of the housing and the rotating holder is selectively provided with a pulling magnet or a pulling yoke, and the rotating holder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by the attractive force of the pulling magnet and the pulling yoke.
Between the rotating plate and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first ball bearings aligned along a first ax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t least two second ball bearings arranged along an optical axis and a second ax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between the rotating holder and the rotating plate.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고,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5,
The rotating plate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first axis,
The rotation holder is a hand shake correction reflection module capable of rot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상기 제1 볼베어링은 상기 회전판 또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거나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볼베어링은 상기 회전판 또는 상기 회전홀더에 고정되거나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ball bearing is fixed to the rotating plate or the housing or provided to be freely rotatable,
The second ball bearing is a camera shake correction reflection module which is fixed to the rotating plate or the rotating holder or provided to be free to rotate.
상기 제1 볼베어링 및 상기 제2 볼베어링은 구형 또는 구형이 일부 절단된 형상인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ball bearing and the second ball bearing are a shake reduction reflection module having a spherical shape or a part of a spherical shape.
반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회전판을 사이에 끼운 상태로 지지되는 회전홀더; 및
상기 회전홀더가 유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회전홀더에는 각각 선택적으로 풀링마그네트 또는 풀링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풀링마그네트와 상기 풀링요크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홀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판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는 광축에 대략 수직하는 제1축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적어도 1개의 원기둥 또는 반원기둥 형상의 제1 볼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홀더와 상기 회전판의 사이에는 광축 및 상기 제1축에 대략 수직하는 제2축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적어도 1개의 원기둥 또는 반원기둥 형상의 제2 볼베어링이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rotating holder having a reflective member and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a rotating plate is sandwiched between inner walls of the housing so as to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nd
And 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allow the rotation holder to flow.
Each of the housing and the rotating holder is selectively provided with a pulling magnet or a pulling yoke, and the rotating holder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by the attractive force of the pulling magnet and the pulling yoke.
Between the rotating plate and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ball or semi-cylindrical first ball bearing is provided along the first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 second ball bearing having at least one cylindrical or semi-cylindrical shape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rotary holder and the rotary plate along an optical axis and a second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반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는 회전홀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홀더의 사이에 광축 방향에 대략 수직하는 제1축 방향으로 정렬된 적어도 2개의 볼베어링; 및
상기 회전홀더가 유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고, 구동마그네트와 구동코일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회전홀더에는 각각 선택적으로 풀링마그네트 또는 풀링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풀링마그네트와 상기 풀링요크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홀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구동마그네트와 상기 풀링마그네트는 별개로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rotating holder having a reflective member and supported on an inner wall of the housing to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t least two ball bearings arranged in a first axial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rotary holder; And
And 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allow the rotation holder to flow and including a driving magnet and a driving coil.
Each of the housing and the rotating holder is selectively provided with a pulling magnet or a pulling yoke, and the rotating holder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by the attractive force of the pulling magnet and the pulling yoke.
The driving magnet and the pulling magnet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amera shake correction reflection module.
상기 회전홀더는 대략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회전홀더는 광축 및 상기 제1축에 수직하는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11,
The rotating holder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axis,
The rotation holder is a camera shake correction reflection module capable of rotating about the optical axis and the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볼베어링의 표면을 미끄럼 이동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12,
The rotation holder is a shake reduction reflection module for sliding the surface of the ball bearing when the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second axis.
상기 회전홀더가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홀더의 회전축은 상기 볼베어링에서 상기 회전홀더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한 부분에 형성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holder is formed at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ball bear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holder when the rotation holder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상기 회전홀더가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볼베어링과의 접촉 부분에서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rotation holder moves in the first axis direction at a contact portion with the ball bearing when the rotation holder rotates about the second axis.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홀더 중 어느 하나에는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볼베어링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회전홀더에 고정되거나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11,
Any one of the housing and the rotary holder is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The ball bearing is a camera shake correction reflection module which is fixed to the housing or the rotation holder or freely rotatable.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회전홀더의 대향면에는 각각 선택적으로 회전돌기 또는 회전홈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돌기와 상기 회전홈의 사이에 상기 볼베어링이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11,
Opposite surfaces of the housing or the rotary holder are provided with a rotary projection or a rotary groove, respectively,
Hand shake correction reflection module provided with the ball bearing between the rotating projection and the rotating groove.
상기 회전돌기 및 상기 회전홈은 테두리가 경사면 또는 둥근면으로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18,
The rotation projection and the rotation groove is a hand shake correction reflec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or a rounded surface.
상기 회전돌기 또는 상기 회전홈에는 상기 볼베어링이 정렬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18,
Image stabilization correction module having a guide groove which is provided in the rotary projection or the rotary groov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ll bearing is aligned.
상기 가이드홈의 단면은 의 단면은 둥근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인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The method of claim 20,
The cross-section of the guide groove is the image stabilization reflection module of the cross-section of the round shape or polygonal shape.
상기 렌즈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며, 내부로 입사된 광이 상기 렌즈 모듈을 향하도록 상기 광의 경로를 변화시키는 제1항 또는 제11항에 따른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 lens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And a camera shake correction reflect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 or 11, which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ens module and changes the path of the light so that light incident therein is directed toward the lens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854,578 US10678062B2 (en) | 2017-02-08 | 2017-12-26 |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CN201820226810.2U CN208588884U (en) | 2017-02-08 | 2018-02-08 | Reflecting module and camera model for optical anti-vibration |
CN202111481493.1A CN114114588B (en) | 2017-02-08 | 2018-02-08 | Reflex module and camera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
CN202011281995.5A CN112230366B (en) | 2017-02-08 | 2018-02-08 | Reflec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
CN202311660458.5A CN117572657A (en) | 2017-02-08 | 2018-02-08 | Reflective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CN201810127401.1A CN108398806A (en) | 2017-02-08 | 2018-02-08 |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anti-vibration and the camera model including the reflecting module |
US16/861,358 US11262593B2 (en) | 2017-02-08 | 2020-04-29 |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US17/536,449 US20220082852A1 (en) | 2017-02-08 | 2021-11-29 |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US18/661,002 US12360389B2 (en) | 2017-02-08 | 2024-05-10 |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7527 | 2017-02-08 | ||
KR20170017527 | 2017-02-08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9968A Division KR102242470B1 (en) | 2017-02-08 | 2020-01-28 |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2251A KR20180092251A (en) | 2018-08-17 |
KR102072810B1 true KR102072810B1 (en) | 2020-02-03 |
Family
ID=63408242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9048A Active KR102072810B1 (en) | 2017-02-08 | 2017-04-17 |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20200009968A Active KR102242470B1 (en) | 2017-02-08 | 2020-01-28 |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20210048574A Active KR102383944B1 (en) | 2017-02-08 | 2021-04-14 |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20220041097A Active KR102513965B1 (en) | 2017-02-08 | 2022-04-01 | A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KR1020230036492A Active KR102806845B1 (en) | 2017-02-08 | 2023-03-21 | A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KR1020230151197A Active KR102776290B1 (en) | 2017-02-08 | 2023-11-03 | A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KR1020240025885A Pending KR20240027665A (en) | 2017-02-08 | 2024-02-22 |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9968A Active KR102242470B1 (en) | 2017-02-08 | 2020-01-28 |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20210048574A Active KR102383944B1 (en) | 2017-02-08 | 2021-04-14 |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20220041097A Active KR102513965B1 (en) | 2017-02-08 | 2022-04-01 | A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KR1020230036492A Active KR102806845B1 (en) | 2017-02-08 | 2023-03-21 | A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KR1020230151197A Active KR102776290B1 (en) | 2017-02-08 | 2023-11-03 | A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KR1020240025885A Pending KR20240027665A (en) | 2017-02-08 | 2024-02-22 |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7) | KR102072810B1 (en) |
CN (1) | CN208588884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3962A (en) * | 2020-12-28 | 2022-07-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WO2023239125A1 (en) * | 2022-06-09 | 2023-12-1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5493B1 (en) | 2018-10-11 | 2024-09-1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US11573391B2 (en) | 2019-04-30 | 2023-02-07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amera module |
KR102357533B1 (en) | 2019-04-30 | 2022-02-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US11609436B2 (en) * | 2019-05-16 | 2023-03-21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Folded optics reflecting module |
KR102255271B1 (en) * | 2019-06-14 | 2021-05-25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US11245827B2 (en) | 2019-06-14 | 2022-02-08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with rotatable reflection module |
KR102230647B1 (en) * | 2019-06-18 | 2021-03-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Reflec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CN110275270B (en) * | 2019-06-21 | 2024-07-02 | 辽宁中蓝光电科技有限公司 | Rotation module |
US11924529B2 (en) | 2019-07-23 | 2024-03-05 | Lg Innotek Co., Ltd.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
CN114430899B (en) | 2019-07-23 | 2024-05-28 | Lg伊诺特有限公司 | Camera Actuator |
CN112394471B (en) * | 2019-07-31 | 2024-07-16 | 新思考电机有限公司 | Optical element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US12313904B2 (en) | 2019-08-07 | 2025-05-27 | Lg Innotek Co., Ltd. | Camera actuator,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including same |
KR102560396B1 (en) * | 2019-11-29 | 2023-07-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
KR102804407B1 (en) * | 2019-12-18 | 2025-05-0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
US11487081B2 (en) * | 2019-12-13 | 2022-11-01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amera module |
CN110850661B (en) * | 2019-12-25 | 2025-04-11 | 新思考电机有限公司 | An OIS motor and a four-axis Tilt OIS anti-shake structure based on ball bearings |
US12265279B2 (en) * | 2019-12-30 | 2025-04-01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Optical path conversion module,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
KR102345120B1 (en) * | 2019-12-30 | 2021-12-31 | 삼성전기주식회사 | A Folding Module,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US11388322B2 (en) * | 2020-02-07 | 2022-07-12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amera module having rotatable lens module and frame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2389192B1 (en) * | 2020-03-16 | 2022-04-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Folded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US11656476B2 (en) | 2020-03-16 | 2023-05-23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Folded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olded module |
EP4145817A4 (en) * | 2020-04-28 | 2024-04-10 | LG Innotek Co., Ltd. |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THEREOF |
CN115943343A (en) * | 2020-06-04 | 2023-04-07 | Lg伊诺特有限公司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camera actuator |
KR20220049952A (en) * | 2020-10-15 | 2022-04-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KR20220080477A (en) * | 2020-12-07 | 2022-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Camera module with optical zoom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KR102565566B1 (en) * | 2021-03-31 | 2023-08-11 | 자화전자(주) | Actuator for driving zoom with differential structure |
KR102516766B1 (en) * | 2021-06-11 | 2023-03-31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20220170225A (en) * | 2021-06-22 | 2022-12-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230077835A (en) * | 2021-11-26 | 2023-06-0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
TW202343122A (en) * | 2021-12-27 | 2023-11-01 | 韓商Lg伊諾特股份有限公司 | Camera actuator, lens moving device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the same |
KR102739770B1 (en) * | 2022-01-21 | 2024-12-06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20230119511A (en) * | 2022-02-07 | 2023-08-1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 camera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
WO2024155046A1 (en) * | 2023-01-18 | 2024-07-2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
WO2024253425A1 (en) * | 2023-06-09 | 2024-12-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
KR20250043641A (en) * | 2023-09-21 | 2025-03-31 | 해성옵틱스(주) | Image stabilization device for smartphone camera |
KR20250043642A (en) * | 2023-09-21 | 2025-03-31 | 해성옵틱스(주) | Image stabilization device for smartphone camera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18336A (en) * | 2010-12-01 | 2012-06-21 | Five D:Kk | Antivibration mechanism of folded zoom camera module |
JP2015011353A (en) * | 2013-07-01 | 2015-01-19 |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 Optical vibration prevention mechanism that can switch optical path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70282B2 (en) * | 2005-06-17 | 2011-09-14 | ソニー株式会社 | LENS DEVICE AND IMAGING DEVICE |
KR100961127B1 (en) * | 2008-09-01 | 2010-06-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101509256B1 (en) * | 2008-11-28 | 2015-04-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Optical image stabilizer for camera lens assembly |
JP5997993B2 (en) | 2012-09-25 | 2016-09-28 | Hoya株式会社 | Imaging device |
US9285566B2 (en) * | 2013-08-08 | 2016-03-15 | Apple Inc. | Mirror tilt actuation |
US9338357B2 (en) * | 2014-01-30 | 2016-05-10 | Hoya Corporation | Imaging apparatus |
CN111965919B (en) * | 2016-05-30 | 2022-02-08 | 核心光电有限公司 | Rotary ball guided voice coil motor |
-
2017
- 2017-04-17 KR KR1020170049048A patent/KR102072810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02-08 CN CN201820226810.2U patent/CN208588884U/en active Active
-
2020
- 2020-01-28 KR KR1020200009968A patent/KR102242470B1/en active Active
-
2021
- 2021-04-14 KR KR1020210048574A patent/KR102383944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04-01 KR KR1020220041097A patent/KR102513965B1/en active Active
-
2023
- 2023-03-21 KR KR1020230036492A patent/KR102806845B1/en active Active
- 2023-11-03 KR KR1020230151197A patent/KR102776290B1/en active Active
-
2024
- 2024-02-22 KR KR1020240025885A patent/KR20240027665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18336A (en) * | 2010-12-01 | 2012-06-21 | Five D:Kk | Antivibration mechanism of folded zoom camera module |
JP2015011353A (en) * | 2013-07-01 | 2015-01-19 |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 Optical vibration prevention mechanism that can switch optical path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3962A (en) * | 2020-12-28 | 2022-07-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102457388B1 (en) * | 2020-12-28 | 2022-10-21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WO2023239125A1 (en) * | 2022-06-09 | 2023-12-1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3020A (en) | 2020-02-05 |
KR102383944B1 (en) | 2022-04-08 |
KR20220044927A (en) | 2022-04-12 |
KR102513965B1 (en) | 2023-03-27 |
KR102776290B1 (en) | 2025-03-07 |
KR20210043541A (en) | 2021-04-21 |
CN208588884U (en) | 2019-03-08 |
KR102242470B1 (en) | 2021-04-20 |
KR20180092251A (en) | 2018-08-17 |
KR20240027665A (en) | 2024-03-04 |
KR20230155414A (en) | 2023-11-10 |
KR102806845B1 (en) | 2025-05-16 |
KR20230042257A (en) | 2023-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3965B1 (en) | A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
KR102473411B1 (en) | Camera module | |
KR102547733B1 (en) | Camera module | |
KR102067069B1 (en) | Camera module | |
KR102072811B1 (en) | Camera module | |
KR102230647B1 (en) | Reflec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1973434B1 (en) | O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CN114114588B (en) | Reflex module and camera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 |
KR101942743B1 (en) | O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370583B1 (en) | Camera module | |
KR101892857B1 (en) | Mirror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046473B1 (en) | Mirror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309464B1 (en) | Camera module | |
KR102516761B1 (en) | Reflec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260376B1 (en) | Folded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561616B1 (en) | Camera module | |
KR102436221B1 (en) | Camera module | |
KR102457388B1 (en) | camera module | |
KR102241321B1 (en) | Mirror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442834B1 (en) | Camera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8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1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