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2312B1 -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 Google Patents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312B1
KR102072312B1 KR1020180140398A KR20180140398A KR102072312B1 KR 102072312 B1 KR102072312 B1 KR 102072312B1 KR 1020180140398 A KR1020180140398 A KR 1020180140398A KR 20180140398 A KR20180140398 A KR 20180140398A KR 102072312 B1 KR102072312 B1 KR 102072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mounting frame
support frame
heating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형모
손준우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구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형모 filed Critical 구형모
Priority to KR102018014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3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필요하게 실내 전체에 대하여 냉난방이 이루어지던 기존과 달리 사용자의 목적 내지 선택에 따라 특정 공간만을 한정하여 냉난방이 구현되게 함으로써 개인 책상 등이 위치된 국부적인 공간에 대해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냉방 또는 난방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어떠한 형태의 책상에도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극대화되며, 특히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한 제반 구성이 제안됨에 따라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과 사용상 효율성이 제고되는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에 관한 것으로, 책상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대응 입설되는 지지프레임(10); 지지프레임의 각 단부와 결부되고 지지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배치되는 거치프레임(20); 거치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드 움직임이 허용되고 거치프레임으로부터 지면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되어 외부와의 공간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막(30);을 포함하되, 위 거치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1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환형 관체(管體)의 조립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책상이 보유한 면적에 대응하여 좌우 폭 조절과 전후 길이 조절, 상하 높이 조절이 허용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Tent for desk}
본 발명은 임의의 구획된 독립 공간을 편성하여 냉난방 효율의 극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책상형 텐트에 관한 기술사상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필요하게 실내 전체에 대하여 냉난방이 이루어지던 기존과 달리 사용자의 목적 내지 선택에 따라 특정 공간만을 한정하여 냉난방이 구현되게 함으로써 개인 책상 등이 위치된 국부적인 공간에 대해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냉방 또는 난방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어떠한 형태의 책상에도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극대화되며, 특히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한 제반 구성이 제안됨에 따라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과 사용상 효율성이 제고되는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학업 또는 업무 처리를 위해 제공되는 학업 내지 사무 공간은 다수의 인원과 집기 등의 배치를 고려하여 다소 넓은 면적이 요구되며, 기온이 차거나 더울 경우 보다 쾌적한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고가의 냉·난방기기를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상당한 수준의 냉·난방비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다수가 밀집된 실내 공간에서 개개인마다 선호하는 적정 온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온도 제어 및 설정에서 크나큰 불편이 초래되고, 이에 따라 개개인은 냉·난방이 요구될 경우 별도의 제품을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등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다수가 이용하는 실내 공간에 사용자의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식의 책상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책상 기술의 일례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0276호 "책상 위에 설치하는 개인용 독서실"이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사상은 책상의 상단에 TV와 전등이 각각 설치되고, TV와 전등에서 발생하는 빛이 외부로 투과되지 않도록 책상 상단으로 함체형 돔이 절첩 방식으로 더 설치됨을 주된 요지로 한다.
즉, 위 종래기술은 함체형 돔이 책상의 최단부에서부터 TV와 전등을 비롯하여 착석자의 상체 영역까지 차폐함에 따라 주변으로부터 내부와 외부를 격리시킬 수 있으나, 책상 주변의 완벽한 차폐가 불가능한 구조적 한계로 인해 전술한 개별 냉난방의 효율적인 기능 달성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결과적으로 다수가 이용하는 일정 내부 공간으로부터 개별적인 공간이 임의 제공될 뿐 아니라 대상 공간 내의 온도 조절이 완벽하게 제어 가능하여 개개인의 니즈에 부합하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등 냉·난방비의 효율 또한 적극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책상형 텐트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0276호 "책상 위에 설치하는 개인용 독서실"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실내 전체 공간이 아닌 사용자가 실제 거주 내지 사용하는 일부 공간에 한해서만 집중적으로 냉난방이 구현될 수 있는 책상형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책상 등에 적용할 경우 특정 형태 내지 크기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닌 책상의 형태에 국한됨이 없이 보다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설치 가능하여 개인이 원하는 공간으로 연출 가능한 책상형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대상 책상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설치 가능할 뿐 아니라 쉽고 간편하게 조립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조립 호환성이 극대화되는 책상형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제반 구성의 다양한 형태 변화가 더욱 원활하고 신속하게 허용되는 책상형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과 차별화된 제반 구성으로 인해 차단막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하면서도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이 제고되는 책상형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책상형 텐트(100)는 책상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대응 입설되는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의 각 단부와 결부되고 지지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배치되는 거치프레임(20)과, 거치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드 움직임이 허용되고 거치프레임으로부터 지면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되어 외부와의 공간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막(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거치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1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환형 관체(管體)의 조립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책상이 보유한 면적에 대응하여 좌우 폭 조절과 전후 길이 조절, 상하 높이 조절이 허용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차단막(30)은 거치프레임(20)을 수단으로 책상의 상부와 측부를 커버하는 상면(31)과 측면(32)이 결착링(40)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부됨으로써 사용자 출입 내지 편의를 위한 개방 시 차단막의 측면과 상면이 연동하여 수평 슬라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거치프레임(20)은 지지프레임(10) 끝단과 결부되는 T자 형상의 이음편(21)과, 이음편의 양측으로 끼움 개재되는 연결편(22)과, 연결편의 단부에서 각각 결부되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면서 끼움 결부되는 좌·우조절편(23,24)을 포함하고, 위 좌조절편(23)과 우조절편(24)은 각각 이음편(21)과 결부된 연결편(22)을 수단으로 수평 안내되면서 전후 방향에 대해 길이 가변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지지프레임(10)과 거치프레임(20)은 각각 등간격으로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 및 어느 하나의 통공으로 선택 개재되면서 상하 높이 조절과 전후 거리 조절, 좌우 폭 조절의 가변을 유도하는 스토퍼(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지지프레임(10)은 책상 상판의 임의 위치에 고정 결합되는 결속구(60)에 의해 수직선상 위치가 고수되게 하고, 위 결속구(60)는 지지프레임의 인입 고정을 위한 환형의 수용체(61)와, 책상 상판 상하면에서 거치 고정되는 지지대(62)와, 지지대 내부로의 진입 정도에 따라 책상 상판 하면의 가압 여부가 결정되는 조절나사(63)와, 수용체 저부에 일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 하단에 대해 지지력이 제공되는 커버(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차단막(30)의 상면(31)에는 거치프레임(20)과의 결부를 위한 수개의 결합홀(35)이 3개소 열로 구분하여 각각의 동일선상에 배열됨으로써 좌우 폭 조절을 위하여 지지프레임(10)과 거치프레임의 위치 가변 시 3개소로 구분된 열 중 어느 하나의 결합홀과 선택적으로 거치프레임이 서로 결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위 결합홀(35)은 고정캡(70)이 일체형으로 인입 수용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고정캡(70)은 함몰부(71)에 의해 일면이 하향되거나 단차부(72)에 의해 일면이 돌출되는 형태의 암수로 구분하여 서로 이웃하는 열에 대응 배열하되, 연질 소재의 바디(73)와, 바디 중앙에서 절개 형성되어 거치프레임(20) 상에 결부되는 결착링(40) 또는 이웃하는 타 고정캡의 바디가 끼움 개재되는 절개면(7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위 차단막(30)의 상면(31)은 좌우 폭 조절에 기인한 잉여 부분을 서로 포개어 암수 구분된 고정캡(70)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마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차단막(30)은 거치프레임(20)을 수단으로 책상의 상부와 측부를 커버하는 상면(31)과 측면(32)이 결착링(40)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부됨으로써 차단막의 측면과 상면이 연동하여 수평 슬라이드 개폐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되, 위 차단막의 상면(31)에는 사용자 출입을 위한 전면 개방부(33)의 연장 선상에 대해 전후 길이 방향으로 지퍼부(80)가 더 형성되어 차단막 상면 전 영역을 결착링(40)에 의해 결부한 상태에서도 수평 슬라이드 움직임이 허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위 차단막(30)은 책상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면(31)과 책상의 측부를 커버하는 측면(32)으로 구분하고, 위 차단막의 상면과 측면은 각각 거치프레임(20)에 독립적으로 결부되어 차단막 측면의 수평 슬라이드 움직임 시 차단막 상면은 위치 보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위 차단막(30)의 상면(31)은 거치프레임(20)의 측방에서 클램프(50)에 의해 서로 결부되고, 위 차단막의 측면(32)은 거치프레임의 하방에서 구름수단(90)에 의해 결부됨에 따라 거치프레임 내부에서 구름수단을 통한 안내로 차단막 측면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이 독립적으로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거치프레임(20)은 측 방향에 대한 가압으로 돌출 여부가 탄력있게 결정되는 클램프(50)를 내장하고, 위 클램프(50)는 차단막 상면(31)에서 다수 열로 기천공한 결합홀(35)에 일대일 대응 개재되어 거치프레임 방향으로 차단막 상면을 잡아당김에 따라 좌우 폭 조절 시 차단막 상면의 수평 펼침 상태를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위 클램프(50)는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가압부(51)와, 가압부로부터 수평 연장되면서 거치프레임(20)을 횡단하여 관통하는 샤프트(52)와, 샤프트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차단막 상면(31)의 결합홀(35)로 개재되는 구속부(53)와, 샤프트 상에 위치 구속되어 가압부에 의한 수평 위치 전환에 따라 신축 작용을 유발하는 탄성체(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위 구름수단(90)은 거치프레임(20) 하방에서 위치 고정되는 가이드부재(91)와, 가이드부재 내부에 위치되는 회전롤러(92)와, 회전롤러와 연결핀(93)에 의해 일체화되면서 거치프레임의 하방으로 연장시켜 차단막의 측면(32)과 연결 형성되는 고정블록(9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전체 공간이 아닌 사용자가 실제 거주 내지 사용하는 일부 공간에 한해서만 집중적으로 냉난방이 구현될 수 있어 냉·난방비 절감에 크게 기여하며, 무엇보다 책상 등에 적용할 경우 특정 형태 내지 크기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닌 책상의 형태에 국한됨이 없이 보다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설치 가능하여 개인이 원하는 공간으로 연출 가능하므로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지지프레임과 거치프레임, 차단막 등은 설치 대상 책상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설치 가능할 뿐 아니라 좌우 폭 조절, 전후 길이 조절, 상하 높이 조절의 위치 가변이 자유롭고, 더욱이 쉽고 간편하게 조립되거나 분리되는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조립 호환성이 극대화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제반 구성의 다양한 형태 변화가 더욱 원활하고 신속하게 허용되고, 기존과 차별화된 제반 구성으로 인해 차단막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하면서도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이 제고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책상형 텐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지지프레임에 의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함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거치프레임에 의해 전후 길이 조절이 가능함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거치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의해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좌우 폭 조절에 기인한 차단막의 상면 잉여 부분의 마감 처리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
도 11 내지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책상형 텐트의 실시 양태를 구분하여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책상형 텐트의 실시 양태를 구분하여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책상형 텐트의 실시 양태와 관련 구성을 구분하여 상세 도시한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구획된 독립 공간을 편성하여 냉난방 효율의 극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책상형 텐트(100)에 관하여 개시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하기에 기술하는 것처럼 테이블이나 책상 등에 특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공간 및 대상물에 적용 가능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불필요하게 실내 전체에 대하여 냉난방이 이루어지던 기존과 달리 사용자의 목적 내지 선택에 따라 특정 공간만을 한정하여 냉난방이 구현되게 함으로써 개인 책상 등이 위치된 국부적인 공간에 대해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냉방 또는 난방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어떠한 형태의 책상에도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극대화되며, 특히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한 제반 구성이 제안됨에 따라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과 사용상 효율성이 제고되는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100)에 관련됨을 재차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책상형 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지지프레임에 의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함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거치프레임에 의해 전후 길이 조절이 가능함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거치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의해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책상형 텐트(100)는 크게 책상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대응 입설되는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의 각 단부와 결부되고 지지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배치되는 거치프레임(20)과, 거치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드 움직임이 허용되고 거치프레임으로부터 지면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되어 외부와의 공간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막(30)으로 구분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위 거치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1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환형 관체(管體)의 조립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책상이 보유한 면적에 대응하여 좌우 폭 조절과 전후 길이 조절, 상하 높이 조절이 허용되게 구성하여야 한다.
결국, 이러한 구성은 다양한 설치 환경하에서 사용자 니즈를 만족시키는데 기여함은 물론 차단막이 보다 효율적이고 완벽하게 설치되게 하는 주요 구성으로, 이에 따라 거치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수단으로 설치되는 차단막이 빈틈없이 책상 주변의 전 영역을 외부로부터 차단되게 한다.
위 지지프레임(1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형 텐트의 전체 높이를 가변하기 위한 제반 구성으로, 예컨대 설치 대상 책상의 높이가 상이하거나 기타 필요에 의해 높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기설정된 차단막의 범위를 고려하여 적합하게 상하 위치 제어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환경에 설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지프레임은 추후 기술할 좌우 폭 조절에도 기여하는데, 이는 관련 도면과 함께 상세 기술하기로 한다.
위 거치프레임(20)은 책상형 텐트의 전후 길이 및 좌우 폭 조절 시 유용하게 활용되는바, 크고 작은 관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관체 내부로 개재되는 정도 여부에 의해 전후 길이 조절은 물론 폭 조절이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책상형 텐트의 폭 조절 시에는 전술한 지지프레임의 위치 설정이 수반되어야 하고, 이는 책상 상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위 차단막(30)은 거치프레임(20)을 수단으로 책상의 상부와 측부를 커버하는 상면(31)과 측면(32)이 결착링(40)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부됨으로써 사용자 출입 내지 편의를 위한 개방 시 차단막의 측면과 상면이 연동하여 수평 슬라이드 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기술되고 있는 차단막(30)은 하기에서 기술될 몇몇 실시예를 만족할 수 있도록 보다 다양하게 제안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거치프레임(20)을 상세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위 거치프레임(20)은 지지프레임(10) 끝단과 결부되는 T자 형상의 이음편(21)과, 이음편의 양측으로 끼움 개재되는 연결편(22)과, 연결편의 단부에서 각각 결부되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면서 끼움 결부되는 좌·우조절편(23,24)으로 구분 구성된다.
이때 위 좌조절편(23)과 우조절편(24)은 각각 이음편(21)과 결부된 연결편(22)을 수단으로 수평 안내되면서 전후 방향에 대해 길이 가변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지지프레임(10)과 거치프레임(20)은 각각 등간격으로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 및 어느 하나의 통공으로 선택 개재되면서 상하 높이 조절과 전후 거리 조절, 좌우 폭 조절의 가변을 유도하는 스토퍼(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스토퍼(2)는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나사 타입으로 개재될 수 있음은 물론 기타 볼 스프링과 같은 수단을 상대적으로 외부에 위치하는 관체에 일체 형성하여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위 지지프레임(10)은 책상 상판의 임의 위치에 고정 결합되는 결속구(60)에 의해 수직선상 위치가 고수되게 한다.
위 결속구(60)는 도 2 및 6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의 인입 고정을 위한 환형의 수용체(61)와, 책상 상판 상하면에서 거치 고정되는 지지대(62)와, 지지대 내부로의 진입 정도에 따라 책상 상판 하면의 가압 여부가 결정되는 조절나사(63)와, 수용체 저부에 일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 하단에 대해 지지력이 제공되는 커버(64)로 구성된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좌우 폭 조절에 기인한 차단막의 상면 잉여 부분의 마감 처리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실시 양태는 책상형 텐트(100)의 좌우 폭 조절 시 유발될 수 있는 차단막(30) 상면(31)의 처짐 현상을 보완하기 위함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된다.
위 차단막(30)의 상면(31)에는 거치프레임(20)과의 결부를 위한 수개의 결합홀(35)이 3개소 열로 구분하여 각각의 동일선상에 배열됨으로써 좌우 폭 조절을 위하여 지지프레임(10)과 거치프레임의 위치 가변 시 3개소로 구분된 열 중 어느 하나의 결합홀과 선택적으로 거치프레임이 서로 결부된다.
가령 차단막 상면(31)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결합홀(35)에 거치프레임을 서로 결부시킬 경우 차단막 상면의 펼침 상태는 양호하나, 차단막 상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배열된 결합홀에 거치프레임이 결부되는 상황에서는 남는 부분만큼 하향 처짐 현상을 피할 수 없는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된다
위 결합홀(35)은 고정캡(70)이 일체형으로 인입 수용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고정캡(70)은 함몰부(71)에 의해 일면이 하향되거나 단차부(72)에 의해 일면이 돌출되는 형태의 암수로 구분하여 서로 이웃하는 열에 대응 배열하여야 한다.
이때 위 고정캡(70)은 연질 소재의 바디(73)와, 바디 중앙에서 절개 형성되어 거치프레임(20) 상에 결부되는 결착링(40) 또는 이웃하는 타 고정캡의 바디가 끼움 개재되는 절개면(74)으로 구성된다.
위 바디(73)는 전술한 것처럼 서로 이웃하는 고정캡(70)의 상호 결부를 위하여 암수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위 절개면(74)은 그 중심부에 십자 형상으로 절개 형성함으로써 결착링(40) 또는 클램프(50)의 개재를 허용할 뿐 아니라 미개재 시에는 자체 차단으로 인해 열 효율 측면에도 크게 기여한다.
결과적으로, 도 8 내지 10의 실시예에서 위 차단막(30)의 상면(31)은 좌우 폭 조절에 기인한 잉여 부분을 서로 포개어 암수 구분된 고정캡(70)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마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 내지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책상형 텐트의 실시 양태를 구분하여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위 책상형 텐트(100)는 도면과 같이 사용자 출입을 위하여 절개 형성한 개방부(33)가 각각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차단막 상면(31)에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해당 상면의 선단은 거치프레임(20)과 일체화되지 않은 상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구성은 다음의 또 다른 실시예와는 상반되는 것으로, 차단막을 형성함에 있어 상면과 측면을 일체형으로 구비하되, 측면(32)의 원활한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면 선단은 거치프레임에 의해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책상형 텐트의 실시 양태를 구분하여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4 내지 16은 도면과 같이 소정의 지퍼부(80)를 더 형성함으로써 차단막 상면(31)의 선단이 거치프레임(20)과 일체된 상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도 측면(32)의 원활한 움직임이 보장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위 차단막(30)은 거치프레임(20)을 수단으로 책상의 상부와 측부를 커버하는 상면(31)과 측면(32)이 결착링(40)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부됨으로써 차단막의 측면과 상면이 연동하여 수평 슬라이드 개폐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되, 위 차단막의 상면(31)에는 사용자 출입을 위한 전면 개방부(33)의 연장 선상에 대해 전후 길이 방향으로 지퍼부(80)가 더 형성되어 차단막 상면 전 영역을 결착링(40)에 의해 결부한 상태에서도 수평 슬라이드 움직임이 허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지퍼부(80)의 범위는 개방부(33)를 기점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되는 측면(31)의 이동거리를 감안하여 설정되어야 하며, 이러한 지퍼부의 활용에 따라 측면의 좌우 이동을 가능함은 물론 측면의 좌우 이동 후 후방으로 직선 슬라이드 되는 경우에도 해당 측면과 함께 상면(31) 또한 별도의 수단 없이도 동시에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앞서 전술한 구성과는 상이한 것으로, 예컨대 차단막 상면(31) 선단이 거치프레임과 분리된 경우(도 11 내지 13 참고) 해당 사이 간극으로 인해 에너지 효율이 저조할 우려가 있으나, 도 14 내지 16과 같은 지퍼부(80)의 부가 구성에 따라 외부로 열기 또는 냉기의 배출을 보다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에너지의 효율적 관리에 적극 기여하게 된다.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책상형 텐트의 실시 양태와 관련 구성을 구분하여 상세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7 내지 19에 도시한 형태의 차단막(30)은 책상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면(31)과 책상의 측부를 커버하는 측면(32)으로 구분 구성하고, 위 차단막의 상면과 측면은 각각 거치프레임(20)에 독립적으로 결부되어 차단막 측면의 수평 슬라이드 움직임 시 차단막 상면은 위치 보존되게 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위 차단막(30)의 상면(31)은 거치프레임(20)의 측방에서 클램프(50)에 의해 서로 결부되고, 위 차단막의 측면(32)은 거치프레임의 하방에서 구름수단(90)에 의해 결부됨에 따라 거치프레임 내부에서 구름수단을 통한 안내로 차단막 측면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이 독립적으로 허용되게 한다.
또한, 위 거치프레임(20)은 측 방향에 대한 가압으로 돌출 여부가 탄력있게 결정되는 클램프(50)를 내장하고, 위 클램프(50)는 차단막 상면(31)에서 다수 열로 기천공한 결합홀(35)에 일대일 대응 개재되어 거치프레임 방향으로 차단막 상면을 잡아당김에 따라 좌우 폭 조절 시 차단막 상면의 수평 펼침 상태를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여기서 위 클램프(50)는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가압부(51)와, 가압부로부터 수평 연장되면서 거치프레임(20)을 횡단하여 관통하는 샤프트(52)와, 샤프트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차단막 상면(31)의 결합홀(35)로 개재되는 구속부(53)와, 샤프트 상에 위치 구속되어 가압부에 의한 수평 위치 전환에 따라 신축 작용을 유발하는 탄성체(54)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 구름수단(90)은 거치프레임(20) 하방에서 위치 고정되는 가이드부재(91)와, 가이드부재 내부에 위치되는 회전롤러(92)와, 회전롤러와 연결핀(93)에 의해 일체화되면서 거치프레임의 하방으로 연장시켜 차단막의 측면(32)과 연결 형성되는 고정블록(9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전체 공간이 아닌 사용자가 실제 거주 내지 사용하는 일부 공간에 한해서만 집중적으로 냉난방이 구현될 수 있어 냉·난방비 절감에 크게 기여하며, 무엇보다 책상 등에 적용할 경우 특정 형태 내지 크기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닌 책상의 형태에 국한됨이 없이 보다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설치 가능하여 개인이 원하는 공간으로 연출 가능하므로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지지프레임과 거치프레임, 차단막 등은 설치 대상 책상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설치 가능할 뿐 아니라 좌우 폭 조절, 전후 길이 조절, 상하 높이 조절의 위치 가변이 자유롭고, 더욱이 쉽고 간편하게 조립되거나 분리되는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조립 호환성이 극대화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제반 구성의 다양한 형태 변화가 더욱 원활하고 신속하게 허용되고, 기존과 차별화된 제반 구성으로 인해 차단막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하면서도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이 제고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10. 지지프레임
20. 거치프레임
30. 차단막
40. 결착링
50. 클램프
60. 결속구
70. 고정캡
80. 지퍼부
90. 구름수단
100. 책상형 텐트

Claims (6)

  1. 책상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대응 입설되는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의 각 단부와 결부되고 지지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배치되는 거치프레임(20)과, 거치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드 움직임이 허용되고 거치프레임으로부터 지면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되어 외부와의 공간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막(30)을 포함하되, 위 거치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1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환형 관체(管體)의 조립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책상이 보유한 면적에 대응하여 좌우 폭 조절과 전후 길이 조절, 상하 높이 조절이 허용되는 책상형 텐트에 있어서,
    위 차단막(30)의 상면(31)에는 거치프레임(20)과의 결부를 위한 수개의 결합홀(35)이 3개소 열로 구분하여 각각의 동일선상에 배열됨으로써 좌우 폭 조절을 위하여 지지프레임(10)과 거치프레임의 위치 가변 시 3개소로 구분된 열 중 어느 하나의 결합홀과 선택적으로 거치프레임이 서로 결부되는 것을 포함하는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위 차단막(30)은 거치프레임(20)을 수단으로 책상의 상부와 측부를 커버하는 상면(31)과 측면(32)이 결착링(40)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부됨으로써 사용자 출입 내지 편의를 위한 개방 시 차단막의 측면과 상면이 연동하여 수평 슬라이드 되는 것을 포함하는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위 거치프레임(20)은,
    지지프레임(10) 끝단과 결부되는 T자 형상의 이음편(21);
    이음편의 양측으로 끼움 개재되는 연결편(22);
    연결편의 단부에서 각각 결부되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면서 끼움 결부되는 좌·우조절편(23,24);
    을 포함하고,
    위 좌조절편(23)과 우조절편(24)은 각각 이음편(21)과 결부된 연결편(22)을 수단으로 수평 안내되면서 전후 방향에 대해 길이 가변이 허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위 지지프레임(10)과 거치프레임(20)은 각각 등간격으로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 및 어느 하나의 통공으로 선택 개재되면서 상하 높이 조절과 전후 거리 조절, 좌우 폭 조절의 가변을 유도하는 스토퍼(2)를 더 포함하는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위 지지프레임(10)은 책상 상판의 임의 위치에 고정 결합되는 결속구(60)에 의해 수직선상 위치가 고수되게 하고,
    위 결속구(60)는 지지프레임의 인입 고정을 위한 환형의 수용체(61)와, 책상 상판 상하면에서 거치 고정되는 지지대(62)와, 지지대 내부로의 진입 정도에 따라 책상 상판 하면의 가압 여부가 결정되는 조절나사(63)와, 수용체 저부에 일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 하단에 대해 지지력이 제공되는 커버(64)를 포함하는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6. 삭제
KR1020180140398A 2018-11-15 2018-11-15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Active KR102072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398A KR102072312B1 (ko) 2018-11-15 2018-11-15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398A KR102072312B1 (ko) 2018-11-15 2018-11-15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312B1 true KR102072312B1 (ko) 2020-01-31

Family

ID=6936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398A Active KR102072312B1 (ko) 2018-11-15 2018-11-15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849A (ko) * 2020-09-28 2022-04-05 곽재호 데스크 유니트
KR20230119927A (ko) * 2022-02-08 2023-08-16 안창용 가변형 시뮬레이터용 테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486A (ja) * 2001-07-06 2003-03-18 Sukeyasu Ono 蚊よけネット装置
KR100415843B1 (ko) * 2002-03-04 2004-01-24 김대학 가이드 레일을 갖는 모기장
KR20040030276A (ko) 2002-08-27 2004-04-09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박 다공성 실리카 필름의 형성 방법
KR20180076621A (ko) * 2016-12-28 2018-07-06 임유나 공간 조절이 가능한 수면텐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486A (ja) * 2001-07-06 2003-03-18 Sukeyasu Ono 蚊よけネット装置
KR100415843B1 (ko) * 2002-03-04 2004-01-24 김대학 가이드 레일을 갖는 모기장
KR20040030276A (ko) 2002-08-27 2004-04-09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박 다공성 실리카 필름의 형성 방법
KR20180076621A (ko) * 2016-12-28 2018-07-06 임유나 공간 조절이 가능한 수면텐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849A (ko) * 2020-09-28 2022-04-05 곽재호 데스크 유니트
KR102429931B1 (ko) * 2020-09-28 2022-08-05 곽재호 데스크 유니트
KR20230119927A (ko) * 2022-02-08 2023-08-16 안창용 가변형 시뮬레이터용 테이블
KR102734445B1 (ko) * 2022-02-08 2024-11-26 안창용 가변형 시뮬레이터용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2312B1 (ko) 독립 공간의 임의 구축과 냉난방 온도 제어의 효율성을 겸한 책상형 텐트
US41354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lating or air conditioning occupied rooms
US7088913B1 (en) Baseboard/upright heater assembly
AU2006201346B2 (en) Air Flow Control Device
US5238452A (en) Personalized air conditioning system
CN110169674A (zh) 具有热回收系统的环境床
US20150241082A1 (en) Tower Floor Register
US20080242214A1 (en) Vent system
JP4942619B2 (ja) 吹出口装置
KR102187380B1 (ko) 에어컨 풍향조절장치
JP6381276B2 (ja) 吹出口装置
EP2228607B1 (en) 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box with changeable direction inlet ports and outlet ports
AU2012350137B2 (en) An air diffuser and an air circulation system
Charles et al. Indoor air quality and thermal comfort in open-plan offices
US20090124188A1 (en) Personal distribution terminal
KR101411247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에어가이드
JPWO2018037471A1 (ja) 放射パネルおよび空調システム
CN106288275B (zh) 空调器
CN211748203U (zh) 一种剧场座椅通风开关
JP3188751U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80065939A (ko) 한옥형 공동주택
JP6989848B2 (ja) 床吹出口装置
KR102106799B1 (ko)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CN204301263U (zh) 通风风道组件及空调器
KR101545224B1 (ko)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