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217B1 - Baby Carrier Having Desorption Able Shoulder Strap - Google Patents
Baby Carrier Having Desorption Able Shoulder Str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2217B1 KR102072217B1 KR1020180074016A KR20180074016A KR102072217B1 KR 102072217 B1 KR102072217 B1 KR 102072217B1 KR 1020180074016 A KR1020180074016 A KR 1020180074016A KR 20180074016 A KR20180074016 A KR 20180074016A KR 102072217 B1 KR102072217 B1 KR 1020722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protrusion
- detachable
- buckle
- bab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013 gro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112 My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8 babys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465 muscle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단이 길게 연장되어 일단에 제1탈착부와 타단에 제1탈착부와 연결되는 제2탈착부가 설치된 벨트부;
벨트부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측에 제1버클부가 형성된 어깨걸이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제1버클부와 체결되는 제2버클부가 고정 형성된 커버부; 및
커버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커버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내측면에 받침홈이 형성된 머리받침부를 포함하되,
제2버클부는 외측면에서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쇠체결홈이 형성된 돌기부로 형성되고,
제1버클부는,
하부면에 홀이 타공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하우징,
상부면에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돌출되어 홀을 통해 들어오는 돌기부와 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서 탄성부재가 위치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고정홈을 포함하는 슬라이딩이동바,
돌출부의 외측을 감싸며 일부가 위치고정홈에 체결되고 상단부의 일부가 구부려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걸쇠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strap in which the shoulder strap is detached.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both ends of the belt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detachabl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and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at one end;
A cover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elt portion, a shoulder portion having a first buckle portion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and a second buckle portion fixed to the first buckle portion at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ver portion,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ver portion, including a headrest portion formed with a support groove on the inner side,
The second buckle portion is formed of a projection portion protruding in a circular shape on the outer surface, the at least one latch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first buckle portion,
A housing in which an elastic member is formed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and a displacement is gene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Sliding movement bar having a flat shape protruding in a circular shape on the upper surface and a protrusion contacting the protrusion coming through the hole and including a position fixing groove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located in the protrusion,
The protrusion wraps around the outside and includes a protrusion latch portion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is fastened to a position fixing groove and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b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호자가 유아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안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아기 띠의 기술분야에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깨 끈이 사용자의 앞측에서 착탈되며 유아를 보다 편하게 안을 수 있도록 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art of baby straps to allow carers to move the infant more safely and easil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strap in which the shoulder strap is detached from the front of the user and the shoulder strap is detached to make the infant more comfortable.
유아의 보호자는 두 팔로 유아를 안아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유아를 두 팔로 안거나, 안아 이동하는 행위는 보호자의 팔 및 허리에 무리를 주며, 보호자에 근육을 뭉치게 하거나 결리게 한다. 쉽게 말해, 두 팔로 유아를 안는 방식은 보호자의 어깨 및 허리에 근육통을 일으킨다. 이에, 보호자는 이러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지 못한다.Infant caregivers often carry infants in their arms. This act of holding or holding the infant with both arms causes the guardian's arm and waist to be overwhelming and causes the guardian to clump or loosen the muscles. In simple terms, holding the infant with both arms causes muscle pain in the shoulders and back of the guardian. Therefore, the guardian does not hold this posture for a long time.
현재에는 보호자가 유아를 장시간 안을 수 있도록 돕는 아기 띠, 힙시트 및 포대기 등의 유아제품이 나오고 있다.Currently, baby products such as baby bands, hip sheets, and bags are available to help guardians hold their infants for a long time.
현재의 아기 띠, 힙시트 및 포대기는 아기를 안았을 때, 팔 및 허리에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무게 힘을 어깨, 허리 등으로 분산시켜 아기를 장시간 안아 돌볼 수 있도록 한다.Current baby straps, hipsheets, and swadders distribute the weight forces delivered to the arms and waist intensively when the baby is held, to the shoulders and waist, allowing the baby to be held for a long time.
특히, 현재의 대부분의 아기 띠는 어깨 끈이 아기 띠의 앞면 커버에 고정되어 뒤에서 어느 하나의 버클에 다른 하나의 버클이 탈착되는 구조이다. 즉, 현재의 대부분의 아기 띠는 보호자가 아기를 커버에 앉히고 덮은 후에 등 뒤로 어깨 끈을 연결하는 방식이다.In particular, most current baby strap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houlder strap is fixed to the front cover of the baby strap so that one buckle is detached from the other buckle at the rear. In other words, most current baby straps are the way the guardian attaches the shoulder straps to the back after sitting and covering the baby.
이와 같은 아기 띠는 보호자 혼자서, 본체에 아기를 앉힌 후, 어깨 끈을 매고, 어깨 끈을 연결하는데 편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아기 띠는 영아의 아기를 돌보는 보호자가 영아와 밀착시기기 위해 어깨 끈을 짧게 하였을 때, 보호자 혼자서 어깨 끈을 연결하는데 있어 불편하게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Such a baby strap is a problem that the guardian alone, after sitting the baby in the body, to tie the shoulder strap, it is not comfortable to connect the shoulder strap. In particular, such a baby strap has a problem that when the guardian cares for the baby of the infant shortens the shoulder strap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fant, the guardian alone is inconvenient to connect the shoulder strap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보호자 혼자서 아기를 커버부에 앉힌 후, 어깨 끈을 커버부에 쉽게 연결되도록 하며 보호자 혼자서도 편안하고 안전하게 아기를 아기 띠에 앉힐 수 있도록 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be detached from the shoulder strap so that the guardian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over part, and the guardian can comfortably and safely sit the baby on the baby girdle after sitting alone the baby on the cover It is to provide a baby strap.
특히, 본 발명은 어깨 끈이 커버부에 연결된 후, 결속력을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하여 보호자가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아기를 압박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by strap that is detachable to the shoulder strap to be able to rotate while holding the baby, while holding the baby, while the shoulder strap is connected to the cover portion, so as to move naturally without pressing the baby It is to.
아울러, 본 발명은 커버 하단의 양측에 폭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주름부가 형성되어, 본체 중 아기의 폼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인 확장주름부 부분이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아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cover of the expansion wrinkle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expansion wrinkles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oam of the baby is naturally expanded to support the baby in a wider area stably To provide a baby strap that can be detached from the shoulder strap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는, 양단이 길게 연장되어 일단에 제1탈착부와 타단에 상기 제1탈착부와 연결되는 제2탈착부가 설치된 벨트부;Baby strap for detaching the shoulder s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the belt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detachabl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on the other end and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at one end;
상기 벨트부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측에 제1버클부가 형성된 어깨걸이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1버클부와 체결되는 제2버클부가 고정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내측면에 단 턱진 받침홈이 형성된 머리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버클부는 외측면에서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쇠체결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 또는 자석과 연결되는 철재를 포함하는 돌기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버클부는,
하부면에 타공되어,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하우징,
상부면에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철재 또는 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홀을 통해 들어오는 상기 돌기부와 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위치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된 후, 타 방향으로 복원되는 슬라이딩이동바,
상기 돌출부의 외측을 감싸며 일부가 상기 위치고정홈에 체결되며 상기 슬라이딩이동바에 연결되고 상단부의 일부가 구부려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걸쇠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걸쇠부는 구동걸쇠와 상기 구동걸쇠의 하단부에 형성된 위치고정결합치를 포함하여 상기 위치고정결합치가 상기 위치고정홈에 결합되며
상기 돌기걸쇠부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단부에 중력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외측으로 벌어지고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되며 상기 걸쇠체결홈에 착탈되고
상기 머리받침부의 양측에는 제1상단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깨걸이부에는 상기 제1상단탈착부와 착탈되는 제2상단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받침부의 외측면에 하단에는 제1버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외측면 상단에는 상기 제1버튼부와 탈착되는 제2버튼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버튼부와 상기 제2버튼부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머리받침부는 상기 커버부에서 70도 이상의 각도를 형성하고,A cover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elt portion, a shoulder portion having a first buckl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 second buckle portion fixed to the first buckle portion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ver portion, it is rotat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ver portion, and includes a headrest portion formed with a stepped recessed groove on the inner side,
The second buckle portion is formed of a protrusion including a magnet that is connected to the magnet or a magnet that forms a magnetic field therein and has at least one latch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otruding circularly on the outer surface,
The first buckle portion,
A housing having an elastic member which is perforated on a lower surface and has a hole for allowing the protrusion to be inserted therein and a displacement is gene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 flat shape protrudes in a circular shap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teel or magnet is formed therein to form a protrusion to contact the protrusion entering through the hole, and a position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located. Sliding movement bar including a fixing groove, the sliding movement in one direction after the sliding movement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raps the outer side of the protrusion and a part is fastened to the position fixing groove and connected to the sliding movement bar and includes a protrusion latch portion formed in a shape bent a portion of the upper end,
The protrusion latch portion includes a position fixing coupling valu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driving latch and the driving latch and the position fixing coupling value is coupled to the position fixing groove.
The protrusion latch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and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t opens outward and is restored when the pressure applied is removed and is detached from the latching groove.
First and second upper and lower detachable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eadrest portion, and the should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upper detachable portion detachable from the first upper detachable portion,
A first button part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headrest part, and a second button part detachable from the first button part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cover part, and the first button part and the second button part are connected. When the headrest portion forms an angle of 70 degrees or more from the cover portion,
상기 커버부는 복수 개의 절개부가 형성된 외측커버, 상기 절개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간커버 및 상기 외측커버의 양단부를 결합되도록 하는 내측커버를 포함하는 확장주름부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가 확장 됨에 따라 상기 중간커버와 상기 내측커버가 폭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ver part is formed of an extended wrinkle part including an outer cover having a plurality of cutouts, an intermediate cover coupled to connect both ends of the cutout, and an inner cover for coupling both ends of the outer cover, and as the cutout expands, The middle cover and the inner cover can be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는 아기를 돌보는 보호자 혼자서, 아기 띠에 아기를 앉힌 후 어깨 끈을 쉽게 착탈 할 수 있도록 한다.Baby strap is detachable shoulder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ake care of the baby alone, so that you can easily detach the shoulder strap after sitting the baby on the baby strap.
또한, 본 발명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는 본체에 연결된 어깨 띠가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여, 보호자가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도, 아기에게 압박을 주지 않고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aby strap is detachable shoulder s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e in a state in which the shoulder strap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guardian can naturally move without holding pressure on the baby.
그리고, 본 발명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는 확장주름부를 통해, 아기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넓게 감싸며, 아기의 사타구니에 압박을 가하지 않고, 아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And, the baby strap is detachable shoulder s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xpansion wrinkles, and wrap the baby's hips and thighs wide, without putting pressure on the groin of the baby,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bab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외측전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버클부 및 제2버클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구조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머리받침대 그리고 머리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머리받침대의 확장주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strap detachable shoulder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ateral development view of the baby strap in which the shoulder strap of FIG. 1 is detached.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buckle portion and the second buckle portion of FIG.
4 and 5 are partial cutaway views showing the structural state of the first buckle portion and the second buckle portion by cutting a portion of the first buckle portion and the second buckle portion of FIG.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irst buckle portion and the second buckle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head restraint and head restraint of the baby strap is detachable shoulder strap of FIG.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n extension wrinkle part of the head restraint of the baby strap in which the shoulder strap of FIG. 1 is detach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following examples can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단지 충실 및 완전하게 하여,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나타내는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다. 이러한 도면상에서 표시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Rather,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In addition,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부재, 요소 및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may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and / or “comprising” is to specify the shapes, members, elements, and the presence of these groups mentioned.
이하,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with respect to a baby strap that is detachable shoulder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strap detachable shoulder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1)는 보호자가 아기를 커버부(20)에 앉힌 후, 어깨걸이부(21)를 커버부(20)의 전면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 혼자서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Baby strap (1) that the shoulder strap is detach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guardian seats the baby in the
더욱이, 본 발명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1)는 커버부(20)에 어깨걸이부(21)가 연결된 후에도 어깨걸이부(21)가 결속력을 유지하면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가 아기를 안거나 업은 상태에서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the
또한, 본 발명은 커버 하단의 양측에 폭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주름부(23)가 형성되어, 본체 중 아기의 허벅지와 밀착되어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아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cover extending wrinkle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by's thighs of the main body to naturally expand to enable the baby to stably support a wider area.
이러한 특징을 갖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1)는 복수 개의 탈착부가 형성된 벨트부(10), 제1버클부(211) 및 제2버클부(212)가 형성된 커버부(20) 및 받침홈(31)이 형성된 머리받침부(30)를 포함한다.The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baby strap (1) that the shoulder strap is detached.
도 2는 도 1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외측전개도이다.FIG. 2 is a lateral development view of the baby strap in which the shoulder strap of FIG. 1 is detached.
벨트부(10)는 보호자 즉,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싸며 고정되며 상방으로 커버부(20)가 형성된 부재이다.The
벨트부(10)는 일단의 외측에 형성된 제1탈착부(110)와 타단의 내측에 형성되어 제1탈착부(110)와 연결되는 제2탈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탈착부(110)와 제2탈착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상호 간 쉽게 탈 부착될 수 있는 벨크로가 될 수 있다.The
또한, 벨트부(10)는 벨트부(10)의 외측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에 제1벨트버클부(111)가 연결된 제1웨빙 끈(webbing strap)과 타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에 제1벨트버클부(111)와 착탈되는 제2벨트버클부(122)가 연결된 제2웨빙 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웨빙 끈과 제2웨빙 끈은 길이조절수단과 연결되어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다양한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커버부(20)는 보호자 품에 아기를 앉힌 후, 벨트부(10)로부터 아기를 덮는 부재가 된다. 커버부(20)는 벨트부(10)의 상측면에 벨트부(10)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일례로, 벨트부(10)를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벨트부(10)에 연결 형성된다.The
이와 같은 커버부(20)는 벨트부(10)와 연결되어 확장주름부(23)가 형성된 하단커버부(20)와 하단커버부(2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에 머리받침부(30)가 연결되는 상단커버부(20)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확장주름부(2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상단커버부(20)의 양측에는 어깨걸이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깨걸이부(21)는 사용자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하는 어깨 끈이 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이러한 어깨걸이부(21)는 커버부(20)의 일측에 사용자의 오른쪽 어깨에 걸리는 제1어깨걸이부와 커버부(20)의 타측에 사용자의 왼쪽 어깨에 제2어깨걸이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아울러, 제1어깨걸이부와 제2어깨걸이부의 외측면에는 웨빙 끈이 형성되고, 웨빙 끈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버클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어깨걸이부(21)의 외측면에는 제1버클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의 외측면 즉, 앞면에는 제1버클부(211)와 체결되는 제2버클부(212)가 고정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ebbing strap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shoulder strap portion and the second shoulder strap portion, and a
이때, 제2버클부(212)는 평면이 원형 돌기로 형성되고, 제1버클부(211)는 원형 돌기를 수용하는 홈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1버클부(211)는 제2버클부(212)와 체결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머리받침부(30)는 내측면에 단 턱진 받침홈(31)이 형성된다. 이러한 머리받침부(30)의 내부에는 솜이나 스펀지 등의 완충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The
머리받침부(30)는 커버부(20)와 수평 한 방향으로 고정되었을 때, 커버부(20)에 앉은 아기의 머리를 뒤 부분을 받치고, 커버부(20)와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되었을 때, 커버부(20)에 앉은 아기의 턱을 받칠 수 있다. 이와 같은 머리받침부(30)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하도록 한다.When th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구조 및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연결관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first buckle portion and the second buckle portion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buckle portion and the second buckle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도 1의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buckle portion and the second buckle portion of FIG.
커버부(20)의 외측면에서 고정 형성된 제2버클부(212)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쇠체결홈(2121)이 형성된 돌기부(2122)로 형성될 수 있다.The
이때, 돌기부(2122)는 종단면이 'Ω'과 같이 형성되고, 횡단면이 '○'형상 즉, 원 형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2122)는 내부에 제1버클부(211)와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M2) 또는 자석과 연결되는 철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반면, 제1버클부(211)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11), 슬라이딩이동바(2112) 및 돌기걸쇠부(2113)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하우징(2111)은 제1버클부(211)의 케이스가 되며, 하부면에 홀(21111)이 타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21111)은 제2버클부(212)의 돌기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횡단면이 '○'형상 즉, 원 형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11)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S) 즉,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S)는 하우징(2111)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슬라이딩이동바(2112)는 하우징(2111)의 탄성부재(S)와 연결되어, 하우징(2111)의 내부에서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 된 후, 타 방향 즉,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이동바의 홀(21111)과 중첩되는 상부면에는 돌출부(21121)가 형성된다. 돌출부(21121)의 내부에는 제1버클부(211)에 형성된 자석 또는 철재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철재(M1) 또는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The sliding
돌출부(21121)는 홀을 통해 들어오는 돌기부(2122)와 접하며 자기장이 형성되면 돌기부(2122)에 붙었다가 자기장이 제거되면 돌기부(2122)에서 떨어질 수 있다.The protruding
또한, 슬라이딩이동바(2112)는 상부면에 돌출부(21121)로부터 탄성부재(S)가 위치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위치고정홈(21122)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홈(21122)에는 돌기걸쇠부(2113)의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돌기걸쇠부(2113)는 제1버클부(211)가 제2버클부(212)의 돌기부(2122)와 착탈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체가 된다.The
돌기걸쇠부(2113)는 돌출부(21121)의 외측을 감싸며 위치고정홈(21122)에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돌기걸쇠부(2113)는 횡단면이 'U'가 되는 구동걸쇠의 하단부에 횡단면이 '└┘'가 되는 위치고정결합치(21132)가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돌기걸쇠부(2113)는 구동걸쇠(21131)가 돌출부의 외측을 감싸고, 위치고정결합치(21132)가 위치고정홈(21122)에 체결될 수 있다.The
이때, 위치고정결합치(21132)의 하단부 너비 방향의 양측면에는 치합돌기가 형성되고, 위치고정결합치(21132)가 접하는 위치고정홈(21122)의 양측에는 치합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치합돌기와 수용홈의 결합을 통해, 위치고정결합치(21132)가 위치고정홈(21122)에 결합되어 돌기걸쇠부(2113)는 슬라이딩이동바(2112)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width direction of the position fixing
돌기걸쇠부(2113)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돌기걸쇠부(2113)의 구동걸쇠(21131)는 상단부가 구부러진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이에, 돌기걸쇠부(2113)는 상단부를 접하는 중력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외측으로 벌어지고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걸쇠부(2113)는 상단부에 가해지는 힘의 여부에 따라, 상단부가 외측 및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며 구동걸쇠(21131)가 걸쇠체결홈(2121)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Thus, the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결합관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도 4 및 도 5는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결합관계 및 제1버클부의 작동에 대해 보다 명확히 나타나 질 수 있도록, 제1버클부가 뒤집힌 상태에서, 제2버클부가 제1버클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Hereinafter,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buckle portion and the second buckle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4 and 5 show that the first buckle portion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first buckle portion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buckle portion and the second buckle por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first buckle portion can be more clearly shown. The state of coupling is shown.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버클부 및 제2버클부의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사시도 및 제1버클부 및 제2버클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 and 5 are cutaway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buckle portion and the second buckle portion of Figure 3 and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buckle portion and the second buckle portion.
제1버클부(211)는 돌기걸쇠부(2113)를 통해 슬라이딩이동바(2112)의 슬라이딩이동에 따라 돌기부(2122)와 착탈될 수 있다.The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이동바(2112)의 돌출부(21121)를 하우징의 홀과 중첩되는 상태에서 제2버클부(212)는 홀(21111)을 관통하며 제1버클부(211)에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the
이때, 제1버클부(211)와 제2버클부(212)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버클부(211)에 형성된 자석 또는 철재와 제2버클부(212)에 철재 또는 자석 간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더욱이, 제1버클부(211)의 돌기걸쇠부(2113)는 제2버클부(212)의 걸쇠체결홈(2121)에 체결되며 제1버클부(211)와 제2버클부(212) 간 결합력은 높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5를 참조하여, 제1버클부(211)와 제2버클부(212)의 결합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a combination of the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버클부(211)의 홀을 통해 제2버클부의 돌기부(2122)가 진입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걸쇠부(2113)의 상단부는 제2버클부(212)의 일단을 통해 힘이 전달되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As shown in FIG. 5A, when the
이때, 돌기부(2122)는 돌기걸쇠부(2113)를 벌리며 걸쇠체결홈(2121)에 구동걸쇠(21131)가 결합될 때까지 제1버클부(211)로 진입할 수 있다. 걸쇠체결홈(2121)에 구동걸쇠(21131)가 체결되면, 슬라이딩이동바(2112)에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제1버클부(211)와 제2버클부(212)는 체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반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이동바(2112)의 일측에 힘이 가해지면, 슬라이딩이동바(2112)가 타방향으로 이동하며 돌출부(21121)는 하우징의 홀(21111)과 중첩되는 상태를 벗어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C, when a force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sliding
이때, 제1버클부(211)와 제2버클부(212) 간 형성된 자기력이 깨지고, 걸쇠체결홈(2121)과 돌기걸쇠부(2113) 간 치합이 해제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따라서,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버클부(211)를 아래로 또는 제2버클부(212)를 위로 하여 당길 경우, 제1버클부(211)와 제2버클부(212)는 결합이 쉽게 해제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pulls the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irst buckle portion and the second buckle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제1버클부(211)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버클부(212)에 체결된 상태 일 때, 사용자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이동바(2112)에 압력을 가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들어 올릴 경우, 제2버클부(212)와 쉽게 분리될 수 있다.When the
즉, 제1버클부(211)는 제2버클부(212)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이동바(2112)에 길이방향과 평행한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제2버클부(21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제1버클부(211)는 제2버클부(212)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이동바(2112)에 길이방향과 평행함 힘이 가해져, 일 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는 제2버클부(212)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That is, the
아울러, 제1버클부(211)는 돌기걸쇠부(2113)가 횡단면이 원 형상인 돌기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쇠체결홈(2121)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움직이더라도 제1버클부(21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버클부(211)는 제2버클부(212)에 고정되며 일단이 고정된 어깨걸이부(21)의 움직임에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통해, 제1버클부(211)는 어깨걸이부(21)의 일단이 커버부(20)에 연결된 상태에 회전 가능하게 하여, 보호자가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아기를 압박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머리받침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headres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의 도 1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머리받침대 그리고 머리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head restraint and head restraint of the baby strap is detachable shoulder strap of FIG.
머리받침부(30)는 머리받침부(30)의 양측에 형성된 제1상단탈착부(310)가 어깨걸이부(21)에 형성된 제2상단탈착부(210)와 연결되어 커버부(20)와 수평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여기서, 제1상단탈착부(310)와 제2상단탈착부(210)는 웨빙 끈에 연결되고,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웨빙 끈이 조절되며 상호 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Here, the first upper
반면, 머리받침부(30)는 외측면에 형성된 제1버튼부(320)가 커버부(20)의 외측면 상단에 형성된 제2버튼부(220)와 연결되어, 커버부(20)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즉, 머리받침부(30)는 제1상단탈착부와 제1버튼부(320)를 통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이러한 머리받침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일면에 형성된 받침홈(31)을 포함하고 있어, 도 8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받침부(30)가 펼쳐졌을 때, 받침홈(31)을 이용해 아기의 뒷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혔을 때,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의 턱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다.The
특히, 머리받침부(3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혔을 때, 머리받침부(30)의 받침홈(31)이 커버부(20)에서 소정 각도 이상 일례로 70도 이상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혀, 아기가 자연스럽게 전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확장주름부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9, the expanded wrinkle part is demonstrated.
도 9는 도 1의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의 머리받침대의 확장주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n extension wrinkle part of the head restraint of the baby strap in which the shoulder strap of FIG. 1 is detached.
확장주름부(23)는 아기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넓게 감싸며, 아기의 사타구니에 압박을 가하지 않고, 아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확장주름부(23)는 절개부가 형성된 외측커버, 절개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간커버 및 외측커버의 양 단부를 결합되도록 결합된 내측커버를 포함한다.The
이때, 중간커버와 내측커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커버의 절개부가 벌어져 확장됨에 따라 함께 양측으로 벌어져 확장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middle cover and the inner cover is formed so as to be expanded to open to both sides as the cutout portion of the outer cover is expanded as shown in FIG.
이때, 확장주름부(23)의 외측커버에 절개부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되고, 중간커버는 외측커버 중 절개부(2311) 각각의 양 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각 절개부(2311)가 확장됨에 따라 중간커버와 내측커버는 함께 폭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wo or more cutouts are formed on the outer cover of the
이를 통해, 확장주름부(23)는 아기의 허벅지의 길이에 따라 확장되어 아기를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
10: 벨트부 110: 제1탈착부
111: 제1벨트버클부 120: 제2탈착부
122: 제2벨트버클부 20: 커버부
21: 어깨걸이부 210: 제2상단탈착부
211: 제1버클부 2111: 하우징
21111: 홀 2112: 슬라이딩이동바
21121: 돌출부 2122: 돌기부
21122: 위치고정홈 2113: 돌기걸쇠부
212: 제2버클부 2121: 걸쇠체결홈
220: 제2버튼부 23: 확장주름부
2311: 절개부 30: 머리받침부
31: 받침홈 310: 제1상단탈착부
320: 제1버튼부1: baby strap with detachable shoulder strap
10: belt portion 110: the first removable portion
111: first belt buckle portion 120: second detachable portion
122: second belt buckle 20: cover
21: shoulder portion 210: second upper detachable portion
211: first buckle portion 2111: housing
21111: Hole 2112: sliding bar
21121: protrusion 2122: protrusion
21122: position fixing groove 2113: projection latch
212: second buckle portion 2121: latch fastening groove
220: second button portion 23: expansion wrinkle portion
2311: incision 30: headrest
31: support groove 310: first upper detachable portion
320: first button portion
Claims (5)
상기 벨트부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측에 제1버클부가 형성된 어깨걸이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1버클부와 체결되는 제2버클부가 고정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내측면에 단 턱진 받침홈이 형성된 머리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버클부는 외측면에서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쇠체결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 또는 자석과 연결되는 철재를 포함하는 돌기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버클부는,
하부면에 타공되어,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하우징,
상부면에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철재 또는 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홀을 통해 들어오는 상기 돌기부와 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위치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된 후, 타 방향으로 복원되는 슬라이딩이동바,
상기 돌출부의 외측을 감싸며 일부가 상기 위치고정홈에 체결되며 상기 슬라이딩이동바에 연결되고 상단부의 일부가 구부려진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걸쇠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걸쇠부는 구동걸쇠와 상기 구동걸쇠의 하단부에 형성된 위치고정결합치를 포함하여 상기 위치고정결합치가 상기 위치고정홈에 결합되며
상기 돌기걸쇠부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단부에 중력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외측으로 벌어지고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되며 상기 걸쇠체결홈에 착탈되고
상기 머리받침부의 양측에는 제1상단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깨걸이부에는 상기 제1상단탈착부와 착탈되는 제2상단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받침부의 외측면에 하단에는 제1버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외측면 상단에는 상기 제1버튼부와 탈착되는 제2버튼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버튼부와 상기 제2버튼부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머리받침부는 상기 커버부에서 70도 이상의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는 복수 개의 절개부가 형성된 외측커버, 상기 절개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간커버 및 상기 외측커버의 양단부를 결합되도록 하는 내측커버를 포함하는 확장주름부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가 확장 됨에 따라 상기 중간커버와 상기 내측커버가 폭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어깨 끈이 착탈되는 아기 띠.A belt part provided with a second detachable part extending at both end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detachable part at one end and the first detachable part at the other end;
A cover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elt portion, a shoulder portion having a first buckl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 second buckle portion fixed to the first buckle portion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ver portion, it is rotat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ver portion, and includes a headrest portion formed with a stepped recessed groove on the inner side,
The second buckle portion is formed of a protrusion including a magnet that is connected to the magnet or a magnet that forms a magnetic field therein and has at least one latch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otruding circularly on the outer surface,
The first buckle portion,
A housing having an elastic member which is perforated on a lower surface and has a hole for allowing the protrusion to be inserted therein and a displacement is gene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 flat shape protrudes in a circular shap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teel or magnet is formed therein to form a protrusion to contact the protrusion entering through the hole, and a position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located. Sliding movement bar including a fixing groove, the sliding movement in one direction after the sliding movement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raps the outer side of the protrusion and a part is fastened to the position fixing groove and is connected to the sliding movement bar and includes a protrusion latch portion formed in a shape bent a portion of the upper end,
The protrusion latch portion includes a position fixing coupling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iving latch and the driving latch, the position fixing coupling is coupled to the position fixing groove.
The protrusion latch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and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t opens outward and is restored when the pressure applied is removed and is detached from the latching groove.
First and second upper and lower detachable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eadrest portion, and the should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upper detachable portion detachable from the first upper detachable portion,
A first button part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headrest part, and a second button part detachable from the first button part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cover part, and the first button part and the second button part are connected. When the headrest portion forms an angle of 70 degrees or more from the cover portion,
The cover part is formed of an extension cover including an outer cover having a plurality of cutouts, an intermediate cover coupled to connect both ends of the cutout, and an inner cover to couple both ends of the outer cover, and as the cutout expands, To allow the middle cover and the inner cover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Baby strap with removable shoulder strap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4016A KR102072217B1 (en) | 2018-06-27 | 2018-06-27 | Baby Carrier Having Desorption Able Shoulder Stra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4016A KR102072217B1 (en) | 2018-06-27 | 2018-06-27 | Baby Carrier Having Desorption Able Shoulder Stra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271A KR20200001271A (en) | 2020-01-06 |
KR102072217B1 true KR102072217B1 (en) | 2020-01-31 |
Family
ID=6915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4016A Expired - Fee Related KR102072217B1 (en) | 2018-06-27 | 2018-06-27 | Baby Carrier Having Desorption Able Shoulder Stra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221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40444B2 (en) * | 2016-08-26 | 2022-09-13 | Bean Ventures LLC | Baby carrier |
KR102297120B1 (en) | 2020-09-17 | 2021-09-01 | 채병식 | structure of rotary type infant hip seat |
CN115670180B (en) * | 2021-07-21 | 2025-04-01 |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 Baby carri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98227A1 (en) * | 2009-01-23 | 2011-12-08 | Fidlock Gmbh | Closure Device for Connecting Two Part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6391Y1 (en) | 2009-05-27 | 2011-10-28 | 정영호 | Portable infant carrying band |
KR20170001863U (en) * | 2017-03-24 | 2017-05-29 | 김경환 | Baby carrier |
-
2018
- 2018-06-27 KR KR1020180074016A patent/KR10207221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98227A1 (en) * | 2009-01-23 | 2011-12-08 | Fidlock Gmbh | Closure Device for Connecting Two Par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271A (en) | 2020-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66162B1 (en) | Adjustable child carriers | |
JP3210531U (en) | Hip seat carrier set | |
JP3856625B2 (en) | Face-to-face and forward-looking baby carrier | |
CN101044945B (en) | Baby carrier | |
JP6271137B2 (en) | Lullaby | |
KR102072217B1 (en) | Baby Carrier Having Desorption Able Shoulder Strap | |
JP2002105713A (en) | Baby carrier | |
WO2004093608A1 (en) | Seat for childcare equipment | |
WO2005009177A1 (en) | Shoulder belt, and baby band with the shoulder belt | |
JP4874613B2 (en) | Baby sling | |
JP2005131146A (en) | Baby carrier | |
KR200320194Y1 (en) | Quilt for little children | |
JP3145902U (en) | Infant carrier | |
JP3127392U (en) | Baby carrier | |
JP2003010010A (en) | Baby carrier serving for both holding baby face to face and holding baby facing front | |
JP3131283U (en) | Baby carrier | |
JP2000070079A (en) | Nursing belt | |
JPH09135752A (en) | Infant holder | |
JP3130455B2 (en) | Baby holding equipment | |
US20230097626A1 (en) | Harness for baby | |
JPH0515251Y2 (en) | ||
JP3117154U (en) | Baby carrier | |
JP6281995B1 (en) | A hug with a bag function | |
KR20210097783A (en) | baby carrier | |
KR200483267Y1 (en) | baby carrier for maintain 'M' pos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