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527B1 - Memory device performing multiple core accesses with bank group - Google Patents
Memory device performing multiple core accesses with bank grou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1527B1 KR102071527B1 KR1020130028049A KR20130028049A KR102071527B1 KR 102071527 B1 KR102071527 B1 KR 102071527B1 KR 1020130028049 A KR1020130028049 A KR 1020130028049A KR 20130028049 A KR20130028049 A KR 20130028049A KR 102071527 B1 KR102071527 B1 KR 1020715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bank group
- memory device
- bank
- multiplex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Data output latch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6—Output synchroniza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2—Group selection circuits, e.g. for memory block selection, chip selection, array selec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72—Latency related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Abstract
복수의 뱅크 그룹에 멀티 코어 억세스를 하는 메모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트 길이(burst length)가 b(b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커맨드(command)당 k(k는 2 이상 b 이하의 정수)번 코어 억세스(core access)를 하며, 커맨드를 수신하는 메모리 장치는, 복수의 뱅크 그룹을 포함하는 메모리셀 어레이, 각각의 뱅크 그룹마다 구비되며, 상응하는 뱅크 그룹의 독출 데이터 중 일부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멀티플렉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뱅크 그룹의 독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는 동일한 시간 길이를 갖는다.A memory device for performing multi-core access to a plurality of bank groups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urst length is b (b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nd k (k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or less) core accesses per command, The memory device for receiving a command may include a memory cell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bank groups, and a plurality of bank groups provided for each bank group and generating a multiplexer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some of read data of a corresponding bank group. A control unit, and a multiplexer for sequentially outputting the read data of the plurality of bank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multiplexe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bank group control unit. Each data included in the output data of the multiplexer has the same length of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뱅크 그룹에 멀티 코어 억세스를 하는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버스트 길이를 구현하기 위해 뱅크 그룹의 입출력 데이터를 제어하는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ory device for multi-core access to a plurality of bank group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data of the bank group to implement any burst length.
메모리 속도(Memory speed)의 증가에 따라 총 대역폭(total BW)는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코어 억세스 속도(core access speed)를 줄이기 위하여 뱅크 그룹의 채용이 늘고 있다. As memory speeds increase, the adoption of bank groups is increasing to reduce core access speeds while keeping the total bandwidth equal.
그러나 멀티 메모리 코어 엑세스(multiple memory core access)를 하는 메모리 장치에서 뱅크 그룹을 하면, 표준(spec)에 지정된 임의의 버스트 길이(n burst length)를 구현할 수 없다. 즉, 예를 들어 2bit 프리-페치(pre-fetch) 구조의 메모리 코어에서 버스트 길이가 2인 경우 뱅크 그룹을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나, 버스트 길이가 4인 경우 뱅크 그룹을 이용할 수 없다.However, when banking in a memory device with multiple memory core accesses, it is not possible to implement any burst length specified in the spec.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burst length is 2 in the memory core of the 2-bit pre-fetch structure, the bank group may be implemented. However, when the burst length is 4, the bank group cannot be used.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뱅크 그룹의 입출력 데이터를 제어하여 임의의 버스트 길이를 구현하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mory device that implements an arbitrary burst length by controlling input / output data of a bank grou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트 길이(burst length)가 b(b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커맨드(command)당 k(k는 2 이상 b 이하의 정수)번 코어 억세스(core access)를 하며, 커맨드를 수신하는 메모리 장치는, 복수의(2 이상) 뱅크 그룹을 포함하는 메모리셀 어레이; 각각의 뱅크 그룹마다 구비되며, 상응하는 뱅크 그룹의 독출 데이터 중 일부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멀티플렉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뱅크 그룹의 독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는 동일한 시간 길이를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rst length is b (b is an integer of 2 or more), and k (k is an integer of 2 or more and b or less) core accesses per command. The memory device for receiving a command includes: a memory cell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bank groups; A plurality of bank group controllers provided for each bank group and generating a multiplexer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some of read data of a corresponding bank group; And a multiplexer for sequentially outputting read data of the plurality of bank groups according to the multiplexe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bank group controllers, wherein each data included in the output data of the multiplexer has the same length of time. Has
상기 멀티플렉서 제어신호는 상기 독출 데이터 중 1번째 억세스와 2번째 억세스에 의한 독출 데이터가 연결되는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The multiplexer control signal may select a portion of the read data to which read data by a first access and a second access are connected.
상기 멀티플렉서 제어신호는 상기 독출 데이터에 동기가 맞춰지고, 상기 메모리 장치는 상기 독출 데이터에서 1번째 억세스에 의한 독출 데이터를 지연시킨 지연 데이터를 상기 멀티플렉서로 출력하는 제3 래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plexer control signal may be synchronized with the read data, and the memor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latch configured to output delay data, which delays read data by a first access, from the read data to the multiplexer.
이때 b=k*n이고, 상기 n은 상기 뱅크 그룹의 수일 수 있다.In this case, b = k * n, and n may be the number of bank groups.
상기 메모리 장치는 모드 레지스터(mode regis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레지스터는 상기 n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The memor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ode register, and the mode register may set the value of n.
이때 tCCDL=4이고, tCCDS=2일 수 있다.At this time, tCCDL = 4 and tCCDS = 2.
상기 메모리 장치는 상기 커맨드와 메모리 기입(write)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기입 데이터 중 상응하는 뱅크 그룹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가 연속하여 이어지고 동일한 시간 길이(time space)를 갖도록 조정한 뱅크그룹 기입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상응하는 뱅크 그룹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memory device receives the command and memory write data, and the plurality of bank group controllers receive data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bank group among the memory write data, and include each of the data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The bank group write data can be generated so that the data is continuously connected and have the same time space, and output to the corresponding bank group.
상기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 각각은 상기 커맨드 중 상응하는 뱅크 그룹에 해당하는 커맨드를 선택하고 코어 억세스 횟수만큼 중복하여 상기 상응하는 뱅크 그룹의 내부 커맨드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 커맨드의 동작 지시에 상응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래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bank group controllers selects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bank group among the commands, generates an internal command of the corresponding bank group by overlapping the number of core accesses, and generates a pulse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command of the internal command. It may include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latch control signal including a.
상기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 각각은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래치하여 상기 수신한 데이터 간의 갭(gap)을 없애 출력하는 제1 래치; 및 상기 래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래치의 출력 데이터를 래치하여, 상기 출력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가 동일한 시간 길이를 갖는 뱅크그룹 기입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래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bank group controllers may include: a first latch configured to latch the received data so as to eliminate a gap between the received data; And a second latch configured to latch output data of the first latch according to the latch control signal to generate bank group write data in which each data included in the output data has the same length of tim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트 길이(burst length)가 b(b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커맨드(command; CMD)당 k(k는 2 이상 b 이하의 정수)번 코어 억세스(core access)를 하며, 커맨드와 메모리 기입(write)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모리 장치는 복수(2 이상)의 뱅크 그룹을 포함하는 메모리셀 어레이; 및 각각의 뱅크 그룹마다 구비되며, 상기 메모리 기입 데이터 중 상응하는 뱅크 그룹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가 연속하여 이어지고 동일한 시간 길이(time space)를 갖도록 조정한 뱅크그룹 기입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상응하는 뱅크 그룹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rst length is b (b is an integer of 2 or more), and k (k is an integer of 2 or more and b or less) core accesses per command (CMD). And a memory device for receiving commands and memory write data, the memory cell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bank groups; And each bank group, and receives data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bank group among the memory write data, and adjusts each data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to be continuous and have the same time space. And a plurality of bank group controllers for generating one bank group write data and outputting the bank group write data to the corresponding bank group.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 각각은 상기 커맨드 중 상응하는 뱅크 그룹에 해당하는 커맨드를 선택하고 코어 억세스 횟수만큼 중복하여 상기 상응하는 뱅크 그룹의 내부 커맨드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 커맨드의 동작 지시에 상응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래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bank group controllers selects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bank group among the commands, generates an internal command of the corresponding bank group by overlapping the number of core accesses, and generates a pulse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command of the internal command. It may include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latch control signal comprising.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 각각은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래치하여 상기 수신한 데이터 간의 갭(gap)을 없애 출력하는 제1 래치; 및 상기 래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래치의 출력 데이터를 래치하여, 상기 출력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가 동일한 시간 길이를 갖는 뱅크그룹 기입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래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bank group controllers may include: a first latch configured to latch the received data so as to eliminate a gap between the received data; And a second latch configured to latch output data of the first latch according to the latch control signal to generate bank group write data in which each data included in the output data has the same length of time.
이때 b=k*n이고, 상기 n은 상기 뱅크 그룹의 수일 수 있다.In this case, b = k * n, and n may be the number of bank groups.
상기 메모리 장치는 모드 레지스터(mode regis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레지스터는 상기 n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The memor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ode register, and the mode register may set the value of n.
이때 tCCDL=4이고, tCCDS=2일 수 있다.At this time, tCCDL = 4 and tCCDS =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에 의하면, 임의의 버스트 길이를 구현하면서도 뱅크 그룹을 이용할 수 있어, 메모리 장치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nk group can be used while implementing an arbitrary burst length, thereby improving the speed of the memor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뱅크그룹 제어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데이터 처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입 동작시의 타이밍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버스트 길이가 4이고 코어 억세스를 2회 하는 기입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a는 뱅크 그룹이 없는 경우로서, tCCD=2이다.
도 6b는 뱅크 그룹을 이용하고 tCCD=4인 경우이다.
도 6c는 뱅크 그룹을 이용하고, tCCDL=4이며, tCCDS=1, 3인 경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출 동작시의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출 동작시의 타이밍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버스트 길이가 4이고 코어 억세스를 2회 하는 독출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9a는 뱅크 그룹이 없는 경우(non BG)로서, tCCD=2이다.
도 9b는 뱅크 그룹을 이용하고 tCCD=4인 경우이다.
도 9c는 뱅크 그룹을 이용하고, tCCDL=4이며, tCCDS=1, 3인 경우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입 경로를 나타낸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출 경로를 나타낸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first bank group controller illustrated in FIG. 2.
4 is a block diagram of an input / output dat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iming diagram during a writ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write operation in which the burst length is 4 and the core accesses twice.
6A shows that there is no bank group, and tCCD = 2.
6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bank group is used and tCCD = 4.
6C shows a case where tCCDL = 4 and tCCDS = 1, 3 using a bank group.
7 is a timing diagram during a rea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iming diagram during a read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read operation in which the burst length is 4 and the core accesses twice.
9A shows the case where there is no bank group (non BG), where tCCD = 2.
9B illustrates a case where a bank group is used and tCCD = 4.
9C shows a case where tCCDL = 4 and tCCDS = 1, 3 using a bank group.
10A illustrates a layout showing a write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B illustrates a layout showing a read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1.
12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1.
FIG. 13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1.
FIG. 14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1.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only. I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forms, so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s disclosed, and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the first component may be call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that is described,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100)는 커맨드/어드레스 수신부(110), 커맨드/어드레스 디코더(120), 메모리셀 어레이(130), 기입/독출 회로(140), 입출력 데이터 처리부(150) 및 데이터 입출력부(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커맨드/어드레스 수신부(110)는 복수의 제어 신호(/CS, /WE, /CAS, /RAS) 및 어드레스 신호(A0~A12, BA0~BA3)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맨드/어드레스 수신부(110)는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 클럭 신호(CK) 및 반전 클럭 신호(/CK)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and /
커맨드/어드레스 디코더(120)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CS, /WE, /CAS, /RAS) 및 어드레스 신호(A0~A12, BA0~BA3)를 디코딩하고, 디코딩한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셀 어레이(130)에 억세스할 수 있다. 커맨드/어드레스 디코더(120)는 모드 레지스터(mode register; MRS, 121)를 포함하여, 뱅크 그룹의 사용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mmand /
메모리셀 어레이(130)는 제1 뱅크 그룹(131)과 제2 뱅크 그룹(1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2개의 뱅크 그룹만 도시되었으나, 뱅크 그룹은 2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The
기입/독출 회로(140)는 제1 뱅크 그룹(131) 및 제2 뱅크 그룹(133) 내의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상기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의 검증 독출(verify read), 또는 독출(read)을 할 수 있다. The write /
입출력 데이터 처리부(150)는 커맨드/어드레스 디코더(120)로부터 커맨드(command; CMD)를 수신한다. 입출력 데이터 처리부(150)는 커맨드(CMD)에 기초하여 기입 동작시에는 입출력 회로(160)로부터 수신한 기입 데이터의 타이밍을 조정하여 기입/독출 회로(140)로 출력하고, 독출 동작시에는 기입/독출 회로(140)로부터 수신한 출력 데이터의 타이밍을 조정하여 입출력 회로(160)로 출력한다. 입출력 데이터 처리부(15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 2 및 도 3에서 후술한다.The input /
입출력 회로(160)는 입출력 데이터 처리부(150)에 데이터(DQ)를 제공하거나 입출력 데이터 처리부(150)로부터 데이터(DQ)를 제공받아 외부로 제공한다.The input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기입/독출 회로(140)는 각각 제1 뱅크 그룹(131) 및 제2 뱅크 그룹(133)에 상응하는 제1 기입/독출 회로(141) 및 제2 기입/독출 회로(143)를 포함한다. 입출력 데이터 처리부(150)는 제1 뱅크그룹 제어부(170), 제2 뱅크그룹 제어부(180) 및 멀티플렉서(19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write /
제1 뱅크그룹 제어부(170) 및 제2 뱅크그룹 제어부(180)는 각각의 뱅크 그룹(131, 133)마다 각각 배치되어, 커맨드/어드레스 디코더(120)로부터 커맨드(CMD)를 수신한다. 제1 뱅크그룹 제어부(170) 및 제2 뱅크그룹 제어부(180)는 기입 동작시에는 입출력 회로(160)를 통해 제1 기입 데이터(DATA_A) 및 제2 기입 데이터(DATA_B)를 수신하고, 커맨드(CMD)에 기초하여 수신한 기입 데이터(DATA_A, DATA_B)의 타이밍을 조정하여 뱅크그룹 기입 데이터(DATA_A_2, DATA_B_2)를 생성하여, 각각 상응하는 제1 기입/독출 회로(141) 또는 제2 기입/독출 회로(143)로 출력한다. 제1 뱅크그룹 제어부(170) 및 제2 뱅크그룹 제어부(180)는 독출 동작시에는 커맨드(CMD)에 기초하여 제1 멀티플렉서 제어신호(EN_A) 및 제2 멀티플렉서 제어신호(EN_B)를 각각 생성하여 멀티플렉서(195)로 출력한다.The first
멀티플렉서(195)는 독출 동작시 제1 기입/독출 회로(141) 및 제2 기입/독출 회로(143)로부터 제1 독출 데이터(SA_A) 및 제2 독출 데이터(SA_B)를 수신한다. 멀티플렉서(195)는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170, 180)로부터 수신한 멀티플렉서 제어신호(EN_A, EN_B)에 따라, 제1 독출 데이터(SA_A) 및 제2 독출 데이터(SA_B)를 순차적으로 선택한 선택 데이터(MUX_OUT)를 입출력 회로(160)로 출력한다.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뱅크그룹 제어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first bank group controller illustrated in FIG. 2.
도 3을 참조하면, 제1 뱅크그룹 제어부(170)는 기입/독출 제어부(171), 제1 래치(173) 및 제2 래치(17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기입/독출 제어부(171)는 커맨드(CMD)를 수신하고, 기입 동작시 커맨드(CMD)에 기초하여 래치 제어신호(2nd_En_A)를 생성하여 제2 래치(175)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기입/독출 제어부(171)는 독출 동작시에는 커맨드(CMD)에 기초하여 제1 멀티플렉서 제어신호(EN_A)를 생성하여 멀티플렉서(195)로 출력할 수 있다.The write /
제1 래치(173)는 제1 기입 데이터(DATA_A)를 수신하고 클락(CLK)에 따라 래치하여, 제1 기입 데이터(DATA_A) 내의 갭(gap)을 없앤 제1 래치 데이터(DATA_A_1)를 생성하여 제2 래치(175)로 출력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제1 래치(173)는 클락(CLK) 대신 기입/독출 제어부(171)로부터 제1 래치 제어 신호(1st_EN_A)를 수신하고 제1 래치 제어 신호(1st_EN_A)에 따라 제1 기입 데이터(DATA_A)를 래치할 수도 있다.The
제2 래치(175)는 제1 래치 데이터(DATA_A_1)를 래치 제어신호(2nd_En_A)에 따라 래치하여, 제1 래치 데이터(DATA_A_1)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가 동일한 시간 길이(time space)를 갖도록 조정하여 뱅크그룹 기입 데이터(DATA_A_2)를 생성하고 제1 기입/독출 회로(141)로 출력한다. 제1 래치(173) 및 제2 래치(175)의 상세한 동작에 관하여는 도 5에서 후술한다.The
한편, 제2 뱅크그룹 제어부(180) 또한 제1 뱅크그룹 제어부(170)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데이터 처리부의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n input / output dat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입출력 데이터 처리부(150')는 도 2에 도시된 입출력 데이터 처리부(150)에 비하여 제3 래치(191)를 더 포함한다. 제3 래치(191)는 각각의 뱅크 그룹에 상응하는 제1 독출 래치(192) 및 제2 독출 래치(1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래치(191)는 제1 독출 데이터(SA_A) 및 제2 독출 데이터(SA_B)를 수신하고, 상기 독출 데이터(SA_A, SA_B)에서 1번째 억세스에 의한 독출 데이터를 지연시켜 상기 멀티플렉서(195)로 출력한다. 상기 입출력 데이터 처리부(150')의 상세한 동작에 관하여는 도 8에서 후술한다.Referring to FIG. 4, the input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입 동작시의 타이밍도이다. 5 is a timing diagram during a writ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2개의 뱅크 그룹을 이용하고, tCCDL=4이며, tCCDS=2인 경우에 대한 도면이다. tCCD(Column address to Column address Delay)는 컬럼 어드레스가 인가된 후 다음 컬럼 어드레스가 인가되기까지 지연되는 시간이다. tCCDL은 선택된 뱅크 그룹 액세스 후 동일 뱅크 그룹을 액세스하기까지 지연되는 시간이며, tCCDS는 선택된 뱅크 그룹 액세스 후 다른 뱅크 그룹을 액세스하기까지 지연되는 시간이다. 5 is a diagram for the case where two bank groups are used, tCCDL = 4, and tCCDS = 2. The column address to column address delay (tCCD) is a time delay after the column address is applied until the next column address is applied. tCCDL is a time delay for accessing the same bank group after accessing the selected bank group, and tCCDS is time delay for accessing another bank group after accessing the selected bank group.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모드 레지스터에 설정되는 뱅크 그룹의 수 및 tCCDL, tCCDS의 값은 외부 커맨드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number of bank groups set in the mode register and the values of tCCDL and tCCDS can be changed by external commands.
버스트 길이(burst length)는 커맨드(command; CMD)당 코어 억세스(core access) 횟수에 뱅크 그룹의 수를 곱한 값일 수 있다. 즉, 버스트 길이를 b(2 이상의 정수), 커맨드당 코어 억세스 횟수를 k(2 이상 b 이하의 정수), 뱅크 그룹의 수를 n(2 이상의 정수)라 하면, b=k*n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버스트 길이 4를 지원하기 위해, 뱅크 그룹의 수는 2로 결정되고, 커맨드당 코어 억세스 횟수 또한 2로 결정될 수 있다.The burst length may be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bank groups by the number of core accesses per command (CMD). That is, if the burst length is b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the number of core accesses per command is k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nd the number of bank groups is n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then b = k * n. . In FIG. 5, to support burst length 4, the number of bank groups may be determined as 2, and the number of core accesses per command may also be determined as 2.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뱅크그룹 제어부(170) 및 제2 뱅크그룹 제어부(180)는 커맨드/어드레스 디코더(120)로부터 커맨드(CMD)를 수신한다. 커맨드(CMD)는 제1 뱅크 그룹 및 제2 뱅크 그룹에 상응하는 각각의 커맨드(WR A, WR B)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1 뱅크그룹(131)의 기입 데이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며, 제1 뱅크그룹(131)과 제2 뱅크그룹(133)의 기입 데이터의 제어 방법은 동일하다. 2, 3, and 5, the first
기입/독출 제어부(171)는 커맨드(CMD) 중 제1 뱅크 그룹에 상응하는 커맨드(WR A)를 선택하고 코어 억세스 횟수만큼 중복하여 제1 내부 커맨드(CMD_A_i)를 생성한다. 기입/독출 제어부(171)는 제1 내부 커맨드(CMD_A_i)에 기초하여, 제1 내부 커맨드(CMD_A_i)의 동작 지시(WR A, WR A')에 상응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래치 제어신호(2nd_En_A)를 생성하고 제2 래치(175)로 출력한다.The write /
기입 데이터(DQ)는 제1 뱅크그룹 및 제2 뱅크그룹에 대한 기입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다. 입출력 회로(160)는 기입 데이터(DQ) 중 제1 뱅크그룹에 대한 기입 데이터(WR DATA A, WR DATA A')만 선택하여 제1 기입 데이터(DATA_A)를 생성하고 제1 뱅크그룹(131)에 상응하는 제1 뱅크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The write data DQ includes both write data for the first bank group and the second bank group. The input /
제1 래치(173)는 제1 기입 데이터(DATA_A)를 수신하고 클락 신호(CLK)에 따라 래치하여, 제1 기입 데이터(DATA_A)의 각각의 데이터 간의 갭(gap)을 없앤 제1 래치 데이터(DATA_A_1)를 생성하고 제2 래치(175)로 출력할 수 있다. The
제2 래치(175)는 제1 래치 데이터(DATA_A_1)를 래치 제어신호(2nd_En_A)에 따라 래치하여, 각각의 데이터(210, 220, 230, 240, ...)가 동일한 시간 길이를 갖도록 조정한 뱅크그룹 기입 데이터(DATA_A_2)를 생성하여 제1 기입/독출 회로(141)로 출력한다.The
제1 기입/독출 회로(141)는 제2 래치(175)에서 출력된 뱅크그룹 기입 데이터(DATA_A_2)를 수신하여, 제1 뱅크그룹(131)으로 출력한다. 이때, 뱅크그룹 기입 데이터(DATA_A_2)의 기입 속도는 기입 데이터(DQ)의 속도의 1/2이므로, 코어 억세스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first write /
도 6은 종래의 버스트 길이가 4이고 코어 억세스를 2회 하는 기입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a는 뱅크 그룹이 없는 경우(non BG)로서, tCCD=2이다. 도 6b는 뱅크 그룹을 이용하고 tCCD=4인 경우이다. 도 6c는 뱅크 그룹을 이용하고, tCCDL=4이며, tCCDS=1, 3인 경우이다. Fig. 6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write operation in which the burst length is 4 and the core accesses twice. 6A shows the case where there is no bank group (non BG), where tCCD = 2. 6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bank group is used and tCCD = 4. 6C shows a case where tCCDL = 4 and tCCDS = 1, 3 using a bank group.
도 6a를 참조하면, tCCD=2이므로 기입 커맨드(WR A, WR B)는 클럭신호(CLK)의 2 클럭 사이클만큼의 간격을 가지고 인가될 수 있다. 뱅크 그룹이 없는 경우에는 코어 억세스를 2회 하더라도 기입 데이터(DQ)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뱅크 그룹을 이용하지 않아 코어 억세스 속도를 줄일 수 없다.Referring to FIG. 6A, since tCCD = 2, the write commands WR A and WR B may be applied at intervals of two clock cycles of the clock signal CLK. If there is no bank group, no problem occurs in the write data DQ even if the core access is performed twice.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reduce the core access speed because no bank group is used.
도 6b를 참조하면, 뱅크 그룹을 이용하여 tCCD=2에서 4로 변경할 경우, 기입 커맨드는 클럭 신호의 4 클럭 사이클만큼의 간격을 두고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입 데이터의 중간에 버블(250-1~250~4)이 발생한다.Referring to FIG. 6B, when changing from tCCD = 2 to 4 using the bank group, the write command may be input at intervals of four clock cycles of the clock signal. In this case, bubbles 250-1 to 250-4 occur in the middle of the write data.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버블을 없애기 위해 tCCDL=4, tCCDS=1, 3으로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서로 다른 뱅크 그룹 간에 데이터가 인터리브(interleaved)되어 나오므로 사용이 까다로우며, 사용자가 인터리브된 데이터의 사용을 위해 앞 데이터를 저장했다 다시 묶는 오버헤드(overhead)가 있다. Referring to FIG. 6C, tCCDL = 4 and tCCDS = 1 and 3 may be designated to eliminate the bubble. However, in this case, data is interleaved between different bank groups, so it is difficult to use, and there is an overhead in which the user stores and regroups the previous data for use of the interleaved data.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출 동작시의 타이밍도이다.7 is a timing diagram during a rea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뱅크그룹 제어부(170) 내의 기입/독출 제어부(171)는 커맨드(CMD)에 기초하여 제1 내부 커맨드(CMD_A_i)를 생성한다. 내부 커맨드(CMD_A_i)는 커맨드(CMD)의 동작(RD A)을 중복한 2개의 커맨드(RD A, RD A')를 포함하며, 먹스 인에이블(MUX_EN) 커맨드를 더 포함한다. 먹스 인에이블(MUX_EN) 커맨드는 클럭신호(CLK)의 2 클럭 사이클만큼의 길이로 주기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기입/독출 제어부(171)는 먹스 인에이블(MUX_EN) 커맨드에 기초하여 제1 멀티플렉서 제어신호(EN_A)를 생성하고 멀티플렉서(195)로 출력한다.2, 3, and 7, the write /
한편, 제2 뱅크그룹 제어부(180) 내의 기입/독출 제어부 또한 제1 뱅크그룹 제어부(170) 내의 기입/독출 제어부(171)와 같이 동작하여 제2 내부 커맨드(CMD_B_i) 및 제2 멀티플렉서 제어신호(EN_B)를 생성한다.Meanwhile, the write / read controller in the second
제1 내부 커맨드(CMD_A_i) 및 제2 내부 커맨드(CMD_B_i)에 따라, 제1 뱅크 그룹(131) 및 제2 뱅크 그룹(133)에서 데이터가 독출된다. 각각의 독출 데이터(SA_A, SA_B)는 기입/독출 회로(140)를 통해 멀티플렉서(195)에 입력된다. According to the first internal command CMD_A_i and the second internal command CMD_B_i, data is read from the
멀티플렉서(195)는 멀티플렉서 제어신호(EN_A, EN_B)에 따라, 독출 데이터(SA_A, SA_B)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멀티플렉서(195)는 제1 멀티플렉서 제어신호(EN_A)에 따라, 제1 독출 데이터(SA_A)의 첫 번째 억세스 데이터(310)의 뒷 부분 절반과 두 번째 억세스 데이터(320)의 앞 부분 절반을 선택한다. 첫 번째 억세스 데이터(310)와 두 번째 억세스 데이터(320)에서 각각 선택되는 부분의 길이는 같다. 멀티플렉서(195)는 같은 방법으로 제2 독출 데이터(SA_B)에서도 데이터를 선택하여 선택 데이터(MUX_OUT)를 생성하고 입출력 회로(160)로 출력한다. 따라서 선택 데이터(MUX_OUT)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는 동일한 시간 길이를 갖고, 데이터 간의 갭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Th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출 동작시의 타이밍도이다.8 is a timing diagram during a read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3 래치(191)는 제1 뱅크그룹 제어부(170) 및 제2 뱅크그룹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되어, 독출 데이터(SA_A, SA_B)의 첫 번째 억세스 데이터(310)를 지연시킨 지연 데이터(SA_A', SA_B')를 생성하여 멀티플렉서(195)로 출력한다. 이때 첫 번째 억세스 데이터(310)가 지연되는 길이는 두 번째 억세스 데이터(320)의 길이와 동일하다. 도 8에서는 첫 번째 억세스 데이터(310)를 지연시킨 지연 데이터(SA_A', SA_B')를 도시하였으나, 두 번째 억세스 데이터(320)를 지연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4 and 8, the
멀티플렉서 제어신호(EN_A, EN_B)는 독출 데이터(SA_A, SA_B)에 동기가 맞춰진다. 멀티플렉서(195)는 멀티플렉서 제어신호(EN_A, EN_B)에 따라, 지연 데이터(SA_A', SA_B')를 순차적으로 선택한 선택 데이터(MUX_OUT)를 입출력 회로(160)로 출력한다. 따라서 첫 번째 억세스 데이터(310)와 두 번째 억세스 데이터(320) 중 선택되는 부분의 길이는 같으므로, 선택 데이터(MUX_OUT)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는 동일한 시간 길이를 갖는다.The multiplexer control signals EN_A and EN_B are synchronized with the read data SA_A and SA_B. The
도 9는 종래의 버스트 길이가 4이고 코어 억세스를 2회 하는 독출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9a는 뱅크 그룹이 없는 경우(non BG)로서, tCCD=2이다. 도 9b는 뱅크 그룹을 이용하고 tCCD=4인 경우이다. 도 9c는 뱅크 그룹을 이용하고, tCCDL=4이며, tCCDS=1, 3인 경우이다.9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read operation in which the burst length is 4 and the core accesses twice. 9A shows the case where there is no bank group (non BG), where tCCD = 2. 9B illustrates a case where a bank group is used and tCCD = 4. 9C shows a case where tCCDL = 4 and tCCDS = 1, 3 using a bank group.
도 9a, 도 9b 및 도 9c 각각의 경우, 독출 동작의 경우에도 기입 동작에 관한 도 6a, 도 6b 및 도 6c의 경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In each of FIGS. 9A, 9B, and 9C, the same problem as that in the case of FIGS. 6A, 6B, and 6C relating to the write operation also occurs in the read operation.
즉, 도 9a를 참조하면, 뱅크 그룹을 이용하지 않아 코어 억세스 속도를 줄일 수 없다. That is, referring to FIG. 9A, the core access speed cannot be reduced by not using a bank group.
도 9b를 참조하면, 뱅크 그룹을 이용하여 tCCD=2에서 4로 변경할 경우, 독출 커맨드(CMD)는 클럭 신호의 4 클럭 사이클만큼의 간격을 두고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독출 데이터의 중간에 버블(250-1~250~4)이 발생한다.Referring to FIG. 9B, when changing from tCCD = 2 to 4 using the bank group, the read command CMD may be input at intervals of four clock cycles of the clock signal. In this case, bubbles 250-1 to 250-4 are generated in the middle of the read data.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버블(250-1~250~4)을 없애기 위해 tCCDL=4, tCCDS=1, 3으로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서로 다른 뱅크 그룹 간에 데이터가 인터리브(interleaved)되어 나오므로 사용이 까다로우며, 사용자가 인터리브된 데이터의 사용을 위해 앞 데이터를 저장했다 다시 묶는 오버헤드(overhead)가 있다.Referring to FIG. 9C, tCCDL = 4 and tCCDS = 1 and 3 may be set to eliminate the bubbles 250-1 to 250-4. However, in this case, data is interleaved between different bank groups, so it is difficult to use, and there is an overhead in which the user stores and regroups the previous data for use of the interleaved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메모리 장치의 속도가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bove problem does not occur, the speed of the memory device is improved.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입 경로를 나타낸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10A illustrates a layout showing a write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10a를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100a)의 데이터 입출력부(160)는 복수의 입출력 단자(160-1, 160-2) 각각으로부터 기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2 and 10A, the data input /
메모리 셀 어레이(130)는 각 입출력 단자(160-1, 160-2)에 상응하는 복수의 뱅크 그룹(131, 133, 135, 13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에서, 제1 뱅크 그룹(131) 및 제2 뱅크 그룹(133)이 제1 입출력 단자(160-1)에 상응하며, 제3 뱅크 그룹(135) 및 제4 뱅크 그룹(137)이 제2 입출력 단자(160-2)에 상응한다. 제1 뱅크 그룹(131) 및 제2 뱅크 그룹(133)의 구성은 제3 뱅크 그룹(135) 및 제4 뱅크 그룹(137)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뱅크 그룹(131) 및 제2 뱅크 그룹(133)에 대하여만 설명한다.The
각 뱅크 그룹(131, 133)은 복수의 메모리 블록(1311~1317, 1331~1337)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뱅크 그룹(131)은 복수의 메모리 블록(1311, 1313, 1315, 1317)을 포함할 수 있다.Each
기입/독출 회로(140)는 복수의 서브 기입/독출 회로(140-1~140-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서브 기입/독출 회로(140-1~140-4)는 각 메모리 블록(1311~1317, 1331~133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write /
각 뱅크 그룹(131, 133) 내의 서브 기입/독출 회로(140-1~140-4) 사이에 각 뱅크 그룹별 제2 래치(175-1, 175-2)가 배치될 수 있다. 각 뱅크 그룹(131, 133) 내의 제2 래치(175-1, 175-2) 사이에 각 뱅크 그룹별 제1 래치(173-1, 173-2)가 배치될 수 있다. 각 뱅크 그룹별 제1 래치(173-1, 173-2)는 입출력 단자(160-1)와 연결될 수 있다.Second latches 175-1 and 175-2 for each bank group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b-write / read circuits 140-1 to 140-4 in each
입출력 단자(160-1)가 수신한 기입 데이터는 각 뱅크 그룹별 제1 래치(173-1, 173-2) 및 제2 래치(175-1, 175-2)를 통해 연속하여 이어지고 동일한 시간 길이를 갖도록 조정되어, 각 뱅크 그룹(131, 133) 내의 메모리 블록(1311~1317, 1331~1337)에 기입된다.The write data received by the input / output terminal 160-1 continues in succession through the first latches 173-1 and 173-2 and the second latches 175-1 and 175-2 for each bank group, and has the same length of time. The memory blocks 1311 to 1317 and 1331 to 1337 in the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출 경로를 나타낸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도 10b의 메모리 장치(100b)의 레이아웃은 도 10a의 메모리 장치(100a)와 일부를 제외하고 동일하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10B illustrates a layout showing a read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yout of the
도 2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멀티플렉서(195)는 뱅크 그룹(131, 133, 135, 137)이 4개인 경우, 제1 뱅크 그룹(131) 및 제2 뱅크 그룹(133)의 독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제1 입출력 단자(160-1)로 출력하는 제1 멀티플렉서(195-1) 및 제3 뱅크 그룹(135) 및 제4 뱅크 그룹(137)의 독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제2 입출력 단자(160-2)로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195-2)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10B, when the
제1 멀티플렉서(195-1)는 각 뱅크 그룹(131, 133) 내 각 서브 기입/독출 회로(140-1~140-4)의 독출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먹스(197-1, 197-2) 및 각 제1 먹스에서 선택한 독출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입출력 단자(160-1)로 출력하는 제2 먹스(19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ultiplexer 195-1 selects one of the read data of each of the sub-write / read circuits 140-1 to 140-4 in each
제2 먹스(199-1)는 상술한 도 7 또는 도 8과 같이 동작하여, 출력 데이터가 동일한 시간 길이를 갖고, 데이터 간의 갭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할 수 있다.The second mux 199-1 may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7 or FIG. 8 described above, so that the output data has the same length of time and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without a gap between the data.
도 10a와 도 10b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입 동작 및 독출 동작시에 동작하는 구성을 각각 별개의 도면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 10a 및 도 10b의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별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위치에 각 구성 모두를 배치하여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In FIG. 10A and FIG. 10B,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that operate during the write operation and the read operation are shown in separate diagrams, respectively. However, in the case where separate configurations are respectively shown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FIGS. 10A and 10B, the layout may be configured by arranging all of the configurations at the positions.
예컨대 도 10a의 제2 래치(175-1)의 위치는 도 10b의 제1 먹스(197-1)에 상응하는바, 상기 위치에 제2 래치(175-1) 및 제1 먹스(197-1) 모두를 배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second latch 175-1 of FIG. 10A corresponds to the first mux 197-1 of FIG. 10B, in which the second latch 175-1 and the first mux 197-1 are positioned. ) You can place them all.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FIG. 11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1.
도 11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400)은 이동 전화기(cellular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무선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
컴퓨터 시스템(400)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와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420)를 포함한다. 메모리 컨트롤러(420)는 호스트(410)의 제어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의 데이터 액세스 동작, 예컨대 라이트 동작 또는 리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의 데이터는 호스트(410)와 메모리 컨트롤러(42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무선 송수신기(440)는 안테나(ANT)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송수신기(440)는 안테나(ANT)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를 호스트(410)에서 처리될 수 있는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410)는 무선 송수신기(4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메모리 컨트롤러(420) 또는 디스플레이(43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420)는 호스트(410)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를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할 수 있다.Data of the
또한, 무선 송수신기(440)는 호스트(4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경하고 변경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장치(450)는 호스트(4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또는 호스트(410)에 의하여 처리될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터치 패드(touch pad)와 컴퓨터 마우스(computer mouse)와 같은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 키패드(keypad), 또는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호스트(410)는 메모리 컨트롤러(42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무선 송수신기(44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또는 입력 장치(4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4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실시 예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420)는 호스트(41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호스트(410)와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12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1.
도 1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400)은 PC(personal computer), 네트워크 서버(Network Server), 태블릿 (tablet) PC, 넷-북(net-book), e-리더(e-read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또는 MP4 플레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
컴퓨터 시스템(500)은 호스트(510),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와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의 데이터 처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520), 디스플레이(530) 및 입력 장치(540)를 포함한다.The
호스트(510)는 입력 장치(45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메모리 장치(4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장치(450)는 터치 패드 또는 컴퓨터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 키패드, 또는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510)는 컴퓨터 시스템(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 컨트롤러(5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실시 예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520)는 호스트(51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호스트(510)와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FIG. 13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1.
도 1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600)은 이미지 처리 장치(Image Process Device),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 전화기 또는 스마트 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a
컴퓨터 시스템(600)은 호스트(610),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와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의 데이터 처리 동작, 예컨대 라이트 동작 또는 리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620)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600)은 이미지 센서(630) 및 디스플레이(640)를 더 포함한다.The
컴퓨터 시스템(600)의 이미지 센서(630)는 광학 이미지를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들은 호스트(610)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620)로 전송된다. 호스트(6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들은 디스플레이(6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620)를 통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The
또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된 데이터는 호스트(610)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62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6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In addition, the data stored in the
실시 예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 (620)는 호스트(61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호스트(610)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FIG. 14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own in FIG. 1.
도 14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700)은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810)와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700)은 호스트 컴퓨터(710)와 메모리 카드(7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4, the
호스트 컴퓨터(710)는 호스트(740)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720)을 포함한다. 메모리 카드(730)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 메모리 컨트롤러(750), 및 카드 인터페이스(760)를 포함한다. 메모리 컨트롤러(750)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와 카드 인터페이스(760)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제어할 수 있다.The
실시 예에 따라, 카드 인터페이스(760)는 SD(secure digital)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메모리 카드(730)가 호스트 컴퓨터(710)에 장착되면, 카드 인터페이스(760)는 호스트(740)의 프로토콜에 따라 호스트(740)와 메모리 컨트롤러(750)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을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When the
실시 예에 따라 카드 인터페이스(76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프로토콜, IC(InterChip)-USB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인터페이스라 함은 호스트 컴퓨터(710)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하드웨어, 상기 하드웨어에 탑재된 소프트웨어, 또는 신호 전송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컴퓨터 시스템(700)이 PC,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이동 전화기, 콘솔 비디오 게임 하드웨어, 또는 디지털 셋-탑 박스와 같은 호스트 컴퓨터(710)의 호스트 인터페이스(720)와 접속될 때, 호스트 인터페이스(720)는 호스트(740)의 제어에 따라 카드 인터페이스(760)와 메모리 컨트롤러(750)를 통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does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e vibrator,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메모리 장치 110: 커맨드/어드레스 수신부
120: 커맨드/어드레스 디코더 130: 메모리셀 어레이
131: 제1 뱅크 그룹 133: 제2 뱅크 그룹
140: 기입/독출 회로 141: 제1 기입/독출 회로
143: 제2 기입/독출 회로 150: 입출력 데이터 처리부
160: 입출력 회로 170: 제1 뱅크그룹 제어부
171: 기입/독출 제어부 173: 제1 래치
175: 제2 래치
180: 제2 뱅크그룹 제어부
191: 제3 래치 195: 멀티플렉서
192: 제1 독출 래치 193: 제2 독출 래치
DATA_A: 제1 기입 데이터 DATA_B: 제2 기입 데이터
DATA_A_1: 제1 래치 데이터 DATA_A_2: 뱅크그룹 기입 데이터
EN_A: 제1 멀티플렉서 제어신호 EN_B: 제2 멀티플렉서 제어신호
SA_A: 제1 독출 데이터 SA_B: 제2 독출 데이터
2nd_En_A: 래치 제어신호 CMD: 커맨드
CMD_A_i: 제1 내부 커맨드 CMD_B_i: 제2 내부 커맨드
MUX_EN: 먹스 인에이블 신호 SA_A', SA_B': 지연 데이터
310: 첫 번째 억세스 데이터 320: 두 번째 억세스 데이터
MUX_OUT: 선택 데이터100: memory device 110: command / address receiving unit
120: command / address decoder 130: memory cell array
131: first bank group 133: second bank group
140: write / read circuit 141: first write / read circuit
143: second write / read circuit 150: input / output data processing unit
160: input and output circuit 170: first bank group control unit
171: Write / read control unit 173: First latch
175: second latch
180: second bank group control unit
191: third latch 195: multiplexer
192: first read latch 193: second read latch
DATA_A: first write data DATA_B: second write data
DATA_A_1: First latch data DATA_A_2: Bank group write data
EN_A: first multiplexer control signal EN_B: second multiplexer control signal
SA_A: first read data SA_B: second read data
2nd_En_A: Latch Control Signal CMD: Command
CMD_A_i: first internal command CMD_B_i: second internal command
MUX_EN: mux enable signal SA_A ', SA_B': delay data
310: first access data 320: second access data
MUX_OUT: selection data
Claims (10)
복수의(2 이상) 뱅크 그룹을 포함하는 메모리셀 어레이;
각각의 뱅크 그룹마다 구비되며, 상응하는 뱅크 그룹의 독출 데이터 중 일부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멀티플렉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뱅크 그룹의 독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는
동일한 시간 길이를 갖고,
상기 복수의 뱅크 그룹 중 하나의 뱅크 그룹에 대한 억세스와 상기 하나의 뱅크 그룹에 대한 다음 억세스 사이의 지연되는 시간은 4 클럭 사이클(clock cycle)이고, 상기 하나의 뱅크 그룹에 대한 억세스와 상기 하나의 뱅크 그룹과 다른 뱅크 그룹에 대한 억세스 사이의 지연되는 시간은 2 클럭 사이클인 메모리 장치.The burst length is b (b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k (k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nd less) core accesses per command, and the memory device receives a command. In
A memory cell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bank groups;
A plurality of bank group controllers provided for each bank group and generating a multiplexer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some of read data of a corresponding bank group; And
A multiplexer for sequentially outputting read data of the plurality of bank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multiplexe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bank group controllers,
Each data included in the output data of the multiplexer is
Have the same length of time,
The delay time between access to one bank group of the plurality of bank groups and next access to the one bank group is four clock cycles, access to the one bank group and the one A memory device wherein the delay between a bank group and access to another bank group is two clock cycles.
상기 독출 데이터는,
1번째 코어 억세스에 의한 제1 독출 데이터 및 2번째 코어 억세스에 의한 제2 독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멀티플렉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독출 데이터의 데이터 시퀀스 중 상기 제2 독출 데이터에 인접한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독출 데이터의 데이터 시퀀스 중 상기 제1 독출 데이터에 인접한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메모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ead data,
First read data by the first core access and second read data by the second core access,
The multiplexer
And at least a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read data among the data sequences of the first read data and at least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read data among the data sequences of the second read data according to the multiplexer control signal.
상기 독출 데이터에 동기가 맞춰지고,
상기 메모리 장치는
상기 독출 데이터에서 1번째 억세스에 의한 독출 데이터를 지연시킨 지연 데이터를 상기 멀티플렉서로 출력하는 제3 래치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ultiplexer control signal is
Synchronized with the read data,
The memory device is
And a third latch configured to output delay data, which delays read data by a first access, from the read data to the multiplexer.
b=k*n이고,
상기 n은 상기 뱅크 그룹의 수인 메모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b = k * n,
N is the number of the bank group.
모드 레지스터(mode regis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레지스터는
상기 n의 값을 설정하는 메모리 장치.The memory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memor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ode register,
The mode register is
And setting the value of n.
상기 커맨드와 메모리 기입(write)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기입 데이터 중 상응하는 뱅크 그룹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가 연속하여 이어지고 동일한 시간 길이(time space)를 갖도록 조정한 뱅크그룹 기입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상응하는 뱅크 그룹으로 출력하는 메모리 장치.The memor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device
Receive the command and memory write data,
The plurality of bank group controllers
Receiving data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bank group among the memory write data, and generating bank group write data adjusted such that each data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is continuously connected and has the same time space, And a memory device for outputting to the corresponding bank group.
복수(2 이상)의 뱅크 그룹을 포함하는 메모리셀 어레이; 및
각각의 뱅크 그룹마다 구비되며, 상기 메모리 기입 데이터 중 상응하는 뱅크 그룹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가 연속하여 이어지고 동일한 시간 길이(time space)를 갖도록 조정한 뱅크그룹 기입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상응하는 뱅크 그룹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뱅크 그룹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뱅크 그룹 중 하나의 뱅크 그룹에 대한 억세스와 상기 하나의 뱅크 그룹에 대한 다음 억세스 사이의 지연되는 시간은 4 클럭 사이클(clock cycle)이고, 상기 하나의 뱅크 그룹에 대한 억세스와 상기 하나의 뱅크 그룹과 다른 뱅크 그룹에 대한 억세스 사이의 지연되는 시간은 2 클럭 사이클인 메모리 장치.Burst length is b (b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k (k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or less) core accesses per command (CMD), and command and memory writes ( A memory device for receiving data)
A memory cell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bank groups; And
Each bank group is provided, and receives data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bank group among the memory write data, and adjusts each data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to be continuous and have the same time space. A plurality of bank group controllers for generating bank group write data and outputting the bank group write data to the corresponding bank group;
The delay time between access to one bank group of the plurality of bank groups and next access to the one bank group is four clock cycles, access to the one bank group and the one A memory device wherein the delay between a bank group and access to another bank group is two clock cycles.
상기 커맨드 중 상응하는 뱅크 그룹에 해당하는 커맨드를 선택하고 코어 억세스 횟수만큼 중복하여 상기 상응하는 뱅크 그룹의 내부 커맨드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 커맨드의 동작 지시에 상응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래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each bank group control unit is
Select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bank group among the commands, overlapping the number of core accesses to generate an internal command of the corresponding bank group, and generating a latch control signal including a pulse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command of the internal command. Memory device including 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to.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래치하여 상기 수신한 데이터 간의 갭(gap)을 없애 출력하는 제1 래치; 및
상기 래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래치의 출력 데이터를 래치하여, 상기 출력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가 동일한 시간 길이를 갖는 뱅크그룹 기입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래치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each bank group control unit
A first latch for latching the received data and outputting a gap between the received data and removing the gap; And
And a second latch configured to latch output data of the first latch according to the latch control signal to generate bank group write data in which each data included in the output data has the same length of tim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3/888,409 US9396771B2 (en) | 2012-05-07 | 2013-05-07 | Memory device for performing multi-core access to bank groups |
US15/205,038 US10008247B2 (en) | 2012-05-07 | 2016-07-08 | Memory device for performing multi-core access to bank group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261643455P | 2012-05-07 | 2012-05-07 | |
US61/643,455 | 2012-05-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4884A KR20130124884A (en) | 2013-11-15 |
KR102071527B1 true KR102071527B1 (en) | 2020-01-30 |
Family
ID=4985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8049A Active KR102071527B1 (en) | 2012-05-07 | 2013-03-15 | Memory device performing multiple core accesses with bank grou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152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78192B1 (en) | 2018-12-03 | 2025-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mploying processing in memory (PI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8653B1 (en) * | 1998-01-23 | 2001-02-01 | 윤종용 | Double data rat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2013
- 2013-03-15 KR KR1020130028049A patent/KR102071527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4884A (en) | 2013-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08247B2 (en) | Memory device for performing multi-core access to bank groups | |
TWI859200B (en) | Memory device, method of operating memory device and memory system | |
CN111679786B (en) | Storage device, method for operating storage device, and storage system | |
US9087554B1 (en) | Memory device, method for performing refresh operation of the memory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102282971B1 (en) |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 memory system includ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102623542B1 (en) | Clock synchronizing method of multiple clock domain memory device | |
CN107533525B (en) | Universal die implementation for memory devices with independent interface paths | |
US8432769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mory system having the same | |
KR20130092299A (en) | Latency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 |
JP2012238349A (en) | Semiconductor device | |
US9088287B2 (en) | Divided clock generation device and divided clock generation method | |
KR20210041357A (en) | Memory device including interface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130090633A (en) | Refresh circuit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refresh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JP2009237678A (en) | Memory controller device, control method for memory controller device and data reception device | |
KR101993794B1 (en) | Memory device,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memory system having the same | |
CN102117244B (en) | Control structure supporting double data rate (DDR) addressing of audio and video intellectual property (IP) cores | |
US11783880B2 (en) | Operating method of memory device for extending synchronization of data clock signal,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071527B1 (en) | Memory device performing multiple core accesses with bank group | |
KR102304928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De-concentrating Refresh Commands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 |
CN112328167A (en) | Memo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US8036050B2 (en) |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8953392B2 (en) | Latency control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2004139422A (en) |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storag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
CN103123614B (en) | Serial flash memory controller, serial flash memory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thereof | |
CN108628776B (en) | Data read-write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3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