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134B1 - Battery cooling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attery cooling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1134B1 KR102071134B1 KR1020180043299A KR20180043299A KR102071134B1 KR 102071134 B1 KR102071134 B1 KR 102071134B1 KR 1020180043299 A KR1020180043299 A KR 1020180043299A KR 20180043299 A KR20180043299 A KR 20180043299A KR 102071134 B1 KR102071134 B1 KR 1020711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contact
- heat dissipation
- vehicle
- protrusio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공간이 형성되되 저면 외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방열돌기와, 내부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본체; 및 배터리 하우징의 내부 공간 바닥에 안착되되 저면에 복수의 접촉돌기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배터리 케이지와, 배터리 케이지의 내부에 수납되어 바닥이 복수의 접촉돌기와 접촉될 수 있는 복수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배터리 하우징 외부에 방열돌기를 마련하고, 이 방열돌기를 배터리와 접촉시켜 기존의 대류 냉각과 함께 열전도 냉각을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의 효과적인 방출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nal space is formed, the battery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protrusions are installed on the outside and a battery housing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And a battery cag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of the battery housing,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can be inserted through the bottom thereof, and a plurality of the bottoms contacting the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stored inside the battery cage. Provided is a battery cool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battery of the.
According to this, the heat dissipation protrusion is provided outside the battery housing, and the heat dissipation protrus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ttery,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can be effectively released by using the heat conduction cooling together with the conventional convection cool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a vehicle capable of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를 들면, 전기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의 경우에는 전지 셀을 수십 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으로 구성하게 된다.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In the case of a low-capacity battery in which one battery cell is packaged in a pack form, a secondary battery, such as a phone, a notebook computer, or a camcorder, is portable. In the case of a device used for a small electronic device and requiring a large electric power, for example, a motor driving power sourc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dozens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to constitute a large capacity.
보통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는 얇은 판형 구조로 된 셀들을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고, 사양에 따라 다수의 모듈을 직렬로 연결하여 패키지를 구성하게 되며, 다수의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패키지의 경우에는 충방전시 셀에서 열이 발생되면서 셀의 온도에 따라 배터리의 충방전 전력이 달라지게 된다.In general,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uses cells having a thin plate structure as one module, and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a plurality of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to form a package. In the case of a package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As the heat is generated in the cell during charge and discharge, the charge and discharge power of the battery vari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cell.
따라서, 배터리의 내부온도가 적정 온도로 운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셀의 온도를 적절한 범위로 유지시켜야 한다.Therefore, in order fo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to operate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cell must be maintained in an appropriate range.
예를 들면, 전기자동차의 주행시 배터리는 반복적인 충방전 현상 및 고출력에 의해 배터리의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배터리의 성능 및 안전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생기는데, 이는 배터리 내부에 발생되는 열보다 외부로 방출하는 열확산 능력이 부족하여 발생한다.For example,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driven, the battery generates a lot of heat due to repetitive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high power, which causes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the battery to deteriorate, which is higher than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It is caused by lack of heat diffusion ability to release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전기자동차에는 다양한 형태와 방식의 냉각장치가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In order to overcome such a phenomenon, various types and methods of cooling devices are being applied to electric vehicles.
일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320507호, 제10-0559334호에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기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적용되는 냉각방식은 배터리 셀 사이 유로공간을 형성하며, 냉각팬을 이용해 외부 공기를 유로공간으로 대류시킴으로써 열을 방출시키는 공냉식 시스템이 대부분이다.As an example, Korean Patent Nos. 10-0320507 and 10-0559334 disclose a battery cool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The cooling method applied to the battery of the existing electric vehicle forms a flow path space between the battery cells, most of the air-cooled system that releases heat by convection the outside air into the flow path space using the cooling fan.
이러한 종래의 공냉식 배터리 냉각장치는, 배터리의 충방전에 의한 부피 팽창에 의해 팩 단위에서 각 모듈 사이에 형성된 냉각 유로가 줄어들어 냉각 효과가 줄어들며, 혹서기 동안에는 배터리 냉각효율이 극히 낮아져 배터리 성능을 저하 시키게 됨은 물론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air-cooled battery cooling device, the cooling flow formed between each module in the pack unit is reduced by the volume expansion by th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the cooling effect is reduced, and during the cold period, the battery cooling efficiency is extremely low, which degrades the battery performance. Of course, there is a problem that shortens the lif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cooling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can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of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to the outs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되 저면 외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방열돌기와, 내부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본체; 및 배터리 하우징의 내부 공간 바닥에 안착되되 저면에 복수의 접촉돌기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배터리 케이지와, 배터리 케이지의 내부에 수납되어 바닥이 복수의 접촉돌기와 접촉될 수 있는 복수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attery cool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protrusions formed on an outer side of an inner space, and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installed on a bottom of an inner space. A battery body including a battery housing; And a battery cag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of the battery housing,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can be inserted through the bottom thereof, and a plurality of the bottoms contacting the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stored inside the battery cage. It includes;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battery o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에 있어서, 각 배터리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에 있어서, 각 접촉돌기는, 각 배터리의 하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단면이 사각인 블럭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ntact protrusion is characterized by a block shap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wer surface shape of each batter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본체는, 배터리 하우징의 일측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방열팬(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케이지에는, 방열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를 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복수의 외기 유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ag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utside air inlets for introducing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heat radiating fan to the insid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하우징 외부에 방열돌기를 마련하고, 이 방열돌기를 배터리와 접촉시켜 기존의 대류 냉각과 함께 열전도 냉각을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의 효과적인 방출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dissipation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attery housing, and the heat dissipation protrus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ttery to be generated in the battery by using a combination of heat conduction cooling together with conventional convection cooling. Effective release of heat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상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부를 단면으로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해서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를 확대해서 보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 viewed from abov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B' of FIG.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해서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를 상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 viewed from abov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는, 배터리 본체(100); 및 배터리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먼저, 배터리 본체(100)는, 배터리 하우징(110)과, 배터리 커버(120) 및 방열팬(13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배터리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110a)이 형성되되 저면 외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방열돌기(111)와, 내부 공간(110a)의 바닥에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돌기(112)와,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아웃렛가이드(113)를 포함한다. 배터리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0a)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방열돌기(111)는, 배터리 하우징(110)의 저면을 이루는 판면 두께 방향으로 음형지되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병렬로 형성된다. 다만, 복수의 방열돌기(111)는, 본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복수의 방열돌기(111)는, 배터리 하우징(110)의 저면 외부가 외기와 접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복수의 방열돌기(111)는, 핀 형상 즉, 대략 작은 지름을 갖는 환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각 접촉돌기(112)는, 각 배터리(200)의 하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단면이 사각인 블럭 형상으로 내부 공간(110a) 바닥면에 대해 일체로 직렬 및 병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접촉돌기(112)는, 배터리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110a)이 형성되되 저면 외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방열돌기(111)의 내부 공간(110a)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며,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각 접촉돌기(112)의 상면은 평면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Each of the
아웃렛가이드(113)는,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창(113a)이 마련되도록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하우징(110)의 일측 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The
배터리 커버(120)는, 배터리 하우징(110)의 상부 개방 측을 폐쇄하도록 배터리 하우징(110)의 상단에 얹혀지며, 별도의 체결수단(도시 생략)으로 배터리 하우징(11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200)는 배터리 본체(100)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온전히 보호될 수 있다.The
방열팬(130)은, 배터리 하우징(110)의 일측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방열팬(130)에는, 배터리 하우징(110)과의 사이에 팬의 작동을 보호함은 물론, 외기를 팬으로 안내하기 위한 인렛가이드(131-1)가 형성된 팬커버(131)가 더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한편, 배터리 모듈(200)은, 배터리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0a) 바닥에 안착되되 저면에 복수의 접촉돌기(112)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211)가 형성된 배터리 케이지(210)와, 배터리 케이지(210)의 내부에 수납되어 바닥이 복수의 접촉돌기(112)와 접촉될 수 있는 복수의 배터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배터리 케이지(210)는, 상부가 개방되어 복수의 배터리(220)가 기립되게 수납될 수 있는 사각 형상을 이루어 배터리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0a) 바닥에 고정설치되며, 방열팬(130)과 대응되는 일측면에 방열팬(130)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외기 유입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배터리 케이지(210)의 나머지 측면들에는, 복수의 외기 유입구(212)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배터리 케이지(2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외기 배출구(부호 생략)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각 배터리(220)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으로 배터리 케이지(210)의 내부에 기립되게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배터리(220)의 바닥 중 일부는, 각 배터리 케이지(210)의 관통구(211)를 통해 각각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Each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ooks at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the vehicle described above.
도 4는 도 1의 일부를 단면으로 보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해서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사시도 및 도 7은 도 6의 'B'를 확대해서 보인 단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FIG. 1 in cross sec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A' of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4,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B' of FIG. 6. It is a cross section shown.
전기자동차는 주행시 배터리(220)에 대한 반복적인 충방전 및 고출력에 의해 배터리(220)에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배터리(220)의 성능 및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220) 내부에 발생되는 열보다 외부로 방출하는 열확산 능력이 부족하여 발생함은 물론이다.An electric vehicle generates a lot of heat in the
이러한 이유로 도 4와 같이 냉각팬(130)이 작동되면 외기가 인렛가이드(131-1)를 통해 배터리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이 되고, 유입된 외기는 복수의 외기 유입구(212)를 통해 복수의 배터리(220)를 대류 방식으로 냉각 및 열교환하여 아웃렛가이드(113)를 통해 배터리 하우징(110) 외부로 방출이 된다.For this reason, when the cooling
한편,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돌기(111)와 배터리(220) 사이에 접촉돌기(112)가 개재되어 서로 열전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따라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220)에서 발생된 열이 이와 접촉된 각각의 접촉돌기(112)를 통해 전도될 수 있다. 또, 접촉돌기(112)로 전도된 열은 배터리 하우징(110)의 저면 외부에 설치된 방열돌기(111)로 전도된 후, 방열돌기(111)에서 외기와 열교환됨으로써 배터리(220)에 대한 냉각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Thus, referring to FIGS. 6 and 7, heat generated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하우징 외부에 방열돌기를 마련하고, 이 방열돌기를 배터리와 접촉시켜 기존의 대류 냉각과 함께 열전도 냉각을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충전 및 방전시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의 효과적인 방출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heat dissipation protrusion on the outside of the battery housing, the heat dissipation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battery to use a combination of heat conduction cooling with conventional convection cooling at the tim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Efficient dissipation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is possib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100: 배터리 본체
110: 배터리 하우징
110a: 내부 공간
111: 방열돌기
112: 접촉돌기
113: 아웃렛가이드
120: 배터리 커버
130: 방열팬
131: 팬커버
131-1: 인렛가이드
200: 배터리 모듈
210: 배터리 케이지
211: 관통구
220: 복수의 배터리100: battery body
110: battery housing
110a: interior space
111: heat dissipation protrusion
112: contact protrusion
113: Outlet Guide
120: battery cover
130: heat dissipation fan
131: fan cover
131-1: Inlet Guide
200: battery module
210: battery cage
211: through hole
220: a plurality of batteries
Claims (5)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내부 공간 바닥에 안착되되 저면에 상기 복수의 접촉돌기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배터리 케이지와, 상기 배터리 케이지의 내부에 수납되어 바닥이 상기 복수의 접촉돌기와 접촉될 수 있는 복수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의 바닥과 직접 접촉하여 열전도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를 냉각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A battery body includ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nd a battery housing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protrusions installed on the bottom and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And
A battery cage which is seated on a bottom of an inner space of the battery housing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may be inserted through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is stored in the battery cage so that the bottom may contact the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ies;
Including;
And the contact protrusion penetrates the through hole and directly contacts the bottom of the battery to cool the battery by thermal conduction.
사각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battery,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상기 각 배터리의 하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단면이 사각인 블럭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contact projections,
And a block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a shape of a bottom surface of each battery.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일측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방열팬(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ttery body,
Battery cooling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at dissipation fan (130) which is installed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one side of the battery housing.
상기 방열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를 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복수의 외기 유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ttery cage,
Battery cooling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let air inlet is formed to allow the inlet air flowing from the heat radiating fan to the in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3299A KR102071134B1 (en) | 2018-04-13 | 2018-04-13 | Battery cooling device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3299A KR102071134B1 (en) | 2018-04-13 | 2018-04-13 | Battery cooling device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9844A KR20190119844A (en) | 2019-10-23 |
KR102071134B1 true KR102071134B1 (en) | 2020-01-29 |
Family
ID=6846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3299A Active KR102071134B1 (en) | 2018-04-13 | 2018-04-13 | Battery cooling device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113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136715B2 (en) | 2020-04-08 | 2024-11-05 | Uif (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 Battery pack hous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62224A (en) * | 2020-02-13 | 2020-05-15 | 上海派能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Laminate polymer battery module and consumer |
CN111200087A (en) * | 2020-03-12 | 2020-05-26 | 深圳市雄韬锂电有限公司 | Battery box |
CN112092571A (en) * | 2020-09-11 | 2020-12-18 | 杨童羽 | New energy automobile |
CN117254152B (en) * | 2023-08-15 | 2024-05-14 | 江苏果下科技有限公司 | Temperature-control type new energy battery box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0507B1 (en) | 1999-10-11 | 2002-01-12 | 이계안 | Cooling device of battery for electric vehicles |
KR100559334B1 (en) | 2003-12-30 | 2006-03-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attery Cooling Device and Method of Electric Vehicle |
KR101255241B1 (en) * | 2011-04-12 | 2013-04-1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KR101807113B1 (en) * | 2013-11-29 | 2017-12-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
KR102392459B1 (en) * | 2015-09-01 | 2022-04-29 |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 Cover having cooling hole for battery cell of eco-friendly vehicle |
-
2018
- 2018-04-13 KR KR1020180043299A patent/KR102071134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136715B2 (en) | 2020-04-08 | 2024-11-05 | Uif (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 Battery pack hous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9844A (en) | 2019-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1134B1 (en) | Battery cooling device for vehicle | |
CN108292791B (en) |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US10873114B2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US11495849B2 (en) | Battery module including a housing floor with integrated cooling | |
US7795845B2 (en) | Rechargeable battery module having a cooling mechanism | |
US12252000B2 (en) | Battery pack with efficient cooling path structure and improved safety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KR101181807B1 (en) | Battery assembly | |
EP1753068B1 (en) | Battery module | |
US20060214641A1 (en) | Rechargeable battery module | |
KR20180038310A (en) | Battery Module Comprising Module Case Having Integrally Coupled Heat Sink | |
BRPI0516051B1 (en) | Cooling system for battery pack | |
KR20070014631A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101496523B1 (en) | Radiant heat plate for battery cell | |
JP5036194B2 (en) | Power supply for vehicle | |
KR20160134066A (en) | Battery module | |
KR100637468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20200084402A (en) | Cooling device of battery module for electric vehicles | |
KR102646853B1 (en) | Battery module | |
KR102683482B1 (en) | Battery Pack | |
KR102667183B1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the battery module, energy storage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 |
CN114097128B (en) | heat sink | |
KR100717781B1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KR20240133824A (en) | Cooling apparatus for double-sided type battery module | |
WO2025001323A1 (en) | Battery case, battery, and electric device | |
KR20250094220A (en) | Battery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