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0967B1 -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967B1
KR102070967B1 KR1020130153461A KR20130153461A KR102070967B1 KR 102070967 B1 KR102070967 B1 KR 102070967B1 KR 1020130153461 A KR1020130153461 A KR 1020130153461A KR 20130153461 A KR20130153461 A KR 20130153461A KR 102070967 B1 KR102070967 B1 KR 102070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stem cells
pluripotent stem
induced pluripotent
reprogramm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678A (ko
Inventor
김기모
허덕림
방옥선
김노수
이준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3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967B1/ko
Priority to PCT/KR2014/011124 priority patent/WO2015088153A1/ko
Publication of KR2015006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9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96Artificiall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e.g. i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7Non-embryonic pluripotent stem cells, e.g. MAS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10Cell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70Undefined extracts
    • C12N2500/76Undefined extracts from 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reprogramming cells into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comprising Sagunja-tang, and method to produc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만능분화능(pluripotency)을 가지고 있지 않던 분화된 세포들이 인위적인 역분화 과정을 통해 만능분화능을 가지도록 유도된 세포들을 일컫는 말로서, ① 세포의 모양(둥근 모양, 큰 핵과 인, 적은 세포질)과 자라는 속도(배아줄기세포의 분열시간: 17 hr)가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하며, ② 유전자 발현 (gene expression) 과 염색체 변형(chromatin modification) 패턴이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하며, ③ 만능분화능을 가지며, ④ 면역 결핍 생쥐에서 테라토마를 형성할 수 있으며, ⑤ 생쥐의 배반포(blastocyst)에 삽입시켰을 때 키메라(chimera) 생쥐를 형성하며, ⑥ 유전자의 생식선 전이(germ line transmission)가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2006년 세계 최초로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교수팀에 의해 다분화능 (Pluripotency)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리프로그래밍 유도 전사인자들(Oct4, Sox-2, Klf4, cMyc)의 복합적인 과발현을 통해 체세포로부터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생산할수 있는 역분화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Cell, 126: 663-676, 2006), 상기 기술을 바탕으로 세포치료제 및 신약개발을 주도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기술 개발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역분화 기술은 환자에게 신체적 손상 및 불편함이 거의 없는 비교적 손쉬운 방법으로 자가-체세포를 확보하고, 이로부터 인간배아줄기 세포와 같은 특성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케 함으로써, 환자-체세포로부터 맞춤형 자가 전분화능 줄기세포주를 확립하는 전략을 획기적으로 진화시켰으며, 인간배아줄기세포 이용 시 야기될 수 있는 생명윤리 논란 및 면역 적합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최적의 해법으로 인식되면서 미래 재생의료 기술 개발 분야에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역분화 만능줄기세포는 환자 면역 저합형 세포치료제 개발을 가능케 하며, 세포를 얻기 어려운 기관인 뇌나 심장 등의 세포로 분화 등을 가져올 수 있어 뇌질환이나 심장질환의 원인 규명과 치료 방법을 규명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하지만, 역분화 기술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세포치료제 및 신약 개발 단계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낮은 역분화 효율, 역분화 과정에 소요되는 긴 시간 프레임 등의 극복되어야 하는 문제점들이 아직 남아 있는 실정이어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사군자탕은, 인삼(Panax ginseng), 복령(Peria cocos), 백출(Atractylodis japonica) 및 감초(Glycyrrhiza uralensis)를 구성 약재로 하는 탕제로서, 원기 보충을 가져올 수 있어, 기력 약화, 소화불량, 위염, 위산과다, 위궤양, 냉증 및 부종 등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사군자탕을 줄기세포에 적용한 예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유도만능줄기세포의 효율 증진을 가지고 올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그 결과 수십 종의 한약 처방 중에서 사군자탕을 리프로그래밍 인자를 발현하는 분화된 세포에 처리하는 경우,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 효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프로그래밍 인자가 도입된 분화된 세포에 사군자탕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군자탕"은 인삼(Panax ginseng), 복령(Peria cocos), 백출(Atractylodis japonica) 및 감초(Glycyrrhiza uralensis)를 구성 약재로 하는 한방유래의 탕약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사군자탕은 인삼, 복령, 백출 및 감출의 열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군자탕은 'SGT-4'와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사군자탕을 리프로그래밍 유도 인자를 도입한 분화된 세포에 처리하는 경우,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규명하여, 이를 분화된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또는 역분화 촉진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는 분화가 끝난 체세포 또는 제한된 분화능을 가지는 세포에 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를 주입하여 리프로그래밍 과정을 통해 분화 이전의 세포 단계로 되돌린, 배아 줄기세포처럼 만능성을 유도해낸 세포를 말한다. 이러한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거의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비슷한 세포모양을 보여주고,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패턴이 유사하며, 생체 내외에서 다분화능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만능성을 가지고 있으나, 여성의 난자 등으로부터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분화가 끝난 체세포 등에서 유도된 것이기 때문에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윤리적 문제점을 수반하지 않으며, 환자의 체세포에서 줄기세포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면역 거부 반응의 문제도 적다. 다만, 이러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역분화 효율이 낮아 충분한 수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군자탕을 리프로그래밍 인자를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리프로그래밍(reprogramming)"이란 분화된 세포를 만능성(pluripotent)을 가지는 상태로 복원 또는 전환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프로그래밍이란 0% 내지 100% 미만의 분화능을 가지는 분화된 세포들을 미분화 상태로 되돌리는 과정이라면 모두 이에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0%의 분화능을 가지는 분화된 세포 또는 0% 초과 내지 100% 미만의 분화능을 가지는 일정부분 분화된 세포를 100% 분화능을 가지는 세포로 복원 또는 전환시키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리프로그래밍은 리프로그래밍 유도인자(reprogramming factor)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리프로그래밍 유도인자"는 분화된 세포에 처리 또는 발현되는 경우 iPSc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을 가져와 만능성을 가지는 유도만능줄기세포로 유도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리프로그래밍 유도인자는 분화된 세포의 리프로그래밍을 유도하는 물질이면 본 발명에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예로 Oct3/4, sox-2, c-Myc 및 Klf-4 등을 들 수 있으나, 적용할 세포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리프로그래밍 유도인자가 도입되어 리프로그래밍이 유도되는 분화된 세포에, 본 발명의 사군자탕을 처리하는 경우, 리프로그래밍 유도인자에 의한 iPSc 세포로의 유도 효율을 증진되게 된다.
상기 리프로그래밍 유도인자가 도입될 수 있는 분화된 세포는, 인간,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개, 고양이, 생쥐 및 토끼 등의 다양한 동물로부터 유래한 세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으로부터 유래한 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의하여 유도만능줄기세포로 역분화시킬 수 있는 분화된 세포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분화된 세포는 체세포일 수 있다. 이러한 체세포는 성체를 구성하는 세포로서 분화능 및 자가 생산능이 제한된 세포를 의미하며, 특별히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그 예로 섬유 아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Oct3/4, c-Myc, Klf4 및 sox-2를 인간 섬유아세포에 도입하였고, 도입된 세포에서 oct4, sox-2 및 Nanog 발현을 확인한 결과, 상기 3가지 유도만능줄기세포 마커 단백질을 발현하고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도 2), 또한, 상기 4가지 유전자가 도입된 섬유아세포에 사군자탕을 처리한 경우, 유도만능줄기세포 마커 유전자인 Nanog, sox-2, oct4 및 Klf4를 발현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3). 또한, 상기 4가지 단백질을 발현하는 인간 섬유아세포를 hEhES (human embryonic stem cell) 배지 조건 하에서 배양하면서, 사군자탕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AP(Alkaline phosphase) 염색을 수행하여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전환 효율을 확인한 결과, 상기 4가지 유전자만 도입된 대조군에 비하여 본 발명의 사군자탕을 처리한 군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효율이 현저히 높았으며, 사군자탕의 농도에 의존적인 결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사군자탕이 리프로그래밍 인자에 의한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도에 있어 그 효율을 증진시켜줄 수 있는 물질임을 시사하였다(도 4). 상기와 같은 결과들은 본 발명의 사군자탕은 분화된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을 촉진하는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리프로그래밍 인자가 도입된 분화된 세포에 사군자탕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리프로그래밍 인자, 분화된 세포, 사군자탕, 유도만능줄기세포 및 리프로그래밍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a) 분화된 세포에 리프로그래밍 인자를 도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리프로그래밍 인자가 도입된 분화된 세포에 사군자탕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화된 세포에 리프로그래밍 인자를 도입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포에 물질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리프로그래밍 유도인자의 종류에 따라, 리프로그래밍 유도인자를 분화된 세포의 배양액에 투여하는 방법 또는 리프로그래밍 유도인자를 분화된 세포 내에 직접 주입하는 방법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리프로그래밍 유도인자는 해당 인자의 유전자를 삽입한 바이러스 벡터로 형질감염시킨 패키징 세포로부터 수득한 바이러스, 해당 유도인자 유전자를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벡터(예, episome vector), 시험관 내 전사(in vitro transcription)에 의해 생산한 메신저 RNA, 또는 다양한 세포주 내에서 생산된 단백질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프로그래밍 유도인자를 분화된 세포에 직접 주입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미세주입법(microijection),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입자 분사법(particle bombardment), 직접근육주입법, 인슐레이터(insulator) 및 트랜스포존을 이용한 방법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 등으로 리프로그래밍 인자가 도입된 분화된 세포는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배양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양 과정 중에 사군자탕을 배지에 첨가하여 처리할 수 있다. 리프로그래밍을 유도하기 위한 배양 조건으로, hES (human embryonic stem cell) 배양 조건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군자탕은, 유도만능줄기세포의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므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 분야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iPSc 제조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Oct3/4, sox-2, Klf4 및 Myc을 도입한 인간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oct4, Sox-2 및 Nanog의 발현 정도를 면역세포화학 분석법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Oct3/4, sox-2, Klf4 및 Myc을 도입한 인간 섬유아세포에 사군자탕을 처리하여, iPSc 마커 유전자인 Nanog, sox-2, oct4 및 Klf4의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Oct3/4, sox-2, Klf4 및 Myc을 도입한 인간 섬유아세포에 사군자탕을 처리하고, iPSc로의 유도 정도를 AP(alkaline phosphatase) 염색으로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사군자탕 ( SGT -4)의 제조
사누자탕의 구성 한약재를 하기 표 1과 같은 무게 비율로 배합하여, 약탕기(Cosmos 660, Inchon, Korea)에 넣고, 물을 시료의 10배로 첨가하여 100℃에서 2시간 전탕한 후,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22.3%의 수율로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 중 스톡(stock)의 농도는 2mg/mL이었으며, 시료는 -70℃에 넣어 보관하였다.
Figure 112013113127924-pat00001
실험예 : 사군자탕의 iPS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 효율 증진 효과 확인
(1) 세포 배양
인간 foreskin 유래 섬유아세포(HFF)는 System Biosciences에서 구입하였으며, 항생제를 추가하지 않은 조건에 FBS(fetal bovine serum) 10%가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계대 배양을 수행하였다.
(2) 에피솜 벡터( episomal vector )를 사용한 iPSc 의 제조
인간 HFF 세포를 계대 배양하면서, iPSc 유도를 위해 addgene 사에서 구입한 에피솜 벡터(pCXLE-Oct3/4, pCXLE-Sox-2, pCXLE-Klf4, pCXLE-Myc, 이하 'OSKM'으로 명명)를 각각 박테리아에 형질전환하여 키운 후, 에피솜 DNA를 각각 분리하여 농도를 측정한 후 -70℃에 보관하였다. 그 다음, 세포(6×105개/ml)에 각각 1μg/ml 농도로 마이크로포레이터로 전기천공을 수행하였으며, 배양 후 5일째 된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고, 세포수를 계수한 후, 재분주(reseeding)하였다. 그 다음, hES(human embryonic stem cell) 배지 조건 하에서 SGT-4를 농도별 처리하였으며, 매일 배지를 갈아주면서 약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고, 이렇게 20일 배양한 다음, AP(Alkaline Phosphatase)-염색을 수행하였다. 또한, 도 3에 표시된 해당 기간에 RNA 분석 역시 수행하였다. 이러한 iPSc의 제조 과정을 도 1에 모식도로 나타내었다.
(3) 면역 염색
면역염색 수행은, 젤라틴-코팅된 4 웰 챔버 슬라이드 상에서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OSKM에 의해 유도된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한 다음 PBS로 세척하였고, 그 다음 permeabilized(in PBS/0.2% BSA, 0.1% Triton X-100)하였으며, 4% BSA로 블록킹을 상온에서 1시간 수행하였다. 블록킹 후에 각각 oct4, Sox-2 또는 Nanog에 결합하는 항체를 PBS/0.2% BSA에서 1:100의 비율로 희석해서 염색하였다. 세척 후 2차 항체에 FITC- 혹은 Alexa 488, 594-접합된 2차 항체로 상온에서 1시간 염색하였고, 그 다음 대비 염색(actin)을 수행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KM을 형질감염시킨 세포는 모두 oct4, Sox-2 및 Nanog를 충분히 발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었다.
(4) iPSc 클론의 iPSc 마커 유전자 발현 분석
각각의 조건에서 배양된 iPSc 콜로니에서 전체 RNA를 분리하여 정량한 다음, iPSc의 마커로 알려진 유전자의 발현을 RT-PCR로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조건에서 배양된 iPSc 콜로니에서 Total RNA를 분리하여 정량한 다음 iPSc의 마커로 알려진 Nanog, sox-2, oct4, KIF4와 interal 대조군으로 GAPDH를 사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으며 먼저 정량된 RNA 1 ㎍을 RT primix kit(Intron Inc, korea)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고, 이를 주형으로 하여, 하기 표 2의 Nanog, sox-2, oct4, KIF4, GAPDH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SolgTM 2X Taq PCR(Solgent)을 사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PCR 수행 후 1 % 아가로스 겔로 전기영동 하여 bio-rad densitometry로 정량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명 프라이머 서열(5'->3') 서열번호 산물 크기
Nanog F TGGTTAGGTTGGTTTTAAATTTTTG 1 336bp
R AACCCACCCTTATAAATTCTCAATTA 2
sox-2 F GGCACCCCTGGCATGGCTCTTGGCTC 3 720bp
R TTATCGTCGACCACTGTGCTGCTG 4
oct4 F GAGAAGGATGTGGTCCGAGTGTG 5 475bp
R CCCTTTTTCTGGAGACTAAATAAA 6
KIF4 F ACGATCGTGGCCCCGGAAAAGGACC 7 484bp
R TTATCGTCGACCACTGTGCTGCTG 8
GAPDH F GAAGGTGAAGGTCGGAGTC 9 226bp
R GAAGATGGTGATGGGATTTC 10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KM을 도입한 군(iPSc) 및 여기에 사군자탕을 처리한 본 발명의 군(iPSC+SGT-4)은 iPSc의 마커를 모두 효과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5) AP ( Alkaline Phosphatase ) 염색
AP 염색은 System Biosciences에서 구입하여 정해진 순서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OSKM으로 형질감염한 조건과 같은 조건에서 SGT-4를 농도별로 처리한 세포를 20일 배양한 다음, PBS 완충액으로 세척한 후 시트레이트-아세톤-포름알데히드(citrate-acetone-formaldehyde)로 2분 고정한 다음, AP 염색 용액을 암실에서 15분 처리하였고, 이렇게 염색된 세포를 현미경에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KM을 형질감염시킨 섬유아세포에 본 발명의 사군자탕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AP 염색된 콜로니 수(보라색: 미분화 세포; 무색: 분화된 세포)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 사군자탕이 농도 의존적으로 iPSc의 생산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20> Composition for reprogramming cells into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comprising Sagunja-tang, and method to produc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using the same <130> PA131170KR <160> 10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Nanog <400> 1 tggttaggtt ggttttaaat ttttg 25 <210> 2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Nanog <400> 2 aacccaccct tataaattct caatta 26 <210> 3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sox-2 <400> 3 ggcacccctg gcatggctct tggctc 26 <210> 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sox-2 <400> 4 ttatcgtcga ccactgtgct gctg 24 <210> 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oct4 <400> 5 gagaaggatg tggtccgagt gtg 23 <210> 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oct4 <400> 6 ccctttttct ggagactaaa taaa 24 <210> 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KlF4 <400> 7 acgatcgtgg ccccggaaaa ggacc 25 <210> 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KlF4 <400> 8 ttatcgtcga ccactgtgct gctg 24 <210> 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GAPDH <400> 9 gaaggtgaag gtcggagtc 19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GAPDH <400> 10 gaagatggtg atgggatttc 20

Claims (8)

  1.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Oct3/4, sox-2,c-Myc 및 Klf4를 도입한 세포에 처리하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인간으로부터 유래된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화된 세포는 섬유 아세포인 것인 조성물.
  5. 리프로그래밍 인자가 도입된 분화된 세포에 사군자탕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화된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 (iPSc)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로그래밍 인자가 도입된 분화된 세포는 Oct3/4, sox-2,c-Myc 및 Klf4를 발현하는 것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화된 세포는 인간으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화된 세포는 섬유 아세포인 것인 방법.
KR1020130153461A 2013-12-10 2013-12-10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방법 Active KR102070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61A KR102070967B1 (ko) 2013-12-10 2013-12-10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방법
PCT/KR2014/011124 WO2015088153A1 (ko) 2013-12-10 2014-11-19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61A KR102070967B1 (ko) 2013-12-10 2013-12-10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678A KR20150067678A (ko) 2015-06-18
KR102070967B1 true KR102070967B1 (ko) 2020-01-29

Family

ID=5337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461A Active KR102070967B1 (ko) 2013-12-10 2013-12-10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0967B1 (ko)
WO (1) WO2015088153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863B1 (ko) * 2001-05-24 2004-07-19 한국원자력연구소 조혈기능 증진 및 방사선 방호용 생약추출물
KR100525474B1 (ko) * 2003-10-07 2005-11-02 롯데제과주식회사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
AU2006325975B2 (en) * 2005-12-13 2011-12-08 Kyoto University Nuclear reprogramming facto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기모, <한약처방 기반 유도만능줄기세포 효율 증진>, 한의학e야기, 2013.10, 71권
이호영 외,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2010.12., 21(4):41-5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678A (ko) 2015-06-18
WO2015088153A1 (ko)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79503A (zh) 永生化干细胞、其制备方法、及以其生成物为有效成分的药物组合物和药物制剂
KR101542849B1 (ko)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간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JP6711759B2 (ja) 間葉系幹細胞から誘導された万能幹細胞を利用して神経細胞に分化させる方法
KR101542846B1 (ko)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연골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Tokumoto et al. Comparison of efficiency of terminal differentiation of oligodendrocytes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versus embryonic stem cells in vitro
CN102146359A (zh) 从胎盘中提取原始间充质干细胞及无血清扩增的方法
WO2015190636A1 (ko)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도만능 줄기세포
KR101542850B1 (ko)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KR102070967B1 (ko)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방법
KR101542848B1 (ko)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된 만능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골아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KR101671882B1 (ko)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제조하여 신경세포로 분화 시키는 방법
US20230076688A1 (en) Method for prepar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line from mesenchymal stem cells, and cell line obtained thereby
KR101544195B1 (ko)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도만능 줄기세포
US9976118B2 (en) Method for inducing tailored pluripotent stem cells using extract of plant stem cells or plant dedifferentiated stem cells, and pluripotent stem cells produced by means of the method
KR101671880B1 (ko)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만능 줄기세포주의 제조방법 및 수득된 세포주
WO2011158845A1 (ja) 誘導多能性幹細胞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誘導多能性幹細胞
JP6700175B2 (ja) 間葉系幹細胞から誘導多能性幹細胞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誘導多能性幹細胞
KR101671883B1 (ko)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제조하여 간세포로 분화 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