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9703B1 -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 Google Patents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703B1
KR102069703B1 KR1020190045897A KR20190045897A KR102069703B1 KR 102069703 B1 KR102069703 B1 KR 102069703B1 KR 1020190045897 A KR1020190045897 A KR 1020190045897A KR 20190045897 A KR20190045897 A KR 20190045897A KR 102069703 B1 KR102069703 B1 KR 102069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ocket
lifting rod
point contact
coupled
ear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스
Priority to KR1020190045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70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안경테와 연결되는 안경다리; 와, 상기 안경다리와 각도조절부를 매개로 연결되는 귀걸이부; 및 상기 귀걸이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귀전방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귀전방걸이부의 전면에는 라벨지가 부착되고, 상기 안경다리는 피부와 2점 접촉될 수 있도록 단면이 ">"형상으로 절곡된 2점 접촉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안경다리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귀걸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되는 볼소켓과, 상기 볼소켓의 자유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볼소켓을 거쳐 고정구와 결합되는 승강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볼소켓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고정구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귀전방걸이부는 상기 승강로드와 일체화되어 상기 승강로드를 중심으로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GLASSES FRAME ASSEMBLY WITH IMPROVED FIT}
본 발명은 착용감이 향상된 양경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머리 형상에 맞게 귀걸이부의 각도를 자유롭게 가변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안경다리와 귀걸이부의 사이에 각도조절부를 형성되어 있어 변경된 귀걸이부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귀의 전방에 위치되는 귀전방걸이부가 각도조절부와 연동되게 구성하여 각도조절부의 조작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안경 착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거나 안경 착용자의 눈을 자외선과 적외선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환경과 생활 패턴 등의 변화로 인하여 시력 교정이나 눈의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안경이 패션 소품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시력교정이나 눈의 보호와 상관없는 사람들도 안경을 자주 착용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기존의 안경들은 안경알의 무게로 인하여 무게 중심이 전방에 있으므로, 안경의 장시간 착용시 안경 착용자의 코 부분이 안경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안경들은 안경테의 형상이 일정한 구조이다. 따라서, 안경 착용자는 안경 판매점에서 자신에게 맞는 안경테를 골라서 착용하고 있다. 즉, 안경 착용자의 얼굴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안경 착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안경테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편 안경테의 걸이부 각도가 조절되어 안경 착용자에 따라 걸이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 있는 "귀걸이부의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안경다리(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00-0019515호)"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안경다리는 걸이부의 각도가 상/하로만 조절되기 때문에 얼굴이 작을 경우나 얼굴이 클 경우 다른 안경테로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안경은 그 안경다리들의 귀걸이부가 귀 부분에 확실하게 고정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귀걸이부에 걸고리를 형성한 "안경용 보조 고정구(대한민국 등록 실용 제0427280호)"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안경용 보조 고정구" 역시 걸고리가 고정용 귀걸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얼굴이 작을 경우나 얼굴이 클 경우 다른 안경테로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00-0019515호 대한민국 등록 실용 제04272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인체의 머리 형상에 맞게 귀걸이부의 각도를 자유롭게 가변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안경다리와 귀걸이부의 사이에 각도조절부를 형성되어 있어 변경된 귀걸이부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는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귀의 전방에 위치되는 귀전방걸이부가 각도조절부와 연동되게 구성하여 각도조절부의 조작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안경테와 연결되는 안경다리; 와, 상기 안경다리와 각도조절부를 매개로 연결되는 귀걸이부; 및 상기 귀걸이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귀전방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귀전방걸이부의 전면에는 라벨지가 부착되고, 상기 안경다리는 피부와 2점 접촉될 수 있도록 단면이 ">"형상으로 절곡된 2점 접촉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안경다리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귀걸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되는 볼소켓과, 상기 볼소켓의 자유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볼소켓을 거쳐 고정구와 결합되는 승강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볼소켓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고정구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귀전방걸이부는 상기 승강로드와 일체화되어 상기 승강로드를 중심으로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볼소켓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되 표면에는 상기 볼소켓과 접촉되는 다수의 돌기와, 상기 승강로드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승강로드의 삽입 단부에는 영구자석이 더 결합되는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2발명에서, 상기 볼소켓에는 코일스프링을 내장하기 위한 공간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입구에는 코일스프링의 이탈방지를 위해 스토퍼디스크가 결합되며, 상기 승강로드는 공간부 상을 가로질러 관통 설치되되, 코일스프링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디스크가 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2점 접촉부의 사이에는 상기 2점 접촉부와 역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의 1점 접촉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1점 접촉부와, 2점 접촉부에는 미끄럼방지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에 따르면, 인체의 머리 형상에 맞게 귀걸이부의 각도를 자유롭게 가변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경다리와 귀걸이부의 사이에 각도조절부를 형성되어 있어 변경된 귀걸이부의 각도를 보다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귀의 전방에 위치되는 귀전방걸이부가 각도조절부와 연동되게 구성하여 각도조절부의 조작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귀전방걸이부에 라벨지가 부착되어 브랜드를 광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안경다리와 귀걸이부의 결합부위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의 머리 형상에 맞게 귀걸이부의 각도를 자유롭게 가변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안경다리와 귀걸이부의 사이에 각도조절부를 형성되어 있어 변경된 귀걸이부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귀의 전방에 위치되는 귀전방걸이부가 각도조절부와 연동되게 구성하여 각도조절부의 조작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안경다리(10)와, 귀걸이부(20)와, 각도조절부(30) 및 귀전방걸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안경다리(10)는 안경알이 장착된 안경테(미도시)와 접이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강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인체의 피부와 2점 접촉될 수 있도록 단면이 ">"형상으로 절곡된 2점 접촉부(11)가 형성된다.
이러한 2점 접촉부(11)는 무게 및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줄여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사람이 뛰거나 스포츠를 할 경우, 진동에 의해 안경다리(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안경다리(10)는 도 3과 같이, 상기 2점 접촉부(11)와 역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의 1점 접촉부(12)를 더 형성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안경다리(10)의 유동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안경다리(10)는 상기 1점 접촉부(12)와, 2점 접촉부(11)에 미끄럼방지패드(50)를 결합시켜 인체의 땀으로 인해 안경다리(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귀걸이부(20)는 상기 안경다리(10)와 각도조절부(30)를 매개로 연결되어 각도가 자유롭게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부(30)는 안경다리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고정구(31)와, 상기 귀걸이부(20)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31)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되는 볼소켓(32)과, 상기 볼소켓(32)의 자유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볼소켓(32)을 거쳐 고정구(31)와 결합되는 승강로드(33)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볼소켓(32)은 고정구(31)를 삽입하기 위한 절개부(324)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구(31)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되, 표면에는 상기 볼소켓(32)과 접촉되는 다수의 돌기(311)와, 상기 승강로드(33)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312)이 더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승강로드(33)의 삽입 단부에는 영구자석(332)이 구비되어 있어 승강로드(33)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상술된 각도조절부(30)는 고정구(31)의 돌기(311)가 볼소켓(32)의 내부와 점 접촉되어 귀걸이부(20)의 각도 변경이 원활히 제공되도록 하고, 더불어 상기 승강로드(33)가 고정구(31)의 삽입홈(312)에 삽입되면 자기력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볼소켓(3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상기 승강로드(33)는 자기력과 함께 돌기(311)와 삽입홈(312)의 높이차로 인해 이동 간섭이 발생되므로, 결국 상기 볼소켓(32)은 회전됨이 없이 보다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로드(33)는 상기 볼소켓(32)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고정구(31)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볼소켓(32)에는 코일스프링(322)을 내장하기 위한 공간부(321)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21)의 입구에는 코일스프링(322)의 이탈방지를 위해 스토퍼디스크(323)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드(33)는 공간부(321) 상을 가로질러 관통 설치되되, 코일스프링(322)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디스크(331)가 외장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로드(33)는 코일스프링(322)을 통해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로드(33)를 당기면 승강로드(33)의 삽입 단부가 고정구(31)의 삽입홈(312)에서 이탈되면서 볼소켓(32)의 회전 구속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진다.
반대로 승강로드(33)를 놓으면 압축된 코일스프링(322)이 탄성 복귀되면서 승강로드(33)의 삽입 단부가 고정구(31)의 삽입홈(312)에 삽입되어 볼소켓(32)의 회전을 자동으로 구속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안경 착용시 상기 귀걸이부(20)가 피부와 밀착되도록 각도를 변경한 후,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승강로드(33)를 통해 보다 신속하게 귀걸이부(2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귀전방걸이부(40)는 상기 귀걸이부(20)의 측면에 결합되어 안경을 보다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귀전방걸이부(40)는 귀걸이부(20)의 측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피부와 밀착되지 않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귀전방걸이부(40)는 하향 단차(4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귀전방걸이부(40)는 상기 승강로드(33)와 일체화되어 승강로드(33)를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승강로드(33)가 고정구(31)의 삽입홈(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자전되기 때문에 상기 귀전방걸이부(40)는 승강로드(33)를 중심으로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귀전방걸이부(4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각도를 변경한 후 파지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승강로드(33)는 자력에 의해 회전됨이 없이 삽입홈(312)에 고정되는 바, 상기 귀전방걸이부(40) 역시 각도가 변경한 상태로 고정되어 안경의 착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귀전방걸이부(40)의 표면에는 상표를 나타내는 라벨지(41)를 부착시켜 광고 효과도 겸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귀전방걸이부(40)는 실시예에서 막대 형태로 구성하였지만, 아치 형태로 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고,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밀착면에 미끄럼방지패드를 부착시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각도조절부의 조작과 작동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3에서 안경다리와 귀걸이부의 결합부위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각도조절부(30)의 승강로드(33)가 볼소켓(32)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삽입 단부가 상기 고정구(31)의 삽입홈(312)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귀걸이부(20)의 각도를 가변할 경우, 먼저 손으로 귀전방걸이부(40)를 파지하여 당긴다.
그러면 도 5의 (b)와 같이, 고정구(31)의 삽입홈(312)에 삽입된 승강로드(33)는 이탈되어 볼소켓(32)의 내부로 진입된다.
이 때 볼소켓(32)의 공간부(321)에 배치된 코일스프링(322)은 승강로드(33)에 외장된 가압디스크(331)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되고, 상기 볼소켓(32)은 고정구(31)에 대해 구속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귀전방걸이부(40)를 파지하고 있는 엄지와 검지를 제외한 중지, 인지, 약지 및 손바닥을 이용하여 귀걸이부(20)의 각도를 가변시켜 피부에 보다 잘 밀착되도록 한다.
이 후 도 5의 (c)와 같이, 귀전방걸이부(40)의 파지를 해제하면, 압축된 코일스프링(322)의 탄성 복귀되면서 가압디스크(331)를 고정구(3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가압디스크(331)의 이동에 따라 승강로드(33) 역시 동반 이동되어 고정구(31)의 삽입홈(312)에 삽입된다.
이 때 상기 상기 승강로드(33)에는 영구자석(332)이 결합되어 있어 삽입홈(312)에 삽입된 승강로드(33)는 자기력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귀걸이부(20)는 회전됨이 피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귀전방걸이부(40)의 각도를 변경하면 안경의 착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안경다리 11: 2점 접촉부 12: 1점 접촉부
20: 귀걸이부
30: 각도조절부 31: 고정구 311: 돌기
312: 삽입홈 32: 볼소켓
321: 공간부 322: 코일스프링
323: 스토퍼디스크 324: 절개부
33: 승강로드
331: 가압디스크 332: 영구자석
40: 귀전방걸이부 41: 라벨지 42: 하향 단차
50: 미끄럼방지패드
100: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Claims (4)

  1. 안경테와 연결되는 안경다리(10);
    상기 안경다리(10)와 각도조절부(30)를 매개로 연결되는 귀걸이부(20); 및
    상기 귀걸이부(20)의 측면에 결합되는 귀전방걸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귀전방걸이부(40)의 전면에는 라벨지(41)가 부착되고,
    상기 안경다리(10)는 피부와 2점 접촉될 수 있도록 단면이 ">"형상으로 절곡된 2점 접촉부(11)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30)는 안경다리(1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고정구(31)와, 상기 귀걸이부(20)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31)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되는 볼소켓(32)과, 상기 볼소켓(32)의 자유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볼소켓(32)을 거쳐 고정구(31)와 결합되는 승강로드(33)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로드(33)는 상기 볼소켓(32)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고정구(31)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귀전방걸이부(40)는 상기 승강로드(33)와 일체화되어 상기 승강로드(33)를 중심으로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31)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되 표면에는 상기 볼소켓(32)과 접촉되는 다수의 돌기(311)와, 상기 승강로드(33)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3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승강로드(33)의 삽입 단부에는 영구자석(332)이 더 결합되는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소켓(32)에는 코일스프링(322)을 내장하기 위한 공간부(321)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21)의 입구에는 코일스프링(322)의 이탈방지를 위해 스토퍼디스크(323)가 결합되며,
    상기 승강로드(33)는 공간부(321) 상을 가로질러 관통 설치되되, 코일스프링(322)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디스크(331)가 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점 접촉부(11)의 사이에는 상기 2점 접촉부(11)와 역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의 1점 접촉부(12)가 더 형성되고,
    상기 1점 접촉부(12)와, 2점 접촉부(11)에는 미끄럼방지패드(5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KR1020190045897A 2019-04-19 2019-04-19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Expired - Fee Related KR10206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897A KR102069703B1 (ko) 2019-04-19 2019-04-19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897A KR102069703B1 (ko) 2019-04-19 2019-04-19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703B1 true KR102069703B1 (ko) 2020-02-11

Family

ID=6956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897A Expired - Fee Related KR102069703B1 (ko) 2019-04-19 2019-04-19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7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938B1 (ko) * 2020-04-07 2020-07-08 정희석 마스크용 귀 통증 보호구
KR102530349B1 (ko) * 2022-01-03 2023-05-09 주식회사 토스 착용감과 고정력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KR102686784B1 (ko) 2023-06-30 2024-07-22 한대길 진동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는 주름부를 갖는 안경테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069U (ko) * 1989-07-25 1991-03-19
KR0127809Y1 (ko) * 1995-09-12 1998-12-01 최경희 코걸이가 없는 안경
KR20000019515A (ko) 1998-09-12 2000-04-15 김찬식 조류 제거제 제조방법 및 살포방법
KR100427280B1 (ko) 2001-08-31 200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밸브 깊이 측정 장치
JP2016035523A (ja) * 2014-08-04 2016-03-17 優都 遠藤 アイウェア
KR200483685Y1 (ko) * 2016-06-27 2017-06-14 주식회사 로디프 안경다리
JP2018136372A (ja) * 2017-02-20 2018-08-30 英太郎 寺川 眼鏡装着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069U (ko) * 1989-07-25 1991-03-19
KR0127809Y1 (ko) * 1995-09-12 1998-12-01 최경희 코걸이가 없는 안경
KR20000019515A (ko) 1998-09-12 2000-04-15 김찬식 조류 제거제 제조방법 및 살포방법
KR100427280B1 (ko) 2001-08-31 200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밸브 깊이 측정 장치
JP2016035523A (ja) * 2014-08-04 2016-03-17 優都 遠藤 アイウェア
KR200483685Y1 (ko) * 2016-06-27 2017-06-14 주식회사 로디프 안경다리
JP2018136372A (ja) * 2017-02-20 2018-08-30 英太郎 寺川 眼鏡装着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938B1 (ko) * 2020-04-07 2020-07-08 정희석 마스크용 귀 통증 보호구
KR102530349B1 (ko) * 2022-01-03 2023-05-09 주식회사 토스 착용감과 고정력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KR102686784B1 (ko) 2023-06-30 2024-07-22 한대길 진동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는 주름부를 갖는 안경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703B1 (ko)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US20160025996A1 (en) Eyewear holder
US7926937B2 (en) Eyewear
KR102530349B1 (ko) 착용감과 고정력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KR101602051B1 (ko) 안경용 받침수단
KR20110002454A (ko) 목걸이용 안경테
KR20180032276A (ko) 범용 보조안경
US10423007B2 (en) Counterweight device for eyeglasses
JP2016503907A (ja) メガネのテンプル支持具
KR102132368B1 (ko) 코 자극을 최소화하는 안경
KR200474391Y1 (ko) 실리콘 귀테를 포함하는 안경
US20070046893A1 (en) Eyeglass tethers
WO2021019804A1 (ja) 外れ防止用メガネ
WO2009069102A1 (en) A magnetic spectacles holder device
KR20160003557U (ko) 안경테
KR102037339B1 (ko) 무중력 스마트 안경테
US8556415B2 (en) Adjustable nose pad for eyewear
KR20220002072U (ko) 마스크 착용기능을 갖는 안경다리
TWM560030U (zh) 可調整之眼鏡鼻墊結構
KR20100117431A (ko) 안경용 고정구
JP5961776B2 (ja) 眼鏡
CN209356778U (zh) 一种防脱落的磁吸式眼镜
CN208224642U (zh) 眼镜腿
TWI336251B (en) Eyeglass leg assembly
JP7462947B2 (ja) 眼鏡ヒンジ、ヒンジセット、眼鏡フレーム、眼鏡フレームセット及びバネ要素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