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9388B1 - 디스크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388B1
KR102069388B1 KR1020130080968A KR20130080968A KR102069388B1 KR 102069388 B1 KR102069388 B1 KR 102069388B1 KR 1020130080968 A KR1020130080968 A KR 1020130080968A KR 20130080968 A KR20130080968 A KR 20130080968A KR 102069388 B1 KR102069388 B1 KR 102069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plate
motor
electric motor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815A (ko
Inventor
다카아키 후세
사토루 츠루미
준 와타나베
다카야스 사카시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6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3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16D65/567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on a disc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16D2121/04Fluid pressure acting on a piston-type actuator, e.g. for liq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3/00Multiple operation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36Helical cams, Ball-rotating r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48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stationary axes, e.g. spur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50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non-stationary axes, e.g. planetary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뢰성이 높은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브레이크(1)에서는, 하우징(30)에, 모터(3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단자(131)를 갖는 커넥터부(35)를 마련하고, 이 커넥터부(35)의 공급 단자(131)와 모터(32)의 모터 단자(32C)를, 금속제의 판형재로 형성되는 버스바(130)로 접속한다. 또한, 버스바(130)는, 하우징(30)에 부착되는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에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DISK BRAKE}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에 이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개시되어 있고, 이 디스크 브레이크에서는, 전동 모터와, 이 전동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ECU에 접속되는 커넥터와의 전기적 접속에 가요성을 갖는 하네스를 이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11/076299호 팜플렛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서는, 하네스가 감속 기어의 외주측에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감속 기어와의 접촉에 의해 하네스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신뢰성이 높은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에 의해 디스크에 패드를 압박하는 캘리퍼와, 이 캘리퍼에 마련되고,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피스톤 구동 기구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상기 피스톤 구동 기구는, 상기 전동 모터가 고정되고, 이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감속 기구를 내포하는 하우징을 가지며, 이 하우징에, 상기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단자를 갖는 커넥터부가 형성되고, 이 커넥터부의 공급 단자와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단자를, 금속제의 판형재로 형성되는 버스바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하면, 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외관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외관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3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디스크 브레이크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디스크 브레이크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하우징 내의 구성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지지 부재에서의 모터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하우징 내를 커버측에서 본 도면.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지지 부재에 각 버스바가 지지된 상태를 모터측에서 본 도면.
도 10은 도 9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D부 확대도.
도 12는 지지 부재에 각 버스바가 지지된 상태를 커버측에서 본 도면.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지지 부재에 버스바가 지지된 상태를 모터측에서 본 도면.
도 14는 도 13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는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1 실시형태의 도 11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서, 성형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6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는, 차량의 회전부에 부착된 디스크 로터(D)를 사이에 두고 축방향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2, 3)와, 캘리퍼(4)와, 이들을 지지하는 브래킷(5)을 구비한다. 디스크 브레이크(1)는, 캘리퍼 부동형(浮動型)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2, 3)와, 캘리퍼(4)는, 차량의 너클 등의 비회전부(도시 생략)에 고정된 브래킷(5)에 디스크 로터(D)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2, 3) 중, 디스크 로터(D)보다 차량 내측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내측 브레이크 패드(2)로 하고, 디스크 로터(D)보다 차량 외측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외측 브레이크 패드(3)로 한다.
브래킷(5)에는, 이 브래킷(5)을 차량의 비회전부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볼트 구멍(8, 8)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5)은, 각 볼트 구멍(8)에 나사 고정 또는 삽입 관통되는 부착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차량의 비회전부에 고정된다. 브래킷(5)에는, 디스크 로터(D)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각 볼트 구멍(8, 8)으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 한 쌍의 부착 축부(9, 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각 부착 축부(9, 9)는, 디스크 로터(D)의 외주를 넘어 디스크 로터(D)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부착 축부(9, 9)의 내부에는, 캘리퍼(4)에 마련되는 슬라이드 핀(10, 10)을 디스크 로터(D)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핀 구멍(9a, 9a)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핀(10, 10)은, 캘리퍼(4)의 후술하는 캘리퍼 본체(15)에 볼트(11, 11)에 의해 고정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캘리퍼(4)의 주체(主體)인 캘리퍼 본체(15)는, 디스크 로터(D)보다 차량 내측에 배치되는 실린더부(16)와, 디스크 로터(D)보다 차량 외측에 배치되는 클로부(17)와, 디스크 로터(D)의 외주를 넘는 위치에 배치되어, 실린더부(16)와 클로부(17)와 접속하는 브리지부(18)를 갖는다. 캘리퍼 본체(15)는, 이들 실린더부(16)와 클로부(17)와 브리지부(18)가 알루미늄 합금이나 주철 등의 금속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실린더부(16)의 내부에는, 바닥 있는 실린더 보어(20)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20)는, 내측 브레이크 패드(2)에 대향하는 측이 개구부(21)가 되고, 축방향에서의 그 반대측이 구멍부(19A)를 갖는 바닥벽(19)에 의해 폐쇄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실린더 보어(20)는, 개구부(21)측의 내주면에 둘레 홈이 형성되고, 이 둘레 홈에는 후술하는 피스톤(25)을 시일하는 피스톤 시일(22)이 배치된다.
도 4도 참조해 보면, 실린더부(16)의 내부에는, 피스톤(25)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피스톤(25)은, 바닥부(25A)와 원통부(25B)를 포함하는 바닥 있는 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25)은, 그 바닥부(25A)가 내측 브레이크 패드(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피스톤 시일(22)에 접촉한 상태에서 실린더 보어(20)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실린더 보어(20)에 있어서 피스톤(25)과 실린더 보어(20)의 바닥벽(19) 사이는, 피스톤 시일(22)로 구획되는 액압실(26)이 형성되어 있다. 액압실(26)에는, 실린더부(16)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포트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나 액압 제어 유닛 등의 도시하지 않는 액압원으로부터 브레이크액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피스톤(25)의 바닥부에서의 내측 브레이크 패드(2)에 대향하는 바닥면의 외주측에는, 오목부(27)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27)는, 내측 브레이크 패드(2)의 배면(背面)에 형성된 볼록부(28)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오목부(27)와 볼록부(28)의 결합에 의해 피스톤(25)은, 실린더부(16), 더 나아가서는 캘리퍼 본체(15)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제한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25)의 바닥부(25A)와 실린더부(16) 사이에는, 실린더 보어(20) 내에의 이물의 진입을 막기 위한 더스트 부츠(29)가 개재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캘리퍼 본체(15)의 실린더부(16)의 바닥벽(19)측에 하우징(30)이 부착된다. 하우징(30)은, 합성 수지 부재로 대략 긴 원통형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제1 하우징부(33)와, 제2 하우징부(34)와, 커넥터부(35)를 갖는다. 제1 하우징부(33)는, 실린더 보어(20)의 바닥벽(19)의 외주를 덮고, 후술하는 유성 기어 감속 기구(41) 등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1 하우징부(33)와 실린더부(16)의 바닥벽(19)은, 바닥벽(19)의 외주에 배치되는 시일 부재(31)에 의해 시일되어 있고, 이 시일 부재(31)에 의해 하우징(30) 내의 기밀이 유지되어 있다. 제2 하우징부(34)는, 제1 하우징부(33)와 나란히 배치되어, 실린더부(16)에 병설되는 모터(32)나 후술하는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40) 등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부(35)는, 제2 하우징부(34)의 측벽부로부터 모터(32)의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 형성하여 배치되고,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부(35) 내에는, 모터(3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2개의 공급 단자(131, 13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0)의 실린더부(16)의 부착측과 반대측의 개구에는, 이 개구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성형된 합성 수지제의 커버(36)가 부착된다. 하우징(30)과 커버(36)는, 그 개구 단부끼리가 용착되어 결합되어 있고, 하우징(30) 내의 기밀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0)과 커버(36)의 용착은, 레이저 용접이나 초음파 용접 등의 공지의 용착 방법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또한, 하우징(30)과 커버(36)의 결합은, 상기 용착에 한하지 않고, 접착이나 나사 고정 등의 방법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고, 나사 고정의 경우에는, 시일 부재를 이용하여 하우징(30) 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캘리퍼 본체(15)는, 모터(32)의 구동에 의해 피스톤(25)을 이동시키는 피스톤 구동 기구(39)와, 모터(32)에 의한 회전을 증력하는 감속 기구로서의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40)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1)를 구비한다. 또한, 피스톤 구동 기구(39)는, 피스톤(25)을 제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추력 유지 기능도 겸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25)을 추진하는 회전력을 얻기 위해, 모터(32)에 의한 회전을 증력하는 감속 기구로서의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40)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1)를 마련하고 있지만, 반드시 양자 모두를 구비할 필요는 없고, 어느 하나의 감속 기구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스톤 구동 기구(39)는, 볼 앤드 램프 기구(43)와, 푸시 로드(44)와, 나사 기구(45)를 구비한다. 볼 앤드 램프 기구(43)는,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40)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1)로부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방향의 운동(이하, 편의상 직동이라고 함)으로 변환하고, 피스톤(25)에 추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푸시 로드(44)는, 볼 앤드 램프 기구(43)의 작용에 의해 피스톤(25)을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나사 기구(45)는, 푸시 로드(44)와 실린더부(16)의 바닥벽(19), 구체적으로는 볼 앤드 램프 기구(4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피스톤(25)을 제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추력 유지 기구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볼 앤드 램프 기구(43), 푸시 로드(44) 및 나사 기구(45)는, 캘리퍼 본체(15)의 실린더 보어(20) 내에 수납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 앤드 램프 기구(43)는, 회전 직동 램프(65)와, 회전 램프(66)와, 회전 직동 램프(65)와 회전 램프(66)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볼(67)을 구비한다.
회전 직동 램프(65)는, 원판형의 회전 직동 플레이트(69)와, 이 회전 직동 플레이트(69)의 직경 방향 대략 중앙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부(70)를 포함하고, 축방향 단면이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기둥부(70)는, 회전 램프(66)의 회전 플레이트(81)의 직경 방향 대략 중앙에 형성한 삽입 관통 구멍(80), 스러스트 베어링(84)의 관통 구멍(84A), 스러스트 와셔(83)의 관통 구멍(83A) 및 실린더 보어(20)의 바닥벽(19)에 형성한 구멍부(19A) 각각에 삽입 관통되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원기둥부(70)의 선단에는, 유성 기어 감속 기구(41)의 후술하는 캐리어(58)에 형성한 스플라인 구멍(58A)에 감합하는 스플라인 축부(71)(도 5 참조)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직동 플레이트(69)에 있어서, 회전 램프(66)의 회전 플레이트(81)와의 대향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며 원호형으로 연장되고 직경 방향에서 원호형 단면을 갖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볼 홈(7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보어(20)의 바닥벽(19)의 구멍부(19A)와, 회전 직동 램프(65)의 원기둥부(70)의 외주면 사이에는, O링(73) 및 슬리브(74)가 마련되어 있어, 액압실(26)의 액밀성이 유지되어 있다. 회전 직동 램프(65)의 원기둥부(70)의 선단 외주면에는, 환형 홈부(75)가 형성되고, 환형 홈부(75)에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회전 직동 램프(65)의 내측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2, 3)측으로의 축방향의 이동을 소정 범위에서 허용하는 웨이브 와셔(76) 및 멈춤링(77)이 장착되어 있다.
회전 램프(66)는, 직경 방향 대략 중앙에 삽입 관통 구멍(80)을 갖는 회전 플레이트(81)로서 구성된다. 이 회전 플레이트(81)의 외주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감합 볼록부(82)가 마련된다. 각 감합 볼록부(82)의 상면으로부터 1단 내려간 감합 단차면에는, 후술하는 웨이브 클립(116)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 플레이트(81)는, 각 감합 볼록부(82)를 포함한 외경이, 회전 직동 램프(65)의 회전 직동 플레이트(69)의 외경보다 대직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 플레이트(81)는, 스러스트 와셔(83) 및 스러스트 베어링(84)을 통해, 실린더 보어(20)의 바닥벽(19)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플레이트(81)에는, 회전 직동 램프(65)의 회전 직동 플레이트(69)와의 대향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며 원호형으로 연장되고 직경 방향에서 원호형 단면을 갖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볼 홈(85)이 마련되어 있다.
회전 직동 램프(65)의 회전 직동 플레이트(69)의 각 볼 홈(72)과, 회전 램프(66)의 회전 플레이트(81)의 각 볼 홈(85) 사이에는, 각각 볼(67)이 하나씩 개재된다. 볼 앤드 램프 기구(43)는, 회전 직동 램프(65)에 회전 토크를 가하면, 회전 직동 플레이트(69)의 각 볼 홈(72)과 회전 플레이트(81)의 각 볼 홈(85) 사이에서 볼(67)이 구름 운동함으로써, 회전 직동 플레이트(69)와 회전 플레이트(81) 사이, 즉 회전 직동 램프(65)와 회전 램프(66) 사이에 회전차가 생겨, 회전 직동 플레이트(69)와 회전 플레이트(81) 사이의 축방향의 상대 거리가 변동하도록 되어 있다.
푸시 로드(44)는, 축방향 단면이 T자형으로 형성되고, 축부(90)와, 축부(90)의 내측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2, 3)측의 일단에 일체적으로 접속되는 원판형의 플랜지부(91)를 갖는다. 축부(90)에는, 그 축방향 대략 중앙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후술하는 어저스터 너트(100)의 내주면에 마련한 암나사부(103)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92)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90)의 선단은, 스러스트 베어링(117)의 관통 구멍(117A) 내를 경유하여, 볼 앤드 램프 기구(43)의 회전 직동 램프(65)[회전 직동 플레이트(69)]의 직경 방향 대략 중앙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플랜지부(91)는, 그 외경이 피스톤(25)의 내경에 대략 일치하게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25)의 바닥부(25A)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푸시 로드(44)는, 플랜지부(91)의 외주면과 피스톤(25)의 원통부(25B)의 내주면과의 결합 관계에 의해, 피스톤(2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지만,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플랜지부(91)에는, 그 직경 방향 대략 중앙에, 피스톤(25)의 바닥부(25A)측을 향해 돌출 형성하는 구형 볼록부(9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형 볼록부(93)는, 모터(32) 및 볼 앤드 램프 기구(43)의 작동에 의해 푸시 로드(44)가 전진하면, 피스톤(25)의 바닥부(25A)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나사 기구(45)는, 피스톤(25)을 제동 위치에 유지하는 추력 유지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나사 기구(45)는, 어저스터 너트(100)의 수나사부(102)와 베이스 너트(101)의 암나사부(115)의 나사 결합부(45A), 및 어저스터 너트(100)의 암나사부(103)와 푸시 로드(44)의 수나사부(92)의 나사 결합부(4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어저스터 너트(100)는, 푸시 로드(44)의 축부(9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102)를 갖는 대직경 원통부(105)와, 이 대직경 원통부(105)로부터 내측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2, 3)측으로 연장되는 소직경 원통부(106)를 구비한다. 어저스터 너트(100)는, 그 내주면의 축방향 전체 범위에 걸쳐, 푸시 로드(44)의 수나사부(92)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어저스터 너트(100)의 대직경 원통부(105)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베이스 너트(101)의 소직경 원통부(110)의 내주면에 마련한 암나사부(115)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어저스터 너트(100)는, 그 대직경 원통부(105)의 볼 앤드 램프 기구(43)측 단부가, 스러스트 베어링(117)을 사이에 두고, 회전 직동 램프(65)와 축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푸시 로드(44)의 수나사부(92)와 어저스터 너트(100)의 암나사부(103)의 나사 결합부(45B)는, 피스톤(25)으로부터 회전 직동 램프(65)에의 축방향 하중에 의해 어저스터 너트(100)가 후퇴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즉 비가역성이 큰 나사로 설정되어 있다.
베이스 너트(101)는, 전체가 통형으로 형성되고, 대직경 원통부(108)와, 이 대직경 원통부(108)로부터 내측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2, 3)측에 연속하여 단계적으로 축경(縮徑)하여 연장되는 다단 원통부(109)와, 다단 원통부(109)로부터 내측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2, 3)측에 연속하여 연장되는 소직경 원통부(110)를 구비한다. 대직경 원통부(108)는, 그 외경이 회전 램프(66)의 회전 플레이트(81)의 외경[각 감합 볼록부(82)를 포함하는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대직경 원통부(108)의 둘레벽부의 상단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감합 오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감합 오목부(111)는, 축방향의 한쪽이 개방되어, 회전 램프(66)의 회전 플레이트(81)에 형성된 각 감합 볼록부(82)가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각 감합 오목부(111)를 제외한 대직경 원통부(108)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웨이브 클립(116)이 유극을 갖고 끼워지는 여유 감합 홈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 원통부(110)의 내주면에는, 어저스터 너트(100)의 외주면에 마련한 수나사부(102)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어저스터 너트(100)의 수나사부(102)와 베이스 너트(101)의 암나사부(115)의 나사 결합부(45A)는, 피스톤(25)으로부터의 회전 직동 램프(65)에의 축방향 하중에 의해 베이스 너트(101)가 후퇴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즉 비가역성이 큰 나사로 설정되어 있다.
베이스 너트(101)에 마련된 여유 감합 홈부(112)에 유극을 갖고 끼워지는 웨이브 클립(116)은, 둘레 방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파형을 띠는 박판 환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웨이브 클립(116)은, 베이스 너트(101)와 회전 램프(66)의 회전 플레이트(81)를 연결하고, 회전 플레이트(81)에 대하여 베이스 너트(101)를 실린더부(16)의 바닥벽(19)측으로 압박한다. 이 웨이브 클립(116)에 의해, 볼 앤드 램프 기구(43)의 볼(67)이, 회전 직동 램프(65)와 회전 램프(66) 사이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저스터 너트(100)의 소직경 원통부(106)의 외주에는, 일방향 클러치 부재로서의 스프링 클러치(120)의 코일부(120A)가 감겨 있다. 스프링 클러치(120)는, 그 외주측이 피스톤(25)에 대하여 축방향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접촉되어 있다. 이 스프링 클러치(120)는, 어저스터 너트(10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할 때에는 회전 토크를 부여하지만,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회전 토크를 거의 부여하지 않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저스터 너트(100)가 볼 앤드 램프 기구(43)측으로 이동할 때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회전 저항 토크가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클러치(120)의 회전 저항 토크의 크기는, 어저스터 너트(100)가 베이스 너트(101)에 대하여 후퇴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웨이브 클립(116)의 압박력에 의해 발생하는 어저스터 너트(100)의 수나사부(102)와 베이스 너트(101)의 암나사부(115)의 나사 결합부(45A)의 회전 저항 토크보다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40)는, 피니언 기어(46)와, 제1 감속 기어(47)와, 비감속 평기어(48)와, 제2 감속 기어(49)를 갖는다. 피니언 기어(46)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모터(32)의 회전축(32A)이 압입 고정되는 구멍부(46A)와, 외주에 형성되는 톱니바퀴(46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감속 기어(47)는, 피니언 기어(46)의 톱니바퀴(46B)에 맞물리는 대직경의 큰 톱니바퀴(47A)와, 큰 톱니바퀴(47A)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소직경의 작은 톱니바퀴(47B)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단차식 기어로서 구성된다. 제1 감속 기어(47)는, 일단이 지지 부재(135)에 유지되고, 타단이 커버(36)에 유지된 샤프트(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감속 기어(47)의 작은 톱니바퀴(47B)는, 비감속 평기어(48)와 맞물려 있다. 비감속 평기어(48)는, 일단이 지지 부재(135)에 유지되고, 타단이 커버(36)에 유지된 샤프트(5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감속 기어(49)는, 비감속 평기어(48)에 맞물리는 대직경의 큰 톱니바퀴(49A)와, 큰 톱니바퀴(49A)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소직경의 선 기어(49B)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단차식 기어로서 구성된다. 제2 감속 기어(49)는, 커버(36)에 유지된 샤프트(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선 기어(49B)는, 후술하는 유성 기어 감속 기구(41)의 일부를 구성한다.
유성 기어 감속 기구(41)는, 제2 감속 기어(49)의 선 기어(49B)와,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유성 기어(56)와, 인터널 기어(57)와, 캐리어(58)를 갖는다. 유성 기어(56)는, 제2 감속 기어(49)의 선 기어(49B)에 맞물리는 톱니바퀴(56A)와, 캐리어(58)로부터 세워져 있는 핀(60)이 삽입 관통하는 구멍부(56B)를 갖는다. 4개의 유성 기어(56)는, 캐리어(58)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캐리어(58)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직경 방향 대략 중앙에 스플라인 구멍(5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캐리어(58)의 스플라인 구멍(58A)은, 전술한 볼 앤드 램프 기구(43)의 회전 직동 램프(65)의 원기둥부(70)의 선단에 마련한 스플라인 축부(71)와 감합함으로써, 캐리어(58)와 회전 직동 램프(65)로 서로 회전 토크를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캐리어(58)의 외주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핀용 구멍부(5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각 핀용 구멍부(58B)에는, 각 유성 기어(5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60)이 각각 유지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58) 및 각 유성 기어(56)는, 제1 하우징부(33)의 벽면(33A)과, 인터널 기어(57)의 제2 감속 기어(49)측에 일체적으로 마련한 환형 벽부(57B)에 의해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58)는, 상기 벽면(33A)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통형 벽부(33B)에 의해 직경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캐리어(58)와 각 유성 기어(56) 사이에는, 캐리어(58)의 외주를 덮는 커버(61)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인터널 기어(57)는, 각 유성 기어(56)의 톱니바퀴(56A)가 각각 맞물리는 내측 톱니(57A)와, 이 내측 톱니(57A)로부터 연속하여 제2 감속 기어(49)측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각 유성 기어(56)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환형 벽부(57B)를 구비한다. 이 인터널 기어(57)는, 축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제1 하우징부(33) 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32)는, 캘리퍼 본체(15)와 나란히 배치되어 제2 하우징부(34) 내에 수용되어 있다. 모터(32)의 회전축(32A)은, 커버(36)를 향해 연장되고, 선단측에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46)가 압입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모터(32)에는, 이 모터(32)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 수단인 전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ECU(121)가 버스바(130)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ECU(121)에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해제를 지시하기 위해 조작되는 파킹 스위치(12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6도 참조해 보면, 모터(32)의 본체부(32B)에는, 회전축(32A)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모터 단자(32C)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모터 단자(32C)는, 가늘고 긴 판형체로 구성되고, 회전축(32A)의 직경 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뒤에 상세히 기술하지만, 이들 모터 단자(32C)가, 각 버스바(130)의 모터측 소켓부(157)에 접속된다.
또한, 하우징(30)의 단부에는, 바닥 있는 내부 구멍(35A)을 갖는 통형의 커넥터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부(35)에는, ECU(121)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의 선단에 마련된 커넥터 플러그(도시 생략)가 내부 구멍(35A)에 감합하도록 접속된다. 커넥터부(35) 내에는, ECU(121)로부터의 커넥터 플러그 내의 접속 단자(도시 생략)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개의 공급 단자(131)가 마련되어 있다. 각 공급 단자(131)는, 금속제의 가늘고 긴 판형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공급 단자(131)는, 일단측이 커넥터부(35)의 내부 구멍(35A)의 직경 방향 중앙에서 축방향으로 뻗어, 커넥터부(35)와 제2 하우징부(34)의 벽부(35B)를 관통하고, 타단측이 제2 하우징부(34)의 내벽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공급 단자(131)의 버스바측 단부(131A)는, 제2 하우징부(34)의 내벽면으로부터 제1 감속 기구(47)[커버(36)측]를 향해 각각 연장되어 있다. 뒤에 상세히 기술하지만, 각 공급 단자(131)는 각 버스바(130)의 ECU측 소켓부(158)에 접속된다.
제2 하우징부(34) 내에는,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40)의 제1 감속 기어(47) 및 비감속 평기어(48)와, 모터(32)의 본체부(32B)와의 사이에, 수지제의 지지 부재(135)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135)는, 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135)는, 감속 기구로서의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40)의 제1 감속 기어(47) 및 비감속 평기어(48)가 배치되는 측의 영역(제1 영역)(136)과,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40)의 제1 감속 기어(47) 및 비감속 평기어(48)가 배치되지 않는 측의 영역(제2 영역)(137)으로 제2 하우징부(34) 내를 구획하도록 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135)는, 주체를 이루는 판형부(138)를 구비한다. 이 판형부(138)에는, 모터(32)의 회전축(32A)에 고정되는 피니언 기어(46)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140)이 마련되어 있다. 판형부(138)의 감속 기구측의 일측의 면(138A), 즉 제1 감속 기구(47) 및 비감속 평기어(48)가 배치되는 측의 영역(제1 영역)(136)에 대향하는 면(제1 면)(138A)에 있어서, 삽입 관통 구멍(140)의 둘레로부터 일부의 둘레벽이 개방되는 결락 원통부(139)가 돌출 형성된다. 이 결락 원통부(139)는, 피니언 기어(46)의 외주를,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덮도록 배치된다. 결락 원통부(139)의 둘레벽이 개방되는 부위에서, 제1 감속 기구(47)의 큰 톱니바퀴(47A)와 피니언 기어(46)가 맞물린다.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 즉 제1 감속 기구(47) 및 비감속 평기어(48)가 배치되지 않는 측의 영역(제2 영역)(137)에 대향하는 모터(32)측의 면(제2 면)(138B)에 있어서, 결락 원통부(139)의 둘레벽이 개방되는 부위로부터 하우징(30)의 커넥터부(35)측의 소정 위치에 원형의 돌출부(141)가 돌출된다. 판형부(138)의 일측의 면(제1 면)(138A)에서의 돌출부(141)의 위치에 구멍부(141A)가 마련되어 있다. 구멍부(141A)는, 제1 감속 기어(4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52)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결락 원통부(139)의 외주면과 판형부(138)의 일측의 면(138A)의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도록 복수의 리브(142)가 마련된다. 각 리브(142)는, 결락 원통부(139)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결락 원통부(139)의 선단면의 소정 위치에는, 원통형의 베어링부(14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143)의 직경 방향 대략 중앙에는 구멍부(143A)가 형성되고, 구멍부(143A)는, 비감속 평기어(4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53)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판형부(138)의 삽입 관통 구멍(140)의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 2개의 관통 구멍(145, 145)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145)에는, 모터(32)의 본체부(32B)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되는 각 모터 단자(32C)가 각각 삽입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판형부(138)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모터(32)와의 고정부(146)가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2지점, 마련되어 있다. 이들 고정부(146)는,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제2 면)(138B)으로부터 모터(32)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판형부(138)의 일측의 면(138A)에 있어서, 각 고정부(146)의 위치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바닥부에 삽입 관통 구멍(148)이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 관통 구멍(148)에는, 모터(32)의 플랜지부(32D)와 함께 지지 부재(135)를 하우징(30)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 볼트(147)가 삽입 관통된다. 이들 삽입 관통 구멍(148)은, 이들을 연결하는 선상에, 피니언 기어(46)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140)과, 각 모터 단자(32C)가 삽입 관통되는 각 관통 구멍(145, 145)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판형부(138)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커넥터부(35)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벽면의 바깥쪽에 지지부(15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150)는, 지지 부재(135)가 제2 하우징부(34) 내에 배치되었을 때에, 제1 하우징부(33)와 제2 하우징부(3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벽면(151)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뒤에 상세히 기술하지만, 이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에, 복수의 버스바(130)(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가 결합부에 의해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공통되는 디스크 브레이크(1)의 구성을 설명하고 있고,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의한 통상의 액압 브레이크로서의 디스크 브레이크(1)의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피스톤(25) 또는 푸시 로드(44)가 내측 브레이크 패드(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전진」으로 하고, 피스톤(25) 또는 푸시 로드(44)가 캘리퍼(4)[실린더 보어(20)]의 바닥벽(19)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후퇴」로 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踏力)에 따른 액압이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하여 액압 회로(모두 도시 생략)를 통해 캘리퍼(4) 내의 액압실(26)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피스톤(25)이 피스톤 시일(22)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비제동시의 원위치로부터 전진(도 3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내측 브레이크 패드(2)를 디스크 로터(D)에 압박한다. 그리고, 캘리퍼 본체(15)는, 피스톤(25)의 압박력의 반력에 의해 브래킷(5)에 대하여 도 3에서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로부(17)에 부착된 외측 브레이크 패드(3)를 디스크 로터(D)에 압박한다. 그 결과, 디스크 로터(D)가 한 쌍의 내측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2, 3)에 의해 끼워져 마찰력이 발생하고, 더 나아가서는 차량에 제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해방하면,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액압의 공급이 끊겨 액압실(26) 내의 액압이 저하되어 간다. 이에 의해, 피스톤(25)은, 피스톤 시일(22)의 탄성 변형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까지 후퇴하여 디스크 로터(D)가 한 쌍의 내측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2, 3)로부터 해방되고, 제동력이 해제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에 있어서, 예컨대 주차 브레이크로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상태로부터 파킹 스위치(122)가 조작되면, ECU(121)는, 버스바(130)를 통해 모터(32)에 그 전기 신호를 출력하여 피스톤(25)을 디스크 로터(D)에 근접하게 되는 회전 방향으로 모터(32)를 구동시킨다. 이 모터(32)의 구동에 의해,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40)를 통해 유성 기어 감속 기구(41)의 선 기어(49B)가 회전한다. 이 선 기어(49B)의 회전에 의해, 각 유성 기어(56)를 통해 캐리어(58)가 회전한다. 그리고, 캐리어(58)로부터의 회전력은, 회전 직동 램프(65)에 전달된다. 캐리어(58)로부터 회전 직동 램프(65)에의 회전력의 전달 초기에서는, 캐리어(58)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직동 램프(65), 회전 램프(66), 베이스 너트(101) 및 어저스터 너트(100)가 함께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어저스터 너트(100)의 회전에 의해, 나사 기구(45)인 어저스터 너트(100)의 암나사부(103)와 푸시 로드(44)의 수나사부(92)의 나사 결합부(45B)가 상대 회전하고, 푸시 로드(44)가 전진(도 3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푸시 로드(44)의 플랜지부(91)의 구형 볼록부(93)가 피스톤(25)의 바닥부(25A)에 접촉하여 피스톤(25)이 전진(도 3에서의 좌측 방향)하는 것이 된다.
그 후 모터(32)를 계속 구동시킴으로써, 피스톤(25)은, 푸시 로드(44)의 이동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2, 3)를 통해 디스크 로터(D)를 압박하기 시작한다. 이 압박력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어저스터 너트(100)의 회전이 정지한다. 그러면, 회전 직동 램프(65)는 회전하면서 전진하고, 회전 램프(66)가 회전 직동 램프(65)와의 회전차가 생기면서 회전함으로써, 베이스 너트(101)의 암나사부(115)와 어저스터 너트(100)의 수나사부(102)의 나사 결합부(45A)가 상대 이동하여 어저스터 너트(100)가 축방향으로 전진(도 3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어저스터 너트(100)가 축방향으로 전진함으로써, 푸시 로드(44)를 통해 피스톤(25)에 압박력이 가해져, 피스톤(25)의 디스크 로터(D)에의 압박력이 증대된다.
그리고, ECU(121)는, 한 쌍의 내측 및 외측 브레이크 패드(2, 3)로부터 디스크 로터(D)에의 압박력이 소정값, 즉 모터(32)에 공급되는 전류값이 소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32)를 구동한다. ECU(121)는, 디스크 로터(D)에의 압박력이 소정값에 도달한 것을 모터(32)의 전류값이 소정값에 도달한 것에 의해 검출하면, 모터(32)에의 통전을 정지한다. 여기서, 회전 램프(66)에는, 디스크 로터(D)에의 압박력의 반력이 피스톤(25) 및 회전 직동 램프(65)를 통해 작용하지만, 어저스터 너트(100)는 푸시 로드(44)와의 사이에서 역작동하지 않는 암나사부(103)와 수나사부(92)로 나사 결합되고, 또한 베이스 너트(101)도 어저스터 너트(100)와의 사이에서 역작동하지 않는 암나사부(115)와 수나사부(102)로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램프(66)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 상태가 유지되어, 피스톤(25)이 제동 위치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제동력의 기계적인 유지가 이루어져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이 완료된다.
한편,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할 때는, 파킹 스위치(122)의 파킹 해제 조작에 기초하여, ECU(121)는, 피스톤(25)을 복귀시키는, 즉 피스톤(25)을 디스크 로터(D)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는 회전 방향으로 모터(32)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40)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1)가 피스톤(25)을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최종적으로 푸시 로드(44)가 피스톤(25)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후퇴(도 3에서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다음에, 지지 부재(135)에 버스바(130)가 결합부에 의해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는 제1 실시형태를, 도 5, 도 7 내지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에, 뒤에 상세히 기술하는 복수의 버스바(130)(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가 결합부에 의해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버스바(130)는,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40)의 제1 감속 기어(47) 및 비감속 평기어(48)가 배치되지 않는 측의 영역(제2 영역)(137)에 배치되게 된다.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에는, 결합부로서의 복수의 결합 핀(155)이, 버스바(130)가 배치되는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결합 핀(155)은, 하나의 버스바(130)에 대하여 2개, 총 4개 마련되어 있다. 각 결합 핀(155)은, 전체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서, 2개의 반원형 기둥부(155A, 155B)가 간격(154)을 두고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결합 핀(155)은, 버스바(130)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한쪽 반원형 기둥부(155A)와 다른 쪽 반원형 기둥부(155B)를 버스바(13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나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쪽 반원형 기둥부(155A)의 평면 범위와, 다른 쪽 반원형 기둥부(155B)의 평면 범위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154)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 반원형 기둥부(155A)와, 다른 쪽 반원형 기둥부(155B)에는, 판형부(138)로부터 상승하는 길이가 버스바(130)의 두께 치수보다 긴 기둥 본체부(155C, 155D)와, 그 선단에 기둥 본체부(155C, 155D)측보다 대직경 반원형으로 된 팽출부(155E, 155F)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원형 기둥부(155A)와 반원형 기둥부(155B)는, 버스바(13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나열하도록 구성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버스바(130)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나열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결합 핀(155)은, 전술한 바와 같이 2분할하는 것 외에, 3분할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도 3, 도 5,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스바(130)는, 하우징(30)의 커넥터부(35) 내에 배치된 공급 단자(131)와, 모터(32)로부터의 모터 단자(32C)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나의 버스바(130)는, 모터(32)로부터의 하나의 모터 단자(32C)와, 하우징(30)의 커넥터부(35) 내의 하나의 공급 단자(131)를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버스바(130)는, 예컨대 구리 합금 등의 도전성이 좋은 금속으로 가늘고 긴 판형체로 구성된다.
버스바(130)는, 그 주체를 이루며 가늘고 긴 판형으로 형성되는 판형 본체부(156)와, 이 판형 본체부(156)의 일단에 형성되어, 모터 단자(32C)와 접속되는 탄성 접속부로서의 모터측 소켓부(157)와, 판형 본체부(156)의 타단에 형성되어, 공급 단자(131)와 접속되는 탄성 접속부로서의 ECU측 소켓부(1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판형 본체부(156)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는, 버스바(13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 구멍(159)이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 구멍(159)에는, 지지 부재(135)에 마련된 각 결합 핀(155)이 각각 삽입된다. 여기서, 지지 구멍(159)의 구멍 치수는, 전술한 결합 핀(155)이 자연 상태에 있을 때의 팽출부(155E, 155F)가 이루는 외경 치수보다 작고, 결합 핀(155)이 자연 상태에 있을 때의 기단부(155C, 155D)가 이루는 외경 치수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모터측 소켓부(157)는, 판형 본체부(156)의 일단에 형성되는 삽입 관통 구멍(162)과, 판형 본체부(156)의 지지 부재(135)와 접촉하지 않는 측에서, 삽입 관통 구멍(162) 내에서 모터(32)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직사각형 접촉자(163, 163)와, 판형 본체부(156)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모터(32)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후에 서로 내측으로 절곡되어 한 쌍의 직사각형 접촉자(163, 163)에 각각 접속되는 접촉 단자부(165, 165)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직사각형 접촉자(163, 163)는, 이들 사이에 모터(32)의 모터 단자(32C)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공간(164)이 마련되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한 쌍의 직사각형 접촉자(163, 163) 사이의 삽입 공간(164)은, 버스바(130)가 지지 부재(135)에 유지된 상태에서, 판형 본체부(156)의 삽입 관통 구멍(162)과 평면에서 봤을 때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직사각형 접촉자(163, 163)는, 서로 근접하거나 멀리 떨어질 수 있게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한 쌍의 직사각형 접촉자(163, 163) 사이에 모터 단자(32C)가 삽입될 때에, 서로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그 삽입을 저해하지 않으며, 삽입 후에 모터 단자(32C)와 한 쌍의 직사각형 접촉자(163, 163)를 밀착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버스바(130)의 타단에 마련한 ECU측 소켓부(158)는, 한 쌍의 직사각형 접촉자(163, 163)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반원형 접촉자(16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반원형 접촉자(166, 166)는, 판형 본체부(156)의 타단에 모터(32)측이 되는 방향으로 굴곡시켜 마련된 광폭 단부(167)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서로 내측으로 반원 형상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광폭 단부(167)와, 각 반원형 접촉자(166, 166) 각각의 단부 사이에 삽입 공간(168)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버스바(130)를 지지 부재(135)에 부착할 때는,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에 구비한 각 결합 핀(155)과 버스바(130)에 형성한 대응하는 각 지지 구멍(159)을 위치를 맞춰 각 지지 구멍(159)에 각 결합 핀(155)을 각각 압입하도록 삽입한다. 이때, 각 결합 핀(155)의 팽출부(155E, 155F)가 이들 사이의 간극(154)을 줄이도록 근접하고 각 반원형 기둥부(155A, 155B)가 그 기부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탄성 변형하여, 팽출부(155E, 155F)가 지지 구멍(159)을 빠져 나가면, 각 반원형 기둥부(155A, 155B)는 원래의 간극(154)이 있는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하여, 버스바(130)는,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에 각 결합 핀(155)에 의해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공급 단자(131) 및 모터 단자(32C)와 접속하기 전의 상태에서, 팽출부(155E, 155F)에 의해 지지 부재(135)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부착된다.
또한, 지지 부재(135)를 하우징(30)에 부착할 때에, 버스바(130)의 타단부에 마련한 ECU측 소켓부(158)의 각 반원형 접촉자(166, 166)의 삽입 공간(168)에, 하우징(30)의 커넥터부(35) 내에서 연장되는 공급 단자(131)의 버스바측 단부(131A)를 삽입하고, 버스바(130)의 일단부에 마련한 모터측 소켓부(157)의 각 직사각형 접촉자(163, 163) 사이의 삽입 공간(164)에 모터(32)로부터의 모터 단자(32C)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부재(135)를 하우징(30)에 부착함으로써, 공급 단자(131)와 모터 단자(32C)가 버스바(1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에서는, 하우징(30)의 커넥터부(35) 내에서 연장되는 공급 단자(131)의 버스바측 단부(131A)와, 모터(32)로부터의 모터 단자(32C)를, 금속제의 판형재인 버스바(1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32)와 공급 단자(131)와의 접속을 강고하게 할 수 있고, 그 접속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130)는,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40)의 제1 감속 기어(47) 및 비감속 평기어(48)가 배치되는 측의 영역(제1 영역)(136)과, 이들이 배치되지 않는 측의 영역(제2 영역)(137)으로 구획한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에 각 결합 핀(155)에 의해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버스바(130)는, 지지 부재(135)에 의해, 특히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40)의 제1 감속 기어(47)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제1 감속 기어(47)의 구동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에서는, 버스바(130)를,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에 구비한 각 결합 핀(155)이 버스바(130)에 형성한 대응하는 각 지지 구멍(159)에 삽입되어, 각 결합 핀(155)의 선단의 팽출부(155E, 155F)에 의해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며,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에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디스크 브레이크(1)의 작동시에, 지지 부재(135)로부터의 진동이 버스바(130)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버스바(13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35)로부터의 진동이 버스바(130)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버스바(130)와 공급 단자(131)의 버스바측 단부(131A)의 접속, 및 버스바(130)와 모터 단자(32C)의 접속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접촉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에서는, 버스바(130)에 있어서, 공급 단자(131)의 버스바측 단부(131A)가 삽입되는 ECU측 소켓부(158)를 탄성 접속부로 구성하는 한편, 모터(32)로부터의 모터 단자(32C)가 삽입되는 모터측 소켓부(157)도 탄성 접속부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 부위에서의 접촉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제2 면)(138B)에 버스바(130)를 결합부에 의해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제2 실시형태를 도 13 및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의 단부측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결합부로서의 결합 핀(180)이 1지점 마련되고, 이 결합 핀(180)의 양측에, 버스바(130)의 판형 본체부(156)를 폭방향으로 사이에 두고 지지하는, 결합부로서 한 쌍의 지지 기둥(181, 18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 핀(180)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한쪽 반원형 기둥부(180A)와 다른 쪽 반원형 기둥부(180B)를 갖고, 이들 사이에 간극(154)을 두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각 반원형 기둥부(180A, 180B)는, 버스바(130)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나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반원형 기둥부(180A, 180B)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기둥 본체부(180C, 180D)와, 이 기둥 본체부(180C, 180D)의 선단에 마련한 팽출부(180E, 180F)를 구비한다. 또한, 한 쌍의 지지 기둥(181, 181)은, 그 간격이 버스바(130)의 폭 치수보다 길도록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으로부터 세워져 있고, 선단측에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로부(181A, 181A)가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181A, 181A)의 선단면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에는, 버스바(130)의 판형 본체부(156)의 삽입 관통 구멍(162)에 근접한 부위를 폭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기둥(182, 182)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들 한 쌍의 지지 기둥(182, 182)은, 전술한 한 쌍의 지지 기둥(181, 18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며, 그 선단측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로부(182A, 18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스바(130)를 지지 부재(135)에 부착할 때는,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제2 면)(138B)에, 버스바(130)를 한 쌍의 지지 기둥[181, 181(182,182)] 사이를 따르도록 배치하고,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에 구비한 결합 핀(180)을 버스바(130)의 지지 구멍(159)에 위치를 맞추며, 한 쌍의 지지 기둥(181, 181)과 한 쌍의 지지 기둥(182, 182)의 선단 사이에 버스바(130)를 그 폭방향 양단부가 접촉하도록 위치를 맞춘다. 그리고, 버스바(130)를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138B)에 근접하도록 압입함으로써, 결합 핀(180)을 구성하는 각 반원형 기둥부(180A, 180B)의 팽출부(180E, 180F)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또한 한 쌍의 지지 기둥(181, 181)의 클로부(181A, 181A) 및 한 쌍의 지지 기둥(182, 182)의 클로부(182A, 182A)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 핀(180), 한 쌍의 지지 기둥(181, 181) 및 한 쌍의 지지 기둥(182, 182)이 탄성 변형한다. 버스바(130)가 더 압입되어, 결합 핀(180)의 팽출부(180E, 180F), 한 쌍의 지지 기둥(181, 181)의 클로부(181A, 181A) 및 한 쌍의 지지 기둥(182, 182)의 클로부(182A, 182A)를 빠져 나가면, 버스바(130)가 결합 핀(180), 한 쌍의 지지 기둥(181, 181) 및 한 쌍의 지지 기둥(182, 182)에 의해,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제2 면)(138B)에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에,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제2 면)(138B)에 버스바(130)를 결합부에 의해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제3 실시형태를 도 15 및 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15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도 11과 같은 부위의 단면도이며,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결합부로서의 결합 핀(190)이 제1 실시형태의 결합 핀(155)과 같이 분할되어 있지 않는 점에서 상이하다. 결합 핀(190)은, 버스바(130)가 지지 부재(135)에 유지되기 전의 상태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135)의 판형부(138)의 타측의 면(제2 면)(138B)으로부터 세워져 있는 원기둥 부재로 되어 있다. 그리고, 버스바(130)를 결합 핀(190)의 기둥 본체부(191)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결합 핀(190)의 선단에 열을 가하여,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팽출부(192)를 결합 핀(190)의 선단에 형성함으로써, 버스바(130)를 지지 부재(135)에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3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3 실시형태에서는, 결합 핀(155)의 팽출부(155E, 155F), 결합 핀(180)의 팽출부(180E, 180F) 및 결합 핀(190)의 팽출부(192)를 결합 핀(155, 180, 190)에 일체 성형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 핀(155, 180, 190)과 별도의 부재, 예컨대 E형 클립이나 고무 캡 등으로 팽출부를 형성한 결합 핀(155, 180, 190)에 의해 버스바(130)를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제3 실시형태에서는, 결합 핀(155, 180, 190)을 지지 부재(135)에 일체 성형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 핀(155, 180, 190)을 지지 부재(135)와는 별도의 부재로 하여, 버스바(130)를 지지 부재(135)에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결합부로서 결합 핀(180) 및 한 쌍의 지지 기둥(181, 181, 182, 182)을 병용했지만,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도 좋고, 또한 결합부로서는, 결합 핀(155, 180, 190)이나 지지 기둥(181, 181, 182, 18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스테이플러의 철침(綴針)과 같은 것으로,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에 의해 디스크에 패드를 압박하는 캘리퍼와, 이 캘리퍼에 마련되고,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피스톤 구동 기구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상기 피스톤 구동 기구는, 상기 전동 모터가 고정되고, 이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감속 기구를 내포하는 하우징을 가지며, 이 하우징에는, 상기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단자를 갖는 커넥터부가 형성되고, 이 커넥터부의 공급 단자와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단자는, 금속제의 판형재로 형성되는 버스바로 접속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부의 공급 단자와 전동 모터의 모터 단자가, 금속제의 판형재로 형성되는 버스바로 접속되기 때문에, 모터와 커넥터부의 접속을 강고하게 할 수 있어, 그 접속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감속 기구가 있는 제1 영역과, 상기 감속 기구가 없는 제2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버스바를 상기 감속 기구가 없는 제2 영역에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스바는, 감속 기구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감속 기구의 구동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감속 기구가 있는 영역과, 상기 감속 기구가 없는 영역을, 상기 전동 모터를 지지하는 판형 부재에 의해 구획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스바는, 전동 모터를 지지하는 판형 부재에 의해 감속 기구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감속 기구의 구동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판형 부재는, 상기 버스바를 상기 판형 부재에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결합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디스크 브레이크의 작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이 판형 부재를 통해 버스바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버스바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와 커넥터부의 공급 단자와의 접속, 및 버스바와 전동 모터의 모터 단자와의 접속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접촉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감속 기구가 있는 제1 영역과, 상기 감속 기구가 없는 제2 영역으로 구획하는 판형 부재를 가지며, 상기 판형 부재는, 상기 버스바를 상기 판형 부재에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결합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스바는, 전동 모터를 지지하는 판형 부재에 의해 감속 기구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감속 기구의 구동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브레이크의 작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이 판형 부재를 통해 버스바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버스바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와 커넥터부의 공급 단자와의 접속, 및 버스바와 전동 모터의 모터 단자와의 접속에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른 접촉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판형 부재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의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1 면(일측의 면)이 상기 감속 기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를 지지하며, 상기 제2 면(타측의 면)이 상기 전동 모터와 대향하여,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지지 부재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스바는, 지지 부재에 의해 감속 기구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감속 기구의 구동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의 제2 면(타측의 면)에 상기 버스바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스바는, 지지 부재에 의해 감속 기구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감속 기구의 구동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버스바는, 그 양단에, 상기 커넥터부의 공급 단자와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단자 각각과 탄성적으로 접속하는 탄성 접속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스바의 접촉 부위에서의 접촉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1: 디스크 브레이크 2: 내측 브레이크 패드
3: 외측 브레이크 패드 4: 캘리퍼
15: 캘리퍼 본체 16: 실린더부
20: 실린더 25: 피스톤
30: 하우징 32: 모터(전동 모터)
32C: 모터 단자 33: 제1 하우징부
34: 제2 하우징부 35: 커넥터부
39: 피스톤 구동 기구 40: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
41: 유성 기어 감속 기구 52: 샤프트
53: 샤프트 121: ECU
130: 버스바 131: 공급 단자
135: 지지 부재(판형 부재)
136: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의 제1 감속 기어 및 비감속 평기어 배치되는 측의 영역(제1 영역)
137: 평기어 다단 감속 기구의 제1 감속 기어 및 비감속 평기어가 배치되지 않는 측의 영역(제2 영역)
138: 판형부 138A: 일측의 면(제1 면)
138B: 타측의 면(제2 면) 150: 지지부
155: 결합 핀 156: 판형 본체부
157: 모터측 소켓부(탄성 접속부) 158: ECU측 소켓부(탄성 접속부)
159: 지지 구멍 D: 디스크 로터

Claims (8)

  1.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에 의해 디스크에 패드를 압박하는 캘리퍼와,
    상기 캘리퍼에 마련되고,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피스톤 구동 기구
    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상기 피스톤 구동 기구는, 상기 전동 모터가 고정되고,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감속 기구를 내포하는 일체의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일체의 하우징에, 상기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단자를 갖는 커넥터부가 형성되고, 상기 감속 기구를 유지하는 판형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판형 부재는, 상기 일체의 하우징 내를 상기 감속 기구가 있는 제1 영역과, 상기 감속 기구가 없는 제2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공급 단자는, 일단측이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하우징의 벽부를 관통하며, 타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제2 영역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동 모터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제2 영역에 상기 판형 부재를 향하여 뻗는 단자를 갖고,
    상기 커넥터부의 공급 단자와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단자는, 금속제의 판형재로 형성되는 버스바로 접속되며,
    상기 버스바는 상기 판형 부재에 유지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와 상기 판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부재는, 상기 버스바를 상기 판형 부재에 유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부재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의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감속 기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를 지지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전동 모터와 대향하여,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지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제2 면에 상기 버스바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그 양단에, 상기 커넥터부의 공급 단자와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단자 각각과 탄성적으로 접속하는 탄성 접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080968A 2012-07-31 2013-07-10 디스크 브레이크 Active KR102069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0458A JP6029373B2 (ja) 2012-07-31 2012-07-31 ディスクブレーキ
JPJP-P-2012-170458 2012-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815A KR20140016815A (ko) 2014-02-10
KR102069388B1 true KR102069388B1 (ko) 2020-01-22

Family

ID=4994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968A Active KR102069388B1 (ko) 2012-07-31 2013-07-10 디스크 브레이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00240B2 (ko)
JP (1) JP6029373B2 (ko)
KR (1) KR102069388B1 (ko)
CN (1) CN103573871B (ko)
DE (1) DE102013214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2511A (ja) * 2011-09-28 2013-04-2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CN103946079B (zh) * 2011-11-30 2017-06-23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制动装置
GB2522641B (en) * 2014-01-30 2016-03-09 Newbridge Brake Ltd Brake caliper
ES2735997T3 (es) 2014-03-21 2019-12-23 Ims Gear Se & Co Kgaa Disposición de actuador
ES2736020T3 (es) * 2014-03-21 2019-12-23 Ims Gear Se & Co Kgaa Disposición de actuador
KR20150117116A (ko) * 2014-04-09 2015-10-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KR102228030B1 (ko) * 2014-07-31 2021-03-15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브레이크
JP2016056848A (ja) 2014-09-08 2016-04-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US9340185B1 (en) 2014-11-04 2016-05-17 Jeffrey C. Brown Methods and apparatus for braking
US10289961B2 (en) * 2014-11-24 2019-05-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senting anticipated user search query results prompted by a trigger
WO2016104685A1 (ja) 2014-12-26 2016-06-30 マツダ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DE112015005792B4 (de) 2014-12-26 2021-09-0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cheibenbremse
JP6341851B2 (ja) * 2014-12-26 2018-06-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6474271B2 (ja) * 2015-02-12 2019-02-27 株式会社ミツバ アクチュエータ
US10197148B2 (en) 2015-02-12 2019-02-05 Mitsuba Corporation Actu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352202B2 (ja) 2015-02-16 2018-07-04 株式会社ミツバ ブレーキ用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ブレーキ装置
JP6518525B2 (ja) * 2015-06-16 2019-05-22 株式会社ミツバ アクチュエータ
KR20170035389A (ko) * 2015-09-22 2017-03-31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JP6443354B2 (ja) 2016-01-22 2018-12-26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電動制動装置
JP6640333B2 (ja) 2016-04-18 2020-02-05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US10184536B2 (en) 2016-09-23 2019-01-22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Brake piston
KR102672824B1 (ko) * 2017-02-21 2024-06-05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JP6908425B2 (ja) * 2017-04-20 2021-07-28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導電性部材の固定構造
DE202017104469U1 (de) * 2017-07-27 2018-10-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ischer Bremsaktuator eines Kraftfahrzeugs
KR102017083B1 (ko) * 2017-10-30 2019-09-03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US10794442B2 (en) * 2018-02-06 2020-10-06 Mando Corporation Electromechanical actuator package with multi-stage belt drive mechanism
US10811934B2 (en) * 2018-02-06 2020-10-20 Mando Corporation Electromechanical actuator package with belt drive mechanism for steer-by-wire hand wheel actuator
JP6603769B2 (ja) * 2018-08-29 2019-11-06 株式会社ミツバ ブレーキ用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ブレーキ装置
US10781911B2 (en) 2018-09-13 2020-09-22 Cnh Industrial America Llc Planetary gear assembly
DE102018132267A1 (de) * 2018-12-14 2020-06-18 Zf Active Safety Gmbh Planetenradträger für ein Planetenradgetriebe einer elektromechanischen Brems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lanetenradgetriebe und Brem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KR102671511B1 (ko) * 2019-01-30 2024-06-03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기 기계식 디스크 브레이크
US11745714B2 (en) * 2021-04-09 2023-09-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for electronic parking brake actu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1160A (ja) 2000-07-14 2002-01-31 Kyocera Mita Corp 電磁クラッチ
US20060180413A1 (en) 2003-03-18 2006-08-17 Georg Halasy-Wimmer Actuator unit for an electromechanically actuatable disk brake
DE102007034327A1 (de) 2007-07-24 2009-01-29 Robert Bosch Gmbh Elektromotor, insbesondere Stell- oder Antriebsmotor in Kraftfahrzeugen
JP2011179656A (ja) 2010-03-03 2011-09-15 Nissin Kogyo Co Ltd 車両用電動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7485B2 (ja) * 1997-12-17 2005-03-09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圧力制御装置
JP4154883B2 (ja) * 2001-11-01 2008-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ブレーキ装置
US7021415B2 (en) * 2002-02-01 2006-04-04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Electro-mechanical actuator for an electrically actuated parking brake
JP4602190B2 (ja) * 2005-08-04 2010-12-22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DE102006037660A1 (de) * 2005-11-04 2007-07-1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sche Fahrzeugbremse mit integrierter elektromotorisch betätigbarer Feststellbremse
JP4792420B2 (ja) * 2007-03-27 2011-10-12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JP4407712B2 (ja) * 2007-03-28 2010-0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及び電動ブレーキ装置
JP5370663B2 (ja) * 2009-08-03 2013-12-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倍力装置
JP5317201B2 (ja) 2009-09-30 2013-10-16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DE102009060201A1 (de) 2009-12-23 2011-06-30 Lucas Automotive GmbH, 56070 Unterbaugruppe für einen elektromechanischen Bremsaktor
JP5499930B2 (ja) * 2010-06-18 2014-05-21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電動ブレーキ装置
JP2012007674A (ja) * 2010-06-24 2012-01-1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321719B1 (ko) * 2013-04-17 2013-10-28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1160A (ja) 2000-07-14 2002-01-31 Kyocera Mita Corp 電磁クラッチ
US20060180413A1 (en) 2003-03-18 2006-08-17 Georg Halasy-Wimmer Actuator unit for an electromechanically actuatable disk brake
DE102007034327A1 (de) 2007-07-24 2009-01-29 Robert Bosch Gmbh Elektromotor, insbesondere Stell- oder Antriebsmotor in Kraftfahrzeugen
JP2011179656A (ja) 2010-03-03 2011-09-15 Nissin Kogyo Co Ltd 車両用電動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29373B2 (ja) 2016-11-24
US20140034430A1 (en) 2014-02-06
JP2014029193A (ja) 2014-02-13
CN103573871B (zh) 2017-12-15
US9500240B2 (en) 2016-11-22
CN103573871A (zh) 2014-02-12
KR20140016815A (ko) 2014-02-10
DE102013214740A1 (de)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388B1 (ko) 디스크 브레이크
CN111902650B (zh) 盘式制动器以及行星齿轮减速机构
KR102228030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40042722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215015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596819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4066281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257804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612554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7522512A (ja) 車のブレーキアクチュエータ
JP634185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44836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703402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373188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353784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99491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713358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612554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2720201B1 (ko)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JP6305264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913229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WO2018123562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7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