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284B1 - 이차전지 음극 보호용 중간층,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음극 보호용 중간층,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9284B1 KR102069284B1 KR1020180038336A KR20180038336A KR102069284B1 KR 102069284 B1 KR102069284 B1 KR 102069284B1 KR 1020180038336 A KR1020180038336 A KR 1020180038336A KR 20180038336 A KR20180038336 A KR 20180038336A KR 102069284 B1 KR102069284 B1 KR 1020692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thium
- negative electrode
- secondary battery
- current collector
- batte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 B05D1/2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substances to be applied floating on a fluid
- B05D1/202—Langmuir Blodgett films (LB fil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5—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9—Stee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따라서, 본 발명은 음극소재 박막 상에 기공구조 패턴된 3차원 금속 집전체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리튬이온의 빠른 확산 및 안정한 전착을 통해 덴드라이트의 생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리튬금속 전극과 전해액 사이의 부반응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이고 높은 쿨롱 효율을 갖는 리튬금속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차전지 음극 보호용 중간층(금속 집전체의 3차원 구조) 이미지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리튬금속 전극과 실시예 3-1(구리 3차원 금속 집전체)에 따른 음극 보호용 중간층이 적용된 리튬전극을 사용한 비대칭셀에 대한 쿨롱효율 결과로서, 전류밀도 1 mA cm-2 와 전기용량 1 mAh cm-2, 전해질(0.5M LiTFSI 0.5M LiFSI 0.05M LiPF6 in FEC:DMC (3:7 wt%)에서 구한 쿨롱효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리튬금속 전극과 실시예 3-1(구리 3차원 금속 집전체)에 따른 음극 보호용 중간층이 적용된 리튬전극을 사용한 비대칭셀에 대한 쿨롱효율 결과로서, 전류밀도 5 mA cm-2 와 전기용량 5 mAh cm-2, 전해질(0.5M LiTFSI 0.5M LiFSI 0.05M LiPF6 in FEC:DMC (3:7 wt%)에서 구한 쿨롱효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리튬금속 전극과 실시예 3-2(알루미늄 3차원 금속 집전체)에 따른 음극 보호용 중간층이 적용된 리튬전극을 사용한 리튬 대칭셀에 대한 과전압 변화 결과로서, 전류밀도 1 mA cm-2 와 전기용량 1 mAh cm-2, 전해질(0.5M LiTFSI 0.5M LiFSI 0.05M LiPF6 in FEC:DMC (3:7 wt%)에서 구한 과전압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리튬금속 전극과 실시예 3-2(알루미늄 3차원 금속 집전체)에 따른 음극 보호용 중간층이 적용된 리튬전극을 사용한 리튬 대칭셀에 대한 과전압 변화 결과로서, 전류밀도, 1 mA cm-2 와 전기용량, 1 mAh cm-2, 전해질(0.6M LiTFSI 0.4M LiBOB 0.05M LiPF6 in EC:DMC (4:6 wt%)에서 구한 과전압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리튬금속 전극과 실시예 3-2(알루미늄 3차원 금속 집전체)에 따른 음극 보호용 중간층이 적용된 리튬전극을 사용한 리튬 대칭셀의 AC 임피던스 측정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a-b) 실시예 2-2(알루미늄 3차원 금속 집전체)에 따른 그래핀 나노입자가 코팅된 음극 보호용 중간층과 (c-e) 실시예 1-2(알루미늄 3차원 금속 집전체)에 따른 음극 보호용 중간층의 표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이다.
도 9는 상용 NCM 양극과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리튬금속, 실시예 3-1(구리 3차원 금속 집전체)에 따른 음극 보호용 중간층을 사용한 리튬금속, 및 실시예 3-3(구리 3차원 금속 집전체)에 따른 그래핀 나노입자를 코팅한 음극 보호용 중간층을 사용한 리튬금속을 음극으로 적용한 리튬금속 이차전지의 0.6M LiTFSI 0.4M LiBOB 0.05M LiPF6 in EC:DMC (4:7 wt%) 전해질 및 1 C 충방전 조건에서의 전지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3)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음극소재 박막;
상기 음극소재 박막 상에 형성되고, 기공구조 패턴된 3차원 금속 집전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음극 보호용 중간층; 및
상기 이차전지 음극 보호용 중간층 표면 상에 그래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체-전해질 중간상(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 음극 보호용 중간층에서,
상기 기공구조 패턴은 화산모양으로 치솟는 형태의 기공이 서로 이격되어, 상하 교대로 분포하는 형태이고,
상기 기공의 크기는 50 내지 70 μm이고,
상기 이격거리는 90 내지 110 μm 이고,
상기 3차원 금속 집전체는 구리이고,
상기 고체-전해질 중간상은 이차전지 제조시 분리막과 바라보게 설치되는 것인, 이차전지용 음극. - 제5항에 따른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리튬금속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의 양극은 리튬코발트산화물, 리튬망간산화물, 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산화물, 리튬니켈망간코발트산화물, 리튬인산철산화물 또는 황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거나, 다공질의 공기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5항에 따른 음극을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로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 저장장치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디바이스. - (a) 기공구조 패턴된 3차원 금속 집전체 표면 상에 그래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체-전해질 중간상(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음극소재 박막 상에 기공구조 패턴된 3차원 금속 집전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극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기공구조 패턴은 화산모양으로 치솟는 형태의 기공이 서로 이격되어, 상하 교대로 분포하는 형태이고,
상기 기공의 크기는 50 내지 70 μm 이며,
상기 이격거리는 90 내지 110 μm 이고,
상기 3차원 금속 집전체는 구리이고,
상기 고체-전해질 중간상은 이차전지 제조시 분리막과 바라보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LBS(Langmuir-Blodgett Scooping) 방법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의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8336A KR102069284B1 (ko) | 2018-04-02 | 2018-04-02 | 이차전지 음극 보호용 중간층,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8336A KR102069284B1 (ko) | 2018-04-02 | 2018-04-02 | 이차전지 음극 보호용 중간층,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5365A KR20190115365A (ko) | 2019-10-11 |
KR102069284B1 true KR102069284B1 (ko) | 2020-01-22 |
Family
ID=6821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8336A Active KR102069284B1 (ko) | 2018-04-02 | 2018-04-02 | 이차전지 음극 보호용 중간층,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928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351411A1 (en) * | 2020-05-06 | 2021-11-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US20220393228A1 (en) * | 2021-03-03 | 2022-12-08 |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e |
CN115060192B (zh) * | 2022-05-19 | 2024-12-31 | 徐州市恒源电器有限公司 | 一种基于极片表面三维形貌的锂离子电池性能表征方法 |
KR20240039499A (ko) * | 2022-09-19 | 2024-03-2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금속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전지, 및 리튬금속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
KR102614217B1 (ko) * | 2023-07-18 | 2023-12-15 | 주식회사 케이비엘러먼트 | 그래핀 코팅 금속 소재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열폭주 지연용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175582A1 (en) | 2002-12-05 | 2004-09-09 | Olin Corporation, A Corporation Of The Commonwealth Of Virginia | Laser ablation resistant copper foil |
KR101021489B1 (ko) | 2011-01-07 | 2011-03-16 | 전두표 |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 가공용 백업보드 |
KR20130116420A (ko) * | 2012-03-15 | 2013-10-24 | (주)오렌지파워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1920714B1 (ko) * | 2012-05-16 | 2018-11-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튬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
TWI632726B (zh) | 2014-10-21 | 2018-08-11 | 加川清二 | 微多孔金屬箔的製造方法及裝置 |
KR102148506B1 (ko) * | 2016-07-25 | 2020-08-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메쉬 형태의 집전체를 포함하는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140122B1 (ko) * | 2016-08-19 | 2020-07-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중 보호층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2018
- 2018-04-02 KR KR1020180038336A patent/KR102069284B1/ko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M.S. Kim et al., Fabricating multifunctional nanoparticle membranes by a fast layer-by-layer Langmuir-Blodgett process: application in lithium-sulfur batteries, J. Mater. Chem. A, 2016, 4, pp. 14709-14719 (2016.08.31.)* |
Qi Li et. al., 3D Porous Cu Current Collector/Li-Metal Composite Anode for Stable Lithium-Metal batteries, Adv. Funct. Mater. 2017, 27,1606422 (2017.03.2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5365A (ko) | 2019-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0849B1 (ko) | Nb2C 박막을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 | |
KR102069284B1 (ko) | 이차전지 음극 보호용 중간층,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 | |
KR101913338B1 (ko) | 랭뮤어-블로지트 박막층을 포함하는 리튬금속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TWI521773B (zh) | 以矽爲基底的多孔性陽極活性材料、彼之製法、及含該陽極活性材料之鋰二次電池 | |
CN111316478A (zh) | 使用硫族化物对锂金属阳极的异位固体电解质界面改性 | |
US10923726B2 (en) | Artificial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of a metallic anode for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mino-functionalized carbon structures to protect the anode material, a method for producing the anode and a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anode produced by the method | |
KR101972034B1 (ko) | 아미노 기능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박막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음극 보호용 고체-전해질 중간상,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 | |
KR101097244B1 (ko) | 리튬 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 | |
CN116093261A (zh) | 金属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锂金属电池负极的用途 | |
KR102046554B1 (ko) | 인(p) 도핑된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인조 고체-전해질 중간상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금속전지용 음극 | |
KR102059104B1 (ko) | 그래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체-전해질 중간상 보호층이 형성된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금속전지 | |
CN107408670B (zh) | 用于电化学装置的电极、其制备方法和包含其的电化学装置 | |
KR102046547B1 (ko) | 질소(n) 도핑된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인조 고체-전해질 중간상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금속전지용 음극 | |
KR102077160B1 (ko) | 리튬/탄소직물 복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200268B1 (ko) | 리튬 기반의 하이브리드 음극재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 | |
CN120033250A (zh) | 负极集流体及其制备方法、具备其的负极极片、锂二次电池 | |
KR102118023B1 (ko) | 이차전지 음극 보호용 인조 고체-전해질 중간상,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 | |
KR102100854B1 (ko) | Ti2C 박막을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 | |
CN111699575A (zh) | 锂二次电池用负极和包含所述锂二次电池用负极的锂二次电池 | |
KR102100876B1 (ko) | Ti3C2 박막을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 | |
KR102035778B1 (ko) | 아미노 기능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음극 보호용 고체-전해질 중간상,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 이차전지 | |
KR20190082826A (ko) | 전지 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갖는 전지 셀 | |
WO2018105807A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리륨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230082381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102207523B1 (ko) | 리튬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3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8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1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12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8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