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303B1 - A coupler for steel reinforcing bar - Google Patents
A coupler for steel reinforcing b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8303B1 KR102068303B1 KR1020190099212A KR20190099212A KR102068303B1 KR 102068303 B1 KR102068303 B1 KR 102068303B1 KR 1020190099212 A KR1020190099212 A KR 1020190099212A KR 20190099212 A KR20190099212 A KR 20190099212A KR 102068303 B1 KR102068303 B1 KR 1020683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bar
- joint
- rack member
- screw thread
- reinforcing ba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 연결 후 해당 철근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철근의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up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 new form to prevent the flow of the reinforcing bar after the conn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to make a solid conn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일반적으로 철근 커플러라 함은 두 철근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공되는 연결용 기구이다.In general, a rebar coupler is a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to connect two rebars to each other.
즉, 철근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제조시 철근의 길이를 정해진 길이에 이르기까지 연장하기 위해서는 통상 용접 작업을 수행하거나 혹은, 두 철근을 서로 겹치게 위치시킨 후 철사 등을 이용하여 감아서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 아니라 결합이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에 최근에는 철근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기 철근들을 서로 용접하지 않고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 서로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extend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 to a predetermined length when manufacturing a building structure using reinforcing bars, the welding work is usually performed, or the two rebar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n wound by using a wire or the like. Not only does it take a long time, but also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upling is not stable. In recent years, a rebar coupler can be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simple operation without welding the reinforcing bars so that the assembly can be improved. It is.
이러한 철근 커플러는 조작하우징의 양단 내측으로 철근을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쐐기형 랙부재 혹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각 철근이 취출되지 않도록 파지함으로써 두 철근 간이 서로 견고히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456517호, 등록특허 제10-0953941호, 등록특허 제10-1813377호, 등록특허 제10-1856706호, 등록특허 제10-168314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74814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The rebar coupler is connected to each other firmly by holding the wedge-shaped rack member provided in the operating housing or springs so that the rebars are not drawn out by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s into the both ends of the operating housing. In this regard, Patent No. 10-1456517, Patent No. 10-0953941, Patent No. 10-1813377, Patent No. 10-1856706, Patent No. 10-1683146, Utility Model No. 20 As described in -0474814.
즉,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철근 커플러는 쐐기형 랙부재를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여 그 내부로 삽입되는 철근이 유동된다 하더라도 상기 쐐기형 랙부재는 항상 상기 철근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escribed above is to allow the wedge-shaped rack member to always grip the reinforcing bar even if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spring is elastically installed by the wedge-shaped rack member.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철근 커플러는 각 쐐기형 랙부재 혹은, 스프링의 적용을 통해 철근을 강하게 당기거나 혹은, 밀어넣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더라도 해당 철근 자체의 복원력에 의한 잔류변형이 발생되어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흔들림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f the rebar coupl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escribed above can be fixed by pulling or pushing the reinforcing bars strongly by applying the respective wedge-shaped rack members or springs, residual deformation occurs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inforcing bars themselve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hake is bound to occur after a certain time.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 연결 후 해당 철근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철근의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flow of the reinforcing bars after the connection of the reinforcement and to make a solid connection of the rebar can be made It is to provide a rebar coupler according to the for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근 커플러에 따르면 관체로 형성되며, 내주면 중 일측편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됨과 더불어 타측편에는 제2나사산이 형성된 조작하우징; 복수로 제공되면서 철근의 둘레 일부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조작하우징 내의 제1나사산이 형성된 일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랙부재; 내부가 개방된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두 끝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면서 조작하우징 내의 제2나사산이 형성된 타측에 나사식으로 각각 결합되며,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내외를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된 조인트; 상기 조인트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상기 조인트 내로 삽입되는 철근과 상대물과의 사이에 박음 고정되는 박음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reinforcing 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of a tubular body, the first screw thread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second screw thread formed on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rack members, each of which is provid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reinforcing bar,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rack member be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crew thread in the operation housing; In addition to being formed as an open tube, the two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two ends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a screw threa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formed with the second screw thread in the operating housing, respectively,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Joints;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join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joint pinned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counterpart inserted into the j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여기서, 상기 조인트는 양측으로 개방된 관체로 형성되어 두 철근이 상기 조인트의 양측 내부로 삽입되면서 두 철근 서로가 서로간의 상대물을 이루도록 마주보게 위치되며, 상기 박음핀은 서로 마주보는 두 철근 간의 사이에 박음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joint is formed of a tubular body that is open to both sides so that the two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to the both sides of the joint, the two reinforcing bars to face each other to form a counterpart between each other, the pin is pin between the two bars facing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be locked in.
또한, 상기 조인트의 둘레면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이 연결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연결관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체 내에는 상기 철근의 상대물을 이루는 차단벽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체의 외주면에는 또 다른 조작하우징의 제2나사산에 나사식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또 다른 조작하우징 내의 제1나사산에는 또 다른 랙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차단벽과 철근의 끝단 사이를 향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박음핀은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관체 내로 삽입된 철근과 상기 차단벽 사이에 박음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or two or more connecting tubes protruding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are further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int, and a blocking wall forming a counterpart of the reinforcing bar is provided in the connecting tub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is threadedly coupled to the second screw thread of another operating housing, and another rack member is mounted on the first screw thread in the another operating housing, and the insertion hole includes the barrier wall and the reinforcing bar. It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between the ends of the, the dowel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be fixed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blocking wall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 through the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조작하우징의 제1나사산은 해당 조작하우징의 타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랙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조작하우징의 제1나사산과 동일한 경사 및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crew thread of the operation housing is gradually inclined inwardly towar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hou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ack member is formed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and curvature as the first screw thread of the operation housing, screwed toge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근 커플러를 이용한 철근 연결 방법은 내부에 각 랙부재가 수용된 두 조작하우징을 조인트의 양측에 각각 결합하는 제1단계; 철근을 각 조작하우징의 내부로 각각 삽입하는 제2단계; 상기 철근을 삽입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당겨 인장시킴과 더불어 상기 조인트의 단턱부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박음핀을 강제 압입하는 제3단계; 상기 철근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해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method using a re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step of coupling each of the two operating housings each rack member is accommodated on both sides of the joint; A second step of respectively inserting reinforcing bars into each of the operation housings; A third step of pulling the reinforcing bar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insertion direction and forcing a push pin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stepped portion of the joint; And a fourth step of releasing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 커플러는 두 철근 사이에 박음핀을 강제 압입하는 구조로 인해 상기 두 철근이 서로 간의 대향 방향 혹은, 대향 반대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between the two rebars due to the structure of forcing the push pin pin between the two rebars.
특히, 본 발명의 철근 커플러는 철근을 랙부재로 파지한 후 이 랙부재를 조작하우징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이중의 나사식 결합으로 결합함에 따라 더욱 견고한 철근의 연결이 가능하여 풀림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olding the reinforcing bar to the rack member coupled to the double screw thread coupling the rack member to the screw housing to the more rigid reinforcement can be connected to eliminate the fear of loosening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각 구성별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각 구성별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이용한 철근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각 상태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에 박음핀이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각 구성별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3과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3축 방향 철근 커플러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3축 방향 철근 커플러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서로 다른 외경의 두 철근 연결을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0는 도 19의 철근 커플러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엘보 구조의 철근 커플러에 대한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엘보 구조의 철근 커플러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o explain the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for explaining the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o explain the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ach state shown to explai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process using a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me pin is inserted into the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6 to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to explai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reinforcement using a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reinforcing bars using a three-axis rebar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reinforcing bar using the three-axis re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reinforcing bar using a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necting two reinforcing bars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FIG. 2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thereof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bar coupler of FIG. 19; FIG.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n to explain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rebar coupler of the elbow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taken to expla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bar coupler of the elbow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철근 커플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re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2.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각 구성별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각 구성별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rebar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는 크게 조작하우징(100)과, 랙부재(200)와, 조인트(300) 및 박음핀(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이중의 나사식 결합을 통한 철근(10)의 결합을 수행한 다음 두 철근(10) 사이에 박음핀(400)을 박음으로써 그 가압력에 의해 철근(10)과 랙부재(200)의 요철(11,210)이 어느 한 측에서 서로 밀착됨과 동시에 랙부재(200)의 나사산과 조작하우징(100)의 나사산 역시 어느 한 측에서 서로 밀착되기 때문에 해당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됨과 더불어 그 반대 방향으로의 유동은 상기 박음핀(40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먼저, 상기 조작하우징(100)은 외형을 이루는 부위로써, 철근(10)의 연결 및 파지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관체로 이루어진다.First, the
이와 같은 조작하우징(100)은 두 개로 제공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Such an
이와 함께, 상기 조작하우징(100)의 내주면 양측으로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thread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housing 100, respectively.
이때, 상기 나사산은 후술될 랙부재(2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나사산(110) 및 조인트(300)와의 결합을 위한 제2나사산(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this case, the screw thread includes a
또한, 상기 조작하우징(100)의 외주면 중 외측 끝단에는 툴(예컨대, 렌치 등)을 이용하여 강제로 회전 조작하면서 체결할 수 있도록 다각형의 표면을 갖는 체결조작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하우징(100)은 상기 체결조작부(140)를 가지고 있지 않은 원통형의 구조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다음으로, 상기 랙부재(200)는 철근(10)을 파지하면서 해당 철근(10)을 상기 조작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Next, the
이와 같은 랙부재(200)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각각 철근(10)의 둘레를 일부씩 감싸도록 제공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조작하우징(100) 내의 일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Such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랙부재(200)가 두 개로 분할되면서 서로 간의 협력에 의해 철근(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물론, 상기 랙부재(200)는 셋 이상의 복수로 분할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조립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조작하우징(100)과의 결합 작업 역시 어려워짐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이 야기되기 때문에 두 개로 분할 형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함께, 상기 랙부재(200)의 내주면은 적용 대상 철근(10)의 굵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랙부재(200)의 내주면에는 적용 대상 철근(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요철(11)과 동일한 형상의 요철(210)이 형성되면서 상기 철근(10)의 외면을 정확히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랙부재(200)를 각 종류에 따른 철근별로 준비함으로써 조작하우징(100)이나 조인트(300) 및 박음핀(400)은 모든 종류의 철근(10) 연결용으로 공용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요철(11,210)은 첨부된 도 1과 같은 통상적인 수직형의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첨부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선형의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상기 랙부재(200)의 외주면 양 끝단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결합링(201)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홈(220)이 더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다음으로, 상기 조인트(300)는 상기 두 조작하우징(100)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Next, the
이와 같은 조인트(300)는 내부가 개방된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양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조작하우징(100) 내의 타측에 나사식으로 각각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Such a
이와 함께, 상기 조인트(300)의 중앙측 부위는 상기 조작하우징(100)의 끝단을 받쳐주도록 단턱진 단턱부(310)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단턱부(310)에는 삽입공(320)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320)은 후술될 박음핀(400)이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결합용의 홀이다. 물론, 상기 삽입공(320)은 조인트(300) 내측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는 두 철근(10)의 끝단이 정위치에 놓여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창으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특히, 상기한 삽입공(320)은 상기 단턱부(310) 중 어느 한 부위에만 형성함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업 효율성의 향상을 위해 상기 삽입공(320)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됨과 더불어 서로는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조인트(300)의 중앙측 내주면에는 해당 조인트(300)의 내로 삽입되는 두 철근(10)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턱(330)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한 이격턱(330)의 추가 제공에 의해 상기 두 철근(10) 사이가 후술될 박음핀(400)의 박음 결합이 강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 spaced
이때, 상기한 이격턱(330)은 박음핀(400)의 직경을 고려하여 그 두께가 결정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박음핀(400)의 직경에 비해서는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여 두 철근(10) 사이 간격이 상기 박음핀(400)의 직경에 비해 좁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다음으로, 상기 박음핀(400)은 철근(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Next, the
이러한 박음핀(400)은 조인트(300)의 삽입공(320)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상기 조인트(300)의 일측 내로 삽입되는 철근(10)과 이 철근(10)에 인접한 상대물과의 사이에 박음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The driving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상대물이 상기 조인트(300)의 타측 내로부터 삽입되는 또 다른 철근(10)임을 그 예로 한다.In particula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nterpart is another reinforcing
즉, 두 철근(10)을 서로 최대한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두 철근(10) 사이에 박음핀(400)을 강제 압입함에 따라 상기 두 철근(1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as the two reinforcing
이와 같은 박음핀(400)은 원기둥 구조의 핀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300)의 삽입공(320)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상기 조인트(300) 내의 양측으로 삽입된 두 철근(10)의 사이에 박음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The driving
특히, 상기 박음핀(400)의 하단측 부위는 저부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조인트(300)의 이격턱(330)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위치되는 두 철근(10) 사이로 원활히 압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wn
하기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이용한 두 철근(10)의 연결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two reinforcing
먼저, 조인트(300)의 양측에 두 조작하우징(100)을 각각 결합한다.First, the two
이러한 조인트(300)와 조작하우징(100) 간의 결합시 상기 조인트(300)의 양측은 상기 각 조작하우징(100)의 일측 끝단면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 결합하며, 이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When coupling between the joint 300 and the
그리고, 상기한 조작하우징(1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연결하고자 하는 두 철근(10)의 끝단측 외면을 각 쌍의 랙부재(200)들로 감싸면서 파지한다.Then, when the coupling of the
이때, 상기 각 쌍의 랙부재(200)는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10)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되며, 이러한 각 랙부재(200)의 내면에는 해당 철근(10)의 외면에 형성된 요철(11)과 동일한 요철(210)이 형성되면서 상기 철근(10)을 견고히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한 랙부재(200)의 파지시에는 한편, 결합링(201)을 권취홈(220)에 권취함으로써 그 결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air of
다음으로, 상기 랙부재(200)들로 파지된 두 철근(10)을 각 조작하우징(100)의 내부로 각각 삽입하면서 나사식으로 결합한다. 이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Next, the two reinforcing
이때, 상기 결합은 두 철근(10)의 끝단이 상기 조인트(300) 내의 이격턱(330)에 맞닿을 때까지 수행하며, 특히 각 조작하우징(100)의 체결조작부(140)를 통해 전술된 철근(10)과 이격턱(330) 간의 맞닿음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coupling is performed until the ends of the two reinforcing
이의 상태에서 상기 조인트(300)의 단턱부(310)에 형성된 삽입공(320)으로 박음핀(400)을 강제 압입한다.In this state, the
이때, 상기 박음핀(400)은 수작업이 아닌 공구를 이용하여 강제로 두 철근(10) 사이에 압입 혹은, 나사산을 구성하여 회전 조작을 통해 조립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이렇듯, 상기 박음핀(400)의 압입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두 철근(10)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As such, when the
이의 과정에서 상기 철근(10)의 요철(11)과 랙부재(200)의 요철(210)은 어느 한 측이 서로 맞닿은 상태를 이룸과 더불어 상기 랙부재(200)의 나사산과 조작하우징(100)의 나사산 역시 어느 한 측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때 상기 철근(10)의 복원 이동은 상기 박음핀(400)이 방지하는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철근(10)은 해당 위치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this process, the
따라서, 상기 두 철근(10)은 잔류변형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박음핀(400)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됨과 더불어 서로 간의 사이에 위치된 박음핀(400)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도 유동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two reinforcing
특히, 상기 박음핀(400)의 압입 통한 두 철근(10)의 연결이 완료된 후 삽입공(320) 내로 에폭시 수지계, 무수축 폴리머 몰타르와 같은 경화제 등을 주입하여 상기 박음핀(400)이 원치않게 분리됨을 방지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철근(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삽입공(320)에 박음핀(400)을 압입하지 않고 상기 경화제를 주입할 경우에도 이 경화제가 사실상의 박음핀(400)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 실시가 가능하다.In particular, after the connection of the two reinforcing
결국, 본 발명의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연결 방법은 두 철근(10) 사이에 박음핀(400)을 삽입하는 구조로 인해 상기 두 철근(10)이 서로 간의 대향 방향 혹은, 대향 반대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re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using the same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특히, 본 발명의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연결 방법은 철근(10)을 랙부재(200)로 파지한 후 이 랙부재(200)를 조작하우징(100)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이중의 나사식 결합으로 결합함에 따라 더욱 견고한 철근(10)의 연결이 가능하여 풀림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using the same double screw type for gripping the reinforcing
한편, 본 발명의 철근 커플러 중 랙부재(200)에 대한 구조는 전술된 일 실시예의 구조로만 실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즉, 첨부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구조와 같이 조작하우징(100)의 제1나사산(110)을 상기 조작하우징(100)의 타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랙부재(200)의 외주면은 상기 조작하우징(100)의 제1나사산(110)과 동일한 경사 및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랙부재(이하, “쐐기형 랙부재”라 함)(200)는 철근(10)이 조작하우징(100)으로부터 취출되는 방향으로 당김 조작이 발생되어 상기 취출 방향으로 이동될 수록 철근을 더욱 견고히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The rack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edge-shaped rack memb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ll operation gener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inforcing
이의 경우 상기 쐐기형 랙부재(200)는 네 개로 분할되어 제공되면서 철근(10)의 끝단 외주면을 네 방사 방향에서 파지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물론, 상기 쐐기형 랙부재(200)를 다섯 이상 복수로 분할되어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쐐기형 랙부재(200)가 셋 이하일 경우에는 조작하우징(100)의 제1나사산(110)을 따라 이동되면서 철근(10)을 점차적으로 파지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없어서 철근(10)의 빠짐 우려가 있고, 상기 쐐기형 랙부재(200)가 다섯 이상의 다수로 분할 제공된다면 조립성도 나빠질 뿐 아니라 서로 간의 틈새 폭이 해당 쐐기형 랙부재(200)의 폭에 비해 오히려 커지면서 파지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철근(10)을 파지하는 힘을 극대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쐐기형 랙부재(200)는 네 개로 분할 제공이 가장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wedge-shaped
특히, 상기 각 쐐기형 랙부재(200)는 상기 조인트(200)가 위치된 부위로부터 상기 조작하우징(100)의 외측 끝단(경사단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좌우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각 쐐기형 랙부재(200)가 제1나사산(110)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될수록 점차 서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근(10)을 파지하는 힘이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Particularly, each of the wedge-shaped
그리고, 상기한 경사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쐐기형 랙부재(200)는 그 외면에 형성되면서 결합링(201)이 권취되는 권취홈(220)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쐐기형 랙부재(200)의 외면 중 중앙측 부위에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물론, 상기 권취홈(220)은 상기 쐐기형 랙부재(200)의 외면 중 외측 끝단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n, the wedge-shaped
또 한편, 본 발명의 철근 커플러는 전술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구조에서와 같이 조작하우징(100)이 조인트(300)의 양측으로만 설치되는 일자형의 철근 커플러로만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traight reinforcing bar coupler in which the
즉,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300)의 둘레면 중앙측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별도의 연결관체(350)가 추가로 형성되고, 이 연결관체(350)에는 별도의 조작하우징(100)과 랙부재(200)가 추가로 결합되면서 또 다른 철근(10)이 추가로 연결되는 3축 방향으로의 철근 연결이 가능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13 to 15, a separate connecting
물론, 첨부된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축 방향이나 5축 방향 또는, 6축 방향으로의 철근 연결이 가능한 구조로도 구성할 수가 있으며, 이는 조인트의 외면에 각 방향별로 연결관체(350)를 각각 추가 형성한 후 이 각각의 연결관체(350) 내에 별도의 조작하우징(100)과 랙부재(200)를 추가로 결합하면 된다.Of cours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s 16 to 18 can also be configured as a structure capable of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in the four-axis direction, five-axis direction, or six-axis direc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joint in each direction After the additional 350 is formed, the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은 다축 방향의 철근 연결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연결관체(350) 내에는 차단벽(351)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차단벽(351)이 박음핀(400)을 사이에 두는 철근(10)의 상대물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structure is configured to form a reinforcing bar connection structure in the multi-axis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 blocking
이때, 상기 차단벽(351)은 연결관체(350) 내를 완전히 가로막는 폐쇄된 벽면이 될 수도 있고, 중앙측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벽면이 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blocking
또한, 본 발명의 철근 커플러는 서로 다른 외경의 철근(10)을 커플링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re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to couple the reinforcing
즉, 첨부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철근(10)의 외경에 따라 각 조작하우징(100)의 외경 및 내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됨과 더불어 조인트(300)의 양측 외경 역시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외경의 두 철근(10) 간을 서로 연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That is, the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of each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철근 커플러는 “L”자형의 엘보(elbow)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ed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n elbow (Lbow) structure of the "L" shape.
즉, 첨부된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하지 않은 두 방향에 위치된 두 철근(10)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it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two reinforcing
이의 경우 조인트(300)의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차단벽(351)은 폐쇄된 벽면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locking
이렇듯, 본 발명의 철근 커플러는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As such, the re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 useful inven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10. 철근 11. 요철
100. 조작하우징 110. 제1나사산
120. 제2나사산 140. 체결조작부
200. 랙부재 210. 요철
220. 권취홈 300. 조인트
310. 단턱부 320. 삽입공
330. 이격턱 350. 차단벽
400. 박음핀10. Reinforcing Bars 11. Unevenness
100. Operating
120.
200.
220. Winding
310. Stepped
330.
400. Locking Pin
Claims (5)
복수로 제공되면서 철근의 둘레 일부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조작하우징 내의 제1나사산이 형성된 일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랙부재;
내부가 개방된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두 끝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면서 조작하우징 내의 제2나사산이 형성된 타측에 나사식으로 각각 결합되며,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내외를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된 조인트;
상기 조인트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상기 조인트 내로 삽입되는 철근과 상대물과의 사이에 박음 고정되는 박음핀;을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는 양측으로 개방된 관체로 형성되고 중앙측 내주면에 상기 박음핀의 직경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이격턱이 돌출형성되어, 두 철근이 상기 조인트의 양측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이격턱에 의해 사이가 이격되고 서로가 서로간의 상대물을 이루도록 마주보게 위치되며, 상기 이격턱이 형성된 지점을 향해 관통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박음핀이 서로 마주보는 두 철근 간의 사이에 박음 고정되는 한편,
상기 조인트의 둘레면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철근이 연결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연결관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체 내에는 상기 또 다른 철근의 상대물을 이루는 차단벽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체의 외주면에는 또 다른 조작하우징의 제2나사산에 나사식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또 다른 조작하우징 내의 제1나사산에는 또 다른 랙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차단벽과 또 다른 철근의 끝단 사이를 향해 관통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박음핀이 또 다른 철근과 차단벽 사이에 박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It is formed of a tubular body, the first housing threa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second screw thread formed on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rack members, each of which is provided to surround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reinforcing bar, and a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rack member be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crew thread in the operation housing;
In addition to being formed as an open tube, the two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two ends are formed with threads, respectively, and are respectively screwed to the other side where the second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operating housing, and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Joints;
It includes; insert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joint while the pin is pinned and fixed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opponent is inserted into the joint;
The joint is formed of a tubular body that is open to both sides and a spaced jaw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ving pi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 the two reinforcement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joint, the space between the gap While spaced apart and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to form a counterpart between each other, through the insertion hole formed to penetrate toward the point where the separation jaw is formed, the driving pin is fixed between the two bars facing each oth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int is further provided with one or two or more connecting pipes projecting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another reinforcing bar to be connected,
In the connecting pipe is provided with a blocking wall forming the counterpart of the another reinforcing ba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is threadedly coupled to the second screw thread of another operating housing, and another rack member is mounted on the first screw thread in the another operating housing.
Reinforcing bar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pin is inserted between the other reinforcing bars and the blocking wall through the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barrier between the barrier and the end of the other re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53507 | 2019-05-08 | ||
KR1020190053507 | 2019-05-0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8303B1 true KR102068303B1 (en) | 2020-01-21 |
Family
ID=6936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9212A Expired - Fee Related KR102068303B1 (en) | 2019-05-08 | 2019-08-14 | A coupler for steel reinforcing b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8303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50314A (en) * | 2020-03-20 | 2020-06-30 | 重庆铸祥机械有限公司 | Jackscrew connecting sleeve |
KR102260623B1 (en) * | 2020-06-04 | 2021-06-07 | 김정호 | One-touch-type rebar coupler |
KR102301458B1 (en) * | 2020-05-19 | 2021-09-13 |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KR20220107672A (en) * | 2021-01-26 | 2022-08-02 | 배영재 | A modular rebar coupler |
EP4180588A1 (en) * | 2021-11-11 | 2023-05-17 | Hilti Aktiengesellschaft | Rebar coupler with bias pusher |
KR20240030383A (en) * | 2022-08-30 | 2024-03-07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Connector for modular unit with joint device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657Y1 (en) * | 2000-11-17 | 2001-05-15 | 김대권 |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
KR100760009B1 (en) * | 2006-05-04 | 2007-09-19 | 삼양기전(주) | Rebar Connection Device |
KR100953941B1 (en) | 2009-09-09 | 2010-04-21 | 김병섭 | Reinforcing bar coupler |
KR20130017177A (en) * | 2011-08-10 | 2013-02-20 | 이대동 | Coupler |
KR200474814Y1 (en) | 2013-08-14 | 2014-10-15 | 홍의창 | Coupling device |
KR101456517B1 (en) | 2013-05-14 | 2014-10-31 | (주) 호창엠에프 | Joining coupling device |
KR101683146B1 (en) | 2016-05-04 | 2016-12-06 |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KR101813377B1 (en) | 2016-05-19 | 2017-12-28 | 조석현 |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
KR101856706B1 (en) | 2017-09-11 | 2018-05-23 | 문숙정 | One touch rebar coupler |
-
2019
- 2019-08-14 KR KR1020190099212A patent/KR10206830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657Y1 (en) * | 2000-11-17 | 2001-05-15 | 김대권 |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
KR100760009B1 (en) * | 2006-05-04 | 2007-09-19 | 삼양기전(주) | Rebar Connection Device |
KR100953941B1 (en) | 2009-09-09 | 2010-04-21 | 김병섭 | Reinforcing bar coupler |
KR20130017177A (en) * | 2011-08-10 | 2013-02-20 | 이대동 | Coupler |
KR101456517B1 (en) | 2013-05-14 | 2014-10-31 | (주) 호창엠에프 | Joining coupling device |
KR200474814Y1 (en) | 2013-08-14 | 2014-10-15 | 홍의창 | Coupling device |
KR101683146B1 (en) | 2016-05-04 | 2016-12-06 |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KR101813377B1 (en) | 2016-05-19 | 2017-12-28 | 조석현 |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
KR101856706B1 (en) | 2017-09-11 | 2018-05-23 | 문숙정 | One touch rebar coupler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50314A (en) * | 2020-03-20 | 2020-06-30 | 重庆铸祥机械有限公司 | Jackscrew connecting sleeve |
KR102301458B1 (en) * | 2020-05-19 | 2021-09-13 |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KR102260623B1 (en) * | 2020-06-04 | 2021-06-07 | 김정호 | One-touch-type rebar coupler |
KR20220107672A (en) * | 2021-01-26 | 2022-08-02 | 배영재 | A modular rebar coupler |
KR102537154B1 (en) * | 2021-01-26 | 2023-05-26 | 배영재 | A modular rebar coupler |
EP4180588A1 (en) * | 2021-11-11 | 2023-05-17 | Hilti Aktiengesellschaft | Rebar coupler with bias pusher |
KR20240030383A (en) * | 2022-08-30 | 2024-03-07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Connector for modular unit with joint device |
KR102703614B1 (en) * | 2022-08-30 | 2024-09-04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Connector for modular unit with join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8303B1 (en) | A coupler for steel reinforcing bar | |
KR101959076B1 (en) | A rebar coupler | |
KR101720515B1 (en) | Coupler for Thread Bar | |
AU2010282230B2 (en) | A bar coupler | |
KR102453525B1 (en) | Structural coupler | |
KR20180107675A (en) | One-touch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 |
KR101866816B1 (en) | Connecting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 |
KR101498662B1 (en) | Reinforced seams coupling | |
KR200223657Y1 (en) |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 |
KR102344476B1 (en) | Rebar coupler for beginning slip prevention | |
KR102301698B1 (en) | Connector for concrecte structure of reinforcing bar | |
KR100404425B1 (en) | Wedge shaped one-touch type steel-frame coupling device | |
KR20030079253A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by just one step | |
KR102180951B1 (en) | A coupler for steel reinforcing bar | |
KR20210044620A (en) | steel reinforcing bar coupler for concrete construction | |
KR100462291B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by just one step | |
KR102317466B1 (en) |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 |
KR20040025274A (en) | Connector of steel reinforcing | |
KR200257716Y1 (en) | Wedge shaped one-touch type steel-frame coupling device | |
KR102027085B1 (en) | A rebar coupler | |
KR100372832B1 (en) |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 |
KR102640180B1 (en) | Close adherence and fixed type rebar coupler | |
KR20180112486A (en) | Rebar coupler | |
KR20210075660A (en) | Seismic-resistant rebar coupler | |
KR200234870Y1 (en) |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8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