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7624B1 - 제거식 앵커 - Google Patents

제거식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624B1
KR102067624B1 KR1020180012790A KR20180012790A KR102067624B1 KR 102067624 B1 KR102067624 B1 KR 102067624B1 KR 1020180012790 A KR1020180012790 A KR 1020180012790A KR 20180012790 A KR20180012790 A KR 20180012790A KR 102067624 B1 KR102067624 B1 KR 10206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tension member
contact
space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314A (ko
Inventor
서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린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린디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린디앤씨
Priority to KR102018001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6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6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3Ground anchors with pivot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제거식 앵커는 지반의 천공홀에 삽입되어 인장재를 이용하여 지반을 안정화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수용공간 상에 제1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인장재를 구속하는 복수개의 웨찌부; 및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웨찌부의 위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웨찌부는, 상기 인장재가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인장재와 접촉하여 상기 인장재를 구속하는 면인 웨찌구속부 및 상기 본체부와 접촉하는 웨찌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공간이 상협하광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웨찌부를 가이드하는 고정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거식 앵커{Removable anchor}
본 발명은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의 천공홀에 삽입되어 인장재 이용하여 지반을 안정화하는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이다.
앵커는 건물 또는 토목공사에 수반되는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위하기 위해 지중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반을 굴착하여 주변지하의 침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토류벽을 가설하고, 이 토류벽을 지탱하는 것으로, 앵커의 쓰임새에 따라 영구 앵커와 제거식 앵커로 구분될 수 있다.
영구 앵커는 지하수 침출지, 경사지, 등에 건축물이나 기타 구조물 설치 시 이동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앵커이다.
제거식 앵커는 공사완료 후 인장재를 제거하는 지하 고정 구조물이다.
특히 영구 앵커의 경우 도시지역은 지가상승 및 토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인접지와의 경계선에 될 수 있는 대로 근접시켜 공사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므로 지중에 잔류하는 인장재는 지중 장애물로 되어 인접지의 개발공사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지하 보상권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따라서 제거식 앵커의 인장재 설치 및 해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이에 대한 기술발전이 주를 이루고 있다.
종래의 제거식 앵커는 한국등록특허 10-1283899(2013년 7월 10일 공고)에서와 같이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해 인장재 절단 후 인장재를 지중 방향으로 타격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거식 앵커는, 새로운 인장재의 재인장이 필요한 경우, 새로운 인장재를 재인장할 수 없어, 또 다시 지반을 굴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장재를 타격할 필요 없이 인장재를 앵커로부터 제거 또는 재인장 할 수 있고, 나아가 재인장 할 수 있는 수단을 중첩적으로 더 부가하여, 부품의 파손으로 인해 재인장 할 수 없는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인장재를 재인장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는 지반의 천공홀에 삽입되어 인장재 이용하여 지반을 안정화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및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인장재를 구속하는 복수개의 웨찌부;를 포함하며, 상기 웨찌부는, 상기 인장재가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인장재와 접촉하여 상기 인장재를 구속하는 면인 웨찌구속부 및 상기 본체부와 접촉하는 웨찌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웨찌접촉부와 접촉하는 본체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웨찌접촉부는, 상기 웨찌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되,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축으로부터 임의의 지점까지의 거리가 상호 상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접촉부는, 상기 웨찌접촉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복수개의 상기 웨찌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접촉부가 규정하는 가상의 중심점과 다른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접촉부가 규정하는 가상의 중심점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상기 웨찌부는, 상기 웨찌부를 가압하는 외부링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홈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홈부는, 임의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웨찌구속부까지의 거리가 상호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웨찌부의 위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웨찌부는, 상기 고정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이 상협하광으로 형성되도록 가이드하는 웨찌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상기 웨찌부는, 상기 고정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와의 접촉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웨찌걸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복수의 상기 웨찌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가이드부 및 상기 웨찌걸림부는, 상기 수용공간이 상협하광으로 형성되도록 다른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가이드부 및 상기 웨찌걸림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복수의 상기 웨찌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가이드부 및 상기 웨찌걸림부가 다른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가이드부 및 상기 웨찌걸림부와 멀어지는 경우, 복수의 상기 웨찌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접촉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접촉부는 가까워지고, 복수의 상기 웨찌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가이드부 및 상기 웨찌걸림부가 다른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가이드부 및 상기 웨찌걸림부와 가까워지는 경우, 복수의 상기 웨찌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접촉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접촉부는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공간이 상협하광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웨찌부를 가이드하는 고정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상기 고정부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웨찌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웨찌부와 접촉하는 고정걸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속공간의 크기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장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구속공간이 커지도록 상기 인장재에 접촉되는 고정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 연결되어 위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 연결되어 위치 변화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고정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구속공간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는 고정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가압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록 상기 고정가압부를 수용하는 고정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에 따르면, 인장재를 타격할 필요 없이 단순한 방법으로 인장재를 앵커로부터 제거 또는 재인장 할 수 있고, 부품의 파손으로 재인장이 어려운 경우 재인장 할 수 있는 수단을 중첩적으로 더 부가하여 재인장을 확실히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개략 절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찌부의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개략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너비방향의 개략 단면도로서 본체부 및 웨찌부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길이방향의 A-A'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개략 절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찌부의 개략 사시도미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의 인장재를 인장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9는 인장재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10은 인장재를 재인장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는 구성 및 구조는 의도적으로 간략화하거나 생략하였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3에서 볼 때, 상기 너비방향은 좌우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길이방향은 상하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10)는 지반의 천공홀에 삽입되어 인장재(T)를 이용하여 지반을 안정화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인장재(T)를 구속하는 복수개의 웨찌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일체구조일 수도 있으나,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상기 웨찌부(200)를 수용하도록 복수개의 부재가 상호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웨찌부(200)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일례로 3개의 웨찌부(200)가 협동하여 상기 인장재(T)를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웨찌부(20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길이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웨찌부(200)는 상기 인장재(T)가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공간(S2)을 형성하며 상기 인장재(T)와 접촉하여 상기 인장재(T)를 구속하는 면인 웨찌구속부(210) 및 상기 본체부(100)와 접촉하는 웨찌접촉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웨찌구속부(210)는 상기 인장재(T)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웨찌구속부(210)와 대응되도록 상기 인장재(T)에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S1) 상의 상기 웨찌구속부(210)와 상기 인장재(T)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웨찌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웨찌부(200)가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되 회전되지 않도록, 일례로, 상기 웨찌접촉부(220)는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축(X1)으로부터 임의의 지점까지의 거리가 상호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웨찌접촉부(220)는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축(X1)을 기준으로 반지름이 동일한 하나의 원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축(X1)으로부터 임의의 지점까지의 거리가 상호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웨찌접촉부(220) 상의 임의의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중심축(X1)까지의 거리(K1)는 다른 임의의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중심축(X1)까지의 거리(K2)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웨찌부(200)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웨찌부(200)의 상기 웨찌접촉부(220)가 규정하는 가상의 원의 중심점(X2)과 다른 하나의 상기 웨찌부(200)의 상기 웨찌접촉부(220)가 규정하는 가상의 원의 중심점(X3)은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웨찌접촉부(220)와 접촉하는 본체접촉부(1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접촉부(110)는 상기 웨찌접촉부(22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접촉부(110) 상의 임의의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중심축(X1)까지의 거리는 다른 임의의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중심축(X1)까지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웨찌접촉부(220) 전체는 상기 본체접촉부(110)에 접촉되어 압력이 상기 웨찌접촉부(220) 전체에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1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의 상기 웨찌부(200)를 상기 길이방향의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웨찌가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웨찌가압부(500)는 스프링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웨찌가압부(500)는 상기 웨찌부(200)를 상기 길이방향의 하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상기 웨찌부(200)는 상기 웨찌접촉부(220) 및 상기 본체접촉부(110)의 형상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인장재(T)를 회전시켜 상기 웨찌부(200) 상에 상기 인장재(T)를 결합할 수도 있고 제거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웨찌부(200)는 상기 웨찌부(200)를 가압하는 외부링(400)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홈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홈부(230)는 임의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웨찌접촉부(220)까지의 거리가 상호 상이할 수 있다.
도 2(a)에서 상기 중심축(X1)에 가까운 점선은 상기 홈부(230)의 윤곽선이며, 상기 홈부(230)의 윤곽선의 외측에 표시된 점선은 상기 홈부(230)에 삽입된 상기 외부링(400)의 외곽선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홈부(230) 상의 임의의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웨찌구속부(210)까지의 거리(K3)는 다른 임의의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웨찌접촉부(220)까지의 거리(K4)와 다를 수 있다.
상기 홈부(230)는 상기 외부링(400)이 상기 웨찌접촉부(220)보다 상기 중심축(X1)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더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웨찌접촉부(220)보다 상기 중심축(X1)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1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웨찌부(200)의 위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공간(S3)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고정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웨찌부(200)를 기준으로 상기 길이방향의 상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300)는 상호 분리된 3개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웨찌부(200)는 상기 고정부(30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S1)이 상협하광으로 형성되도록 가이드하는 웨찌가이드부(240) 및 상기 고정부(300)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300)와의 접촉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웨찌걸림부(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웨찌가이드부(240)는 상기 웨찌부(200) 상에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웨찌걸림부(250)는 상기 웨찌가이드부(240)로부터 단차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웨찌부(200)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웨찌부(200)의 상기 웨찌가이드부(240)는 상기 삽입공간(S2)이 상협하광으로 형성되도록 다른 하나의 상기 웨찌부(200)의 상기 웨찌가이드부(24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a)에 볼 수 있듯이, 상기 웨찌접촉부(220)은 이웃하는 다른 상기 웨찌접촉부(220)과 접촉되나, 상기 웨찌가이드부(240)는 이웃하는 다른 상기 웨찌가이드부(240)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복수의 상기 웨찌부(200)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웨찌부(200)의 상기 웨찌가이드부(240)가 다른 하나의 상기 웨찌부(200)의 상기 웨찌가이드부(240)와 멀어지는 경우, 복수의 상기 웨찌부(200)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웨찌부(200)의 상기 웨찌접촉부(220)와 다른 하나의 상기 웨찌부(200)의 상기 웨찌접촉부(220)는 가까워질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복수의 상기 웨찌부(200)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웨찌부(200)의 상기 웨찌가이드부(240)가 다른 하나의 상기 웨찌부(200)의 상기 웨찌가이드부(240)와 가까워지는 경우, 복수의 상기 웨찌부(200)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웨찌부(200)의 상기 웨찌접촉부(220)와 다른 하나의 상기 웨찌부(200)의 상기 웨찌접촉부(220)는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공간(S2)은 외력에 의해 상협하광의 공간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삽입공간(S2)이 상협하광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웨찌부(200)를 가이드하는 고정가이드부(310), 소정의 위치에 상기 웨찌부(200)가 고정되도록 상기 웨찌부(200)와 접촉하는 고정걸림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가이드부(310)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웨찌가이드부(24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웨찌부(200)가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의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부(300)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웨찌가이드부(240)는 상기 고정가이드부(310)에 접촉되어 상기 중심축(X1)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 결과, 상기 삽입공간(S2)은 상협하광의 공간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걸림부(320)는 상기 고정가이드부(310)와 단차를 이루는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웨찌걸림부(250)와 결속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300)는 외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구속공간(S3)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인장재(T)의 가압에 의해 상기 구속공간(S3)이 커지도록 상기 인장재(T)에 접촉되는 고정접촉부(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접촉부(330)는 경사진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300)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 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위치 변화될 수 있다.
일례로, 작업자가 상기 인장재(T)를 타격하는 경우, 상기 인장재(T)는 상기 고정접촉부(330)를 타격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고정접촉부(330)의 형상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는 고정연결부(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연결부(340)는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되, 상기 본체부(100)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ㄱ'형상으로 돌출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고정연결부(34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고정연결부(340)가 삽입될 수 있는 본체연결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연결부(340)는 상기 본체연결부(120)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연결부(120)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1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배치되며 상기 구속공간(S3)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상기 고정부(300)를 가압하는 고정가압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가압부(600)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고정가압부(600)는 상기 고정부(300)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300)가 상기 중심축(X1)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고정가압부(600)가 상기 수용공간(S1)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가압부(600)를 수용하는 고정수용부(35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고정가압부(600)를 수용하는 본체수용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압부(600)는 일부가 상기 고정수용부(350)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본체수용부(130)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공간(S1)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식 앵커(10)를 이용하여 상기 인장재(T)를 인장하는 방법, 제거하는 방법 및 재인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장재(T)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웨찌구속부(210)는 상기 인장재(T)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인장재(T)를 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웨찌부(200)로부터 제거하거나 상기 웨찌부(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인장재(T)를 회전하는 경우, 상기 웨찌부(200)는 상기 웨찌가압부(500)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의 하방향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상기 웨찌접촉부(220) 및 상기 본체접촉부(110)의 형상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기 인장재(T)는 상기 삽입공간(S2) 상에서 나사 결합으로 인해 위치이동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장재(T)가 상기 웨찌구속부(210)와 나사 결합되어 인장되는 경우, 인장력에 의해 상기 인장재(T)의 나사산 또는 상기 웨찌구속부(210)의 나사산이 무너질 수 있다.
나사산이 무너지는 경우, 작업자가 상기 인장재(T)를 제거하기 위해 회전력을 가하여도, 상기 인장재(T)는 상기 웨찌구속부(210)와 억지결합되어 상기 삽입공간(S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인장재(T)를 상기 삽입공간(S2)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방법, 즉 상기 인장재(T)를 제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8에서, 작업자가 상기 인장재(T)에 인장력을 주어 상기 인장재(T)의 나사산 또는 상기 웨찌구속부(210)의 나사산이 무너진 경우, 상기 인장재(T)에 회전력을 가하여도, 억지결합 때문에 상기 인장재(T)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인장재(T)를 타격하게 되면, 상기 인장재(T) 및 상기 인장재(T)에 억지결합된 상기 웨찌부(200)는 상기 길이방향의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웨찌부(200)가 상기 길이방향의 상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웨찌가이드부(240)는 상기 고정가이드부(310)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웨찌가이드부(240)와 상기 고정가이드부(310)의 상대적 형상으로 인해, 상기 수용공간(S1)은 상협하광의 공간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웨찌부(200)가 상기 길이방향의 상방향으로 더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웨찌걸림부(250)는 상기 고정걸림부(320)에 걸림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웨찌부(200)는 상기 구속공간(S3)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길이방향의 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가압부(600)는 상기 고정부(300)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300)가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위치이동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S2)이 커짐에 따라, 상기 인장재(T)는 상기 웨찌구속부(210)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인장재(T)를 당겨 상기 인장재(T)를 상기 수용공간(S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장재(T)의 재인장이 필요한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인장재(T)를 다시 상기 수용공간(S1)으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인장재(T)가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의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인장재(T)의 단부는 상기 삽입공간(S2) 및 상기 웨찌가압부(500)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접촉부(33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인장재(T)가 상기 고정접촉부(330)에 접촉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인장재(T)를 타격하는 경우, 상기 인장재(T)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의 상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고정접촉부(330)의 형상에 의해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고정가압부(600)의 가압력을 이겨내어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상기 고정부(300)와 이와 이웃하는 상기 고정부(300)간에는 이격이 발생함에 따라, 즉 상기 구속공간(S3)이 커짐에 따라, 상기 고정걸림부(320)와 상기 웨찌걸림부(250)간의 걸림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고정걸림부(320)와 상기 웨찌걸림부(250)간의 걸림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웨찌가압부(50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웨찌부(20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의 하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웨찌부(200)는 상기 고정부(300)로부터 이탈되는 동시에, 상기 외부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인장재(T)를 인장할 수 있는 초기의 형상으로 다시 되돌아 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웨찌부(200)는 다시 상기 인장재(T)를 결속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인장재(T)를 재인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본체부
200: 웨찌부
300: 고정부
400: 외부링
500: 웨찌가압부

Claims (8)

  1. 지반의 천공홀에 삽입되어 인장재 - 상기 인장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음 - 를 이용하여 지반을 안정화하는 제거식 앵커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및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인장재를 구속하는 복수개의 웨찌부;를 포함하며,
    상기 웨찌부는,
    상기 인장재가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인장재와 접촉하여 상기 인장재를 구속하는 면인 웨찌구속부 및 상기 본체부와 접촉하는 웨찌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웨찌구속부는,
    상기 인장재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웨찌접촉부와 접촉하는 본체접촉부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상기 웨찌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접촉부가 규정하는 가상의 원의 중심점과 다른 하나의 상기 웨찌부의 상기 웨찌접촉부가 규정하는 가상의 원의 중심점은,
    상기 웨찌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길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되되, 회전되지 않도록,
    상호 다르며,
    상기 본체접촉부는,
    상기 웨찌접촉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웨찌부의 위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웨찌부는,
    상기 고정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삽입공간이 상협하광으로 형성되도록 가이드하는 웨찌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웨찌부는,
    상기 고정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와의 접촉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웨찌걸림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장재의 접촉 가압에 의해 상기 구속공간이 커지도록 상기 인장재에 접촉 이동되어 이웃하는 상기 고정부 간을 이격시키는 고정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웨찌걸림부는,
    상기 구속공간이 커짐에 따라 상기 고정부로부터의 걸림이 해제되며,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구속공간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는 고정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앵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12790A 2018-02-01 2018-02-01 제거식 앵커 Active KR102067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90A KR102067624B1 (ko) 2018-02-01 2018-02-01 제거식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90A KR102067624B1 (ko) 2018-02-01 2018-02-01 제거식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14A KR20190093314A (ko) 2019-08-09
KR102067624B1 true KR102067624B1 (ko) 2020-01-17

Family

ID=6761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790A Active KR102067624B1 (ko) 2018-02-01 2018-02-01 제거식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68984A (ko) 2023-11-10 2025-05-19 솔루스첨단소재 주식회사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250091529A (ko) 2023-12-14 2025-06-23 솔루스첨단소재 주식회사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169B1 (ko) * 2016-12-21 2017-06-16 주식회사 서린디앤씨 지압판을 구비하는 제거식 락볼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113B1 (ko) * 2009-02-03 2012-01-04 송태훈 제거형 앵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169B1 (ko) * 2016-12-21 2017-06-16 주식회사 서린디앤씨 지압판을 구비하는 제거식 락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14A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3028B2 (en) Ramming device to be assigned to a rock breaker
ES2402046T3 (es) Conjunto de cuña y anclaje interno que utiliza el mismo
KR102067624B1 (ko) 제거식 앵커
KR100851356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85956B1 (ko) 교차 경사면의 최대 확장성을 적용한 쐐기 지압형 앵커
KR101484258B1 (ko) 에이치빔 변형방지용 스티프너
EP0577421B1 (en) Removable ground anchor
KR100586176B1 (ko) 복수의 정착날개를 갖는 앵커
KR102067623B1 (ko) 제거식 앵커
EP3318677B1 (en) Method for forming a reinforced pile and use of an accessory therein
KR102078298B1 (ko) 제거식 앵커
KR102421452B1 (ko)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KR200455432Y1 (ko)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KR101705785B1 (ko) 무띠장 흙막이 공사용 에이치형 형강 파일의 앵커 박스 설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띠장 앵커 설치 공법
KR101534036B1 (ko) 복합형 앵커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44192B1 (ko)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KR20100018714A (ko) 인장재 제거형 앵커
KR101517884B1 (ko) 반원형 시트파일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132384B1 (ko) 강관 파일 시공 방법
KR200283304Y1 (ko) 제거형 네일의 구조
JP647411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の耐震補強構造及び方法
KR102577228B1 (ko) 흙막이용 프리스트레스 합성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
KR102238982B1 (ko) 인장재 제거식 앵커체 및 인장재 제거방법
KR101663174B1 (ko)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03638Y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