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7454B1 -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454B1
KR102067454B1 KR1020180018380A KR20180018380A KR102067454B1 KR 102067454 B1 KR102067454 B1 KR 102067454B1 KR 1020180018380 A KR1020180018380 A KR 1020180018380A KR 20180018380 A KR20180018380 A KR 20180018380A KR 102067454 B1 KR102067454 B1 KR 102067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ltivation
lifting
elevating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433A (ko
Inventor
윤성진
Original Assignee
윤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진 filed Critical 윤성진
Priority to KR102018001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4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4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5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guided along a ra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배부에 수경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재배부를 승강시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어 수확을 쉽게 할 수 있고, 재배부의 하측 바닥에 식물을 식재하여 2단으로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다수 고정되며, 이송체가 하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승강공간이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내부의 에 전후 방향 양측 내측면에 기어가 형성되며, 대향 되는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어 승강부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공간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지지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승강부가 회전되어 승강되도록 연결체를 통해 연결되는 작동부; 상기 승강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다수의 승강부의 승강으로 승강되며, 상측 내부에 배양액이 저장되어 식물이 수경재배되도록 긴 길이로 형성되는 재배부;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다수 형성되어 재배부 내부의 배양액을 하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부; 상기 재배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배양액을 재배부로 주입하는 주입부; 상기 재배부의 하측 바닥에 구성되어 바닥 토양에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식재부 및 상기 작동부, 분사부 및 주입부와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Apparatus for growing high-position cultivating of rise and full type using for double grower the upper and lower classes of plants}
본 발명은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부에 수경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재배부를 승강시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어 수확을 쉽게 할 수 있고, 재배부의 하측 바닥에 식물을 식재하여 2단으로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농업종사자의 고령화와 후계자 부족 때문에 작업 자세 개선이나 경작업화로 인해 지면에서 격리된 상태로 식물 재배를 행하는 고설재배(高設裁培)방식의 본격적인 보급이 시작되었으나, 현재 고설 재배용 장치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75128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재배 베드를 지지하는 다리 부재의 지주를 땅속에 매립하고, 각 다리 부재에 고정하여 다리 부재 사이에 필름 보유 지지 파이프를 2열로 걸치고, 이들 필름 보유 지지파이프 사이에 플라스틱 시트를 단면 U자형으로 걸치고, 이 단면 U자형 내에 배양토를 충전하여 재배배드를 형성하는 구성의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의 고설 재배 장치는 그 설치작업, 특히 다리 부재의 지주를 하나씩 땅속에 매립하여 똑바르게 세워 설치하는 작업에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그중에서도 돌이나 암석을 많이 포함한 경지에서의 설치작업은 특히 어려운 것이었다. 이로 인해, 일본 특허 공개 평12-83478호 등에는 길이 변에 적정 간격을 두어지주 지지부를 설치하게 되는 접지프레임과, 복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 지지부와 동일 간격을 두어 지주 연결부를 설치하게 되는 시트 보유 지지봉을 갖고, 접지 프레임의 지주 지지부에 지주를 착탈 가능하게 세워 설치하고, 지주 상단부와 상기 지주연결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지주 상에 시트 보유 지지봉을 설치하게 되는 유닛 형식의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닛 형식의 고설 재배 장치용 가대 등은 접지 프레임의 부피 및 중량이 컸으므로 접지 프레임을 접지 장소까지 운반하는데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소수인으로는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배 배드가 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태양의 움직임 및 기온에 따라 재배배드의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를 위한 고설재배 방법의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
선행특허는 태양광의 입사 방향에 맞추어 재배용기를 상하, 좌우 이동 및 회전시킴으로써 한정된 면적으로 재배의유지관리 작업 공간을 확보해 많은 모종을 식재하고 육모함으로써 재배밀도를 높이고, 일조부족으로 인한 장해과실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균일한 일조효과에 의한 과실의 착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기형과의 발생을 억제하고 재배의 촉진과 초세 증진효과가 있으며 재배 유지관리비를 큰폭으로 절감할 수 있는 고설재배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와이어를 통해 승강 및 좌우 이송시키므로, 와이어의 파단시 낙하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바닥에 다른 식물을 식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5115호(2013.05.10.)
본 발명은 재배부에 수경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재배부를 승강시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어 수확을 쉽게 할 수 있고, 재배부의 하측 바닥에 식물을 식재하여 2단으로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 가공용 플라스틱 알갱이 제조장치는, 바닥에 다수 고정되며, 이송체가 하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승강공간이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내부의 에 전후 방향 양측 내측면에 기어가 형성되며, 대향 되는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어 승강부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 상기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의 승강공간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지지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승강부가 회전되어 승강되도록 연결체를 통해 연결되는 작동부; 상기 승강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다수의 승강부의 승강으로 승강되며, 상측 내부에 배양액이 저장되어 식물이 수경재배되도록 긴 길이로 형성되는 재배부;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다수 형성되어 재배부 내부의 배양액을 하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부; 상기 재배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배양액을 재배부로 주입하는 주입부; 상기 재배부의 하측 바닥에 구성되어 바닥 토양에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식재부 및 상기 작동부, 분사부 및 주입부와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재배부의 길이방향 양측 좌우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승강공간이 형성되어 승강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전기어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기어와 대응되도록 기어가 내부의 내측면 전후방향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가 승강될 수 있도록 승강부 측면이 수직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어 승강부의 회전기어가 삽입될 수있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의 회전기어가 승강공간에 삽입되면, 개구에 덮개가 결합되어 개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는 양단에 승강기어가 형성되고, 구동부와 연결체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부의 구동으로 회전되어 승강기어를 통해 지지부의 기어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며, 양단의 승강기어 간에 연결지지대가 형성되고, 연결지지대의 외주연에 고정대가 형성되어 고정대 내부에서 연결지지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대가 재배부와 밀착 고정되며, 회전대와 고정대 간에 회전을 원활하도록 하는 윤활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승강부를 회전구동으로 회전시켜 승강되도록 하는 모터체; 상기 모터체와 결합되어 모터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체 및 상기 감속체와 승강부 간에 연결되어 감속체의 구동력을 승강부로 전달하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배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승강부의 승강을 통해 승강되고, 내부에 배양액이 저장되는 생장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 배양액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다수 형성되어 배출홀에 분사부가 결합되며, 내부에 타공망이 설치되는 고정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바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이송체가 결합되며, 상기 이송체에는 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위치 이동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재배부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홀에 결합되는 밸브 및 상기 밸브의 하측에 결합되는 분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배부에 수경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재배부를 승강시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어 수확을 쉽게 할 수 있고, 재배부의 하측 바닥에 식물을 식재하여 2단으로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의 재배부 및 지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바닥에 다수 고정되며, 이송체가 하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승강공간(32)이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내부의 전후 방향 양측 내측면에 기어(33)가 형성되며, 대향 되는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절개홈(34)이 형성되어 승강부(20)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30); 상기 지지부(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공간(32)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지지부(30)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20); 상기 승강부(20)와 연결되어 승강부(20)가 회전되어 승강되도록 연결체(42)를 통해 연결되는 작동부; 상기 승강부(20)의 상측에 결합되어 다수의 승강부(20)의 승강으로 승강되며, 상측 내부에 배양액이 저장되어 식물이 수경재배되도록 긴 길이로 형성되는 재배부(10); 상기 재배부(10)의 하부에 다수 형성되어 재배부(10) 내부의 배양액을 하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부(100); 상기 재배부(10)의 상측에 형성되어 배양액을 재배부(10)로 주입하는 주입부(60); 상기 재배부(10)의 하측 바닥에 구성되어 바닥 토양에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식재부(80) 및 상기 작동부, 분사부(100) 및 주입부(60)와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30)는 재배부(10)의 길이방향 양측 좌우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승강공간(32)이 형성되어 승강부(20)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전기어(33)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기어(33)와 대응되도록 기어(33)가 내부의 내측면 전후방향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20)가 승강될 수 있도록 승강부(20) 측면이 수직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홈(34)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어 승강부(20)의 회전기어(33)가 삽입될 수있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20)의 회전기어(33)가 승강공간(32)에 삽입되면, 개구에 덮개(31)가 결합되어 개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20)는 양단에 승강기어(21)가 형성되고, 구동부(40)와 연결체(42)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부(40)의 구동으로 회전되어 승강기어(21)를 통해 지지부(30)의 기어(33)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며, 양단의 승강기어(21) 간에 연결지지대(23)가 형성되고, 연결지지대(23)의 외주연에 고정대(22)가 형성되어 고정대(22) 내부에서 연결지지대(23)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대(22)가 재배부(10)와 밀착 고정되며, 회전대와 고정대(22) 간에 회전을 원활하도록 하는 윤활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승강부(20)를 회전구동으로 회전시켜 승강되도록 하는 모터체; 상기 모터체와 결합되어 모터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체(41) 및 상기 감속체(41)와 승강부(20) 간에 연결되어 감속체(41)의 구동력을 승강부(20)로 전달하는 연결체(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배부(10)는, 상기 승강부(20)의 상측에 결합되며, 승강부(20)의 승강을 통해 승강되고, 내부에 배양액이 저장되는 생장공간(11)이 형성되고, 하단에 배양액이 배출되는 배출홀(12)이 다수 형성되어 배출홀(12)에 분사부(100)가 결합되며, 내부에 타공망(50)이 설치되는 고정체(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30)는 바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이송체가 결합되며, 상기 이송체에는 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위치 이동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부(100)는, 상기 재배부(10)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홀(12)에 결합되는 밸브 및 상기 밸브의 하측에 결합되는 분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바닥에 다수 고정되며, 이송체가 하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승강공간(32)이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내부의 전후 방향 양측 내측면에 기어(33)가 형성되며, 대향 되는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절개홈(34)이 형성되어 승강부(20)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30), 지지부(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공간(32)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지지부(30)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20), 승강부(20)와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승강부(20)를 승강시키는 작동부, 상측에 형성되는 재배공간에 주입되는 배양액을 통해 식물이 생장하는 재배부(10), 재배부(10)의 하부에 다수 형성되어 재배부(10) 내부의 배양액을 하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부(100), 재배부(10)의 상측에 형성되어 배양액을 재배부(10)로 주입하는 주입부(60), 재배부(10)의 하측 바닥에 구성되어 바닥 토양에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식재부(80) 및 작동부, 분사부(100) 및 주입부(60)와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의 재배부 및 지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30)는 바닥에 재배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재배부(10)의 양측으로 다수 형성되며, 재배부(10) 측면으로 절개홈(34)이 형성되며, 내부에 승강공간(32)이 형성되어 절개홈(34)을 통해 승강공간(32)에 승강부(20)의 회전기어(33)가 삽입되어 지지부(30) 내부에 회전기어(33)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기어(33)를 통해 승강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기어(33)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기어(33)는 승강공간(32) 내부의 내측면 전후방향 양측에 형성되고, 지지부(30)의 상측이 개방되어 승강부(20)의 회전기어(33)가 삽입될 수있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승강부(20)의 회전기어(33)가 승강공간(32)에 삽입되면, 개구에 덮개(31)가 결합되어 개구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30)는 바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이송체가 결합되며, 상기 이송체에는 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위치 이동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송체는 다수의 바퀴 또는 궤도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의 하단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체는 바닥에 레일이 형성되고,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레일바퀴가 하단에 형성되어 이송될 수 도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2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30)의 승강공간(32)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지지부(30)를 따라 승강된다.
상기 승강부(20)는 양단에 승강기어(21)가 형성되고, 구동부(40)와 연결체(42)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부(40)의 구동으로 회전되어 승강기어(21)를 통해 지지부(30)의 기어(33)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며, 양단의 승강기어(21) 간에 연결지지대(23)가 형성되고, 연결지지대(23)의 외주연에 고정대(22)가 형성되어 고정대(22) 내부에서 연결지지대(23)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대(22)가 재배부(10)와 밀착 고정되며, 회전대와 고정대(22) 간에 회전을 원활하도록 하는 윤활체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승강부(20)의 고정대(22)가 재배부(10)의 하측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지지대(23)가 회전되어 재배부(10)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20)는 작동부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와이어를 통해 승강부(20)가 승강될 수 있도록 지지부(30)의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측에 회전부가 형성되어 와이어가 회전부에 권취되어 구동부(40)의 구동을 통해 권취되어 승강부(20)를 승강시킬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승강부(20)가 회전되어 승강되도록 연결체(42)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력을 승강부(20)로 전달하여 승강부(20)의 연결지지대(23)가 회전을 통해 승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작동부는 승강부(20)를 회전구동으로 회전시켜 승강되도록 하는 모터체, 모터체와 결합되어 모터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체(41) 및 감속체(41)와 승강부(20) 간에 연결되어 감속체(41)의 구동력을 승강부(20)로 전달하는 연결체(42)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체는 지지부(30)에 고정 또는 바닥에 별도로 고정되어 회전 구동력을 공급하며, 모터체에 감속체(41)가 결합되어 모터체의 회전구동력을 감속시켜 승강부(20)가 천천히 승강되도록 하고, 감속체(41)와 승강부(20)의 연결지지대(23)는 연결체(42)를 통해 연결되어 감속체(41)의 감속된 구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연결체(42)는 승강부(20)의 연결지지대(23) 외주연에 형성되는 기어(33) 또는 풀리등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42)는 승강부(20)의 승강에 따라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장력 유지체(70)가 연결체(42)에 설치되어 연결체(42)의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장력 유지체(70)는 탄성체를 통해 연결체(42)를 밀어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20)의 상측에 결합되는 재배부(10)는 다수의 승강부(20)의 승강으로 승강되며, 상측 내부에 배양액이 저장되어 식물이 수경재배되도록 긴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배양부의 상측은 개구되고, 내부에 식물이 생장 할 수 있도록 양액이 저장되는 생장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재배부(10)는 하단에 배양액이 배출되는 배출홀(12)이 다수 형성되어 배출홀(12)에 분사부(100)가 결합되며, 내부에 타공망(50)이 설치되는 고정체(13)가 형성된다.
상기 타공망(50)은 다수의 타공홀(51)이 형성되어 식물이 타공홀(51)을 통해 지지되어 대가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체(13)는 식물이 수직 방향으로 생장할 수 있도록 식물의 대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체(13)는 다수로 구성되어 식물의 생장 높이에 따라 추가적으로 상측에 설치하여 식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체(13)의 높이를 고정하여 재배부(10) 내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재배부(10)의 내부 벽면에 다수 형성되어 고정체(13)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사부(100)는 재배부(10)의 하측면에 다수 형성되어 재배부(10) 내부의 배양액을 하부로 분사시킨다.
상기 분사부(100)는 재배부(10)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홀(12)에 결합되는 밸브 및 밸브의 하측에 결합되는 분사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분사부(100)는 재배부(10) 내부의 양액을 하부로 분사하여 바닥에 형성되는 식재부(80)에 식재되는 식물에 양액을 분사하여 별도의 양액을 공급하지 않아도 식재부(80)의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재배부(10)의 상측에는 주입부(60)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을 재배부(10)의 생장공간(11)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재배부(10)의 바닥 하측면에는 다수의 발광체(110)가 형성되어 제어부(90)의 제어신호를 통해 하측의 식물에 빛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재배부(10)의 하측 바닥에는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80)가 형성되어 식물이 바닥에 식재되어 생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90)는 작동부, 분사부(100) 및 주입부(60)와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재배부에 수경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재배부를 승강시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어 수확을 쉽게 할 수 있고, 재배부의 하측 바닥에 식물을 식재하여 2단으로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 예들은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재배부 11 : 생장공간
12 : 배출홀 13 : 고정체
20 : 승강부 21 : 승강기어
22 : 고정대 23 : 연결지지대
30 : 지지부 31 : 덮개
32 : 승강공간 33 : 기어
34 : 절개홈
40 : 구동부 41 : 감속체
42 : 연결체
50 : 타공망 51 : 타공홀
60 : 주입부 70 : 장력 유지체
80 : 식재부 90 : 제어부
100 : 분사부 110 : 발광체

Claims (7)

  1. 바닥에 다수 고정되며, 이송체가 하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승강공간(32)이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내부의 전후 방향 양측 내측면에 기어(33)가 형성되며, 대향 되는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절개홈(34)이 형성되어 승강부(20)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30);
    상기 지지부(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공간(32)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지지부(30)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20);
    상기 승강부(20)와 연결되어 승강부(20)가 회전되어 승강되도록 연결체(42)를 통해 연결되는 작동부;
    상기 승강부(20)의 상측에 결합되어 다수의 승강부(20)의 승강으로 승강되며, 상측 내부에 배양액이 저장되어 식물이 수경재배되도록 긴 길이로 형성되는 재배부(10);
    상기 재배부(10)의 하부에 다수 형성되어 재배부(10) 내부의 배양액을 하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부(100);
    상기 재배부(10)의 상측에 형성되어 배양액을 재배부(10)로 주입하는 주입부(60);
    상기 재배부(10)의 하측 바닥에 구성되어 바닥 토양에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되는 식재부(80) 및
    상기 작동부, 분사부(100) 및 주입부(60)와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30)는 재배부(10)의 길이방향 양측 좌우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승강공간(32)이 형성되어 승강부(20)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전기어(33)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기어(33)와 대응되도록 기어(33)가 내부의 내측면 전후방향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20)가 승강될 수 있도록 승강부(20) 측면이 수직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홈(34)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어 승강부(20)의 회전기어(33)가 삽입될 수있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20)의 회전기어(33)가 승강공간(32)에 삽입되면, 개구에 덮개(31)가 결합되어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승강부(20)는 양단에 승강기어(21)가 형성되고, 구동부(40)와 연결체(42)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부(40)의 구동으로 회전되어 승강기어(21)를 통해 지지부(30)의 기어(33)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며, 양단의 승강기어(21) 간에 연결지지대(23)가 형성되고, 연결지지대(23)의 외주연에 고정대(22)가 형성되어 고정대(22) 내부에서 연결지지대(23)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대(22)가 재배부(10)와 밀착 고정되며, 회전대와 고정대(22) 간에 회전을 원활하도록 하는 윤활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승강부(20)를 회전구동으로 회전시켜 승강되도록 하는 모터체;
    상기 모터체와 결합되어 모터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체(41) 및
    상기 감속체(41)와 승강부(20) 간에 연결되어 감속체(41)의 구동력을 승강부(20)로 전달하는 연결체(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부(10)는,
    상기 승강부(20)의 상측에 결합되며, 승강부(20)의 승강을 통해 승강되고, 내부에 배양액이 저장되는 생장공간(11)이 형성되고, 하단에 배양액이 배출되는 배출홀(12)이 다수 형성되어 배출홀(12)에 분사부(100)가 결합되며, 내부에 타공망(50)이 설치되는 고정체(13)가 형성되고, 바닥의 하측방향으로 다수의 발광체(110)가 형성되어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는 바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이송체가 결합되며, 상기 이송체에는 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위치 이동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100)는,
    상기 재배부(10)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홀(12)에 결합되는 밸브 및
    상기 밸브의 하측에 결합되는 분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KR1020180018380A 2018-02-14 2018-02-14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Active KR102067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380A KR102067454B1 (ko) 2018-02-14 2018-02-14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380A KR102067454B1 (ko) 2018-02-14 2018-02-14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433A KR20190098433A (ko) 2019-08-22
KR102067454B1 true KR102067454B1 (ko) 2020-01-17

Family

ID=6776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380A Active KR102067454B1 (ko) 2018-02-14 2018-02-14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862A (ko) 2021-09-08 2023-03-15 박은호 키 높은 작물의 고설 재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9096A (ja) * 2008-07-28 2010-02-12 Casle Co Ltd 多段容器式栽培装置
KR101181637B1 (ko) * 2010-07-06 2012-09-10 김재복 승강식 콩나물 발아 및 재배 장치
KR101740578B1 (ko) * 2015-03-06 2017-05-26 (주)테라조경 수경재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115B1 (ko) 2011-03-03 2013-05-16 김숙자 이동이 가능한 고설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9096A (ja) * 2008-07-28 2010-02-12 Casle Co Ltd 多段容器式栽培装置
KR101181637B1 (ko) * 2010-07-06 2012-09-10 김재복 승강식 콩나물 발아 및 재배 장치
KR101740578B1 (ko) * 2015-03-06 2017-05-26 (주)테라조경 수경재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862A (ko) 2021-09-08 2023-03-15 박은호 키 높은 작물의 고설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433A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249B1 (ko) 식물재배시스템
KR101207485B1 (ko) 하우스용 다목적 자동 분무기
KR101567559B1 (ko) 승하강이 가능한 수경재배장치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KR20160122780A (ko) 회전가능한 랙 시스템
KR101967533B1 (ko) 다단 회전식 농작물 재배장치
JP4139744B2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施設
KR101916640B1 (ko) 육묘 포트용 이동형 관수장치
KR102539624B1 (ko) 높낮이조절형 재배장치
JPH07111828A (ja) 植物の立体栽培装置
KR102067454B1 (ko)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KR20160015888A (ko) 농업용 회전 재배장치
KR101086888B1 (ko) 양액 재배 포트 조립체
KR100814413B1 (ko) 농산물 자동화 재배기
KR102382163B1 (ko) 밀폐형 재배시설 내부 행거타입 딸기재배 시설용 대기 습도 유지를 위한 수분액 분사장치
KR101866506B1 (ko) 자동화 식물재배 시스템
JP3152224U (ja) 栽培装置
JP2928758B2 (ja) 植物栽培装置
KR200463775Y1 (ko) 농작물 재배장치
KR101805389B1 (ko) 회전원통식 새싹 재배장치
KR20230121503A (ko) 좌우상하 약액분사장치
KR102134629B1 (ko)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KR101903777B1 (ko) 식물 재배장치
KR20190068328A (ko) 생초 연속 재배장치
KR20240132575A (ko) 회전식 수직형 식물재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