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117B1 - 바이오매스 유래 숙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매스 유래 숙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6117B1 KR102066117B1 KR1020180165191A KR20180165191A KR102066117B1 KR 102066117 B1 KR102066117 B1 KR 102066117B1 KR 1020180165191 A KR1020180165191 A KR 1020180165191A KR 20180165191 A KR20180165191 A KR 20180165191A KR 102066117 B1 KR102066117 B1 KR 1020661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n composition
- derived
- aliphatic
- succinic acid
- chi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2는 본 발명의 어망 제조방법의 방사단계의 흐름도.
도3은 도2의 연신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어망 제조방법의 방사단계의 개략도.
S300:방사단계 S400:편망단계
S310:칩용융단계 S320:압출단계
S330:냉각단계 S340:연신단계
S350:권취단계
S342:1차 연신단계 S344:2차 연신단계
S346:3차 연신단계 S348:4차 연신단계
300:방사장치 310:호퍼
320:실린더 330:방사구금
340:냉각조
350:제1 연신롤러 352:습식조
360:제2 연신롤러 362:제1 전기히터조
370:제3 연신롤러 372:제2 전기히터조
380:제4 연신롤러 390:보빈
Claims (6)
-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의 에스테르화반응 및 축중합반응에 의한 생분해성 코폴리에스테르수지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이 1:1의 몰비로 구성되어 수지조성물이 제조되는 수지조성물 제조단계;
상기 제조단계를 거친 수지조성물이 압출기에 의해 칩(chip)으로 성형되는 칩 성형단계;
상기 칩성형단계를 거쳐 제조된 칩이 방사기로 투입되어, 그물실로 방사되는 방사단계;
상기 방사단계를 거쳐 얻어진 그물실을 이용하여 그물이 짜여지는 편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지조성물 제조단계는,
(i) 촉매의 존재 하에 4,4-비스(4-히드록시페닐)발레릭산과 평균분자량 400인 폴리에틸렌디올을 210℃에서 2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다음[화학식 1]에 의한 다관능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n은 8 내지 10이다.)
(ii) 화석원료 유래 지방족 글리콜인 부탄디올 99~95mol%에 대해 에틸렌디올이 1~5mol%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성분을 200℃에서 2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 및 에스테르화 교환반응시키는 단계;
(iii) 상기 (ii)단계 반응물에, 화석원료 유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인 숙신산 99m~95mol%에 대해 아디프산이 1~5mol%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성분 및 상기 (i)단계에서 제조된 다관능 화합물을 투입하여 190℃ 내지 210℃에서 에스테르화 반응 및 에스테르 교환반응시키는 단계;
(iv) 상기 (iii) 단계의 반응생성물을 235℃ 내지 255℃ 온도 범위에서 3torr 미만의 진공도 하에 120분 내지 200분 동안 축중합 반응시켜 다음 [화학식2]로 표시되는 생분해성 코폴리에스테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화학식2]
(상기 식에서, n=2 내지 6, m=0 내지 8 이고, x, y, z는 고분자 물질의 중합도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x와 y의 몰비는 70 : 30 내지 5 : 95 이다.)
상기 방사단계는,
상기 칩성형단계에서 건조된 칩이 용융되는 칩용융단계;
상기 칩용융단계에서 용융된 용융물이 방사구금을 통하여 압출되는 압출단계;
상기 압출단계에서 압출된 필라멘트가 냉각조를 통과하여 냉각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를 거친 필라멘트가 연신롤러를 통과함으로써 연신되는 연신단계;
상기 연신단계를 거친 필라멘트가 보빈에 감겨지는 권취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단계에서, 상기 칩은 198~223℃온도의 실린더 내부에서, 상기 실린더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 헤드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상기 방사구금을 통해 압출되되, 상기 피스톤헤드는 223℃이고, 상기 방사구금은 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숙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 제조방법.
-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의 에스테르화반응 및 축중합반응에 의한 생분해성 코폴리에스테르수지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바이오매스 자원에서 유래되는 숙신산이며, 상기 숙신산과, 지방족 글리콜이 1:1의 몰비로 구성되어 수지조성물이 제조되는 수지조성물 제조단계;
상기 제조단계를 거친 수지조성물이 압출기에 의해 칩(chip)으로 성형되는 칩 성형단계;
상기 칩성형단계를 거쳐 제조된 칩이 방사기로 투입되어, 그물실로 방사되는 방사단계;
상기 방사단계를 거쳐 얻어진 그물실을 이용하여 그물이 짜여지는 편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지조성물 제조단계는,
(i) 촉매의 존재 하에 4,4-비스(4-히드록시페닐)발레릭산과 평균분자량 400인 폴리에틸렌디올을 210℃에서 2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다음[화학식 1]에 의한 다관능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n은 8 내지 10이다.)
(ii) 화석원료 유래 지방족 글리콜인 부탄디올 99~95mol%에 대해 에틸렌디올이 1~5mol%의 비율로 혼합되는 혼합성분을 200℃에서 2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 및 에스테르화 교환반응시키는 단계;
(iii) 상기 (ii)단계 반응물에, 화석원료 유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인 숙신산 단독성분 및 상기 (i)단계에서 제조된 다관능 화합물을 투입하여 190℃ 내지 210℃에서 에스테르화 반응 및 에스테르 교환반응시키는 단계;
(iv) 상기 (iii) 단계의 반응생성물을 235℃ 내지 255℃ 온도 범위에서 3torr 미만의 진공도 하에 120분 내지 200분 동안 축중합 반응시켜 다음 [화학식2]로 표시되는 생분해성 코폴리에스테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화학식2]
(상기 식에서, n=2 내지 6, m=0 내지 8 이고, x, y, z는 고분자 물질의 중합도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x와 y의 몰비는 70 : 30 내지 5 : 95 이다.)
상기 방사단계는,
상기 칩성형단계에서 건조된 칩이 용융되는 칩용융단계;
상기 칩용융단계에서 용융된 용융물이 방사구금을 통하여 압출되는 압출단계;
상기 압출단계에서 압출된 필라멘트가 냉각조를 통과하여 냉각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를 거친 필라멘트가 연신롤러를 통과함으로써 연신되는 연신단계;
상기 연신단계를 거친 필라멘트가 보빈에 감겨지는 권취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단계에서, 상기 칩은 198~215℃온도의 실린더 내부에서, 상기 실린더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 헤드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상기 방사구금을 통해 압출되되, 상기 피스톤헤드는 215℃이고, 상기 방사구금은 2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숙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단계는,
상기 냉각단계에서 냉각된 필라멘트가 제1 연신롤러를 거친뒤 습식조를 통과하는 1차 연신단계;
상기 1차 연신단계의 습식조를 통과한 필라멘트가 제 2연신롤러를 거쳐 제1 전기히터조를 통과하는 2차 연신단계;
상기 2차 연신단계를 거친 필라멘트가 제3 연신롤러를 거쳐 제2 전기히터조를 통과하는 3차 연신단계;
제4 연신롤러에서 이완되는 4차 연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숙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조성물은, 수평균 분자량이 50,000~150,000이고, 용융흐름지수가 190℃ 2160g의 하중에서 1g/10min~6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숙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5191A KR102066117B1 (ko) | 2018-12-19 | 2018-12-19 | 바이오매스 유래 숙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5191A KR102066117B1 (ko) | 2018-12-19 | 2018-12-19 | 바이오매스 유래 숙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6117B1 true KR102066117B1 (ko) | 2020-01-15 |
Family
ID=6915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5191A Active KR102066117B1 (ko) | 2018-12-19 | 2018-12-19 | 바이오매스 유래 숙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6117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5812B1 (ko) * | 2002-09-19 | 2004-01-24 | 대한민국 |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어로작업용 어구 및 그의 제조방법 |
JP2008094888A (ja) * | 2006-10-06 | 2008-04-24 | Mitsubishi Chemicals Corp | 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
KR20100108528A (ko) * | 2007-12-27 | 2010-10-07 |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
KR100993635B1 (ko) * | 2010-05-06 | 2010-11-15 | 대한민국 |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의 제조방법 |
KR101459009B1 (ko) | 2013-12-26 | 2014-11-10 | 윤일금 | 방오 기능을 갖는 어망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망 |
KR20160052907A (ko) * | 2014-10-29 | 2016-05-13 |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어망 |
KR101749343B1 (ko) | 2016-03-22 | 2017-06-22 | 진양어망주식회사 | 내구성이 강화된 어망의 제조방법 |
KR101989045B1 (ko) * | 2017-12-28 | 2019-06-13 | (주) 티엘씨 코리아 | 내후성 및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2018
- 2018-12-19 KR KR1020180165191A patent/KR10206611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5812B1 (ko) * | 2002-09-19 | 2004-01-24 | 대한민국 |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어로작업용 어구 및 그의 제조방법 |
JP2008094888A (ja) * | 2006-10-06 | 2008-04-24 | Mitsubishi Chemicals Corp | 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
KR20100108528A (ko) * | 2007-12-27 | 2010-10-07 |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
KR100993635B1 (ko) * | 2010-05-06 | 2010-11-15 | 대한민국 |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의 제조방법 |
KR101459009B1 (ko) | 2013-12-26 | 2014-11-10 | 윤일금 | 방오 기능을 갖는 어망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망 |
KR20160052907A (ko) * | 2014-10-29 | 2016-05-13 |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어망 |
KR101749343B1 (ko) | 2016-03-22 | 2017-06-22 | 진양어망주식회사 | 내구성이 강화된 어망의 제조방법 |
KR101989045B1 (ko) * | 2017-12-28 | 2019-06-13 | (주) 티엘씨 코리아 | 내후성 및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6118B1 (ko) |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 제조방법 | |
CN1102676C (zh) | 聚酯纤维及其制备方法 | |
KR100993635B1 (ko) |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의 제조방법 | |
JP3831446B2 (ja) | 技術分野に適したコア−シース構造の高強度モノフィラメント | |
KR20210106632A (ko) | 생분해성이 우수한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 |
CN102459724B (zh) | 聚乙醇酸纤维的制造方法 | |
CN114108133A (zh) | 一种复合单丝的制备方法 | |
TW201000700A (en) | Polyethylene naphthalate fi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polyethylene naphthalate fiber | |
KR101197724B1 (ko) | 폐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재생 폴리에스테르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27226B1 (ko) | 친환경 생분해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15406B1 (ko) | 내열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 | |
KR102066117B1 (ko) | 바이오매스 유래 숙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망 제조방법 | |
JP6474944B2 (ja) | 超低収縮ポリエステル工業糸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04878458A (zh) | 一种渔用聚乳酸单丝制造方法 | |
KR101171820B1 (ko) | 고강도 원사의 제조방법 및 고강도 원사를 이용한 안전망 | |
CN118063752A (zh) | 一种改性聚丁二酸丁二醇酯切片的制备方法及低弹丝的制备方法 | |
CN115679469B (zh) | 一种p34hb纤维的制备方法和应用 | |
CN100523323C (zh) | 聚甲醛树脂制加捻纱线 | |
CN101187091A (zh) | 共聚聚苯硫醚复合纤维的制造方法 | |
JP2000154425A (ja) | 生分解性モノフィラメントの製造法 | |
KR102279713B1 (ko) | 어로작업용 어구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어로작업용 어구 및 그 제조방법 | |
CN112111052A (zh) | 一种pet扁丝的原料配方及其制备方法 | |
JP5296645B2 (ja) | 産業資材用紐状物 | |
KR101672465B1 (ko) |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복합섬유 | |
KR102241114B1 (ko) |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용 원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5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108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08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