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5529B1 -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및 이를 이용한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및 이를 이용한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529B1
KR102065529B1 KR1020180084964A KR20180084964A KR102065529B1 KR 102065529 B1 KR102065529 B1 KR 102065529B1 KR 1020180084964 A KR1020180084964 A KR 1020180084964A KR 20180084964 A KR20180084964 A KR 20180084964A KR 102065529 B1 KR102065529 B1 KR 102065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inged
edge
wall
form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상민
Priority to KR1020180084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5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26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involving folding, leading, or trailing flaps of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72Packaging of dressings
    • A61F13/00076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 A61F13/0008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removal of the packaging and release l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61F15/002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dispensers for web or tape like band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31B50/624Applying glue on bla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카톤(100)은 전면벽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2), 후면벽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16), 측면벽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10, 14), 접착 플랩(11),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들(22, 30) 및 바닥벽을 형성하는 바닥 패널(34)을 포함하는 카톤벽들을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패널들을 포함한다. 제1 측면 패널 및 제2 측면 패널(10, 14)은 전면 패널(12)의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후면 패널(16)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제2 측면 패널(14)이 힌지 연결되고, 후면 패널(16)의 타측면 가장자리에는 접착 플랩(11)이 힌지 연결된다. 전면 패널(1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상부 패널(22)이 힌지 연결되며, 전면측 상부 패널(2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록킹탭(24)이 힌지 연결된다. 후면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패널(30)이 힌지 연결되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접힘 플랩(33)이 힌지 연결되며; 후면 패널(16)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바닥 패널(34)이 힌지 연결되며, 후면측 바닥 패널(34)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하부 결합패널(36)이 힌지 연결된다. 전면벽, 후면벽, 바닥벽 및 상부벽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일회용 롤형 밴드(R)가 수납되며, 일회용 롤형 밴드의 인출단(Rout)이 접힘 플랩(33)쪽으로 인출되며, 상기 일회용 롤형 밴드의 인출단(Rout)은 상기 접힘 플랩(33)의 접힘선(80)에서 상기 접힘 플랩(33)의 반대 방향으로 꺽여진 상태에서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외측 표면과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22)의 내측 표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된 상기 텐션 패널(33)은 카톤(100)의 내부로 접혀져서 접힘선(80)의 외부면을 따라 라운드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및 이를 이용한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BLANK FOR MANUFACTURING CARTON FOR DISPENCER OF ROLL TYPE DISPOSABLE BANDAND AND DISPENCER OF ROLL TYPE DISPOSABLE BANDA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이러한 블랭크에 의해 제조되는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 및 이러한 블랭크 및 카톤을 이용하는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병원에서 환자에게 주사를 놓을 때, 주사를 놓은 부위를 위생솜 등으로 압박하여 피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멍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근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박테이프(3)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롤형 압박테이프로부터 손으로 압박테이프를 하나씩 떼어 사용할 경우에 한쪽 손으로 테이프롤(4)을 잡고 다른쪽 손으로 테이프(5)의 단부를 잡아 당겨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한 뒤 다시 별도의 가위나 칼을 손으로 잡고 테이프를 절단해야만 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롤형 압박테이프로부터 압박테이프를 손으로 떼어내는 과정에서 압박테이프에 손이 접촉되어 세균이 감명되는 등의 위생 및 청결에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0883884호에서는 케이스의 내부에 의료용 점착밴드(7)를 공급할 수 있는 롤러들(8)과 치차들(9)에 의한 회전운동으로 케이스로부터 의료용 점착밴드(7)를 신속하게 인출할 수 있는 의료용 점착밴드 인출기(6)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한국 등록특허 제10-0883884호의 의료용 점착밴드 인출기는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들며, 롤형 밴드를 점착밴드 인출기에 수납하는 것이 번거로우며, 롤형 밴드를 다 사용한 후에 인출기를 폐기할 때, 금속, 플라스틱을 분리하여 폐기처분해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이러한 블랭크에 의해 제조되는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 및 이러한 블랭크 및 카톤을 이용하는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는 전면벽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 후면벽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 측면벽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 접착 플랩,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들 및 바닥벽을 형성하는 바닥 패널을 포함하는 카톤벽들을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패널 및 제2 측면 패널은 상기 전면 패널의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측면 패널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의 타측면 가장자리에는 접착 플랩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상부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록킹탭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결합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 플랩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바닥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바닥 패널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하부 결합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의 접는선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록킹탭이 상기 절개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된 상기 접힘 플랩은 카톤의 내부로 접혀져서 접힘선의 외부면을 따라 라운드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는, 전면벽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 후면벽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 측면벽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 접착 플랩,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들 및 바닥벽을 형성하는 바닥 패널을 포함하는 카톤벽들을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패널 및 제2 측면 패널은 상기 전면 패널의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측면 패널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의 타측면 가장자리에는 접착 플랩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상부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록킹탭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바닥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결합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 플랩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바닥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의 접는선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록킹탭이 상기 절개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 측면 패널(10)의 하측 가장자리에 제1 바닥 패널(20)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2 측면 패널(14)의 하측 가장자리에 제2 바닥 패널(28)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된 상기 접힘 플랩은 카톤의 내부로 접혀져서 접힘선의 외부면을 따라 라운드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는 종이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에 있어서, 상기 카톤은 전면벽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 후면벽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 측면벽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 접착 플랩,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들 및 바닥벽을 형성하는 바닥 패널을 포함하는 카톤벽들을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패널 및 제2 측면 패널은 상기 전면 패널의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측면 패널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의 타측면 가장자리에는 접착 플랩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상부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록킹탭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결합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 플랩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바닥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바닥 패널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하부 결합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의 접는선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록킹탭이 상기 절개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전면벽, 후면벽, 바닥벽 및 상부벽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일회용 롤형 밴드가 수납되며, 상기 일회용 롤형 밴드의 인출단이 상기 텐션 플랩쪽으로 인출되며, 상기 일회용 롤형 밴드의 인출단은 상기 접힘 플랩의 접힘선에서 상기 접힘 플랩의 반대 방향으로 꺽여진 상태에서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외측 표면과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의 내측 표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된 상기 접힘 플랩은 카톤의 내부로 접혀져서 접힘선의 외부면을 따라 라운드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은, 전면벽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 후면벽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 측면벽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 접착 플랩,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들 및 바닥벽을 형성하는 바닥 패널을 포함하는 카톤벽들을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패널 및 제2 측면 패널은 상기 전면 패널의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측면 패널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의 타측면 가장자리에는 접착 플랩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상부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록킹탭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바닥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결합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 플랩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바닥 패널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의 접는선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록킹탭이 상기 절개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 측면 패널(10)의 하측 가장자리에 제1 바닥 패널(20)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2 측면 패널(14)의 하측 가장자리에 제2 바닥 패널(28)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벽, 후면벽, 바닥벽 및 상부벽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일회용 롤형 밴드가 수납되며, 상기 일회용 롤형 밴드의 인출단이 상기 텐션 플랩쪽으로 인출되며, 상기 일회용 롤형 밴드의 인출단은 상기 접힘 플랩의 접힘선에서 상기 접힘 플랩의 반대 방향으로 꺽여진 상태에서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외측 표면과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의 내측 표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된 상기 접힘 플랩은 카톤의 내부로 접혀져서 접힘선의 외부면을 따라 라운드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은 블랭크는 종이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및 이를 이용한 카톤에 따르면, 단일의 블랭크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롤형 압박밴드, 점착 밴드 등의 디스펜서를 제조할 수 있으며, 롤형 밴드의 인출단을 잡아당기면 자동적으로 밴드가 이형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의 카톤 및 블랭크는 종이 재질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롤형 밴드를 다 사용한 후에 밴드 인출기 또는 밴드 디스펜서를 폐기할 때, 종이로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롤형 압박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의료용 점착밴드 인출기의 분해 사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롤형 랜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블랭크로부터 카톤을 제조하는 일련의 접힘 작업에서의 제1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블랭크로부터 카톤을 제조하는 일련의 접힘 작업에서의 제2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블랭크로부터 카톤을 제조하는 일련의 접힘 작업에서의 제3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카톤이 사각형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블랭크로부터 카톤을 제조하는 일련의 접힘 작업에서의 제4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3의 블랭크로부터 카톤을 제조하는 일련의 접힘 작업에서의 제5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3의 블랭크로부터 카톤을 제조하는 일련의 접힘 작업에서의 제7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롤형 랜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출원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100)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는 일렬로 연결된 제1 측면 패널(10), 전면 패널(12), 제2 측면 패널(14), 후면 패널(16) 및 접촉 플랩(11)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들은 대응하는 접힘선(fold line)(60, 62, 64, 66)에 의해 서로 힌지되어 있다.
상기 제1 측면 패널 및 제2 측면 패널(10, 14)은 상기 전면 패널(12)의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16)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측면 패널(14)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16)의 타측면 가장자리에는 접착 플랩(11)이 힌지 연결된다. 상기 접착 플랩(11)의 상하측 가장자리들은 모따기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 플랩(11)은 상기 후면 패널(16)의 일측면 가장자리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면 패널(16)의 일측 가장자리에 접힘선(66)에 의해 힌지 연결된 접착 플랩(11)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접착제(G)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접착 플랩(11)의 후면에 접착제(G)가 도포되는 경우에는 카톤(100) 조립시 접착 플랩(11)이 제1 측면 패널(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카톤(100) 조립 완료후 접착 플랩(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깔끔하게 되며, 접착 플랩(11)이 외부 물체에 걸려서 접착부가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상부 패널(22)이 접힘선(70)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2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록킹탭(locking tab)(24)이 접힘선(72)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상기 록킹탭은 후술하는 절개부(50)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후면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패널(30)이 접힘선(76)에 의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접힘선(80)에 의해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 플랩(33)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결합 패널(32)이 접힘선(78)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100)에서는, 전면벽, 후면벽, 바닥벽 및 상부벽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일회용 롤형 밴드(200)가 수납된다. 상기 일회용 롤형 밴드(200)에는 다수의 압박테이프 또는 점착밴드(210)가 롤형태의 이형지(220) 위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회용 롤형 밴드의 인출단(200out)은 상기 접힘 플랩(33)쪽으로 인출되며, 상기 일회용 롤형 밴드의 인출단(200out)은 상기 접힘 플랩(33)의 접힘선(80)에서 상기 접힘 플랩(33)의 반대 방향으로 꺽여진 상태에서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외측 표면과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22)의 내측 표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일회용 롤형 밴드(200)의 인출단부(200out)의 방향이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측면 가장자리부를 경계로 반대 방향으로 급격하게 바뀌기 때문에, 밴드를 인출할 때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측면 가장자리부에서 상당한 마찰력이 작용하여 밴드의 인출작용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측면 가장자리부와 롤형 밴드(200)의 이형지(22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측면 가장자리부에 라운드부를 형성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 접힘선(80)에 의해 힌지 연결된 상기 접힘 패널(33)은 카톤(100)의 내부로 접혀져서 접힘선(80)의 외부면을 따라 라운드부(R)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후면 패널(16)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바닥 패널(34)이 접힘선(86)에 의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바닥 패널(34)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하부 결합패널(36)이 접힘선(88)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상기 후면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의 접힘선(76)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50)가 형성되어, 상기 록킹탭(24)이 상기 절개부(5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100)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는 단일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블랭크(1)는 단일의 종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블랭크(1)가 단일의 재질로 제조된 경우에는, 일회용 롤형 밴드를 모두 사용한 다음에,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를 종이 또는 플라스틱으로 분류하여 간단하게 폐기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100)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에서는, 상기 제1 측면 패널(10)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1 상부 패널(18) 및 제1 바닥 패널(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패널(14)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2 상부 패널(26) 및 제2 바닥 패널(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후면측 바닥 패널(34), 제1 바닥 패널(20) 및 제2 바닥 패널(28)에 의해 바닥벽을 형성하므로, 바닥벽을 보다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100)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에서는, 상기 후면측 바닥 패널(34)과 상기 후면측 하부 결합 패널(36)을 연결하는 접는선(88)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 절개선(52, 5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선(52, 54)의 길이는 상기 제1 바닥 패널(20) 및 제2 바닥 패널(28)의 측면 가장자리(20a, 28a)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 바닥 패널(20) 및 제2 바닥 패널(28)의 측면 가장자리(20a, 28a)가 상기 후면측 하부 결합 패널(36)의 양측 단부의 절개선(52, 54)에 끼워져서 바닥벽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블랭크(1)를 이용하여 일회용 롤형 디스펜서용 카톤(100)을 조립하는 방법을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블랭크(1)로부터 카톤(100)을 조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일련의 접힘작업에서 제1 단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1)의 후면 패널(16)의 일측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접착 플랩(11)을 접힘선(66)을 따라 내측으로 접는다. 그러면, 접착 플랩(11)의 후면이 전방으로 노출되어지는데, 이 상태에서 접착 플랩(11)의 후면에 접착제(G)를 도포한다. 상기 접착제는 풀 및 수지와 같은 액체성 접착 물질 등이 고려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방식 이외에 융착(welding), 기계적 고정 장치 또는 테이프 접착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착 플랩(11)의 후면에 접착제(G)가 도포되는 대신에 이 표면에 대응하는 제1 측면 패널(10)의 전방 표면에 접착제(G)가 도포될 수 있다.
다음에, 도 5는 도 3의 블랭크(1)의 일련의 접힘 작업에서 제2 단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12) 및 제1 측면 패널(10)이 접힘선(62)을 중심으로 접혀서, 제1 측면 패널(10)의 전방 표면의 바깥쪽 가장자리부가 접착 플랩(11)의 후면의 접착제(G) 도포부위에 접착되어 제1 측면 패널(10)과 접착 플랩(11)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접착 플랩(11)의 후면에 접착제(G)가 도포되는 대신에 접착 플랩(11)의 전면에 접착제(G)가 도포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6은 도 3의 블랭크(1)로부터 카톤(100)을 제조하는 일전의 접힘 작업에서의 제3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카톤(100)이 사각형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전면벽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2), 후면벽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16), 측면벽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10, 14)에 의해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부에 롤형 밴드(200)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롤형 밴드는 롤형태의 이형지 위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부착되는 다수의 밴드, 예를 들어, 압착테이프, 점착밴드 또는 일회용 밴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 형상의 밴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착밴드 또는 일회용 밴드는 점착시트의 점착면의 중앙에 거즈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점차시트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에, 도 7은 도 3의 블랭크(1)로부터 카톤(100)을 제조하는 일련의 접힘 작업에서의 제4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4 단계에서, 후면측 바닥 패널(34)이 접힘선(86)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혀지며, 후면측 하부 결합패널(36)이 접힘선(88)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혀진다. 상기 후면측 하부 결합패널(36)을 상기 전면 패널(12)의 하단부의 내측으로 끼워 넣으면, 상기 제1 바닥 패널(20) 및 제2 바닥 패널(28)의 측면 가장자리(20a, 28a)가 상기 후면측 하부 결합 패널(36)의 양측 단부의 절개선(52, 54)에 끼워져서 바닥벽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카톤(100)의 바닥벽의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다음에, 도 8 및 도 9는 도 3의 블랭크(1)로부터 카톤(100)을 제조하는 일전의 접힘 작업에서의 제5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롤 밴드(200)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에 수납되는 롤형 밴드(200)는 압착테이프 또는 점착밴드(210)가 이형지(220)의 전면에 부착되며, 롤형 밴드(200)를 권취하였을 때 압착테이프 또는 점착밴드(210)가 내면에 배치되며, 롤형 밴드(200)의 인출단(200out)이 상기 접힘 플랩(33) 쪽으로 인출되도록 디스펜서에 수납한다. 또한,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 접힘선(80)에 의해 힌지 연결된 접힘 플랩(33)의 전면이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전면을 향하도록, 접힘 플랩(33)을 카톤(100)의 내측으로 접으며, 이에 의해 접힘선(80)의 외부면을 따라 라운드부(R)를 형성한다. 이러한 접힘선(80)의 외부면의 라운드부(R)의 구성에 의해,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측면 가장자리부와 롤형 밴드(200)의 이형지(22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측 상부 결합 패널(32)을 접힘선(78)을 따라 접어서 전면 패널(12)의 상단 내측면쪽으로 밀어넣는다.
다음에, 도 10 내지 도 12는 도 3의 블랭크(1)로부터 카톤(100)을 제조하는 일전의 접힘 작업에서의 제6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가 완성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플랩(33)쪽으로 인출된 일회용 롤형 밴드의 인출단(200out)은 상기 접힘 플랩(33)의 접힘선(80)에서 상기 접힘 플랩(33)의 반대 방향으로 꺽여진 상태(대략 180도 꺽여진 상태)에서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외측 표면과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22)의 내측 표면 사이에 배치된다. 그 다음에,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측 상부 패널(22)의 상측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된 록킹탭(24)이 후면 패널(16)과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힌지 연결선(76) 부위에 형성된 절개부(50)에 끼워져 결합되어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가 완성된다. 상기 록킹탭(24) 및 상기 절개부(50)는 각각 2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갯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1, 1') 또는 카톤(100)을 이용하여 제조한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일회용 롤형 밴드는 다수의 일회용 밴드(210)가 롤형태의 이형지(220) 위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일회용 밴드(210)를 이형지(220)로부터 하나씩 떼어내어 사용하는 형식의 밴드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에서는 밴드의 인출단(200out)이 접힘선(80)의 외주면 부위에서 급격하게 방향이 전환(대략 180도 전환)되므로, 밴드이 인출단(200out)이 접힘선(80)의 외주면 부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형지(220)가 둔각으로 크게 꺽여지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220)에 부착되어 있던 압착테이프 또는 점착밴드(210)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톤(100)에서는,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 접힘선(80)에 의해 힌지 연결된 접힘 플랩(33)의 전면이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전면을 향하도록, 접힘 플랩(33)이 카톤(100)의 내측으로 접혀져서, 접힘선(80)의 외부면을 따라 라운드부(R)가 형성된다. 이러한 접힘선(80)의 외부면의 라운드부(R)의 구성에 의해, 롤형 밴드(200)의 인출단(200out)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밴드(200)를 인출할 때,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측면 가장자리부와 롤형 밴드(200)의 이형지(22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디스펜서로부터 원활하게 밴드(200)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100)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100)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의 구성 및 작용과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100)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1)와 비교할 때, 바닥벽을 형성하는 패널이 전면측 바닥 패널(38), 후면측 바닥 패널(40), 제1 바닥 패널(20) 및 제2 바닥 패널(28)로 구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1)와 동일하다. 전면측 바닥 패널(38)은 접힘선(90)에 의해 전면 패널(12)에 힌지 연결되며, 후면특 바닥 패널(40)은 접힘선(86)에 의해 후면 패널(16)에 힌지 연결된다. 전면측 바닥 패널(38)에는 접힘선(92)가 형성될 수 있고, 후면측 바닥 패널(40)에는 접힘선(94)가 형성될 수 있어서, 바닥벽 형성과정에서 접힐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측 바닥 패널(38)의 외부면의 일측과 상기 제2 바닥 패널(28)의 내부면이 접착제(G)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후면측 바닥 패널(40)의 외부면의 일측과 상기 제1 바닥 패널(20)의 내부면이 접착제(G)에 의해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톤(100)의 바닥벽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측 바닥 패널(38). 후면측 바닥 패널(40), 제1 바닥 패널(20) 및 제2 바닥 패널(28)은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변화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패널들 및 구멍들의 사이즈 및 형상이 다른 사이즈 또는 형상의 제품들을 수용하도록 조절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단부," "측면," "내부," "외부," "상부," 및 "하부"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들은 각각의 패널들에 대해 그러한 배향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단순히 이러한 패널들을 서로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 힌지 연결에 대한 어떠한 용어도 반드시 단일 접힘 라인만을 기준으로 하여 고려되어서는 안 되며; 실제로 힌지 연결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짧은 슬릿(short slit), 파단가능선(frangible line), 접힘 라인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예상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랭크 및 카톤을 이용한 밴드 디스펜서는 롤형태의 이형지 위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부착되는 다수의 압착테이프, 점착밴드 또는 일회용 밴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 형상의 밴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1' : 블랭크 10, 14 : 측면 패널
11 : 접착 플랩 12 : 전면 패널
16 : 후면 패널 18, 22, 26, 30 : 상부 패널
20, 28, 34, 38, 40 : 바닥 패널 24 : 록킹탭
32, 36 : 결합 패널 33 : 접힘 플랩
50 : 절개부 52, 52 : 절개선
60, 62, 64, 66, 68, 70, 72, 74, 76, 78, 80, 82, 84, 86, 88 : 접힘선
100 : 카톤 200 : 롤형 밴드
210 : 압착테이프 또는 접착밴드 220 : 이형지
G : 접착제 도포부

Claims (12)

  1.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100)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1)는 전면벽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2), 후면벽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16), 측면벽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10, 14), 접착 플랩(11),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들(22, 30) 및 바닥벽을 형성하는 바닥 패널(34)을 포함하는 카톤벽들을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패널 및 제2 측면 패널(10, 14)은 상기 전면 패널(12)의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16)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측면 패널(14)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16)의 타측면 가장자리에는 접착 플랩(11)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1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상부 패널(22)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2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록킹탭(24)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패널(30)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결합 패널(32)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 플랩(33)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16)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바닥 패널(34)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바닥 패널(34)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하부 결합패널(36)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의 접는선(76)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50)가 형성되어, 상기 록킹탭(24)이 상기 절개부(50)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된 상기 접힘 플랩(33)은 카톤(100)의 내부로 접혀져서 접힘선(80)의 외부면을 따라 라운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가 종이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플랩(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접착부(G)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패널(10)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1 상부 패널(18) 및 제1 바닥 패널(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패널(14)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2 상부 패널(26) 및 제2 바닥 패널(2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측 바닥 패널(34)과 상기 후면측 하부 결합 패널(36)을 연결하는 접는선(88)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 절개선(52, 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6.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100)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1)는 전면벽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2), 후면벽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16), 측면벽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10, 14), 접착 플랩(11),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들(22, 30) 및 바닥벽을 형성하는 바닥 패널(38, 40)을 포함하는 카톤벽들을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패널 및 제2 측면 패널(10, 14)은 상기 전면 패널(12)의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16)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측면 패널(14)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16)의 타측면 가장자리에는 접착 플랩(11)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1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상부 패널(22)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2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록킹탭(24)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12)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바닥 패널(38)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패널(30)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결합 패널(32)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 플랩(33)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16)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바닥 패널(40)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의 접는선(76)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50)가 형성되어, 상기 록킹탭(24)이 상기 절개부(50)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 측면 패널(10)의 하측 가장자리에 제1 바닥 패널(20)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2 측면 패널(14)의 하측 가장자리에 제2 바닥 패널(28)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된 상기 접힘 플랩(33)은 카톤(100)의 내부로 접혀져서 접힘선(80)의 외부면을 따라 라운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7.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100)에 있어서,
    상기 카톤(100)은 전면벽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2), 후면벽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16), 측면벽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10, 14), 접착 플랩(11),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들(22, 30) 및 바닥벽을 형성하는 바닥 패널(34)을 포함하는 카톤벽들을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패널 및 제2 측면 패널(10, 14)은 상기 전면 패널(12)의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16)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측면 패널(14)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16)의 타측면 가장자리에는 접착 플랩(11)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1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상부 패널(22)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2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록킹탭(24)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패널(30)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결합 패널(32)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 플랩(33)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16)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바닥 패널(34)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바닥 패널(34)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하부 결합패널(36)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의 접는선(78)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50)가 형성되어, 상기 록킹탭(24)이 상기 절개부(50)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전면벽, 후면벽, 바닥벽 및 상부벽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일회용 롤형 밴드(R)가 수납되며, 상기 일회용 롤형 밴드의 인출단(Rout)이 상기 접힘 플랩(33)쪽으로 인출되며, 상기 일회용 롤형 밴드의 인출단(Rout)은 상기 접힘 플랩(33)의 접힘선(80)에서 상기 접힘 플랩(33)의 반대 방향으로 꺽여진 상태에서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외측 표면과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22)의 내측 표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된 상기 접힘 플랩(33)은 카톤(100)의 내부로 접혀져서 접힘선(80)의 외부면을 따라 라운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톤(100)이 종이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플랩(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접착부(G)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패널(10)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1 상부 패널(18) 및 제1 바닥 패널(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패널(14)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2 상부 패널(26) 및 제2 바닥 패널(2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
  11.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100)에 있어서,
    상기 카톤(100)은 전면벽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2), 후면벽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16), 측면벽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10, 14), 접착 플랩(11),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들(22, 30) 및 바닥벽을 형성하는 바닥 패널(38, 40)을 포함하는 카톤벽들을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패널 및 제2 측면 패널(10, 14)은 상기 전면 패널(12)의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16)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측면 패널(14)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후면 패널(16)의 타측면 가장자리에는 접착 플랩(11)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1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상부 패널(22)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2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록킹탭(24)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12)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전면측 바닥 패널(38)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패널(30)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상부 결합 패널(32)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 플랩(33)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16)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후면측 바닥 패널(40)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후면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의 접는선(76)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50)가 형성되어, 상기 록킹탭(24)이 상기 절개부(50)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 측면 패널(10)의 하측 가장자리에 제1 바닥 패널(20)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2 측면 패널(14)의 하측 가장자리에 제2 바닥 패널(28)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전면벽, 후면벽, 바닥벽 및 상부벽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일회용 롤형 밴드(R)가 수납되며, 상기 일회용 롤형 밴드의 인출단(Rout)이 상기 접힘 플랩(33)쪽으로 인출되며, 상기 일회용 롤형 밴드의 인출단(Rout)은 상기 접힘 플랩(33)의 접힘선(80)에서 상기 접힘 플랩(33)의 반대 방향으로 꺽여진 상태에서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외측 표면과 상기 전면측 상부 패널(22)의 내측 표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후면측 상부 패널(30)의 바깥쪽 측면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된 상기 접힘 플랩(33)은 카톤(100)의 내부로 접혀져서 접힘선(80)의 외부면을 따라 라운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랭크 또는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톤을 이용하는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
KR1020180084964A 2018-07-20 2018-07-20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및 이를 이용한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 Active KR102065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64A KR102065529B1 (ko) 2018-07-20 2018-07-20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및 이를 이용한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64A KR102065529B1 (ko) 2018-07-20 2018-07-20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및 이를 이용한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529B1 true KR102065529B1 (ko) 2020-01-13

Family

ID=6915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964A Active KR102065529B1 (ko) 2018-07-20 2018-07-20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및 이를 이용한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127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미리디 박스형 롤스티커 디스펜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533A (ko) * 1993-08-06 1995-03-20 김창수 포장용 상자의 풀 자동 접착 장치
KR20080065020A (ko) * 2007-01-08 2008-07-11 (주)학산라이브시스템 라벨 스티커 분리 기구
KR20100028815A (ko) * 2008-09-05 2010-03-15 임정애 롤 권취된 일회용 위생밴드의 자동 취출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533A (ko) * 1993-08-06 1995-03-20 김창수 포장용 상자의 풀 자동 접착 장치
KR20080065020A (ko) * 2007-01-08 2008-07-11 (주)학산라이브시스템 라벨 스티커 분리 기구
KR20100028815A (ko) * 2008-09-05 2010-03-15 임정애 롤 권취된 일회용 위생밴드의 자동 취출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127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미리디 박스형 롤스티커 디스펜서
KR102453454B1 (ko) 2020-10-14 2022-10-12 주식회사 미리디 박스형 롤스티커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6474C (en) Container
US20080053598A1 (en) Reduced ply separation tail seal
US7661552B2 (en) Interfolded dispensing panel
KR102065529B1 (ko)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용 카톤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및 이를 이용한 일회용 롤형 밴드의 디스펜서
US20040065575A1 (en) Wound film dispenser with exterior re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GB2319241A (en) A dispensing tray
JP5920964B2 (ja) 廃棄しやすいティシュペーパー紙箱
JP2011136759A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及び家庭用薄葉紙収納箱における家庭用薄葉紙の詰め替え方法
US5967321A (en) Consumer-activated clip lift feature for tissue cartons
JP6125922B2 (ja) ラップフィルム装置
CA2272906C (en) Improved package for compressible product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4019483A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KR102209579B1 (ko)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JP4772500B2 (ja) 解体性に優れた衛生用紙包装箱
JP6035710B2 (ja) 包装容器
JPH08133299A (ja) ラップカートン
JP4870596B2 (ja) 包装用箱
JP2001163327A (ja) 包装箱
JP3202057B2 (ja) 紙製切断刃を有するロール物引き出し切断型収納箱の製造方法
US20020117530A1 (en) Wound film dispenser with exterior re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902550B2 (en) Box with six outwardly facing surfaces and at least one flap
AU2019100849A4 (en) Stacked fiber products
JP6295157B2 (ja) 巻回体収容箱、巻回体収容箱中間体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US20090308773A1 (en) Carton Box for Storage of Disposable Pre-Cut Toilet Paper Tissues
JP2024036188A (ja)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