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5268B1 -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 Google Patents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268B1
KR102065268B1 KR1020180094398A KR20180094398A KR102065268B1 KR 102065268 B1 KR102065268 B1 KR 102065268B1 KR 1020180094398 A KR1020180094398 A KR 1020180094398A KR 20180094398 A KR20180094398 A KR 20180094398A KR 102065268 B1 KR102065268 B1 KR 102065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upport rod
main hull
lifting
p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선
Original Assignee
최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선 filed Critical 최광선
Priority to KR102018009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2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E02B17/0809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the equipment being hydraul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를 위해 부력을 가지는 메인선체; 및 상기 메인선체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수직중공부에 관통하도록 지지로드가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로드에 양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로드의 양측에 유압실린더가 각각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 각각의 피스톤로드 끝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에 삽입되는 지지링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핀 각각이 상기 결합홀 각각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링과 상기 관통구를 제 1 핀이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를 상기 피스톤로드와 연결시키고, 상기 지지로드의 단계적인 상승 또는 단계적인 하강을 위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축을 반복할 때마다 다수의 관통구 중에서 상기 제 1 핀이 관통하는 위치를 변경하기 전에, 제 2 핀을 상기 수직중공부의 상단 상측에 위치하는 관통구에 관통 설치하여 상기 상단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가 상기 수직중공부로부터 하강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선체로부터 상기 지지로드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메인선체의 리프팅과 수중바닥의 관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고정겸용리프팅부;를 포함하는,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Barge with fixed and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에서 자체적으로 리프팅되도록 하여 크레인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차량 등에 손쉽게 탑재되도록 하고, 해저 바닥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해상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 해상 작업의 안정성과 다양성을 확대시키도록 하는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선은 항내, 내해, 호수, 하천, 운하 등에서 화물을 운반하는 소형선박을 일컫는 것으로, 대량의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를 해상으로 운반하기 위해 제조된 배를 말한다. 이러한 바지선은 두 지점 사이에서 화물을 운반하거나, 항내에 대형선이 접안할 수 없는 경우 등에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해 본선 옆에 대는 배로 사용되고, 대부분은 예인선에 의해 끌리거나, 밀배에 밀려서 항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바지선은 필요에 따라 스스로 이동할 필요를 가지게 되었는데, 이와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53655호의 "자항 바지선"이 있다. 이는 자체로 항해가 가능하도록 엔진과 프로펠러를 갖는 기관실부가 선체의 선미측 하부로 설치되고, 상기 선체가 균형을 이루면서 선미의 접안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관실부에 대응되는 상기 선체의 선수측으로 선교 및 선실부가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상면에 갑판으로 이루어진 화물적재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항해가 가능하지만, 육상에서의 이동을 위해서 크레인 등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차량에 탑재할 수 없게 되어, 육상에서의 이동에 많은 불편과 비용을 유발하고, 해상에서도 유동없이 고정될 필요가 있음에도 이를 어렵게 함으로써, 해상 작업의 안정성과 다양성을 확대시키는데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상기한 종래 기술 뿐만 아니라, 항해가 불가능한 기존의 모든 바지선에도 적용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상에서 자체적으로 리프팅되도록 하여 크레인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차량 등에 손쉽게 탑재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육상에서의 운반 내지 이동에 대한 편의성 증대와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해저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여 해상의 유동성을 방지함으로써 해상에서의 작업 안정성 향상과 작업 범위 확장을 가능하도록 하며, 육상 리프팅과 해저 고정의 겸용 장치 채택으로 인해 리프팅과 고정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아울러, 한정된 공간을 가진 선체의 설치 공간 확보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를 위해 부력을 가지는 메인선체; 및 상기 메인선체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수직중공부에 관통하도록 지지로드가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로드에 양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로드의 양측에 유압실린더가 각각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 각각의 피스톤로드 끝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에 삽입되는 지지링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핀 각각이 상기 결합홀 각각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링과 상기 관통구를 제 1 핀이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를 상기 피스톤로드와 연결시키고, 상기 지지로드의 단계적인 상승 또는 단계적인 하강을 위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축을 반복할 때마다 다수의 관통구 중에서 상기 제 1 핀이 관통하는 위치를 변경하기 전에, 제 2 핀을 상기 수직중공부의 상단 상측에 위치하는 관통구에 관통 설치하여 상기 상단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가 상기 수직중공부로부터 하강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선체로부터 상기 지지로드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메인선체의 리프팅과 수중바닥의 관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고정겸용리프팅부;를 포함하는,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이 제공된다.
상기 메인선체의 양측 각각에 전후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확장선체;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선체 각각이 상기 메인선체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메인선체가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선체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하는 수직조임부;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선체가 상기 메인선체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수평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겸용리프팅부는, 상기 지지로드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겸용리프팅부는, 상기 유압실린더가 상기 수직중공부 내의 양측면에 각각 브라켓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겸용리프팅부는, 상기 관통구가 상기 지지핀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로드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겸용리프팅부는,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상기 관통구가 서로 상이하면서도 번갈아가며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간격은, 상기 수직중공부의 상단 상측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상기 제 2 핀과, 상기 제 2 핀 상에 지지되는 지지링을 관통하는 제 1 핀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간격의 합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행정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메인선체에 수직되게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로부터 상기 메인선체의 저면으로 인출되는 피스톤로드에 의해 메인선체가 지면으로부터 리프팅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선체의 전측과 후측 각각에 설치되는 리프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에 의하면, 육상에서 자체적으로 리프팅되도록 하여 크레인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차량 등에 손쉽게 탑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육상에서의 운반 내지 이동에 대한 편의성 증대와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해저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여 해상의 유동성을 방지함으로써 해상에서의 작업 안정성 향상과 작업 범위 확장을 가능하도록 하고, 육상 리프팅과 해저 고정의 겸용 장치 채택으로 인해 리프팅과 고정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아울러, 한정된 공간을 가진 선체의 설치 공간 확보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에서 수직조임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에서 수평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에서 고정겸용리프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에서 고정겸용리프팅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100)은 메인선체(110) 및 고정겸용리프팅부(160)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 수직조임부(140) 및 수평체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선체(110)는 해상에서의 부유를 위하여 부력을 가지고, 나아가서, 중심부에 위치하는 선체에 해당된다.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는 메인선체(110)의 양측 각각에 전후로 각각 위치한다. 제 1 확장선체(120)는 제 2 확장선체(130)의 폭에 비하여 크게 형성됨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제 2 확장선체(130)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서로 결합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메인선체(110)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는 부력 발생을 위하여 내측에 밀폐되도록 공간이 마련되되, 이러한 공간으로 출입하도록 커버(111,121,131)가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커버(111,121,131)는 실링부재를 매개로 플랜지 이음에 의해 메인선체(110)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메인선체(110)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는 내측에 밀폐된 공간 형성과 함께 구조적 강도 증진을 위하여,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위치하는 스틸 각재를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시켜서 프레임을 형성하고, 각 면을 이루는 철판을 가장자리에 각재가 부착되도록 용접이나 볼팅 그 밖의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시킴과 아울러, 면과 면끼리 기밀을 위하여 용접으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에는 하중에 의한 면의 처짐이나 파손을 방지하도록 강도 보강을 위하여 스틸 각재가 용접 등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적절하게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직조임부(140)는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 각각이 메인선체(110)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하거나, 본 실시례와 반대로 메인선체(110)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수직조임부(140)는 예컨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어느 하나의 측부 하단 모서리에 상방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걸림부(141)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다른 하나의 측부 하단 모서리에 하방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 1 걸림부(141) 상에 폭방향 이동이 억제되도록 결합되는 제 2 걸림부(142)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어느 하나의 측부 상단 모서리로부터 다른 하나의 측부 상단 모서리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편(143)와, 연장편(143) 각각의 끝단에 마련되어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다른 하나의 측부 상단 모서리 상에 위치하는 조임너트(144)와, 조임너트(144) 각각에 나사 체결되고, 조임에 의해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다른 하나의 측부 상단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제 2 걸림부(142)가 제 1 걸림부(141) 상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조임볼트(14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 1 걸림부(141)와 연장편(143)이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에 형성되고, 제 2 걸림부(142)가 형성됨과 아울러 조임볼트(145)에 의한 가압되는 측이 메인선체(110)임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직조임부(140)는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어느 하나의 측부 상단 모서리에 연장편(143)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수용홈(146)과,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다른 하나의 측부 상단 모서리에 제 1 수용홈(146)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조임볼트(145)에 의해 바닥면이 가압되는 제 2 수용홈(1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걸림부(141,142)는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각각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횡단면이 "∨"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횡단면이 "∨"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제 1 걸림부(141)가 "∨"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제 2 걸림부(142)가 "∨"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짐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수평체결부(150)는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가 메인선체(110)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수평체결부(150)는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에서 서로 접하는 측부 상단 모서리에 서로 연결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체결홈(151,152)과, 제 1 및 제 2 체결홈(151,152) 각각에서 서로 마주 대하는 개방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체결편(153,154)과, 제 1 및 제 2 체결편(153,154)을 관통하는 체결볼트(155)와, 체결볼트(155)의 끝단에 나사 체결되어 제 1 및 제 2 체결편(153,154)을 결합시키는 체결너트(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체결편(153,154)은 육면체 구조를 가지는 제 1 및 제 2 체결홈(151,152)의 일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체결홈(151,152) 각각은 수직조임부(140)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수용홈(146,147) 각각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 공간 활용도와 제작 및 조립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메인선체(110)에는 리프팅부(180)가 부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리프팅부(180)는 다수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은 메인선체(110)에 수직되게 유압실린더(181)가 설치되고, 유압실린더(181)로부터 메인선체(110)의 저면으로 인출되는 피스톤로드(182)에 의해 메인선체(110)가 지면으로부터 리프팅되도록 한다. 또한 리프팅부(180)는 메인선체(110) 등의 안정적인 리프팅을 위하여, 메인선체(110)의 전측과 후측 각각에 한 쌍씩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로드(182)는 유압실린더(181)로부터 인출되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유압실린더(181)로부터 인출되는 부재와 이에 축결합되는 다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유압실린더(181)의 동작을 위하여, 조작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작동유체가 유압실린더(181)에 공급 및 배출되도록 하는 유압공급부(미도시)가 메인선체(11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유압공급부는 예컨대 유압펌프일 수 있다. 유압실린더(181)는 예컨대 유압펌프로부터 유압라인을 통해서 제어밸브의 개폐 동작에 의해 유압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에 한하지 않고, 메인선체(110)에는 유압실린더(181)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포트가 마련됨으로써,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유압공급부의 유압호스를 메인선체(110)의 포트에 연결시키고, 이러한 외부 유압공급부에 의한 작동유체의 공급 및 배출에 의해 유압실린더(181)가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리프팅부(180)의 유압실린더(181)를 구동시키는 유압공급부가 메인선체(110)에 대하여, 내장형으로 구성되거나, 외장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겸용리프팅부(160)는 메인선체(110)로부터 지지로드(162)의 돌출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리프팅부(180)와 함께 메인선체(110),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를 리프팅시키거나, 수중바닥에 관입됨으로써 메인선체(110),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의 고정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겸용리프팅부(160)는 리프팅부(180)가 생략되는 경우,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례에서처럼 리프팅부(180)가 부가적으로 마련되는 경우, 리프팅부(180)의 개수를 고려하여 메인선체(110),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의 리프팅을 가능하도록 하는 적절한 개수로서 선택될 수 있으며, 본 실시례에서처럼 메인선체(110)에서 선수와 선미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정겸용리프팅부(160)는 리프팅부(180)와 함께 마련되는 경우, 그 개수에 따라 일례로 리프팅을 주도적으로 수행하거나, 다른 예로서 리프팅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리프팅부(180)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고정겸용리프팅부(160)는 메인선체(110)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수직중공부(161)에 관통하도록 지지로드(162)가 수직되게 설치되고, 지지로드(162)에 양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구(163)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며, 지지로드(162)의 양측에 유압실린더(164)가 각각 수직되게 설치되고, 유압실린더(164) 각각의 피스톤로드(165) 끝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홀(166)이 형성됨으로써, 지지로드(162)의 외측에 삽입되는 지지링(167)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핀(168) 각각이 결합홀(166) 각각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지지링(167)과 관통구(163)를 제 1 핀(169)이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지지로드(162)를 피스톤로드(165)와 연결시키고, 지지로드(162)의 단계적인 상승 또는 단계적인 하강을 위하여, 유압실린더(164)의 신축을 반복할 때마다 다수의 관통구(163) 중에서 제 1 핀(169)이 관통하는 위치를 변경하기 전에, 제 2 핀(171)을 수직중공부(161)의 상단(161a) 상측에 위치하는 관통구(163)에 관통 설치하여 상단(161a)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지지로드(162)가 수직중공부(161)로부터 하강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도록 하고, 메인선체(110)로부터 지지로드(16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메인선체(110)의 리프팅과 수중바닥의 관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수직중공부(161)는 선수측에 설치되는 경우 메인선체(110) 내에 내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선미측에 설치되는 경우 메인선체(110)의 선미에 마련된 고정판(114)에 관통하돌고 설치될 수 있다. 지지로드(162)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강도면에서 유리하면서도 중량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관통구(163)는 지지핀(168)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지로드(16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핀(169)이 지지로드(16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제 1 핀(169)이 간섭없이 지지링(167)과 지지로드(162)의 안정적인 결합을 가능하도록 한다.
관통구(163)는 지지로드(162)에서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다수로 형성되고, 서로 상이하면서도 번갈아가며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간격(d1,d2)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1 간격(d1)은 수직중공부(161)의 상단(161a) 상측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제 2 핀(171)과, 제 2 핀(171) 상에 지지되는 지지링(167)을 관통하는 제 1 핀(169) 사이의 간격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핀(169,171)의 정렬 편의성 및 예측성을 높임으로써, 지지로드(162) 승강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제 2 핀(171) 상에서 지지링(167)이 바로 지지되도록 하여, 지지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간격(d1,d2)의 합(d1+d2)은 유압실린더(164)의 행정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로드(162)의 승강 작업시 유압실린더(164)의 한 행정 내에서, 동일한 높이에 관통구(163)가 각각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반복적인 지지로드(163)의 승강 작업이 편해지도록 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164)는 앞서 설명한 리프팅부(180)의 유압실린더(181) 구동 방식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유압실린더(164)는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수직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수직중공부(161)의 내측에 일부 수용되도록 수직중공부(161) 내의 양측면에 서로 나란하게 각각 브라켓(172)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도 6 및 도 7 참조), 반드시 이러한 위치 및 고정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고정겸용리프팅부(160)는 예컨대 지지로드(162)를 메인선체(110)로부터 하강시, 유압실린더(164)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65)를 하강시켜서 제 1 핀(169) 및 지지링(167)에 의해 연결된 지지로드(162)를 상단(161a) 상측에 위치하는 범위 내에서 하강시킨 다음, 지지로드(162)의 단계적 연속 하강을 위하여, 수직중공부(161)의 상단(161a) 바로 위에 위치하는 관통구(163)에 제 2 핀(171)을 관통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제 2 핀(171)이 상단(161a)에 걸리도록 하여, 지지로드(162)의 하강을 방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 1 핀(169)을 해체한다. 그런 다음, 유압실린더(164)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65)를 지지링(167)과 함께 상승시켜서, 제 1 핀(169)을 직전에 끼워졌던 관통구(163)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관통구(163)와 지지링(167)에 함께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피스톤로드(165)를 지지로드(162)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 2 핀(171)을 관통구(163)로부터 분리시킨 후, 유압실린더(164)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65)를 하강시킴으로써 지지로드(162)에 대한 단계적인 연속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제한된 유압실린더(164)의 행정에도 불구하고, 지지로드(162)를 원하는 길이만큼 하강시킬 수 있다.
고정겸용리프팅부(160)는 예컨대 지지로드(162)를 메인선체(110)로부터 상승시, 유압실린더(164)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65)를 상승시켜서 제 1 핀(169) 및 지지링(167)에 의해 연결된 지지로드(162)를 상단(161a) 상측에 위치하는 범위 내에서 상승시킨 다음, 지지로드(162)의 단계적 연속 상승을 위하여, 수직중공부(161)의 상단(161a) 바로 위에 위치하는 관통구(163)에 제 2 핀(171)을 관통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제 2 핀(171)이 상단(161a)에 걸리도록 하여, 지지로드(162)의 하강을 방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 1 핀(169)을 해체한다. 그런 다음, 유압실린더(164)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65)를 지지링(167)과 함께 하강시켜서, 제 1 핀(169)을 직전에 끼워졌던 관통구(163)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관통구(163)와 지지링(167)에 함께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피스톤로드(165)를 지지로드(162)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 2 핀(171)을 관통구(163)로부터 분리시킨 후, 유압실린더(164)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65)를 상승시킴으로써 지지로드(162)에 대한 단계적인 연속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제한된 유압실린더(164)의 행정에도 불구하고, 지지로드(162)를 원하는 길이만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8의 (a)에서와 같이, 선체(110,120,130)는 고정겸용리프팅부(160)의 지지로드(162)가 상승함과 아울러, 유압실린더(181)에 피스톤로드(182; 도 8 (b) 참조)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면에 부유하거나, 지면(1; 도 8 (b) 참조)에 위치하게 된다.
도 8의 (b)에서와 같이, 지면(1)에 위치한 선체(110,120,130)를 육상을 통해서 특정 위치까지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유압실린더(181)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82)가 하방으로 인출됨으로써, 선체(110,120,130)를 지면(1)으로부터 일정 높이, 예컨대 120~140cm 정도로 상승시킨다. 이때, 고정겸용리프팅부(160)는 메인선체(110)로부터 지지로드(162)의 돌출에 의해 리프팅부(180)의 피스톤로드(182)와 함께 선체(110,120,130)를 리프팅시킬 수 있다. 선체(110,120,130)가 리프팅부(180)와 고정겸용리프팅부(160)에 의해 지면(1)으로부터 상승하면, 피스톤로드(182) 및 지지로드(162)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운반수단, 예컨대 운반트럭의 짐칸을 선체(110,120,130)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유압실린더(181,164)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82) 및 지지로드(162)를 삽입시키면, 선체(110,120,130)는 운반트럭의 적재함에 안착되고, 이로 인해 선체(110,120,130)의 리프팅을 위한 별도의 중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한편, 유압실린더(181)는 선체(110,120,130)의 리프팅 높이를 확보하기 위한 행정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의 (c)에서와 같이, 고정겸용리프팅부(160)는 지지로드(162)를 해저(2)에 관입되도록 함으로써 메인선체(110),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가 해상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에 따르면, 육상에서 자체적으로 리프팅되도록 하여 크레인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차량 등에 손쉽게 탑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육상에서의 운반 내지 이동에 대한 편의성 증대와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저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여 해상의 유동성을 방지함으로써 해상에서의 작업 안정성 향상과 작업 범위 확장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육상 리프팅과 해저 고정의 겸용 장치 채택으로 인해 리프팅과 고정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아울러, 한정된 공간을 가진 선체의 설치 공간 확보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메인선체 111 : 커버
114 : 고정판 120 : 제 1 확장선체
121,131 : 커버 130 : 제 2 확장선체
140 : 수직조임부 141 : 제 1 걸림부
142 : 제 2 걸림부 143 : 연장편
144 : 조임너트 145 : 조임볼트
146 : 제 1 수용홈 147 : 제 2 수용홈
150 : 수평체결부 151 : 제 1 체결홈
152 : 제 2 체결홈 153 : 제 1 체결편
154 : 제 2 체결편 155 : 체결볼트
156 : 체결너트 160 : 고정겸용리프팅부
161 : 수직중공부 161a : 상단
161b : 개방홈 162 : 지지로드
163 : 관통구 164 : 유압실린더
165 : 피스톤로드 166 : 결합홀
167 : 지지링 167a : 관통홀
168 : 지지핀 169 : 제 1 핀
171 : 제 2 핀 172 : 브라켓
180 : 리프팅부 181 : 유압실린더
182 : 피스톤로드

Claims (8)

  1. 부유를 위해 부력을 가지는 메인선체(110); 및
    상기 메인선체(110)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수직중공부(161)에 관통하도록 지지로드(162)가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로드(162)에 양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구(163)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로드(162)의 양측에 유압실린더(164)가 각각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64) 각각의 피스톤로드(165) 끝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홀(16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162)의 외측에 삽입되는 지지링(167)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핀(168) 각각이 상기 결합홀(166) 각각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링(167)과 상기 관통구(163)를 제 1 핀(169)이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162)를 상기 피스톤로드(165)와 연결시키고, 상기 지지로드(162)의 단계적인 상승 또는 단계적인 하강을 위하여, 상기 유압실린더(164)의 신축을 반복할 때마다 다수의 관통구(163) 중에서 상기 제 1 핀(169)이 관통하는 위치를 변경하기 전에, 제 2 핀(171)을 상기 수직중공부(161)의 상단(161a) 상측에 위치하는 관통구(163)에 관통 설치하여 상기 상단(161a)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162)가 상기 수직중공부(161)로부터 하강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선체(110)로부터 상기 지지로드(16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메인선체(110)의 리프팅과 수중바닥의 관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고정겸용리프팅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겸용리프팅부(160)는, 상기 유압실린더(164)가 상기 수직중공부(161)의 내측에 일부 수용되도록 상기 수직중공부(161) 내의 양측면에 서로 나란하게 각각 브라켓(172)으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겸용리프팅부(160)는, 상기 관통구(163)가 상기 지지핀(168)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로드(16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겸용리프팅부(160)는, 상기 지지로드(162)에서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다수로 형성되는 상기 관통구(163)가 서로 상이하면서도 번갈아가며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간격(d1,d2)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간격(d1)은, 상기 수직중공부(161)의 상단(161a) 상측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상기 제 2 핀(171)과, 상기 제 2 핀(171) 상에 지지되는 지지링(167)을 관통하는 제 1 핀(169) 사이의 간격인,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선체(110)의 양측 각각에 전후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 각각이 상기 메인선체(110)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메인선체(110)가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하는 수직조임부(140); 및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가 상기 메인선체(110)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수평체결부(150);
    를 더 포함하는,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겸용리프팅부(160)는,
    상기 지지로드(162)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간격(d1,d2)의 합(d1+d2)은,
    상기 유압실린더(164)의 행정보다 작은,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선체(110)에 수직되게 유압실린더(181)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81)로부터 상기 메인선체(110)의 저면으로 인출되는 피스톤로드(182)에 의해 메인선체(110)가 지면으로부터 리프팅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선체(110)의 전측과 후측 각각에 설치되는 리프팅부(180)를 더 포함하는,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KR1020180094398A 2018-08-13 2018-08-13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Active KR102065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398A KR102065268B1 (ko) 2018-08-13 2018-08-13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398A KR102065268B1 (ko) 2018-08-13 2018-08-13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268B1 true KR102065268B1 (ko) 2020-01-10

Family

ID=6915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398A Active KR102065268B1 (ko) 2018-08-13 2018-08-13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2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013B1 (ko) * 2020-12-22 2021-07-29 용승재 조립식 바지선
KR20230152278A (ko) * 2022-04-27 2023-11-03 울산과학기술원 조립식 바지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7925A (ja) * 2013-07-18 2015-02-26 半蔵 門脇 自己昇降式作業台船
JP2017053095A (ja) 2015-09-07 2017-03-16 寄神建設株式会社 ジャッキ装置及びジャッキ方法
KR101864555B1 (ko) * 2017-11-14 2018-06-04 최광선 조립식 복수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7925A (ja) * 2013-07-18 2015-02-26 半蔵 門脇 自己昇降式作業台船
JP2017053095A (ja) 2015-09-07 2017-03-16 寄神建設株式会社 ジャッキ装置及びジャッキ方法
KR101864555B1 (ko) * 2017-11-14 2018-06-04 최광선 조립식 복수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013B1 (ko) * 2020-12-22 2021-07-29 용승재 조립식 바지선
KR20230152278A (ko) * 2022-04-27 2023-11-03 울산과학기술원 조립식 바지선
KR102712213B1 (ko) * 2022-04-27 2024-10-04 울산과학기술원 조립식 바지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805B1 (ko)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KR101864555B1 (ko) 조립식 복수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EP1280695B1 (en) Temporary floatatio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FI114306B (fi) Menetelmä ja ponttoni kannen asentamiseksi kelluvalle meritekniselle alusrakenteelle
KR100932050B1 (ko) 종강도가 보강된 바지선
KR102008154B1 (ko) 이동식 거치대가 적용된 부력함 결합 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1206759B1 (ko) 소형 선박 부양장치
KR102081031B1 (ko) 수륙양용 준설 바지선과 롱리치 굴삭기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065268B1 (ko)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CN105836061A (zh) 一种自升半潜式下水的工作平台
KR101926593B1 (ko)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KR100932971B1 (ko) 분리 및 이동 가능한 작업대 승강형 작업용 바지선
CN111188324A (zh) 一种海上风电安装平台升降系统水上合拢工艺
US20150016887A1 (en) Walking system and method adapted for use on a dry-dock to transport a ship
WO2015136086A1 (en) A quay structure, a qua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structure
AU719838B2 (en) Transportation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CN211281408U (zh) 一种用于工程船舶异位落墩的辅助定位工装
US55584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ng a marine structure
KR100718928B1 (ko) 복수 대의 해상크레인을 이용한 기가블록 공법
US3271964A (en) Method of operating a submersible barge for submarine operations
KR101908406B1 (ko)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KR101566523B1 (ko) 선박 건조 방법
KR20170019903A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KR20120136007A (ko) 선박 건조용 계선주
JP3100546B2 (ja) 海上作業台船の組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