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5099B1 -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099B1
KR102065099B1 KR1020170043912A KR20170043912A KR102065099B1 KR 102065099 B1 KR102065099 B1 KR 102065099B1 KR 1020170043912 A KR1020170043912 A KR 1020170043912A KR 20170043912 A KR20170043912 A KR 20170043912A KR 102065099 B1 KR102065099 B1 KR 102065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pack
tray
heat sink
battery modu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618A (ko
Inventor
서성원
문정오
이윤구
지호준
강달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043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09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L18780297T priority patent/PL3573129T3/pl
Priority to JP2019524457A priority patent/JP6750117B2/ja
Priority to PCT/KR2018/003527 priority patent/WO2018186616A1/ko
Priority to EP18780297.0A priority patent/EP3573129B1/en
Priority to US16/349,530 priority patent/US11450913B2/en
Priority to CN201820467913.8U priority patent/CN208078058U/zh
Priority to CN201810288520.5A priority patent/CN108695458B/zh
Publication of KR2018011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0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01M10/6568Liquids characterised by flow circuits, e.g. loops, located externally to the cells or cell casings
    • H01M2/36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팩은, 다수의 배터리 모듈; 상기 다수의 배터리 모듈들이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배터리 모듈들이 개별적으로 놓일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빔 프레임; 및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배터리 모듈의 측면부에 대향하게 배치되도록 각각 상기 다수의 빔 프레임들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히트싱크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와 상기 빔 프레임에는 각각의 상기 히트싱크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천공된 형태의 배수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Battery Pack having crash beam and drain structure}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모듈들의 공간 효율적인 탑재 구조 및 누수된 냉각수의 배터리 모듈 내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의 소형 첨단 전자기기 분야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전기 자동차(EV)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2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즉, 배터리 모듈은 다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 내지 병렬로 연결된 구성요소를 의미하고, 배터리 팩은 용량 및 출력 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배터리 모듈이 직렬 내지 병렬로 연결된 구성요소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멀티 배터리 모듈 구조의 배터리 팩은 각 배터리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한 배터리 모듈의 열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면, 열축적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배터리 모듈의 열화가 촉진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발화 또는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고출력 대용량의 배터리 팩에는 그것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 모듈들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의 냉각 방식에는 대표적으로 공냉식과 수냉식,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공냉식에 비해 소음이 적고 냉각 성능이 뛰어난 이유로 수냉식이 더 선호도가 높다. 예컨대 수냉식 냉각은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구비한 히트싱크를 배터리 모듈의 하면 또는 측면에 접촉시켜서 배터리 모듈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진다.
그런데 수냉식 냉각 방식을 채택한 배터리 팩의 경우 히트싱크가 파손되면 냉각수가 배터리 모듈 내로 유입되어 누전 위험성이 커질 수 있다. 또한, 방수가 잘 이루어진 배터리 모듈이라 하더라도 밀폐된 배터리 팩 케이스 내부에 냉각수가 고인 상태로 오랜 시간 방치될 경우 팩 케이스 내부의 습도가 매우 높아져 이로 인한 누전 가능성이 전혀 없지는 않다.
또한, 전기 자동차의 경우, 운행 중 예기치 않은 충격과 진동이 배터리 팩에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 간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거나 배터리 모듈을 지지하는 팩 케이스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은 외부 충격과 진동에 대한 충분한 내구성이 요구된다. 그 해결 방안으로 크래쉬 빔(Crash beam)이 배터리 팩의 기계적 강성도를 높이데 사용되기도 한다. 여기서 크래쉬 빔은 배터리 팩 케이스를 구성하는 트레이에 설치되어 트레이의 강성을 높이는 빔 형태의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크래쉬 빔이 설치된 트레이는 내충격성이 높아져 외부 충격 또는 진동에도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크래쉬 빔을 설치하면 배터리 팩의 기계적 강성이 더 좋아지지만, 배터리 모듈들을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이 그만큼 줄어든다. 더욱이 히트싱크 등의 필수적인 냉각 장치 구성을 더 추가하면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의 용적률 내지 에너지 밀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16747호 (2012.10.23)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외부 충격 및 진동에 대한 충분한 내구성을 갖추고 배터리 모듈들과 냉각 장치를 공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으며 냉각수가 누수될 경우를 대비한 배수 구조가 갖추어진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다수의 배터리 모듈; 상기 다수의 배터리 모듈들이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배터리 모듈들이 개별적으로 놓일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빔 프레임; 및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배터리 모듈의 측면부에 대향하게 배치되도록 각각 상기 다수의 빔 프레임들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히트싱크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와 상기 빔 프레임에는 각각의 상기 히트싱크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천공된 형태의 배수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의 하부에는 오목한 형태의 배수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는 다수 개이며 미리 결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배수로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수로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빔 프레임들 중 일부는 I형 빔 프레임이며,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I형 빔 프레임의 높이를 형성하는 컬럼을 기준으로 상기 컬럼 양쪽에 형성되는 만입부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만입부에 형상 맞춤되게 마련되고 열전도성 접착제로 접착되어 상기 I형 빔 프레임과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배터리 모듈들이 2×N 행렬로 배열되도록, 상기 다수의 빔 프레임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트레이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하나의 센터 프레임이며, 상기 I형 빔 프레임은 각각 상기 센터 프레임에 대해 교차하고 상기 트레이에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히트싱크는 냉매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일단과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센터 프레임을 관통해서 상기 I형 빔 프레임을 따라 상기 트레이의 상면을 가로지르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상부를 커버하는 팩 커버와, 상기 트레이의 양쪽 측면부를 각각 커버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측면 프레임은 상기 히트싱크들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매니폴드 관 형태로 마련되어 냉매의 공급 및 배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센터 프레임은 외측면에 다수의 홀을 구비한 각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센터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모듈들을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연결시키는 커넥팅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빔 프레임들 중 일부는 속이 빈 각형 빔 프레임이며,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각형 빔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열적 계면에 개재되는 열전도 매개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 매개체는, 상기 히트싱크의 일면에 부착되는 판면과 상기 판면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는 외압을 받으면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도 매개체는 실리콘고무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EV)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빔 프레임과 히트싱크를 공간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배터리 팩의 강성도 및 용적률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개별 배터리 모듈에 대한 냉각 구성을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이러한 빔 프레임과 트레이에 배수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히트싱크에서 냉각수가 누수되더라도 용이하게 냉각수를 배터리 팩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다수의 배터리 모듈이 탑재된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배수로 및 배수구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I-I'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빔 프레임의 변형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서 열전도 매개체와 배터리 모듈 간의 접촉 전/후 상태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수의 배터리 모듈이 탑재된 트레이의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배수로(710) 및 배수구(720)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다수의 배터리 모듈(100), 배터리 모듈(100)들을 수용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팩 케이스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100)들이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200)와, 상기 트레이(200)와 함께 다수의 배터리 모듈(100)들을 패키징하여 수납하는 팩 커버(300)와, 2개의 측면 프레임(4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은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어 있으며, 그밖에 각종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셀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배터리 셀은,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 및 상기 전지 케이스 밖으로 돌출되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리드 등 다양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리드는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양극 리드는 전극 조립체의 양극판에 연결되고, 음극 리드는 전극 조립체의 음극판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적층 및 보호를 위한 적층용 프레임과, 모듈 엔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층용 프레임은 이차 전지를 적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차 전지를 홀딩함으로써 그 유동을 방지시키고, 상호 간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차 전지의 조립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적층용 프레임은 셀 커버 또는 카트리지(cartridge) 등 다른 다양한 용어로 대체될 수도 있다.
모듈 엔드 플레이트는 배터리 셀 적층체를 보호하고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배터리 셀 적층체의 외곽을 감싸는 각형 구조물 또는 배터리 셀 적층체의 적어도 일면에 덧대이는 판형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모듈 엔드 플레이트는 기계적 강성도가 높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의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으나, 배터리 모듈(100)은 배터리 셀들 사이사이에 개재되는 냉각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냉각핀은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박형의 부재로, 끝단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예컨대, 히트싱크(600)와 같은 다른 열 흡수 매체에 연결되고 배터리 셀들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모듈(100)은 다수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집합체 또는 다수의 배터리 셀들과 이들을 적층 및 보호하기 위한 그 밖의 부품들로 구성된 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배터리 팩(10)은 이러한 단위 배터리 모듈(10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집합체라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총 10개의 단위 배터리 모듈(100)을 사용하여 구성되며, 각 단위 배터리 모듈(100)은 2×5 행렬 형태로 트레이(200)의 상면에 탑재되어, 팩 커버(300) 및 2개의 측면 프레임(400)에 의해 패키징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200)와 팩 커버(300)는 대략 넓은 면적을 가진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배터리 모듈(100)들의 하부와 상부에 위치되어 배터리 모듈(100)들의 하부와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측면 프레임(400)은 트레이(200)의 양쪽 측면부에 위치되어 배터리 모듈(100)들의 양쪽 측면부를 커버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측면 프레임(400)은 매니폴드 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2개의 측면 프레임(400)은 내부에 배관 역할을 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외부에 인렛(410) 또는 아웃렛(420)과 후술할 히트싱크(600)들의 유입구(610) 및 유출구(도 2에서 유입구의 반대편에 위치함)에 각각 접속할 수 있는 다수의 접속구(430)를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2개의 측면 프레임(400)은 히트싱크(600)들에 유량을 분배하거나 히트싱크(600)들로부터 유량을 모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2개의 측면 프레임(400)은 팩 케이스의 구성이면서 동시에 배터리 팩(10) 내,외부로 냉매의 공급 및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팩 케이스, 즉 트레이(200), 팩 커버(300) 그리고 2개의 측면 프레임(400)은 배터리 모듈(100)들에 대한 기계적 지지력을 제공하고, 배터리 모듈(100)들을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팩 케이스를 구성하는 트레이(200), 팩 커버(300) 그리고 2개의 측면 프레임(400)은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도 3 내지 도 6을 주로 참조하면, 트레이의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다수의 배터리 모듈들이 개별적으로 놓일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빔 프레임과,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각각의 배터리 모듈의 측면부에 대향하게 배치되도록 각각 상기 다수의 빔 프레임들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히트싱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다수의 빔 프레임들 중 일부는 I형 빔 프레임(510)으로 마련되고, 나머지 일부는 각관 형태의 빔 프레임으로 마련된다. 이하에서 각관 형태의 빔 프레임을 센터 프레임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과 같이, 6개의 I형 빔 프레임(510)이 트레이(200)의 세로 방향(X축 방향)을 따라 각각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하나의 센터 프레임(520)이 상기 6개의 I형 빔 프레임(510)에 대해 교차하고 트레이(200)의 중앙을 가로지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I형 빔 프레임(510) 사이의 간격은 상기 단위 배터리 모듈(100)의 폭에 대응하며, I형 빔 프레임(510)의 높이는 배터리 모듈(100)의 높이와 같거나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200) 상에는 총 10개의 단위 배터리 모듈(100)이 2×5 행렬 형태로 탑재될 수 있는 구획된 개별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배터리 모듈(100)은 모듈 전극 단자(110)들이 센터 프레임(520)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개별 수납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단위 배터리 모듈(100)은 2개의 I형 빔 프레임(510)에 의해 양쪽 측면이 지지되어 유동이 저지될 수 있다.
편의상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센터 프레임(520)의 외측면에는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다수의 홀(521)들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프레임(520) 내부에는 커넥팅 모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각 열의 2개씩의 단위 배터리 모듈(100)은 모듈 전극 단자(110)들이 서로 마주하며 센터 프레임(520)의 홀(521)들 속에 삽입되어 커넥팅 모듈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모듈은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망을 형성하며 전기 전도성 소재로 제작된 버스 바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팅 모듈은 다수의 배터리 모듈(100)들을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모듈은 트레이(200)의 전면부 외측에 위치한 배터리 팩(10) 터미널 단자(11)에 연결될 수 있으며, 터미널 단자(11)는 배터리 팩(10) 외부에서 다른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 모듈(100)들의 2×N 행렬 배열 방식과, I형 빔 프레임(510)과 센터 프레임(520)의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 모듈(100)들의 위치 고정 및 탑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아울러 트레이(200)의 기계적 강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레이(200) 상에 고전압 케이블 등을 거의 노출하지 않고 배선 구조를 간명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팩(10)의 안전성 및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형 빔 프레임(510)은, 도 5를 참조하면, 트레이(200) 상면에 대해 수평한 상단부(511)와 하단부(513) 그리고 상단부(511)와 하단부(513)의 중심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I형 빔 프레임(510)의 높이를 형성하는 컬럼(512)으로 구성된다.
I형 빔 프레임(510)은 상단부(511)와 하단부(513) 사이 공간이 컬럼(512)에 의해 양분된 형태를 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양분된 공간, 즉 컬럼(512) 양쪽에 형성되는 공간을 만입부(514)라 정의하기로 한다. 히트싱크(600)는 이러한 I형 빔 프레임(510)의 만입부(514)에 장착된다. 여기서 히트싱크(600)는 열 접촉에 의해 다른 물체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발산하는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600)는 I형 빔 프레임(510)의 만입부(514)에 형상 맞춤되게 제작되며, 냉각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구(610)와 유출구가 각각 일단과 타단에 위치하고 내부에 유로를 포함하는 중공 구조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히트싱크(600)는 각각의 I형 빔 프레임(510)을 따라 트레이(200)의 일측 변에서 타측 변까지 센터 프레임(520)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히트싱크(600) 내부 유로에 흐르는 냉매는 유로에서 용이하게 흐르면서 냉각성이 우수한 유체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어, 잠열이 높아 냉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물일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600)는 I형 빔 프레임(510)과 일체화될 수 있다. 예컨대, I형 빔 프레임(510)의 안쪽 면에 열전도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 히트싱크(600)를 I형 빔 프레임(510)의 만입부(514)에 넣어 붙히는 방식으로 히트싱크(600)와 I형 빔 프레임(510)을 간단히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히트싱크(600)를 별도의 위치에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트레이(200)의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배터리 팩(1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I형 빔 프레임(510)과 2개의 히트싱크(600)를 형합하여 I형 빔 프레임(510)들 사이의 공간을 온전히 단위 배터리 모듈(100)을 개별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각 배터리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터리 모듈(100)의 양쪽 측면부로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히트싱크(600)에 의한 I형 빔 프레임(510)들의 냉각도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I형 빔 프레임(510)의 온도 상승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어 전체적인 배터리 팩 구조물들의 발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잡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히트싱크(600)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로(710)와 상기 배수로(710)를 따라 등 간격으로 마련되는 배수구(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로(710)와 배수구(720)는 히트싱크(600)가 파손되어 누수된 냉각수를 배터리 팩(1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다.
다시 도 4 내지 도 5를 주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710)는 I형 빔 프레임의 하단부(513)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I형 빔 프레임의 하단부(513)를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태로 제작하여 배수로(7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로(710)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를테면, 배수로(710)는 트레이(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 끝단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트레이(20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720)는 이러한 배수로(710)를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I형 빔 프레임의 하단부(513)와 트레이(200)의 특정 위치마다 탭(tap)을 내어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형태의 배수구(720)를 형성할 수 있다.
배수로(710)와 배수구(720)는 각각의 히트싱크(600)가 위치해 있는 I형 빔 프레임(510)들과 해당 위치의 트레이(600)에 동일한 패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로(710)와 배수구(720) 구성에 의하면, 히트싱크(600)에서 냉각수가 누수될 경우, 냉각수는 히트싱크(600)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려 배수로(710)의 오목한 공간에 고일 수 있다. 이렇게 고인 누수액은 경사진 배수로(710)를 따라 흐르면서 가까운 배수구(720)를 통해 트레이(200)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과 같은 경우, 배터리 팩이 자동차의 하부 섀시에 장착되는 점을 고려할 때, 배터리 팩의 트레이(200) 아래로 배출되는 냉각수는 대부분 지면으로 바로 낙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팩에 배수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히트싱크(600)에서 냉각수가 누수되더라도 냉각수를 배터리 팩(10) 외부로 흘려낼 수 있어 누전 위험을 없앨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빔 프레임의 변형예와 이에 따른 배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변형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때 도 7에 대응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동일한 부재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변형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I형 빔 프레임(510)의 대안으로 속이 빈 각형 빔 프레임(51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형 빔 프레임(510') 내부에 히트싱크(600)가 위치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 각형 빔 프레임(510') 내부에 히트싱크(600)가 위치하게 되므로 트레이(200)에서의 공간 활용성이 좋아질 수 있다. 배수로(710)와 배수구(720)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각형 빔 프레임(510')의 하단에 오목한 배수로(710)를 형성하고, 배수로(7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수구(7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 각형 빔 프레임(510')과 히트싱크(600)를 구성적으로 구분하였으나, 예컨대, 속이 빈 각형 빔 프레임 내부에 유로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각형 빔 프레임 자체를 히트싱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형 빔 프레임은 구조물을 의미하고 이때 히트싱크는 각형 빔 프레임 내부 유로에 흐르는 냉각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로(710)와 배수구(720)는 각형 빔 프레임(510')이 위치한 해당 트레이(200)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서 열전도 매개체와 배터리 모듈 간의 접촉 전/후 상태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히트싱크(600)와 배터리 모듈(100)의 열적 계면에 개재되는 열전도 매개체(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전도 매개체(800)는 배터리 모듈(100)과 히트싱크(600) 사이의 유격을 매울 수 있고, 열전도성을 가지는 박형 부재라면 그거의 두께나 구조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소재의 시트형 판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소재는 금속 중에서도 열전도성이 높고 경량인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구리, 금, 은도 가능하다. 금속이외의 질화알루미늄, 탄화규소와 같은 세라믹 물질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매개체(800)는 히트싱크(600)의 일면에 부착되는 판면(810)과 그 판면(810)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돌기부(8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820)는 외압을 받으면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물성을 갖는, 예컨대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고무는 열전도성과 방열성이 우수하면서 탄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물성을 갖는다.
실리콘고무의 대안으로는 탄소 플레이크(flake), 또는 고전도성 금속 플레이크(flake)가 혼합된 용액이 내부에 충진도 러버(rubber)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열전도 매개체(800)는 단위 배터리 모듈(100)을 위에서 아래로 I형 빔 프레임(510)들 사이의 수납공간에 안착시킬 때, 돌기부(820)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100)의 측면부에 눌려 하부 방향으로 벤딩된 형태를 취한다. 이때, 열전도 매개체(800)는 돌기부(820)가 원형으로 돌아가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100)의 측면부에 강하게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배터리 모듈(100)이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면, 배터리 모듈(100)의 좌,우측면부가 위와 같이 각각 열전도 매개체(800)와 긴밀한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배터리 모듈(100)로부터 열이 히트싱크(600)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열전도 매개체(800)는 배터리 모듈(100)을 홀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배터리 모듈(100)의 양쪽 측면부에서 2개의 열전도 매개체(800)의 돌기부(820)가 배터리 모듈(100)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배터리 팩(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배터리 모듈(100)의 유동이 저지되므로 배터리 모듈(100)과 히트싱크(600)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 팩(10)의 강성도 및 용적률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개별 배터리 모듈(100)에 대한 냉각 구성을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이 가능한 돌기 형상의 열전도 매개체(800)를 사용함으로써 히트싱크(600)에 대한 개별 배터리 모듈(100)의 접촉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에도 개별 배터리 모듈(100)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모듈들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미도시), 예컨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은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T 제품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배터리 팩 100: 배터리 모듈
110: 모듈 전극 단자 200: 트레이
300: 팩 커버 400: 측면 프레임
410: 인렛 420: 아웃렛
430: 접속구 510: I형 빔 프레임
511: 상단부 512: 컬럼
513: 하단부 514: 만입부
520: 센터 프레임 600: 히트싱크
610: 유입구 710: 배수로
720: 배수구 800: 열전도 매개체
810: 판면 820: 돌기부

Claims (15)

  1. 다수의 배터리 모듈;
    상기 다수의 배터리 모듈들이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배터리 모듈들이 개별적으로 놓일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빔 프레임; 및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배터리 모듈의 측면부에 대향하게 배치되도록 각각 상기 다수의 빔 프레임들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히트싱크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와 상기 빔 프레임에는 각각의 상기 히트싱크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천공된 형태의 배수구가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빔 프레임들 중 일부는 I형 빔 프레임이며,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I형 빔 프레임의 높이를 형성하는 컬럼을 기준으로 상기 컬럼 양쪽에 형성되는 만입부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의 하부에는 오목한 형태의 배수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다수 개이며 미리 결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배수로를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만입부에 형상 맞춤되게 마련되고 열전도성 접착제로 접착되어 상기 I형 빔 프레임과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배터리 모듈들이 2×N 행렬로 배열되도록, 상기 다수의 빔 프레임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트레이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하나의 센터 프레임이며, 상기 I형 빔 프레임은 각각 상기 센터 프레임에 대해 교차하고 상기 트레이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히트싱크는 냉매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일단과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센터 프레임을 관통해서 상기 I형 빔 프레임을 따라 상기 트레이의 상면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부를 커버하는 팩 커버와, 상기 트레이의 양쪽 측면부를 각각 커버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측면 프레임은 상기 히트싱크들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매니폴드 관 형태로 마련되어 냉매의 공급 및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은 외측면에 다수의 홀을 구비한 각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센터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모듈들을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연결시키는 커넥팅 모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열적 계면에 개재되는 열전도 매개체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매개체는, 상기 히트싱크의 일면에 부착되는 판면과 상기 판면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는 외압을 받으면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매개체는 실리콘고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10항 및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1020170043912A 2017-04-04 2017-04-04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Active KR102065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912A KR102065099B1 (ko) 2017-04-04 2017-04-04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JP2019524457A JP6750117B2 (ja) 2017-04-04 2018-03-26 クラッシュビーム及び排水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パック
PCT/KR2018/003527 WO2018186616A1 (ko) 2017-04-04 2018-03-26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EP18780297.0A EP3573129B1 (en) 2017-04-04 2018-03-26 Battery pack having crash beam and drainage structure
PL18780297T PL3573129T3 (pl) 2017-04-04 2018-03-26 Pakiet akumulatorowy zawierający listwę zderzeniową i strukturę odpływową
US16/349,530 US11450913B2 (en) 2017-04-04 2018-03-26 Battery pack having crash beam and drain structure
CN201820467913.8U CN208078058U (zh) 2017-04-04 2018-04-03 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电动车辆
CN201810288520.5A CN108695458B (zh) 2017-04-04 2018-04-03 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电动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912A KR102065099B1 (ko) 2017-04-04 2017-04-04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618A KR20180112618A (ko) 2018-10-12
KR102065099B1 true KR102065099B1 (ko) 2020-01-10

Family

ID=6371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912A Active KR102065099B1 (ko) 2017-04-04 2017-04-04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50913B2 (ko)
EP (1) EP3573129B1 (ko)
JP (1) JP6750117B2 (ko)
KR (1) KR102065099B1 (ko)
CN (2) CN208078058U (ko)
PL (1) PL3573129T3 (ko)
WO (1) WO2018186616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290B1 (ko) * 2020-11-10 2021-06-25 주식회사 원진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냉각장치
WO2021172697A1 (ko) * 2020-02-27 2021-09-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초 흡수성 시트를 구비하는 ess
WO2021221295A1 (ko) * 2020-04-29 2021-1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1221446A1 (ko) * 2020-04-29 2021-1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WO2022050780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WO2022108291A1 (ko) * 2020-11-23 2022-05-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확산 억제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3043113A1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30114906A (ko) 2022-01-26 2023-08-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팩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WO2024053949A1 (ko) * 2022-09-07 2024-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 전파 지연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WO2024117793A1 (ko) * 2022-12-02 2024-06-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 방법
US12255345B2 (en) 2020-09-08 2025-03-18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comprising reinforcement pole penetrating inside thereof, and automotive vehicl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099B1 (ko) * 2017-04-04 2020-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KR102256098B1 (ko) 2017-04-06 2021-06-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루버 핀 형상의 열전도 매개체를 구비한 배터리 팩
WO2019169080A1 (en) * 2018-03-01 2019-09-06 Shape Corp.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FR3088143B1 (fr) * 2018-11-06 2022-07-08 Valeo Systemes Thermiques Ensemble de refroidissement, notamment pour batterie de vehicule
WO2020102361A1 (en) * 2018-11-13 2020-05-22 Collins Tyler Battery module frame configuration
DE102018132171A1 (de) * 2018-12-13 2020-06-18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Batteriegehäuse und Verwendung
KR102352296B1 (ko) * 2019-01-10 2022-01-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내부 플레이트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JP7199303B2 (ja) * 2019-05-17 2023-01-05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電池パック及び車両
KR102819918B1 (ko) * 2019-08-02 2025-06-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771554B1 (ko) 2019-08-07 2025-02-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과 강성 빔을 통합하고 역방향 조립 방식을 채용한 배터리 팩
CN111106280B (zh) 2019-08-27 2021-05-2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
CN110474005A (zh) * 2019-09-06 2019-11-19 荣盛盟固利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电池温度管理箱及锂电池系统
KR20210053054A (ko) 2019-11-01 2021-05-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N112310541B (zh) 2019-11-19 2022-03-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和车辆
CN111029512B (zh) * 2020-01-19 2022-03-15 王佳先 嵌入式液冷集成电池箱
CN113540662B (zh) * 2020-03-31 2022-10-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包及其电池托盘、车辆
CN114788073A (zh) * 2020-04-09 2022-07-22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模块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20210125850A (ko) *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10127027A (ko) * 2020-04-13 2021-10-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754905B1 (ko) * 2020-04-14 2025-01-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754509B1 (ko) * 2020-04-14 2025-01-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N111509156A (zh) * 2020-04-15 2020-08-07 力神动力电池系统有限公司 一种高集成紧凑型电池系统
US20220376326A1 (en) * 2020-04-22 2022-11-24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821616B1 (ko) * 2020-04-28 2025-06-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10133534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10133542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133788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냉각 유로 구조의 효율화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10147657A (ko) * 2020-05-29 2021-1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히트싱크
DE102020114481B3 (de) 2020-05-29 2021-07-1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raktionsbatteriemodul für ein Fahrzeug
CN111619338B (zh) * 2020-05-31 2022-06-0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蓄水瓶和双冷却系统
DE102020117673A1 (de) * 2020-07-03 2022-01-05 Witzenmann Gmbh Temperiervorrichtung für eine Batteriezellen-Anordnung, Batteriezellen-Anordnung und Verfahren zum Temperieren einer solchen
HUE063710T2 (hu) * 2020-10-19 2024-01-28 Jiangsu Contemporary Amperex Tech Ltd Telepház, telep, energiafelhasználó készülék, továbbá eljárás és készülék telep gyártásához
KR20220063050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DE102020129785A1 (de) * 2020-11-11 2022-05-12 Kautex Textron Gmbh & Co. Kg Batteriegehäuse, Traktionsbatterie und Kraftfahrzeug
KR20220065601A (ko) *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웰링 제어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20075045A (ko) * 2020-11-26 2022-06-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20101475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JP7601663B2 (ja) * 2021-02-22 2024-12-17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FR3121644B1 (fr) * 2021-04-07 2023-07-21 Valeo Systemes Thermiques Système de refroidissement pour système électronique.
KR20220147265A (ko) * 2021-04-27 2022-11-03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팩
FR3122774A1 (fr) * 2021-05-10 2022-11-11 Psa Automobiles Sa Système à batterie modulaire échangeant des calories avec sa structure
CN115347295A (zh) * 2021-05-14 2022-11-15 中创新航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箱体、电池包及车辆
CN113232526B (zh) * 2021-05-24 2023-04-07 上海兰钧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包和汽车
KR102802530B1 (ko) * 2021-06-21 2025-04-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FR3125360A1 (fr) * 2021-07-16 2023-01-20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Batterie de stockage d’électricit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KR20230015646A (ko) * 2021-07-23 2023-01-3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5693820A (zh) * 2021-07-30 2023-02-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包充电系统和充电装置
KR20230029016A (ko) *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3038396A1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형 배터리 셀의 길이 방향 확장 구조를 적용한 셀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4013334B (zh) * 2021-11-09 2023-09-15 成都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新能源汽车电池物态检测处理装置
KR102686923B1 (ko) * 2021-12-23 2024-07-19 비나텍주식회사 전기 에너지 저장 모듈의 공랭식 냉각 구조
CN116941100A (zh) * 2022-01-27 2023-10-2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用电装置、制备电池的方法和制备电池的装置
WO2023158196A1 (ko) * 2022-02-18 2023-08-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EP4489192A1 (en) * 2022-03-01 2025-01-08 Panasonic Energy Co., Ltd. Battery module
CN114976359A (zh) * 2022-06-20 2022-08-30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电池热循环系统及车用电池热循环系统的设计方法
JP7612280B2 (ja) * 2022-06-27 2025-01-14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パック
CN115366703B (zh) * 2022-10-21 2023-01-24 宜宾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铝合金电池托盘
CN115692925B (zh) * 2022-11-04 2023-11-03 江苏奥特帕斯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散热型电池箱结构、装配工装及其装配方法
EP4564562A1 (en) * 2022-11-22 2025-06-04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same
FR3142607A1 (fr) * 2022-11-30 2024-05-31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Batterie réfrigérée de stockage d’électricité
CN116169423A (zh) * 2023-01-17 2023-05-26 厦门新能达科技有限公司 电池组及用电设备
KR20240130464A (ko) * 2023-02-22 2024-08-29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EP4456254A1 (en) * 2023-04-26 2024-10-30 Newfrey LLC A battery pack
EP4528885A1 (en) * 2023-09-21 2025-03-26 Volvo Car Corporation A body component for a vehicle body
EP4531182A1 (en) * 2024-02-06 2025-04-02 Constellium UK Limited Assembly for battery holder, and battery holder for transport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305B1 (ko) 2004-06-25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2009054403A (ja) * 2007-08-27 2009-03-12 Toyoda Gosei Co Ltd 組電池装置
JP2014026825A (ja) * 2012-07-26 2014-02-06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659A (ja) 1993-08-19 1995-02-28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固定構造
JP4494719B2 (ja) 2003-01-24 2010-06-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蓄電池用ヒートシンクおよび蓄電池冷却装置
JP5136078B2 (ja) 2008-01-22 2013-02-06 豊田合成株式会社 組電池装置
JP2009238643A (ja) * 2008-03-27 2009-10-15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池ブロック
JP2010092598A (ja) 2008-10-03 2010-04-22 Gs Yuasa Corporation 組電池
US8557415B2 (en) * 2009-04-22 2013-10-15 Tesla Motors, Inc. Battery pack venting system
JP5639835B2 (ja) 2010-09-30 2014-12-10 株式会社リチウムエナジージャパン 電池パック及びこれを備えた電動車
US9287595B2 (en) 2010-11-16 2016-03-15 Honda Motor Co., Ltd Battery cooling structure
KR101317523B1 (ko) 2010-12-20 2013-10-15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보호장치
JP5601283B2 (ja) * 2011-06-17 2014-10-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スペーサ
JP6110268B2 (ja) * 2013-09-30 2017-04-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池の温調装置
DE102013219665B4 (de) * 2013-09-30 2021-05-06 Vitesco Technologies GmbH Kühlanordnung
KR101649154B1 (ko) 2014-02-24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유로를 가지는 배터리팩
KR102273784B1 (ko) 2014-10-30 2021-07-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70043912A (ko) 2015-10-14 2017-04-24 권혁수 치과용 다용도 임프레션 트레이
KR101690234B1 (ko) 2015-11-04 2016-12-27 (주)캠시스 배터리팩의 온도조절시스템
CN105552268B (zh) * 2016-01-30 2018-06-22 华南理工大学 一种装有散热片的多出口电动汽车电池空气冷却电池箱
KR102065099B1 (ko) * 2017-04-04 2020-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305B1 (ko) 2004-06-25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2009054403A (ja) * 2007-08-27 2009-03-12 Toyoda Gosei Co Ltd 組電池装置
JP2014026825A (ja) * 2012-07-26 2014-02-06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冷却装置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697A1 (ko) * 2020-02-27 2021-09-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초 흡수성 시트를 구비하는 ess
CN113795967A (zh) * 2020-02-27 2021-12-14 株式会社Lg新能源 包括超吸水性片材的能量存储系统
US12283671B2 (en) 2020-02-27 2025-04-22 Lg Energy Solution, Lt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superabsorbent sheet
WO2021221295A1 (ko) * 2020-04-29 2021-1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1221446A1 (ko) * 2020-04-29 2021-1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KR20210134164A (ko) * 2020-04-29 2021-11-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KR102821925B1 (ko) 2020-04-29 2025-06-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WO2022050780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US12255345B2 (en) 2020-09-08 2025-03-18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comprising reinforcement pole penetrating inside thereof, and automotive vehicle comprising same
KR102269290B1 (ko) * 2020-11-10 2021-06-25 주식회사 원진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냉각장치
US12057597B2 (en) 2020-11-23 2024-08-06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including thermal spread inhibition structure
WO2022108291A1 (ko) * 2020-11-23 2022-05-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확산 억제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3043113A1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40063835A (ko) 2022-01-26 2024-05-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팩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WO2023146083A1 (ko) 2022-01-26 2023-08-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팩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KR20230114906A (ko) 2022-01-26 2023-08-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팩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WO2024053949A1 (ko) * 2022-09-07 2024-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 전파 지연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WO2024117793A1 (ko) * 2022-12-02 2024-06-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5458A (zh) 2018-10-23
KR20180112618A (ko) 2018-10-12
JP2019536214A (ja) 2019-12-12
CN208078058U (zh) 2018-11-09
EP3573129B1 (en) 2021-09-01
EP3573129A1 (en) 2019-11-27
WO2018186616A1 (ko) 2018-10-11
JP6750117B2 (ja) 2020-09-02
US20200185672A1 (en) 2020-06-11
PL3573129T3 (pl) 2022-01-31
CN108695458B (zh) 2020-04-24
US11450913B2 (en) 2022-09-20
EP3573129A4 (en)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099B1 (ko)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US10971770B2 (en) Battery pack having crash beam structure
KR102256098B1 (ko) 루버 핀 형상의 열전도 매개체를 구비한 배터리 팩
CN110574221B (zh) 与电池单体冷却和固定结构集成的电池模块和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
KR102112716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353917B1 (ko) 열전도 패드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KR102326596B1 (ko) 탑재 구조물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250091425A1 (en) Battery pack with efficient cooling path structure and improved safety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220093986A1 (en) Battery Module
CN113939948B (zh) 电池模块、电池组和电子装置
KR102311076B1 (ko) 히트 파이프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4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