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712B1 - An equipment safety management system with a wearble device and a body detection module - Google Patents
An equipment safety management system with a wearble device and a body detection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4712B1 KR102064712B1 KR1020190078039A KR20190078039A KR102064712B1 KR 102064712 B1 KR102064712 B1 KR 102064712B1 KR 1020190078039 A KR1020190078039 A KR 1020190078039A KR 20190078039 A KR20190078039 A KR 20190078039A KR 102064712 B1 KR102064712 B1 KR 1020647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worker
- wearable device
- image
- ope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QVFWZNCVPCJQOP-UHFFFAOYSA-N chloralodol Chemical compound CC(O)(C)CC(C)OC(O)C(Cl)(Cl)Cl QVFWZNCVPCJQO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 G06K9/00362—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2—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triangulation other than GP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인체 감지 모듈을 결합한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management system combining a wearable device and a human body detection module.
일반적인 제조업의 경우 산업의 특성상 중대형 장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대형 장비를 다루는 작업 환경에서는 장비 내 작업을 하던 도중 안전수칙 미준수로 부상이나 인명사고가 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In the general manufacturing industry, due to the nature of the industry, large and medium-sized equipment is installed, and in a working environment dealing with medium- and large-sized equipment, injuries or accidents often occur due to non-compliance with safety rules while working in the equipment.
특히, 장비 작업자들은 공정의 모니터링이나 파손 등의 보수, 재료의 투입, 정기적 점검 등의 이유로 장비 내부로 진입하여 작업하는 경우가 있는데, 원칙적으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장비의 구동을 중지한 후 작업을 이행해야 한다. In particular, equipment workers may enter and work inside the equipment for reasons such as monitoring of the process or repair such as damage, input of materials, or regular inspections.In principle, when working, stop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Should be implemented.
하지만, 장비를 중지시키지 않고 작업하거나, 작업자가 작동을 중지하였더라도 이를 인지하지 못 한 동료 작업자가 재구동을 시키는 등의 이유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큰 주의가 필요하다.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accident may occur for reasons such as working without stopping the equipment or restarting a fellow worker who does not recognize the operation even if the worker stops operation.
이러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장비에는 기본적으로 재구동이 불가능하도록 키를 분리하여 소지한다던가, 진입문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고 구동을 자동으로 정지하는 기능이 탑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사고는 끊임없이 일어나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safety accident, even though the equipment is equipped with a function of detaching and holding a key so that restarting is impossible basically, or detecting an opening state of an entrance door and automatically stopping driving, safety accidents occur constantly. There is a continuous need for a 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인체 감지 모듈을 결합한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following is to provide a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combining the wearable device and the human body detection modul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인체 감지 모듈을 결합한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 모듈로부터 작업자에 대한 감지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에 따라 작업 대상 설비 내에 작업자를 확인하는 작업자 확인 모듈 및 상기 작업 대상 설비의 제어 모듈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 혹은 상기 작업자 확인 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작업자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작업 대상 설비로 잠금(lock)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combining the wearable device and the human body sensing module, which i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btains sensing information about an operator from at least one sensing module, and obtains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operator confirmation module and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of the operation target facility and the operator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operator identification module to check the worker in the work target facility, the lock to the work target facility ( lock) a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나아가, 상기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은, 상기 제어 신호 중 상기 작업 대상 장비의 잠금(lock) 신호가 입력된 경우 혹은 상기 작업자 확인 모듈에 의하여 작업자가 확인된 경우, 상기 작업 대상 설비의 동작을 정지하는 잠금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 신호 중 상기 작업 대상 장비의 잠금 해제(unlock)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작업 대상 설비 내에 작업자의 부재가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작업 대상 설비의 동작을 시작하는 잠금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the lock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stops the operation of the work target facility when a lock signal of the work target equipment is input or when the worker is confirmed by the worker check module. Outputting a lock control signal, and when the unlock signal of the target equipment is input among the control signals and the absence of an operator is confirmed in the target equipment,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target equipment; And outputting a lock control signal.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모듈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작업자의 착용을 인식하여 활성화되고,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 대상 설비와 관련된 잠금(lock) 코드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작업자 확인 모듈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자 및 상기 잠금 코드에 대응하는 잠금 해제(unlock) 코드를 인식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작업 대상 설비 내에 작업자의 부재가 확인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모듈은 3 개 이상의 안테나들로 구성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은, 상기 3개 이상의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까지의 거리에 기반한 삼각 측량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위치와 상기 작업 대상 설비의 영역을 비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at least one sensing module includes a wearable device, wherein the wearable device is activated by recognizing the wear of the worker and obtaining a lock code associated with the work target facility from the worker. When the wearable device receives an input, the worker identification module recognizes the absence of an operator in the work target facility only when the worker identification module recognizes an unlock cod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wearable device and the lock code. It may be characterized as determining. Furthermore, the at least one sensing module comprises a wearable device survey module consisting of three or more antennas, wherein the wearable device survey module comprises a triangle based on the distance from each of the three or more antennas to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survey,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ompare the location of the worker and the area of the work object facility.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모듈은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은, 소정 개수 이상의 연속적인 프레임들 상의 제 1 이미지 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개체 이미지들로 구성된 데이터 세트(data set)에 기반하여 학습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인 추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at least one sensing module comprises an image based sensing module, wherein the image based sensing module comprises a data set consisting of predetermined object images in a first image area on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of consecutive frames. If there is an extracted image whose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learned image database based on the se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level,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worker exists.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모듈은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은, 제 2 이미지 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at least one sensing module includes an image based sensing module, wherein the image based sensing module determines that the operator is present when detecting an image different from a predetermined image in the second image area. It can be characteriz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인체 감지 모듈을 결합한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안전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fety manage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through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combining the wearable device and the human body sensing module.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의 신호 처리적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감지 모듈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describ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block diagram of a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signal processing aspect of a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n imag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idely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현된다.On the other hand, the sa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그리고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This is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that is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작업자 확인 제어 장치(110)와 작업자 확인 제어 장치가 결합/삽입되는 작업 대상 설비(130)로 구성될 수 있다.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확인 제어 장치(110)는 작업자 확인 모듈(111)과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1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작업자 확인 모듈(111)은, 작업자의 착용/미착용 여부를 인식하거나 작업자에게 작업 내용을 표시함으로써, 작업 내용에 대한 확인을 입력받을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는 모듈, 카메라, CCTV등을 통한 이미지 촬영 모듈 및 이미지 촬영 모듈로부터 이미지를 전달받아 작업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 적외선 등을 이용한 감지 센서 모듈 등 다양한 모듈로부터 작업 대상 설비의 작업 반경에 존재하는 작업자에 대한 감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작업자 확인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 모듈로부터 감지 정보를 획득한 경우, 작업 대상 설비 내에 작업자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이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다. The
나아가, 작업자 확인 모듈와 연결된 감지 모듈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활성화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활성화된 경우에 한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식 모듈이 활성화되거나, 혹은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활성화가 중단될 수도 있다. 반대로,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등이 작업자 인식에 대하여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상황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혹은 인체 감지 센서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업자 확인 모듈은 다수의 감지 모듈들을 사용하더라도, 센서의 상태, 작업자의 상태, 배터리 소모 등을 고려하여 일부의 감지 모듈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할 수 도 있다.Furthermore, the sensing module connected to the operator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activated with priority, for example, only when the wearable device is activated, or when the wearable device recognition module is activated or when the image-based sensing module is activated. Activation of the device may be stopped. On the contrary, in an situation in which an image-based detection module or the like causes an error in worker recognition, the wearable device or the human body sensor may be activated. That is, even if a plurality of sensing modules are used, the worker identification module may instruct activation / deactivation of some sensing modules in consideration of a state of a sensor, a state of a worker, battery consumption, and the like.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113)은, 작업 대상 설비(130)을 제어하는 기존의 제어 모듈(131)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 혹은 작업자 확인 모듈(111)로부터 입력된 작업자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작업 대상 설비 중의 잠금 대상 설비(133)로 잠금(lock)/잠금해제(unlock)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lock control
특히, 본 발명에서의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은, 작업 대상 설비 내에 포함되거나 작업 대상 설비의 외부(예를 들어, 중앙 제어 서버 등…)에 존재하는 제어 모듈(131)로부터 작업 대상 설비에 포함된 잠금 대상 설비(133)로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중간에서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 신호 중 잠금 신호 만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업의 정비 중에 작업자는 작업 대상 설비가 제대로 정비가 되고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트 신호를 작업 대상 설비로 송신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모든 신호를 중간에서 차단하는 것은 작업자의 작업 대상 장비 점검의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작업의 지연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lock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work target facility from 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113)은,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가 작업 대상 설비의 잠금(lock)/잠금해제(unlock)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선택적으로 제어 신호를 작업 대상 설비로 전달하던지, 추가적으로 작업 대상 설비로 잠금(lock)/잠금해제(unlock)를 지시하는 잠금 제어 신호를 출력할 지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ck control
더불어, 본 발명에서의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113)은 작업 대상 설비를 위한 제어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뿐만 아니라, 작업자 확인 모듈(111)의 작업자 감지 신호를 판단하여 작업자가 확인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잠금 제어 신호룰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113)은 작업 대상 설비를 잠금 (lock)하는 경우와 잠금해제(unlock)하는 경우를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 control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113)은 제어 신호 중 작업 대상 장비의 잠금(lock) 신호가 입력된 경우이거나, 작업자 확인 모듈에 의하여 작업자가 확인된 경우 중 하나에만 해당하더라도 작업 대상 설비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이는, 작업 대상 설비의 오동작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예상하지 못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lock control
그러나, 작업 대상 설비를 잠금해제(unlonk)하는 경우에는, 모든 감지 신호와 제어 신호를 확인한 후 작업 대상 설비의 동작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에서 작업 대상 설비내에 작업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지 못한 상황에서 잠금 해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However, in the case of unlocking the target equipment, it is preferable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target equipment after confirming all the detection signals and the control signals. This is to prevent an accident that may occur by inputting a lock release signal in a situation in which it is not possible to check whether an operator exists in a facility to be operated from the outside.
따라서,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은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중 작업 대상 장비의 잠금 해제(unlock) 신호가 입력되고, 작업자 확인 모듈을 통하여 작업 대상 설비 내에 작업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즉, 작업자의 부재)을 확인한 경우에 한하여, 작업 대상 설비의 동작을 시작하는 잠금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refore, the lock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receives an unlock signal of the target equipment among the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and the operator does not exist in the target equipment through the operator identification module (that is, Member), the lock control signal for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work target facility can be output.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113)은 잠금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이외에도, 작업 대상 설비가 비정상적인 상태인 경우(예를 들어, 작업 대상 설비가 상시 출입문이 닫혀있는 것이 정상임에도 열려있는 상태)에는 장비를 비상정지시킴과 동시에, 알림 모듈을 이용하여 장비 외부에 설치된 경광등을 울리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작업자간 비상 사태를 공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알림 모듈은 특정 코드를 가지는 작업자들에 의하여 제조 장치의 잠금 상태가 인식될 있는 촉각, 청각, 시각적 효과로 구성된 알림을 작업자에게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모듈은 제조 장비와 연관된 발광체, 램프,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작업 대상 설비에 작업자가 존재하고 있거나, 작업 대상 설비가 비정상적인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outputting the lock control signal, the lock control
본 발명에서, 작업자 확인 모듈에 연결되어 작업자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감지 모듈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 인체 감지 센서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작업자 확인 모듈에 대하여 작업자의 존재를 지시하는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IoT 센서등의 추가적인 디바이스에 대하여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본 발명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1)가 작업자 확인 제어 장치(110)와 연결되어, 작업자 확인 모듈(111)로 작업자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modul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operator identification module and can transmit a worker sensing signal may have various form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measurement module, the image-based detection module, and the human body sensor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sensor, but the IoT sensor that can transmit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the presence of the operator to the operator identification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pplied to additional devices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를 들어, 고유 식별자를 가지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밴드, 작업 헬멧, 무선 이어폰 등)를 통하여 작업자가 인식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잠금 대상 장비에 대한 작업 여부에 대하여 인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worker is recognized through a wearable device (eg, a smart band, a work helmet, a wireless earphone, etc.) having a unique identifier, the wearable device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worker works on the lockable device. I can recognize it.
이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21)는 각각의 고유 식별자를 가지고 있도록 설정되어, 개별 고유 식별자는 특정 작업자에 매칭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작업자에게 스케쥴링된 작업의 내용, 작업 대상 설비 등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특정 작업자의 작업 활동 여부, 작업 시간, 작업 대상 설비 등의 정보가 관리자에 의하여 파악될 수 있으며, 작업 대상 설비와 관련되지 않은 작업자가 작업 대상 설비에 접근하는 비정상적인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본 발명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21)는 특정 작업자의 착용을 인식하여 활성화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작업자가 인식된 경우에는 활성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자를 확인하여만 작업 대상 설비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이는, 특정 작업자에 의하여 작업 대상 설비가 잠긴 경우는 대상 설비의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작업자 확인 모듈이 확실하게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작업자로부터 작업 대상 설비와 관련된 잠금(lock) 코드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입력받는 경우, 작업자 확인 모듈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자 및 잠금 코드에 대응하는 잠금 해제(unlock) 코드를 확인한 경우에 한하여, 작업 대상 설비 내에 작업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코드는, 단순하게 잠금(lock)/잠금해제(unlock)를 위한 코드인 경우도 있으나, 특정한 작업 대상 설비와 관련된 코드, 특정 정비 스케쥴링에 기반한 코드, 특정 작업자가 속하는 작업자 그룹에 관련된 코드일 수도 있으며, 잠금/잠금해제 코드는 다수의 작업자에게 공유될 수 도 있다.This is because the worker confirmation module can reliably determine that the work of the target facility is in progress when the work target facility is locked by the specific worker. For example, when a wearable device receives a lock code associated with a work facility from an operator, the operator identification module only checks an unlock code corresponding to a unique identifier and a lock code of the wearable device. In this case, it can be determined that no worker exists in the facility to be operated. Here, the lock code may be simply a code for locking / unlocking, but a code related to a specific target equipment, a code based on a specific maintenance scheduling, and a code related to a worker group to which a specific worker belongs. The lock / unlock code may be shared by multiple workers.
예를 들어, 작업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1)를 착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활성화된 경우, 이를 이용하여 작업 대상 설비의 정비 작업 시작을 알란다면, 작업자 확인 장치는 정비 작업의 시작을 알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자를 저장하고, 해당 고유 식별자와 매칭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작업 대상 설비의 정비 작업둥의 종료가 지시되는 경우에만 작업 대상 장비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작업자는 작업을 시작하기 직전에 간편하게 장비를 정지시킬 수 있고, 구동을 정지한 당사자에게만 재구동 권한이 부여됨으로써, 예기치 않은 외부 작업자에 의한 구동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worker wears the
또한, 본 발명에서의 잠금 대상 설비(133)의 잠금/잠금해제는 특정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만 가능하므로, 작업을 시작한 작업자가 잠금을 해제하지 않아서 잠금 대상 설비의 동작이 불필요하게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작업자에게 알림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진동 혹은 알림음 등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주기적으로 잠금 대상 설비가 잠긴 상태임을 알림으로써,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작업자의 부주의로 작업 대상 설비에 대한 작업이 종료되었음에도 작업 대상 설비가 정지한 상태를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작업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작업 대상 설비에 대한 작업의 시작을 작업자 확인 제어 장치 등에 알리는 경우에는 작업 대상 설비에 대한 정비와 관련된 동료 작업자에게 작업의 시작을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잠금 대상 장비와 관련된 인체 감지 센서/이미지 촬영 모듈(카메라) 등이 활성화된 때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활성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감지 모듈이 작업자를 정상적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다른 감지 모듈에서 작업자를 중복적으로 인식할 필요성이 높지 않기 때문이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터리 소모 방지 등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작업자 확인 모듈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한 작업의 시작을 인식한 경우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활성화되어 작업의 종료를 지시한 경우에만, 잠금 대상 설비의 잠금 해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locking / unlocking of the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1)가 작업자 확인 제어 장치(110)와 연결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작업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123)이 추가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본 발명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12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측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을 구성하는 개별 안테나로부터 안테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간의 거리를 측량하고, 다수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삼각 측량을 통하여 확인함으로써, 작업자가 잠금 대상 설비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3과 관련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Wearable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 확인 모듈과 연결되는 감지 모듈 중 하나로서,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125)이 이용될 수 있다.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125)은 특정 이미지 영역 내의 추출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이미지와 유사한 경우, 작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특정 이미지 영역 내에 미리 정해진 이미지 이외의 상이한 이미지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잠금 대상 설비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4와 관련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one of the sensing modules connected to the operator identification module, the image-bas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잠금 대상 장비의 내/외부에 설치된 인체 감지 센서 모듈을 통하여 작업자의 진입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체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자외선 센서, 모션 인식 센서 등 다양한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IoT 기반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자 확인 모듈로 작업자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감지 모듈을 이용하여 작업자를 인식하기 때문에 작업 센서의 효율성을 위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인체 감지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비활성화 및 이미지 감지 모듈의 이미지 처리가 어려운 경우에만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따라서, 특정 감지 모듈이 비정상적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작업자 확인 모듈과 연결된 다른 감지 모듈에 대화여 활성화를 시도하고, 작업자 확인 모듈과 연결된 모든 감지 모듈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작업 대상 설비의 제어 모듈에서 잠금 해제 신호가 전송되고, 작업자 확인 모듈에서 작업자가 미확인됨을 지시하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작업 대상 설비의 동작을 정지하는 잠금 제어 신호를 작업 대상 설비로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 확인 모듈이 감지 모듈의 오류로 인하여 부정확한 판단을 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entry of the worker through the human body sensor module installed inside / outside of the lock target equipment.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may be a variety of sensors such as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ultraviolet sensor, a motion recognition sensor, and the like, and by configuring an IoT-based network,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worker detection signal to the worker identification module.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or is recognized using a plurality of sensing modules, priority can be set for the efficiency of the work sensor. For example, the human body sensing sensor may deactivate the wearable device and process the image of the image sensing module. May be set to be activated only when is difficult. Therefore, if a specific sensing module becomes abnormal, it will try to activate it by talking to another sensing module connected to the worker identification module, and if it is deactivated, unlock it from the control module of the target equipment. Although the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operator confirmation module indicates that the operator is unconfirmed, the lock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target facility may be output to the operation target facility. This is to prevent the operator identification module from making an incorrect judgment due to an error of the detection modul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대상 설비의 정지시간(즉, 다운타임)을 최소화하면서 작업자들은 필요한 작업이 마무리되는 순간까지 장비가 가동되지 않는 안전한 환경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관리자 혹은 동료 작업자들은 장비의 구동현황 및 작업 이력을 실시간으로 공유 받으며 현장에 대한 손쉬운 파악이 가능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orkers can be guaranteed a safe environment in which the equipment is not operated until the required work is completed while minimizing downtime (ie, downtime) of the target equipment, and the manager or fellow workers can The driving status and work history of the system can be shared in real time, and the effect on the site can be easily identified.
도 2는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의 신호 처리를 신호 처리적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와 관련된 설명에서는 신호 처리를 중심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송수신기라는 명칭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2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signal processing aspects of signal processing of a wearable device and a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related to FIG. 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using a name of a transceiver.
작업자용 송수신기(220)(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작업자가 착용하는 등의 동작을 통하여 활성화된 경우, 작업자용 송수신기는 장비 진입/해제에 관한 신호를 제어 모듈, 작업자 확인 제어 장치 등에 송신할 수 있으며, 잠금 대상 설비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예를 들어, 다른 작업자의 작업 시작/종료, 잠금 대상 설비의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작업 대상 설비의 내부에 들어가는 경우 신호가 약화되거나, 배터리등의 문제로 신호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장비 진입/해제에 관한 신호 혹은 이벤트성 정보의 수신이 곤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worker transceiver 220 (for example, a wearable device) is activated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worn by a worker, the worker transceiver may transmit a signal regarding equipment entry / release to a control module, an operator confirmation control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ev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k target device (for example, start / end of another worker's work, status of the lock target device) may be received. Howev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earable device, a signal may be weakened when entering the inside of a facility to be worked, or a signal strength may not be relatively strong due to a problem such as a battery. Alternatively,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reception of event information is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은 중계기(22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220)는 작업자용 송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장비용 송수신기로 전달하거나, 장비용 송수신기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작업자용 송수신기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중계기들 각각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IoT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센서 및 작업 대상 설비를 위한 장비용 신호 송수신기를 위한 장치로써, 개별 중계기마다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을 이용하며, 중계기로 전달된 신호를 증폭하여 수신감도 및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작업자용 송수신기, 작업 대상 설비 혹은 다른 중계기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refore,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장비용 송수신기(230) 는 중계기(2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로 전달하거나,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중계기/작업자용 송수신기로 전달할 수 있다. 장비용 송수신기는 작업자 확인 모듈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착용하는 송수신기(예,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다양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하여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장비용 송수신기가 이용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LTE, WIFI, BLE, LORA와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통신 방식이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작업자용 송수신기를 하드웨어/소프트웨어적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 만으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이용되는 장비로부터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240)로의 신호 전달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240)은 제어 모듈과 작업자용 송수신기를 통해 전달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구동/정지 명령을 작업 대상 설비로 전달할 수 있고, 작업 대상 설비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작업자용 송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장비용 송수신기(230)를 통하여 인식되거나 전달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작업자의 작업 대상 설비의 진입/해제, 작업 대상 설비의 상태(작동 상태, 도어(Door) 오픈, 고장 등)에 대하여 제어 모듈로 전달함으로써, 관리자의 작업 대상 설비와 관련된 정보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e lock control
이 때, 본 발명에서의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240)은 전력선 통신(PLC)를 이용하여 작업 대상 설비로 신호를 전달하는데, 제조 장비의 경우 크기가 무선 통신의 신호 반경보다 큰 경우가 존재하며, 제조 장비의 기계적 구조 등에 따라 신호 세기가 약화되거나 간섭이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작업 대상 설비를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 대상 설비로 제어 명령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k control
제어 모듈(260)은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작업자 확인 제어 장치로 작업 대상 설비의 구동/정지현황, 작동 이력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등에 저장하고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작업 대상 설비의 강제 재구동이나 데이터 초기화 등 관리자 기능을 제공할 수 도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을 이용한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surve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활성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잠금(lock)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S310). 작업자가 작업 대상 설비의 진입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본인의 작업 시작 상황을 표시했다면, 동일한 잠금 코드를 공유하고 있는 다른 작업자들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해당 작업 내용이 표시될 수 있고, 작업 대상 설비가 구동 중이었다면 정지되거나 재가동이 안 되는 잠금(Lock)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잠금(Lock) 상태의 작업 대상 설비과 관련된 잠금 코드를 공유하는 작업자들은 주기적으로 작업 대상 설비의 상태에 연관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may input a lock code through the activated wearable device (S310). If the worker indicated the start of his work through the wearable device when entering the work facility, the work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wearable devices of other workers who share the same lock code, and if the work facility is running, the work stops. Can be changed to a locked state that cannot be restarted. Further, workers who share a lock code associated with a work facility in a locked state may periodically receive a signal related to the state of the work facility.
이에,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이 활성화될지 여부를 판단하고(S320),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바,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인식한 안테나의 개수에 따라서, 그 측량되는 정보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에서, 1 개의 안테나가 이용된 경우에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인식만을 할 수 있으며, 2 개의 안테나가 이용된 경우에는 각각의 안테나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식된 거리를 고려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 후보를 산정할 수 있다. 나아가, 3 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개별 안테나로부터의 거리에 기반한 삼각 측량 등을 통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거리를 개별 안테나둘울 통하여 삼각 측량함으로써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에서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이용한 통신 프로토콜, 블루투스, WIFI등의 통신 프로토콜이 활용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may additionally determine whether the wearable device survey module is activated when the wearable device is activated (S320), and measure the location of the worker using the wearable device survey module when the wearable device survey module is activated. . The wearable device survey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antenna. In the wearable device survey module, the form of the surveyed informa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that recognize th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in the wearable device survey module, when only one antenna is used, only the wearable device may be recognized. When the two antennas are used, the wearable device may b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at which the wearable device is recognized at each antenna. The position candidate of the device can be calculated. In addition, when using three or more antennas,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may be measured by triangulation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individual antennas. In particular, in a method of recognizing a location by triangulating the distance of the wearable device through individual antennas,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a radio frequency, a Bluetooth, or a WIFI may be used.
이하에서는, 3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이 활성화된 경우, 3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측정한다(S325)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mainly on the case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using three or more antennas. When the wearable device survey module of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is activated, the position of the worker is measured using three or more antennas (S325).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까지의 거리에 기반한 삼각 측량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인식된 작업자의 위치와 작업 대상 설비의 영역을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별 안테나는 미리 관리자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작업 대상 설비에 결합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그 위치가 파악될 수 있도록 GPS 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도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a triangulation based on the distance from each of the three or more antennas to the wearable device, it may be configured to compare the location of the work target facility and the location of the worker recognized from the wearable device. Here, the individual antennas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a manager in advance, bu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PS sensor so that the position is automatically detected when coupled to the work target equipment.
안전 관리 시스템의 작업자 확인 모듈은 작업자가 작업 대상 설비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다(S330). 만약, 작업자가 진입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본인의 작업 시작 상황을 표시하지 않았더라도,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 혹은 장비에 결합된 인체감지모듈이가 작업자의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 대상 설비에서 인체의 전부 혹은 일부가 감지되거나, 작업자 감지 모듈(예를 들어, 카메라, CCTV, 인체 감지 센서 등)을 통하여 정상적인 작업자 감지가 불가능한 경우(예를 들어, 카메라로 작업자가 가려진 경우)에는 작업자가 진입했다고 판단하고 이후 작업 대상 설비를 정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도 있다.The operator identification module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may determine whether the operator exists in the work target facility (S330). If the worker does not display the starting state of his work through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worker enters, the human body detection module coupled to the image-based sensing module or the equipment may check whether the worker enters. In this case, when all or part of the human body is detected in the facility to be worked, or when normal worker detection is not possible through an operator detection module (for example, a camera, a CCTV, a human body sensor, etc.) In the case of being obscur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worker has entered, and then the operation for stopping the operation target equipment may be performed.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가 측정된 경우, 제어 서버등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작업 대상 설비의 레이아웃 상에 매핑하여 잠금 대상 장비 내부에 진입했는지 여부 및 작업자의 위치 현황을 판단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wearable device is measured, the control server or the like may map the position of the wearable device on the layout of the work target facility to determine whether the lockable device has been entered into the lock target device and the status of the location of the worker.
이때, 작업자 확인 제어 장치는 작업자 감지 모듈 이외에도, 작업 대상 설비와 연관된 제어 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다 (S340).In this case, the operator confirmation control device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associated with the work target facility in addition to the worker detection module (S340).
이에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중 잠금 신호 혹은 작업자 확인 모듈로부터 수신된 작업자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잠금 대상 설비의 동작 시작 혹은 정지를 지시하는 잠금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50)In response to the lock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or the operator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or confirma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lock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start or stop the operation of the lock target equipment (S350).
잠금 제어 신호가 잠금을 지시하는 경우,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은 작업 대상 설비 가운데 그 대상이 되는 잠금 대상 설비를 정지시킨다(S360). When the lock control signal instructs the lock,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stops the lock target facility that is the target among the work target facilities (S360).
작업자가 작업 대상 설비의 작업을 종료하면(S370), 작업 대상 설비의 구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 구동 시도가 있을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작업 알림이 없고, 장비 내 인체감지가 정상적으로 안전함을 판단한 상황이라면 장비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잠금(Lock) 상태의 장비는 해당 작업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작업을 해제하지 않는 이상 재가동이 불가능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잠금 해제 코드가 확인되지 않았다면 주기적으로 작업자들에게 잠금(lock) 상태임을 알린다. 작업자의 실수로 퇴장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작업 완료를 표시하지 않았다면, 장비는 잠금(lock)상태에서 상태 변경을 하지 않아 재가동이 불가능한 상황이 되므로, 주기적으로 주기적으로 작업자들에게 잠금(lock) 상태임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worker finishes the work of the work target equipment (S370), it is possible to drive the work target equipment.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attempt to drive externally, if there is no task notification through the wearable devic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human body detection in the equipment is normally safe,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is possible. In addition, the equipment in the locked state can not be restarted unless the worker releases the work through the wearable device, so if the unlock code is not confirm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it is periodically locked to the workers. Inform. If the worker's mistake does not indicate the completion of work through the wearable device, the equipment does not change the status in the locked state,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restart it. It is desirable to inform.
이에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은 활성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자 및 잠금 코드에 대응하는 잠금 해제 코드를 판단한다(S380). 즉, 작업자가 퇴장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본인의 작업 완료를 표시했다면, 동일한 코드를 공유하고 있는 다른 작업자들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해당 작업 내용이 표기되고, 작업 대상 설비의 작업자 확인 모듈에서 작업자의 부재가 확인된다.In response,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determines a lock release cod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er and lock code of the activated wearable device (S380). In other words, if a worker indicates completion of his / her work through a wearable device at the time of leaving, the work is displayed on wearable devices of other workers who share the same code, and the worker's absence is confirmed in the worker confirmation module of the target equipment. do.
만약, 작업자 확인 모듈이 정상적으로 감지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라면, 작업자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여 잠금 대상 설비의 상태가 비정상적 상태로 판단하고, 잠금(lock) 상태를 유지한다.If the operator confirmation module cannot normally detect, it is assumed that the operator exists and the state of the lock target facility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and the lock state is maintained.
작업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제어 모듈로부터 잠금해제(unlock)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은 잠금 해제를 지시하는 잠금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작업 대상 설비의 잠금을 해제한다(S390) 즉, 작업자가 퇴장 후 외부에서 구동을 시도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등을 통하여 작업 완료가 확인되면 다른 작업자들에게 작업 완료 사실이 표기되고, 장비 내 감지모듈이 정상적인 상황을 학인한 후 잠금 대상 설비가 재가동 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or does not exist and an unlock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the lock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outputs a lock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release the lock to unlock the work target equipment (S390). That is, when a worker attempts to drive from the outside after leaving, when the work is confirm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the work completion is indicated to other workers, and after the detection module in the equipment checks the normal situation, It is restar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감지 모듈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4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n imag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은, 이미지 영역 내에 연속적인 프레임들 상에 미리 저장된 개체 이미지가 존재가 감지되거나, 미리 정해진 이미지에 변화를 감지하는 이미지가 감지되는 경우, 작업 대상 설비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개체 이미지는 인공지능이 적용되어 학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딥러닝 알고리즘인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을 사용하여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을 위한 검출 엔진이 학습될 수 있다. The image-based sen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ps the operation of the work target facility when the presence of a pre-stored object image is detected on consecutive frames in the image area or when an image detecting a change in the predetermined image is detected. can do. Here, the pre-stored object image may be learned by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or example, a detection engine for an image-based sensing module may be trained using a deep learning algorithm,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의 신체 인식을 위한 학습 데이터가 되는 데이터셋은 사람의 전신 이미지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주로 사용하는 신체 일부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으로써, 작업자 손을 뻗어 작업하는 경우나 일부만 장비에 진입한 경우라도 감지할 수 있도록 학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이미지 구분 방식은, 이미지에 작업 대상 설비의 구동부(모터, 로봇 등)가 인식되는 경우, 동적인 움직임을 가지는 물체를 추적하는 것이 아니라 추출된 이미지가 미리 저장된 개체 이미지(예, 사람)임을 판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에 대한 높은 인식률을 보일 수 있으며, 오탐/미탐 상황 데이터를 CNN을 사용하여 학습함으로써 꾸준히 인식률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딥러닝을 통하여 학습된 검출엔진은 카메라를 통해 전달되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판독하여, 사람이 작업 대상 설비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화각/촬영 범위등에 따라 작업자의 신체의 일부만인 경우에도 이미지 감지 모듈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엔진은, 사람의 손, 발, 머리 등 신체의 각 부분에 대하여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개별적인 신체부위를 분류하고 사람이 진입했다는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dataset that is the training data for body recogn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ncludes the whole body image of a person, but also includes data of body parts that are mainly used by the worker, thereby extending the worker's hands. Can be learned to detect even if only part of the equipment. In particular, in the image classification method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unit (motor, robot, etc.) of the work target equipment is recognized in the image, instead of tracking an object having dynamic movement, the extracted image is stored in advance in the object image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how a high recognition rate for the worker, and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by learning the false / non-detect situation data using the CNN. Accordingly, the detection engine learned through deep learning reads the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camera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is present in the target equipment, and according to the angle of view / shooting range of the camera, Even if only a part of the body can be recognized by the image sensing module. That is, the detection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lassify individual body parts and improve the accuracy of judging that a person has entered by learning about each part of the body such as a human hand, foot, and hea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촬영된 이미지에 대하여, 인공지능을 통하여 학습된 검출 엔진을 통해 실시간 영상을 판별하고, 소정의 개수 이상의 연속적인 프레임에 걸쳐 신체가 인식될 경우 사람의 내부 진입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를 감지하기 위한 판단의 기초가 되는 프레임의 수, 추출된 이미지를 판단하기 위한 유사도의 수준에 대하여는 관리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으나, 검출 엔진의 학습 데이터에 따라 점차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al-time image is determined through a detection engine learn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respect to the captured image, and when the body is recognized over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consecutive frames,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internal entry of a person. Can be. Here, the number of frames that are the basis of the determination for detecting the worker and the level of similarity for determining the extracted image may be preset by the administrator, but may be gradually improved according to the learning data of the detection engine. .
즉, 카메라를 통해 작업자의 행위(진입, 출입)를 판단하게 할 경우, 구조적으로 미탐(진입을 미진입으로 분류)과 오탐(미진입을 진입으로 분류)의 가능성이 커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은 신체를 관측하자마자 비상정지 판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카메라, CCTV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이미지의 특정 영역은 작업자가 있어선 안 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if the operator's actions (entry, entry and exit) is judged through the camera, there is a problem that structurall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misdetection (classification as entry) and false positives (classification as entry). The image-based sen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n emergency stop determination as soon as the body is observed, and a specific area of the image photographed using a camera or a CCTV may be set as an area where no operator should be present.
도 4(a)는, 추출된 이미지를 통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이미지 영역 내에서 작업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FIG. 4A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hecking whether an operator exists in an image area set to determine similarity based on an extracted image.
도 4(a)에서는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연속적인 프레임들 상의 특정 이미지 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개체 이미지들로 구성된 데이터 세트(data set)에 기반하여 학습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인 추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작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FIG. 4 (a), extraction is performed in a specific image area on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secutive frames or more, in which the similarity with the learned image database based on a data set composed of predetermined object imag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f the image exist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worker exists.
이미지 촬영 모듈(예, 카메라, CCTV 등…)은 실시간으로 작업 대상 설비 내에 작업자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을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로 전달한다. 이에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은 이미지 촬영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에서 단일 프레임을 추출하여 이미지 분류를 위한 데이터를 클러스터링(cluster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프레임은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에서 분석될 수 있으며, 분석된 결과값은 이미지, 데이터로 각각 출력될 수 있다. 다만, 하나의 이미지와 관련된 프레임은 시간 단위로 0.1초 미만에 해당하므로 단일한 프레임의 결과값을 보고 장비를 정지시키는 방안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를 누적 데이터로 변환하여 실제 사람이 장비 내로 진입했는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e capturing module (eg, camera, CCTV, etc.) continuously photographs the area where the worker can be located in the target facility in real time and delivers it to the image-based sensing module. Accordingly, the image-based sensing module may cluster data for image classification by extracting a single frame from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capturing module. For example, a single frame may be analyzed in the image-based sensing module, and the analyzed result may be output as an image and data, respectively. However, since a frame related to one image is less than 0.1 second in time units, it is not preferable to stop the equipment by looking at the result value of a single frame, and determine whether a real person has entered the equipment by converting it to cumulative data. It is desirable to
따라서, 도 4(a)를 예를 들어, 15fps(Frame Per Second) 의 영상을 분석할 경우, 결과(이미지, 데이터)는 “Person 1 92%, Person 2 72%, table 100%”로 결과값을 가질 수 있으며, 단일 프레임상에서 “Person 1, Person 2”의 경우 신체로 분류된 2개의 개체이므로, 관리자가 설정한 임계치(threshold) 이상인 경우에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은 사람이 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치가 75%로 설정된 경우라면, 단일 프레임상에서 “Person 1” 개체는 신체로 판단할 수 있으며, 나머지 개체인 “Person 2”는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프레임을 이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 프레임상에서는 높은 임계치를 적용하여 개체의 유사도를 판단하고, 연속적인 프레임들 상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임계치를 적용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존재 여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도 있다. Therefore, for example, when analyzing an image of 15 fps (Frame Per Second), the result (image, data) is “Person 1 92%, Person 2 72%, table 100%”. Since “Person 1, Person 2” are two entities classified as bodies on a single frame, the image-based detection module may determine that a person has been detected when the threshold is set by an administrator. . For example, if the threshold is set to 75%, the "Person 1" entity can be judged as a body on a single frame, and the other entity "Person 2" does not show similarity above the threshold and can be analyzed using additional frames. In this case, by applying a high threshold on a single frame to determine the similarity of the object, and apply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imilarity by applying a relatively low threshold on successive frames, it is more efficient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You may.
즉,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은 판단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사람의 신체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추가적인 프레임을 판단하여 작업 대상 설비의 작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이미지 기반 감지모듈이 누적 데이터를 통해 사람이 들어온 것을 감지한 경우, 잠금 대상 설비에 긴급 정지 명령을 전달 할 수 도 있다. 또한, 작업 대상 설비의 정지 기록,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사람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미지는 별도로 저장될 수 도 있다.That is,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may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target equipment is operable by determining an additional fra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ation data is insufficient or that it is not a human body. If it detects a person coming in, it may send an emergency stop command to the facility to be locked.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tationary recording of the work target facility and the performance of the image-based sensing module, an image determined to be entered by a person may be separately stored.
도 4(b)는 이미지의 특정 영역은 작업자가 있어선 안 되는 영역으로 설정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특정 이미지 내에서 미리 정해진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검출하는 경우 작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영역에서 장비만이 존재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장비의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작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예기치 못한 진입에 따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즉, 이미지상에서 모든 영역에 대하여 인공지능을 적용한 작업자 감지를 수행하는 것은 제어 서버의 연산에 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특정 이미지 영역에서는 상이한 이미지의 존재만으로 작업 대상 설비를 정지시킬 수 있다.FIG. 4B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a specific area of the image is set as an area where an operator should not be present. When detecting an image different from a predetermined image within a specific image,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operator exists. For example, even if only the equipment should be present in the image area, if an image different from that of the equipment is detected, the operation may be temporarily stopped to prevent an accident due to an unexpected entry of an operator. In other words, performing the operator detection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ll areas on the image may cause a load o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erver, and in order to detect more efficiently, the target equipment is stopped only by the presence of different images in a specific image area. You can.
또한,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은, 하나의 이미지 상에서 특정 영역에 대하여 추출된 이미지를 검출 엔진을 통하여 유사도 판단을 함과 동시에, 나머지 영역에 대하여는 상이한 이미지를 검출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based sensing module can effectively prevent accidents by setting an image extracted for a specific area on one image through a detection engine and determining different images for the remaining areas. Can be.
본 명세서와 도면에 게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only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상술한 바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인체 감지 모듈을 결합한 설비 안전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combining the wearable device and the human body sensing module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Claims (6)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모듈로부터 작업자에 대한 감지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에 따라 작업 대상 설비 내에 작업자를 확인하는 작업자 확인 모듈; 및
상기 작업 대상 설비의 제어 모듈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 혹은 상기 작업자 확인 모듈로부터 입력된 작업자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작업 대상 설비로 잠금(lock)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자 확인 모듈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모듈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활성화되어, 상기 작업 대상 설비와 관련된 잠금(lock) 코드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자 및 상기 잠금 코드에 대응하는 잠금해제(unlock) 코드를 인식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작업 대상 설비 내에 작업의 부재가 확인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In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ombines a wearable device and a human body detection module,
An operator identification module for obtaining sensing information about an operator from at least one sensing module including the wearable device, and identifying an operator in a work target facility according to the obtained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And
And a lock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configured to output a lock control signal to the work target facility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of the work target facility or a worker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worker identification module. ,
The worker confirmation module,
When the wearable device is activated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at least one sensing module and receives a lock code associated with the work target facility,
Only when a unique identifier of the wearable device and an unlock code corresponding to the lock code are recognized, it is determined that the absence of the work is confirmed in the work target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상기 잠금 제어 신호 출력 모듈은,
상기 제어 신호 중 상기 작업 대상 설비의 잠금(lock) 신호가 입력된 경우 혹은 상기 작업자 확인 모듈에 의하여 작업자가 확인된 경우, 상기 작업 대상 설비의 동작을 정지하는 잠금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 신호 중 상기 작업 대상 설비의 잠금 해제(unlock)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작업 대상 설비 내에 작업자의 부재가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작업 대상 설비의 동작을 시작하는 잠금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Outputs a lock control signal for stopping operation of the work target facility when a lock signal of the work target facility is input or when the worker is confirmed by the worker identification module among the control signals;
Outputting a lock control signal for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work target facility only when an unlock signal of the work target facility is input and the absence of an operator is confirmed in the work target facility. Characterized by
Safety management system.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작업자의 착용을 인식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wearable device may be activated by recognizing wear of the worker.
Safety management system.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모듈은
3 개 이상의 안테나들로 구성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량 모듈은,
상기 3개 이상의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까지의 거리에 기반한 삼각 측량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위치와 상기 작업 대상 설비의 영역을 비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t least one sensing module
A wearable device survey module consisting of three or more antennas,
The wearable device surve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ompare the location of the worker and the area of the work target facility according to triangulation based on the distance from each of the three or more antennas to the wearable device,
Safety management system.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모듈은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은,
소정 개수 이상의 연속적인 프레임들 상의 제 1 이미지 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개체 이미지들로 구성된 데이터 세트(data set)에 기반하여 학습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인 추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sensing module
Includes an image-based detection module,
The image-based detection module,
In the first image area on the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consecutive frames, when there is an extracted image whose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image database learned based on a data set composed of predetermined object images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set level,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er exists,
Safety management system.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모듈은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기반 감지 모듈은,
제 2 이미지 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sensing module
Includes an image-based detection module,
The image-based detec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or is present in the second image area, when detecting an image different from the predetermined image,
Safety management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8039A KR102064712B1 (en) | 2019-06-28 | 2019-06-28 | An equipment safety management system with a wearble device and a body detection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8039A KR102064712B1 (en) | 2019-06-28 | 2019-06-28 | An equipment safety management system with a wearble device and a body detection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4712B1 true KR102064712B1 (en) | 2020-01-08 |
Family
ID=6915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8039A Active KR102064712B1 (en) | 2019-06-28 | 2019-06-28 | An equipment safety management system with a wearble device and a body detection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471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5223A (en) * | 2020-02-18 | 2021-08-26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actory safety matters using autonomous control and working process simulatio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2395A (en) * | 1997-10-31 | 1999-05-21 | Nisshin Steel Co Ltd | Safety device when one enters automatic working area |
JP2005115932A (en) * | 2003-09-16 | 2005-04-28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Human body sensing device using image |
JP2005153051A (en) * | 2003-11-25 | 2005-06-1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Safety device of working machine |
KR20150138053A (en) * | 2014-05-30 | 2015-12-09 | 애플 인크. | Proximity unlock and lock operations for electronic devices |
JP2017521760A (en) * | 2014-06-25 | 2017-08-03 |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Wearable RFID device with manually operated RFID tag |
WO2017141365A1 (en) * | 2016-02-17 | 2017-08-24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Production line safety system |
-
2019
- 2019-06-28 KR KR1020190078039A patent/KR1020647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2395A (en) * | 1997-10-31 | 1999-05-21 | Nisshin Steel Co Ltd | Safety device when one enters automatic working area |
JP2005115932A (en) * | 2003-09-16 | 2005-04-28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Human body sensing device using image |
JP2005153051A (en) * | 2003-11-25 | 2005-06-1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Safety device of working machine |
KR20150138053A (en) * | 2014-05-30 | 2015-12-09 | 애플 인크. | Proximity unlock and lock operations for electronic devices |
JP2017521760A (en) * | 2014-06-25 | 2017-08-03 |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Wearable RFID device with manually operated RFID tag |
WO2017141365A1 (en) * | 2016-02-17 | 2017-08-24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Production line safety syste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5223A (en) * | 2020-02-18 | 2021-08-26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actory safety matters using autonomous control and working process simulation |
KR102441522B1 (en) * | 2020-02-18 | 2022-09-06 |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 Factory safety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autonomous control of factory facilities and work process simul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65087B2 (en) | Control system and method | |
JP6866773B2 (en) | Safety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of safety contro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KR102786033B1 (en) | Monitoring device, industrial equipment, monito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JP2019022209A (en) | Video monitoring system and video monitoring method | |
JP6689566B2 (en) |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method | |
KR101788796B1 (en) | Factory work safety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motors us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self-powered beacon scanner and vibration sensor | |
JP2018130793A (en) |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 |
US20090153333A1 (en) | Entry and exit confirmation system and method | |
KR20130085315A (en) | Method for video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human identification | |
KR102015959B1 (en) | INTELLIGENT SECURITY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USING IoT CAMERA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 |
TWI607336B (en) | Monitoring method?for region | |
TWM510514U (en) | Region monitoring and alarming system | |
KR102064712B1 (en) | An equipment safety management system with a wearble device and a body detection module | |
KR101370982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motion using wireless tag and securit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tecting motion using the same | |
KR101608202B1 (en) | Site monitoring method using camera and apparatus thereof | |
CN115731568A (en) | Equipment safety management system combining wearable equipment and human body detection module | |
JP2013073477A (en) | Mobile object monitoring system | |
KR102093427B1 (en) | Management system of entrance and exit | |
JP5876253B2 (en) | Suspicious object monitoring system | |
JP6093596B2 (en) | Moving object monitoring system | |
JP2012174058A (en) | Specific event detection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 |
KR20230030266A (en)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afety image judgment system | |
KR20230030265A (en) | a safety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a dynamic user interfa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
JP5829855B2 (en) | Mobile monitoring system | |
KR20230030267A (en) | A wearable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radio frequenc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7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