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291B1 - 단차 제품 그립핑용 메카니컬 트윈 통스 - Google Patents
단차 제품 그립핑용 메카니컬 트윈 통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4291B1 KR102064291B1 KR1020180042683A KR20180042683A KR102064291B1 KR 102064291 B1 KR102064291 B1 KR 102064291B1 KR 1020180042683 A KR1020180042683 A KR 1020180042683A KR 20180042683 A KR20180042683 A KR 20180042683A KR 102064291 B1 KR102064291 B1 KR 1020642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s
- hinge structure
- hinge
- protrusion
- mechanical tw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10000002105 tongue Anatomy 0.000 claims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136 polysorb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with lifting beams, e.g. slewable beams, carrying load-engaging elements, e.g. magnets, hoo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8—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manipulating workpieces during forg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금형강 등 폭방향 및 높이방향 단차가 형성된 단조 제품 견인 시 제품을 안정적으로 그립하여 추락에 의해 제품 손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컬 트윈 통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컬 트윈 통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스키가 제 2 힌지구조와 제 4 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컬 트위 통스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컬 트위 통스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컬 트윈 통스를 이용하여 환봉형 단조 제품을 그립핑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컬 트윈 통스를 이용하여 단차구조가 형성된 단조 제품을 그립핑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20: 견인 대상물
100: 메카니컬 트윈 통스
101: 견인빔
110: 리프팅 빔
120: 아답터 박스
121: 아답터 프레임
122: 회전방지 돌기
123: 슬라이딩 레일구조
130: 통스
131: 그립핑 링크
132: 그립핑 조우
141: 제 1 힌지구조
142: 제 2 힌지구조
143: 제 3 힌지구조
144: 제 4 힌지구조
150: 통스키(Tongs Key)
151: 탈부착 결속구조
160: 구동힌지부
170: 보조지지대
180: 충돌방지 돌기
181: 접촉면
182: 충격흡수부
183: 길이변경부
184: 결속 고정부
Claims (16)
- 상단 양측에 견인크레인과 결속될 수 있는 견인빔(101)이 각각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하나씩 장착되고, 하단 양측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제 1 힌지구조(141)에 의해 아답터 박스(120)가 각각 하나씩 장착되는 리프팅 빔(110);
하단에 상기 제 1 힌지구조(141)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한 제 2 힌지구조(142)가 장착되고, 인접하여 장착되는 각각의 통스(130)의 그립핑 동작을 각각 독립적으로 가이드하는 아답터 박스(120); 및
상기 리프팅 빔(110) 하단 양측에 아답터 박스(120)의 제 2 힌지구조(142)에 의해 장착되고, 견인 대상물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견인 대상물을 그립핑하는 통스(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빔(101)은 제 1 힌지구조(141)의 회전 축과 동일한 직교평면을 가지는 제 3 힌지구조(143)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빔(110)에 장착되는 제 1 힌지구조(141)와 제 3 힌지구조(143)는, 정면상으로 보았을 때 사디리꼴 형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 박스(120)는,
상기 제 1 힌지구조(1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판상형 구조의 아답터 프레임(121);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힌지구조(142)는 상기 아답터 프레임(121)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 프레임(121)의 하단 양측에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고, 통스(130)의 상단면을 향해 연장된 구조의 회전방지 돌기(12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 박스(120)의 제 2 힌지구조(142)에는 통스(130)의 그립핑 동작을 가이드 하는 통스키(Tongs Key, 15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스키(Tongs Key, 150)의 상단에는 아답터 박스(120)의 제 2 힌지구조(142)와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의 탈부착 결속구조(1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구조(142)의 하단부에는 슬라이딩 레일구조(123)가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 결속구조(151)는, 슬라이딩 레일구조(123)에 슬라이딩 되어 결속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레일구조(123)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스키(150)는 슬라이딩 레일구조(123)에 결속된 후,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스(130)는,
상단은 제 2 힌지구조(142)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하단은 그립핑 조우(132)와 힌지구조에 의해 결속되는 한 쌍의 그립핑 링크(131); 및
상기 그립핑 링크(131)와 힌지구조에 의해 결속되고, 일측면은 제 4 힌지구조(144)로 한 쌍으로 결속되는 그립핑 조우(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그립핑 조우(132)를 서로 결속시키는 제 4 힌지구조(144)에는 판상형 구조의 구동힌지부(160)가 장착되고,
상기 아답터 박스(120)의 제 2 힌지구조(142)에는 통스키(150)의 상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힌지부(160)에는 통스키(150)의 하단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힌지부(160)의 하단에는 지면과 대응되는 평평한 구조의 보조지지대(170)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빔(110)의 양측 하단에 장착되는 한 쌍의 통스(130)의 각 일측면에는, 한 쌍의 통스(130)를 대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구조의 충돌방지 돌기(18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방지 돌기(180)는,
일단부에 장착되고 또 다른 충돌방지 돌기(180)의 일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접촉면(181); 및
출돌방지 돌기(180)의 내부에 장착되고, 접촉면(181)으로부터 제공되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내장된 구조의 충격흡수부(18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방지 돌기(180)는,
일단부에 장착되고 또 다른 충돌방지 돌기(180)의 일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접촉면(181); 및
출돌방지 돌기(180)의 내부에 장착되고, 충돌방지 돌기(180)의 연장 길이를 변경하는 구조의 길이변경부(18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방지 돌기(180)는,
일단부에 장착되고 또 다른 충돌방지 돌기(180)의 일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접촉면(181); 및
상기 접촉면(181)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또 다른 출돌방지 돌기(180)의 접촉면(181)과 결속되는 구조의 결속 고정부(18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트윈 통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2683A KR102064291B1 (ko) | 2018-04-12 | 2018-04-12 | 단차 제품 그립핑용 메카니컬 트윈 통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2683A KR102064291B1 (ko) | 2018-04-12 | 2018-04-12 | 단차 제품 그립핑용 메카니컬 트윈 통스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0156A Division KR102185625B1 (ko) | 2020-01-02 | 2020-01-02 | 단차 제품 그립핑용 메카니컬 트윈 통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9348A KR20190119348A (ko) | 2019-10-22 |
KR102064291B1 true KR102064291B1 (ko) | 2020-01-09 |
Family
ID=6842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2683A Active KR102064291B1 (ko) | 2018-04-12 | 2018-04-12 | 단차 제품 그립핑용 메카니컬 트윈 통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429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43152A (ja) * | 2002-07-15 | 2004-02-12 | Toyota Auto Body Co Ltd | 搬送装置 |
JP2017165523A (ja) * | 2016-03-15 | 2017-09-21 | 日新製鋼株式会社 | スラブリフター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5279B1 (ko) | 2009-10-02 | 2010-06-22 | (주)탬코 | 통스크레인의 그립핑 조우 |
-
2018
- 2018-04-12 KR KR1020180042683A patent/KR10206429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43152A (ja) * | 2002-07-15 | 2004-02-12 | Toyota Auto Body Co Ltd | 搬送装置 |
JP2017165523A (ja) * | 2016-03-15 | 2017-09-21 | 日新製鋼株式会社 | スラブリフタ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9348A (ko) | 2019-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70641B2 (ja) | クレーンのためのカウンタウェイトブロック及びアセンブリ | |
KR102107211B1 (ko) | 트롤리에 사용되는 핸들유닛 | |
RU2521088C2 (ru) | Блок крюка для крана | |
CN106660703A (zh) | 用于运输存储箱的机器人 | |
CA2523505A1 (en) | Fast moving drilling rig | |
KR102069785B1 (ko) | 풍력 터빈 블레이드용 이송 프레임 | |
US20170232991A1 (en) | Pallet for Tubular Down-Hole Tools | |
KR101881808B1 (ko) | 보강토 블럭 운반용 클램프 | |
KR20210017690A (ko) |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 |
KR20200004451A (ko) | 단차 제품 그립핑용 메카니컬 트윈 통스 | |
CN107044292A (zh) | 用于拱架台车的抓手机构和拱架台车 | |
KR102064291B1 (ko) | 단차 제품 그립핑용 메카니컬 트윈 통스 | |
US20110290751A1 (en) | Lattice boom | |
US10557244B2 (en) | Hammering device | |
KR101694466B1 (ko) | 통스크레인의 다단 분리형 통키 | |
KR100986138B1 (ko) | 좌우 이동 가능한 베일 집게장치 | |
JP6472224B2 (ja) | 杭打機の下部リーダ着脱治具 | |
KR101924905B1 (ko) | 호이스트 레일 바 | |
KR20150027989A (ko) | 크레인용 보조공구 | |
JP2017024813A (ja) | アタッチメントの連結装置 | |
JP6150636B2 (ja) | 杭打機 | |
KR101102515B1 (ko) | 작업기용 연결장치 | |
KR101309059B1 (ko) | 판넬 그리퍼 장치 | |
KR102473204B1 (ko) |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 |
JP5657986B2 (ja) | クレー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10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