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092B1 - Heat adhesive water-proof film for outdoor clothing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Heat adhesive water-proof film for outdoor clothing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4092B1 KR102064092B1 KR1020180157624A KR20180157624A KR102064092B1 KR 102064092 B1 KR102064092 B1 KR 102064092B1 KR 1020180157624 A KR1020180157624 A KR 1020180157624A KR 20180157624 A KR20180157624 A KR 20180157624A KR 102064092 B1 KR102064092 B1 KR 1020640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waterproof
- waterproof film
- heat
- hot me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8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66 varni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23 electro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6 layers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8 non-uniform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22 polyamid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3 transfer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32B37/1292—Application of adhesive selectively, e.g. in stripes, in patter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8—Meshes, lattices or 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도트 코팅된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원단에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에 적용되어 방수성 및 방풍성이 우수하고, 상기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thermally bonding to fabrics for manufacturing outdoor garments using a hot melt adhesive coated with dots on a surface thereof,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outdoor clothing excellent waterproof and windproof, and relates to a waterproof film structure 100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eat-adhesive that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utdoor cloth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웃도어 의류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에 사용되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직물 등 원단 기재의 일측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부착함으로서 아웃도어 의류용 기능성 원단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방수성 및 방풍성을 갖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sealing waterproof film structure used in the manufacture of functional fabrics for outdoor cloth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by simpl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such as fabric, simply attach the functional fabric for outdoor cloth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 film structure that can be manufactured and that can be heat-bonded with excellent waterproofness and windproof proper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아웃도어 의류는 대부분 투습방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의류 내부의 땀 등의 수증기는 외부로 통과시켜 배출하고, 외부의 비 등의 수분은 의류의 내부로 스며들지 않게 하는 투습방수성 필름을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해 의류에 부착함으로써, 비나 눈에 젖지 않고(waterproof) 땀은 배출시켜(breathable) 착용자의 체온조절을 돕고, 쾌적감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In general, in order to give a waterproof waterproof function, outdoor clothing is mostly laminated with a vapor permeable waterproof film that prevents water such as sweat from passing through to the outside and prevents moisture such as external rain from penetrating into the clothing. By attaching to the clothing through, the rain or water (breathable) sweat is (breathable) to help the wearer's body temperature control, and has a function to maintain comfort.
그런데 이러한 투습방수성 필름은 그 구조 내부에 굴곡성있는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시 방수성 및 방풍성이 저하되게 된다. However, th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ilm has flexible pores formed in the structure thereof, so that waterproofing and windproofness of the outdoor clothing are reduced.
즉, 상기와 같은 투습방수 원단은 방수, 방풍 기능보다는 투습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활동량이 증가하여 땀을 흘리는 경우에 인체와 환경 간의 매개체로서 작용하여 열과 수분 등의 전달을 조절함으로써 몸에서 나는 열과 땀을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기능은 우수하나, 상대적으로 방수성 및 방풍성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착용자의 보온 기능이 함께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That is, th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abric is focused on the moisture-permeable function rather than the waterproof and wind-proof function, so when the amount of activity increases and sweats, it acts as a medium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environment to regulate the heat and moisture transfer by the body. The function of efficiently discharging the sweat is excellent, but the waterproof and windproof properties are relatively lowered, and thus the wearer's thermal insulation function is also lowered.
이에 따라 투습방수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아웃도어 의류는 보온성이 극히 떨어지게 되어 동절기에는 여러 겹의 의류를 겹쳐입거나, 원단 자체를 두텁게 하여 제조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착용이 불편할 뿐더러 신축성이 저하되고, 아웃도어 의류의 제작 과정이 번거롭고 고비용의 생산비를 지출하여야 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 아웃도어 의류의 착용시 활동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경량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투습방수 원단을 이용하여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시 경량화된 제품의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Accordingly, outdoor clothing manufactured using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abric is extremely inferior in warmth, and should be manufactured by overlapping several layers of clothing in winter or by thickening the fabric itself. As a result, i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wear, the elasticity is lower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outdoor clothing is cumbersome and requires a high cost of production. In particular, in order to maximize activity while wearing outdoor clothing recently, the active weight reduction is actively promoted, bu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lightweight product when manufacturing outdoor clothing using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abric.
이러한 방수성 및 방풍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3437호(2017. 06. 08.)에는 직물 기저층; 및 상기 직물 기저층의 일면에 형성된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기능층으로 이루어진 방풍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기능성 직물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4119호호(2010. 03. 05.)에는 안감원단층과; 상기 안감원단층의 상면에 적층되고, 전기방사에 의하여 제조되며, 그 평균직경이 100~2000nm임과 아울러 공극 평균직경이 0.5~5μm인 복수의 나노섬유사가 부직포 형태로 제조된 나노섬유 방수층과; 상기 나노섬유 방수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표면원단층;으로 구성되는 방수 원단이 제시되어 있다.Looking at the prior art for such a waterproof and wind-resistant functional fabric,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33437 (2017. 06. 08.) the base fabric; And it has been proposed a functional fabric fabric excellent in windproof and thermal insulation made of a functional layer comprising a silicone resi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abric base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24119 (2010. 03. 03. 05.) Lining fabric fault; A nanofiber waterproof layer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ning raw material layer and manufactured by electrospinning, having a mean diameter of 100 to 2000 nm and a plurality of nanofiber yarns having a pore average diameter of 0.5 to 5 μm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A waterproof fabric consisting of a surface fabric layer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anofiber waterproof layer is provided.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방수성 및 방풍성 기능을 갖는 기능성 원단은 원단층과 방수층의 접착시 사용하는 액상 접착제가 불균일한 도포 분포를 갖게 되어 접착력이 떨어지고, 액상 접착제가 직물층에 스며들게 되어 불규칙한 접착 상태를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원단 기재에 접착된 방수층의 박리 내구성이나 마모 내구성이 불량하고,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생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However, the functional fabric having a waterproof and wind-proof fun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non-uniform distribution of the liquid adhesive used for the adhesion of the fabric layer and the waterproof layer, the adhesion is reduced, the liquid adhesive is permeated into the fabric layer irregular adhesion state There is a problem to have. Accordingly, the peeling durability and the wear durability of the waterproof layer adhered to the fabric substrate are poor,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은 표면에 도트 코팅된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원단 기재에 열접착이 가능한 아웃도어 의류용 방수성 필름 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에 적용되어 방수성 및 방풍성이 우수하고, 보온성이 우수한 방수성 필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열접착이 가능함으로써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 film 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outdoor clothing that can be heat-bonded to the fabric substrate using a hot melt adhesive coated on the surfac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outdoor clothing, and relates to a waterproof film structure having excellent waterproof and windproof properties and excellent heat reten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resistan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방수필름층(50);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형층(70); 및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전사되는 핫멜트 접착제층(30);을 포함하며, 상기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내수압은 5,000 ~ 20,000 mmH2O 이며,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프린트층(1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EVA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방수필름층(50)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전사되는 핫멜트 접착제층(30)은 1 ~ 300 개/cm2 로 형성되며, 상기 방수필름층(50)의 두께는 5 μm ~ 300 μm 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ot melt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방법은 하부에 이형층(70)이 형성된 방수필름층(50)을 준비하는 제 1 단계;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핫멜트 접착제층을 도트 형상으로 전사하는 제 2 단계;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을 열고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을 냉각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프린트층(10)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adhesive
그리고, 본 발명의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원단 기재의 일측에 열접착되어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게 된다.The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평판 프레스 혹은 롤러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원단 기재에 열접착함으로써 방수성 및 방풍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봉제 공정시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방수성 및 방풍성 기능성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아웃도어용 의류의 제조 단계를 축소하고, 최종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한 뒤 멤브레인과 원단을 합포하여 접착하는 방식 대비 친환경적이며, 또한 아웃도어 의류의 디자인 완성도를 높힐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Heat-adhesi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외부로부터의 바람이나 물의 유입을 차단시켜줌으로써, 이를 이용한 아웃도어 의류의 보온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고, 뛰어난 충격흡수성을 갖는 등산복, 스키복 및 점퍼 등과 같은 다양한 스포츠 및 아웃도어 의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heat-adhesiv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상부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 공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수지의 도포공정에서 사용되는 상부 스크린 롤(120)의 모식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resista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resistant
3 is a top plan view of the waterproof
4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the heat-resistant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upper screen roll 120 used in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hot melt adhesive re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comprise,” “have,” or “comprise” in this application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상부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 공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수지의 도포공정에서 사용되는 상부 스크린 롤(120)의 모식도이다.Hereinafter, the heat-adhesive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아웃도어 의류 등의 제조시 원단 기재에 접착함으로써, 상기 원단 기재에 방수성 및 방풍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필름층(50);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형층(70);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전사되는 핫멜트 접착제층(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at-adhesive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저층을 이루는 방수필름층(50)이 요구된다. 상기 방수필름층(50)은 아웃도어 의류를 제조하기 위하여 원단 기재에 접착되어 상기 원단 기재에 방수성 및 방풍성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이다. That 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anufacture the waterproof
즉, 상기 방수필름층(50)으로서는, 가요성을 갖는 필름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으로 제조되는 박막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That is, the
상기 방수필름층(50)의 두께는 5 μm ~ 300 μ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수필름층(50)의 두께가 5 μm 미만인 경우에는 제조되는 아웃도어 의류의 경량성과 유연성은 우수하나,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시 취급성 및 작업성이 매우 불량하게 된다. 또한 방수필름층(50)의 두께가 300 μm 를 초과하게 되면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를 적용한 아웃도어 의류의 촉감과 유연성이 불량하게 되고, 아웃도어 의류 제품의 경량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The thickness of the
상기 방수필름층(50)으로서는, 예컨대 방수성 및 방풍성을 갖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성 및 방풍성을 갖는 방수필름층(50)을 사용하면, 제조되는 아웃도어 의류에 방수성과 방풍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옷 등과 같이 강한 방수성이 요구되는 의류에는 KS K 0591(직물의 내수도 시험방법 - 저수압법)으로 측정되는 내수압이 5,000 ~ 20,000 mmH2O를 갖는 방수필름층(5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이형층(70)을 구비한다. And the
일반적으로, 이형층(70)은 점착 성분 또는 접착 성분에 잘 붙지 않는 이른바 이형성을 갖는 필름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수필름층(50)에 부착되어 상기 방수필름층(50)을 보호하며 먼지 또는 이물 등에 의한 방수필름층(50)의 오염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의류의 제조가 완료되면 쉽게 박리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거하게 된다. In general, the
또한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핫멜트 접착제층(30)이 형성된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은 방수필름층(50)을 의류 제조용 원단 기재에 접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후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을 용융하여 원단 기재에 열접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heat-adhesive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특히, 물이나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온에서 고체 상태인 불휘발성, 불연성,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resin)를 사용하여, 열을 가하여 용융함으로써 액상으로 피착제에 도포한 후, 냉각 및 고화되면서 접착력을 발휘하는 열용융형 접착제를 가리킨다. The hot-melt adhesive constituting the hot-
본 발명에서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제층(30)의 밀도는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sity of the hot melt
즉, 도 3은 핫멜트 접착제층(30)이 형성된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상부 평면도로서,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의 형성 밀도는 상기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표면의 1 cm2의 내부에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제층(30)의 개수 즉, 단위 밀도로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핫멜트 접착제층(30)의 단위 밀도는 1 ~ 300 개/ cm2 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의 접착 특성의 측면에서 특히 30 ~ 220 개/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FIG. 3 is a top plan view of the heat-adhesive
또한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의 형성 밀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인치(inch) 길이의 선상에 일렬로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30)의 개수 즉 선형 밀도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의 선형 밀도는 7 ~ 50 개/인치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3 ~ 45 개/인치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ormation density of the hot melt
상기와 같은 단위 밀도 및 선형 밀도의 범위에서 핫멜트 접착제층(30)이 형성되면,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의 접착력이 가장 우수하게 형성 됨으로써,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박리 내구성 및 마모 내구성이 우수하게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hot melt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일측에 프린트층(10)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필름층(50)에 무늬를 부여하는 프린트층(1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린트층(10)은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필름층(50)에 무늬를 부여함으로써,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시 안감이 불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아웃도어 의류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됨으로써 가격 경쟁력이 제고되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add the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이후에 원단 기재에 열접착됨으로써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방수성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The heat-adhesive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4 will be describ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resista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 공정에서 제 1 단계는 하부에 이형층(70)이 형성된 방수필름층(5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하부에 이형층(70)이 형성된 방수필름층(5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스크린 롤(120)과 하부 롤(200)의 사이로 투입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한다.Figure 4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eat-resistant
그리고 제 2 단계로서,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핫멜트 접착제층(3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단계는 먼저, 회전하는 상부 스크린 롤(120)을 이용하여 핫멜트 접착제 수지를 용융하여 도트 형상으로 전사함으로써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핫멜트 접착제층(30)을 형성하게 된다. As a second step, a hot melt
즉, 상기 제 2 단계는 상부 스크린 롤(120)에서 핫멜트 접착제 수지를 용융한 후에 상기 상부 스크린 롤(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닥터 블레이드(150)를 통해서 상기 멤브레인(50)의 상부에 핫멜트 접착제 수지의 용융물을 도트 형상으로 전사하여 핫멜트 접착제층(30)을 형성하게 된다.That is, in the second step, after melting the hot melt adhesive resin on the upper screen roll 120, the hot melt adhesive on the top of the
상기 제 2 단계는 특히 상부 스크린 롤(120)을 이용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상부 스크린 롤(120)을 이용하여 핫멜트 접착제 수지를 도트 형상으로 전사하는 경우에는 제조되는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원단의 촉감과 드레이프(drape)성이 우수하게 된다. Preferably, the second step proceeds using the upper screen roll 120. In particular, when the hot-melt adhesive resin is transferred to the dot shape using the upper screen roll 120, the touch and drape of the fabric for manufacturing outdoor clothing are excellent.
또한, 상기 상부 스크린 롤(120)은 도 5과 같이 상기 핫멜트 접착제 수지가 용융되어 용출되는 유출공(15)이 1㎠당 30 ∼ 180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출공(15)의 직경은 350 ∼ 7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pper screen roll 120 is preferably formed 30 to 180 per 1 cm 2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의 형성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스크린 롤(120)을 통해 핫멜트 접착제 수지를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도포함으로써, 핫멜트 접착제층(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전사되는 핫멜트 접착제 수지의 양은 7 ~ 30 g/㎡인 것이 바람직한데, 도포되는 핫멜트 접착제 수지의 양이 30 g/m2 를 초과하게 되면 원단의 텍스처가 지나치게 경질화 되어 촉감이 저하되고, 7 g/m2 미만인 경우에는 결합강도가 불충분하여 세탁을 견디기에 충분한 내구성을 얻을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방수필름층(50)과 원단 기재 간의 접착력이 불량해질 수 있다. Referring to the forming of the hot melt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 중 어느 하나의 핫멜트 접착제 수지를 적절한 온도를 가하여 용융함으로써 형성하게 된다. The hot melt
이때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의 전사 속도는 분당 20 ∼ 30 미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핫멜트 접착제 수지의 용융 점도는 20,000 cps 내지 50,000 cps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transfer rate of the hot melt
상기와 같은 용융점도를 갖는 핫멜트 접착제 수지는 방수필름층(50)에 전사시 초기 밀착성, 초기 접착력, 초기 점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도 동시에 작업성이 우수하고, 경화 시간 단축의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최종 경화 후 접착력이 가장 우수하다. Hot melt adhesive resin having a melt viscosity as described above is excellent in initial adhesiveness, initial adhesive strength, initial adhesiveness and heat resistance while transferring to the
그 다음으로는 핫멜트 접착제층(30)이 형성된 방수필름층(50)이 이형층(70)과 함께 텐터(350)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30)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을 열고착하는 제 3 단계를 거치게 된다. Next, the
이때 상기 텐터(350)의 온도 조건은 상기 핫멜트 접착제의 용융온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세팅되어 실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안착된 핫멜트 접착제는 용융됨과 동시에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핫멜트 접착제층(30)을 형성하게 된다. In the third step, the hot melt adhesiv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은 7 ~ 30 g/m2로 형성되는 것이 이후에 원단 기재에 열접착된 후 접착력이 가장 우수하게 형성됨으로서, 방수필름층(50)의 박리 내구성 및 마모 내구성이 우수하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ot melt
즉,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이 7 g/m2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접착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상기 방수성 필름(100)이 충분한 세탁 내구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봉제부분의 바늘 구멍을 완전하게 밀봉이 어렵게 됨으로써 방수성 및 방풍성이 저하되게 된다. That is, when the hot melt
또한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이 30 g/m2을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원단 기재와 접착시 핫멜트 접착제의 용융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제조되는 의류의 촉감과 유연성이 불량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hot melt
또한 상기 제 3 단계를 완료한 후에는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층(30)을 냉각하는 제 4 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제 4 단계는 냉각롤(400)을 이용하여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을 냉각함으로써 이후에 권취가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fter the third step is completed, a fourth step of cooling the hot melt
상기와 같이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핫멜트 접착제층(30)을 도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가 완료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hot melt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프린트층(10)을 추가하는 단계를 부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eat-adhesive
상기 프린트층(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필름층(50)에 무늬를 부여함으로써,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시 안감이 불필요하게 되며, 또한 아웃도어 의류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됨으로써 가격 경쟁력이 제고되는 효과를 갖는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프린트층(10)은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형성되며, 통상의 인쇄방법 즉, 솔벤트 인쇄, 라텍스 인쇄, 토너 인쇄, 전사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상기 프린트층(10)은 색상과 디자인을 나타내는 염료 외에 빛, 온도, 열, 물 등에 반응하는 다양한 염료들이 혼합되어 다양한 디자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린트층(10)은 날염용 잉크에 감온염료, 감광염료, 축광파우더, 자외선 차단제, 발수발유방수제, 광택제, 수성난연 페인트, 글래스비드, 광택제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의 사용에 의해 빛, 열, 자외선, 물 등의 외부 조건에 대해 특정 디자인 패턴이 보이거나 숨겨지게 되므로 디자인적인 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 완료된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의류제조용 원단 기재에 열접착함으로써 방수성 및 방풍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봉제 과정에서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방수성 및 방풍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아웃도어용 의류의 제조 단계를 축소함으로써, 최종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는 핫멜트 접착제층(30)의 형성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친환경적이며, 아웃도어 의류의 디자인 완성도를 높힐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heat-adhesiv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xperimental examples are possible therefrom.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
70 : 이형층
50 : 방수필름층
120 : 상부 스크린 롤
200 : 하부 롤
150 : 닥터 블레이드
30 : 핫멜트 접착제층
350 : 텐터
400 : 냉각롤 100: waterproof film structure that can be thermally bonded
70: release layer
50: waterproof film layer
120: upper screen roll
200: lower roll
150: Doctor Blade
30: hot melt adhesive layer
350: tenter
400: cooling roll
Claims (10)
5 μm ~ 300 μm의 두께를 갖고, 기공이 형성되지 않은 방수필름층(50);
상기 방수필름층(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형층(70); 및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도트 형상으로 전사되되, 상기 도트의 단위밀도는 30 ~ 220 개/cm2 이고, 선형밀도는 13 ~ 45 개/인치이며, 도포양은 7~30 g/m2 인 핫멜트 접착제층(30);을 포함하고,
내수압은 5,000 ~ 20,000 mmH2O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As a waterproof film structure 100 that can be attached to the fabric base material and heat-bonded to produce a waterproof fabric,
A waterproof film layer 50 having a thickness of 5 μm to 300 μm and no pores formed therein;
A release layer 70 provided below the waterproof film layer 50; And
The waterproof film layer 50 is transferred in a dot shape on top, the unit density of the dot is 30 ~ 220 / cm 2 , the linear density is 13 ~ 45 / inch, the coating amount is 7 ~ 30 g / m It comprises a; 2 hot melt adhesive layer 30,
The water pressure resistance is 5,000 to 20,000 mmH 2 O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resistant adhesive film structure 100 for manufacturing a waterproof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방수필름층(50)과 이형층(70)의 사이에 프린트층(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resistant adhesive is heat-sealed for manufacturing a waterproof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t layer 10 is provided between the waterproof film layer 50 and the release layer 7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melt adhesive layer 30 Film structure 100.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EVA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t melt adhesive layer 30 is a heat-resistant adhesive film structure 100 for manufacturing a waterproof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y one of polyamide-based resin, polyurethane-based resin, EVA resin, polyester-based resin.
상기 방수필름층(50)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proof film layer 50 is a heat-resistant adhesive film structure 100 for manufacturing a waterproof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y one of polyurethane, polyester, polyamide.
상기 원단 기재의 일측에 열접착되는 청구항 1 및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를 포함하는 방수성 원단.
Fabric base material; And
Waterproof fabric comprising a; heat-adhesive waterproof film structure (100) for manufacturing the waterproof fabric of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5 which is heat-bonded to one side of the fabric substrate.
상기 방수필름층(50)의 상부에 용융 점도가 20,000 ~ 50,000 cps인 핫멜트 접착제층을 도트 형상으로 전사하되, 상기 도트의 단위밀도는 30 ~ 220 개/cm2 이고, 선형밀도는 13 ~ 45 개/인치이며, 도포양은 7~30 g/m2 인 제 2 단계;
핫멜트 접착제층(30)을 열고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을 냉각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내수압은 5,000 ~ 20,000 mmH2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방법.
A first step of preparing a waterproof layer 70 having a release layer 70 formed below, a thickness of 5 μm to 300 μm, and pores not being formed;
Transfer the hot melt adhesive layer having a melt viscosity of 20,000 to 50,000 cps in the shape of a dot on top of the waterproof film layer 50, wherein the unit density of the dot is 30 to 220 pieces / cm 2 , and the linear density is 13 to 45 pieces. / Inch, the coating amount is the second step of 7 ~ 30 g / m 2 ;
A third step of opening and attaching the hot melt adhesive layer 30; And
Including the fourth step of cooling the hot melt adhesive layer 30,
The water pressure is 5,000 ~ 20,000 mmH 2 O The heat-adhesive waterproof film structure 100 for producing a waterproof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핫멜트 접착제층(3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방수필름층(50)과 이형층(70)의 사이에 프린트층(10)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열접착이 가능한 방수성 필름 구조(100);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Heat for manufacturing a waterproof fabric,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a print layer 10 between the waterproof film layer 50 and the release layer 70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melt adhesive layer 3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aterproof film structure capable of bonding (100).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7624A KR102064092B1 (en) | 2018-12-07 | 2018-12-07 | Heat adhesive water-proof film for outdoor clothing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CT/KR2019/017144 WO2020116976A1 (en) | 2018-12-07 | 2019-12-06 | Heat sealable waterproof film structure for outdoor cloth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7624A KR102064092B1 (en) | 2018-12-07 | 2018-12-07 | Heat adhesive water-proof film for outdoor clothing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4092B1 true KR102064092B1 (en) | 2020-02-11 |
Family
ID=6956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7624A Active KR102064092B1 (en) | 2018-12-07 | 2018-12-07 | Heat adhesive water-proof film for outdoor clothing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4092B1 (en) |
WO (1) | WO2020116976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3969B1 (en) * | 2020-12-25 | 2021-06-14 | 주식회사 실론 | Heat adhesive membrane structure having a moist permeable and water proof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1765B1 (en) * | 2021-08-24 | 2022-08-16 | (주)브리즈텍스 | Method of collectively preparing clothing having a moist permeable and water proof properties and clothing prepared thereb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40205A (en) * | 2011-06-20 | 2012-12-28 |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140082161A (en) * | 2012-12-24 | 2014-07-02 | 한일화섬 주식회사 | Permeable and waterproof coating fabric and prepairing process thereof |
KR101500681B1 (en) * | 2013-10-02 | 2015-03-09 | (주)득금티앤씨 | Manufacturing method of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fabric having improved durability and fabric produced therefrom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7584B1 (en) * | 2006-10-30 | 2008-01-23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layer breathable waterproof fabric using a porous film |
KR20120086149A (en) * | 2011-01-25 | 2012-08-02 | (주)성욱 | Moisture-permeable and water-proof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2018
- 2018-12-07 KR KR1020180157624A patent/KR102064092B1/en active Active
-
2019
- 2019-12-06 WO PCT/KR2019/017144 patent/WO202011697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40205A (en) * | 2011-06-20 | 2012-12-28 |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140082161A (en) * | 2012-12-24 | 2014-07-02 | 한일화섬 주식회사 | Permeable and waterproof coating fabric and prepairing process thereof |
KR101500681B1 (en) * | 2013-10-02 | 2015-03-09 | (주)득금티앤씨 | Manufacturing method of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fabric having improved durability and fabric produced therefro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3969B1 (en) * | 2020-12-25 | 2021-06-14 | 주식회사 실론 | Heat adhesive membrane structure having a moist permeable and water proof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16976A1 (en) | 2020-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15434B2 (en) | Laminated fabric | |
CN112585199B (en) | Waterproof moisture-permeable film capable of thermal bon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CN112585002B (en) | Multilayer composite film capable of thermal bonding for making outdoor clothing and method for making same | |
KR102064092B1 (en) | Heat adhesive water-proof film for outdoor clothing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563253B1 (en) | Patch for sportswea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KR102001671B1 (en) | Water-repellent fabric with excellent breathable waterproof function | |
KR102033860B1 (en) | Heat adhesive water-proof film having a double-dot-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263969B1 (en) | Heat adhesive membrane structure having a moist permeable and water proof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09262547A (en) | Laminate sheet with excellent feather falling out preventive property and windbreak performance, fabric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 |
KR102079467B1 (en) | Heat adhesive multi-layer film for outdoor clothing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00027339A (en) | Seam sealing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200069984A (en) | Heat adhesive membrane structure having a moist permeable and water proof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6229086B1 (en) | Cool laminate | |
KR101957115B1 (en) | Seam sealing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9028944B2 (en) | Stitched multi-layer fabric | |
KR101213229B1 (en) | Method for sticking sticker and sticker | |
JP2006181782A (en) | Adhesive laminated film for cloth and cloth using it | |
CN205767863U (en) | raincoat fabric | |
CN114401841A (en) | Metallized breathable composite tex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101855390B1 (en) | Patch for wea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102684200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water-proof fabric for down and product obtained therefrom | |
CN107650477A (en) | A kind of fireproof cloth material being made using fibrous material | |
KR200429367Y1 (en) | Waterproof swimming cap | |
CN115715604A (en) | Mass production method of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garment and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garment produced by same | |
JP5980584B2 (en) | Mark fabric material and mark form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5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