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143B1 -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갈이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갈이 판별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3143B1 KR102063143B1 KR1020190046842A KR20190046842A KR102063143B1 KR 102063143 B1 KR102063143 B1 KR 102063143B1 KR 1020190046842 A KR1020190046842 A KR 1020190046842A KR 20190046842 A KR20190046842 A KR 20190046842A KR 102063143 B1 KR102063143 B1 KR 1020631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splitting
- emg signal
- measured
- operat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06010006514 bruxism Diseas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2850 discrimin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747 volunta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2567 electromyograph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2051 biphas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622 sleep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2249 Sleep-Wake Transit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384 Alope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74 Malocclu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74048 Phthira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14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76 cleavag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70 col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963 hair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6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39 periodo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17 sc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47 swallo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7—Evaluating bruxis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 A61B5/0488—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실시예의 동작장치와 패치의 분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실시예의 동작장치와 패치의 분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동작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이갈이가 발생된 상태의 EMS 신호 그래프 실시예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실시예의 동작장치와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실시예의 동작장치와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동작장치와 거치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부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0(A)는 제 2날개부가 그립홈으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 도 10(B)는 제 2날개부가 그립홈으로 삽입되는 상태, 도 11은 제 2날개부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인터페이스 출력 실시예의 도면들.
200 : 패치 210 : 시트
220 : 부착층 230 : 수체결부
300 : 동작장치
310 : 케이스 311 : 기판
312 : 축전지
320 : 전달용 전극부 340 : 제어부
350 : 통신부 360 : 알람부
370 : 진동부 380 : 날개
381 : 제 1날개부 382 : 제 2날개부
400 : 사용자 단말기
500 : 거치대 510 : 안착부
520 : 충전돌기 530 : 그립홈
540 : 고정부 541 : 인입홈
542 ; 걸림부 543 : 탄성부
Claims (9)
- 이갈이 현상을 판별하여 이갈이 발생된 경우, 자극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동작장치(300)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100);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패치(200);
상기 패치(200)와 체결되어 상기 패치(200)가 부착된 위치 근육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신호를 분석하여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극신호를 상기 패치(200)로 부가하는 동작장치(300);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100)로부터 저장된 근전도 신호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근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이갈이 발생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100)로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기(400);
를 포함하면,
상기 패치(200)는,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시트(210); 전도성이 있는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시트(210)의 밑면에 도포되는 부착층(220); 및 상기 동작장치(300)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시트(210)에 짝수 개가 구비되는 수체결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장치(300)는,
내부가 빈 소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일정한 명령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기판(311)이 구비되는 케이스(310);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작장치(3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며, 충전단자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되는 축전지(312);
상기 기판(311)과 전선(W)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310)에 장착되되, 상기 수체결부(230)와 맞물리는 전극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체결부(230)로부터 상기 패치(200)가 부착된 위치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되, 측정된 근전도 신호에 따라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체결부(230)로 자극신호를 전달하는 전달용 전극부(320);
상기 전달용 전극부(320)로부터에서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상기 근전도 신호가 기준 신호를 초과하는 경우, 이갈이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자극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40); 및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340)에 의해 측정된 근전도 신호, 이갈이 현상 발생 여부 및 인가된 자극세기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통신부(350);
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용 전극부(320)는,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용 전극부(321)와 측정된 근전도 신호에 따라 전기자극을 전달하는 자극용 전극부(322)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310)는, 상기 측정용 전극부(321)가 구비되는 한 쌍의 제 1날개부(381) 및 상기 자극용 전극부(322)가 구비되는 한 쌍의 제 2날개부(382)를 포함하되, 4개의 날개(380) 끝단이 서로 연통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날개부(381)와 상기 제 2날개부(382)는 상기 케이스(310)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동작장치(300)는, 상기 케이스(310)에 구비된 충전단자를 통해 충전되거나, 거치대(5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되도록 하며,
상기 동작장치(300)가 거치대(500)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거치대(500)에 형성된 충전돌기(520)와 상기 측정용 전극부(321)가 맞물린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40)는,
수의적 수축시의 상기 패치(200)가 부착된 근육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기준 신호로 지정하며, 상기 기준 신호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근전도 신호의 값을 비교하여, 측정되는 근전도 신호 값이 상기 기준 신호의 값으로부터 40%를 초과하는 경우,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40)는,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0.1 ~ 7mA의 세기로 전기자극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500)는,
상기 동작장치(300)가 안착되도록 상기 동작장치(300)의 외형 둘레는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거치대(5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부(510); 및
상기 동작장치(300)가 상기 안착부(510)에 안착된 상태일 때 상기 전달용 전극부(320)의 암체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거치대(500)의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충전돌기(5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동작장치(300)의 내부에는 자성을 띄는 제 1자력체(M1)이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500)의 내부에는 자성을 띄는 제 2자력체(M2)가 구비되며,
상기 동작장치(300)가 상기 안착부(510)에 안착된 상태일 때, 상기 제 1자력체(M1)와 제 2자력체(M2)가 자력에 의해 체결되면서 상기 동작장치(30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1, 4, 5, 7 및 8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이갈이 판별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치아 또는 관자놀이 주변 근육의 피부에 패치(200)를 부착하고 동작장치(300)를 장착하는 준비단계;
패치(200)와 동작장치(300)가 부착된 이후, 수의적 수축시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여 기준신호로 저장하는 최초 근전도 신호 측정단계;
상기 최초 근전도 신호 측정단계 이후, 전달용 전극부(320)를 통해 실시간으로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과정으로, 측정된 근전도 신호는 제어부(340)로 전달되도록 하는 근전도 신호 측정단계;
상기 전달용 전극부(320)로부터 전달받은 근전도 신호가 상기 기준신호의 값으로부터 40%를 초과하는 경우, 이갈이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판별단계; 및
상기 판별단계에 의해 이갈이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40)가 상기 전달용 전극부(320)로 자극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자극신호 인가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판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3703 | 2018-12-31 | ||
KR20180173703 | 2018-12-3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3143B1 true KR102063143B1 (ko) | 2020-01-07 |
Family
ID=6915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6842A Active KR102063143B1 (ko) | 2018-12-31 | 2019-04-22 |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갈이 판별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3143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6255A (ko) * | 2020-07-08 | 2022-01-17 |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 수면 장애 모니터링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
KR20220043385A (ko) * | 2020-09-29 | 2022-04-05 | 김한림 | 개인 맞춤형 이갈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WO2022250793A1 (en) * | 2021-05-24 | 2022-12-01 | Crestmont Ventures, Inc. | Electromyographic bruxism training |
CN115813351A (zh) * | 2023-02-20 | 2023-03-21 | 休美(北京)微系统科技有限公司 | 磨牙动作检测方法及系统 |
CN116172520A (zh) * | 2023-03-13 | 2023-05-30 | 深圳市心流科技有限公司 | 基于睡眠状态的磨牙行为识别方法、设备和可读存储介质 |
KR20240176246A (ko) | 2023-06-15 | 2024-12-24 | 김한림 | 이갈이 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갈이 관리 시스템 |
KR102825907B1 (ko) * | 2024-08-29 | 2025-06-26 | 주식회사 미라클레어 | 이악물기의 최대근력수축 신호 측정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이갈이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521844A (ja) * | 2003-04-01 | 2006-09-28 | ジャディディ、ファラマルズ | 筋活動を監視する方法および装置 |
KR20070043124A (ko) * | 2005-10-20 | 2007-04-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생체용 전극 및 생체 신호 측정장치 |
KR101631500B1 (ko) | 2013-11-07 | 2016-06-17 | (주)오픈텔레콤 |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 분석장치 및 방법 |
JP2017515565A (ja) * | 2014-05-07 | 2017-06-15 |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 歯クレンチングおよび/または歯グラインディングの自動検出 |
KR20170083483A (ko) * | 2016-01-08 | 2017-07-18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실시간 수면장애 감시 장치 |
-
2019
- 2019-04-22 KR KR1020190046842A patent/KR10206314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521844A (ja) * | 2003-04-01 | 2006-09-28 | ジャディディ、ファラマルズ | 筋活動を監視する方法および装置 |
KR20070043124A (ko) * | 2005-10-20 | 2007-04-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생체용 전극 및 생체 신호 측정장치 |
KR101631500B1 (ko) | 2013-11-07 | 2016-06-17 | (주)오픈텔레콤 |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 분석장치 및 방법 |
JP2017515565A (ja) * | 2014-05-07 | 2017-06-15 |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 歯クレンチングおよび/または歯グラインディングの自動検出 |
KR20170083483A (ko) * | 2016-01-08 | 2017-07-18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실시간 수면장애 감시 장치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6255A (ko) * | 2020-07-08 | 2022-01-17 |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 수면 장애 모니터링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
KR102438001B1 (ko) * | 2020-07-08 | 2022-08-30 |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 수면 장애 모니터링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
KR20220043385A (ko) * | 2020-09-29 | 2022-04-05 | 김한림 | 개인 맞춤형 이갈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WO2022071626A1 (ko) * | 2020-09-29 | 2022-04-07 | 김한림 | 개인 맞춤형 이갈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KR102456128B1 (ko) * | 2020-09-29 | 2022-10-17 | 김한림 | 개인 맞춤형 이갈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WO2022250793A1 (en) * | 2021-05-24 | 2022-12-01 | Crestmont Ventures, Inc. | Electromyographic bruxism training |
CN115813351A (zh) * | 2023-02-20 | 2023-03-21 | 休美(北京)微系统科技有限公司 | 磨牙动作检测方法及系统 |
CN116172520A (zh) * | 2023-03-13 | 2023-05-30 | 深圳市心流科技有限公司 | 基于睡眠状态的磨牙行为识别方法、设备和可读存储介质 |
CN116172520B (zh) * | 2023-03-13 | 2024-08-09 | 深圳市心流科技有限公司 | 基于睡眠状态的磨牙行为识别方法、设备和可读存储介质 |
KR20240176246A (ko) | 2023-06-15 | 2024-12-24 | 김한림 | 이갈이 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갈이 관리 시스템 |
KR102825907B1 (ko) * | 2024-08-29 | 2025-06-26 | 주식회사 미라클레어 | 이악물기의 최대근력수축 신호 측정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이갈이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3143B1 (ko) |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갈이 판별방법 | |
US1173095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utton-free control of a wearabl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using interactive gestures and other means | |
US10130810B2 (en) |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with user gesture detector and electrode-skin contact detector, with transient motion detector for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same | |
US11324947B2 (en) |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valuating lead placement based on patient physiological responses | |
US10118041B2 (en) | Automatic lead functionality testing | |
JP7448221B2 (ja) | ブラキシズム管理用の装置及び方法 | |
US8755900B2 (en) | Pressure-sensitive external charger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 |
CA2872665C (en) | Electro-medical system for neuro-muscular paralysis assessment | |
US1144597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blood glucose level of a person | |
KR102456128B1 (ko) | 개인 맞춤형 이갈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
CN113195042A (zh) | 口腔肌肉训练 | |
CN107106834A (zh) | 用于神经刺激疗法的系统和方法 | |
KR200466616Y1 (ko) | 저주파 자극을 이용한 오심 및 구토 제어장치 | |
KR102295000B1 (ko) |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 | |
CN106492347B (zh) | 一种可快速充电的迷走神经刺激器电子处方配置系统 | |
US816071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leep apnea | |
KR102294983B1 (ko) |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 |
AU2013202343B2 (en) | Pressure-sensitive external charger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4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