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178B1 - Length adjustable CFRP strut bar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Length adjustable CFRP strut bar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2178B1 KR102062178B1 KR1020180144109A KR20180144109A KR102062178B1 KR 102062178 B1 KR102062178 B1 KR 102062178B1 KR 1020180144109 A KR1020180144109 A KR 1020180144109A KR 20180144109 A KR20180144109 A KR 20180144109A KR 102062178 B1 KR102062178 B1 KR 102062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evis
- strut bar
- carbon fiber
- fiber reinforced
-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60G7/003—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adjustable leng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2—Spacers or shi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 B60G2206/1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of adjustable leng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1—Fiber-reinforced plastics [FR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1—Joining by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용 스트럿바에 굴절 링크를 부가하여 길이 조절 가능함으로써 차륜의 마운트 사이 거리가 서로 다른 차량에 공용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경량이면서도 비틀림 강도가 우수한 스트럿바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 형상의 러그블록(100)과; 상기 러그블록(100)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돌기(211, 221)가 돌출 형성된 내측 클레비스(210) 및 외측 클레비스(220)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중공체로서, 양단에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의 조립돌기(21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메인바(300)와; 차륜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마운트에 고정되되,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의 조립돌기(221)가 길이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요홈(410)이 형성된 브래킷(400)을 포함하여, 스트럿바에 대한 호환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키며, 중량 저감과 함께 우수한 주행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gth-adjustable vehicl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in particular, by adding a refractive link to the vehicle strut bar can be adjusted in length can be commonly used in vehicles with different distances between the mount of the wheel, carbon fiber reinforc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viding a strut bar having a light weight and excellent torsional strength by being made of plastic, the bar-shaped lug block 100; An inner clevis 210 and an outer clevis 220 which are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ug block 100 and having assembly protrusions 211 and 221 protru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hollow body made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the main bar 300 having an assembly protrusion 211 of the inner clevis 210 inserted into and fixed at both ends thereof; Including a bracket 400 is fixed to the mount for fixing the wheel to the vehicle body, the groove 400 is formed in which the assembling protrusion 221 of the outer clevis 22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patibility with the strut bar and It is to increase product competitiveness, reduce weight, and achieve excellent driving safety.
Description
본 발명은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용 스트럿바에 굴절 링크를 부가하여 길이 조절 가능함으로써 차륜의 마운트 사이 거리가 서로 다른 차량에 공용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경량이면서도 비틀림 강도가 우수한 스트럿바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스트럿바에 대한 호환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키며, 중량 저감과 함께 우수한 주행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gth-adjustable vehicl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in particular, by adding a refractive link to the vehicle strut bar can be adjusted in length can be commonly used in vehicles with different distances between the mount of the wheel,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t bar having a light weight and excellent torsional strength by increasing the weight, and improving the compatibility and product competitiveness of the strut bar, and reducing weight and providing excellent driving safety.
일반적으로 차량용 스트럿바는 주행 중에 자동차의 직진성을 확보하고, 차량 회전 시 발생하는 좌우의 흔들림, 쏠림, 뒤틀림 등을 최소화 하여 주행 안정성을 높여 주는 보조장치 중 하나이다.In general, the strut bar for a vehicle is one of the auxiliary devices to secure the straightness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and to improve the driving stability by minimizing the left and right shake, tilt, distortion, etc.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vehicle.
이와 같은 차량용 스트럿바는 엔진룸 안쪽의 양쪽에 위치하는 차륜의 마운트(쇽업저버 장착위치의 최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보통이다.Such a vehicle strut bar is usually mounted to connect the mounts of the wheels (the top end of the shock absorber mounting position)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engine room.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일체형 스트럿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분리형 스트럿바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2의 (a)는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integrated strut bar,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detachable strut bar, Figure 2 (a)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2 (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종래의 차량용 스트럿바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바(10)의 양단에 브래킷(20)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이 두 개의 상기 브래킷(20)을 서로 이격되어 있는 차륜의 마운트 부위에 각각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vehicle strut bar, as shown in FIGS. 1 and 2,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종래의 차량용 스트럿바는 차량의 회전 시 발생하는 차체의 좌우 흔들림, 쏠림, 비틀림 등을 저감시켜 주행 안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conventional vehicle strut bar increases the driving stability by reducing the left and right shake, tilting, torsion, etc. of the vehicle body generated when the vehicle rotates.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차량용 스트럿바는 기본적으로 높은 강성을 보유하도록 금속소재로 제작되어 있어 자체 중량이 무겁고, 특히 도 1에 예시한 일체형의 스트럿바는 브래킷(20) 상호간의 거리가 해당 차량의 차체, 즉 차륜의 마운트 사이 거리에 맞게 제작되기 때문에 차륜의 마운트 사이 거리가 상이한 차체에는 장착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 호환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vehicle strut bar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o have a high rigidity basically, its own weight is heavy, in particular, the integral strut bar illustrated in FIG. 1 has a distance between the
게다가, 도 2에 예시한 분리형의 스트럿바는 메인바(10)와 브래킷(20)을 서로 연결하는 데에 볼트(31) 및 너트(32)와 같은 체결수단(30)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체결수단(30)에 의한 중량 증가와 함께 조립성이 떨어진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detachable strut bar illustrated in FIG. 2 uses fastening means 30 such a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럿바를 제공하여 차륜의 마운트 사이 거리가 서로 다른 차량에 공용으로 장착할 수 있어 스트럿바에 대한 호환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키며, 특히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경량이면서도 비틀림 강도가 우수한 스트럿바를 제공할 수 있어 중량 저감과 함께 우수한 주행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strut bar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can be commonly used in vehicles with different distances between the mount of the wheel increases the compatibility and product competitiveness for the strut bar, especially carbon fiber It is made of reinforced plastic to provide a strut bar with light weight and excellent torsional strength.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to reduce weight and provide excellent driving safety.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는, 바 형상의 러그블록과; 상기 러그블록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돌기가 돌출 형성된 내측 클레비스 및 외측 클레비스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중공체로서, 양단에 상기 내측 클레비스의 조립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메인바와; 차륜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마운트에 고정되되, 상기 외측 클레비스의 조립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요홈이 형성된 브래킷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Th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for adjustable l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 block lug block; An inner clevis and an outer clevi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ug block, the assembly protrusion protruding along a length direction; A hollow body made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the main bar being inserted into and fixed with the assembly protrusion of the inner clevis at both ends; It is achieved by including a bracket which is fixed to a mount for fixing the wheel to the vehicle body, the groove having a groove in which the assembly protrusion of the outer clevis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상기 내측 클레비스 및 상기 외측 클레비스의 조립돌기는 다각형 단면으로 성형되고, 상기 메인바 및 상기 브래킷 요홈의 내측면 형상은 상기 내측 클레비스 및 상기 외측 클레비스의 조립돌기에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assembly protrusion of the inner clevis and the outer clevis is formed into a polygonal cross-section, the inner surface shape of the main bar and the bracket groove is a polygon shape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protrusion of the inner clevis and the outer clevis. It is good to be molded into.
또한, 상기 러그블록과 상기 내측 클레비스 및 상기 외측 클레비스의 연결부위는 탄력적인 가요성을 지닌 중공체인 플렉시블 커버로 피복되는 것이 양호하다.In addition, the lug block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inner clevis and the outer clevis is preferably covered with a flexible cover which is a hollow body having elastic flexibility.
게다가, 상기 메인바와 상기 내측 클레비스는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접착에 의해 상호 결합하며, 상기 브래킷과 상기 외측 클레비스는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접착 또는 융착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In addition, the main bar and the inner clevis may be mutually bonded to each other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ans, and the bracket and the outer clevis may b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onding or fusion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ans.
특히, 상기 러그블록과 상기 내측 클레비스 및 상기 외측 클레비스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체결수단은, 한 쌍의 와셔와; 상기 러그블록과 상기 내측 클레비스 또는 상기 외측 클레비스를 사이에 둔 한 쌍의 상기 와셔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통핀과; 상기 삽통핀의 말단에 반경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스플릿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particular, the lug block and the inner clevis and the outer clevis i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ans;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pair of washers; A insertion pin inserted through the lug block and the pair of washers with the inner clevis or the outer clevis interposed therebetween; It may be desirable to include a split pin that is radially penetrated and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pi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럿바를 제공하여 차륜의 마운트 사이 거리가 서로 다른 차량에 공용으로 장착할 수 있어 스트럿바에 대한 호환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키며, 특히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경량이면서도 비틀림 강도가 우수한 스트럿바를 제공할 수 있어 중량 저감과 함께 우수한 주행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t bar that is adjustable in length,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mounts of the wheels can be commonly used in vehicles to increase the compatibility and product competitiveness of the strut bar, and in particular, it is made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and lightweight In addition, it is an invention that can provide a strut bar with excellent torsional strength and can achieve excellent driving safety with weight reduction.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일체형 스트럿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분리형 스트럿바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의 요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에 대한 길이 조절을 예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에 플렉시블 커버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integrated strut bar;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plit strut bar for a vehicl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for adjustable lengt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a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for adjustable length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length adjustment for the adjustable carbon vehicle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cover is applied to th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for adjustable length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의 요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for adjustable lengt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for adjustable length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에 대한 길이 조절을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에 플렉시블 커버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And, Figure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length adjustment for th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for adjustable length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cover is applied to th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for adjustable length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terms such as first and / or secon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only, for exampl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called a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omething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ta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herein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that is practiced,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럿바를 제공하여 차륜의 마운트 사이 거리가 서로 다른 차량에 공용으로 장착할 수 있어 스트럿바에 대한 호환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키며, 특히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경량이면서도 비틀림 강도가 우수한 스트럿바를 제공할 수 있어 중량 저감과 함께 우수한 주행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strut bar for adjustable length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t bar with adjustable length can be commonly used in vehicles with different distances between the mounts of the wheels to increase the compatibility and product competitiveness for the strut bar, in particular It is made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and can provide strut bar with light weight and excellent torsional strength, which can reduce weight and achieve excellent driving safety.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 형상의 러그블록(100)과; 상기 러그블록(100)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돌기(211, 221)가 돌출 형성된 내측 클레비스(210) 및 외측 클레비스(220)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중공체로서, 양단에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의 조립돌기(21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메인바(300)와; 차륜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마운트에 고정되되,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의 조립돌기(221)가 길이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요홈(410)이 형성된 브래킷(4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for adjustable length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bar-
즉, 본 발명은 크게 러그블록(100), 내측 클레비스(210) 및 외측 클레비스(220), 메인바(300), 그리고 브래킷(400)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러그블록(100)의 양단에 내측 클레비스(210) 및 외측 클레비스(22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굴절 링크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바의 전체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참고로, 이후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에 있어서 중앙 측을 내측이라 지칭하고, 양측을 외측이라 지칭할 것이다.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enter side of the length-adjustable vehicular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inner side, and both sides will be referred to as the outer side.
우선, 상기 러그블록(1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bar), 즉 막대 형상의 중실체로 이루어진 구성인 것이다.First, the
이와 같은 러그블록(100)의 양단에는 도 4와 같이 내측 클레비스(210) 및 외측 클레비스(220)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때, 상기 러그블록(100)과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 및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의 연결에 별도의 체결수단(600)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즉,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러그블록(100)과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 및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는 체결수단(600)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체결수단(600)은, 한 쌍의 와셔(610)와; 상기 러그블록(100)과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 또는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를 사이에 둔 한 쌍의 상기 와셔(61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통핀(620)과; 상기 삽통핀(620)의 말단에 반경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스플릿핀(630)을 포함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4, the
이를 위해, 상기 러그블록(100)의 양단에는 결합공(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합공(101)에 대응하여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 및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에도 상기 결합공(101)과 나란하게 정렬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To this end,
이에 따라, 결합공(101)을 관통하여 삽통핀(620)이 조립됨에 따라 상기 러그블록(100)에 대하여 양측에서 내측 클레비스(210) 및 외측 클레비스(22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삽통핀(620)의 말단에는 스플릿핀(630)을 결합하여 상기 삽통핀(6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as the
이때, 상기 삽통핀(620)은 한 쌍의 상기 와셔(610)를 함께 관통하게 되며, 한 쌍의 상기 와셔(610) 사이에 상기 러그블록(100)과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 또는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이에 따라, 상기 러그블록(100)을 기준으로 양측의 내측 클레비스(210)와 외측 클레비스(220)가 반복적으로 회동하더라도 마찰이나 마모의 발생을 최소화 하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이와 함께,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의 내측 말단, 즉 러그블록(100)이 연결된 반대편 말단에는 조립돌기(211)가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있어 이후에 설명할 메인바(300)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inner end of the
이때,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에 있어서 조립돌기(211) 이외 부분의 바깥쪽 둘레면은 상기 메인바(300)의 바깥쪽 둘레면과 대략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와 상기 메인바(300)의 이음매에 단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other than the assembling
그리고,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의 외측 말단, 즉 러그블록(100)이 연결된 반대편 말단에도 조립돌기(221)가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있어 이후에 설명할 브래킷(400)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outer protrusion of the
이때,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에 있어서 조립돌기(221) 이외 부분의 바깥쪽 둘레면은 상기 브래킷(400)에 있어서 요홈(410)이 형성된 바깥쪽 둘레면 보다 다소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other than the
여기에서,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와 연결되는 메인바(300)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즉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소재로 제작된 중공체로서, 이 메인바(300)의 양단에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의 조립돌기(21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Here, the
특히, 상기 메인바(300)를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을 제작함으로써 자체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In particular, the
여기에서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의 조립돌기(211)가 중공체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바(300)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와 연결되는 브래킷(400)은 차륜의 마운트 부위에 쇽업저버와 함께 일체로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브래킷(400)에는 다수의 체결공(401)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하나의 브래킷(400)에 3개의 체결공(4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였다.In addition, the
이 브래킷(400)의 내측에 형성된 요홈(410)에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의 조립돌기(22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여기에서, 상기 브래킷(400)에 형성되는 요홈(410)의 깊이는 가급적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의 조립돌기(221)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Here, the depth of the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는 중앙에 위치하는 메인바(300)를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여 양측 각각에 내측 클레비스(210), 러그블록(100), 외측 클레비스(220), 그리고 브래킷(40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ength-adjustable vehicl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 결과,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300)와 상기 브래킷(4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러그블록(100)이 대략 수평하게 위치하는 경우, 차륜의 마운트 상호간의 거리 W1이 가장 긴 차체에 대해서도 스트럿바를 장착할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5A, when the
게다가,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300)와 상기 브래킷(4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러그블록(100)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위치하는 경우, 차륜의 마운트 상호간의 거리 W2가 중간 정도인 차체에 대해서도 스트럿바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5, when the
특히,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300)와 상기 브래킷(4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러그블록(100)이 급한 경사를 이루어 위치하는 경우, 차륜의 마운트 상호간의 거리 W3이 비교적 짧은 차체에 대해서도 동일 스트럿바를 장착할 수도 있게 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c) of Figure 5, whe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는 하나의 스트럿바를 차륜의 마운트 상호간의 거리가 서로 다른 다양한 차체에도 옮겨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제품의 호환성 및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That is, th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for adjustable length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by moving one strut bar to various vehicle bodies having different distances between wheel mounts, thereby increasing the compati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
위에서는 오직 메인바(300)만을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재료로 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메인바(300) 이외에도 러그블록(100)을 비롯하여 내측 클레비스(210) 및 외측 클레비스(220)를 모두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재료로 제작하다면, 스트럿바 자체 중량은 현저하게 낮아지면서도 높은 강성을 보유하게 된다는 큰 이점을 가진다.Although only the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 및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의 조립돌기(211, 221)는 다각형 단면으로 성형되고, 상기 메인바(300) 및 상기 브래킷(400) 요홈(410)의 내측면 형상은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 및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의 조립돌기(211, 221)에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ing
즉,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 및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의 조립돌기(211, 221)와, 각각 이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바(300) 및 상기 브래킷(400) 요홈(410)의 내측면 형상을 다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비틀림 발생 시 구성 부품의 연결부위에서 비틀림 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이 발생치 않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다시 말해, 상기 메인바(300) 안쪽 둘레면은 상술한 내측 클레비스(210)의 조립돌기(211)의 직사각형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400)에 있어 요홈(410)은 상술한 외측 클레비스(220)의 조립돌기(221)의 직사각형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비틀림에 대한 높은 강성을 보유한다는 면에서 양호하다.In other word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그 결과, 차체에서 발생하는 비틀림을 양측의 브래킷(400)으로부터 외측 클레비스(220), 러그블록(100), 그리고 내측 클레비스(210)를 통해 메인바(300)까지 고르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회전 시 발생하는 흔들림, 쏠림, 그리고 비틀림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torsion generated in the vehicle body is evenly transmitted from the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러그블록(100)과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 및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의 연결부위는 탄력적인 가요성을 지닌 중공체인 플렉시블 커버(500)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를 들어, 상기 플렉시블 커버(500)는 다소 직경이 작은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 등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이를 확장시켜서 연결부위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메인바(300) 및 상기 러그블록(100)의 바깥쪽 둘레면을 탄력적으로 감싸 조이도록 위치하게 된다.For example, the
도 6에는 러그블록(100)과 내측 클레비스(210)의 연결부위에 플렉시블 커버(500)가 마련된 것을 예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커버(500)는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본적으로 외관미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6 illustrates that the
하지만, 이보다는 먼지 등 이물질이 연결부위에 끼이는 것을 예방할 뿐 아니라, 연결부위를 기밀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수분의 영향으로 녹이 스는 것도 방지하여 방청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However, rather than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being caught in the connection portion, it is possible to keep the connection portion in an airtight state to prevent rust due to the influence of moisture to have an anti-rust effect.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300)와 상기 내측 클레비스(210)는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접착에 의해 상호 결합하며, 상기 브래킷(400)과 상기 외측 클레비스(220)는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접착 또는 융착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 구성요소를 접착 또는 소재에 따라서 융착을 실시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이나, 혹은 레이저나 초음파 등으로 재료를 녹여서 융착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경량화에 일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usion or fusion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material,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by fusion by gluing by using an adhesive or by dissolving the material by laser or ultrasonic waves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ans, which contributes to weight reduction. It would be desirabl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럿바를 제공하여 차륜의 마운트 사이 거리가 서로 다른 차량에 공용으로 장착할 수 있어 스트럿바에 대한 호환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키며, 특히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경량이면서도 비틀림 강도가 우수한 스트럿바를 제공할 수 있어 중량 저감과 함께 우수한 주행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strut bar for adjustable length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strut bar that is adjustable in length can be commonly used in vehicles with different distances between the mount of the wheel to improve compatibility and product competitiveness for the strut bar It is an invention having an excellent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t bar having a light weight and excellent torsion strength by increasing the weight, and in particular, made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bove embodiment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rawings and embodiments.
100 : 러그블록 101 : 결합공
210 : 내측 클레비스 211, 221 : 조립돌기
220 : 외측 클레비스 300 : 메인바
400 : 브래킷 401 : 체결공
410 : 요홈 500 : 플렉시블 커버
600 : 체결수단 610 : 와셔
620 : 삽통핀 630 : 스플릿핀100: lug block 101: coupling hole
210:
220: outer clevis 300: main bar
400: bracket 401: fastening hole
410: groove 500: flexible cover
600: fastening means 610: washer
620: insertion pin 630: split pin
Claims (5)
상기 러그블록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돌기가 돌출 형성된 내측 클레비스 및 외측 클레비스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중공체로서, 양단에 상기 내측 클레비스의 조립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메인바와;
차륜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마운트에 고정되되, 상기 외측 클레비스의 조립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요홈이 형성된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내측 클레비스 및 상기 외측 클레비스의 조립돌기는 다각형 단면으로 성형되고, 상기 메인바 및 상기 브래킷 요홈의 내측면 형상은 상기 내측 클레비스 및 상기 외측 클레비스의 조립돌기에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A bar block lug block;
An inner clevis and an outer clevi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ug block, the assembly protrusion protruding along a length direction;
A hollow body made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the main bar being inserted into and fixed with the assembly protrusion of the inner clevis at both ends;
A bracket which is fixed to a mount for fixing the wheel to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assembly protrusion of the outer clevis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ssembling protrusions of the inner clevis and the outer clevis are formed into polygonal cross sections, and the inner side shapes of the main bar and the bracket recess are formed into polygonal shapes corresponding to the assembling protrusions of the inner clevis and the outer clevis. Length adjustable car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상기 체결수단은, 한 쌍의 와셔와;
상기 러그블록과 상기 내측 클레비스 또는 상기 외측 클레비스를 사이에 둔 한 쌍의 상기 와셔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통핀과;
상기 삽통핀의 말단에 반경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는 스플릿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lug block and the inner clevis and the outer clevis i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ans;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pair of washers;
A insertion pin inserted through the pair of washers with the lug block and the inner clevis or the outer clevis interposed therebetween;
Length-adjustable vehicl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t b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lit pin is inserted through the radially through the insertion pin in the radi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4109A KR102062178B1 (en) | 2018-11-21 | 2018-11-21 | Length adjustable CFRP strut bar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4109A KR102062178B1 (en) | 2018-11-21 | 2018-11-21 | Length adjustable CFRP strut bar for vehic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2178B1 true KR102062178B1 (en) | 2020-01-02 |
Family
ID=6915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4109A Active KR102062178B1 (en) | 2018-11-21 | 2018-11-21 | Length adjustable CFRP strut bar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217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2555A1 (en) * | 2022-11-11 | 2024-05-16 | Caterpillar Inc. | Rollover protection structur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8346Y1 (en) * | 2007-05-07 | 2008-02-11 | 정명진 | Car Strut Bar |
-
2018
- 2018-11-21 KR KR1020180144109A patent/KR1020621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8346Y1 (en) * | 2007-05-07 | 2008-02-11 | 정명진 | Car Strut Ba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2555A1 (en) * | 2022-11-11 | 2024-05-16 | Caterpillar Inc. | Rollover protection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82129B2 (en) | Vehicle stabilizer | |
JP2004519384A (en) | Axle swing arm | |
CN105849435B (en) | Damper | |
EP0735294B1 (en) | Elastic articulation, especially for an axle of a motor vehicle | |
JP3747783B2 (en) | Anti-vibration rubber bush assembly for rail shaft connection | |
FR2547374A1 (en) | TRANSMISSION SHAFT OF COMPOSITE MATERIAL WITH BEARING | |
JP2004505213A (en) | Elastic joints with varying radial stiffness | |
JP2001047825A (en) | Improved torque rod vertex assembly structure | |
JP6086729B2 (en) | Vehicle wheel suspension with lateral leaf spring | |
KR20220017237A (en) | Joining Structure for Suspension | |
KR102062178B1 (en) | Length adjustable CFRP strut bar for vehicles | |
KR101974916B1 (en) | Control arm constituting vehicle's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trol arm | |
JP3946265B2 (en) | Improvement of automotive rear axle with cross beam subjected to torsional deformation and almost vertical suspension spring | |
FR2750190A1 (en) | VIBRATION DAMPER, ESPECIALLY FOR MOTOR VEHICLES | |
KR101999277B1 (en) | Cfrp propeller shafts for vehicle | |
KR20240156601A (en) | Wheel suspension for vehicle wheels | |
KR200492941Y1 (en) | Stabilizer reinforcement device | |
KR100448785B1 (en) | trailing arm bush of vehicle | |
KR20110057667A (en) | Strut suspension of automobile | |
KR100629330B1 (en) | Coupled Torsion Beam | |
KR100774332B1 (en) | Car Coupled Torsion Beam Axle | |
KR20180068573A (en) | Insulator for suspension | |
KR102752238B1 (en) | Dynamic damper for a motor vehicle | |
KR102480437B1 (en) | An apparatus for reducing vibration suitable for the drive shaft of a three-wheeled vehicle | |
KR20240113181A (en) | Bushing for vehicle with coupling structure for different materi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