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890B1 - A food garbage basket - Google Patents
A food garbage bask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1890B1 KR102061890B1 KR1020180087661A KR20180087661A KR102061890B1 KR 102061890 B1 KR102061890 B1 KR 102061890B1 KR 1020180087661 A KR1020180087661 A KR 1020180087661A KR 20180087661 A KR20180087661 A KR 20180087661A KR 102061890 B1 KR102061890 B1 KR 1020618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food waste
- inner cylinder
- lid
- upper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7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90 leftov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별도로 배출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 용이하게 뚜껑을 열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은 외통에 모이도록 하여 별도로 배출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는 내통에 모아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에 음식물 쓰레기가 묻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에 분리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뚜껑과 내통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waste container for discharg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separately, and to easily open the lid when discharging the food waste to easily discharge the food waste and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can be discharged separately by collecting i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food waste is collected in the inner container so that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by the discharge means. It is effective to discharge the gas.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o easily separate the lid and the inner cylinder by configuring the separating means on the li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별도로 배출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 용이하게 뚜껑을 열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bin, and more specifically, to discharge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separately, and to easily open the lid when discharging the food waste food waste to easily discharge food waste and water It's about a trash can.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주방은 항상 위생적이고 청결해야하는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음식물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쉽게 부페가 되면서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 될 뿐만 아니라 각종 해충이 발생되어 위생적이지 못한 것이다.In general, even though kitchens that cook food are always places that should be hygienic and clean, most food wastes contain large amounts of water, which easily become bloated and cause odors and various pests. .
따라서 음식물쓰레기통을 사용하여 음식재료의 잔해나 먹다 남은 음식이나 오래되어 상한 음식 등을 한 곳에 모아 한번에 버릴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used to collect food debris, leftovers or old and spoiled foods in one place by using food waste bins.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외통과 바닥에 음식물찌꺼기에 함유된 수분이 빠지도록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손잡이가 회전가능한 손잡이가 형성된 내통이 외통에 내입된 상태에서 상단으로 뚜껑이 결합 된 구조로 되어있다.These food wastes have a drainage hole formed to drain moisture contained in food waste on the outer cylinder and the bottom, and a lid is coupled to the top in a state in which an inner cylinder formed with a rotatable handle is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통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는 바, 특허문헌 1의 '음식물 쓰레기 수분제거용 쓰레기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내부에 바닥으로 배수공(2c)이 형성된 내통(2)을 투입하고 외통(1)입구에 뚜껑(4)을 덮는 음식물 쓰레기수분제거용 쓰레기통에 있어서 외통(1)의 상단부 외주면(1b)에 양측으로 고정돌기(1c)를 형성하고 뚜껑(4)의 외주면양측에 고정고리(4b)를 부착하여 그 하단에 구멍(4c)를 뚫어서 외통(1)의 고정돌기(3c)에 고정고리를 결합할 수 있게하며 내통(2)의 상단부 환상결합부(2b)외주에 ㄱ자형 걸고리(2d)를 형성하고 뚜껑내측에 요입홈(4e)을 형성하여 압착판(3)의 고정돌기(3a)를 끼워 보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od waste bins as described above have been proposed in various ways, patent document 1 'food waste water removal trash bin' is an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통은 외통을 덮는 뚜껑에 고정고리를 부착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뚜껑을 열고 닫고 하는데 불편함이 있고, 내통을 외통에서 분리한 후 내통의 내부에 위치된 압착판을 다시 꺼낼 시 음식물이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ood waste bins as described above are inconvenient to open and close the lid by attaching a fixing ring to the lid covering the outer cylinder, there is inconvenience in opening and closing the lid, after removing the inner cylinder from the outer cylinder and take out the pressing plate located inside the inner container again There was a problem that occurs when the user's hand is asked.
또한, 특허문헌 2의 '음식물 쓰레기통'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0)과 본체(100)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하면에 배출홈(216, 226)이 형성되는 걸름부재(200)가 구비되고, 상기 걸름부재(200)는 포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걸름부재(210)와 제2걸름부재(220)의 중심부를 힌지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300)에는 상부로 관통되는 연결브라켓(315)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브라켓(315)에는 메인 손잡이(310)의 하단이 힌지결합되되, 상기 메인 손잡이(310)의 하부는 캠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300)의 측면에는 밀폐부재(3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뚜껑(300)의 내부는 상기 연결브라켓(315)에 의해 작동하는 에어캡 구조로 이루어지져 상기 밀폐부재(330)를 통하여 본체(100)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od waste bin' of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통은 걸림부재가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제1걸림부재와 제2걸림부재의 결쳐진 부분에서 음식물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1걸림부재와 제2걸림부재가 회동되어 제1걸림부재와 제2걸림부재가 겹쳐진 부분이 벌어져 벌어진 부분을 통해 음식물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food waste bin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food is discharged from the portion of the first catching member and the second catching member to which the catching member is hinged. That is, the first catching member and the second catching member is rot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od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 portion where the first catching member and the second catching member overlaps.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별도로 배출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 용이하게 뚜껑을 열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so as to discharge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separately, and to easily open the lid when discharging the food waste to easily discharge the food waste and water The problem is to provide a new type of food waste bin.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은 외통에 모이도록 하여 별도로 배출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는 내통에 모아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에 음식물 쓰레기가 묻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particular, when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can be collected separately i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food waste can be collected in the inner container and discharged by the discharge means so that the user can remove the food waste without getting food waste on his hands. The challenge is to provide a new type of food waste bin that allows it to be discharged.
또한, 뚜껑에 분리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뚜껑과 내통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new type of food waste bin to easily separate the lid and the inner container by configuring the separating means on the li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21)을 갖는 외통(20)과; 상기 외통(20)의 내부공간(21)에 위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는 일부 개방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내부공간(31)을 가지며, 하면이 상기 외통(20)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내통(30)과; 상기 내통(3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부에 손잡이(41)가 형성된 뚜껑(40)과; 상기 뚜껑(40)의 손잡이(41) 상에 설치되고, 상기 내통(30)으로부터 상기 뚜껑(40)이 탈착되도록 하기 위한 분리수단(50)과; 상기 내통(30)에 설치되고, 상기 내통(30)의 일부 개방된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31)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배출판(61)을 갖는 배출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portion is open, the outer cylinder having a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에서 상기 뚜껑(40)은 중심측에 형성되는 파지홈(42)과; 상기 파지홈(42)을 가로질러 내부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411)을 갖는 손잡이(41)와; 상기 손잡이(41)의 중심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1)과 연통되는 연통공(431)을 갖는 돌출구(43)와; 상기 돌출구(43)의 연통공(431)의 중심측에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홀(441)을 갖는 격벽(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ood waste 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에서 상기 분리수단(50)은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고, 상기 돌출구(43)의 연통공(43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손잡이(41)의 관통공(411) 상에서 이동되어 끝단이 상기 내통(30)의 고정홈(32)에 삽입되는 누름구(51)와; 상기 격벽(44)의 관통홀(441) 상에 위치되고, 상기 누름구(51)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food waste 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에서 상기 배출수단(60)은 상기 내통(30)의 일부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내통(3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수홀(611)을 갖는 배출판(61)과; 상부가 상기 뚜껑(40)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62)과; 상기 내통(3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구(33)의 관통홀(331) 상에 위치되고, 상기 버튼(62)의 동작으로 상하 이동하는 이동바(63)와; 상기 이동바(63)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끝단이 상기 배출판(61)의 타측을 지지하는 걸림구(64)와; 일측 끝단이 상기 이동바(63)와 맞닿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64) 상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64)의 복귀를 위한 탄성부재(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ood waste 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means 60 is formed to cover a part of the lower opening o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에서 상기 이동바(63)는 끝단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부(631)를 갖고, 상기 경사부(631)의 끝단에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이 절개된 절개단(632)을 가지며, 상기 걸림구(64)는 이동바(63)의 경사부(631)와 대응되도록 경사단(641)을 갖고, 상기 배출판(61)의 타측을 지지하는 받침단(642)을 가지며, 상기 경사단(641)과 상기 받침단(64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절개단(632)의 절개된 부분에 위치되는 결합봉(643)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65)는 상기 걸림구(64)의 결합봉(643)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ood waste 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에서 상기 걸림구(64)의 받침단(642)은 상부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하부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food waste 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별도로 배출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 용이하게 뚜껑을 열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ood waste 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discharg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easily open the lid when discharging the food wast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food waste and water. .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은 외통에 모이도록 하여 별도로 배출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는 내통에 모아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에 음식물 쓰레기가 묻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can be collected separately i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food waste can be collected in the inner container so that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by the discharge means.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ischarge.
또한, 뚜껑에 분리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뚜껑과 내통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o easily separate the lid and the inner cylinder by configuring the separating means on the lid.
도 1 및 도 2b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에서 분리수단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에서 배출수단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and 2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wast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waste 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3;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parating means in the food waste 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ischarge means in the food waste 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FIGS. 3 to 8. Meanwhile,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elements not directly related to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only the technical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riefly shown or Explained.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10)은 외통(20), 내통(30), 뚜껑(40), 분리수단(50) 및 배출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to 8, the
외통(2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21)을 가지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개방된 상부의 상측으로 손잡이(22)가 형성된다.The
이와 같은 외통(20)은 내부공간(21)에 내통(30)이 위치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내통(30)의 내부공간(31)에 수용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내부공간(21)에 수용된다.The
내통(30)은 외통(20)의 내부공간(21)에 위치되고,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일부 개방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내부공간(31)을 갖는다. 이때, 내통(30)은 외통(20)의 내부공간(21)에 위치될 시 하면은 외통(2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이는 배출수단(60)의 배출판(61)의 배수홀(631)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배수되고, 배수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외통(20)의 내부공간(21) 하부에 모이기 때문에 외통(20)의 하면으로부터 내통(30)의 하면은 이격되도록 위치되도록 한다.The
한편, 내통(30)은 상측에 분리수단(50)의 누름구(51)가 삽입되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홈(32)이 형성되고, 하측의 일측에 배출수단(60)의 걸림구(64)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관통홀(34)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통(30)은 관통홀(34)의 상측에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331)이 형성된 관통구(33)가 형성되어 진다.On the other hand, the
뚜껑(40)은 내통(30)의 개방된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중심측에 형성되는 파지홈(42)과, 파지홈(42)을 가로질러 내부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411)을 갖는 손잡이(41)와, 손잡이(41)의 중심측 상부에 형성되고, 관통공(411)과 연통되는 연통공(431)을 갖는 돌출구(43)와, 돌출구(43)의 연통공(431)의 중심측에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홀(441)을 갖는 격벽(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파지홈(42)의 둘레에 상부와 하면을 관통하도록 홀(45)이 형성되고, 이 홀(45)에 배출수단(60)의 버튼(62)이 삽입되도록 한다.The
분리수단(50)은 뚜껑(40)의 손잡이(41) 상에 설치되고, 내통(30)으로부터 뚜껑(40)이 탈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고, 뚜껑(40)에 형성된 돌출구(43)의 연통공(43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손잡이(41)의 관통공(411) 상에서 이동되어 끝단이 내통(30)의 고정홈(32)에 삽입되는 누름구(51)와, 격벽(44)의 관통홀(441) 상에 위치되고, 누름구(51)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탄성부재(52)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eparation means 50 is installed on the
분리수단(50)은 내통(30)의 개방된 상부에 위치되고, 분리수단(50)의 누름구(51) 끝단은 내통(30)의 고정홈(32)에 삽입되어 내통(30)의 상부를 덮는다. 내통(30)의 상부를 덮은 뚜껑(40)을 분리시에는 누름구(51)의 양측을 누르면 누름구(51)는 내통(30)의 고정홈(32)으로부터 이탈되어 뚜껑(40)은 내통(30)으로부터 분리되고, 분리수단(50)의 누름구(51)는 탄성부재(52)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Separation means 50 is located in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내통(30)의 상부를 덮은 뚜껑(40)은 분리수단(50)의 간단한 동작으로 내통(3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배출수단(60)은 내통(30)에 설치되고, 내통(30)의 일부 개방된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공간(31)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통(30)의 일부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일측이 내통(3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수홀(611)을 갖는 배출판(61)과, 상부가 뚜껑(40)의 홀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62)과, 내통(3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구(33)의 관통홀(331) 상에 위치되고, 버튼(62)의 동작으로 상하 이동하는 이동바(63)와, 이동바(63)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끝단이 배출판(61)의 타측을 지지하는 걸림구(64)와, 일측 끝단이 이동바(63)와 맞닿게 형성되고, 걸림구(64) 상에 설치되어 걸림구(64)의 복귀를 위한 탄성부재(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탄성부재(65)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판(61)은 일측이 내통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걸림구(64)에 걸리도록 형성되되, 배출판(61)의 중심측은 양측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 및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모여 배수홀(611)을 통해 배수되도록 한다. 또한, 배출판(61)의 타측에는 후술하는 걸림구(64)의 받침단(642)에 걸리도록 걸림턱(612)이 형성되어 진다.
이동바(63)는 끝단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부(631)를 갖고, 경사부(631)의 끝단에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이 절개된 절개단(632)을 갖는다.The moving
걸림구(64)는 이동바(63)의 경사부(631)와 대응되도록 경사단(641)을 갖고, 배출판(61)의 타측을 지지하는 받침단(642)을 가지며, 경사단(641)과 받침단(642) 사이에 위치되고, 절개단(632)의 절개된 부분에 위치되는 결합봉(6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걸림구(64)의 받침단(642)은 상부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하부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고, 결합봉(643) 상에 탄성부재(65)가 형성되어 진다.The
상술한 걸림구(64)의 받침단(642)의 상부를 평평하게 형성하는 것은 배출판(61)이 받침단(642)에 안정적으로 안치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하부는 배출판(61)이 회동시 걸림이 없이 자연스럽게 받침단(642)에 안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lattening of the upper end of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출수단(60)은 내통(30)의 하부에서 배출판(61)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통(30)의 내부공간(31)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는 버튼(62)의 누름동작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The discharge means 6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10)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별도로 배출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 용이하게 뚜껑(40)을 열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은 외통(20)에 모이도록 하여 별도로 배출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는 내통(30)에 모아 배출수단(60)에 의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에 음식물 쓰레기가 묻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when discharging the food waste,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can be discharged separately by collecting in the
또한, 뚜껑(40)에 분리수단(50)을 구성함으로써 뚜껑(40)과 내통(3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separating means 50 i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10)에 수용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음식물 쓰레기는 분리수단(50)의 누름으로 인해 뚜껑(40)이 분리되고, 내통(30)에 수용되어 진다. 내통(3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수단(60)의 배출판(61)에 형성된 배수홀(611)을 통해 수분은 배수되어 외통(20)의 내부공간(21) 하부에 수용되어 진다. 즉,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은 외통(20)에 수용되고, 음식물 쓰레기는 내통(30)의 내부공간(31)에 수용되어 지는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에는 내통(30)의 상부를 덮는 뚜껑(40)의 손잡이(41)를 잡고 들면 내통(30)은 외통(20)으로부터 분리되고, 외통(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된 수분은 별도로 버리게 된다. 그리고, 내통(30)의 내부공간(31)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수단(60)의 동작으로 내통(30)의 내부공간(31)으로부터 배출되어 진다. 즉, 배출수단(60)의 버튼(62)의 누름동작으로 이동바(63)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바(63)의 경사부(631)와 대응되어 맞닿도록 위치된 걸림구(64)의 경사단(641)에 의해 걸림구(64)는 외측으로 이동하고, 걸림구(64)의 이동으로 배출판(61)은 걸림구(64)의 받침단(642)으로부터 이탈되어 회동하게 된다. 배출판(61)의 회동으로 내통(30)의 내부공간(31)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된다. 이후, 결합봉(643) 상에 형성된 탄성부재(65)에 의해 걸림구(64)는 원상태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이동바(63) 및 버튼(62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Looking at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for example,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is possible.
10 : 음식물 쓰레기통
20 : 외통 21 : 내부공간
30 : 내통 31 : 내부공간
32 : 고정홈 33 : 관통구
331 : 관통홀 40 : 뚜껑
41 : 손잡이 411 : 관통공
42 : 파지홈 43 : 돌출구
431 : 연통공 44 : 격벽
50 : 분리수단 51 : 누름구
52 : 탄성부재 60 : 배출수단
61 : 배출판 611 : 배수홀
62 : 버튼 63 : 이동바
631 : 경사부 632 : 절개단
64 : 걸림구 641 : 경사단
642 : 받침단 643 : 결합봉
65 : 탄성부재10: food waste bin
20: outer cylinder 21: inner space
30: inner cylinder 31: inner space
32: fixing groove 33: through hole
331: through hole 40: lid
41: handle 411: through hole
42: grip groove 43: protrusion
431: communication hole 44: bulkhead
50: separating means 51: presser
52: elastic member 60: discharge means
61
62: button 63: moving bar
631: inclined portion 632: incision
64: hanger 641: inclined end
642: base 643: coupling rod
65: elastic member
Claims (6)
상기 외통(20)의 내부공간(21)에 위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는 일부 개방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내부공간(31)을 가지며, 하면이 상기 외통(20)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내통(30)과;
상기 내통(3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부에 손잡이(41)가 형성된 뚜껑(40)과;
상기 뚜껑(40)의 손잡이(41) 상에 설치되고, 상기 내통(30)으로부터 상기 뚜껑(40)이 탈착되도록 하기 위한 분리수단(50)과;
상기 내통(30)의 일부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내통(3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수홀(611)을 갖는 배출판(61)과, 상부가 상기 뚜껑(40)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62)과, 상기 내통(3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구(33)의 관통홀(331) 상에 위치되고, 상기 버튼(62)의 동작으로 상하 이동하는 이동바(63)와, 상기 이동바(63)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끝단이 상기 배출판(61)의 타측을 지지하는 걸림구(64)와, 일측 끝단이 상기 이동바(63)와 맞닿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64) 상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64)의 복귀를 위한 탄성부재(65)를 포함하여 상기 내통(30)의 내부공간(31)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60)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바(63)는 끝단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부(631)를 갖고, 상기 경사부(631)의 끝단에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이 절개된 절개단(632)을 가지며, 상기 걸림구(64)는 이동바(63)의 경사부(631)와 대응되도록 경사단(641)을 갖고, 상기 배출판(61)의 타측을 지지하는 받침단(642)을 가지며, 상기 경사단(641)과 상기 받침단(64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절개단(632)의 절개된 부분에 위치되는 결합봉(643)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65)는 상기 걸림구(64)의 결합봉(643)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An outer cylinder 20 having an upper portion and having an inner space 21 therein;
Located in the inner space 21 of the outer cylinder 20, the upper portion is open, the lower portion is partially open, has an inner space 31 for receiving food waste, the low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20 An inner barrel 30 positioned to be located;
A lid 40 formed to cover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inner cylinder 30 and having a handle 41 formed thereon;
A separating means (50) installed on the handle (41) of the lid (40) to allow the lid (40) to be detached from the inner cylinder (30);
Is formed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ylinder 30 is open,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ylinder 30, the discharge plate 61 having a drain hole 61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Protrudes through the 40, the button 62 is pressed by the user, and is located on the through hole 331 of the through hole 33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ner cylinder 30, the button ( A moving bar 63 vertically moving at the end of the moving bar 63 by a movement of the moving bar 63, a catching hole 64 having an e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plate 61, One end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moving bar 63, is installed on the locking hole 64,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65 for the return of the locking hole 64 the inside of the inner cylinder 30 A discharge means (60) for discharging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space (31);
The moving bar 63 has an inclined portion 631 so that the end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is formed in a 'b' shape at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631, and the center side is cut out ( 632, the latch 64 has an inclined end 641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clined portion 631 of the moving bar 63, and a supporting end 642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plate 61. It has a coupling rod (643) located between the inclined end 641 and the support end (642), located in the cut portion of the cut end 632, The elastic member 65 is Food waste bin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engaging bar (643) of the locking mechanism (64).
상기 뚜껑(40)은 중심측에 형성되는 파지홈(42)과;
상기 파지홈(42)을 가로질러 내부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411)을 갖는 손잡이(41)와;
상기 손잡이(41)의 중심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1)과 연통되는 연통공(431)을 갖는 돌출구(43)와;
상기 돌출구(43)의 연통공(431)의 중심측에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홀(441)을 갖는 격벽(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The method of claim 1,
The lid 40 is a gripping groove 42 formed on the center side;
A handle (41) having a through hole (411) penetrat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cross the gripping groove (42);
A protrusion 43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enter side of the handle 41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431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411;
Food waste bins are formed on the center side of the communication hole (431) of the protruding hole (43), the partition having a through hole (441)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상기 분리수단(50)은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고, 상기 돌출구(43)의 연통공(43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손잡이(41)의 관통공(411) 상에서 이동되어 끝단이 상기 내통(30)의 고정홈(32)에 삽입되는 누름구(51)와;
상기 격벽(44)의 관통홀(441) 상에 위치되고, 상기 누름구(51)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The method of claim 2,
The separating means 50 is formed by the 'b' shape is pressed by the user,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hole 431 of the protrusion 43, on the through hole 411 of the handle 41 A pressing hole 51 which is moved and the e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2 of the inner cylinder 30;
Located on the through hole (441) of the partition 44, the food waste bi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member (52)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hole (51).
상기 걸림구(64)의 받침단(642)은 상부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하부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end 642 of the locking port 64 is a food waste bi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is formed flat, the lower portion is roun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7661A KR102061890B1 (en) | 2018-07-27 | 2018-07-27 | A food garbage bask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7661A KR102061890B1 (en) | 2018-07-27 | 2018-07-27 | A food garbage bask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1890B1 true KR102061890B1 (en) | 2020-01-02 |
Family
ID=6915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7661A Active KR102061890B1 (en) | 2018-07-27 | 2018-07-27 | A food garbage bask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189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94653A (en) * | 2022-01-11 | 2022-03-18 | 广东百胜图科技有限公司 | garbage can |
CN115196216A (en) * | 2022-07-13 | 2022-10-18 | 广东意可可科技有限公司 | desktop trash can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7069B1 (en) | 1994-01-20 | 1999-10-15 | 아키토시 나가타 | Box pallet |
KR200261828Y1 (en) * | 2001-10-26 | 2002-01-24 | 엄재운 | a cap for airtight instrument |
KR200262596Y1 (en) | 2001-08-27 | 2002-03-18 | 이봉주 | food trash basket for separable polluted water |
KR200318052Y1 (en) | 2003-04-11 | 2003-06-28 | 한기봉 | Apparatus for dehydrating garbage |
KR200328814Y1 (en) * | 2003-07-16 | 2003-10-01 | 이인재 | Food garbage vessel |
KR100637878B1 (en) * | 2004-12-03 | 2006-10-23 | 김진만 | Floor retractable container |
KR100685446B1 (en) | 2005-07-21 | 2007-02-26 | 조무방 | Food waste bin |
KR100990751B1 (en) | 2008-05-29 | 2010-10-29 | 김광선 | Food waste dryer |
CN201634154U (en) | 2010-03-23 | 2010-11-17 | 杨静山 | Family Food Waste Resource Bucket |
KR100998199B1 (en) | 2008-01-23 | 2010-12-03 | 이병인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KR101378534B1 (en) * | 2012-10-18 | 2014-03-27 | 주식회사 제이앤씨글로벌 | Food waste basket |
-
2018
- 2018-07-27 KR KR1020180087661A patent/KR10206189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7069B1 (en) | 1994-01-20 | 1999-10-15 | 아키토시 나가타 | Box pallet |
KR200262596Y1 (en) | 2001-08-27 | 2002-03-18 | 이봉주 | food trash basket for separable polluted water |
KR200261828Y1 (en) * | 2001-10-26 | 2002-01-24 | 엄재운 | a cap for airtight instrument |
KR200318052Y1 (en) | 2003-04-11 | 2003-06-28 | 한기봉 | Apparatus for dehydrating garbage |
KR200328814Y1 (en) * | 2003-07-16 | 2003-10-01 | 이인재 | Food garbage vessel |
KR100637878B1 (en) * | 2004-12-03 | 2006-10-23 | 김진만 | Floor retractable container |
KR100685446B1 (en) | 2005-07-21 | 2007-02-26 | 조무방 | Food waste bin |
KR100998199B1 (en) | 2008-01-23 | 2010-12-03 | 이병인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KR100990751B1 (en) | 2008-05-29 | 2010-10-29 | 김광선 | Food waste dryer |
CN201634154U (en) | 2010-03-23 | 2010-11-17 | 杨静山 | Family Food Waste Resource Bucket |
KR101378534B1 (en) * | 2012-10-18 | 2014-03-27 | 주식회사 제이앤씨글로벌 | Food waste baske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94653A (en) * | 2022-01-11 | 2022-03-18 | 广东百胜图科技有限公司 | garbage can |
CN115196216A (en) * | 2022-07-13 | 2022-10-18 | 广东意可可科技有限公司 | desktop trash ca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9200B1 (en) | The garbage can | |
US5398374A (en) | Handle assembly for trash bin | |
KR102061890B1 (en) | A food garbage basket | |
KR100885858B1 (en) | Lid lock type food waste bin with pressurizing means | |
KR101468721B1 (en) | Filter for sink | |
KR102018024B1 (en) | Waste can dolly | |
KR101369625B1 (en) | Filter having bottom emission door for sink drainage hole | |
KR100637878B1 (en) | Floor retractable container | |
KR101369553B1 (en) | Dividing and opening-shutting filter for sink drainage hole | |
KR200351204Y1 (en) | A dustbin for eating refuse | |
KR101048102B1 (en) | Food waste bin | |
KR101873849B1 (en) | Food waste recycling container | |
KR102428481B1 (en) | leftovers for food waste | |
KR101977470B1 (en) | Mesh filter for sink | |
KR20120002919U (en) | Food Waste Separation Container | |
KR200386616Y1 (en) | Food trash can | |
KR200481812Y1 (en) | Sink bowl with food seperation garbage basket | |
KR102005873B1 (en) | Filter for sink drainage hole | |
KR200290904Y1 (en) | Food waste collecting case | |
JPS6129389Y2 (en) | ||
KR200465720Y1 (en) | food waste basket | |
CN210365404U (en) | Manual double-flip garbage can | |
JPH092604A (en) | Water drain set for garbage | |
KR101955400B1 (en) | Wastebasket | |
KR200367967Y1 (en) | food garbage ca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