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245B1 - Hand of industrial robot and industrial robot - Google Patents
Hand of industrial robot and industrial rob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0245B1 KR102060245B1 KR1020180058970A KR20180058970A KR102060245B1 KR 102060245 B1 KR102060245 B1 KR 102060245B1 KR 1020180058970 A KR1020180058970 A KR 1020180058970A KR 20180058970 A KR20180058970 A KR 20180058970A KR 102060245 B1 KR102060245 B1 KR 1020602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w
- fork
- forks
- pitch
- nut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4—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ork, comb or plate shaped means for engaging the lower surface on a object to be transpor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5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6—Rotary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복수의 포크의 피치의 변경량이 비교적 커도, 포크 피치 변경 기구의 구동원인 모터의 비용을 저감시키면서, 복수의 포크의 피치를 원활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산업용 로봇의 핸드를 제공한다.
이 핸드는, 포크의 긴 변 방향과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Y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포크의 피치를 변경하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 27)와, 포크를 Y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50)를 구비하고 있다.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 27)는, 모터(29, 34)와, 외주면에 사다리꼴 나사 또는 각나사가 형성됨과 함께 모터(29, 34)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나사 부재(30, 35)와, 나사 부재(30, 35)에 걸림 결합하는 너트 부재(32, 37)와, 포크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부재(31, 36)를 구비하고 있다. 너트 부재(32, 37)는, Y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슬라이드 부재(31, 36)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Even if the amount of change of the pitch of a plurality of forks is relatively large, an industrial robot hand capable of smoothly changing the pitch of a plurality of forks can be provided while reducing the cost of a motor which is a driving source of the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
This hand includes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s 26 and 27 for changing the pitches of a plurality of forks in the Y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fork and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mechanism 50 for guiding the fork in the Y direction. ). The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s 26 and 27 include the motors 29 and 34, screw members 30 and 35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s of the motors 29 and 34, while trapezoidal screws or angle screw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Nut members 32 and 37 engaged with the screw members 30 and 35, and slide members 31 and 36 fixed to the fork are provided. The nut members 32 and 37 are held by the slide members 31 and 36 so that movement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 Y direction is attai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송 대상물을 반송하는 산업용 로봇의 핸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핸드를 구비하는 산업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of an industrial robot for conveying an object to be conveyed. Moreover,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industrial robot provided with this hand.
종래,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을 반송하는 산업용 로봇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산업용 로봇의 핸드는,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2개의 포크와, 포크의 긴 변 방향과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2개의 포크의 피치를 변경하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포크 피치 변경 기구는, 구동원인 모터와,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나사 부재와, 2개의 포크 중 한쪽의 포크에 고정되는 너트 부재와, 다른 쪽의 포크에 고정되는 너트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Conventionally, the industrial robot which conveys the glass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s is known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The hand of the industrial robot of
본원 발명자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를 갖는 핸드의 비용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포크 피치 변경 기구의 구동원인 모터로서, 비교적 저렴한 DC 모터의 채용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포크 피치 변경 기구의 구동원이 DC 모터인 경우에는, DC 모터의 전원이 끊긴 상태에서, 포크의 긴 변 방향과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직교 방향)의 외력이 포크에 작용하면, 포크가 직교 방향으로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DC 모터의 전원이 끊긴 상태에서 직교 방향의 외력이 포크에 작용해도 포크가 직교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나사 부재로서, 외주면에 사다리꼴 나사 또는 각나사가 형성되는 나사 부재의 채용을 검토하고 있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This inventor is considering the adoption of a comparatively inexpensive DC motor as a motor which is a drive source of a fork pitch change mechanism in order to reduce the cost of the hand which has a fork pitch change mechanism.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drive source of the fork pitch change mechanism is a DC motor, if the external force in the direction (orthogon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fork and the up-down direction is applied to the fork while the DC motor is powered off, There is a risk of shifting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heref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crew member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so that the fork does not shift in the orthogonal direction even if the external forc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acts on the fork while the power supply of the DC motor is cut off, and a trapezoidal screw or an angular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adoption of the screw member to be used is considered.
한편, 근년, 직교 방향의 폭이 상이한 많은 종류의 반송 대상물을 공통된 핸드로 반송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르기 위해서는, 2개의 포크의 피치의 변경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2개의 포크의 피치의 변경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나사 부재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나사 부재의 길이가 길어지면, 나사 부재의 직진성(직선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외주면에 사다리꼴 나사 또는 각나사가 형성되는 나사 부재의 직진성이 저하되면, 나사 부재가 회전할 때의 나사 부재와 너트 부재의 접촉 저항이 커져, 그 결과, 나사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가 커져 나사 부재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re is a demand for conveying many kinds of conveying objects having different widths in the orthogonal direction by a common hand. In order to comply with these requiremen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mount of change of the pitch of two forks, and to lengthen the amount of change of the pitch of two forks, it is necessary to lengthen the length of a screw member. However, when the length of a screw member becomes long,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straightness (linearity) of a screw member may fall. Moreover, when the linearity of the screw member in which a trapezoidal screw or a square thread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alls, the contact resistance of a screw member and a nut member at the time of rotation of a screw member will become large, As a result, the torque for rotating a screw member will become lar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crew member cannot be rotated.
즉, 외주면에 사다리꼴 나사 또는 각나사가 형성되는 나사 부재의 직진성이 저하되면, 나사 부재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되어, 2개의 포크의 피치를 원활하게 변경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포크 피치 변경 기구의 구동원으로서, 용량이 큰 DC 모터를 채용하면, 나사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가 커져도 나사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DC 모터의 비용이 높아진다.That is, when the straightness of the screw member in which the trapezoidal screw or the angular thread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alls, it becomes impossible to rotate a screw member,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pitch of two forks may not be changed smoothly. In addition, if a large capacity DC motor is employed as the driving source of the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screw member even if the torque for rotating the screw member becomes large, but in this case, the cost of the DC motor becomes high.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포크의 피치를 변경하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를 구비하는 산업용 로봇의 핸드에 있어서, 복수의 포크의 피치의 변경량이 비교적 커도, 포크 피치 변경 기구의 구동원인 모터의 비용을 저감시키면서, 복수의 포크의 피치를 원활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산업용 로봇의 핸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이 핸드를 구비하는 산업용 로봇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subject of this invention is the hand of the industrial robot provided with the fork pitch change mechanism which changes the pitch of a some fork, WHEREIN: Even if the amount of change of the pitch of a plurality of forks is comparatively lar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 of an industrial robot capable of smoothly changing the pitch of a plurality of forks while reducing costs. Moreover, the subject of this invention is providing the industrial robot provided with this han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산업용 로봇의 핸드는, 반송 대상물을 반송하는 산업용 로봇의 핸드에 있어서,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포크와, 포크의 긴 변 방향과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포크의 피치를 변경하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와, 포크를 직교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포크 피치 변경 기구는, 구동원인 모터와, 외주면에 사다리꼴 나사 또는 각나사가 형성됨과 함께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나사 부재와, 나사 부재에 걸림 결합하는 너트 부재와, 포크의 기단측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너트 부재는, 직교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슬라이드 부재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hand of the industrial robot of this invention is a perpendicular | vertical orthogonal orthogonal to the long side direction and the up-down direction of the several forks formed linearly in the hand of the industrial robot which conveys a conveyed object, and a fork. And a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 for changing the pitch of the plurality of forks in the direction, and a guide mechanism for guiding the fork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he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 includes a motor serving as a drive source and a trapezoidal screw or a square screw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crew member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a nut member engaged with the screw member, and a slide member fix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fork. The nut member has a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rthogonal direction. It is hold | maintained by the slide member so that it may become possible.
본 발명의 산업용 로봇의 핸드에서는,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나사 부재의 외주면에 사다리꼴 나사 또는 각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모터로서 비교적 저렴한 DC 모터가 사용되어도, 모터의 전원이 끊긴 상태에서 직교 방향의 외력이 포크에 작용했을 때의 직교 방향으로의 포크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hand of the industrial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pezoidal screw or an angular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member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relatively inexpensive DC motor is used as the mo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k from shifting in the orthogonal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acts on the fork while the motor is powered off.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사 부재에 걸림 결합하는 너트 부재는, 직교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슬라이드 부재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기구에 의해 직교 방향으로 안내되는 포크에 고정된 슬라이드 부재에 대하여, 너트 부재는, 직교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포크의 피치의 변경량을 크게 하기 위하여 나사 부재의 길이가 길어져, 그 결과, 나사 부재의 직진성이 저하되어도, 나사 부재가 회전할 때의 나사 부재와 너트 부재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나사 부재의 길이가 길어져 나사 부재의 직진성이 저하되어도, 또한, 용량이 작은 저렴한 모터를 사용해도, 나사 부재를 회전시켜, 복수의 포크의 피치를 원활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포크의 피치의 변경량이 비교적 커도, 포크 피치 변경 기구의 구동원인 모터의 비용을 저감시키면서, 복수의 포크의 피치를 원활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nut member engaging by the screw member is hold | maintained by the slide member so that the movement to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 orthogonal direction becomes possibl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 member can mov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rtho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lide member fixed to the fork guid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by the guide mechanism. Therefore, in this invention, the length of a screw member becomes long in order to enlarge the change amount of the pitch of several forks, As a result, even if the straightness of a screw member falls, when a screw member rotat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Therefore, in this invention, even if the length of a screw member becomes long and the linearity of a screw member falls, even if the cheap motor with a small capacity is used, it becomes possible to rotate a screw member and to change the pitch of several forks smoothly. .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amount of change of the pitches of the plurality of forks is relatively large, the pitches of the plurality of forks can be smoothly changed while reducing the cost of the motor which is the driving source of the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포크 피치 변경 기구는, 슬라이드 부재에 너트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볼트와,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내주측에 볼트가 삽입 관통되는 원통부를 갖는 원통 부재를 구비하고, 너트 부재에는, 원통부가 배치되는 둥근 구멍 형상의 배치 구멍이 직교 방향에서 너트 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드 부재에는, 볼트의 선단부가 나사 삽입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배치 구멍의 내경은, 원통부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너트 부재의 두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원통부의 길이보다도 얇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간이한 구성으로, 직교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슬라이드 부재에 너트 부재를 보유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fork pitch change mechanism includes a bolt for attaching a nut member to a slide member, and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cylindrical portion through which a bolt is inserted at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The round hole-shaped arrangement hole in which a cylindrical part is arrange | positioned is formed so that the nut member may penetrate in a orthogonal direction, The screw member in which the front-end | tip part of a bolt is screwed is formed in the slide member, and the inner diameter of a placement hole is the outer diameter of a cylindrical part. It is larger and the thickness of the nut member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s thinner than the length of the cylindrical part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n this case, it becomes possible to hold the nut member to the slide member so that movement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rthogonal direction is possible with a comparatively simple structure.
본 발명에 있어서, 너트 부재에는, 나사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이 직교 방향에서 너트 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관통 구멍의 일부분에 사다리꼴 나사 또는 각나사에 걸림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암나사가 형성되는 암나사부의 직교 방향의 길이는, 사다리꼴 나사 또는 각나사의 피치의 약 1.5배로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나사 부재와 너트 부재의 맞물림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나사 부재에 대하여 너트 부재가 기울어도, 나사 부재가 회전할 때의 나사 부재와 너트 부재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모터의 용량을 보다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 member is formed such that an insertion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crew member is inserted penetrates the nut member in the orthogonal direction, and is engaged with a trapezoidal screw or an angular screw to a part of the insertion through hol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emale screw is formed.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length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female threaded portion where the female thread is formed is approximately 1.5 times the pitch of the trapezoidal screw or the square thread. 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shorten the engagement length of the screw member and the nut member. Therefore, even if the nut member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crew memb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screw member and the nut member when the screw member rotates. Therefore, the capacity of the motor can be further reduced.
본 발명에 있어서, 포크 피치 변경 기구는, 2개의 포크의 피치를 변경하고, 나사 부재는, 순나사가 형성되는 순나사부와, 역나사가 형성되는 역나사부와, 순나사부와 역나사부를 연결하는 커플링을 구비하고, 순나사부에는, 2개의 포크 중 한쪽의 포크에 고정된 슬라이드 부재에 보유 지지되는 너트 부재가 걸림 결합하고, 역나사부에는, 2개의 포크 중 다른 쪽의 포크에 고정된 슬라이드 부재에 보유 지지되는 너트 부재가 걸림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별체로 형성된 순나사부와 역나사부가 커플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순나사부와 역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나사 부재의,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나사 부재의 직진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 changes the pitch of the two forks, and the screw member connects the forward screw portion in which the forward screw is formed, the reverse screw portion in which the reverse thread is formed, and the forward screw portion and the reverse screw portion. The nut member held by the slide member fixed to one fork of two forks is coupled to the forward screw part, and the slide member fixed to the other fork of two forks to the reverse thread part. It is preferable that the nut member held in the latch is engaged.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forward screw portion and the reverse screw portion formed separately are connected by coupling, the length of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of the screw memb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forward screw portion and the reverse screw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It becomes possible to shorten.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suppress the fall of the linearity of a screw member.
본 발명의 핸드는, 핸드가 선단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아암과, 아암의 기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산업용 로봇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산업용 로봇에서는, 복수의 포크의 피치의 변경량이 비교적 커도, 포크 피치 변경 기구의 구동원인 모터의 비용을 저감시키면서, 복수의 포크의 피치를 원활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hand of this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industrial robot which has an arm with which a h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side, and the main body part with which the base end side of the arm is rotatably connected. In this industrial robot, even if the pitch change amount of the plurality of forks is relatively large, the pitches of the plurality of forks can be smoothly changed while reducing the cost of the motor which is the driving source of the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포크의 피치의 변경량이 비교적 커도, 포크 피치 변경 기구의 구동원인 모터의 비용을 저감시키면서, 복수의 포크의 피치를 원활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itch of the plurality of forks is relatively large, the pitch of the plurality of forks can be smoothly changed while reducing the cost of the motor which is the driving source of the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산업용 로봇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산업용 로봇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핸드의 기부의 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포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E부에 있어서의 포크 피치 변경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F부에 있어서의 포크 피치 변경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G-G 방향으로부터 포크 피치 변경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5의 H부의 확대도이며, (B)는 도 5의 J부의 확대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n industria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industrial robot shown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inside of the base of the hand shown in FIG. 1.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ork shown in FIG.
It is a top view for demon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fork pitch change mechanism in E part of FIG.
It is a top view for demon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fork pitch change mechanism in F part of FIG.
It is a side view for demon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fork pitch change mechanism from the GG direction of FIG.
FIG. 8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H of FIG. 5, and FIG. 8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J of FIG. 5.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산업용 로봇의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of Industrial Robo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산업용 로봇(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산업용 로봇(1)의 측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n
본 형태의 산업용 로봇(1)(이하, 「로봇(1)」이라고 한다)은, 소정의 반송 대상물(2)을 반송하기 위한 수평 다관절형의 로봇이다. 반송 대상물(2)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이다. 이 반송 대상물(2)은,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의 로봇(1)은, 크기가 상이한 많은 종류의 반송 대상물(2)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industrial robot 1 (henceforth "
로봇(1)은, 반송 대상물(2)이 탑재되는 2개의 핸드(3)와, 2개의 핸드(3) 각각이 선단측에 연결되는 2개의 아암(4)과, 2개의 아암(4)을 지지하는 본체부(5)와, 본체부(5)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6)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5)는, 아암(4)의 기단측을 지지함과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한 아암 서포트(7)와, 아암 서포트(7)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8)과, 본체부(5)의 하단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베이스(6)에 대하여 수평 이동 가능한 기대(9)와, 지지 프레임(8)의 하단이 고정됨과 함께 기대(9)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선회 프레임(10)을 구비하고 있다.The
아암(4)은, 제1 아암부(12)와 제2 아암부(13)의 2개의 아암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아암부(12)의 기단측은, 아암 서포트(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아암(4)의 기단측은, 본체부(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아암부(12)의 선단측에는, 제2 아암부(13)의 기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아암부(13)의 선단측에는, 핸드(3)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아암(4)의 선단측에는, 핸드(3)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로봇(1)은, 2개의 아암(4) 각각을 신축시키는 2개의 아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The
지지 프레임(8)은, 아암 서포트(7)를 통하여 핸드(3) 및 아암(4)을 승강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고 있다. 이 지지 프레임(8)은, 아암 서포트(7)를 승강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기둥 형상의 제1 지지 프레임(14)과, 제1 지지 프레임(14)을 승강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기둥 형상의 제2 지지 프레임(15)을 구비하고 있다. 로봇(1)은, 제1 지지 프레임(14)에 대하여 아암 서포트(7)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와, 제2 지지 프레임(15)에 대하여 제1 지지 프레임(14)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와, 제1 지지 프레임(14)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와, 아암 서포트(7)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The
제2 지지 프레임(15)의 하단은, 선회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대(9)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봇(1)은, 기대(9)에 대하여 선회 프레임(10)을 회동시키는 회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기대(9)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6)에 대하여 수평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봇(1)은, 베이스(6)에 대하여 기대(9)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The lower end of the
(핸드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hand)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핸드(3)의 기부(17)의 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포크(18, 19)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핸드(3)는, 제2 아암부(13)의 선단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부(17)와, 상면측에 반송 대상물(2)이 적재되는 복수의 포크(18, 19)를 구비하고 있다. 본 형태의 핸드(3)는, 2개의 포크(18)와 2개의 포크(19)의 합계 4개의 포크(18, 1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핸드(3)는, 포크(18, 19)의 상면측에 고정됨과 함께 반송 대상물(2)이 적재되는 복수의 적재 부재(도시 생략)와, 이 적재 부재에 적재되는 반송 대상물(2)의 하면을 진공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 기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The
기부(17)는, 중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하 방향의 두께가 얇은 편평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포크(18, 19)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포크(18, 19)는, 기부(17)로부터 수평 방향의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4개의 포크(18, 19)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포크(18, 19)의 긴 변 방향(도 3 등의 X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도 3 등의 Y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면, 2개의 포크(18)는,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2개의 포크(19)는, 좌우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형태의 좌우 방향(Y 방향)은, 포크(18, 19)의 긴 변 방향과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이다.The
포크(18, 19)는, 탄소 섬유를 함유하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포크(18, 19)는, 중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가늘고 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포크(18, 19)의 상하 양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포크(18, 19)의 좌우의 양측면은,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포크(18, 19)의 상하 방향의 두께는, 포크(18, 19)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함에 따라 점차 얇아지고 있다(도 2 참조).The
포크(18, 19)의 기단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기부(17)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부(17)의 내부에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포크(18)의 피치를 변경하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포크(19)의 피치를 변경하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27)가 배치되어 있다. 즉, 핸드(3)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 27)를 구비하고 있다.The proximal ends of the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에서는, 2개의 포크(18) 중 한쪽의 포크(18)와 다른 쪽의 포크(18)가 좌우의 역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이동하여 2개의 포크(18)의 좌우 방향의 피치가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포크 피치 변경 기구(27)에서는, 2개의 포크(19) 중 한쪽의 포크(19)와 다른 쪽의 포크(19)가 좌우의 역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이동하여 2개의 포크(19)의 좌우 방향의 피치가 변경된다.In the fork
본 형태에서는, 로봇(1)으로 반송되는 반송 대상물(2)의 크기가 결정되면, 로봇(1)이 반송 대상물(2)을 반송하는 반송 동작 전에,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는, 필요에 따라 2개의 포크(18)의 좌우 방향의 피치를 변경하고, 포크 피치 변경 기구(27)는, 필요에 따라 2개의 포크(19)의 좌우 방향의 피치를 변경한다. 즉,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 27)는, 로봇(1)에 의한 반송 대상물(2)의 반송 동작 중에, 포크(18, 19)의 좌우 방향의 피치를 변경하는 일은 없다.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 27)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봇(1)으로 반송되는 반송 대상물(2)의 크기에 따라, 포크(18, 19)의 좌우 방향의 피치를 변경한다.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 27)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size of the conveyed
또한, 기부(17)의 내부에는, 2개의 포크(18)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내측단측에서 포크(18)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기구(21)와, 2개의 포크(19)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외측단측에서 포크(19)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기구(22)와,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포크(18)와 포크(19)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 기구(23)가 배치되어 있다. 즉, 핸드(3)는, 검지 기구(21 내지 23)를 구비하고 있다.Moreover, inside the
검지 기구(21)는, 기부(17)의 베이스 프레임(55)에 고정되는 센서(56)와, 2개의 포크(18) 중 한쪽의 포크(18)의 기단부에 고정되는 검지판(57)을 구비하고 있다. 검지 기구(22)는, 베이스 프레임(55)에 고정되는 센서(58)와, 2개의 포크(19) 중 한쪽의 포크(19)의 기단부에 고정되는 검지판(59)을 구비하고 있다. 센서(56, 58)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갖는 투과형의 광학식 센서이다. 본 형태에서는, 검지 기구(21)를 사용하여, 2개의 포크(18)의 원점 위치가 검지된다. 또한, 검지 기구(22)를 사용하여, 2개의 포크(19)의 원점 위치가 검지된다.The
검지 기구(23)는, 2개의 포크(19) 중 다른 쪽의 포크(19)의 기단부에 고정되는 센서(60)와, 2개의 포크(18) 중 다른 쪽의 포크(18)의 기단부에 고정되는 검지판(61)을 구비하고 있다. 센서(60)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갖는 투과형의 광학식 센서이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55)에는 센서(62)가 고정되어 있다. 센서(62)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갖는 투과형의 광학식 센서이다. 본 형태에서는, 센서(62)와 검지판(59)에 의해, 2개의 포크(19)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외측의 한계 위치에 포크(19)가 근접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 기구(24)가 구성되어 있다.The
(포크 피치 변경 기구의 구성)(Configuration of Fork Pitch Change Mechanism)
도 5는 도 3의 E부에 있어서의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 27)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F부에 있어서의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 27)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G-G 방향으로부터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 27)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5의 H부의 확대도이며, 도 8의 (B)는 도 5의 J부의 확대도이다.FIG. 5: is a top view for demon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fork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는, 구동원인 모터(29)와, 모터(29)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나사 부재(30)와, 2개의 포크(18) 중 한쪽의 포크(18)의 기단측(기단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부재(31)와, 2개의 포크(18) 중 다른 쪽의 포크(18)의 기단측(기단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부재(31)와, 2개의 슬라이드 부재(31)의 각각에 설치됨과 함께 나사 부재(30)에 걸림 결합하는 2개의 너트 부재(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는, 나사 부재(30)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인코더(33)를 구비하고 있다.The fork
포크 피치 변경 기구(27)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포크 피치 변경 기구(27)는, 모터(29)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모터(34)와, 나사 부재(3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나사 부재(35)와, 2개의 포크(19) 중 한쪽의 포크(19)의 기단측(기단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부재(36)와, 2개의 포크(19) 중 다른 쪽의 포크(19)의 기단측(기단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부재(36)와, 2개의 슬라이드 부재(36)의 각각에 설치됨과 함께 나사 부재(35)에 걸림 결합하는 2개의 너트 부재(37)와, 나사 부재(35)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인코더(38)를 구비하고 있다.The fork
모터(29, 34)는 DC 모터이다. 나사 부재(30, 35)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30, 35)는, 나사 부재(30, 35)의 축방향과 좌우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좌우 방향을 회전의 축방향으로서 회전한다. 또한, 나사 부재(30)와 나사 부재(35)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나사 부재(30)의 일단부에는 커플링(41)을 통하여 모터(29)의 출력축이 연결되고, 나사 부재(35)의 일단부에는 커플링(41)을 통하여 모터(34)의 출력축이 연결되어 있다.
나사 부재(30, 35)는, 나사 부재(30, 35)의 일단측을 구성하는 순나사부(30a, 35a)와, 나사 부재(30, 35)의 타단측을 구성하는 역나사부(30b, 35b)를 구비하고 있다. 순나사부(30a, 35a)에는, 순나사가 형성되고, 역나사부(30b, 35b)에는, 역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순나사부(30a, 35a)에 형성되는 순나사 및 역나사부(30b, 35b)에 형성되는 역나사는 사다리꼴 나사이다. 즉, 나사 부재(30, 35)의 외주면에는, 사다리꼴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The
순나사부(30a)와 역나사부(30b)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고, 커플링(4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순나사부(35a)와 역나사부(35b)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고, 커플링(4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나사 부재(30)는, 순나사부(30a)와 역나사부(30b)를 연결하는 커플링(42)을 구비하고, 나사 부재(35)는 순나사부(35a)와 역나사부(35b)를 연결하는 커플링(42)을 구비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순나사부(30a)와 역나사부(30b)와 커플링(42)에 의해 나사 부재(30)가 구성되고, 순나사부(35a)와 역나사부(35b)와 커플링(42)에 의해 나사 부재(35)가 구성되어 있다. 순나사부(30a, 35a)의 양단부 및 역나사부(30b, 35b)의 양단부는, 베이스 프레임(55)에 설치된 베어링(4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형태의 순나사부(30a, 35a) 및 역나사부(30b, 35b)는, 전조로 형성된 전조 나사이다.The
슬라이드 부재(3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36)는, 슬라이드 부재(31)와 마찬가지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36)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고정 부재(44)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44)는 포크(19)의 기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부재(31)는 포크(18)의 기단부에 고정된 고정 부재(44)에 고정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부재(31)는, 고정 부재(44)를 통하여 포크(18)의 기단부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부재(36)는, 고정 부재(44)를 통하여 포크(19)의 기단부에 고정되어 있다.The
너트 부재(3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너트 부재(37)는, 너트 부재(32)와 마찬가지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너트 부재(32)는, 2개의 볼트(45)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1)에 설치되고, 너트 부재(37)는, 2개의 볼트(45)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6)에 설치되어 있다. 즉,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 27)는, 슬라이드 부재(31, 36)에 너트 부재(32, 37)를 설치하기 위한 볼트(45)를 구비하고 있다.The
또한,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 27)는, 플랜지가 부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 부재(46)를 구비하고 있다.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 27)는, 볼트(45)와 동일한 수의 원통 부재(46)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 부재(46)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내주측에 볼트(45)가 삽입 관통되는(구체적으로는, 볼트(45)의 축부가 삽입 관통되는) 원통부(46a)와, 원통부(46a)의 일단으로부터 플랜지 형상으로 퍼지는 원환상의 플랜지부(46b)로 구성되어 있다(도 8 참조).In addition, the fork
슬라이드 부재(31)에는, 나사 부재(3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부(31a)와, 나사 부재(35)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부재(36)에는 나사 부재(3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부(36a)와, 나사 부재(35)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31)에는,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트(45)의 선단부가 나사 삽입되는 2개의 나사 구멍(31c)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31c)은, 슬라이드 부재(31)의 좌우 방향의 한쪽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부재(36)에는,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트(45)의 선단부가 나사 삽입되는 2개의 나사 구멍(36c)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36c)은, 슬라이드 부재(36)의 좌우 방향의 한쪽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The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너트 부재(32)에는, 나사 부재(30)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32a)은, 좌우 방향으로 너트 부재(32)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삽입 관통 구멍(32a)은, 너트 부재(32)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관통 구멍(32a)의 일부분에는, 나사 부재(30)의 사다리꼴 나사에 걸림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즉, 암나사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관통 구멍(32a)의 전역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형태에서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암나사부(32b)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나사 부재(30)의 사다리꼴 나사의 피치의 약 1.5배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A, the
너트 부재(32)와 마찬가지로, 너트 부재(37)에는, 나사 부재(35)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37a)이 형성되어 있다(도 8의 (B) 참조).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관통 구멍(37a)의 일부분에는, 나사 부재(35)의 사다리꼴 나사에 걸림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가 형성되는 암나사부(37b)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나사 부재(35)의 사다리꼴 나사의 피치의 약 1.5배로 되어 있다.Similarly to the
또한, 너트 부재(32)에는 원통부(46a)가 배치되는 둥근 구멍 형상의 배치 구멍(32c)이 형성되어 있다. 배치 구멍(32c)은, 좌우 방향으로 너트 부재(32)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배치 구멍(32c)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관통 구멍(32a)의 양측의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너트 부재(32)와 마찬가지로, 너트 부재(37)에는, 원통부(46a)가 배치되는 둥근 구멍 형상의 배치 구멍(37c)이 형성되어 있다. 배치 구멍(37c)은, 좌우 방향으로 너트 부재(37)를 관통함과 함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관통 구멍(37a)의 양측의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배치 구멍(32c, 37c)의 내경은, 원통부(46a)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배치 구멍(32c, 37c)의 내주면과 원통부(46a)의 외주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46b)의 외경은, 배치 구멍(32c, 37c)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너트 부재(32, 37)의 두께(좌우 방향의 두께)는, 원통부(46a)의 길이(좌우 방향의 길이)보다도 약간 얇게 되어 있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너트 부재(32, 37)와 플랜지부(46b) 사이 및 너트 부재(32, 37)와 슬라이드 부재(31, 36) 사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46a)의 내경은, 볼트(45)의 축부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arranging
너트 부재(32)는, 좌우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원통부(46a)의 내주측에 삽입 관통됨과 함께 나사 구멍(31c)에 나사 삽입되는 볼트(45)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1)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 구멍(32c)의 내주면과 원통부(46a)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너트 부재(32)와 플랜지부(46b) 사이나 너트 부재(32)와 슬라이드 부재(31)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 부재(32)는, 슬라이드 부재(31)에 대하여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너트 부재(32)는,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슬라이드 부재(31)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너트 부재(32)는, 슬라이드 부재(3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약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마찬가지로, 너트 부재(37)는, 좌우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원통부(46a)의 내주측에 삽입 관통됨과 함께 나사 구멍(36c)에 나사 삽입되는 볼트(45)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6)에 설치되어 있고, 배치 구멍(37c)의 내주면과 원통부(46a)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너트 부재(37)와 플랜지부(46b) 사이나 너트 부재(37)와 슬라이드 부재(36)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 부재(37)는, 슬라이드 부재(36)에 대하여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너트 부재(37)는,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슬라이드 부재(36)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너트 부재(37)는, 슬라이드 부재(36)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약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Similarly, the
2개의 포크(18) 중 한쪽의 포크(18)에 고정된 슬라이드 부재(31)에 보유 지지되는 너트 부재(32)는, 순나사부(30a)에 걸림 결합하고, 다른 쪽의 포크(18)에 고정된 슬라이드 부재(31)에 보유 지지되는 너트 부재(32)는, 역나사부(30b)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개의 포크(19) 중 한쪽의 포크(19)에 고정된 슬라이드 부재(36)에 보유 지지되는 너트 부재(37)는, 순나사부(35a)에 걸림 결합되고, 다른 쪽의 포크(19)에 고정된 슬라이드 부재(36)에 보유 지지되는 너트 부재(37)는, 역나사부(35b)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The
2개의 포크(18) 및 2개의 포크(19)는, 2개의 공통된 가이드 레일(48)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안내된다. 가이드 레일(48)은, 가이드 레일(48)의 긴 변 방향과 좌우 방향이 일치하도록, 베이스 프레임(5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2개의 가이드 레일(48) 중 한쪽의 가이드 레일(48)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베이스 프레임(55)의 일단측에 배치되고, 다른 쪽의 가이드 레일(48)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베이스 프레임(55)의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다.Two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크(19)의 기단부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44)에는, 2개의 가이드 레일(48) 각각에 걸림 결합하는 2개의 가이드 블록(49)이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포크(18)의 기단부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44)에는, 2개의 가이드 레일(48) 각각에 걸림 결합하는 2개의 가이드 블록(49)이 고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2개의 가이드 레일(48)과 2개의 가이드 블록(49)에 의해, 포크(18, 19)를 좌우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50)가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wo guide blocks 49 engaging with each of the two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에서는, 모터(29)가 회전하여 나사 부재(30)가 회전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한쪽의 포크(18)와 다른 쪽의 포크(18)가 좌우의 역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이동하여 2개의 포크(18)의 좌우 방향의 피치가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포크 피치 변경 기구(27)에서는, 모터(34)가 회전하여 나사 부재(35)가 회전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한쪽의 포크(19)와 다른 쪽의 포크(19)가 좌우의 역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이동하여 2개의 포크(19)의 좌우 방향의 피치가 변경된다.In the fork
인코더(33)는, 나사 부재(30)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검지판(51)과, 베이스 프레임(55)에 설치되는 센서(52)를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인코더(38)는, 나사 부재(35)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검지판(53)과, 베이스 프레임(55)에 설치되는 센서(54)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52, 54)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구비하는 투과형의 광학식 센서이다.The
(본 형태의 주된 효과)(Main effect of this form)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나사 부재(30, 35)의 외주면에 사다리꼴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모터(29, 34)가 비교적 저렴한 DC 모터여도, 모터(29, 34)의 전원이 끊긴 상태에서 좌우 방향의 외력이 포크(18, 19)에 작용했을 때의 좌우 방향으로의 포크(18, 19)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a trapezoidal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본 형태에서는, 가이드 기구(5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안내되는 포크(18)에 고정된 슬라이드 부재(31)에, 너트 부재(32)가,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2개의 포크(18)의 피치의 변경량을 크게 하기 위하여 나사 부재(30)의 길이가 길어져, 그 결과, 나사 부재(30)의 직진성이 저하되어도, 나사 부재(30)가 회전할 때의 나사 부재(30)와 너트 부재(32)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마찬가지로, 본 형태에서는, 가이드 기구(5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안내되는 포크(19)에 고정된 슬라이드 부재(36)에, 너트 부재(37)가,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보유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포크(19)의 피치의 변경량을 크게 하기 위하여 나사 부재(35)의 길이가 길어져, 그 결과, 나사 부재(35)의 직진성이 저하되어도, 나사 부재(35)가 회전할 때의 나사 부재(35)와 너트 부재(37)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Similarly, in this embodiment, the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나사 부재(30, 35)의 길이가 길어져 나사 부재(30, 35)의 직진성이 저하되어도, 또한, 용량이 작은 저렴한 모터(29, 34)를 사용해도, 나사 부재(30, 35)를 회전시켜, 포크(18, 19)의 피치를 원활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형태에서는, 포크(18, 19)의 피치의 변경량이 비교적 커도, 모터(29, 34)의 비용을 저감시키면서, 포크(18, 19)의 피치를 원활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length of the
본 형태에서는, 너트 부재(32)의 삽입 관통 구멍(32a)의 좌우 방향의 일부분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관통 구멍(32a)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나사 부재(30)와 너트 부재(32)의 맞물림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나사 부재(30)에 대하여 너트 부재(32)가 기울어도, 나사 부재(30)가 회전할 때의 나사 부재(30)와 너트 부재(32)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그 결과, 모터(29)의 용량을 보다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embodiment, a female screw is formed in a part of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마찬가지로, 본 형태에서는, 너트 부재(37)의 삽입 관통 구멍(37a)의 좌우 방향의 일부분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관통 구멍(37a)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나사 부재(35)와 너트 부재(37)의 맞물림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나사 부재(35)에 대하여 너트 부재(37)가 기울어도, 나사 부재(35)가 회전할 때의 나사 부재(35)와 너트 부재(37)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그 결과, 모터(34)의 용량을 보다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Similarly, in this embodiment, a female screw is formed in a part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insertion through
본 형태에서는, 별체로 형성된 순나사부(30a)와 역나사부(30b)가 커플링(4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순나사부(30a)와 역나사부(3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나사 부재(30)의,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나사 부재(30)의 직진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본 형태에서는, 별체로 형성된 순나사부(35a)와 역나사부(35b)가 커플링(42)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 부재(35)의,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그 결과, 나사 부재(35)의 직진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
상술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형태의 일례이기는 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Although the form mentioned above is an example of the suitable form of this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possibl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change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상술한 형태에 있어서, 나사 부재(30, 35)의 외주면에, 사다리꼴 나사 대신 각나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형태에 있어서, 순나사부(30a)와 역나사(3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순나사부(35a)와 역나사(35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형태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관통 구멍(32a)의 전역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관통 구멍(37a)의 전역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form, square screws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상술한 형태에 있어서, 원통 부재(46)는, 플랜지부(46b)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볼트(45)의 헤드부의 외경은, 배치 구멍(32c, 37c)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형태에 있어서, 너트 부재(32, 37)가,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슬라이드 부재(31, 36)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이면,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 27)는, 원통 부재(46)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배치 구멍(32c, 37c)에 볼트(45)의 축부가 배치되어 있다. 배치 구멍(32c, 37c)의 내경은, 볼트(45)의 축부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배치 구멍(32c, 37c)의 내주면과 볼트(45)의 축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트(45)의 헤드부의 외경은, 배치 구멍(32c, 37c)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In the form mentioned above, the
상술한 형태에 있어서, 2개의 포크(18) 중 한쪽의 포크(18)가 좌우 방향으로 고정되고, 다른 쪽의 포크(18)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다른 쪽의 포크(18)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2개의 포크(18)의 피치가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2개의 포크(19) 중 한쪽의 포크(19)가 좌우 방향으로 고정되고, 다른 쪽의 포크(19)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다른 쪽의 포크(19)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2개의 포크(19)의 피치가 변경된다.In the above-described form, one of the two
상술한 형태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포크(19)의 피치는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27)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에 의해 2개의 포크(18)의 피치가 변경되면, 4개의 포크(18, 19)의 피치도 바뀐다.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포크(18)의 피치는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26)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27)에 의해 2개의 포크(19)의 피치가 변경되면, 4개의 포크(18, 19)의 피치도 바뀐다.In the form mentioned above, the pitch of the two
상술한 형태에 있어서, 핸드(3)는, 2개의 포크(18) 또는 2개의 포크(19)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즉, 핸드(3)가 구비하는 포크의 수는 2개여도 된다. 또한, 핸드(3)가 구비하는 포크의 수는 3개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한가운데에 배치되는 1개의 포크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고정되고, 나머지 2개의 포크가 포크 피치 변경 기구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는, 1개의 포크 피치 변경 기구에 의해 3개의 포크의 피치가 변경된다. 또한, 핸드(3)가 구비하는 포크의 수는 5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5개 이상의 포크 모두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되고, 5개 이상의 포크 중에 좌우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포크가 있어도 된다.In the form mentioned above, the
상술한 형태에서는, 로봇(1)은, 수평 다관절형의 로봇이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로봇은, 수평 다관절형의 로봇 이외의 산업용 로봇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로봇은,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산업용 로봇이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form, the
1: 로봇(산업용 로봇)
2: 반송 대상물
3: 핸드
4: 아암
5: 본체부
18, 19: 포크
26, 27: 포크 피치 변경 기구
29, 34: 모터
30, 35: 나사 부재
30a, 35a: 순나사부
30b, 35b: 역나사부
31, 36: 슬라이드 부재
31c, 36c: 나사 구멍
32, 37: 너트 부재
32a, 37a: 삽입 관통 구멍
32b, 37b: 암나사부
32c, 37c: 배치 구멍
42: 커플링
45: 볼트
46: 원통 부재
46a: 원통부
50: 가이드 기구
X: 포크의 긴 변 방향
Y: 직교 방향1: Robot (Industrial Robot)
2: return object
3: hand
4: arm
5: main body
18, 19: fork
26, 27: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
29, 34: motor
30, 35: screw member
30a, 35a: forward threaded
30b, 35b: Reverse thread part
31, 36: slide member
31c, 36c: screw hole
32, 37: nut member
32a, 37a: insertion through hole
32b, 37b: female thread
32c, 37c: placement hole
42: coupling
45: Bolt
46: cylindrical member
46a: cylindrical portion
50: guide mechanism
X: Long side direction of fork
Y: orthogonal direction
Claims (6)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포크와, 상기 포크의 긴 변 방향과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포크의 피치를 변경하는 포크 피치 변경 기구와,
상기 포크를 상기 직교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포크 피치 변경 기구는, 구동원인 모터와, 외주면에 사다리꼴 나사 또는 각나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나사 부재와, 상기 나사 부재에 걸림 결합하는 너트 부재와, 상기 포크의 기단측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직교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보유 지지되어 있고,
상기 포크 피치 변경 기구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상기 너트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볼트와,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내주측에 상기 볼트가 삽입 관통되는 원통부를 갖는 원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 부재에는, 상기 원통부가 배치되는 둥근 구멍 형상의 배치 구멍이 상기 직교 방향에서 상기 너트 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볼트의 선단부가 나사 삽입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배치 구멍의 내경은, 상기 원통부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너트 부재의 두께는,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부의 길이보다도 얇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In the hand of the industrial robot for conveying the object to be conveyed,
A plurality of forks formed in a straight line, a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 for changing pitches of the plurality of forks in an orthogo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side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ork,
And a guide mechanism for guiding the fork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he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 includes a motor serving as a drive source, a screw member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of the motor with a trapezoidal screw or a square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nut member engaged with the screw member, and a proximal end side of the fork. And a slide member fixed to the
The nut member is held by the slide member so that movemen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rthogonal direction is possible.
The fork pitch changing mechanism include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bolt for attaching the nut member to the slide member, a cylindrical memb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cylindrical portion through which the bolt is inserted at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In the nut member, a round hole-shaped arrangement hole in which the cylindrical portion is disposed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nut member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he slide member is formed with a screw hole in which the tip of the bolt is screwed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placement hole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The thickness of the said nut member in the said orthogonal direction is thinner than the length of the said cylindrical part in the said orthogonal direction, The hand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일부분에 상기 사다리꼴 나사 또는 상기 각나사에 걸림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The nut member of claim 1, wherein an insertion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crew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nut member in the orthogonal direction.
And a female screw engaging with the trapezoidal screw or the angular screw in a portion of the insertion through-hol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상기 나사 부재는, 순나사가 형성되는 순나사부와, 역나사가 형성되는 역나사부와, 상기 순나사부와 상기 역나사부를 연결하는 커플링을 구비하고,
상기 순나사부에는, 2개의 상기 포크 중 한쪽의 상기 포크에 고정된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너트 부재가 걸림 결합하고,
상기 역나사부에는, 2개의 상기 포크 중 다른 쪽의 상기 포크에 고정된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너트 부재가 걸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The said fork pitch change mechanism changes the pitch of two said forks,
The screw member includes a forward screw portion in which a forward screw is formed, a reverse screw portion in which a reverse thread is formed, and a coupling connecting the forward screw portion and the reverse screw portion,
The nut member held by the slide member fixed to the fork of one of the two forks is engaged with the forward screw portion,
And the nut member held by the slide member fixed to the fork on the other side of the two forks is engaged with the reverse screw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127596 | 2017-06-29 | ||
JP2017127596A JP7092469B2 (en) | 2017-06-29 | 2017-06-29 | Industrial robot hand and industrial robo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298A KR20190002298A (en) | 2019-01-08 |
KR102060245B1 true KR102060245B1 (en) | 2019-12-27 |
Family
ID=6499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8970A Active KR102060245B1 (en) | 2017-06-29 | 2018-05-24 | Hand of industrial robot and industrial robot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7092469B2 (en) |
KR (1) | KR102060245B1 (en) |
CN (1) | CN109202879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03691A (en) * | 2019-05-07 | 2019-09-06 | 良忠城精密科技(苏州)有限公司 | A kind of stepless automatic change spacing mould group |
US11440199B2 (en) | 2019-06-18 | 2022-09-13 | Gang Hao | Robotic service system in restaurants |
CN111300458B (en) * | 2020-03-13 | 2024-08-27 | 清研(洛阳)先进制造产业研究院 | Adaptive robot hand device with orthogonal toothed slide array |
JP7495271B2 (en) * | 2020-04-28 | 2024-06-04 |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 Industrial Robots |
JP7641162B2 (en) * | 2021-04-02 | 2025-03-06 |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 Industrial robot hand and industrial robot |
CN114434425A (en) * | 2022-01-28 | 2022-05-06 | 深圳市迪瑞达自动化有限公司 | Variable-pitch manipulator |
CN115215108B (en) * | 2022-08-30 | 2024-03-12 |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Material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and device for air spring overhaul lin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79590A (en) | 1998-09-01 | 2000-03-21 | Mecs Corp | Hand for board carrying robot |
JP2001300879A (en) * | 2000-04-24 | 2001-10-30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General-purpose hand for substrate transfer |
JP2007203402A (en) | 2006-02-01 | 2007-08-16 | Nidec Sankyo Corp | Hand for robot and conveyance robot provided with this hand |
JP3965131B2 (en) | 2003-04-09 | 2007-08-29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
JP2014207338A (en) | 2013-04-12 | 2014-10-30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Substrate holding devic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substrate hold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65796A (en) * | 1991-06-12 | 1992-12-17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Handle device for shift fork |
JP3019609B2 (en) * | 1991-07-19 | 2000-03-13 | 日本鋼管株式会社 | Palletless transporter and car storage equipment |
JP4189796B2 (en) | 2002-07-12 | 2008-12-03 | 株式会社東京精密 | Feeder fitting |
JP2004106105A (en) * | 2002-09-18 | 2004-04-08 | Seiko Instruments Inc | Delivery robot |
JP2004152882A (en) * | 2002-10-29 | 2004-05-27 | Yaskawa Electric Corp | Transfer device and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
DE102005001333A1 (en) * | 2005-01-11 | 2006-07-27 | Ims Gear Gmbh | Transmission for an adjustment |
JP4542998B2 (en) * | 2005-07-15 | 2010-09-15 |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 Substrate loading / unloading assist device |
JP5284124B2 (en) * | 2009-01-23 | 2013-09-11 | 日立建機株式会社 | Linear actuator and forklift |
JP5492355B2 (en) * | 2009-05-20 | 2014-05-14 | ユニキャリア株式会社 | Industrial vehicle fork |
JP5397236B2 (en) * | 2010-01-18 | 2014-01-22 | Smc株式会社 | Lead screw mechanism |
KR101151589B1 (en) * | 2010-05-31 | 2012-06-01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djustment Assembly for The Hand Fork of LCD Transfer Robot |
CN101863033A (en) * | 2010-06-23 | 2010-10-20 | 东南大学 | Nuclear reconnaissance robot multifunctional combined gripper |
JP2012066320A (en) | 2010-09-21 | 2012-04-05 | Nsk Ltd | Monocarrier |
CN202232196U (en) * | 2011-09-14 | 2012-05-30 | 西北农林科技大学 | Kiwi fruit picking end effector |
US9371196B2 (en) * | 2012-04-27 | 2016-06-21 |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Transportation method and transportation device of liquid crystal panel |
DE202012010170U1 (en) * | 2012-10-24 | 2014-01-30 | Big Dutchman International Gmbh |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animal products in a farm |
JP5978952B2 (en) * | 2012-11-26 | 2016-08-24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Feed screw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seat |
SG11201507762YA (en) * | 2013-03-14 | 2015-11-27 | Kla Tencor Corp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itch conversion of pick and place heads, pick and place head and pick and place device |
CN103640028B (en) * | 2013-11-28 | 2016-01-06 | 华南理工大学 | A kind of selective compliance assembly robot arm's structure |
CN203612898U (en) * | 2013-12-06 | 2014-05-28 | 株洲硬质合金集团有限公司 | Forklift special for mounting mould base of full-automatic powder press |
KR20150115136A (en) * | 2014-04-02 | 2015-10-14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Driving device for transferring substrate robot and method for transfreeing substrate |
JP2015196232A (en) * | 2014-04-03 | 2015-11-09 | 株式会社北村製作所 |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system |
JP6616606B2 (en) * | 2015-07-13 | 2019-12-04 |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 Industrial robot |
-
2017
- 2017-06-29 JP JP2017127596A patent/JP7092469B2/en active Active
-
2018
- 2018-05-24 KR KR1020180058970A patent/KR102060245B1/en active Active
- 2018-06-13 CN CN201810607189.9A patent/CN109202879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79590A (en) | 1998-09-01 | 2000-03-21 | Mecs Corp | Hand for board carrying robot |
JP2001300879A (en) * | 2000-04-24 | 2001-10-30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General-purpose hand for substrate transfer |
JP3965131B2 (en) | 2003-04-09 | 2007-08-29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
JP2007203402A (en) | 2006-02-01 | 2007-08-16 | Nidec Sankyo Corp | Hand for robot and conveyance robot provided with this hand |
JP2014207338A (en) | 2013-04-12 | 2014-10-30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Substrate holding devic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substrate hold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298A (en) | 2019-01-08 |
JP7092469B2 (en) | 2022-06-28 |
CN109202879B (en) | 2022-04-12 |
CN109202879A (en) | 2019-01-15 |
JP2019010693A (en) | 2019-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0245B1 (en) | Hand of industrial robot and industrial robot | |
KR102092216B1 (en) | Industrial robot | |
JP5578973B2 (en) | Industrial robot | |
KR102539039B1 (en) | Industrial robot | |
KR102006106B1 (en) | Hand of industrial robot and industrial robot | |
JP7284827B2 (en) | Traverser, base unit and mobile unit | |
KR20040036648A (en) | Drive mechanism and movable table unit provided with the same | |
KR102538851B1 (en) | Industrial robot | |
US8061227B2 (en) | Small slider unit | |
JP7166163B2 (en) | industrial robot | |
KR20130018141A (en) | Conveying apparatus | |
CN114572905A (en) | Double-deep-position fork | |
KR102314364B1 (en) | Robot for transferring substrate | |
JP2007238197A (en) | Lifting device for baggage | |
KR102071791B1 (en) | Hand of industrial robot and industrial robot | |
JP5665417B2 (en) | Industrial robot | |
KR102340217B1 (en) | industrial robot | |
KR100725726B1 (en) | Glass conveying system | |
CN117302945B (en) | Turntable device, conveying line and conveying method | |
JP7641162B2 (en) | Industrial robot hand and industrial robot | |
JP2008284646A (en) | Robot | |
KR20090122611A (en) | Semiconductor device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
JP2022059946A (en) | Hand of industrial robot, industrial robot | |
JP2022059947A (en) | Industrial robot hand, and industrial robot | |
JP2000118617A (en) | Cargo transfer device and stacker cra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