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833B1 - Multiaxial Stage for Inspection - Google Patents
Multiaxial Stage for Insp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9833B1 KR102059833B1 KR1020190032685A KR20190032685A KR102059833B1 KR 102059833 B1 KR102059833 B1 KR 102059833B1 KR 1020190032685 A KR1020190032685 A KR 1020190032685A KR 20190032685 A KR20190032685 A KR 20190032685A KR 102059833 B1 KR102059833 B1 KR 1020598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ting
- unit
- module
- axis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10 drug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5—Testing of complete machines, e.g. washing-machines or mobile 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검사 대상의 검사를 위한 다축 스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 대상을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소형화가 가능한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axis stage for inspection of the inspection obje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axis stage for inspection that can be moved or rotated in a variety of directions, and can be miniaturized.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용 검사 장치는, 통신 연결을 위하여 직렬 포트와 USB 포트 및 GPIB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포트가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와,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단말기 성능 검사장치의 기본 설정 상태를 읽어 표시하며, 시험 진행자의 설정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시험조건 설정수단과, 통신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와 연결한 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성능 측정 조건을 표시하며, 시험 진행자의 시험 진행 요청에 따라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시험을 진행하는 시험 개별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In general, the test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includes an interface in which at least one of a serial port, a USB port, and a GPIB port is connected to a terminal performance test device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a basic setting state of the terminal performance test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port. Read and display the test condition setting means for changing the setting state of the terminal performanc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 test request from the test coordinator, and connect to the terminal performance test apparatus through a communication port, and then measure the performance measurement condi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est individual control means for performing a test by remotely controlling the terminal performanc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 test progress request of the test coordinator.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33657호는, 이동통신 단말기 성능 검사유닛이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포트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133657 has a problem in tha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ance test unit is directly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causing damage to a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공개특허는 이동통신 단말기 성능 검사유닛이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될 때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접속단자 사이에 걸림 결합을 두고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 성능 검사유닛과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일이 자동화하는 것이 쉽지 않아 수작업으로 접속시켜야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published patent has a jamming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for stable coupling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ance test un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ance test unit and the direc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dividually.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not easy to connect by hand.
이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검사 지그가 개발되었다.Accordingly, an inspection jig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다만, 종래 기술에 따른 검사 지그는,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장비가 점유하는 부피가 매우 크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정밀도가 비교적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inspection jig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internal structure is made very complicated, thereby the volume occupied by the equipment is very large, and also has a problem that the precision is relatively low.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른 검사 지그는 복잡한 내부 구조로 인해 고장이 자주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inspection jig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the failure is often caused due to the 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waste of cost required for maintenance / repair occurs.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검사 대상을 다양한 방향으로 정밀하게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소형화가 가능한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ecisely move or rotate the inspection object in various directions, and has an object to provide a multi-axis stage for inspection that can be miniaturiz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는,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x축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선형이동유닛,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x축과 직교하는 y축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선형이동유닛,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틸팅유닛, 상기 제1틸팅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틸팅유닛 및 상기 제2틸팅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로테이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테이팅유닛을 포함한다.The inspection multi-axis s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linear movement unit, which is provided on the base unit,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unit, the linear movement along the x-axis, the first linear movement of the unit A second linear moving unit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linear moving unit, the second linear moving unit being formed to be linearly moved along the y axis perpendicular to the x axis, and being tiltable with the y axis as the rotation axis; The first tilting unit is provided on the first tilting unit, and the second tilt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ilting unit and the second tilting unit provided to be tiltable with the x-axis as the rotation axis, and the rotation is possible with the z-axis as the rotation axis. Rotating unit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제2틸팅유닛에 고정되는 고정모듈 및 상기 로테이팅유닛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모듈에 대한 상대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로테이팅유닛을 상기 제2틸팅유닛으로부터 로테이팅시키는 로테이팅 유도모듈을 포함하는 회전유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ixing module fixed to the second tilting unit and the rotating unit, wherein the rotating unit rotates from the second tilting unit as the relative angle of the fixing module is variably formed. I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induction unit including an induction module.
또한 상기 로테이팅 유도모듈은 상기 고정모듈 방향으로 개구된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도유닛은, 상기 로테이팅 유도모듈의 양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삽입돌기에 대한 상기 로테이팅 유도모듈의 상대 각도를 가변시키는 한 쌍의 조절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induction module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module, the fixed module includes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rotation guide unit, the rotation of the induction module It is provided to penetrate both sides, it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adjusting bolts for varying the relative angle of the rotating induction module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projections as it is formed to adjust the length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그리고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상에 구비되는 제1이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유닛에 고정되며,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모듈 및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제1가이드모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inear moving unit is fixed to the first moving plate provided on the base unit, the base unit, the first guide module and the first moving plate which are elongat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first moving plate is fixed to the base unit. The first guide module may include a first slide module slidably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module.
또한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기준블록 및 상기 제1기준블록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되고, 일부가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를 x축 상에서 선형 이동시키는 제1이동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제1이동보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inear moving unit is rotatably extended to one side of the first reference block and the first reference block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unit, a part is screwed with the first moving plate, Accordingly, it may include a first moving auxiliary module including a first moving control member for linearly moving the first moving plate on the x-axis.
그리고 상기 제1이동보조모듈은, 상기 제1기준블록을 중심으로 상기 제1조절부재의 반대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기준블록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제1압축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vable auxiliary module is provid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first adjus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rst reference block and is fixed to the first movable plate and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first fixing member. It may further comprise a first compressio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elasticity between the first reference block.
또한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은,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 상에 구비되는 제2이동플레이트,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에 고정되며,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가이드모듈 및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제2가이드모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슬라이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inear mov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moving plate provided on the first linear moving unit, a second guide module fixed to the first linear moving unit, and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moving plate. It may be fixed to, and may include a second slide module that is formed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module.
그리고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은,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기준블록 및 상기 제2기준블록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되고, 일부가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를 y축 상에서 선형 이동시키는 제2이동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제2이동보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inear moving unit may be rotatably extend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block and the second reference block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inear moving unit, and part of the second moving plate may be screwed with the second moving plate. A second movement auxiliary module may include a second movement adjusting member configured to linearly move the second movement plate on the y axis according to rotation.
또한 상기 제2이동보조모듈은, 상기 제2기준블록을 중심으로 상기 제2이동조절부재의 반대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2기준블록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제2압축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vable auxiliary module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movement adjus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ference block,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fixed to the second moving plate and the A second compressio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elasticity between the second reference block may be further included.
그리고 상기 제1틸팅유닛은,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 상에 구비되되, y축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틸팅플레이트 및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제1회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ilting unit is provided on the second linear moving unit, the first tilting plate is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first rotation to change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tilting plate It may include a module.
또한 상기 제1회전모듈은,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타측 하면에 제1경사면이 형성된 제1틸팅블록 및 상기 제1틸팅블록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되되, 일부가 상기 제1틸팅블록과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틸팅블록을 x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제1틸팅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틸팅유닛은, 상기 제1경사면의 하부에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틸팅블록이 x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경우 상기 제1틸팅블록 타측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제1높이가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otating module is provided below the first tilting plate, and extends rotatably to one side of the first tilting block and the first tilting block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other lower surface thereof, and part of the first rotating module And a first tilting control member screwed with the tilting block to linearly move the first tilting block in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rotation, wherein the first tilting unit protrudes below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a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height variable module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ilting block when the first tilting block is moved linearly in the x-axis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1틸팅유닛은,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와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제3압축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il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mpressive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ity between the first tilting plate and the second linear moving unit.
또한 상기 제2틸팅유닛은, 상기 제1틸팅유닛 상에 구비되되, x축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틸팅플레이트 및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제2회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ilting unit is provided on the first tilting unit, the second tilting plate and the second rotary module for changing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tilting plate is formed to be rotatable based on the axis of rotation in the x-axis direction It may include.
그리고 상기 제2회전모듈은,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타측 상면에 제2경사면이 형성된 제2틸팅블록 및 상기 제2틸팅블록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되되, 일부가 상기 제2틸팅블록과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틸팅블록을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제2틸팅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틸팅유닛은, 상기 제2경사면의 상부에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틸팅블록이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경우 상기 제2경사면에 의해 높이가 가변되는 제2높이가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otating module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tilting plate and extends rotatably to one side of the second tilting block and the second tilting block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and a part of the second rotating module. And a second tilting control member screwed with the second tilting block to linearly move the second tilting block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rotation, wherein the second tilting unit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he second tilting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eight variable module whose height is changed by the second inclined plane when the second tilting block is linearly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또한 상기 제2틸팅유닛은,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와 상기 제1틸팅유닛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제4압축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il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compressive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elasticity between the second tilting plate and the first tilting unit.
그리고 상기 로테이팅유닛은, 상기 제2틸팅유닛의 상부에 고정되는 회전축모듈 및 상기 회전축모듈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테이팅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unit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modul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ilting unit and a rotating plate rotatably provided as the rotating shaft modul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inspection multi-axis s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각 구성요소의 이동 또는 회전 구조가 매우 합리적으로 설계되어, 검사 대상의 변위를 정밀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movement or rotation structure of each component is very rational desig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accurately vary the displacement of the inspection object.
둘째, 하나의 이동 단위를 형성하는 각 구성요소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전체 부피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each component forming one moving unit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greatly reduce the overall volume.
셋째, 합리적인 구조로 인해 고장 빈도를 극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due to the rational structure, the frequency of failures can be extremely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maintenan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베이스유닛 및 제1선형이동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제2선형이동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제1틸팅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제2틸팅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로테이팅유닛 및 회전유도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제1록킹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제2록킹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multi-axis stage for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ase unit and the first linear moving unit in the inspection multi-axis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linear moving unit in the inspection multi-axis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tilting unit in the inspection multi-axis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tilting unit in the inspection multi-axis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otating unit and the rotation induction unit in the multi-axis stage for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locking unit in the multi-axis stage for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locking unit in the inspection multi-axis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inspection multi-axis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는 베이스유닛(10)과, 제1선형이동유닛(100)과, 제2선형이동유닛(200)과, 제1틸팅유닛(300)과, 제2틸팅유닛(400)과, 회전유도유닛(500)과, 로테이팅유닛(6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inspection multi-axis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는 제1록킹유닛(700) 및 제2록킹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spection multi-axis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베이스유닛(10)은 각 구성요소 중 최하부에 위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다른 구성요소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100)의 이동을 보조하게 된다.The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베이스유닛(10) 및 제1선형이동유닛(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 and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100)은 상기 베이스유닛(10)의 상부에 구비되며, x축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first
구체적으로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100)은 상기 베이스유닛(10) 상에 구비되는 제1이동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유닛(10)의 상부로 돌출된 제1가이드모듈고정부(12)에 고정되며,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모듈(120a)과,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에 고정되며, 상기 제1가이드모듈(12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모듈(120b)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In detail, the first
이에 따라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슬라이드모듈(120b)의 슬라이딩 이동과 함께 x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moving
또한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100)은, 상기 베이스유닛(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기준블록(144)과, 상기 제1기준블록(144)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되고, 일부가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를 x축 상에서 선형 이동시키는 제1이동조절부재(142)를 포함하는 제1이동보조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inear moving
이때 상기 제1이동조절부재(142)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부가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이동조절부재(142)의 끝단부에는 별도의 공구(미도시)를 삽입하여 상기 제1이동조절부재(1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구삽입홈(143)이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1이동보조모듈(140)은, 상기 제1기준블록(144)을 중심으로 상기 제1조절부재(142)의 반대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145)와, 상기 제1고정부재(145) 및 상기 제1기준블록(144)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제1압축탄성부재(146)를 더 포함한다.The first moving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조절부재(142)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는 x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145)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기준블록(144)은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압축탄성부재(146)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가 제1이동조절부재(142) 측으로 이동할 경우 압축되며,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가 상기 제1이동조절부재(142)의 반대측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원래대로 복원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즉 상기 제1압축탄성부재(146)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가 선형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소의 저항력 또는 복원력을 제공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ompression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145)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제1피고정부(145a)와, 상기 제1피고정부(145a)로부터 상기 제1기준블록(144)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압축탄성부재(146)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1압축탄성부재(146)를 고정시키는 제1탄성부재고정부(145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fixing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의 최대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1스토핑부재(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핑부재(13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베이스유닛(10)의 제1가이드모듈고정부(12)에 고정되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의 측부로 돌출된 제1스토핑볼트(114)에 의해 고정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이때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제1스토핑볼트(114)가 삽입되는 장홀 형태의 제1볼트삽입홀(132)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가 선형 이동될 경우 상기 제1스토핑볼트(114)는 상기 제1볼트삽입홀(143)의 길이 범위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11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In this case, a first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제2선형이동유닛(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linear movin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200)은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y축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4 and 5, the second linear moving
구체적으로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200)은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100) 상에 구비되는 제2이동플레이트(120)와,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100)의 상부로 돌출된 제2가이드모듈고정부(112)에 고정되며,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가이드모듈(220a)과,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에 고정되며, 상기 제2가이드모듈(22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슬라이드모듈(220b)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In detail, the second linear moving
이에 따라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는 상기 제2슬라이드모듈(220b)의 슬라이딩 이동과 함께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moving
또한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200)은,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2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기준블록(244)과, 상기 제2기준블록(244)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되고, 일부가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를 y축 상에서 선형 이동시키는 제2이동조절부재(242)를 포함하는 제2이동보조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inear moving
이때 상기 제2이동조절부재(242)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부가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이동조절부재(242)의 끝단부에는 별도의 공구(미도시)를 삽입하여 상기 제2이동조절부재(2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구삽입홈(243)이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그리고 상기 제2이동보조모듈(240)은, 상기 제2기준블록(244)을 중심으로 상기 제2조절부재(242)의 반대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245)와, 상기 제2고정부재(245) 및 상기 제2기준블록(244)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제2압축탄성부재(246)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moving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동조절부재(242)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는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2고정부재(245)는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기준블록(244)은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압축탄성부재(246)는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가 제2이동조절부재(242) 측으로 이동할 경우 압축되며,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가 상기 제2이동조절부재(242)의 반대측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원래대로 복원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즉 상기 제1압축탄성부재(246)는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가 선형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소의 저항력 또는 복원력을 제공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ompression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고정부재(245)는,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제2피고정부(245a)와, 상기 제2피고정부(245a)로부터 상기 제2기준블록(244)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압축탄성부재(246)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2압축탄성부재(246)를 고정시키는 제2탄성부재고정부(245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fixing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의 최대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2스토핑부재(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핑부재(23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에 고정되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210)의 제2가이드모듈고정부(112)의 측부로 돌출된 제2스토핑볼트(214)에 의해 고정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second stopping
이때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에는 상기 제2스토핑볼트(214)가 삽입되는 장홀 형태의 제2볼트삽입홀(232)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가 선형 이동될 경우 상기 제2스토핑볼트(214)는 상기 제2볼트삽입홀(243)의 길이 범위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In this case, a second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제1틸팅유닛(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6 to 8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틸팅유닛(300)은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2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된다.6 to 8,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1틸팅유닛(300)은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200) 상에 구비되되, y축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틸팅플레이트(310)와,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제1회전모듈(330)과, 제1높이가변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는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의 제1회전축고정부(212)에 형성된 제1축삽입홀(211, 도 4 참조)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1회전축부재(32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부재(322)는 제1축고정부재(320)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고정부(212)에 고정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회전모듈(330)은,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하부에 구비되며, 타측 하면에 제1경사면(336)이 형성된 제1틸팅블록(335)과, 상기 제1틸팅블록(335)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되되, 일부가 상기 제1틸팅블록(335)과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틸팅블록(335)을 x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제1틸팅조절부재(334)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이때 상기 제1틸팅조절부재(334)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에 고정되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3이동조절부재(331)에 연결되며, 상기 제3이동조절부재(331)의 끝단부에는 별도의 공구(미도시)를 삽입하여 상기 제1틸팅조절부재(33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구삽입홈(3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이동조절부재(331)는 제1고정블록(333)에 의해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1높이가변모듈(340)은, 상기 제1경사면(336)의 하부에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틸팅블록(335)이 x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경우 상기 제1틸팅블록(335) 타측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구성요소이다.In addition, the firs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높이가변모듈(340)은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의 상면에 형성된 제1안착홈(213, 도 4 참조)에 삽입된 형태를 가지며,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기준바(342)와, 상기 제1기준바(34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롤러 형태의 제1높이가변롤러(344)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즉 상기 제1틸팅블록(335)이 x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경우, 상기 제1틸팅블록(335)의 제1경사면(336)은 상기 제1높이가변롤러(344)에 접촉된 상태로 미끄러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1틸팅블록(335)의 높이가 변화하며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타측을 밀어내거나 또는 밀어내던 힘을 제거함에 따라 상기 제1틸팅유닛(300)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이때 상기 제1틸팅유닛(300)은,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와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200)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도록 제2이동플레이트(210)의 제1탄성부재안착홈(215, 도 4 참조)에 안착되는 제3압축탄성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틸팅블록(335)이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타측을 상부로 밀어낼 경우 상기 제3압축탄성부재(350)가 압축되며, 상기 제1틸팅블록(335)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타측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할 경우 상기 제3압축탄성부재(350)가 복원되어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일측을 밀어내게 된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제3압축탄성부재(350)는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가 틸팅되는 과정에서 다소의 저항력 또는 복원력을 제공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That is, the third compression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제2틸팅유닛(4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틸팅유닛(400)은 상기 제1틸팅유닛(300)의 상기 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된다.9 and 10,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2틸팅유닛(400)은 상기 제1틸팅유닛(200) 상에 구비되되, x축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틸팅플레이트(410)와,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제2회전모듈(430)과, 제2높이가변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는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제2회전축고정부(312)에 형성된 제1축삽입홀(311, 도 6 참조)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2회전축부재(42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부재(422)는 제2축고정부재(420)에 의해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에 고정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회전모듈(430)은,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의 하부에 구비되며, 타측 상면에 제2경사면(436)이 형성된 제2틸팅블록(435)과, 상기 제2틸팅블록(435)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되되, 일부가 상기 제2틸팅블록(435)과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틸팅블록(435)을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제2틸팅조절부재(434)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이때 상기 제1틸팅조절부재(434)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에 고정되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4이동조절부재(431)에 연결되며, 상기 제4이동조절부재(431)의 끝단부에는 별도의 공구(미도시)를 삽입하여 상기 제2틸팅조절부재(43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구삽입홈(4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이동조절부재(431)는 제2고정블록(433)에 의해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2높이가변모듈(440)은, 상기 제2경사면(436)의 상부에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틸팅블록(435)이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경우 상기 제2틸팅블록(435) 타측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secon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높이가변모듈(440)은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기준바(442)와, 상기 제2기준바(44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롤러 형태의 제2높이가변롤러(444)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즉 상기 제2틸팅블록(435)이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경우, 상기 제2틸팅블록(435)의 제2경사면(436)은 상기 제2높이가변롤러(444)에 접촉된 상태로 미끄러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2높이가변모듈(440)의 높이가 변화하며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의 타측을 밀어내거나 또는 밀어내던 힘을 제거함에 따라 상기 제2틸팅유닛(400)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이때 상기 제2틸팅유닛(400)은,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와 상기 제1틸팅유닛(300)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도록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제2탄성부재안착홈(315, 도 6 참조)에 안착되는 제4압축탄성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틸팅블록(435)이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의 타측을 상부로 밀어낼 경우 상기 제4압축탄성부재(450)가 압축되며, 상기 제2틸팅블록(435)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의 타측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할 경우 상기 제4압축탄성부재(450)가 복원되어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의 일측을 밀어내게 된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제4압축탄성부재(450)는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가 틸팅되는 과정에서 다소의 저항력 또는 복원력을 제공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That is, the fourth compressive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로테이팅유닛(600) 및 회전유도유닛(5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1 and 12 are views illustrating the structures of the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테이팅유닛(600)은 상기 제2틸팅유닛(400)의 상부에 구비되며, 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로테이팅 가능하게 구비된다.As illustrated in FIGS. 11 and 12, the
구체적으로 상기 로테이팅유닛(600)은 상기 제2틸팅유닛(4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축모듈(620)과, 상기 회전축모듈(62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테이팅플레이트(6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로테이팅플레이트(610)에는 검사 대상을 안착시키는 검사플레이트가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회전유도유닛(500)은, 상기 제2틸팅유닛(400)에 고정되는 고정모듈(510)과, 상기 로테이팅유닛(600)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모듈(510)에 대한 상대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로테이팅유닛(600)을 상기 제2틸팅유닛(400)으로부터 로테이팅시키는 로테이팅 유도모듈(520)을 포함한다.The
이때 상기 로테이팅 유도모듈(520)은 상기 고정모듈(510) 방향으로 개구된 삽입홈(52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510)은 상기 삽입홈(522)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삽입돌기(5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모듈(510의 역 방향의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512)가 상기 삽입홈(522)에 삽입된 상태를 가진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회전유도유닛(500)은, 상기 로테이팅 유도모듈(520)의 양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되, 상기 삽입홈(522)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삽입돌기(512)에 대한 상기 로테이팅 유도모듈(520)의 상대 각도를 가변시키는 한 쌍의 조절볼트(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볼트(530)는 볼트헤드(532)와, 상기 로테이팅 유도모듈(520)의 양측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볼트바디(532)와, 상기 볼트바디(532)의 끝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512)의 측부에 접촉되는 라운드부(53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볼트바디(532)는 상기 로테이팅 유도모듈(520)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즉 사용자가 한 쌍의 조절볼트(530) 중 어느 하나의 조절볼트(5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삽입 깊이를 보다 깊게 조절하고, 다른 하나의 조절볼트(53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삽입 깊이를 보다 얕게 조절할 경우, 상기 로테이팅 유도모듈(520)과 상기 고정모듈(510) 간의 상대 각도가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로테이팅플레이트(610)가 상기 회전축모듈(62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That is, the user rotates one of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제1록킹유닛(7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는 제2틸팅플레이트(410)의 틸팅을 구속하기 위한 제1록킹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inspection multi-axis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구체적으로 상기 제1록킹유닛(700)은 별도의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구삽입홈(712)이 형성된 제1록킹조절부재(710)와, 상기 제1록킹조절부재(710)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제1수평이동부재(720)와, 상기 제1수평이동부재(720)의 선형 이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제1수직이동부재(73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이때 상기 제1수평이동부재(720) 및 상기 제1수직이동부재(730)는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내측에 각각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수평이동부재(720)와 상기 제1수직이동부재(730)와의 접촉면은 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first horizontal moving member 720 and the first vertical moving
즉 상기 제1수평이동부재(720)가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내측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제1수평이동부재(720)의 제1경사대향면(722)이 상기 제1수직이동부재(730)의 제2경사대향면(732)을 밀어내 상기 제1수직이동부재(730)가 상향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수직이동부재(730)의 상단부는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의 하부에 형성된 제1록킹홈(415)에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horizontal moving member 720 is linearly moved inwardly of the
반대로 상기 제1수평이동부재(720)가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외측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제1수직이동부재(730)는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41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first horizontal moving member 720 is linearly mov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에 있어서, 제2록킹유닛(8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는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틸팅을 구속하기 위한 제2록킹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inspection multi-axis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구체적으로 상기 제2록킹유닛(800)은 별도의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구삽입홈(812)이 형성된 제2록킹조절부재(810)와, 상기 제2록킹조절부재(810)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제2수평이동부재(820)와, 상기 제2수평이동부재(820)의 선형 이동에 따라 구속 상태가 가변되는 제2수직이동부재(830)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상기 제2록킹유닛(800)이 전술한 제1록킹유닛(700, 도 13 참조)과 다른 점은,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830)가 상기 제2수평이동부재(820)보다 하부에 구비된다는 점이다.The
이때 상기 제2수평이동부재(820) 및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830)는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내측에 각각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수평이동부재(820)와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830)와의 접촉면은 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즉 상기 제2수평이동부재(820)가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내측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제2수평이동부재(820)의 제3경사대향면(822)이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0)의 상부에 형성된 제2록킹홈(215)에 끼워진 상태의 제2수직이동부재(830)의 제4경사대향면(832)에 접촉되어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830)을 구속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In this case, rotation of the
반대로 상기 제2수평이동부재(820)가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외측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830)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의 기울기가 가변될 경우 상기 제2수직이동부재(830)는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310) 내에서 자유이동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베이스유닛
100: 제1선형이동유닛
110: 제1이동플레이트
120a: 제1가이드모듈
120b: 제1슬라이딩모듈
200: 제2선형이동유닛
210: 제2이동플레이트
220a: 제2가이드모듈
220b: 제2슬라이딩모듈
300: 제1틸팅유닛
310: 제1틸팅플레이트
330: 제1회전모듈
340: 제1높이가변모듈
400: 제2틸팅유닛
410: 제2틸팅플레이트
430: 제2회전모듈
440: 제2높이가변모듈
500: 회전유도유닛
510: 고정모듈
520: 로테이팅 유도모듈
600: 로테이팅유닛
610: 로테이팅플레이트
620: 회전축모듈
700: 제1록킹유닛
800: 제2록킹유닛10: base unit
100: first linear moving unit
110: first moving plate
120a: first guide module
120b: first sliding module
200: second linear moving unit
210: second moving plate
220a: second guide module
220b: second sliding module
300: first tilting unit
310: first tilting plate
330: first rotating module
340: first height variable module
400: second tilting unit
410: second tilting plate
430: second rotation module
440: second height variable module
500: rotating induction unit
510: fixed module
520: rotating induction module
600: rotating unit
610: rotating plate
620: rotating shaft module
700: first locking unit
800: second locking unit
Claims (16)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x축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선형이동유닛;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x축과 직교하는 y축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선형이동유닛;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틸팅유닛;
상기 제1틸팅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틸팅유닛; 및
상기 제2틸팅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로테이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테이팅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로테이팅유닛은,
상기 제2틸팅유닛의 상부에 고정되는 회전축모듈; 및
상기 회전축모듈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테이팅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A base unit;
A first linear moving uni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unit and configured to linearly move along an x axis;
A second linear moving uni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linear moving unit and configured to linearly move along a y axis perpendicular to the x axis;
A first tilting uni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linear moving unit, the first tilting unit being tiltable with the y axis as the rotation axis;
A second tilting unit provided above the first tilting unit, the second tilting unit being tiltable with the x-axis as the rotation axis; And
A rotating uni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ilting unit, the rotating unit being rotatable with a z-axis as a rotation axis;
Including;
The rotating unit,
A rotary shaft modul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ilting unit; And
A rotating plate rotatably provided with the rotating shaft module as the rotating shaft;
Inspection multi-axis stage comprising a.
상기 제2틸팅유닛에 고정되는 고정모듈; 및
상기 로테이팅유닛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모듈에 대한 상대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로테이팅유닛을 상기 제2틸팅유닛으로부터 로테이팅시키는 로테이팅 유도모듈;
을 포함하는 회전유도유닛을 더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1,
A fixing module fixed to the second tilting unit; And
A rotating induction module which is fixed to the rotating unit and rotates the rotating unit from the second tilting unit as the relative angle of the fixing module is variably formed;
Inspection multi-axis stage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induction unit comprising a.
상기 로테이팅 유도모듈은 상기 고정모듈 방향으로 개구된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도유닛은,
상기 로테이팅 유도모듈의 양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삽입돌기에 대한 상기 로테이팅 유도모듈의 상대 각도를 가변시키는 한 쌍의 조절볼트를 더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ng induction module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opened toward the fixing module, and the fixing module includes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rotation induction unit,
A pair of adjustment bolts are provided to penetrate both sides of the rotating induction module, and are formed to adjust the length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reby varying a relative angle of the rotating induction module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protrusion. Multi-axial stage for inspection further.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상에 구비되는 제1이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유닛에 고정되며,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모듈; 및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제1가이드모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모듈;
을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linear moving unit,
A first moving plate provided on the base unit;
A first guide module fixed to the base unit and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first slide module fixed to the first moving plate and slidably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module;
Inspection multi-axis stage comprising a.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기준블록; 및
상기 제1기준블록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되고, 일부가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를 x축 상에서 선형 이동시키는 제1이동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제1이동보조모듈을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linear moving unit,
A first reference block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unit; And
A first movement control member extending rotatably to one side of the first reference block and partially screwed with the first movement plate to linearly move the first movement plate on an x-axis according to rotation;
Inspection multi-axis stage comprising a first moving aid module comprising a.
상기 제1이동보조모듈은,
상기 제1기준블록을 중심으로 상기 제1조절부재의 반대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기준블록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제1압축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moving aid module,
A first fixing member provid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first adjus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rst reference block and fixed to the first moving plate; And
A first compression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ity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first reference block;
Multiaxial stage for inspection further comprising.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은,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 상에 구비되는 제2이동플레이트;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에 고정되며,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가이드모듈; 및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제2가이드모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슬라이드모듈;
을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linear moving unit,
A second moving plate provided on the first linear moving unit;
A second guide module fixed to the first linear moving unit and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second slide module fixed to the second moving plate and slidably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module;
Inspection multi-axis stage comprising a.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은,
상기 제1선형이동유닛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기준블록; 및
상기 제2기준블록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되고, 일부가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를 y축 상에서 선형 이동시키는 제2이동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제2이동보조모듈을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linear moving unit,
A second reference block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linear moving unit; And
A second movement control member rotatably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block and partially screwed with the second movement plate to linearly move the second movement plate on a y axis according to rotation;
Inspection multi-axis stage comprising a second moving aid module comprising a.
상기 제2이동보조모듈은,
상기 제2기준블록을 중심으로 상기 제2이동조절부재의 반대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2기준블록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제2압축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moving aid module,
A second fixing member provid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second moving control member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ference block and fixed to the second moving plate; And
A second compression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ity between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reference block;
Multiaxial stage for inspection further comprising.
상기 제1틸팅유닛은,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 상에 구비되되, y축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틸팅플레이트; 및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제1회전모듈;
을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ilting unit,
A first tilting plate provided on the second linear moving unit, the first tilting plate being rotatable based on a rotation axis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first rotating module for changing a tilt of the first tilting plate;
Inspection multi-axis stage comprising a.
상기 제1회전모듈은,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타측 하면에 제1경사면이 형성된 제1틸팅블록; 및
상기 제1틸팅블록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되되, 일부가 상기 제1틸팅블록과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틸팅블록을 x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제1틸팅조절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틸팅유닛은,
상기 제1경사면의 하부에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틸팅블록이 x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경우 상기 제1틸팅블록 타측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제1높이가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rotary module,
A first tilting block provided below the first tilting plate, the first tilting block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on the other lower surface thereof; And
A first tilting control member extending rotatably to one side of the first tilting block, a part of which is screwed with the first tilting block to linearly move the first tilting block in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rotation;
Including;
The first tilting unit,
It is provided in a state protrud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the inspection for further comprising a first height variable module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ilting block when the first tilting block is moved linearly in the x-axis direction Multi-Axis Stage.
상기 제1틸팅유닛은,
상기 제1틸팅플레이트와 상기 제2선형이동유닛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제3압축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tilting unit,
And a third compressive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ity between the first tilting plate and the second linear moving unit.
상기 제2틸팅유닛은,
상기 제1틸팅유닛 상에 구비되되, x축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틸팅플레이트; 및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제2회전모듈;
을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tilting unit,
A second tilting plate provided on the first tilting unit, the second tilting plate being rotatable based on a rotation axis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second rotating module for changing a tilt of the second tilting plate;
Inspection multi-axis stage comprising a.
상기 제2회전모듈은,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타측 상면에 제2경사면이 형성된 제2틸팅블록; 및
상기 제2틸팅블록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되되, 일부가 상기 제2틸팅블록과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틸팅블록을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제2틸팅조절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틸팅유닛은,
상기 제2경사면의 상부에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틸팅블록이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경우 상기 제2경사면에 의해 높이가 가변되는 제2높이가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rotary module,
A second tilting block provided below the second tilting plate and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thereof; And
A second tilting control member extending rotatably to one side of the second tilting block, a part of which is screwed with the second tilting block to linearly move the second tilting block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rotation;
Including;
The second tilting unit,
It is provided in a state protruding on the top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when the second tilting block is moved linearly in the y-axis direc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height variable module for varying the height b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stage.
상기 제2틸팅유닛은,
상기 제2틸팅플레이트와 상기 제1틸팅유닛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제4압축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tilting unit,
And a fourth compressive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ity between the second tilting plate and the first tilting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2685A KR102059833B1 (en) | 2019-03-22 | 2019-03-22 | Multiaxial Stage for Insp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2685A KR102059833B1 (en) | 2019-03-22 | 2019-03-22 | Multiaxial Stage for Inspe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9833B1 true KR102059833B1 (en) | 2019-12-27 |
Family
ID=6906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2685A Active KR102059833B1 (en) | 2019-03-22 | 2019-03-22 | Multiaxial Stage for Insp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983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2182B1 (en) | 2020-07-09 | 2020-12-17 | (주)이즈미디어 | Multi axis stage apparatus |
KR20210096960A (en) * | 2020-01-29 | 2021-08-06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Apparatus for Multi-Axial Active Adjustment |
KR102405094B1 (en) * | 2021-12-15 | 2022-06-07 | 한화시스템(주) | Assembling device for barrel and main mirror of optical equipment |
KR20220134167A (en) * | 2021-03-26 | 2022-10-05 | (주)지엠더블유 | Wireless device insp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setting posi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5964A (en) * | 2001-03-26 | 2002-10-09 | 주식회사 실리콘 테크 | Multi-axis stage control device using frictionless flexure bearings |
KR20050008341A (en) * | 2003-07-15 | 2005-01-21 | 이종항 | Manufacturing method of the 3 dimensional ultra small scale profile by focused ion beam |
KR20060133657A (en) | 2005-06-21 | 2006-12-27 | (주) 엠플로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ance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
KR20090100019A (en) * | 2008-03-19 | 2009-09-23 | 주식회사 자코드 |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2019
- 2019-03-22 KR KR1020190032685A patent/KR10205983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5964A (en) * | 2001-03-26 | 2002-10-09 | 주식회사 실리콘 테크 | Multi-axis stage control device using frictionless flexure bearings |
KR20050008341A (en) * | 2003-07-15 | 2005-01-21 | 이종항 | Manufacturing method of the 3 dimensional ultra small scale profile by focused ion beam |
KR20060133657A (en) | 2005-06-21 | 2006-12-27 | (주) 엠플로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ance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
KR20090100019A (en) * | 2008-03-19 | 2009-09-23 | 주식회사 자코드 |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6960A (en) * | 2020-01-29 | 2021-08-06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Apparatus for Multi-Axial Active Adjustment |
KR102449761B1 (en) * | 2020-01-29 | 2022-09-30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Multi-axis drive alignment device |
KR102192182B1 (en) | 2020-07-09 | 2020-12-17 | (주)이즈미디어 | Multi axis stage apparatus |
KR20220134167A (en) * | 2021-03-26 | 2022-10-05 | (주)지엠더블유 | Wireless device insp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setting position |
KR102591202B1 (en) * | 2021-03-26 | 2023-10-19 | (주)지엠더블유 | Wireless device insp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setting position |
KR102405094B1 (en) * | 2021-12-15 | 2022-06-07 | 한화시스템(주) | Assembling device for barrel and main mirror of optical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9833B1 (en) | Multiaxial Stage for Inspection | |
KR101993372B1 (en) | Multiaxial Stage for Inspection | |
TWI605650B (en) | Formed wire probe interconnect for test die contactor | |
US20100162789A1 (en) | Apparatus for drop testing and method utilizing the same | |
CN101576573B (en) | Plug device | |
CN117949885B (en) | Vibration testing device for current transformer | |
US20120126843A1 (en) | Probe card holding apparatus and prober | |
KR100995811B1 (en) | Probe unit for fine positioning of the probe | |
KR100428782B1 (en) | Apparatus for measuring tension of pogo pin | |
CN107514958A (en) | A multifunctional measuring instrument and measuring method for shape and position tolerance of shaft assembly | |
KR100422424B1 (en) | a | |
KR20160027327A (en) | Device for detecting lens position of camera module | |
KR20230127184A (en) | Device for aligning probe assembly | |
KR101465327B1 (en) | Buckling restrained jig for compression test using tensile tester | |
US20050194985A1 (en) | Compliance module, particularly for a manipulator for positioning a test head, and one such manipulator | |
KR101605805B1 (en) | Volumetric measuring instrument of 3 dimension measuring machine | |
US8839678B2 (en) | Test apparatus, compliance mechanism, and related method | |
CN108132019A (en) | Flexible optical measures stent | |
CN111504618B (en) | Test Fixture | |
CN107607140A (en) | Measuring instrument adjusts platform | |
CN209246855U (en) | Automobile door internal decoration part detection device | |
JP7517762B1 (en) | Positioning mechanism and test device | |
CN113311271A (en) | Static test auxiliary device | |
KR200365959Y1 (en) | probe unit possessed flating part of probe block for testing FDP | |
KR102426592B1 (en) | Ultrasonic probe correc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5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