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9417B1 - 블루투스 이어버드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이어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417B1
KR102059417B1 KR1020180136020A KR20180136020A KR102059417B1 KR 102059417 B1 KR102059417 B1 KR 102059417B1 KR 1020180136020 A KR1020180136020 A KR 1020180136020A KR 20180136020 A KR20180136020 A KR 20180136020A KR 102059417 B1 KR102059417 B1 KR 102059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case
elastic rubber
button
main pc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주상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8013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41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안테나가 헤드부에 위치하는 버튼의 러버를 지지하는 역할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좁은 실장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구조의 블루투스 이어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헤드부와 실린더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블루투스 모듈이 실장되는 메인 PCB,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메인 PCB와 연결되는 음향 재생 장치, 메인 PCB와 연결되는 푸쉬 키,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버튼, 버튼과 스위치 사이에 개재되어 버튼이 눌릴 때마다 스위치를 누르는 탄성 러버 및 탄성 러버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 러버를 고정하는 방사형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버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이어버드{BLUETOOTH EARBUD}
본 발명은 블루투스 이어버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미디어 장치와 연결되어 무선으로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음향 기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이어버드 타입의 음향 장치는 소형이며 경량이어서 휴대가 용이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어버드 디자인 형태에 따라서 안착 부위가 작은 경우 안테나 실장되는 공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성능상 제약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어버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어 버드는 안테나와 마이크로스피커, 회로기판 등의 부품이 설치되는 헤드부(10)와, 배터리가 설치되는 실린더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헤더부(10) 내에 안테나를 설치하는 경우, 배터리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품이 헤더부(10)에 설치되는 구조 상의 문제로 안테나의 실장 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린더부에 안테나를 설치한 이어버드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버드는, 이어버드들(3000a, 3000b)은 드라이버(3205), 음향 삽입부(3220), 가요성 회로(3225), 안테나(3330), 재충전가능 배터리(3335) 및 전기 커넥터(3060)를 포함한다. 그러나 실린더부에 안테나(3330)를 설치할 경우 역시 배터리(3335) 설치 공간을 제외한 부분에 안테나(3330)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안테나(3330)의 크기에 제약이 있으며, 배터리(3335)의 영향으로 인해 안테나(3330)에서 잡히는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할 염려가 많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39568
본 발명은, 블루투스 안테나가 헤드부에 위치하는 버튼의 러버를 지지하는 역할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좁은 실장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구조의 블루투스 이어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블루투스 이어버드는 헤드부와 실린더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블루투스 모듈이 실장되는 메인 PCB,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메인 PCB와 연결되는 음향 재생 장치, 메인 PCB와 연결되는 푸쉬 키,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버튼, 버튼과 스위치 사이에 개재되어 버튼이 눌릴 때마다 스위치를 누르는 탄성 러버, 및 탄성 러버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 러버를 고정하는 방사형 안테나;를 포함하며, 방사형 안테나는 탄성 러버의 상면에 부착되며 케이스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메인 PCB와 푸쉬 키 사이에 설치되며, 푸쉬 키와 탄성 러버의 하부를 지지하는 키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버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블루투스 모듈과 방사형 안테나는 C-CLIP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버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블루투스 이어버드는 블루투스 안테나가 버튼의 러버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구조물의 역할을 겸함으로써, 버튼 러버 지지 구조물을 삭제할 수 있어, 헤드부 내의 실장 공간이 넓어지고, 넓어진 공간만큼 블루투스 안테나의 크기를 키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어버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린더부에 안테나를 설치한 이어버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버드의 케이스와 버튼 탄성 러버를 삭제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버드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블루투스 이어버드는 헤드부와 배터리가 실장되는 실린더부로 구분될 수 있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를 구비한다. 케이스(100) 내에는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10)이 설치되고, 브라켓(110)에 블루투스 모듈(350)이 실장되는 메인 PCB(210)가 고정된다. 메인 PCB(210) 상에는 푸쉬 키(220)를 설치하기 위한 키 브라켓(120)이 설치되고, 키 브라켓(120) 상에 푸쉬 키(220)가 설치된다. 키 브라켓(120) 상에는 푸쉬 키(220)로 누르는 힘을 전달하는 탄성 러버(400)가 위치한다. 탄성 러버(400) 상부에는 방사형 안테나(300)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에 의해 부착된다. 방사형 안테나(300)는 또한 케이스(100)에 고정된다. 즉, 탄성 러버(400)의 하면은 키 브라켓(1200에 의해 지지되고, 상면은 방사형 안테나(300)에 의해 지지된다고 볼 수 있다. 턴성 러버(400)는 일반적인 키 러버 구조를 채용하여, 중앙에 돔부를 구비하고, 돔부에 푸시 키(220)를 가압하는 돌기가 구비된 형태이다.
한편, 탄성 러버(4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버튼(450)이 형성되며, 버튼(450)은 케이스(10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해 버튼(450)은 별도의 그릴 등을 통해 케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방사형 안테나(300)는 메인 PCB(210)와 C-clip(350)에 의해 연결된다.
이렇게 방사형 안테나(300)가 탄성 러버(400)를 고정하는 구조물 역할을 겸함으로써 부품 수를 절감할 수 있고, 그만큼 실장 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사형 안테나(300)의 크기를 키울 수 있고, 블루투스 이어버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헤드부와 실린더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블루투스 모듈이 실장되는 메인 PCB;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메인 PCB와 연결되는 음향 재생 장치;
    메인 PCB와 연결되는 푸쉬 키;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버튼;
    버튼과 스위치 사이에 개재되어 버튼이 눌릴 때마다 스위치를 누르는 탄성 러버; 및
    탄성 러버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 러버를 고정하는 방사형 안테나;를 포함하며,
    방사형 안테나는 탄성 러버의 상면에 부착되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버드.
  2. 제1항에 있어서,
    메인 PCB와 푸쉬 키 사이에 설치되며, 푸쉬 키와 탄성 러버의 하부를 지지하는 키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버드.
  3. 제1항에 있어서,
    블루투스 모듈과 방사형 안테나는 C-CLIP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이어버드.
KR1020180136020A 2018-11-07 2018-11-07 블루투스 이어버드 Expired - Fee Related KR102059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20A KR102059417B1 (ko) 2018-11-07 2018-11-07 블루투스 이어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20A KR102059417B1 (ko) 2018-11-07 2018-11-07 블루투스 이어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417B1 true KR102059417B1 (ko) 2019-12-27

Family

ID=6906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020A Expired - Fee Related KR102059417B1 (ko) 2018-11-07 2018-11-07 블루투스 이어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4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937A1 (ko) * 2021-06-24 2022-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102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39568A (ko) 2015-09-30 2017-04-11 애플 인크. 충전 시스템을 갖는 이어버드 케이스
KR20170120935A (ko) * 2016-04-22 201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KR101848669B1 (ko) * 2016-12-26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102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39568A (ko) 2015-09-30 2017-04-11 애플 인크. 충전 시스템을 갖는 이어버드 케이스
KR20170120935A (ko) * 2016-04-22 201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KR101848669B1 (ko) * 2016-12-26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937A1 (ko) * 2021-06-24 2022-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2355142B2 (en) 2021-06-24 2025-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78648B2 (en) Headset
JP4426912B2 (ja) マイクロホン装置
EP1970792B1 (en) Portable terminal with a large display
US5953414A (en) Piezo-electric speaker capsule for telephone handset
EP2934023B1 (en) Audio transducer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N113965846A (zh) 骨传导发声装置、骨传导发声装置装配方法及骨传导耳机
CN110708646A (zh) 骨传导扬声器、骨传导耳机及骨传导助听器
JP2006166078A (ja)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および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5534822B2 (ja) バウンダリーマイクロホン
CN210469408U (zh) 一种电子设备
CN110677760A (zh) 耳机
KR101468631B1 (ko) 진동변환기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진동장치
US9877093B2 (en) Sound generator
KR102059417B1 (ko) 블루투스 이어버드
CN207410493U (zh) 降噪数码收音耳机
JP2014027569A (ja) 電子機器用取付部材および電子機器と取付部材との組合せ体
US7507920B2 (en) Hearing aid with a control element
JP4901572B2 (ja) 電子機器における押しボタン構造
CN210469730U (zh) 骨传导扬声器、骨传导耳机及骨传导助听器
KR19990064012A (ko) 확성기 장비와 확성기를 설치하는 방법
JP5450044B2 (ja) 単一指向性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および接話型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2008160625A (ja) 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および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2007174588A (ja) ヘッドフォン
JP2008251669A (ja) 圧電素子
CN219041811U (zh) 减震装置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