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9197B1 -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 Google Patents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197B1
KR102059197B1 KR1020130030740A KR20130030740A KR102059197B1 KR 102059197 B1 KR102059197 B1 KR 102059197B1 KR 1020130030740 A KR1020130030740 A KR 1020130030740A KR 20130030740 A KR20130030740 A KR 20130030740A KR 102059197 B1 KR102059197 B1 KR 102059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ing
cooking
sound
unit
ti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741A (ko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2013003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197B1/ko
Priority to PCT/KR2014/002430 priority patent/WO2014148873A1/ko
Priority to CN201480029227.7A priority patent/CN105307542B/zh
Priority to JP2016505390A priority patent/JP6545150B2/ja
Priority to US14/779,050 priority patent/US11147408B2/en
Publication of KR2014011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19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57Milk-boiling vessels with water or steam jackets, e.g. with signa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8Handles having indicating means, e.g. fo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실시 예 1
냄비 내의 물의 비등을 감지할 시 신호를 출력하고 온도 센서가 포함된 비등 감지 수단; 상기 비등 감지 수단의 비등 감지 시에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서 작동을 개시하고, 요리 조절 수단의 조절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의 조절이 가능하고, 선택된 메뉴의 비등 감지 후부터 요리 완료 때까지의 소요시간인 "끓임 지속 시간 1" 이 설정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부; 상기 타이머 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서 신호 음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부; 전원 부를 포함하는 회로 부의 냄비 손잡이 내의 설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실시 예 2.
냄비 내의 물의 비등을 감지할 시 신호를 출력하고, 온도 센서가 포함된 비등 감지 수단; 상기 비등 감지 수단의 비등 감지 신호에 의해서 작동이 개시되고, 메뉴 선택 수단으로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2" 에 "투입 소요 시간" 이 합해진 시간이 설정되고, 요리 조절 수단의 조절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이 조절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부; 조작 시에 상기 타이머부의 진행중인 설정시간 계측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게 하는 리스타트(restart) 버튼;상기 비등 감지 수단의 비등 감지 신호에 의해서 비등 음향을 발생하고 상기 타이머 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요리 완료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부; 회로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부; 상기 전원 부를 포함하는 회로 부의 용기 손잡이 내의 설치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실시 예 3.
물의 비등을 감지할 시 신호를 출력하고 온도 센서가 포함된 비등 감지 수단; 메뉴 선택 수단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2" 시간 값이 설정되고, 요리 조절 수단으로 상기 설정된 시간의 조절이 실행되고, 재료 투입 버튼 조작 신호에 따라 다시 체크된 상기 비등 감지 수단의 비등 신호에 따라 작동을 개시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부; 상기 비등 감지 수단의 출력 신호에 의해 비등 음향을 발생하고, 상기 타이머 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요리 완료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부; 회로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부; 상기 전원 부를 포함하는 회로 부의 용기 손잡이 내의 설치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실시 예 4.
전원 스위치가 온(ON) 되는 싯점부터 비등 감지 수단이 비등 감지 신호를 출력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요리의 양을 판단하는 요리 양 감지 수단; 온도 센서를 포함되어 구성되고 비등 감지 시에 신호를 출력하는 비등 감지 수단; 상기 비등 감지 수단의 출력 신호에 의해서 작동이 개시되고, 메뉴 선택 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1" 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시간 값이 요리 조절 수단에 의해서 조절되고, 상기 요리 양 감지 수단의 요리 양 정보 신호에 따라 설정된 시간 값이 조절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부; 상기 타이머 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부; 전원 부를 포함하는 회로 부를 냄비의 손잡이 내의 설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요리 양이 증가하면 타이머 부에 설정된 시간을 감소되게 조절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본 발명의 특징은 국물 요리 재료를 물이 끓은 전에 미리 투입한 후 요리 완료 싯점에서 자동 경보로 요리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의 특징은 물이 끓은 후에 국물 요리 재료를 투입하면 최적의 맛을 내는 싯점에서 요리 완료를 경보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omitted}
본 발명은 국물 요리가 최적으로 완료되었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경보해주는 기능을 갖는 자동 요리 냄비에 관한 것이다.
요리 용기에 타이머 수단을 구성시켜서 소비자가 요리 전에 수동으로 임의의 시간을 설정한 뒤 설정된 시간 후에 경보 음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타이머 부착 냄비가 제안되기도 했다. 하지만 단순히 타이머만 설치된 종래의 타이머 부착 요리 용기는 사용자가 요리 완료 때까지 소요될 시간을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요리 완료 시의 경보를 위하여 타이머에 정확한 시간을 설정하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단순히 타이머만 부착 요리 냄비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한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본인의 선 출원 발명인 특허번호 070983 이 제안된바 있었다. 그러나 본인의 선 출원 발명인 특허번호 070983 의 종래 기술은 온도 센서와, 두 개의 타이머와, 경보 회로로 구성된 것으로써 요리가 완료 되었을 시에 국물이 남아 있는 국물 요리용이 아니어서 본 발명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요리 완료 시에 국물이 없게 되는 밥 요리 용인 압력 밥솥용의 기술로써 별도의 뜸들이 과정이 필요한 밥짓기 용의 요리 용기에 적당한 기술이었다. 따라서 뜸들이가 필요 없는 본 발명의 국물 요리 자동 경보 목적으로 사용하기엔 적당하지 않았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본인의 선 출원 기술인 실용신안 제 20-1999-0025578 이 제안된바 있었다. 이러한 본인의 선 출원 기술은 한 개의 타이머와 타이머를 스타트(start) 시키는 기능의 수동 조작 스위치와 경보 회로를 냄비의 손잡이 내에 내장시켜서 구성된 것이었다. 사용자가 냄비 내의 물이 끓음을 직접 눈으로 확인한 후 요리 재료인 라면을 투입하고, 이어서 수동으로 스위치를 조작하여 내장된 타이머를 스타트(START) 시키고, 물이 끓은 뒤에 투입되는 라면 요리 재료 투입 싯점부터 국물 요리가 완료 될 때까지 소요되는 끓임 지속 시간을 사전에 실험적으로 측정 한 후 이 시간 값이 타이머에 미리 설정되게 하여서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경보가 울리도록 한 구성이 이었다. 이렇게 구성된 본인의 선 출원 기술인 실용신안 제 20-1999-0025578 기술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사용자가 냄비의 물을 가열 시킨 후에 냄비 내의 물의 비등을 눈으로 직접 확인 한 후에 수동 조작으로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만약 깜박 잊고 타이머를 스타트(start) 시키는 기능의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으면 요리가 완료되어도 이를 경보로 알려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본인의 선 출원 실용신안 제 20-1999-0025578 기술은 물이 끓은 후에만 비로소 요리 재료인 라면을 투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물이 끓는지 여부를 수시로 방문하여 확인하면서 물이 끓을 때까지 요리 장치 주변에서 대기해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국물 요리(국물이 있는 상태로 요리가 완료되는 요리)가 최적으로 완료되었을 때 이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갖는 자동 요리 냄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물이 끓기 전에 미리 요리 재료를 투입한 후 요리할 메뉴만 선택해주면 요리 완료 후 자동 경보해 주는 자동 요리 냄비를 제시한다.
위 방법에서, 요리의 양에 무관하게 동일한 메뉴에서는 동일한 끓임 지속 시간이 설정되게 하지만, 또 다른 응용 방법으로는 동일한 메뉴에서 요리의 양에 따라 타이머 부에 설정되는 끓임의 지속 시간이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사전에 측정된 양에 따른 끓임 지속 시간의 변화 데이터에 따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메뉴를 선택하고, 물이 끓을 때 이를 감지하여 비등 경보 음을 발생시켜서 요리 재료의 투입 싯점을 알려주고, 이에 따라 물이 끓은 후에 요리 재료를 투입하면 요리 완료 후 요리 완료를 자동 경보해 주는 냄비를 제시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냄비 내의 물의 비등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게 하고, 이에 따라 요리 재료를 투입 한 후 재료 투입 사실을 알리는 버튼을 조작하면 요리 완료 후 자동 경보하도록 하는 냄비를 제시한다.
요리할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 선택 수단(16)을 조작 시에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이 요리의 양에 무관하게 타이머 부(9)에 설정되게 구성하고,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을 감지하는 비등 감지 수단(10)을 구성하고,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이 비등을 감지하면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타이머 부(9)의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경보 음향을 발생하도록 구성시켜서, 물이 끓기 전에 요리 재료를 미리 투입한 후 요리할 메뉴만 선택하면 가열 후 요리 완료 시 요리 완료를 알리는 경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위 방법의 응용으로써 또 다른 방법으로는 요리의 양에 따라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을 사전에 실험적으로 측정된 요리 양에 따른 시간의 변화 데이터에 따라 조절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메뉴 선택 수단(16)을 구성하여 메뉴 선택 시에 요리의 양에 무관하게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이 타이머 부(9)에 설정되게 구성하고, 또한 비등 감지 수단(10)을 구성시켜서 비등 감지 시에 비등 음향을 발생시켜서 요리 재료 투입 싯점을 알리면서 이와 동시에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하고, 상기 비등 경보 음에 따라 요리 재료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부의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요리 완료를 알리는 요리 완료 음향을 발생하도록 구성시켜서 물의 비등 신호 음향에 따라 요리 재료를 투입하였을 때에 요리 완료시 자동 경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메뉴 선택 수단(16)을 구성하여 메뉴 선택 시에 요리의 양에 무관하게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이 타이머 부에 설정되게 구성하고, 또한 비등 감지 수단(10)을 구성시켜서 비등 감지 시에 요리 재료 투입 싯점을 알리는 비등 음향을 발생하게 하고, 상기 비등 음향에 따라 요리 재료가 투입된 후 재료 투입을 알리는 재료 투입 버튼(19)이 조작되면 요리가 최적으로 완료된 후에 요리 완료를 알리는 음향을 발생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요리 재료를 물이 끓기 전에 미리 투입한 상태에서 요리할 메뉴만 선택해 주면, 요리가 완료되었을 때에 요리 완료를 알리는 경보 음을 발생시켜서 요리 완료를 알려주는 사용상의 편리한 효과가 있다. 특히 국물 요리 중에서도 라면 요리를 할 경우에는 라면을 물이 끓기 전에 미리 투입할 수도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
또한 요리 재료가 비등 전에 미리 투입되는 경우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요리의 양에 따라 끓여지는 시간이 자동 조절되는 효과를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효과는 물이 끓은 후에 요리 재료를 투입하는 경우에도 요리 재료의 투입 싯점을 알려주는 편리함과 요리 완료 후 요리 완료를 경보음으로 알려주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 에서 온도 센서가 수증기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수증기 온도를 감지하도록 한 구성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의 측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온도 센서가 냄비/윗 두껑의 윗면 표면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한 모습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의 측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온도 센서가 냄비/윗 두껑의 측면 표면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한 모습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의 측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온도 센서가 냄비/윗 두껑의 윗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의 측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온도 센서가 냄비/윗 두껑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의 측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온도 센서가 윗 두껑 중심부용 손잡이 저 면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의 측 단면도.
도 8 은 놉 날개가 소리 통로 구멍을 개폐시키는 모습과, 윗 두껑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감지 부 외연에 형성된 나사 홈을 이용하여 온도 센서가 결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의 측 단면도.
도 9 는 소리 통로 구멍 주변에 고무 링이 설치되는 모습과, 손잡이 고정용 볼트를 이용하여 온도 센서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의 측 단면도.
도 10 은 손잡이 고정용의 속이 빈 볼트 내에 온도 센서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본 발명 또 다른 일 예의 측 단면도.
도 11 은 소리 통로 구멍을 개폐 시키는 놉 돌기 판의 구성 모습을 보여주는 본 발명 일 예의 요부 측 단면도.
도 12 는 물의 비등 전 요리 재료를 투입하는 본 발명 실시 예 1 의 요리 특성 그래프.
도 13 은 물의 비등 후 요리 재료를 투입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 및 실시 예 3 의 요리 특성 그래프.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 를 위한 본 발명의 회로 구성도 일 예.
도 15 는 재료 투입 버튼이 설치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 을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회로 구성도 일 예.
도 16 은 본 발명의 요리 양 선택 스위치가 설치된 실시 예 4 를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회로 구성도 일 예.
도 17 은 비등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본 발명의 요리 양 감지 수단이 설치된 본 발명 실시 예 4 의 또 다른 회로 구성도 일 예.
도 18 은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 의 요리 조절 수단을 마이컴으로 구성한 경우의 본 발명의 회로 구성도 일 예.
도 19 는 실시 예 3 의 요리 조절 수단을 마이컴으로 구성한 경우의 본 발명의 회로 구성도 일 예.
도 2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 및 실 시 예 2 를 마이컴으로 구성한 경우의 회로 구성도 일 예.
도 21 은 실시 예 3 을 마이컴으로 구성한 경우의 회로 구성도 일 예.
도 22 는 본 발명의 요리 양 감지 수단을 갖는 실시 예 4 를 마이컴으로 구성한 경우의 회로 구성도 일 예.
도 23 은 본 발명의 요리 양 감지 수단을 요리 양 선택 스위치로 구성한 경우의 실시 예 4 를 마이컴으로 구성한 경우의 회로 구성도 일 예.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냄비 2. 윗 두껑
1. 냄비 몸통 4. 윗 두껑 측면용 손잡이
5. 몸통용 손잡이 6. 윗 두껑 중심부용 손잡이
7. 전원 부 8. 온도 센서
9. 타이머 부 10. 비등 감지 수단
11. 음향 발생 부 12. 수증기 분출구
13. 틈새 14. 스피커
15. 요리 조절 수단 16. 메뉴 선택 수단
17. 물 18. 요리 재료
19. 재료 투입 버튼 20. 소리 통로 구멍
21. 메뉴 판 22. 요리 양 선택 스위치
23. 스프링 24. 돌기용 홈
25. 돌기 26. 고무 링
27. 손잡이 고정용 암나사 28. 얇은 판
29. 손잡이 상 구조 30. 손잡이 하 구조
31. 회로 부 32. 볼트
33. 감지 부 34. 나사 홈
35. 센서 날개 고정용 볼트 36. 온도 센서 날개
37. 손잡이 고정용 볼트 38. 놉(knob)
39. 놉(knob) 날개 40. 감지 부 체결 나사
41. 가변 저항 42. 전원 표시 LED
43. 전원 스위치 44. 메뉴 선택 버튼
45. 요리 조절 버튼 46. 메뉴 표시 LED
47. 요리 조절 표시 LED 48. 요리 양 감지 수단
49. 놉 돌기 판
[구성]
실시 예 1.
본 실시 예 1 은 요리 재료를 물이 끓기 전에 미리 투입하고 요리 완료 후 자동 경보하는 경우를 위한 실시 예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실시 예 1 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온도 센서(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 감지 시에 신호를 출력하는 비등 감지 수단(10)과,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의 비등 감지 시의 출력 신호에 의해서 작동이 개시되고 메뉴 선택 수단(16)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1" (요리 재료가 미리 투입된 상태에서 비등 감지 후부터 요리 완료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시간 값이 요리 조절 수단(15)에 의해서 조절되고,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부(9)와, 상기 타이머 부(9)의 출력 신호에 의해서 음향을 발생시키며 스피커(14)와 소리 통로 구멍(20)을 갖는 상기 음향 발생 부(11)와, 전원 부(7)를 도 14 처럼 구성시켜서 냄비(1)의 윗 두껑 측면용 손잡이(4)나 윗 두껑 중심부용 손잡이(6) 내에 설치하여서 구성된다(도 1∼ 도 10, 도 14, 도 18, 도 20).
실시 예 2.
본 실시 예 2 는 메뉴를 선택하고, 물(17)의 비등을 음향으로 알려주고, 상기 비등 음향에 따라 요리 재료(18)를 투입하면 요리 완료 후 자동 경보하는 경우를 위한 실시 예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실시 예 2 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온도 센서(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 감지 시에 신호를 출력하는 비등 감지 수단(10)과, 메뉴 선택 수단(16)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2" (끓는 물에 요리 재료를 투입한 후부터 요리가 완료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요리 재료의 "투입 소요 시간" 이 합해진 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시간 값이 요리 조절 수단(15)에 의해서 조절되고,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의 신호에 의해서 작동을 개시하고,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부(9)와,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의 비등 감지 시의 출력 신호에 의해서 비등 음향을 발생하고 상기 타이머 부(9)의 설정 시간 경과 시의 출력 신호에 의해서 요리 완료 음향을 발생시키며 스피커(14)와 소리 통로 구멍(20)을 갖는 음향 발생 부(11)와, 전원 부(7)를 냄비(1)의 윗 두껑 측면용 손잡이(4)나 윗 두껑 중심부용 손잡이(6) 내에 설치하여서 구성된다(도 1∼ 도 10, 도 14, 도 18, 도 20).
상기 구성에서, "투입 소요 시간" 은 라면 요리의 경우 대략 20∼30 초 정도되며, 이 시간은 여러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평균적인 측정 시간값으로 결정된다.
또한 타이머 부(9)에 설정되는 시간은 메뉴 별의 "끓임 지속 시간 2" 에 "투입 소요 시간" 이 합해진 시간이지만, 실제로 요리의 재료가 끓는 물 속으로 투입된 후에 더 끓어지는 시간은 해당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2" (끓는 물에 요리 재료를 투입한 싯점부터 요리 완료 때까지 소요시간)이 된다.
상기 구성에서, 리스타트 버튼(도시하지 않았음) 조작 신호에 의해서 작동 중인 상기 타이머 부(9)가 리스타트(restart)(재작동)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 예 3.
본 실시 예 3 은 냄비(1) 내의 물(17)이 비등하면 이를 감지하여 음향으로 알려주고, 이에 따라 끓는 물(17) 속으로 요리 재료(18)를 투입한 후 요리 재료(18)의 투입여부를 화로 부에 알리는 재료 투입 버튼(19)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실시 예 3 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온도 센서(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냄비 91) 내의 물(17)의 비등 감지 시에 신호를 출력하는 비등 감지 수단(10)과, 메뉴 선택 수단(16)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2" (끓는 물에 요리 재료가 투입된 후부터 요리 완료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시간 값이 요리 조절 수단(15)에 의해서 조절되고, 상기 재료 투입 버튼(19) 조작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의 비등 신호 여부를 다시 체크하여서 비등 신호가 감지되면 작동을 개시하고,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부(9)와,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의 비등 감지 시의 출력 신호에 의해서 비등 음향을 발생하고, 상기 타이머 부(9)의 설정 시간 경과 시의 출력 신호에 의해서 요리 완료 음향을 발생시키며 스피커(14)와 소리 통로 구멍(20)을 갖는 음향 발생 부(11)와, 전원 부(7)를 도 15 처럼 구성시켜서 냄비(1)의 윗 두꺼용 측면용 손잡이(4)나 윗 두껑 중심부용 손잡이(6) 내에 설치하여서 구성된다(도 1∼ 도 10, 도 15, 도 19, 도 21).
실시 예 4.
본 실시 예 4 는 상기 실시 예 1 의 구성에서, 요리의 양을 감지하거나 또는 요리의 양을 사용자가 지시할 수 있는 요리 양 감지 수단(48)이 추가된 경우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실시 예 4 의 회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요리의 가열 개시 시에 수동 조작으로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43)가 온(ON) 되는 싯점부터 비등 감지 수단(10)이 비등 감지 신호를 출력할 때까지의 총 소요 시간을 측정하여서 요리의 양을 판단하는 요리 양 감지 수단(48)과, 비등 감지 시에 신호를 출력하는 비등 감지 수단(10)과,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의 출력 신호에 의해서 작동이 개시되고, 메뉴 선택 수단(16)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1" (요리 재료가 미리 투입된 상태에서 비등 감지 후부터 요리 완료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시간 값이 상기 요리 조절 수단(15)에 의해서 조절되고, 또한 상기 요리 양 감지 수단(48)의 정보에 따라 설정된 시간 값이 조절되고,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요리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부(9)와, 상기 타이머 부(9)의 출력 신호에 의해서 음향을 발생시키며 스피커(14)와 소리 통로 구멍(20)을 갖는 음향 발생 부(11)와, 전원 부(7)를 도 20 처럼 구성시켜서 냄비(1)의 윗 두껑 측면용 손잡이(4)나 윗 두껑 중심부용 손잡이(6) 내에 설치하여서 구성된다(도 1∼ 도 10, 도 16, 도 17, 도 22, 도 23)
상기 실시 예 4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요리 양 감지 수단(48)은 도 16 처럼 요리 양 선택 스위치(22)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원 투입 싯점부터 비등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대신에 상기 요리 양 선택 스위치(22)의 접점 선택 신호에 따라 타이머 부(9)의 설정 시간을 사전에 실험으로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 1, 실시 예 2, 실시 예 3 및 실시 예 4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43)는 가변 저항(41)과 일체로 구성되어서 가변 저항(41) 조작에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1∼도 10, 도 14∼도 19).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 1, 실시 예 2, 실시 예 3 및 실시 예 4 의 구성에 있어서,
온도 센서(8)의 설치 방법, 손잡이의 구성 방법, 메뉴 선택 수단(16)의 설치 방법, 메뉴 선택 수단(16)의 구성 방법, 및 상기 메뉴 선택 수단(16)에 연결된 놉의 구성 방법, 방수를 위한 구성 방법, 회로 부(31)의 구성 방법, 등에 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 온도 센서(8)의 설치 구성
상기 온도센서(8)는 냄비(1)/윗 두껑(2)의 표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냄비(1)/윗 두껑(2)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 3, 도 4, 도 7).
상기 온도센서(8)는 온도 센서(8)의 감지 부(33)가 냄비(1)/윗 두껑(2)을 관통하여 설치되게 하여서 냄비(1) 내의 수증기 온도를 직접 감지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 5, 도 6, 도 8, 도 9, 도 10).
상기 온도센서(8)는 수증기 분출구(12)를 통하여 냄비(1) 외부로 분출되는 수증기 온도를 감지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 1, 도 2). 또는 냄비 몸통(3)과 윗 두껑(2) 사이의 틈새(13)를 통하여 분출되는 수증기 분출 위치에 상기 온도 센서(8)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온도센서(8)는 윗 두껑 중심부용 손잡이(6) 저 면에 온도 센서 날개(36)를 고정시키고, 상기 온도 센서(8)의 감지 부(33)는 감지 부(33) 외연에 형성된 나사 홈(34)을 이용하여 윗 두껑(2)에 감지 부 체결 나사(40)로 체결하여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도 8).
상기 온도센서(8)는 윗 두껑 중심부용 손잡이(6) 저 면에 온도 센서 날개(36)를 고정시키고, 상기 감지 부(33)가 윗 두껑(2)을 위에서 냄비(1) 내부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손잡이 고정용 볼트(37)를 이용하여 윗 두껑 중심부용 손잡이(6)를 상기 윗 두껑(2)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온도 센서(8)가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도 9).
상기 온도 센서(8)는 윗 두껑 중심부용 손잡이(6)에 설치되는 손잡이 고정용 암나사(27)에 윗 두껑(2)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손잡이 고정용 볼트(37) 내부의 속이 빈 공간 내의 볼트 머리 부분 저 면 부위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도 10).
● 온도 센서(8)의 종류
상기 온도센서(8)는 바이메탈 스위치나 반도체 온도 소자, 둘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만약 써미스터(thermistor) 같은 반도체 소자로 상기 온도 센서(8)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반도체 온도 센서의 저항 값 변화를 마이컴(Microcomputer)으로 구성되는 회로 부(31)가 읽어서 메모리에 저장된 반도체 온도 소자의 온도-저항 특성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온도 센서(8)를 바이메탈 온도 스위치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 센서(8)의 작동 온도가 상기한 온도 센서(8)의 각 설치 방법에 따른 물(17)의 비등을 감지할 수 있는 작동 온도 값의 온도 센서(8)를 선택하여 사용하며, 이 경우에는 비등을 판별하기 위한 별도의 마이컴 프로그램은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 음향 발생 부(11) 음향의 구성
상기 음향 발생 부(11)의 음향은 회로 부(31)에 녹음 수단을 구비하여서 요리 완료 시에 발생되는 음향이 실제 음향이 녹음된 음향이 발생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녹음된 음향은 사용자가 녹음한 음향일 수도 있고, 제조자가 녹음한 음향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향은 광고용 음향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녹음한 음향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다운로드 받은 음향일 수도 있다. 마이컴을 이용하여 녹음 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 음향 발생 부(11)의 방수
스피커(14)와 소리 통로 구멍(20)으로 구성되는 상기 음향 발생 부(11)는 소리 통로 구멍(20)이 전원 스위치(43)에 연동되는 놉(Knob)의 놉 날개(39) (도 7, 도 8), 또는 놉 돌기 판(49)의 이동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방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도 11).
상기 음향 발생 부(11)는 소리 통로 구멍(20) 주변에 고무 링(26)을 설치하여서 전원 스위치(43)에 연동되는 놉(Knob)의 놉 날개(39)가 상기 놉(38)을 메뉴 판(21)의 오프(OFF) 위치에 셋팅할 때에 상기 고무 링(26)있는 위치에 위치하면서 상기 고무 링(26)에 밀착되게 하여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이 폐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방수되게 할 수도 있다(도 9, 도 10).
또 다른 구성으로, 상기 음향 발생 부(11)는 소리 통로 구멍(20) 주변에 고무 링(26)을 설치하여서 상기 놉(38)을 메뉴 판(21)의 오프(OFF) 위치에 셋팅할 때에 상기 전원 스위치(43)에 연동되는 놉(Knob)(38)의 놉 돌기 판(49)이 상기 고무 링(20)에 밀착되게 하여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이 폐쇄되게 함으로써 방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도 11).
상기 놉 날개(39), 또는 상기 놉 돌기 판(49)은 전원을 개폐시키는 상하 운동 방식의 로킹(Locking) 버튼 방식의 전원 스위치(43)에 설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버튼의 누름으로 전원이 ON OFF 될 때의 버튼 놉(38)의 높이가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이 개폐된다.
또 다른 구성으로, 상기 음향 발생 부(11)는 소리는 통과하고 냄비 세척 시의 물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얇은 판(28)으로 소리 통로 구멍(20)이 막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 1∼도 6). 상기 얇은 판(28)은 소리 진동의 음압(소리)이 잘 통과될 수 있는 재질과 얇은 두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으로는, 상기 얇은 판(28)은 손잡이 구조물에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엔 얇은 판(28)의 고유 진동 수가 스피커(14)의 음향 진동에 공진될 수 있는 고유 진동수를 갖는 재질과 구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 메뉴 선택 수단(16)의 구성
상기 메뉴 선택 수단(16)은 가변 저항(41)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도 1∼도 10, 도 14∼도 17).
또 다른 구성은, 상기 메뉴 선택 수단(16)은 마이컴으로 구성된 회로 부(31)의 프로그램과 메뉴 선택 버튼(44)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도 20, 도 21, 도 22, 도 23).
● 전원 스위치의 구성
전원 스위치(43)는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가변 저항(41)과 일체로 구성되어 가변 저항(41)의 조작에 연동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 요리 재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요리 재료(18)는 면류, 야채류, 육류, 생선 류 등 다양한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요리가 완료된 이후에도 국물이 남아있는 국물 요리를 대상으로 한다.
[작용]
실시 예 1.
실시 예 1 의 작용을 온도 센서(8)가 냄비 윗 두껑(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예들인 도 5, 도 6, 도 8, 도 9, 도 10 과, 실시 예 1 의 요리 특성 그래프인 도 12, 메뉴 선택 수단(16)이 가변 저항(41)을 이용하여 구성된 경우의 회로 구성도 일 예인 도 14 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 1 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메뉴 선택 수단(16)을 조작하여 요리할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냄비(1)에 물(17)과 요리 재료(18)를 투입한 후 냄비(1)를 가열 장치 위에 올린 뒤 메뉴 선택 수단(16)으로 요리할 메뉴를 선택한다. 만약 도 14 처럼 메뉴 선택 수단(16)이 가변 저항(41)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가변 저항(41)에 고정된 놉(Knob)을 조작하여 메뉴 판(21)의 요리할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 놉(38)을 셋팅한다.
만약 도 18 처럼 메뉴 선택 수단(16)을 메뉴 선택 버튼(44)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 스위치(43) 조작으로 전원 공급이 개시되게 한 후, 메뉴 표시 LED(46)의 점등을 관찰하면서 메뉴 선택 버튼(44)의 누름 회수를 조작하여 요리할 메뉴 위치의 메뉴 표시 LED(46)가 점등되게 하여서 메뉴를 선택한다.
만약 메뉴 선택용의 가변 저항(41) 내에 전원 스위치(43)가 내장되고 가변 저항(41)의 조작에 상기 전원 스위치(43)가 연동되게 구성된 경우에는, 메뉴 선택을 위하여 놉(38)을 돌리면 전원 스위치(43)가 연동하여 작동하여서 메뉴 선택을 위한 놉(38)의 조작만으로도 회로 부(31)에 전원 공급이 자동으로 개시된다.
2. 메뉴 별로 미리 측정된 "끓임 지속 시간 1" 값들 중에서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1" 이 타이머 부(9)에 설정되는 단계;
상기 1 단계에서의 메뉴 선택 수단(16)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1" 값이 타이머 부(9)에 설정된다(도 12).
각 메뉴 별의 상기 "끓임 지속 시간 1" 값들은 요리 재료(18)를 물(17)이 비등하기 전(예: 상온의 물)에 미리 투입된 상태에서 각 메뉴 별의 "끓임 지속 시간 1" (비등 감지 후부터 요리 완료 시까지의 소요 시간)값들이 사전에 실험적으로 측정되어 데이터화 된다. 만약 마이컴으로 회로 부(31)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가 회로 부(31) 내의 메모리에 저장됨은 물론이다.
만약 마이컴을 이용하여 회로 부(31)가 구성되고, 상기 가변 저항(41)을 이용하여 메뉴 선택 수단(16)을 구성한 경우에는, 도 14 의 가변 저항(41)에 고정된 놉(38)을 돌려서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가변 저항(41)의 저항 값을 회로 부(31)의 CPU 가 읽어서 가변 저항(41)의 저항 값에 해당하는 시간 값을 축출하여 타이머 부(9)에 설정한다.
가변 저항을 이용하여 타이머 부(9)에 설정할 시간 값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며 이런 기술들은 공지된 기술이다.
삭제
삭제
3. 상기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 값이 상기 요리 조절 수단(15)에 의해서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조절되는 단계;
개인 별 취향에 따라 동일한 메뉴라도 많이 익혀서 먹는 경우도 있고 설익혀서 먹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요리 조절 수단(15)을 이용하여 사용자 자신의 취향에 맞도록 조절하면 상기 2 단계에서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 값이 일정 범위 내에서 증가하거나 감소 하는 형태로 조절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요리 조절 수단(15)을 또 다른 가변 저항으로 구성시키고, 이를 상기 메뉴 선택 수단(16)용의 가변 저항(41)과 직렬 연결하여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상기 "메뉴 선택 수단(16)용의 가변 저항(41)의 저항 값에 상기 요리 조절 수단(15)용의 가변 저항에 의한 저항 값이 합하여져서 타이머 부(9)에 설정될 시간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요리 조절 수단(16) 용의 가변 저항을 조절하면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 값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되게 조절된다.
만약 도 18 처럼 요리 조절 버튼(45)으로 요리 조절 수단(15)을 구성한 경우에는 요리 조절 표시 LED(47)를 관찰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위치의 요리 조절 표시 LED(47)가 점등되도록 상기 요리 조절 버튼(45)의 누름 회수 조작하여 요리 조절을 실시한다.
4. 물이 비등하기 전(예: 상온의 물)에 요리 재료(18)가 미리 투입된 냄비(1)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단계들에서 메뉴를 선택하고, 요리가 되는 정도를 조절한 이후, 상기 냄비(1) 내의 차가운 온도(예: 상온)의 물(17)속으로 요리 재료(18)들이 미리 투입되고 윗 두껑(2)이 닫힌 상태의 상기 냄비(1)가 가열 장치에 의해서 가열이 개시되게 한다.
이 때 사용되는 가열 장치로는 모든 간접 가열 방식의 가열 장치가 유용하다. 여기서 말하는 간접 가열 장치에는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등이 유효하다.
5. 비등 감지 수단(10)이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을 감지하면 신호를 출력하여 타이머 부(9)의 작동을 개시시키는 단계;
상기 4 단계에 따른 가열이 지속되면 마침 내 냄비(1) 내의 물(17)은 비등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온도 센서(8)를 갖는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은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을 감지하게 된다.
온도 센서(8)가 온도 감지를 통하여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윗 두껑(2)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여 비등을 감지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3 도 4, 도 7 처럼 온도 센서(8)를 냄비 윗 두껑(2)의 표면에 접촉되게 설치하여서 물(17) 비등 시의 냄비(1) 윗 두껑(2)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물(17)의 비등을 간접적으로 감지하게 할 수 있다. 냄비(1) 내의 물(17)이 비등 할 때의 윗 두껑(2)의 표면 온도는 실험적으로 사전에 측정됨은 물론이다. 양산되어 시판되는 온도 센서(8)들의 온도 편차를 고려하여 어떤 경우에도 비등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작동 온도 범위 값을 갖는 온도 센서(8)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구성으로는, 도 1 및 도 2 처럼, 비등 시에 냄비(1)/윗 두껑(2)의 수증기 분출구(12)에서 외부로 분출되는 수증기 온도를 상기 온도 센서(8)를 이용하여 감지하게 함으로써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을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구성 방법은 온도 센서(8)가 냄비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지만 분출되는 수증기가 집중되는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구성 방법은 수증기 분출구(12)를 온도 센서(8)가 막는 형태로 설치하여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을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온도 센서(8)는 냄비 외부에 설치되면서 감지 부(33)가 윗 두껑(2)에 설치된 수증기 분출구(12)를 막는 형태로 설치된다(도 7).
6. 상기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타이머 부(9)는 음향 발생 부(11) 측으로 신호를 출력하여 요리 완료 음향을 발생하는 단계;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 "끓임 지속 시간 1" )이 경과하면 타이머 부(9)가 음향 발생 부(11) 측으로 신호를 출력시켜서 요리 완료를 알리는 음향을 발생한다. 상기 음향 발생 부(11)는 특정 소리를 내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이며 연결된 스피커(14)를 통하여 음향을 발생시킨다.
만약 요리 재료(18)가 라면인 경우를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의 작용 과정을 다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 에서, 메뉴 선택 수단(16)을 가변저항(41)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가변 저항(41)에 연결된 놉(Knob)을 돌려 메뉴 판(21)에 표시된 라면 종류들 중에서 요리하고자 하는 라면의 종류에 셋팅하여 라면 종류를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가변 저항(41)의 저항 값을 회로 부(31)가 읽어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셋팅된 저항 값에 해당하는 시간 값이 타이머 부(9)에 설정되며, 타이머 부(9)에 설정되는 이 시간 값이 선택된 메뉴(라면 종류)의 "끓임 지속 시간 1" 이 되도록 상기 메뉴 판(21)에 표시되는 메뉴들의 표시 위치가 결정된다.
만약 사용자가 메뉴 판(21)에서 우동 면(메뉴 1), 소면(메뉴 2), 보통 면(메뉴 3) 중에서 "보통 면(메뉴 3)" 을 선택했다면 "보통 면(메뉴 3)" 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미리 측정되어 결정된 보통 면(메뉴 3)의 "끓임 지속 시간 1" (물이 끓기 전에 재료가 투입된 상태에서 비등 감지 후부터 요리 완료 시까지의 소요 시간)이 타이머 부(9)에 설정되게 된다.
본 실시 예 1 에서의 "보통 면" (메뉴 3)의 "끓임 지속 시간 1" 은 실험결과 대략 3 분 30 초 정도가 바람직하였다. 상기 "보통 면(메뉴 3)" 은 라면 포장지에 "끓는 물에 라면을 투입 한 후 4 분 30 초 정도 더 끓이세요" 라고 표시된 라면 종류들을 의미하여 국내에서 소비량이 제일 많은 라면 종류이다.
통상적으로 "보통 면" 의 포장지 표면에 기재된 요리 법에는 물이 끓은 뒤에 라면을 투입 한 후 4 분 30 초 더 끓일 것을 지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 1 에서는 물이 끓기 전에 미리 라면을 투입함으로 라면 포장지의 요리 방법과는 약간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 예 1 의 요리 조건 하에서 물의 비등 감지 후부터 요리 완료 때까지의 소요 시간인 "끓임 지속 시간 1" 은 실험적으로 측정되며 측정된 결과는 종래의 라면 포장지에 표시된 시간 값보다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본 출원인이 실시한 실험 결과로는 "보통 면" (상품명: 신라면, 안성탕면 류)의 상기 끓임 지속 시간 1" 은 대략 3 분에서 4 분 사이의 시간 값이 취향에 따라 선택되게 함이 비람직였다.
만약 본 발명이 도 20 처럼 마이컴으로 회로 부(31)가 구성될 경우에는, 메뉴 선택 버튼(44)을 여러 번 눌러서 원하는 메뉴 위치의 메뉴 표시 LED(46)가 점등되게 함으로써 메뉴를 선택한다. 그러면 마이컴은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1" 값을 자신의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타이머 부(9)(타이머 프로그램)에 설정한다.
개인별 취향에 따른 요리 조절 과정에 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요리 조절 수단이 도 1∼도 6 처럼 별도의 가변 저항으로 구성 될 수도 있다. 가변 저항의 저항 값 변화를 이용하여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을 조절하는 기술들은 공지된 것이다. 만약 타이머 부(9)가 저항과 콘덴서의 충 방전을 이용한 아날로그 방식의 타이머(예: 555 타이머 IC)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메뉴 선택 수단(16) 용의 가변 저항(41)에 상기 요리 조절 수단(15)용의 가변 저항을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간단히 타이머 부(9)에 설정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별도의 요리 조절 수단(15)을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가변 저항(41)만으로 메뉴 선택과 요리 조절을 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4 처럼 사용자가 특정 메뉴를 지정하는 메뉴 판(21)의 메뉴 표시 위치에서 놉(Knob)(38)을 "약" 측으로 약간 더 조절하면 타이머 부(9)에 설정되는 선택된 메뉴를 위한 설정 시간 값이 감소하도록 조절 되고, 만약 "강" 측으로 약간 조절하면 설정된 시간 값이 증가하도록 조절된다. 만약 메뉴가 "보통 면" 인 경우에는, 개인 취향에 따른 강 약의 조절에 따른 시간 변화는 대략 1 분 정도 이내가 적당하였다.
만약 도 18 처럼 회로 부(31)를 마이컴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도 18 의 요리 조절 버튼(45)를 여러 번 눌러서 원하는 요리 조절 위치의 요리 조절 표시 LED(47)가 점등되게 한다. 그러면 점등된 요리 조절 표시 LED(47)에 해당하는 미리 지정된 시간 값이 메모리에서 검색되어서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을 상기 검색된 시간 값만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서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이 조절되도록 프로그램 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메뉴가 선택되고, 이에 따라 타이머 부(9)에 시간이 설정되고, 또한 개인 별 취향에 따른 요리 조절이 완료되었다. 그러면 사용자는 냄비(1) 내에 상온의 물(17)과 함께 요리 재료(18)인 라면이 미리 투입된 냄비(1)를 가열 장치 위에 올려서 가열을 개시한다.
가열이 개시된 이후의 작동 과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가열의 지속에 따라 냄비(1) 내의 물이(17)이 비등하면 상기 온도 센서(8)가 이를 감지하여서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은 비등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만약 상기 온도 센서(8)가 바이메탈 온도 스위치로 구성되고, 도 1, 도 2 처럼 수증기 분출구(12)로부터 분출되는 수증기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경우에는, 비등 시에 발생하는 수증기 온도에서 상기 온도 센서(8)는 작동하게 되어서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을 감지하게 되고, 이때의 온도 센서(8)의 작동(예: 접점 변화) 신호는 타이머 부(9)에 전달되어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만약 상기 온도 센서(8)가 도 3, 도 4 처럼 냄비(1)의 윗 두껑(2) 표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서 냄비(1)/윗 두껑(2)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냄비(1) 내의 물(17)이 비등할 때의 냄비(1)/윗 두껑(2)의 표면 온도에서 작동하는 작동 온도를 갖는 온도 센서(8)를 선정하여 설치함으로써 비등 시에 상기 온도 센서(8)가 비등을 감지하여 작동하게 되며, 비등 감지 시에 작동하는 상기 온도 센서(8)의 작동 신호가 타이머 부(9)에 전달되어서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만약 상기 온도 센서(8)가 도 5, 도 6, 도 8∼도 10 처럼 냄비(1)/윗 두껑(2)을 관통하게 설치된 경우에는, 냄비(1) 내의 물(17)이 비등하여 수증기가 발생되면 상기 온도 센서(8)는 물(17) 비등 시의 냄비(1) 내부의 수증기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물(17)의 비등을 감지하여서 작동하게 되고, 상기 온도 센서(8)의 비등 감지 시의 작동 신호가 타이머 부(9)에 전달되어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만약 상기 온도 센서(8)가 써미스터(thermistor) 같은 반도체 온도센서로 구성된 경우에는 회로 부(31)의 마이컴 내부의 비등 감지 수단(10) 프로그램에서 상기 반도체 온도 센서의 저항 값을 읽어서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반도체 온도 센서의 온도-저항 값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온도를 감지하고, 물(1)이 비등 할 때의 상기 반도체 온도 센서의 저항 값이 감지되면 이를 비등으로 감지하여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 프로그램은 신호를 출력하여서 상기 타이머 부(9)의 작동을 개시시킨다. 상기 반도체 온도 센서는 냄비(1)/윗 두껑(2)의 표면, 또는 수증기 분출구(12)에 근접된 위치, 또는 냄비(1)/윗 두껑(2)을 관통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하면, 설정된 시간을 계측(예: 디스카운트)하게 되고, 상기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신호를 출력한다. 타이머 부(9)의 상기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 발생 부(11)는 음향을 발생시켜서 선택된 요리가 개인별 취향에 맞도록 최적으로 요리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경보로 알려주게 된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대로, 본 실시 예 1 은 요리 완료 시에도 국물이 잔류하는 요리의 요리 재료(18)를 물이 끓기 전에 미리 투입하고, 요리할 메뉴만 선택해주면 요리가 최적으로 완료되었을 때를 이를 사용자에게 경보 음으로 알려주는 특징이 있게 된다.
실시 예 2.
본 실시 예 2 는 물이 끓은 후에 요리 재료(18)를 투입하는 경우의 실시 예이다. 이에 따라 요리 재료(18)의 투입 시기를 알려주도록 구성한 경우이다.
본 실시 예 2 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1. 메뉴 선택 수단(16)을 조작하여 요리할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본 단계의 작동 과정은 상술한 실시 예 1 과 동일하다.
2.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2" 에 재료의 "투입 소요 시간" 이 합해진 시간이 타이머 부(9)에 설정되는 단계;
메뉴 선택에 따라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2" 에 재료의 "투입 소요 시간" 이 합하여진 시간이 타이머 부(9)에 설정된다(도 13). 메뉴 선택 수단(16)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뉴의 해당 시간이 타이머 부(9)에 설정되는 방법과 과정은 상술한 실시 예 1 과 동일하다.
3. 상기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 값이 요리 조절 수단(15)에 의해서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조절되는 단계;
요리 조절 수단(15)의 조작으로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이 조절되는 작용 과정은 상술한 실시 예 1 과 동일하다.
4. 물(17)이 담긴 냄비(1)가 가열되는 단계;
물(17)이 담긴 냄비(1)를 가열한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가열 장치는 상술한 실시 예 1 에서와 동일하다.
5.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을 감지하면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이 음향 발생 부(11) 및 타이머 부(9) 측으로 신호를 출력하여 비등을 알리는 비등 음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요리 재료(18)가 투입되고, 상기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 하는 단계;
비등 감지 수단(10)이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을 감지하면, 상기 음향 발생 부(11) 및 타이머 부(9)측으로 신호를 출력시켜서 물(17)의 비등을 알리는 비등 음향을 발생하고, 동시에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한다.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의 비등 감지 작동 과정은 상술한 실시 예 1 과 동일하다.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을 알리는 상기 비등 음향 신호에 따라, 사용자는 준비된 요리 재료(18)들을 냄비(1)의 끓는 물(17) 속으로 투입한다. 그 후 냄비(1)의 윗 두껑(2)을 닫는다.
상기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한 이후에는 상기 윗 두껑(2)의 열고 닫음에 따른 상기 온도 센서(8)의 재작동 여부에 관계없이 이미 작동이 개시된 상태의 상기 타이머 부(9)가 작동을 지속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요리 재료(18)의 투입 후에 상기 윗 두껑(2)을 열어둔 채로 요리해도 무방하게 된다.
요리 재료(18)의 투입은 상기 비등 감지를 알리는 비등 음향에 따라 즉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요리 재료(18)의 투입에 소요되는 "투입 소요시간" 은 라면 요리인 경우에는 약 20∼30 초 정도로 관측되었다. 상기 요리 재료(18)는 양념류가 아닌 요리의 메인 재료를 의미한다.
본 단계에서, 만약 리스타트(restart) 버튼(도시하지 않았음)이 설치된 경우에, 상기 리스타트(restart)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리스타트(restart) 버튼의 조작 신호에 따라 이미 작동이 개시된 상기 타이머 부(9)가 다시 처음부터 재작동(restart)을 하게 된다. 이러한 리스타트(restart) 버튼(도시하지 않았음)은 비등을 알리는 비등 음향 발생 후에 요리 재료(18)을 즉시 투입하지 않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요리 재료(18)를 투입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6. 상기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타이머 부(9)는 음향 발생 부(11) 측으로 신호를 출력하여 요리 완료 음향을 발생하는 단계;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 "끓임 지속 시간 2" + "투입 소요시간" )이 경과되면 상기 타이머 부(9)는 음향 발생 부(11) 측으로 신호를 출력시켜서 상기 음향 발생 부(11)가 요리 완료 음향을 발생시키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요리의 완료를 알리는 경보 음을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음향 종류는 상술한 실시 예 1 에서 상술한 음향과 동일하다.
본 실시 예 2 의 특징은 상기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할 때 비등 음향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물(17)의 비등을 알리는 기능을 하며, 또한 사용자에게 타이머 부(9)의 작동 개시를 알리고, 또한 물이 끓으니 빨리 요리 재료(18)를 투입하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갖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 1 과 또 다른 특징은 요리 재료(18)가 물이 끓은 후에 투입된다는 것이다.
실시 예 3.
본 실시 예 3 의 작동 과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 3 은 실시 예 2 처럼 요리 재료(18)를 물이 끓은 후에 투입하도록 구성된 경우이다.
본 실시 예 3 이 상술한 실시 예 2 와 다른 점은 물(17)의 비등을 감지하여 비등 음향이 발생되어도 사용자가 재료 투입을 알리는 재료 투입 버튼(19)을 조작하지 않으면 상기 타이머 부(9)의 작동이 개시되지 않는 점이다. 즉, 상기 타이머 부(9)는 재료 투입 버튼(19)의 조작 신호 후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의 비등 신호가 재 감지되면 그때 비로소 작동을 개시한다.
본 실시 예 3 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1. 메뉴 선택 수단(16)을 조작하여 요리할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메뉴를 선택하는 작동 과정은 상술한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된다.
2.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2" (재료 투입 후부터 요리 완료 시까지의 소요 시간)값이 타이머 부(9)에 설정되는 단계;
상기 1 단계의 메뉴 선택에 따라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2" (끓는 물에 재료 투입 후부터 요리 완료 때까지 소요 시간) 값이 타이머 부(9)에 설정된다. 타이머 부(9)에 시간이 설정되는 과정은 상술한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 와 동일이다.
3. 상기 타이머 부(9) 에 설정된 시간 값이 요리 조절 수단(15)에 의해서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조절되는 단계;
개인 별 취향에 따라 요리 조절 수단(15)을 조절하여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을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한다. 요리 조절 수단(15)의 조작으로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이 조절되는 작동 과정은 상술한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 와 동일하다.
4. 물(17)이 담긴 냄비(1)가 가열되는 단계;
물(17)이 담긴 냄비(1)를 가열 장치 위에 올려서 가열한다. 가열 장치의 종류는 상술한 실시 예 1 에서와 동일하다.
5. 비등 감지 수단(10)이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을 감지하면 신호를 출력하여 음향 발생 부(11)가 비등 음향을 발생시키게 하는 단계;
비등 감지 수단(10)이 비등을 감지하면 음향 발생 부(11) 측으로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음향 발생 부(11)가 물(17)의 비등을 알리는 비등 음향을 발생한다.
6. 상기 비등 음향에 따라 요리 재료(18)가 투입되고, 이에 따라 재료 투입 버튼(19)이 조작되면, 상기 재료 투입 버튼(19)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의 비등 여부를 다시 체크하여서 비등 감지 신호가 다시 검출되면 즉시 상기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5 단계에 따라, 비등을 알리는 비등 음향이 발생되면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요리 재료(18)가 냄비(1) 내로 투입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재료 투입을 알리는 재료 투입 버튼(19)을 조작하면, 상기 재료 투입 버튼(19)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의 비등 감지 여부를 다시 체크하여서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의 비등 신호가 다시 감지되면 즉시 상기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한다.
즉, 상기 재료 투입 버튼(19)의 조작 시에 다시 비등 감지 수단(10)의 비등 감지 여부를 다시 체크하여서 물(17)의 비등이 다시 감지될 시에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되게 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물(17)의 양에 비하여 요리 재료(18)의 양이 과다하게 많이 투입되어서 끓었던 물(17)의 온도가 재료 투입으로 인하여 과도하게 하강한 후 다시 상승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에도 투입된 요리 재료(18)의 "끓임 지속 시간 2" 가 정확히 적용되게 된다.
만약 투입되는 요리 재료(18)에 의한 물(17) 온도의 변화가 무시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요리 재료(예: 라면 1 개 요리용 재료) 인 경우에는, 상기 재료 투입 버튼(19)이 조작되었을 때 다시 물(17)의 비등 여부를 체크하지 않고 즉시 타이머 부(19)가 작동을 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왜냐하면 끓었던 물(17) 온도가 요리 재료(18)가 투입된 후 하강 한 후 다시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짧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상식이다.
7.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타이머 부(9)가 음향 발생 부(11) 측으로 신호를 출력하여 요리 완료 음향을 발생하는 단계;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상기 타이머 부(9)는 음향 발생 부(11) 측으로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음향 발생 부(11)는 요리 완료 음향을 발생시켜서 요리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본 실시 예의 음향은 상술한 실시 예 1 에서 상술한 음향과 동일하다.
실시 예 4.
본 실시 예 4 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요리 양 감지 수단(48)은 요리 양 선택 스위치(22)로 구성 될 수도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가열 개시 시에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가 온(ON)(요리 개시)된 싯점부터 냄비(1) 내의 물(17)의 비등이 감지 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을 마이컴으로 구성되는 회로 부(31)가 측정하여 요리의 양을 판단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삭제
본 실시 예 4 는 면 요리를 물(17)이 비등하기 전에 미리 투입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면 요리의 양이 증가됨에 따른 "끓임 지속 시간 1" 의 감소 량은 실험적으로 사전에 측정하여 데이터로 저장된다.
본 실시 예 4 의 작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메뉴 선택 수단(16)을 조작하여 요리할 메뉴를 선택하고, 가열 개시 시에 전원 스위치가 온(ON)되고, 요리 재료(18)가 미리 투입된 냄비(1)의 가열이 개시되는 단계;
메뉴 선택 수단(16)을 조작하여 요리할 메뉴를 선택한다.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과 작동 과정은 상술한 실시 예 1 과 동일하다. 메뉴 선택 후에 즉시 요리 재료(18)가 미리 투입된 냄비(1)의 가열이 개시된다. 메뉴 선택 수단(16)의 조작에 연동되어 전원 스위치가 자동으로 온(ON) 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2.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1" 이 타이머 부(9)에 설정되는 단계;
메뉴 선택 수단(16)을 조작하여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1" 이 타이머 부(9)에 설정된다. 선택된 메뉴의 "끓임 지속 시간 1" 이 타이머 부(9)에 설정되는 작용 과정은 상술한 실시 예 1 과 동일하다.
3.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 값이 요리 조절 수단(15)에 의해서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조절되는 단계;
요리 조절 수단(15)의 조작으로 상기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이 조절된다.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이 조절되는 작용 과정은 상술한 실시 예 1 과 동일하다. 상기 1 단계에서의 냄비(1)의 가열은 1 단계, 또는 2 단계, 또는 3 단계에서 실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1, 2, 3 단계 중에서 어느 단계에서 가열이 개시되던 실용상 큰 차이는 없다. 따라서 각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4. 전원 스위치(43)가 온(ON) 된 싯점부터 비등 감지 수단(10)의 비등 감지 신호 발생 때까지의 소요 시간을 요리 양 감지 수단(48)이 측정하여 요리의 양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원 스위치(43)가 메뉴 선택용 가변저항(41)에 일체로 구성되어 연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1 단계에서 메뉴 선택 수단(16)의 놉(38)을 돌리는 과정에서 상기 전원 스위치(43)는 온(ON) 된다.
만약 전원 스위치(43)가 별도로 설치된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 스위치(43)를 냄비의 가열 개시 시에 온(ON)시킨다.
전원이 회로 부(31)에 공급되기 시작하면 요리 양 감지 수단(48)이 작동을 개시하면서 시간 측정을 개시하고, 상기 시간 측정은 전원 스위치가 온 (ON) 된 싯점부터 비등 감지 수단(10)이 비등을 감지하는 싯점까지의 소요 시간을 측정하여서 요리의 양을 감지한다.
특히 요리가 라면 요리인 경우에는 라면이 1 개 투입될 때의 물의 양에 비하여 라면이 2 개일 때의 물의 양이 거의 2 배임으로 인하여 가열이 개시된 싯점부터 물(17)이 비등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이 거의 2 배임으로 이러한 소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요리의 양을 간접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가열 개시 즉시 메뉴 선택 조작이 실시되거나, 또는 메뉴 선택 조작 후에 즉시 가열이 개시됨으로, 이 과정에서 전원 스위치(43)가 온(on) 됨으로 인하여 전원 스위치(43)가 온(on) 되는 싯점을 가열이 개시된 싯점으로 간주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본 단계에서는 전원이 공급된 싯점부터 시간을 측정하여 비등 감지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의 시간을 상기 요리 양 감지 수단(48)이 수행하여서 요리의 양을 검출하게 된다.
만약 요리 양 감지 수단(48)을 요리 양 선택 스위치(22)로 구성한 경우에는 상술한 요리 양 감지 수단(48)의 시간 측정 대신에 상기 요리 양 선택 스위치(22)의 점접 위치를 검출하여 요리의 양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요리 양 선택 스위치(22)는 1 인분(1 개), 2 인분(2 개), 3 인분(3 개) 등으로 스위치의 접점 변환에 따라 요리의 양이 선택되게 할 수 있다.
5. 상기 요리 양 감지 수단(48)의 요리 양 정보 신호에 따라 상기 타이머 부(9)에 이미 설정된 시간(끓임 지속 시간 1)이 사전에 실험으로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되는 단계;
상기 요리 양 감지 수단(48)의 요리 양 정보 신호에 따라 메뉴 선택 시에 타이머 부(9)에 이미 설정된 상기 "끓임 지속 시간 1" 이 조절된다. 만약 상기 "끓임 지속 시간 1" 이 요리 양 1 인분(1 개)를 기준으로 측정된 데이터라면, 요리의 양이 증가되어 만약 2 인분으로 판단되면 상기 "끓임 지속 시간 1" 은 사전에 실험적으로 측정된 시간만큼 감소되게 조절된다. 만약 요리 재료(18)가 "보통면" 인 경우에는 라면이 2 개 미리 투입되어 요리 될 경우엔 본 출원인의 감각으로는 라면이 1 개일 때보다 약 30 초∼1 분 정도 범위 내에서 상기 "끓임 지속 시간 1" 을 감소시킴이 바람직하였다. 만약 요리 재료(18)가 면 요리가 아닌 경우에는 요리의 양 증가에 따라 상기 "끓임 지속 시간 1" 을 감소되게 조절하지 않아도 실용상 큰 문제는 없다. 왜냐하면 면 요리를 제외한 일반적인 요리 재료들은 비등하기 전인 온도의 물속에 잠겨있는 시간이 증가되어도 요리의 익혀지는 속도에 실용상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면 요리처럼 비등하기 전의 물(17)속에 잠겨있는 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요리 재료(18)인 경우에는 요리의 양 증가에 따라 상기 "끓임 지속 시간 1" 이 감소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6. 비등 감지 수단(10)이 물(17)의 비등을 감지하면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비등 감지 수단(10)이 물(17)의 비등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면, 이에 따라 상기 타이머 부(9)는 작동을 개시하여 설정된 시간을 계측하기 시작한다.
7. 타이머 부(9)의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음향 발생 부(11) 측으로 신호를 출력하여 요리 완료 음향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 부(9)가 작동을 개시한 후 설정된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음향 발생 부(11) 측으로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음향 발생 부(11)는 요리 완료 음향을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음향 종류는 상술한 실시 예 1 에서 상술한 음향 종류와 동일하다.
만약 상기 요리 양 감지 수단(48)이 요리 양 선택 스위치(22)로 구성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작동 방법으로 요리가 진행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엔 요리 양 선택 스위치(22)를 조작하여 요리할 메뉴의 양을 선택한다. 그러면 메뉴 선택 시에 설정된 타이머 부(9)에 설정된 시간이 상기 요리 양 선택 스위치(22)의 선택에 따라 조절된다. 만약 요리의 양이 증가된 것으로 상기 요리 양 선택 스위치(22)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타이머 부에 설정된 시간은 사전에 요리 양에 따른 끓임 시간의 변화 데이터에 따라 감소되도록 조절된다.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 1∼실시 예 4 에 있어서, 음향 발생 부(11)의 소리 통로 구멍(20)의 방수 작용 과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음향 발생 부(11)는 소리 통로 구멍(20)이 전원 스위치(43)에 연동되는 놉(Knob)의 놉 날개(39) (도 7, 도 8), 또는 놉 돌기 판(49)의 이동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방수되게 구성되어 있다(도 11). 따라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놉(Knob)을 돌리면 도 7, 도 8 의 놉 날개(39)는 소리 통로 구멍(20)을 개방시키게 된다. 반대로 요리 완료 후에 발생되는 음향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놉(38)을 오프(OFF) 위치로 회전시켜서 셋팅하면, 상기 놉 날개(39)는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을 막게 된다. 그런데 냄비(1)를 물로 세척하는 경우는 본 발명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임으로 인하여 세척 시에는 항상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은 상기 놉 날개(39)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세척 시에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을 통한 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도 11 처럼 놉 돌기판(49)으로 구성시킨 경우에는 놉(38)의 저면 부에 형성된 상기 놉 돌기 판(49)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이 개폐된다.
상기 놉 날개(39), 또는 상기 놉 돌기 판(49)은 가변 저항(41)과는 별도 설치된 상하 운동 방식의 로킹(Locking) 버튼 방식의 전원 스위치(43)에 설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원 버튼의 누름 회수에 따라 전원이 ON OFF 될 때에 버튼 놉(38)의 높이가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이 개폐된다. 즉, 놉(38)의 높이가 낮아질 때에 상기 놉 날개(39), 또는 놉 돌기 판(49)이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을 폐쇄시키고, 높이가 높아질 때에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의 폐쇄를 더 완벽히 실행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 주변에 탄성을 갖는 고무 링(26)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 은 도 9, 도 10 의 놉 날개(39) 또는 도 11 의 놉 돌기 판(49)이 탄성을 갖는 상기 고무 링(26)에 더 완벽히 밀착되면서 방수를 실행하게 된다. 밀착을 더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놉 돌기 판(49)도 탄성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의 방수를 위한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음향 발생 부(11)로 부터 발생되는 소리는 통과하고 물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얇은 판(28)으로 소리 통로 구멍(20)이 막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 1∼도 6). 이 경우엔 상기 얇은 판(28)은 스피커(14)의 소리 진동 음압은 상기 얇은 판(28)을 잘 통과될 수 있도록 얇은 두께의 재질로 구성하여서 스피커(14)의 소리는 상기 얇은 판(28)을 통과하고 물은 통과하지 못하여서 방수를 수행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얇은 판(28)은 손잡이 구조물에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엔 얇은 판(28)의 고유 진동 수가 스피커(14)의 음향 진동에 공진되면서 소리는 얇은 판(28)을 통과하고 물은 통과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방수를 수행한다.
또 다른 방법은 스피커(14)의 진동판을 방수 재질과 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소리 통로 구멍(20)을 물이 맺히지 못하도록 크게 형성하여서 세척 시 상기 스피커(14)의 진동판을 통하여 물이 침투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방수가 수행된다.
미 설명 부호에 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의 스프링(23)는 온도 센서(8)가 윗 두껑(2)의 표면에 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온도 센서(8)의 정확한 밀착은 온도 센서(8)의 온도 감지의 편차를 줄이게 한다.
도 7 의 돌기(25) 및 돌기용 홈(24)은 온도 센서(8)가 도 7 의 수증기 분출구(12) 위치에서 상기 온도 센서(8)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손잡이 하 구조(30) 및 손잡이 상 구조(29)는 윗 두껑 중심부용 손잡이(6)가 전원 교환을 위하여 분리가 가능하도록 두 조각으로 구성시킨 경우에 아래 부분의 구조와 윗 부분의 구조를 의미한다.
온도 센서 날개(36)는 온도 센서(8)를 냄비의 손잡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 날개 고정용 볼트(35)는 온도 센서 날개(36)를 윗 두껑 중심부용 손잡이(6)에 고정되게 설치하기 위하여 체결하는 볼트를 의미한다. 전원 표시 LED(42)는 전원이 온(ON) 되었을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 몸통용 손잡이(5)는 냄비(1)의 몸통 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다. 윗 두껑 측면용 손잡이(4)는 윗 두껑(2)의 측면 부위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의미한다.
미 설명 도면 도 12 는 요리 재료(18)가 물(17)이 끓기 전에 미리 투입되는 경우인 실시 예 1 의 방법으로 요리가 실행될 때의 온도-시간 특성 그래프이다. 도 12 에서 "비등" 싯점은 물이 실제로 비등하는 싯점이고, 비등 감지 싯점은 온도 센서(8)/ 비등 감지 수단(10)이 비등을 감지하는 싯점을 의미한다.
또한 도 12 의 "끓임 지속 시간 1" 은 물(17)이 끓기 전이 미리 요리 재료(18)가 투입된 상태에서 비등 감지 수단(10)의 비등 감지 후부터 요리가 완료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여 선택된 메뉴의 설정 시간 값으로 타이머 부(9)에 설정되는 시간 값이다.
도 13 은 물이 끓은 후에 요리 재료(18)가 투입되는 경우인 실시 예 2 및 실시 예 3 의 방법으로 요리가 진행될 때의 온도-시간 특성 그래프이다. 도 13 에서 감지 소요 시간은 상술한 도 12 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투입 소요 시간은 비등을 알리는 비등 음향 발생 후부터 사용자가 요리 재료(18)를 투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시 예 2 에서는 타이머 부(9)에 설정되는 시간은 "끓임 지속 시간 2" 에 "투입 소요 시간" 이 합해진 시간이 설정되지만, 상기 "투입 소요 시간" 은 요리 재료(18)가 냄비(1) 내의 물(17) 속으로 투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기 때문에 실제로 요리 재료(18)가 끓은 물 속에서 더 끓여지는 시간은 "끓임 지속 시간 2" 이다. 상기 "끓임 지속 시간 2" 는 끓는 물 속으로 요리 재료를 투입 한 이후부터 요리가 완료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다.
도 13 은 실시 예 2 와 실시 예 3 의 온도 시간 특성 그래프를 함께 보여주고 있다. 도 13 에서 재료 투입 싯점은 재료 투입 버튼(19)이 조작된 싯점을 의미한다. 도 13 에서 재료 투입(18) 후 물(17)의 온도가 잠시 하강하는 과정은 표시하지 않았다.
삭제
삭제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들은 국물 요리가 가장 맛 있게 요리가 완료되었을 때에 이를 사용자에 자동적으로 알려주는 특징을 갖는 자동 요리 냄비인 것이다.

Claims (17)

  1. 온도센서를 갖는 비등감지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부, 메뉴선택부,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는 회로부가 손잡이내에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는 요리완료를 경보하는 자동요리 냄비에 있어서,
    온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냄비: 윗 두껑의 표면 온도 감지나 분출되는 수증기의 온도 감지로 물의 비등을 감지하는 비등 감지 수단; 상기 비등 감지 수단이 비등 감지 시에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서 작동을 개시하고, 요리 조절 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의 조절이 가능하고, 메뉴 선택 수단에 의해서 선택되는 메뉴의 비등 감지 후부터 요리 완료 시까지의 시간인 "끓임 지속 시간 1" 이 설정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요리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부; 상기 타이머 부의 설정시간 종료시의 출력 신호와 상기 비등감지부의 비등감지 신호에 의해서 각각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부; 상기 음향발생부의 소리를 외부로 유도하고, 전원 스위치 조작을 위한 놉의 작동에 연동되는 놉 날개나 놉 돌기판에 의해서 개폐되고 구멍부위에 고무링을 갖는 소리통로구멍의 구성; 회로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부; 전원 부를 포함하는 회로 부의 냄비 손잡이 내의 설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이 끓기 전에 미리 투입된 요리 재료의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2. 온도센서를 갖는 비등감지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부, 메뉴선택부,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는 회로부가 손잡이내에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는 요리완료를 경보하는 자동요리 냄비에 있어서,
    냄비; 온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윗 두껑의 표면 온도 감지나 분출되는 수증기의 온도 감지로 물의 비등을 감지하는 비등 감지 수단; 상기 비등 감지 수단의 비등 감지 신호에 의해서 작동이 개시되고, 메뉴 선택 수단으로 선택된 메뉴의 끓는 물속으로 재료를 투입한 후부터 요리 완료 시까지 비등이 지속되는 시간인 "끓임 지속 시간 2" 에 "투입 소요 시간" 이 합해진 시간이 설정되고, 요리 조절 수단에 의해서 설정 시간이 조절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요리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부; 조작 시에 상기 타이머부의 진행중인 설정시간 계측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하는 리스타트(restart) 버튼;상기 비등 감지 수단의 비등 감지 신호와 상기 타이머 부의 설정시간 종료시의 출력 신호에 따라 각각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부; 상기 음향발생부의 소리를 외부로 유도하고, 전원 스위치 조작을 위한 놉의 작동에 연동되는 놉 날개나 놉 돌기판에 의해서 개폐되고 구멍부위에 고무링을 갖는 소리통로구멍의 구성; 회로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부; 상기 전원 부를 포함하는 회로 부의 용기 손잡이 내의 설치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비등 경보음에 따라 투입된 요리 재료의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3. 온도센서를 갖는 비등감지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부, 메뉴선택부,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는 회로부가 손잡이내에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는 요리완료를 경보하는 자동요리 냄비에 있어서,
    냄비; 온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윗 두껑의 표면 온도 감지나 분출되는 수증기의 온도 감지로 물의 비등을 감지하는 비등 감지 수단; 메뉴 선택 수단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뉴의 끓는 물속으로 재료를 투입한 후부터 요리 완료 시까지 비등이 지속되는 시간인 "끓임 지속 시간 2" 시간 값이 메모리에서 검색되어 설정되고, 요리 조절 수단으로 상기 설정된 시간의 조절이 실행되고, 재료 투입 후에 조작되는 재료 투입 버튼 조작 신호에 따라 다시 체크된 상기 비등 감지 수단의 비등감지 신호에 따라 설정된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요리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부; 상기 비등 감지 수단의 출력 신호와 상기 타이머 부의 설정시간 종료시의 출력 신호에 따라 각각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부; 상기 음향발생부의 소리를 외부로 유도하고, 전원 스위치 조작을 위한 놉의 작동에 연동되는 놉 날개나 놉 돌기판에 의해서 개폐되고 구멍부위에 고무링을 갖는 소리통로구멍의 구성; 회로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부; 상기 전원 부를 포함하는 회로 부의 용기 손잡이 내의 설치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비등 경보음에 따라 투입된 요리 재료의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30030740A 2013-03-22 2013-03-22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Active KR102059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740A KR102059197B1 (ko) 2013-03-22 2013-03-22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PCT/KR2014/002430 WO2014148873A1 (ko) 2013-03-22 2014-03-24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CN201480029227.7A CN105307542B (zh) 2013-03-22 2014-03-24 提醒烹饪完成的自动烹饪锅
JP2016505390A JP6545150B2 (ja) 2013-03-22 2014-03-24 料理完了を警報する自動料理鍋{automaticcookingpotnotifyingcompletionofcooking}
US14/779,050 US11147408B2 (en) 2013-03-22 2014-03-24 Automatic cooking pot notifying completion of cooking and having a power switch in sync with a closing wing or knob protrusion for selectively waterproofing a sound passage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740A KR102059197B1 (ko) 2013-03-22 2013-03-22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741A KR20140115741A (ko) 2014-10-01
KR102059197B1 true KR102059197B1 (ko) 2019-12-24

Family

ID=5158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740A Active KR102059197B1 (ko) 2013-03-22 2013-03-22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47408B2 (ko)
JP (1) JP6545150B2 (ko)
KR (1) KR102059197B1 (ko)
CN (1) CN105307542B (ko)
WO (1) WO2014148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1908535T4 (tr) * 2015-06-04 2019-07-22 Seb Sa Basınçlı pişirme aparatına yönelik supap ve bu tür bir supap ile donatılan basınçlı pişirme aparatı.
FR3036939B1 (fr) * 2015-06-04 2017-07-14 Seb Sa Autocuiseur pourvu d'une soupape demontable et d'un capteur de temperature
FR3041719B1 (fr) * 2015-09-25 2017-10-20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surveillance de la temperature et du serrage d'une vis
US10588443B2 (en) * 2016-03-04 2020-03-17 CE Brands, LLC Smart slow cooker
CN106136865A (zh) * 2016-08-10 2016-11-23 林群祥 食物蒸汽膨发锅
CN106136872A (zh) * 2016-08-16 2016-11-23 林群祥 大米饭膨发锅
CN106388556B (zh) * 2016-10-21 2018-09-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饭锅加热温度控制方法、装置及电饭锅
US10453375B2 (en) * 2017-06-04 2019-10-22 Apple Inc. Long-term history of display intensities
DE202018006409U1 (de) 2017-08-09 2020-04-23 Sharkninja Operating Llc Kochgerät und Komponenten davon
CN107550243A (zh) * 2017-09-28 2018-01-0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调器和烹调器温控方法
CN107951372B (zh) * 2017-12-19 2021-07-06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器具的烹饪方法
CN110313839A (zh) * 2018-03-28 2019-10-1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能够识别液态沸腾的锅具、方法和系统及加热液体的设备
FR3081307B1 (fr) * 2018-05-25 2020-05-01 Seb S.A. Re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 element bimetallique d’alerte sonore
USD914447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10610057B1 (en) * 2019-02-07 2020-04-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User notification of smart cookware handle temperature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US11033146B2 (en) 2019-02-25 2021-06-1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D980667S1 (en) * 2019-07-03 2023-03-14 Primus Ab Cooking pot
HK30006163A2 (en) 2019-08-02 2020-05-15 燧氏科技有限公司 Automated cooking system
CN111297170B (zh) * 2020-01-10 2022-02-11 廖淩祥 一种具有保鲜功能的电饭锅
US11113933B1 (en) * 2020-02-28 2021-09-07 Therm-Omega-Tech, Inc. Visual indication system for feedback controller
US11134808B2 (en) 2020-03-30 2021-10-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1051658S1 (en) * 2021-09-13 2024-11-19 Changzhou Infinite Life Electronic Commerce Co., Ltd. Electric vegetable process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604Y1 (ko) * 1999-11-19 2000-04-15 김경희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냄비.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145A (en) * 1980-05-19 1982-08-17 General Electric Company User programmable control system for toaster oven appliance
JPS57200855A (en) * 1981-06-04 1982-12-09 Sanyo Electric Co Ltd Detector for boiling of cooker
JP2505765B2 (ja) 1986-09-02 1996-06-12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JP2517365B2 (ja) 1988-08-05 1996-07-24 三洋電機株式会社 調理器
US5079407A (en) * 1990-01-09 1992-01-07 Whirlpool Corporation Boil condition detection device for a range
KR930001778B1 (ko) * 1991-03-29 1993-03-13 김경희 전자식 자동 조리장치
JP2570510B2 (ja) 1991-04-01 1997-01-08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おかゆ鍋
KR930001778A (ko) 1991-07-10 1993-02-22 이수천 낚싯줄 자동 조절장치
CN2102699U (zh) * 1991-10-11 1992-04-29 殷彤 食物蒸煮沸点及定时监控器
US5441344A (en) * 1993-10-22 1995-08-15 Cook, Iii; Walter R. Temperature measurement and display of a cooking surface
US5555536A (en) * 1994-07-19 1996-09-10 Rolf; Rebecca L. Device for playing recorded audio at a selected time
DE4439096A1 (de) * 1994-11-02 1996-05-09 Klaus Kozitzki Kochbehälter
US5567458A (en) * 1995-02-02 1996-10-22 Wu; James 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adiabatic cooking
DE29603112U1 (de) * 1996-02-23 1996-04-18 Gebrüder Funke KG, 59846 Sundern Gerät zum Kochen von Eiern
JP2970538B2 (ja) * 1996-06-24 1999-11-02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おかゆ鍋
KR19990005373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전기보온밥솥에서 취사량 판정 방법
US6449218B1 (en) * 1997-10-10 2002-09-10 Alex Lluch Medicine storage and reminder device
US5937741A (en) * 1997-12-17 1999-08-17 Manger; William M. Automatic pasta preparer
KR19990036185U (ko) * 1998-02-16 1999-09-15 한기수 타이머 부착 냄비뚜껑
KR20000056237A (ko) * 1999-02-18 2000-09-15 김용남 일체성형휠과 그 제조방법
US6236025B1 (en) * 1999-03-19 2001-05-22 General Electric Company Acoustic sensing system for boil state detection and method for determining boil state
FR2834193B1 (fr) 2001-12-27 2004-04-09 Seb Sa Appareil de cuisson d'aliments sous pression comportant un capteur de temperature
US6899018B2 (en) * 2002-01-09 2005-05-31 Henry Narcissi On-demand cooked pasta vending machine
JP2006002989A (ja) * 2004-06-17 2006-01-05 Rinnai Corp 加熱調理器
US7409765B2 (en) * 2005-03-03 2008-08-12 Perception Digital Limited Combination cooking utensil
US20060273895A1 (en) * 2005-06-07 2006-12-07 Rhk Technology,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lerting apparatus
WO2010140135A1 (en) * 2009-06-05 2010-12-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for cooking and method of helping a user to cook
US20110044370A1 (en) * 2009-08-18 2011-02-24 Ysn Imports, Inc. Barbecue Tongs With Temperature Sensor
CN201562147U (zh) * 2009-11-20 2010-08-25 邓慕斯 一种用于电炊具的智能控制电路
CN102665154B (zh) * 2012-05-19 2015-04-22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mic拾音孔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604Y1 (ko) * 1999-11-19 2000-04-15 김경희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37955A1 (en) 2016-02-11
KR20140115741A (ko) 2014-10-01
US11147408B2 (en) 2021-10-19
JP2016514540A (ja) 2016-05-23
JP6545150B2 (ja) 2019-07-17
WO2014148873A1 (ko) 2014-09-25
CN105307542B (zh) 2020-04-14
CN105307542A (zh)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197B1 (ko)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CN101023842B (zh) 电饭锅
JP4588696B2 (ja) 飲料の抽出のための改良型の装置
CN103702593B (zh) 煮饭器
US8431872B2 (en) Countertop cooker
JP2001074250A (ja) 加熱調理器
JP2011218004A (ja) 炊飯器
KR101402513B1 (ko) 라면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라면 냄비.
KR20140115743A (ko)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KR20170009080A (ko)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KR920002418B1 (ko) 간접 가열방식의 메뉴선택식 자동조리 가열방법 및 장치
JP7407520B2 (ja) 加熱調理器
KR20170034564A (ko)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KR20130052223A (ko)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KR102474544B1 (ko)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장치
KR200178604Y1 (ko)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냄비.
JPH0324211B2 (ko)
CN112315310A (zh) 一种具有提醒功能的明火烹饪器具
JP5106273B2 (ja) 炊飯器
JP2014004187A (ja) 炊飯器
KR930006562B1 (ko) 음식물의 조리방법 및 장치
KR20140023742A (ko) 메뉴 선택이 가능한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후라이팬
KR20180083581A (ko) 요리 완료를 경보하는 자동 요리 냄비
WO2024070863A1 (ja) 加熱調理器
JPH0531020A (ja) 電気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3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3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6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1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6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