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956B1 - 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8956B1 KR102058956B1 KR1020190121352A KR20190121352A KR102058956B1 KR 102058956 B1 KR102058956 B1 KR 102058956B1 KR 1020190121352 A KR1020190121352 A KR 1020190121352A KR 20190121352 A KR20190121352 A KR 20190121352A KR 102058956 B1 KR102058956 B1 KR 1020589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separator
- solid
- tank
- speed solid
- wastewater treat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063 solu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928 solubil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65 channe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46 particulate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1 solu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2—Density control of clear liquid or sediment, e.g. optical control ; Control of physic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3—Sequencing batch reactors [SB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속고액분리장치에서 내부 몸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도면에서 A-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도면에서 B-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속고액분리장치에서 물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하여 하폐수를 처리하는 제1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하여 하폐수를 처리하는 제2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하여 하폐수를 처리하는 제3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하여 하폐수를 처리하는 제4 예시이다.
100 : 지지프레임
200 : 외부 몸체부
210 : 수용조
211 : 여과망 212 : 제1 분사노즐
213 : 제1 연결프레임 214 : 제1 슬러지 배출배관
215 : 제2 슬러지 배출배관 216 : 제1 센서
217 : 제2 센서 218 : 제1 수중 펌프
220 : 정화수 배출유로
221 : 제2 분사노즐 222 : 정화수 배출구
230 : 슬러지 가이드부
240 : 제2 수중 펌프
250 : 수용조 덮개
260 : 제1 수직 이동부
261 : 제3 분사노즐
270 : 에어실린더
280 : 구획벽
281 : 제1 요홈부
300 : 내부 몸체부
310 : 내관
311 : 충돌판 312 : 회전 유도부
313 : 지지판 314 : 연결바
320 : 외관
321 : 원수 유입관 322 : 공기 배출관
323 : 제1 약품 주입관 324 : 제2 약품 주입관
325 : 제3 약품 주입관
330 : 제2 수직 이동부
331 : 걸림 돌기 332 : 제2 연결프레임
333 : 후크 334 : 제2 요홈부
340 : 베어링
350 : 와이어
360 : 구동수단
2000 : 혐기조
3000 : 무산소조
4000 : 호기조
5000 : 2차 고액분리장치
6000 : 연속회분식반응조
6100 : 제1 연속회분식반응조
6200 : 제1 연속회분식반응조
7000 : 슬러지농축조
8000 : 슬러지 가용화조
9000 : 혐기 소화조
10000 : 탈수기
11000 : 1차 고액분리장치
Claims (20)
- 약품과 혼합된 원수를 공급받아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과 스컴을 분리하여 정화수를 생산하는 외부 몸체부(200);
상기 외부 몸체부(200)를 고정하는 지지프레임(100); 및
상기 외부 몸체부(200) 내부에 구비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몸체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몸체부(200)는,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며 직립하여 위치하고, 상부 벽면 소정 위치에는 미세입자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망(211)이 구비된 수평 단면이 원형인 수용조(210), 상기 여과망(211)을 통과한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기 수용조(210) 상부 외측의 정화수 배출유로(220), 상기 수용조(210)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수용조 덮개(25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몸체부(300)는, 수평 단면이 원형이고 내부가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관(310), 상기 내관(310)을 감싸는 형상으로 위치하며, 상부와 측부는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평 단면이 원형인 외관(320), 상기 내관(310)과 외관(32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제2 수직 이동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조(210)에는 수면 부근에 부상한 스컴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서(216), 및 침강한 슬러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바닥과 소정 거리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한 제2 센서(217)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 배출유로(220) 내부 벽면에는 정화수 배출유로(220) 및/또는 배출구(222)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2 분사노즐(22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 배출유로(220) 상부 개방부로 수직 이동하는 제1 수직 이동부(260), 및 상기 여과망(211)에 부착한 미세입자를 세척하기 위한 상기 제1 수직 이동부(260) 내측면에 위치하는 제3 분사노즐(26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조(210)의 내부 중앙부에는 수용조(210) 공간부를 분리하기 위한 원통형 구획벽(280)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몸체부(300)는 상기 구획벽(280) 내부에 위치하여 구획벽(280) 내벽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320)은, 상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하는 원수 유입관(321), 상부를 관통하여 소정 깊이 연장된 공기 배출관(322), 및 상부를 관통하여 소정 깊이 연장된 하나 이상의 약품주입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이동부(330)는, 일측이 상기 외관(320)과 연결되며 타측은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제2 연결프레임(332), 및 상부 가장자리에는 후크(333)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조(210)는, 수면 부근에 부상한 스컴을 소정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1 분사노즐(212), 침강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바닥 저면의 제1 슬러지 배출배관(214), 침강한 슬러지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바닥과 소정 거리 상부로 이격하여 위치한 제2 슬러지 배출배관(215), 수면 부근에 부상한 스컴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서(216), 침강한 슬러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바닥과 소정 거리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한 제2 센서(217)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로(220) 내부 벽면에는 배출유로(22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2 분사노즐(221)이 구비되고;
부상한 스컴을 소정 영역으로 구획하기 위한 상기 수용조(210) 수면 부근에 위치하는 1개 이상의 슬러지 가이드부(230);
상기 정화수 배출유로(220) 상부 개방부로 수직 이동하며, 상기 여과망(211)에 부착한 미세입자를 세척하기 위한 제3 분사노즐(261)이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수직 이동부(260);
상기 내부 몸체부(3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조(210) 공간부를 분리하기 위한 상기 수용조(210) 내부 중앙부에 위치하는 원통형 구획벽(280);
상기 내관(310)은, 약품과 원수를 1차적으로 혼합하기 위한 상부 외측면에 위치하는 충돌판(311), 및 약품과 원수가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측벽 외면의 회전유도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외관(320)은, 상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하는 원수 유입관(321), 상부를 관통하여 소정 깊이 연장된 공기 배출관(322), 및 상부를 관통하여 소정 깊이 연장된 하나 이상의 약품주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직이동부(330)는, 일측이 상기 외관(320)과 연결되며 타측은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제2 연결프레임(332), 및 상부 가장자리의 후크(333)를 포함하고;
일측은 상기 구획벽(280) 내벽과 밀착하고 타측은 상기 제2 수직이동부(330) 외벽과 밀착하는 베어링(340);
일측이 상기 후크(333)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350); 및
상기 제2 수직 이동부(33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350)의 타측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수단(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
- 제1항, 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혐기조(2000), 무산소조(3000), 호기조(4000) 및 2차 고액분리장치(50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고속고액분리장치(1000) 이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조(2000), 무산소조(3000) 및 호기조(40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미생물 담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 제1항, 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무산소조(3000), 고속고액분리장치(1000), 호기조(4000) 및 2차 고액분리장치(5000) 순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3000) 및 호기조(40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미생물 담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 제1항, 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고속고액분리장치(1000), 및 하나 이상의 연속회분식반응조(6000) 순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 제1항, 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고속고액분리장치(1000);
1차 고액분리장치(11000);
혐기조(2000), 무산소조(3000) 및 호기조(40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처리조;
2차 고액분리장치(5000);
슬러지 농축조(7000), 슬러지 가용화조(8000) 및 혐기소화조(90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슬러지 처리조; 및
탈수기(10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 제11항의 하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하수 및/또는 폐수를 고속고액분리장치(1000)로 공급하여 고액분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고형물이 분리된 상등액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
- 제13항의 하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하수 및/또는 폐수에 포함된 질소 성분을 탈질하는 단계; 및
고속고액분리장치(1000)에서 고액분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
- 제15항의 하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하수 및/또는 폐수를 고속고액분리장치(1000)로 공급하여 고액분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고형물이 분리된 상등액을 연속회분식반응조(6000)로 공급하여 질산화, 탈질, 탈인 및 유기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
- 제16항의 하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하수 및/또는 폐수를 1차 고액분리장치(11000)로 공급하여 고액분리를 수행하는 단계;
고형물이 분리된 상등액에 포함된 유기물을 제거하는 단계;
유기물 제거 단계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농축 탈수하는 단계;
슬러지 농축 탈수 과정에서 발생한 반류수를 고속고액분리장치(1000)로 공급하여 고액분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고속고액분리장치(1000)에서 생성된 처리수를 1차 고액분리장치(11000)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1352A KR102058956B1 (ko) | 2019-10-01 | 2019-10-01 | 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1352A KR102058956B1 (ko) | 2019-10-01 | 2019-10-01 | 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8956B1 true KR102058956B1 (ko) | 2019-12-26 |
Family
ID=6910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1352A Active KR102058956B1 (ko) | 2019-10-01 | 2019-10-01 | 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8956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773277A (zh) * | 2023-08-21 | 2023-09-19 | 成都亿联云创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城市用污水环境监测处理装置 |
KR102677940B1 (ko) | 2023-05-31 | 2024-06-26 | 주식회사 제이텍워터 |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의 연속 분리 배출 장치 |
KR102733027B1 (ko) | 2024-01-15 | 2024-11-21 | 주식회사 엠엘비컴퍼니 | 여과망 접촉 차단 가이드 벽체가 구비된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의 연속 분리 배출 장치 |
KR102733028B1 (ko) | 2024-01-15 | 2024-11-21 | 주식회사 엠엘비컴퍼니 | 수직 이동 및 수평 회전하는 세척 노즐이 구비된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의 연속 분리 배출 장치 |
KR102751610B1 (ko) * | 2024-08-30 | 2025-01-13 | 주식회사 엠엘비컴퍼니 | 모듈러 시스템을 이용한 하수 처리 공정 및 설비 |
KR102830128B1 (ko) | 2024-08-30 | 2025-07-08 | 주식회사 에코넥스트 | 음폐수 처리 설비 및 처리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10910A (ja) | 2002-01-23 | 2003-07-29 | Mitsuhiro Fujiwara | 固液分離装置 |
KR101335668B1 (ko) | 2013-04-30 | 2013-12-05 | (주) 영동엔지니어링 | 살균 및 역세 기능이 향상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
KR101600364B1 (ko) | 2014-02-10 | 2016-03-07 | 심재수 | 메시드럼필터 및 이에 부착된 슬러지 자동 제거 구조를 갖는 상징수 드레인 장치 |
KR101858028B1 (ko) * | 2017-11-10 | 2018-06-27 | (주)엠비티 | 고속 복합 수처리 장치 |
JP2018134619A (ja) * | 2017-02-24 | 2018-08-30 | オルガノ株式会社 | 凝集沈殿装置 |
-
2019
- 2019-10-01 KR KR1020190121352A patent/KR10205895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10910A (ja) | 2002-01-23 | 2003-07-29 | Mitsuhiro Fujiwara | 固液分離装置 |
KR101335668B1 (ko) | 2013-04-30 | 2013-12-05 | (주) 영동엔지니어링 | 살균 및 역세 기능이 향상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
KR101600364B1 (ko) | 2014-02-10 | 2016-03-07 | 심재수 | 메시드럼필터 및 이에 부착된 슬러지 자동 제거 구조를 갖는 상징수 드레인 장치 |
JP2018134619A (ja) * | 2017-02-24 | 2018-08-30 | オルガノ株式会社 | 凝集沈殿装置 |
KR101858028B1 (ko) * | 2017-11-10 | 2018-06-27 | (주)엠비티 | 고속 복합 수처리 장치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7940B1 (ko) | 2023-05-31 | 2024-06-26 | 주식회사 제이텍워터 |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의 연속 분리 배출 장치 |
WO2024248437A1 (ko) * | 2023-05-31 | 2024-12-05 | 주식회사 제이텍워터 |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의 연속 분리 배출 장치 |
CN116773277A (zh) * | 2023-08-21 | 2023-09-19 | 成都亿联云创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城市用污水环境监测处理装置 |
CN116773277B (zh) * | 2023-08-21 | 2023-10-31 | 成都亿联云创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城市用污水环境监测处理装置 |
KR102733027B1 (ko) | 2024-01-15 | 2024-11-21 | 주식회사 엠엘비컴퍼니 | 여과망 접촉 차단 가이드 벽체가 구비된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의 연속 분리 배출 장치 |
KR102733028B1 (ko) | 2024-01-15 | 2024-11-21 | 주식회사 엠엘비컴퍼니 | 수직 이동 및 수평 회전하는 세척 노즐이 구비된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의 연속 분리 배출 장치 |
KR102751610B1 (ko) * | 2024-08-30 | 2025-01-13 | 주식회사 엠엘비컴퍼니 | 모듈러 시스템을 이용한 하수 처리 공정 및 설비 |
KR102830128B1 (ko) | 2024-08-30 | 2025-07-08 | 주식회사 에코넥스트 | 음폐수 처리 설비 및 처리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8956B1 (ko) | 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
EP2508483B1 (en) |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 |
CN103922527B (zh) | 一体化污水深度处理装置及其工艺 | |
KR101686484B1 (ko) | 하수 처리방법 | |
KR102352545B1 (ko) | 고액분리장치 | |
KR101239249B1 (ko) | 에너지 절감형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 |
CN111439901A (zh) | 一种闭式石化煤化工废水深度处理装置及工艺 | |
SK101095A3 (en) | Reactor for biological cleaning of waste waters | |
KR101037888B1 (ko) |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 |
RU2404133C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 |
US5344563A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JP7423414B2 (ja) | 担体分離装置、担体分離装置の運転方法、多段担体分離装置、および嫌気性処理装置 | |
CN203247176U (zh) | 一种废水处理系统 | |
JP4979531B2 (ja) | 好気濾床槽及びこの好気濾床槽の運転方法 | |
CN103819062A (zh) | 一体式流化池mbr污水处理设备 | |
WO2024076248A1 (en) | Low maintenance, gravity powered enhanced coagulation systems | |
KR102031013B1 (ko) | 고액분리장치 | |
KR101783292B1 (ko) | 하수 처리 장치 | |
KR102581775B1 (ko) | 부상여과조를 포함하는 하수고도처리장치 | |
CN216808375U (zh) | 脱硫废水一体化装置 | |
CN108675497A (zh) | 一种基于芬顿流化床处理印染废水超低排放装置及其方法 | |
KR102002750B1 (ko) | 종합 수처리 시스템 | |
JP4765041B2 (ja) | 水処理装置 | |
KR100453705B1 (ko) |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 |
CN109607981B (zh) | 一种多级生化提标过滤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0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