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8322B1 - Accessories - Google Patents

Accessor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322B1
KR102058322B1 KR1020190094765A KR20190094765A KR102058322B1 KR 102058322 B1 KR102058322 B1 KR 102058322B1 KR 1020190094765 A KR1020190094765 A KR 1020190094765A KR 20190094765 A KR20190094765 A KR 20190094765A KR 102058322 B1 KR102058322 B1 KR 102058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jewel
shape
region
jewel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7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형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쥬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쥬에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쥬에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32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7Special types of ge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5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otatably or pivotably arrange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ory by coupling between a pedestal and a jewel, which reflects the lower area of the jewel on a surface of the pedestal to display decorativ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ory includes a jewel (1) coupled to a glossy surface area of a pedestal (2). The jewel (1) has an inclined shape with a gradually reduced width or a pillar shape with the identical width in the lower area (12) of the greatest width area (10), and is preserved and maintained in a state surrounding the lower area (12) of the jewel (1) by a support frame (4) which is branched from a post (3) mounted on the pedestal (2) and has a ring part (41) protruding from a top side. The upper area (11) of the greatest width area (10) of the jewel (1) is fixed by the ring part (41) or the inner wall of a hole (5), into which the bottom portion (13) of the jewel (1) is inserted, and the bottom portion (13) are fixed to the pedestal (2) by a soldering material (6). Moreover, fine corrugation not to reach diffused reflection is applied on a surface to form gloss with blur.

Description

장신구{ACCESSORIES}Jewelry {ACCESSORIES}

본 발명은,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대좌(台座) 중,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의 일부 영역과 보석을 결합하고, 또한 상기 표면이 보석 주위를 둘러싼 상태를 형성하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jewelry which couple | bonds a jewel with some area | region of the surface which forms the gloss among the bases which have a surface and a back surface, and forms the state which the said surface surrounds around a jewel.

표면과 이면을 가지는 대좌와 결합하고 있는 보석은, 대부분의 경우,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의 상측 영역은 순차적으로 솟아올라 있는 만곡 형상, 또는 소정의 각도 변화를 수반하는 각형(角型) 형상을 나타내는 한편, 상기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면에 이르는 하측 영역은, 순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는 경사모양 또는 동일 폭에 의한 기둥모양을 형성하고 있다.Jewelery coupled to the pedestal having the front and back surfaces, in most cases, the upper region of the region exhibiting the maximum width exhibits a curved shape that rises sequentially, or a rectangular shape with a predetermined angle change. The lower region extending from the region representing the maximum width to the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clined shape which becomes a narrow width sequentially or a pillar shape having the same width.

상기 하측 영역은, 상측 영역과 유사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는 경우가 많음에도, 대좌와 결합하고 있는 보석에서 장식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은 기본적으로 상측 영역이며, 하측 영역에 대해서는 장식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는 각별한 궁리가 거의 행해져 있지 않다.Although the lower region often has a width similar to that of the upper region, it is basically the upper region that the decorative effect is exhibited in the jewelry that is coupled to the pedestal, and the lower region exhibits the decorative effect. There is hardly any particular invention to do.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용기모양을 형성하고, 또한 바닥부에 구멍을 가지는 대좌(5)에 대해, 순차적으로 좁은 폭 상태를 나타내는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보석(8)을, 하단부에서 상기 구멍에 삽입 관통시킨 다음, 또한 대좌(5) 상단의 고리(爪)(6)에 의해서 상기 보석(8)의 상측 영역에서 유착(留着)하고 있다. (제9도 및 1페이지 오른쪽 하측란∼2페이지 왼쪽 상측란의 설명문).Specifically, for example, in Patent Literature 1, an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which form a container shape and have a narrow width state sequentially, are sequenti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5 having a hole at the bottom. The jewel 8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at the lower end, and is then coalesc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jewel 8 by a ring 6 at the upper end of the pedestal 5. (Explanation in Figure 9 and lower right column on page 1 and upper left column on page 2).

그렇지만,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보석의 바닥면은, 「바닥면은 대좌에 의해서 거의 덮여」있고 (2페이지 왼쪽 상측란 6행∼7행), 보석(8)의 하측 영역은 전혀 장식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 않다.However, in such a configura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jewel is almost covered by the pedestal (bottom 6 row 7 on the left side of page 2), and the lower region of the jewelry 8 exhibits a decorative effect at all. I'm not doing it.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원통모양의 귀금속을 소재로 하는 보존유지구(2)에 의한 대좌와 특허문헌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보석(1)을 납땜재(3)를 거쳐 결합하고 있다. (1페이지의 「요약」부분).In Patent Literature 2, a brazing material is formed by using a pedestal by a storage holding tool 2 made of a cylindrical precious metal as a material, and a jewelry 1 having upper and lower regions similar to those of Patent Literature 1. Are combined by). (The Summary section on page 1).

그런데 특허문헌 2의 구성은, 보석(1)의 상측 영역에서 상기 보석(1)을 주의해서 살펴보면, 하측 영역은 아무런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By the way, in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2, when the said jewelry 1 is examined carefully in the upper region of the jewelry 1, the lower region cannot exhibit any decorative effect.

또한, 최대폭을 나타내고 있는 가로방향 측에서 보석(1)을 주의해서 살펴 보아도, 하측 영역의 대부분이 보존유지구(2)에 의해서 덮여있어, 장식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In addition, even if the jewel 1 is carefully examined from the lateral side showing the maximum width, most of the lower region is covered by the storage holding zone 2, so that the decorative effect can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특허문헌 3은, 요업 제품 본체(30)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유약층(32)을 도포함과 동시에, 양면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는 대좌와 특허문헌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보석(11)을 유약층(32)의 개재 영역에 끼움 장착하여 결합하고 있다. (1페이지의 요약 부분).Patent Literature 3 includes the glaze layer 32 o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ceramic product main body 30,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region and the lower region similar to those of the base and Patent Document 1 interposed between both surfaces. The jewels 11, which are formed of the jewels 11, are fitted to the intervening region of the glaze layer 32 to be bonded. (Summary section on page 1).

그렇지만,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보석(11)의 하측 영역이 완전히 대좌 내에 끼워 넣어져 있어, 장식 효과를 전혀 발휘하고 있지 않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structure, the lower area | region of the jewelry 11 is fully inserted in the pedestal, and it does not exhibit the decorative effect at all.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4-102403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4-102403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6-253911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6-253911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97089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197089

본 발명은, 대좌의 표면과 보석을 결합하고 있는 장신구에 있어서, 보석의 상측 영역뿐만 아니라, 하측 영역에도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This invention makes it a subject to provide the structure which can exhibit a decorative effect not only in the upper region but also in the lower region of the jewelry in the jewelry which couple | bonds the surface of a pedestal with a gem.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 대좌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 중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과 결합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보석은,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면에 이르는 하측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는 경사모양, 또는 동일 폭에 의해서 기둥모양을 형성하고 있고, 대좌의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대좌에 장착되어 있는 지주로부터 분기하고, 또한 상단측에 고리부를 내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이 보석의 상기 하측 영역을 둘러싼 상태로 보존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고리부에 의해서 보석의 상기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에 대한 상측 영역을 유착하고 있고, 상기 표면에 있어서, 난반사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미소한 요철을 가하는 것에 의해, 흐림(曇, clouding)을 수반하는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장신구,(1) Jewelry combined with jewelry in the surface of the bas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forming the gloss, wherein the jewelry is sequentially narrowed in the lower region from the region representing the maximum width to the surface; The support frame which forms the pillar shape by the inclined shape or the same width, branched from the support | pillar attached to the pedestal in the state which penetrated from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pedestal to the surface side, and protrudes the ring part inside in the upper end side. While maintaining and maintaining the lower region of the jewel, the ring portion adheres to the upper region of the region representing the maximum width of the jewel, and the surface has a slight unevenness that does not reach diffuse reflection. The field forming the luster with clouding by adding Ward,

(2) 대좌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 중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과 결합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보석은,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면에 이르는 하측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는 경사모양, 또는 동일 폭에 의해서 기둥모양을 형성하고 있고, 대좌에 보석의 하단 부분을 끼워 넣는 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구멍의 내벽과 상기 하단 부분을 납땜재를 거쳐 상호 고착(fixing)하고 있고, 상기 표면에 있어서, 난반사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미소한 요철을 가하는 것에 의해, 흐림을 수반하는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장신구(2) Jewelry combined with gems in the surface of the pedestal and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forming the gloss, wherein the gems are sequentially narrowed in the lower region from the region representing the maximum width to the surface;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lumn with an inclined shape or the same width, a hole is provided in the pedestal to inser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em, and the inner wall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ole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 brazing material, The jewelry which forms the gloss with a blur by applying the minute unevenness | corrugation which does not reach a diffuse reflection in the said surface.

로 이루어진다.Is made of.

기본 구성(1) 및 (2)에 있어서는, 보석과 결합하고 있는 대좌의 광택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과 결합하고 있고, 그 결과, 상기 광택 표면의 폭이 보석의 최대폭보다도 큰 상태에 있고, 평면에서 보아 상기 표면이 보석 주위를 둘러싸는 상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보석의 하측 영역에 있어서의 경사모양 면 또는 기둥모양 면을 반사한 광이 상기 광택 표면에 재반사하고, 상기 각 면의 형상 및 색채를 반영한 것에 의한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원인으로 해서, 장신구를 상측 방향으로부터 주의해서 살펴 본 경우, 하측 영역에 있어서의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basic constitutions (1) and (2), the jewel is engaged with the jewel within the region of the polished surface of the pedestal engaging with the jewel, and as a result, the width of the polished surface is in a state larg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jewel and is flat By forming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surrounds the gem,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nclined or columnar surface in the lower region of the gem is reflected back to the gloss surface, and the shape and On the basis of forming the shape by reflecting the color, when the ornament is carefully examined from the upper direction, the decorative effect in the lower region can be provided.

게다가, 광택 표면에 미소한 요철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반짝이는 상태에 난반사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흐림(그늘(陰))이 발생한 광택 상태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minute unevenness to the gloss surf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loss state in which a blur (shade) is generated that does not reach diffuse reflection in the shiny state.

또한, 상기의 「모양」이란, 표면 형상에 나타나는 선도(線圖), 색채분류(color classification), 또는 바림(shading)이라는 디자인 상의 개념에 입각하고 있다.In addition, said "shape" is based on the design concept of the curve, color classification, or shading which appear in surface shape.

게다가, 보석의 최대폭을 나타내고 있는 가로방향 측으로부터 주의해서 살펴 본 경우에도, 보석의 하측 영역의 거의 모두가 지지 프레임에 의해서 보존 유지되어 있거나(기본 구성(1)의 경우), 또는 하단 부분 이외의 하측 영역이 대좌에 있어서의 표면의 상측으로 융기되어 있고(기본 구성(2)의 경우), 보석의 하측 영역의 대부분의 스페이스에 대해,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carefully viewed from the transverse side showing the maximum width of the jewelry, almost all of the lower region of the jewelry is preserved by the support frame (in the case of the basic configuration (1)) or other than the lower portion. The lower region is raised above the surface in the pedestal (in the case of the basic configuration (2)), and a decorative effect can be provided for most of the space in the lower region of the jewelry.

도 1은 기본 구성(1)의 실시예 1을 도시하고 있고, 지주의 방향을 따른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기본 구성(2)의 실시예 2를 도시하고 있고, 대좌의 표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3a는 기본 구성(1)의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기본 구성(2)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대좌의 보석을 둘러싸는 표면에서 규칙적인 기복 형상에 의한 장식 모양을 부가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4a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측면도이다.
도 5는 판모양의 대좌를 채용한 다음, 대치하고 있는 보석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표면이 순차적으로 융기하는 만곡 형상을 나타내는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지주가, 대좌에 대해 회동(回動) 자유롭게 하고 있는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로서, 도 6a는 대좌의 이면측 및 표면측에 지주와 끼워 맞추는 와셔를 구비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6b는 상기 와셔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1 shows Embodiment 1 of the basic configuration 1, and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direction of the post.
FIG. 2: shows Example 2 of the basic structure 2, and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base.
3 shows a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sic configuration 1, and FIG. 3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sic configuration 2.
FIG. 4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decorative shape with a regular relief shape is added to the surface surrounding the gem of the pedestal, FIG. 4A is a plan view, and FIG. 4B is a side view.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showing a curved shape in which the surface is sequentially raised as the plate-shaped pedestal is adopted and then dropped from the opposing jewel. FIG.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pport is free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and FIG. 6A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back of the pedestal and the surface side have a washer fitted with the support. 6B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washer is not provided.

기본 구성(1) 및 (2)에 있어서는,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좌(2)에 있어서,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1)과 결합하고 있고, 그 결과 상기 표면의 폭이 보석(1)의 최대폭보다도 큰 상태에 있고, 평면에서 보아 표면이 보석(1) 주위를 둘러싼 상태를 형성하고 있다.In the basic configurations (1) and (2), as shown in Figs. 3A and 3B, in the pedestal 2, the jewels 1 are engaged with the jewels 1 in the area of the surface forming the gloss. As a result, the width | variety of the said surface is in the state larger than the maximum width | variety of the jewel 1, and the surface is enclosed around the jewel 1 in planar view.

광택 표면을 가지는 대좌(2)의 소재로서는, 금속, 특히 광택을 발휘하기 쉬운 귀금속, 수정을 포함하는 보석, 나아가서는 표면 연마에 의해서 평활화한 플라스틱, 특히 근래 새로운 소재로서 개발되고 있는 금속광택을 발휘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채용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pedestal 2 having a gloss surface, metals, in particular precious metals which are easy to exhibit gloss, gems containing crystals, and plastics smoothed by surface polishing, in particular, can exhibit metallic gloss that has been developed as a new material in recent years. Plastic can be used.

이와 같이, 광택을 가지는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1)과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보석(1)의 하측 영역(12)에 반사된 광선은,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연적으로 대좌(2)와 보석(1) 주위를 둘러싸는 표면에 재반사되고, 보석(1)의 하측 영역(12)에 있어서의 경사모양 또는 기둥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각 면도 역시, 대좌(2)의 광택 표면에 반영하는 것에 의한 모양을 형성하고, 사용자는 보석(1)의 상측 영역(11)뿐만 아니라, 하측 영역(12)에 대해서도, 상기 재반사에 의해서, 장식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은, 상기와 마찬가지다(또한, 도 3a는 하측 영역(12)이 기둥모양인 경우를 도시하고, 도 3b는 하측 영역(12)이 경사모양인 경우를 도시한다).In this way, the light reflected by the lower region 12 of the jewel 1 by combining with the jewel 1 in the region of the glossy surface is inevitably shown in FIGS. 3A and 3B. Each shave that is rereflected to the surface surrounding the pedestal 2 and the gemstone 1 and forms an inclined or columnar shape in the lower region 12 of the gemstone 1 is also formed of the pedestal 2. It is possible to form a shape by reflecting on a glossy surface, and the user can provide a decorative effect not only to the upper region 11 of the jewelry 1 but also to the lower region 12 by the re-reflection. 3A shows the case where the lower region 12 is columnar, and FIG. 3B shows the case where the lower region 12 is inclined.

또한, 표면에서 형성되는 광택이란, 표면이 난반사를 나타내지 않고 반짝이는 상태를 가리키며, 경면 반사와 같이, 전반사 광이 동일 방향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In addition, the gloss formed in the surfac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is shiny without showing diffuse reflection, and like the specular reflection, the total reflection light does not have to show the same direction.

나아가서는, 표면에 미소한 요철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반짝이는 상태에 다소의 흐림(그늘)이 발생했다고 해도, 난반사 상태에 이르지 않은 한, 광택 상태에 변함은 없다.Furthermore, even if some cloudiness (shade) occurs in the shiny state by applying minute unevenness to the surface, the gloss state does not change unless the diffuse reflection state is reached.

기본 구성(1)에 있어서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좌(2)에 대해 관통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지주(3)로부터 분기한 지지 프레임(4)에 의해서, 보석(1)의 하측 영역(12)을 보존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 프레임(4)의 상단측에 있어서의 고리부(爪部)(41)에 의해서, 보석(1)의 상단측을 유착하여, 충분히 안정된 보존 유지를 실현하고 있다.In the basic structure 1, as shown to FIG. 3A, the lower side of the jewel 1 by the support frame 4 which branched from the support | pillar 3 mounted in the state which penetrated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2, and was mounted. While preserving and maintaining the region 12, the upper end side of the jewel 1 is adhered by the ring portion 41 at the upper end side of the support frame 4, thereby maintaining sufficiently stabl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It is realized.

상기 지지 프레임(4)은, 보존 유지하고 있는 하측 영역(12)에 있어서의 보석(1)으로서의 색채 및 광택을 부분적으로 차폐하고 있지만, 지지 프레임(4) 자체에 특징 있는 형상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서, 이와 같은 차폐를 거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은, 실시예 1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다.Although the said support frame 4 partially shields the color and gloss as the jewelry 1 in the lower area | region 12 hold | maintained, by adding the shape characteristic to the support frame 4 itself. The thing which can exhibit the decorative effect which passed such a shielding is as mentioned later in Example 1.

기본 구성(2)에 있어서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좌(2)에 마련한 구멍(5)에 보석(1)의 하단 부분(13)을 끼워넣고, 상기 구멍(5)의 내벽과 상기 하단 부분(13)을, 납땜재(6)를 거쳐 고착하고 있다.In the basic structure 2, as shown in FIG. 3B, the lower end part 13 of the jewelry 1 is inserted in the hole 5 provided in the pedestal 2, and the inner wall of the said hole 5 and the said The lower end portion 13 is fixed via the brazing material 6.

이와 같은 납땜재(6)를 거친 고착에 의해서, 기본 구성(2)에 있어서는, 보석(1)의 하측 영역(12) 중 하단 부분(13) 이외의 모든 영역이, 상기 재반사를 원인으로 해서 대좌(2)의 광택면에 반영되게 된다.Due to the sticking through the brazing material 6, in the basic configuration 2, all regions other than the lower portion 13 of the lower region 12 of the jewelry 1 are caused by the re-reflection. It is reflected on the glossy surface of the pedestal 2.

도 4a, 도 4b는 기본 구성(1) 및 (2)에 있어서, 대좌(2)의 보석(1)을 둘러싸는 표면에서 규칙적인 기복 형상에 의한 장식 모양(21)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다.4A and 4B are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asic configuration (1) and (2), a decorative shape 21 having a regular relief shape is added to the surface surrounding the jewel 1 of the pedestal 2. An embodiment is shown.

이와 같은 기복 형상에 의한 장식 모양(21)을 규칙적으로 대좌(2)의 표면에 부가하는 것에 의해서, 표면의 일부 영역과 결합하고 있는 보석(1)과의 콘트라스트에 의해서, 장식 효과를 한층 더 조장할 수 있다.By adding the decorative shape 21 of such relief shape to the surface of the pedestal 2 regularly, the decoration effect is further enhanced by the contrast with the jewelry 1 couple | bonded with some area | region of the surface. can do.

상기 기복 형상에 의한 장식 모양(21)으로서, 표면에 의해서 주위가 둘러싸여 있는 보석(1) 이외에, 기본 구성(1) 및 (2)와 동일한 구성인 보석을 주위에 배열하는 것도 실현할 수 있다.As the decorative shape 21 according to the relief shape, in addition to the jewelry 1 surrounded by the surface, the jewelry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basic configurations 1 and 2 can be arranged around.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좌(2)로서는, 판모양, 또는 평면 형상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As shown in FIG. 3A and FIG. 3B, as the base 2, a plate shape or a planar shape is employ | adopted in many cases.

그러나, 판모양의 대좌(2)가 결코, 평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plate-shaped pedestal 2 is not limited to the planar shape at all.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모양의 대좌(2) 표면이, 보석(1)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융기하는 만곡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형태를 채용한 경우, 보석(1)의 하측 영역(12)으로부터의 반사광에 대한 재반사와, 융기한 만곡면에 있어서의 추가적인(다른) 반사에 의해서, 중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surface of the plate-shaped pedestal 2 shows the curved state which raises sequentially as it moves away from the jewel 1, By re-reflection of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lower region 12 and additional (other) reflection in the raised curved surface, a heavy decorative effect can be exhibited.

기본 구성(1) 및 (2)에 있어서, 대좌(2)의 표면 방향의 형상은 원형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상기 형상이 결코,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basic configurations (1) and (2), the shape of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pedestal 2 often adopts a circular shape,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e circular shape at all.

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 별형, 하트형, 원고리형 중 어느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ny of oval, polygonal, star, heart, and circular shapes may be employed.

기본 구성(1) 및 (2)에 있어서는, 대좌(2)의 표면에 모양, 즉 선도, 색채분류, 또는 바림 영역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장식 효과를 더욱 조장할 수 있다.In the basic configurations (1) and (2), the decorative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by providing a shape, that is, a diagram, color classification, or a coverage area on the surface of the pedestal 2.

다만, 상기와 같이 표면에 부가한 모양에 대해서는, 광택면에 대한 재반사에 의해서 형성되는 모양과의 조화를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bout the shape added to the surface as mentioned above, it is preferable to consider harmony with the shape formed by re-reflection to a glossy surface.

기본 구성(1) 및 (2)에 있어서는, 대좌(2)의 소재로서, 보석 또는 플라스틱을 선택한 다음, 대좌(2)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을 투명 상태로 할 수 있다.In the basic constitutions (1) and (2), after selecting jewel or plastic as the raw material of the base 2, the whole area | region or some area | region of the base 2 can be made into a transparent state.

이와 같은 투명 상태의 형성에 의해서, 광택면으로의 재반사에 의한 모양이, 표면으로부터 이면에 이르는 입체적인 인상을 주어,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By forming such a transparent state, the pattern by re-reflection to a gloss surface gives a three-dimensional impression from a surface to a back surface, and can provide a decorative effect.

게다가, 일부 영역을 투명 상태로 한 경우, 투명 상태에 대해 소정의 형상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형상 자체에 의한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rtial region is made transparent, when a predetermined shape is selected for the transparent state, the decorative effect by the shape itself can be provided.

도 6a, 도 6b는 기본 구성(1)에 있어서, 대좌(2)를 관통하고 있는 지주(3)가, 대좌(2)에 회동 자유롭게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다.6A and 6B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rut 3 penetrating the pedestal 2 is freely coupled to the pedestal 2 in the basic configuration 1.

통상, 지주(3)는 장착구멍(22)을 관통한 다음, 대좌(2)의 뒤쪽면(裏側面)에 구비하고 있는 돌출 형성 단부(31)를, 레이저 용접에 의해서, 상기 뒤쪽면에 고착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Usually, the strut 3 penetrates the mounting hole 22, and then sticks the protruding end 31 provided on the rear face of the pedestal 2 to the rear face by laser welding. It is often attached in the state that it was in.

이에 반해,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지주(3)의 지름을 장착구멍(22)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설정한 다음, 상기 돌출 형성 단부(31)를 상기 뒤쪽면에 대해 고착하지 않고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서, 회동자유로운 상태를 실현하고 있다.In contrast,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iameter of the strut 3 is set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mounting hole 22, and then the protruding end 31 is engaged with the rear surface without being fixed. By this, a free rotation state is realized.

도 6a는, 대좌(2)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지주(3)와 끼워 맞추는 와셔를 구비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6b는 상기 와셔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다.FIG. 6: A has shown the case where the washer which fits with the support | pillar 3 is provided i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pedestal 2, and FIG. 6B shows the case where the said washer is not provided.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좌(2)에 보존 유지된 보석(1)이, 외부로부터의 영향에 의해서 회동하고, 대좌(2)의 광택 표면에 반영되는 하측 영역(12)의 형상 및 색채에 기초한 모양의 다이나믹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such an embodiment, the jewelry 1 stored on the pedestal 2 rotates due to an influence from the outside, and the shape and color of the lower region 12 reflected on the gloss surface of the pedestal 2. The dynamic decorative effect of the basic shape can be exhibited.

특히, 보석(1)의 하측 영역(12)이, 소정의 각뿔, 또는 각뿔대(角錐台) 형상, 또는 각기둥인 경우에는, 하측 영역(12)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방향이 변화하여, 상기 다이나믹한 장식 효과를 한층 더 조장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lower region 12 of the gemstone 1 is a predetermined pyramid, a pyramid shape, or a prisms, the direction of reflected light in the lower region 12 is changed, so that the dynamic It can further enhance the decorative effect.

이하,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Hereinafter, it demonstrates according to an 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구성(1)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4)의 하측은 넓은 폭이고, 상측이 좁은 폭인 하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asic configuration 1,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4 has a wide width, and the upper side has a heart shape having a narrow width.

이와 같은 하트형의 지지 프레임(4)의 채용에 의해서,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지지 프레임(4) 자체에 의한 장식 효과, 나아가서는, 상기 하트형에 의한 대좌(2)의 면에 반영한 모양에 기초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adopting such a heart-shaped support frame 4, in Example 1, the decorative effect by the support frame 4 itself, Furthermore, in the shape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pedestal 2 by the said heart-shaped It becomes possible to exhibit a basic decorative effect.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구성(2)에 있어서, 보석(1)의 하단 부분(13)을 고착하는 구멍(5)에 있어서, 납땜재(6) 유입용의 틈새(51)를 구멍(5)의 내벽으로부터 방사모양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Example 2, as shown in FIG. 2, in the basic structure 2, in the hole 5 which fixes the lower end part 13 of the jewel 1, the clearance for the soldering material 6 inflow.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51 is protruded radially from the inner wall of the hole 5.

실시예 2의 경우에는, 납땜재(6)를 미리 구멍(5)에 유입시키고, 또한 보석(1)의 하단 부분(13)이 구멍(5)에 끼워 넣어진 경우에는, 납땜재(6)는, 그 상당 부분이 상기 방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틈새(51) 부분으로 유입하는 한편, 유입하지 않고 구멍(5) 내에 잔류하고 있는 납땜재(6)가, 보석(1)의 하단 부분(13)과 내벽 사이에 개재하는 것에 의해서, 얇은 두께 상태의 납땜재(6)에 의해 구멍(5)과 보석(1)의 하단 부분(13)의 견고한 고착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Example 2, when the brazing material 6 is introduced into the hole 5 beforehand, and the lower end part 13 of the jewelry 1 is inserted into the hole 5, the brazing material 6 The significant portion flows into the portion of the gap 51 formed in the radial shape, while the brazing material 6 remaining in the hole 5 does not flow in the lower end portion 13 of the jewelry 1. By interposing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inner wall, it is possible to realize a firm fixation state between the hole 5 and the lower end portion 13 of the jewelry 1 by the brazing material 6 in a thin thickness state.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y availability]

이와 같이, 기본 구성(1) 및 (2)에 입각하고 있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석의 하측 영역을 대좌의 광택 표면에 반영시킨 모양의 형성에 의해서, 종래 기술의 경우와는 질이 다른(異質) 장식 효과를 발휘하고 있으며, 그 이용 범위는 매우 광범위하다.Thus, in this invention based on basic structure (1) and (2), quality differs from the case of the prior art by formation of the shape which reflected the lower area | region of the gemstone to the gloss surface of the pedestal. ) It has a decorative effect, its use is very wide.

1: 보석
10: 보석의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
11: 보석의 상측 영역
12: 보석의 하측 영역
13: 보석의 하단 부분
2: 대좌
21: 기복 형상에 의한 장식 모양
22: 장착구멍
3: 지주
31: 돌출 형성 단부
4: 지지 프레임
41: 지지 프레임의 고리부
5: 대좌에 있어서의 구멍
51: 방사모양으로 마련한 틈새
6: 납땜재
1: jewelry
10: area indicating the maximum width of the gem
11: upper area of jewels
12: lower region of the gem
13: lower part of the jewelry
2: pedestal
21: decorative shape by relief shape
22: mounting hole
3: prop
31: protrusion forming end
4: support frame
41: loop of support frame
5: hole in the base
51: gaps in the shape of radiation
6: soldering material

Claims (12)

대좌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 중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과 결합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보석은,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면에 이르는 하측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는 경사모양, 또는 동일 폭에 의해서 기둥모양을 형성하고 있고, 대좌의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으로 관통한 상태로 대좌에 장착되어 있는 지주로부터 분기하고, 또한 상단측에 고리부를 내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이 보석의 상기 하측 영역을 둘러싼 상태로 보존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고리부에 의해서 보석의 상기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에 대한 상측 영역을 유착(留着)하고 있고, 상기 표면에서, 난반사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미소한 요철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흐림(曇, clouding)을 수반하는 광택을 형성하는 장신구.Jewelry, which is combined with gems in the surface of the bas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forming the gloss, the gems having an inclined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in the lower region from the region showing the maximum width to the surface; Or the support frame which forms the pillar shape by the same width, branches from the support | pillar attached to the pedestal in the state which penetrated from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pedestal to the surface side, and protrudes the ring part inside in the upper end side of the jewelry At the same time, the upper region is adhered to the region representing the maximum width of the jewel by the ring portion while being preserved in the state surrounding the lower region, and minute unevenness at the surface does not reach diffuse reflection. The ornament which forms the luster with clouding by adding it. 대좌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 중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과 결합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보석은,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면에 이르는 하측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는 경사모양, 또는 동일 폭에 의해서 기둥모양을 형성하고 있고, 대좌에 보석의 하단 부분을 끼워 넣는 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구멍의 내벽과 상기 하단 부분을 납땜재를 거쳐 상호 고착(fixing)하고 있고, 상기 표면에서, 난반사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미소한 요철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흐림을 수반하는 광택을 형성하는 장신구.Jewelry, which is combined with gems in the surface of the bas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forming the gloss, the gems having an inclined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in the lower region from the region showing the maximum width to the surface; Or a column shape having the same width, providing a hole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jewel is inserted into the pedestal, and fixing the inner wall and the lower end of the hole to each other through a brazing material, The ornament which forms the luster with the blur by applying the minute irregularities so as not to reach the diffuse refl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좌가 금속, 보석, 플라스틱의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rna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is made of any one of metal, jewelry and plastic.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좌의 보석을 둘러싸는 표면에서 규칙적인 기복 형상에 의한 장식 모양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rnament which added decorative pattern by regular relief shape on the surface surrounding the pedestal of the pedest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좌가 판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al is plate-shaped.
제 5 항에 있어서,
판모양 대좌의 표면이, 보석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융기하는 만곡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of claim 5,
The ornament of the plate-shaped pedestal shows the curved state which raises sequentially as it falls from a jewe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좌의 표면측 형상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별형, 하트형, 원고리형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rnament on the surface of the pedestal is any one of a circle, an oval, a polygon, a star, a heart, and a r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좌의 표면에 모양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rnament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is added to the surface of the pedest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석 또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는 대좌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이 투명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area or part of the pedestal made of gem or plastic is transparen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주가, 대좌에 대해 회동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rop is coupled freely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은, 하측이 넓은 폭이고, 상측이 좁은 폭인 하트형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upport frame has a wide width at the lower side, and forms a heart shape having a narrow width at the upper si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석의 하단 부분을 고착하는 구멍에서, 납땜재 유입용의 틈새를 상기 구멍의 내벽으로부터 방사모양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hole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jewel, wherein a gap for introducing the brazing material protrudes radially from the inner wall of the hole.
KR1020190094765A 2019-02-18 2019-08-05 Accessories Active KR1020583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26746A JP6548846B1 (en) 2019-02-18 2019-02-18 Accessories
JPJP-P-2019-026746 2019-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322B1 true KR102058322B1 (en) 2019-12-20

Family

ID=6739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765A Active KR102058322B1 (en) 2019-02-18 2019-08-05 Accessorie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548846B1 (en)
KR (1) KR1020583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2025068A1 (en) 2020-07-31 2022-02-03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8917A (en) 2011-12-07 2013-06-17 Keiko Murakami Ornamental pedestal
KR101971171B1 (en) 2019-01-10 2019-04-22 최정호 Stone house with improved beauty of decorative jewel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8917A (en) 2011-12-07 2013-06-17 Keiko Murakami Ornamental pedestal
KR101971171B1 (en) 2019-01-10 2019-04-22 최정호 Stone house with improved beauty of decorative jewel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48846B1 (en) 2019-07-24
JP2020130529A (en)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7651B2 (en) Watch par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watch parts
US20090235689A1 (en) Gemstone jewelry with enhanced appearance
US8270079B1 (en) Decorative, ornamental, or jewelry articles having diffraction gratings
US20140075990A1 (en) Shape Memory Alloy Mounting Collet With Grooved Gemstone
JP6663980B2 (en) Process of cutting and assembling diamonds to form composite diamonds with enhanced brightness and color
US20140102140A1 (en) Multi-gemstone mounting that creates illusion of a single large gemstone
US8359883B2 (en) Gemstone setting
KR102058322B1 (en) Accessories
JP2012161564A (en) Accessory
US20060086143A1 (en) Round cut gemstone
US20100242540A1 (en) Gemstone having a mirror-coated front
CN216147385U (en) Jewelry
US20170311686A1 (en) Brilliant Cut Gemstone Cluster
CN210809577U (en) Lathing piece jewel seat internally embedded with fine jewel and ring thereof
KR20230087793A (en) Jewelry
KR20230001054U (en) Crystal Ancestral Tablet with Gem
KR101905545B1 (en) Jewelry having stone house with doubl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25708Y1 (en) Jewelry fasteners for jewelry
KR102072951B1 (en) Accessories
CN111972793A (en) Reflective inlaid ornament
US20240341421A1 (en) Item of jewellery
JP3144768U (en) Colored jewelry
RU2760302C1 (en) Jewelry frame with insert
JPH073929Y2 (en) Double gem
KR20230057531A (en) Decorating method of single crystal diamond to the metal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