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7934B1 -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 Google Patents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934B1
KR102057934B1 KR1020190022934A KR20190022934A KR102057934B1 KR 102057934 B1 KR102057934 B1 KR 102057934B1 KR 1020190022934 A KR1020190022934 A KR 1020190022934A KR 20190022934 A KR20190022934 A KR 20190022934A KR 102057934 B1 KR102057934 B1 KR 102057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cation
wireless power
power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재수
Original Assignee
(주)아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오텍 filed Critical (주)아이오텍
Priority to KR102019002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9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934B1/en
Priority to PCT/KR2020/000907 priority patent/WO2020175799A1/en
Priority to CN202010076328.7A priority patent/CN111620387A/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이나 애완동물 정수기를 구현함으로써, 정수기의 청소에 용이함을 제공하고, 유선연결이나 유선 사용으로 인한 방수 구현의 복잡함을 제거하도록 한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받침대 역할을 하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내장된 크래들,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크래들에 안착되는 정수통,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여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고, 정수통에 내장되는 정수 모듈 및 정수 모듈을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해주는 그릇부를 포함하여,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를 구현한다.By implementing a pet or pet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and provides an easy to clean water purifier, and relates to a water purifier for animals using a wireless power to remove the complexity of the waterproof implementation due to wired connection or wired use, It acts as a pedestal, and has a cradle with a built-in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supply power wirelessly, a space for receiving water is provided therein, a purified water container seated on the cradle, and receives and drives power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t is used as a power source, and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module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hrough a water purification module built in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to implement an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Description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본 발명은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이나 애완동물 정수기를 구현함으로써, 정수기의 청소에 용이함을 제공하고, 유선연결이나 유선 사용으로 인한 방수 구현의 복잡함을 제거하도록 한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in particular, by implementing a companion animal or pet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to provide easy cleaning of the water purifier, and complicated implementation of waterproofing by wired connection or wired use. It relates to an animal water purifier using a wireless power to remove.

반려동물은 단순히 관상용이나 애완용 동물이 아닌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가족의 구성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반려동물의 건강과 직결되는 음용수에 대해서도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애완동물 역시 단순히 관상용 동물이 아닌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가족의 구성원으로 많이 인식되고 있다.Pets are recognized as members of the family who live with people who are not just ornamentals or pets, and interest in drinking water is directly related to the health of pets. In addition, pets are also recognized as a member of a family living with a person who is not simply an ornamental animal.

사람들이 불가피하게 집을 비웠을 때 반려동물 또는 애완동물이 스스로 깨끗한 물과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반려용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반려용품 중 반려동물 급수기는 물을 마시고 싶을 때 물을 마실 수 있도록 고안, 설계된 제품인데, 담겨 있던 물이 오염되었을 시, 위생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드러낸다.When people inevitably leave their homes, there are a variety of pet products that help pets or pets to eat clean water and food on their own. Among the pet supplies, pet waterer is designed and designed to drink water when you want to drink water, which shows the problem that it is vulnerable to hygiene when the contained water is contaminated.

따라서 근래에는 반려동물이나 애완동물에게 깨끗한 급수를 하기해서 동물용 정수기가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 에는 종래에 제안된 동물용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water purifiers for animals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by supplying clean water to pets and pets.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1> to <Patent Documents 4>, water purifiers for animals proposed in the related art are disclosed.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애완동물에게 공급되는 물을 생성하기 위한 물 생성부, 생성된 물을 애완동물에게 제공하기 위한 물 제공부를 포함하고, 물 생성부는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고 토출하여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공기순환수단, 공기순환수단의 전방에 설치되고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기여과수단 및 공기여과수단과 공기순환수단의 사이에 설치되고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물을 생성하는 응결수단을 포함하여 애완동물용 물 공급장치를 구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미리 준비한 물을 애완동물에게 공급하는 방식이 아닌, 필요에 따라 물 생성부를 통해 물을 생성하여 애완동물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물을 보충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wat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water supplied to a pet, a water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generated water to the pet, and the water generating unit forcibly inhales and discharges air. Air circulating means for forming a flow of air, air filtering means for removing impuriti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in the front of the air circulation means and included in the air installed and passed between the air filtration means and the air circulation means Implement a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including condensation means for condensing the moisture to produce water. Through this configuration, rather than supplying the prepared water to the pet in advance, water is generated through the water generating unit as needed to provide the pet,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replenishing the water periodically.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반려동물의 특이성을 극복하기 위해 내부에는 물을 담는 하부 공간부로 구성되며 하부 공간부에 담긴 물이 정수필터를 통과하여 출수된 물이 벽을 타고 흐르는 상단부, 출수된 물이 담기는 상단 그릇부, 상단 끝 부분에는 하부 공간부에서 정수된 물이 출수되는 상단부가 상단 그릇부와 결합되어, 애완용 정수기를 구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정수 능력과 위생성이 향상된 필터가 내장되어 개체 특이성, 위생성을 극복한 애완용 정수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is composed of a lower space containing water in order to overcome the specificity of the companion animal, the water contained in the lower space passes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filter flows through the wall The upper portion, the upper bowl portion containing the extracted water, the upper end portion is combined with the upper bowl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lower space portion to implement the water purifier for pets.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a filter having improved water purification ability and hygiene is built in, thereby providing a pet water purifier that overcomes individual specificity and hygiene.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수돗물이 공급되는 직수관이 일측 상단에 설치되면서 직수관의 단부에는 일정 수위에서 물의 공급을 자동 차단하는 볼탑이 설치된 저수 내통, 저수 내통의 저부 중앙에 설치되어 수돗물을 정수 처리하는 정수필터, 저수 내통이 내부 위쪽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삽입 설치되면서 앞쪽 하부에는 물 유출구가 설치 돌출된 정수 외통, 정수 외통이 안착 고정될 수 있게 통받침부가 요홈 형성되면서 통 받침부 앞쪽에는 물받이부가 요홈 형성된 정수받침대, 저수 내통과 정수 외통의 개방 상측을 함께 밀폐시키는 정수 덮개를 포함하여 애완동물용 정수기를 구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주기적으로 깨끗한 물을 준비하지 않아도 수돗물이 필요한 양만큼 정수 처리되어 애완동물이 음용하기 좋은 위치로 자동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언제나 깨끗하게 정수된 물을 애완동물이 사람의 도움 없이도 편리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is installed in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is supplied to the tap water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the bottom of the reservoir is provided with a ball tower for automatically blocking the supply of water at a certain level The water filter is installed to filter the tap water, and the water reservoir is inserted at a certain interval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while the water outlet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The front of the support part implements a water purifier for pets, including a water purifier formed with a drip groove, and a water purifying cover that seals the open upper sides of the reservoir and the outer container together. Through this configuration, even if a pet grower does not have to prepare clean water periodically, the tap water is purified as much as necessary so that the pet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a location where the pet can drink. Make it easy to eat without your help.

또한,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종래기술은 투입되는 원수가 정수처리될 수 있게 하향 만곡된 저부 중앙에 정수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저수 내통, 저수 내통이 내부 위쪽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삽입 설치되면서 임의로 각도 변경시킬 수 있는 물 유출구가 설치되어 외부 아래쪽으로 돌출된 정수 외통, 정수 외통이 안착 고정될 수 있게 통 받침부가 요홈 형성되면서 통 받침부 앞쪽에는 물 받이부가 요홈 형성된 정수 받침대, 저수 내통과 정수 외통의 개방 상측에 끼움 안착되어 밀폐시키는 정수 덮개를 포함하여 애완동물전용 정수기를 구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면역력이 약한 애완동물이 사람의 도움 없이도 정수처리된 안전한 물을 상시 빨아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염된 물을 먹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병의 예방은 물론 필요에 따라 영양성분을 첨가 보충하여 애완동물의 건강관리도 증진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4> is installed in the reservoir inner reservoir, the water reservoir is installed detachably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upper portion inside the bottom of the bottom curved bent so that the raw water to be purified water treatment While the water outlet is installed to change the angle arbitrarily, the water tank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the water tank is formed in the groove so that the water tank can be seated and fixed, the water support is formed in the water support in front of the water tank, water reservoir Implement a water purifier for pets, including a water purifier cover that is seated and sealed at the top of the water purifier's opening. Through this configuration, pets with weak immunity can always suck safe water without treatment. By preventing contaminated water, various diseases can be prevented as well as necessary. Nutritional supplements will improve your pet's health.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3230(2014.03.05. 등록)(애완동물 물 공급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373230 (2014.03.05. Registration) (pet water supply device)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38238(2018.12.31. 공개)(정수필터가 내장된 애완용 정수기)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38238 (published Dec. 31, 2018) (pet water purifier with a built-in water filter)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10617(2003.04.02. 등록)(직결식 애완동물용 정수기)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0310617 (2003.04.02. Registration) (Direct water purifier for pet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11167(2003.04.08. 등록)(애완동물전용 정수기)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0311167 (registered on April 8, 2003) (pet water purifi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애완동물(반려동물) 급수장치 및 종래기술은 반려동물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것은 가능하나, 정수기 내부의 형성된 다수의 구성이 유선 연결 방식으로 이루어져, 청소를 수행하기 복잡한 구조여서 청소가 어렵고 청소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general pet (pet) water supply device and the prior art can supply clean water to pets, but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formed inside the water purifier are made in a wired connection, which is a complicated structure to perform cleaning. It is difficult to clean and it takes a long time to clean.

특히, 정수기 내부의 구성이 유선으로 연결되다 보니 이를 분해 조립하는 것이 복잡하고, 다수의 유선으로 인해 방수처리도 별도로 해야 하는 공정상의 복잡함이 있으며, 복잡한 내부 구성으로 인해 청소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er is connected by a wire, it is complicated to disassemble and assemble it, and there is a process complexity that requires a separate waterproofing process due to a plurality of wires.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애완용 정수기는 정수 필터를 내장시켜 정수기 내부의 구성을 단순화한 장점은 있으나, 이 또한 유선 방식으로서, 유선 전원 공급장치를 방수처리하는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고, 이러한 유선으로 인해 정수기의 내부 청소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et water purifi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has an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purifier by embedding a water filter, but this also requires a complicated process of waterproofing the wired power supply as a wired method. Due to this, the internal cleaning of the water purifier is difficult.

특히, 종래기술로 언급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 는 유선 방식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으로서, 정수기 내부에서 유선 연결에 의한 복잡함이 필수적이며, 이로 인해 정수기 내부의 청소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Patent Document 1> to <Patent Document 4> referred to in the prior art is a power supply method by a wired method, the complexity of the wired connection in the water purifier is essential, which is a disadvantage that is difficult to clean inside the water purifier hav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동물용 정수기를 구현함으로써, 정수기의 청소에 용이함을 제공하고, 유선연결이나 유선 사용으로 인한 방수 구현의 복잡함을 제거하도록 한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implementing an animal water purifier using a wireless power, provides an easy to clean water purifier, due to the wired connection or wired use The object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for animals using wireless power to remove the complexity of the waterproof implement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수 모드를 연속 모드와 스마트 모드로 택일하여 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연속 모드시에는 지속적으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 모드시에는 일정 주기로 정수를 공급하여 연속 모드에 따른 전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the purified water by selecting the constant mode in the continuous mode and the smart mod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selection, so that the constant wate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in the continuous mode, in the constant mode in the smart mode by supplying It is to provide an animal water purifier using a wireless power to prevent the waste of power in the continuous mod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는, 받침대 역할을 하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내장된 크래들;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크래들에 안착되는 정수통;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여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고, 정수 필터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수통에 내장되는 정수 모듈; 상기 정수 모듈을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해주는 그릇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animal water purifier using a wireless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is a built-in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at serves as a base, and supplies power wirelessly; A water container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nd seated on the cradle; A water purification module which receives power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uses the power as a driving power source, wherein a water filter is integrally formed and built in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wl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상기에서 크래들은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정수통에 형성된 결합 돌기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끼움 홈; 상기 받침판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정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정수 모드 선택스위치; 상기 받침판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상기 받침판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 모드 선택스위치에서 선택된 정수 모드와 상기 동작감지센서의 동작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받침판에 내장 설치되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radle support plate in the above;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configured to fit and secure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the water purification tube; A water purif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select a water purification mode; A mo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detect a motion; 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control a power supply based on a purified water mode selected by the purified water mode selection switch and a motion detection result of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t is installed in the suppor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supplying power wirelessly.

상기에서 정수 모드는 연속으로 정수를 수행하는 연속 모드와, 일정 주기로 정수 동작을 온/오프 반복하는 스마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integer mode includes a continuous mode for continuously performing integers and a smart mode for repeating on / off operation of a constant cycle at a predetermined period.

상기에서 정수통은 상기 그릇부에서 배수되는 정수를 피드백받기 위한 배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정수모듈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무선 전력 수신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으로 펌프일체형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펌프일체형 모터를 통해 펌핑되는 물을 정수하여 토출하는 정수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is formed with a drain groove for receiving feedback of the purified water drained from the bowl portion,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wirelessly receives the power supplied wirelessl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supply driving power Power receiver;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pump-integrated motor with dr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filter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the water pumped through the pump-integrated motor.

상기에서 그릇부는 상기 정수통의 단면에 안착되어 정수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수용부는 중앙에 상기 정수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토출하는 토출공이 마련되며, 상기 물 수용부의 하단에는 상기 정수통에 형성된 결합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owl portion is mounted on the end surface of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includes a water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purified water,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in the center, the lower end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protrusion which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water purification tube.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동물용 정수기를 구현함으로써, 정수기의 청소에 용이함을 제공하고, 유선연결이나 유선 사용으로 인한 방수 구현의 복잡함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an animal water purifier using a wireless power, it provides an easy to clean water purifi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liminate the complexity of the waterproof implementation due to wired connection or wired us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수 모드를 연속 모드와 스마트 모드로 택일하여 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연속 모드시에는 지속적으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스마트 모드시에는 일정 주기로 정수를 공급하여 연속 모드에 따른 전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by selecting the constant mode in the continuous mode and smart mode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ontinuously supply the purified water in the continuous mode, in the smart mode constant water By supply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waste of power in the continuous mo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의 내부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water purifier for animals us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내부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imal water purifier 1 us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ure 3 is an internal sectional view.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정수기(1)는 맨 하단에 받침대 역할을 하는 크래들(cradle)(10)이 마련된다. 이러한 크래들(10)은 정수통(20)을 안착시켜 정수통(20)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Animal water purifi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radle (cradle) 10 serving as a pedestal at the bottom. The cradle 10 serves to stabilize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by mounting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이러한 크래들(10)은 평판의 받침판(11)이 마련되고, 상기 받침판(11)의 상부에는 상기 정수통(20)에 형성된 결합 돌기(23)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끼움 홈(12)이 복수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판(11)의 외주면에는 정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정수 모드 선택스위치(14)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11)에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무선 전력 송신기(13)가 내장되며, 상기 받침판(1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6), 상기 받침판(11)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 모드 선택스위치(14)에서 선택된 정수 모드와 상기 동작감지센서(16)의 동작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부(15)가 구비된다.The cradle 10 is provided with a base plate 11 of the flat plate,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1 is fitted with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2 for fixing the engaging projection 23 formed in the water purification tube 20 a plurality of. Is formed. 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 is provided with a water purif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14 for selecting the water purification mode, the support plate 11 has a built-in wireless power transmitter 13 for wirelessly supplying power, the support plate A motion detection sensor 16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11 to detect a motion, and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 to select a water purifying mode selected from the water purif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14 and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6. A power supply unit 15 is provide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based on the motion detection result.

여기서 동작감지센서(16)는 360° 전방향에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감지센서(16)는 동작 감지 결과는 전원 공급부(15)에 연결된다.Here,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6 is preferably installed in plurality so as to detect the movement in 360 ° front directio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6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5 the motion detection result.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무선 전력 송신기(13)는 스마트폰 충전을 위해 알려진 무선 전력 송신 방식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전력 송신을 위한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3 which wirelessly supplies power uses a know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me for charging a smartphone and generally includes an antenna array for power transmission.

여기서 정수 모드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연속으로 정수를 수행하는 연속 모드와 일정 주기로 정수 동작을 온(on)/오프(off) 반복하는 스마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 the purified water mode may include a continuous mode for continuously performing purified water when a power is supplied and a smart mode for repeating on / off operation of purified water at a predetermined cycle.

상기 크래들(10)의 상부에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공간(24)이 마련된 정수통(20)이 안착된다. 이러한 정수통(20)은 내면에 상기 그릇부(40)를 끼워 결합하기 위한 결함 홈(21)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여기서 결함 홈(21)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정수통(20)은 상기 결함 홈(21)과 다른 결함 홈과의 사이에 상기 그릇부(40)에서 배수되는 정수를 다시 피드백 받기 위한 배수 홈(22)이 형성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cradle 10 is a water purification tank 20 is provided with a water receiving space 24 for receiving water therein. The water purifier 2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defect groove 21 for fitting the bowl portion 40 to the inner surface. Here, the long hole is formed in the defect groove 21. In addition, the water container 20 is formed between the defect groove 21 and the other defect groove, the drain groove 22 for receiving feedback of the purified water drained from the bowl portion 40 again.

상기 정수통(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24)의 소정 위치에는 정수 모듈(30)이 내장된다. 정수모듈(30)은 상기 크래들(10)에 형성된 무선 전력 송신기(13)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여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고, 정수 필터(35)가 결합형으로 설치된다.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is embedd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pace 24 formed inside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20.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receives the power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3 formed in the cradle 10 and uses the driving power, and the water filter 35 is installed in a coupled type.

이러한 정수모듈(30)은 정수용 물을 흡입하는 물 흡입구(31),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13)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무선 전력 수신기(32),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32)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으로 동작하고, 펌프일체형 모터(34)를 제어하는 제어부(33), 상기 펌프일체형 모터(34)를 통해 펌핑되는 물을 정수하여 토출하는 정수 필터(35)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일체형 모터(34)와 정수 필터(35)는 결합형으로 설치된다.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receives a water inlet 31 for sucking purified wa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32 receiving power supplied wirelessl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3 to supply driving power. A water purifier that operates by dr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2 and controls the pump integral motor 34 to purify and discharges water pumped through the pump integrated motor 34. (35). The pump integrated motor 34 and the water filter 35 are installed in a coupled type.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32)와 제어부(33) 및 펌프일체형 모터(34)는 단일의 모듈로 구성되고, 모듈화된 상기 정수 필터(35)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less power receiver 32, the control unit 33 and the pump-integrated motor 34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ingle module, combined with the modular water filter 3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정수기(1)는 상기 정수통(20)에 안착되어 상기 정수 모듈(30)을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해주는 그릇부(40)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animal water purifi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owl portion 40 which is mounted in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20 to supply purified water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이러한 그릇부(40)는 상기 정수통(20)에 안착되어 정수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부(41)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수용부(41)는 중앙에 상기 정수 모듈(3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토출하는 토출공(42)이 마련되며, 상기 물 수용부(41)의 하단에는 상기 정수통(30)에 형성된 결합 홈(2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돌기(43)가 형성된다.The bowl portion 40 includes a water receiving portion 41 seated in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20 to receive purified water, the water receiving portion 41 is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in the center A discharge hole 42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is provided, and a coupling protrusion 43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1 formed in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30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41.

여기서 물 수용부(41)의 직경은 상기 정수통(20)의 결합 홈(21)이 형성된 내면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그릇부(40)를 상기 정수통(20)에 안착시키면, 틈이 발생하여 그릇부(40)에서 수용을 하지 못하는 정수가 다시 정수통(20)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피드백될 수 있도록 한다.The diameter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41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inner surface diameter of the coupling groove 21 of the water purification tank 20 is formed. Thus, when the bowl portion 40 is seated in the water container 20, a gap is generated so that the water purification can not be accommodated in the bowl portion 40 flows naturally back to the water container 20 to be fed back.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1)의 사용 방법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and operation of the animal water purifier 1 using the wireless pow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크래들(10) 상에 형성된 끼움 홈(12)에 정수통(20) 형성된 결합 돌기(23)를 맞추어 끼운다. 이로써 정수통(20)은 크래들(10)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된다. 여기서 끼움 홈(12)은 복수로 마련되므로, 정수통(20)과 크래들(10) 간의 결합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려동물이나 애완동물이 동물용 정수기(1)를 넘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크래들(10)에는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무게 중심 장치를 마련하거나, 무게가 무거운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First, the fitting projections 23 formed in the water purification tube 20 ar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s 12 formed on the cradle 10. As a result,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is supported and fixed by the cradle 10. Since the fitting groove 12 is provided in plur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ixing force when coupling between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and the cradle 10. In order to prevent the pet or the pet from falling down the water purifier 1 for the animal, the cradle 10 may be provided with a center of gravity device for maintaining the center of gravity, or may be formed of a heavy material.

이어, 상기 정수통(20)의 내측에 정수모듈(30)을 안착시킨다. 여기서 정수통(20)의 바닥면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13)가 설치된 부분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므로, 이 부분에 정수모듈(30)을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선 전력 송신기(13)가 설치된 부분에 대응하도록 정수통(20)의 바닥면에 별도의 표시(예를 들어, 원형 표시)를 하는 방법으로, 정수 모듈(30)의 안착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정수통(20) 내부의 공간에 정수모듈(3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동물(반려동물, 애완동물)에게 공급한 물을 적당량 급수한다. 여기서 정수통(20)에 물을 급수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급수량을 설정하기 위해 정수통(20)의 내면에 급수 위치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정수모듈(30)을 정수통(20)에 안착시키고 급수를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수통(20)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정수모듈(30)을 정수통(20)에 안착시켜도 전혀 문제가 없다. 여기서 정수모듈(30)은 상부에 형성되어 정수가 토출되는 토출 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방수가 된 상태이므로, 물이 있는 상태에서 정수모듈(30)을 정수통(20)에 안착시켜도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정수모듈(30)은 정수필터(35)와 펌프 구동 수단 등이 결합되어 단일의 모듈처럼 된 상태이므로, 정수모듈(30)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정수 필터(35)의 교체에도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purified water module 30 is seated inside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Here, since the portion w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3 is installed is visually display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20, it is preferable to mount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on this portion. That i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may be designated by a separate display (for example, a circular displa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20 so as to correspond to a portion w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3 is installed. have.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is seated in the space inside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20,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an animal (a companion animal and a pet). Here, the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may be various,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rk the water supply pos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to set the water supply amount.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seating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in the water purification tank 20 to supply wat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in the state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purification tank 20. ) Does not cause any problem even if it is seated on the water purification tank (20). Here,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except for the discharge hole in which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so the state is waterproof, even i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is placed in the water purification tank 20 in the presence of water, there is no problem at all. Does not occur. Here, the purified water module 30 is a state in which the purified water filter 35 and the pump driving means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module, so that the use of the purified water module 30 is very convenient, and the convenience of replacing the purified water filter 35 is also great. We can plan.

이후, 정수통(20)은 내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공이 구비된 결함 홈(21)에 상기 그릇부(40)에 형성된 결합 돌기(43)를 끼워 정수통(20)에 그릇부(40)를 고정한다. Thereafter,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20 is fitt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43 formed in the container part 40 to the defect groove 21 provided with a long ho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40 in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20. Fix it.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동물용 정수기(40)를 조립한 상태에서, 크래들(10)에 결합된 전원 케이블의 단부에 형성된 전원 코드를 전원 공급단(예를 들어, 콘센트)에 끼우고, 정수 모드 선택스위치(14)를 조작하여 정수 모드를 선택한다. 여기서 정수 모드 스위치(14)는 전원 스위치 역할도 하는 것으로서, 초기 상태에서 한 번 누르면 전원 공급 상태(연속 모드)가 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스마트 모드로 전환되며, 다시 한번 누르면 전원 오프(off) 상태로 전환된다.In the state of assembling the animal water purifier 40 through this process, the power cord formed at the end of the power cable coupled to the cradle 10 is inserted into a power supply terminal (for example, an outlet), and the water purification mode is selected. The switch 14 is operated to select the water purification mode. Here, the constant mode switch 14 also serves as a power switch, and when pressed at the initial state, it becomes a power supply state (continuous mode), and when pressed again, it is switched to a smart mode, and when pressed again, it is turned off. Is switched.

예컨대, 정수 모드는 최초 정수 모드 선택스위치(14)가 온 상태로 눌러지면 전원 공급이 연속으로 이루어져 연속으로 정수를 수행하는 연속 모드와, 연속 모드에서 다시 한번 정수 모드 선택스위치(14)를 누르면 일정 주기로 정수 동작을 온(on)/오프(off) 반복하는 스마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수 모드 선택 스위치(14)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선택한다(버튼식으로 구성되어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간단하게 정수 모드를 선택할 수 있음).For example, in the water purification mode, when the initial water purif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14 is pressed in the on state, the power supply is continuously made to perform water purification continuously, and when the water purif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14 is pressed again in the continuous mode, It may include a smart mode for repeating the on (off) / off (off) operation of the integer at a period.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mode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14 (it is configured as a button and can simply select the water purification mode by pressing a button).

선택된 정수 모드에 따라 전원 공급부(15)는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예컨대, 정수 모드가 연속 모드이면 전원 공급을 지속적으로 하고, 정수 모드가 스마트 모드이면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를 기초로 전원 공급을 온(on)/오프(off) 반복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selected water purification mode, the power supply unit 15 controls the power supply. For example, when the purified water mode is a continuous mode, power supply is continuously performed. When the purified water mode is a smart mode, the power supply is repeatedly turned on / off based on a predetermined period.

정수 모드에 대응하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크래들(10)의 받침판(11)에 내장된 무선 전력 송신기(13)에서 안테나 어레이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한다. 즉, 연속 모드에서는 지속적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고, 스마트 모드에서는 온/오프 반복 주기에 대응하게 무선 전력을 온/오프 반복적으로 송신한다.When power is supplied corresponding to the water purification mod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3 embedded in the support plate 11 of the cradle 10 transmits power wirelessly using an antenna array or the like. That is, in the continuous mode, the wireless power is continuously transmitted, and in the smart mode, the wireless power is repeatedly transmitted on / off corresponding to the on / off repetition period.

이렇게 송신되는 무선 전력은 정수통(20)에 안착된 정수모듈(30) 내의 무선 전력 수신기(32)에서 수신하고,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을 한다.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기(32)는 무선 전력 송신기(13)와 마찬가지로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전력을 정류하고, 소정의 전압으로 만들어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는 전력 공급 방식을 무선 전력으로 수행하므로, 기존 반려동물(애완동물) 정수기와 같이 유선 전원 공급에 따른 다수 유선 설치로 내부 정수모듈과 정수통을 분리할 수 없거나 분리가 매우 어려다는 문제, 그리고 유선 사용으로 인해 유선 설치에 따라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별도의 방수 구조를 구현해야 하는 등의 복잡한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d in this way is receiv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2 in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seated in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20, and is converted into a driving power supply. Her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2 receives the wireless power by using the antenna array, similarly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3, rectifies the received power, makes a predetermined voltage, and supplies driving power. Here, one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ower supply method is performed by wireless power, the internal water purification module and water can not be separated or separated by multiple wired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wired power supply, such as a conventional pet (pet) water purifier. The problem of being very difficult, and the use of wires, can solve complex problems such as 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and implementation of a separate waterproof structure according to wired installation.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의해 제어부(33)는 펌프일체형 모터(34)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33)는 정수 모드가 연속 모드이면 전원이 연속으로 공급되는 상황이므로 지속적으로 펌프일체형 모터(34)를 구동시켜 정수 펌프가 연속으로 구동하여 정수를 펌핑하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정수 모드가 스마트 모드이면 일정 주기마다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기 펌프일체형 모터(34)를 온/오프하는 방식으로 정수 펌프가 구동하여 정수를 일정 주기로 펌핑하도록 한다. 상기 정수 펌프는 수중에서 물을 상부로 끌어올리는 수중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3 controls the pump integrated motor 34 by the driving power supplied as described above. That is, since the control unit 33 is a situation in which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when the purified water mode is a continuous mode, the controller 33 continuously drives the pump-integrated motor 34 so that the purified water pump is continuously driven to pump the purified water. On the contrary, when the purified water mode is a smart mode, the purified water pump is driven in a manner of turning on / off the pump-integrated motor 34 with power supplied at regular intervals to pump the purified water at a constant cycle. The purified water pump may use a submersible pump that pulls water upwards in the water.

상기 정수 펌프에서 펌핑된 물은 정수 필터(35)를 통과하면서 필터링이 이루어져 정수가 된 후 상부에 형성된 토출 공을 통해 분출이 된다. 이렇게 분출되는 정수는 정수통(20)의 상부에 안착된 그릇부(40)에 마련된 토출공(42)을 통해 분출되어 물 수용부(41)에 수용된다. 여기서 정수 필터(35)는 활성탄을 이용하여 물에 함유되어 있는 냄새, 색, 미세 먼지, 물질 등을 활성탄이 흡착 제거하는 방식, 폴리우레탄/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 등을 이용하는 프리 필터 방식을 이용하거나, 양자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The water pumped from the purified water pump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urified water filter 35 to become purified water and then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he purified water is eject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42 provided in the bowl portion 40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tank 20 is received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41). Here, the water filter 35 is a pre-filter method using activated carbon adsorbs and removes odors, colors, fine dust, substances, etc. contained in the water using activated carbon, polyurethane / polypropylene / polyethylene terephthalate nonwoven fabric, etc. Or both.

그릇부(40)의 물 수용부(41)에 정수가 수용되면, 반려동물(또는, 애완동물)이 물을 음용하게 된다. 여기서 동물에게 공급되는 물은 정수된 물이므로 동물의 건강 증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물 수용부(41)는 약간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정수를 일부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purified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41 of the bowl portion 40, the pet (or pet) is drinking water. Here, the water supplied to the animal is purified water, so it can be helpful for promoting the health of the animal. The water receiving portion 41 is formed in a slightly concave shape,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purified water.

아울러 정수 모드가 연속 모드이거나 스마트 모드와는 무관하게 물 수용부(41)에 수용된 물을 동물이 모두 먹지 않으면 남게 되고, 이렇게 남거나 정수 기능에 의해 지속적으로 분출되는 정수를 그대로 두면 물 수용부(41)의 수용 공간을 초과하는 정수는 외부로 넘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 정수가 외부 공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여, 본 발명에서는 피드백 방식을 이용한다.In addi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water purification mode is a continuous mode or a smart mode,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unit 41 remains if the animal does not eat all the water, if left intact water is continuously discharged by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41 An integer exceeding the receiving space of) will overflow to the outsid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uch a problem and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purified water by continuous exposure to the outside air,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eedback method.

예컨대, 그릇부(40)의 결합 돌기(43)를 정수통(30)에 형성된 결합 홈(21)에 끼워 그릇부(40)를 정수통(20)에 결합하면, 그릇부(40)와 정수통(20) 간에는 틈이 발생한다. 여기서 물 수용부(41)의 직경은 상기 정수통(20)의 결합 홈(21)이 형성된 내면 직경보다 작게 구현하면, 그릇부(40)를 상기 정수통(20)에 안착시키면 틈이 발생한다. 여기서 정수통(20)에는 배수 홈(2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그릇부(40)에서 수용을 하지 못하는 정수가 상기 틈에 형성된 배수 홈(22)을 따라 다시 정수통(20)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피드백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그릇부(40)의 수용량을 넘는 물이 펌핑이 되어도 정수가 정수기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물 수용부(40)에 정수가 오래 정체되어 오염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engaging projection 43 of the bowl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1 formed in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30 to couple the bowl portion 40 to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20, the bowl portion 40 and the purified water A gap arises between the cylinders 20. If the diameter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41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1 of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20 is formed, a gap occurs when the bowl portion 40 is seated on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20. . Here, the water tank 20 is provided with a drainage groove 22, and the purified water that cannot be accommodated in the bowl part 40 flows naturally back to the water tank 20 along the drain groove 22 formed in the gap. This is done. By using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urified water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even if water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bowl portion 40 is pumped, and also to prevent the purified water from stagnating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40 for a long time. You can do it.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청소가 매우 편리하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is very convenient.

예컨대, 정수통(20)의 내부에는 무선 전력을 이용하는 정수모듈(30)이 안착된 상태이므로, 청소를 위해 그릇부(40)를 분리하고, 정수통(20) 내부의 정수모듈(30)을 그대로 밖으로 끄집어내면 정수통(20)의 내부에는 물만 남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잔존하는 물을 버리고 공간을 청소하면 되므로, 정수기의 청소가 매우 쉽고, 청소 시간도 많이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에는 유선 방식의 정수기이므로 정수통 내부에 다수의 모듈이 설치되어 청소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청소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안착된 정수모듈(30)을 그대로 인출하면 정수통(30)의 내부가 공간(24) 상태이므로, 청소도 편리하고 청소 시간도 단축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since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using the wireless power is seated in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20, the bowl part 40 is removed for cleaning, and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inside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20 is removed. If it is pulled out as it is, only the water remains in the interior of the water purification tank (20). Therefore, since the remaining water is discarded and the space is cleaned, the water purifier is very easy to clean, and the cleaning time can be shortened a lot. That is, conventionally, since a wired type water purifier is installed, a plurality of modules are installed inside the water purification tank, and the cleaning is complicated, and thus, the cleaning time may be requir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rawback of the purified water purification module 30 as it is. Since the interior of the water treatment tank 30 is in the space 24 state, the cleaning is convenient and the cleaning time can be shorten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전원 공급부(15)는 선택된 정수 모드가 스마트 모드일 경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전원 공급을 온/오프 반복한다. 여기서 전원 오프 주기에서 복수의 동작감지센서(16) 중 어느 하나라도 동작을 감지하면, 즉시 전원 공급 온 주기로 전환하여 정수가 토출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15 repeats the power supply on / off at a predetermined cycle when the selected integer mode is the smart mode. In this case,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16 detects a motion in the power-off period, the controller immediately switches to the power-on period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즉, 동작감지센서(16)는 전원 공급부(1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지속적으로 동작을 하여 동물용 정수기(1)의 주변 움직임을 감지한다. 여기서 동작감지센서(16)는 적외선 모션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적외선 모션 센서 이외에 알려진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외선 모션 센서의 동작 감지 범위는 최소화하여 동물용 정수기(1)에 근접하는 동물을 감지하도록 하고, 동물용 정수기(1)에서 일정 거리 떨어져서 자주 움직이는 인체는 감지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인체가 동물용 정수기(1)에 근접하여 움직임이 감지되어도 정수 토출 동작이 이루어진다. 전원 공급부(15)는 정수 모드가 스마트 모드여서 온/오프 주기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다가, 오프 주기에서 동작감지센서(16)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즉시 온 주기로 전환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경우는 동물이 물을 먹기 위해서 정수기(1)에 접근한 상태이므로, 오프 주기라도 즉시 온 주기로 전환하여 정수를 공급한다. 온 주기로 전환한 후에는 다시 정해진 온/오프 주기에 따라 전원 공급을 온/오프 반복하게 된다.That is,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6 continuously operates wit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 to detect the peripheral movement of the water purifier 1 for the animal. Here,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6 may use an infrared motion sensor, and may use a known motion detection sensor in addition to the infrared motion sensor. Here, the motion detection range of the infrared motion sensor is minimized to detect an animal approaching the water purifier 1 for the animal, and not to detect a human body frequently moving away from the water purifier 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f course, even if the human body is detec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water purifier (1) for water purification operation is made. The power supply unit 15 controls the power supply in an on / off cycle because the constant mode is a smart mode. When the motion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6 in the off cycle, the power supply 15 immediately switches to the on cycle and supplies power. In such a case, since the animal has approached the water purifier 1 in order to drink water, the animal immediately switches to the on cycle even in the off cycle to supply the purified water. After switching to the on cycle, the power supply is repeatedly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n / off cycl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1: 동물용 정수기 10: 크래들
11: 받침판 12: 끼움 홈
13: 무선 전력 송신기 14: 정수 모드 선택스위치
15: 전원 공급부 20: 정수통
21: 결합 홈 22: 배수 홈
23: 결합 돌기 24: 공간
30: 정수모듈 31: 물 흡입구
32: 무선 전력 수신기 33: 제어부
34: 펌프일체형 모터 35: 정수 필터
40: 그릇부 41: 물 수용부
42: 토출 공 43: 결합 돌기
1: water purifier for animals 10: cradle
11: base plate 12: fitting groove
13: Wireless power transmitter 14: Water purification mode selector switch
15: power supply 20: water purification bottle
21: coupling groove 22: drain groove
23: engaging projection 24: space
30: water purification module 31: water intake
32: wireless power receiver 33: control unit
34: integral pump motor 35: water filter
40: bowl portion 41: water receiving portion
42: discharge hole 43: engaging projection

Claims (5)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이나 애완동물의 음용수를 제공하기 위한 정수기로서,
받침대 역할을 하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내장된 크래들;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크래들에 안착되는 정수통;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여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고, 상기 정수통에 내장되는 정수 모듈; 및
상기 정수 모듈을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해주는 그릇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에는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무게 중심 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크래들은 평판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정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정수 모드 선택스위치; 상기 받침판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상기 받침판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 모드 선택스위치에서 선택된 정수 모드와 상기 동작감지센서의 동작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정수 모드가 스마트 모드일 경우, 온/오프 주기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다가, 오프 주기에서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즉시 온 주기로 전환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그릇부는 상기 정수통의 단면에 안착되어 정수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수용부는 중앙에 상기 정수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토출하는 토출공이 마련되며, 상기 물 수용부의 하단에는 상기 정수통에 형성된 결합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수용부의 직경은 상기 정수통의 결합 홈이 형성된 내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그릇부를 상기 정수통에 안착시킬 때 틈을 발생하여, 상기 그릇부에서 수용을 하지 못하는 정수가 다시 상기 정수통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피드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
As a water purifier to provide drinking water for pets or pets using wireless power,
A cradle serving as a pedestal and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supplying power;
A water container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nd seated on the cradle;
A water purification module which receives power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uses the power as a driving power source and is built in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And
It includes a bowl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The cradle is provided with a center of gravity device for maintaining the center of gravity,
The cradle support plate of the plate; A water purif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select a water purification mode; A mo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detect a motion; 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control a power supply based on a water purification mode selected by the water purif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and a motion detection result of the motion detection sensor;
The power supply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in an on / off cycle when the purified water mode is a smart mode, and immediately switches to the on cycle to supply power when motion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n an off cycle.
The bowl portion is mounted on the end surface of th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includes a water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purified water,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in the center, the lower end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 coupling projection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water purification tube,
The diameter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surface diameter of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water purification tank to generate a gap when seating the bowl portion in the water purification vessel, the water purification can not be accommodated in the bowl portion back to the water purification tank naturally Animal water purifier using a wireless p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to be fed back.
청구항 1에서, 상기 크래들은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정수통에 형성된 결합 돌기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끼움 홈; 상기 받침판에 내장설치되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radle is a support plate;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configured to fit and secure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the water purification tube; Installed in the support plate, the animal water purifier using a wireless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supplying power wirelessly.
청구항 2에서, 상기 정수 모드는 연속으로 정수를 수행하는 연속 모드와, 일정 주기로 정수 동작을 온/오프 반복하는 스마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
The water purifier for animal using wireless power of claim 2, wherein the water purification mode comprises a continuous mode for continuously performing water purification and a smart mode for repeating on / off operation of water purification at a predetermined cycle.
청구항 1에서, 상기 정수모듈은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무선 전력 수신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으로 동작하고, 펌프일체형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펌프일체형 모터를 통해 펌핑되는 물을 정수하여 토출하는 정수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와 제어부 및 펌프일체형 모터는 단일의 모듈로 구성되고, 모듈화된 상기 정수 필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
The wireless power receiver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receives a power supplied wirelessl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supply driving power; A control unit which operates with dr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s a pump-integrated motor; And a water filter for discharging the water pumped through the pump-integrated moto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he control unit and the pump-integrated motor are composed of a single module, the animal water purifier using a wireless pow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modular water filter.
삭제delete
KR1020190022934A 2019-02-27 2019-02-27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Active KR1020579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34A KR102057934B1 (en) 2019-02-27 2019-02-27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PCT/KR2020/000907 WO2020175799A1 (en) 2019-02-27 2020-01-20 Wireless power-using water purifier for animal
CN202010076328.7A CN111620387A (en) 2019-02-27 2020-01-23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34A KR102057934B1 (en) 2019-02-27 2019-02-27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934B1 true KR102057934B1 (en) 2019-12-20

Family

ID=6906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934A Active KR102057934B1 (en) 2019-02-27 2019-02-27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57934B1 (en)
CN (1) CN111620387A (en)
WO (1) WO2020175799A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799A1 (en) * 2019-02-27 2020-09-03 (주)아이오텍 Wireless power-using water purifier for animal
KR102240616B1 (en) * 2020-04-17 2021-04-15 남윤혁 Pet water purifier
KR20210084858A (en) * 2019-12-30 2021-07-08 김성진 Water feeding apparatus with cat grass
KR102429757B1 (en) * 2021-11-23 2022-08-08 주식회사 씨엔엠테크코리아 Water purifier for a pet
KR102429759B1 (en) * 2021-12-15 2022-08-08 주식회사 씨엔엠테크코리아 Water purifier for a pet
KR20230001754A (en)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펄송 Water purifier for p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398B2 (en) 1992-10-30 2001-04-1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Thin film forming equipment
JP2013106558A (en) 2011-11-21 2013-06-06 Doggy Man H A Co Ltd Drinking water container for pet
JP2018509290A (en) 2015-03-20 2018-04-05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UV-C wate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59169U (en) * 2008-11-12 2009-06-11 Tsann Kuen Entpr Co Ltd Inductive electric equipment
US8899182B2 (en) * 2009-09-21 2014-12-02 Pioneer Pet Products, Llc Pet fountain assembly
KR20120100221A (en) * 2011-03-03 2012-09-1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output of ion water purifier
KR101910571B1 (en) * 2012-03-21 2019-01-0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ortable water purifier system using uv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CN103896419B (en) * 2014-04-09 2015-06-24 浙江沁园水处理科技有限公司 Water purifier device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CN203768135U (en) * 2014-04-09 2014-08-13 浙江沁园水处理科技有限公司 Water purifier device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KR20160017360A (en) * 2014-08-05 2016-02-16 코웨이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ve power saving in water purifier
KR20180138238A (en) * 2017-06-19 2018-12-31 주식회사 더파운더즈 pet water fountain with filter
KR101967136B1 (en) * 2017-08-10 2019-04-09 정진우 Waterproof wireless humidifier
CN108770716B (en) * 2018-04-18 2020-12-25 罗洪 Automatic animal water dispenser and animal water drinking control system
KR102057934B1 (en) * 2019-02-27 2019-12-20 (주)아이오텍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398B2 (en) 1992-10-30 2001-04-1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Thin film forming equipment
JP2013106558A (en) 2011-11-21 2013-06-06 Doggy Man H A Co Ltd Drinking water container for pet
JP2018509290A (en) 2015-03-20 2018-04-05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UV-C water purifie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799A1 (en) * 2019-02-27 2020-09-03 (주)아이오텍 Wireless power-using water purifier for animal
KR20210084858A (en) * 2019-12-30 2021-07-08 김성진 Water feeding apparatus with cat grass
KR102404653B1 (en) * 2019-12-30 2022-05-31 김성진 Water feeding apparatus with cat grass
KR102240616B1 (en) * 2020-04-17 2021-04-15 남윤혁 Pet water purifier
KR20230001754A (en)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펄송 Water purifier for pet
WO2023277519A1 (en)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펄송 Water purifier for pets
KR102660875B1 (en) * 2021-06-29 2024-05-23 주식회사 펄송 Water purifier for pet
KR102429757B1 (en) * 2021-11-23 2022-08-08 주식회사 씨엔엠테크코리아 Water purifier for a pet
KR102429759B1 (en) * 2021-12-15 2022-08-08 주식회사 씨엔엠테크코리아 Water purifier for a p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20387A (en) 2020-09-04
WO2020175799A1 (en)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934B1 (en)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KR102101358B1 (en) Pet-only water purifier
US20080257272A1 (en) Disinfecting pet watering device and method
US5139659A (en) Aquarium air-lift water pump, aerator, and filter
US8763557B2 (en) Pet fountain assembly
US20130213308A1 (en) Pet Bowl For Keeping Water Fresh
JP2018526004A (en) Modular pet toilet bowl cleaning device
CN101869523A (en) Nursing device for paralyzed patients
KR20180138238A (en) pet water fountain with filter
CN201668649U (en) Control device of nursing device for patients lying in bed
KR102323953B1 (en) Pet-only water purifier
JP2008161494A (en) User-worn device and automatic excretion disposal device
CN110663572A (en) Portable water feeder
CN115140874B (en) Pet drinking machine
US8887666B2 (en) Universal water fountain system for animals
US20110260077A1 (en) Disinfecting liquid dispenser
JP2007222700A (en) Night soil purification system
KR20120111668A (en) Purifier of quality of water for aquarium
KR200310617Y1 (en) A Water Purifier For A Pet
KR102537786B1 (en) Water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US20060273037A1 (en) Aquarium filter
JP6788467B2 (en) Small animal drinking container
CN217742700U (en) Blue oxygen pet drinking machine
CN218456990U (en) Cat litter box of separation cat litter and cat stool
WO2007011325A1 (en) Aquarium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