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600B1 - Ventilatory Indoor Air Purifier - Google Patents
Ventilatory Indoor Ai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7600B1 KR102057600B1 KR1020190104562A KR20190104562A KR102057600B1 KR 102057600 B1 KR102057600 B1 KR 102057600B1 KR 1020190104562 A KR1020190104562 A KR 1020190104562A KR 20190104562 A KR20190104562 A KR 20190104562A KR 102057600 B1 KR102057600 B1 KR 1020576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partition
- indoor air
- indoor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24F3/1603—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환기를 위해서는 수시로 창문을 열거나 별도의 전열교환 설비를 시공해야만 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 공기 청정기에 환기 기능이 구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that is installed indoors to purify the air, so that the ventilation function is provided in the indoor air purifier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of having to open a window or construct a separate total heat exchange facility from time to time for ventilation. It is characterized by one.
최근에는 미세먼지, 대기오염 물질로 인해 많은 나라에서 심각성이 야기되고 있는데, 특히, 학교는 교실이라는 밀폐된 공간에서 다수의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어 외부의 대기오염과 함께 실내공기의 질적 저하에 따른 고통을 감수하고 있다.In recent years, fine dust and air pollutants have caused seriousness in many countries. In particular, schools have many students living in enclosed spaces such as classrooms. Is taking.
이에 따라 다양한 공기 청정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교실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가 설치되어 교실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air purifiers have been developed,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classroom environment by installing such air purifiers in each classroom.
현재 사용되는 공기 청정기는 실내의 먼지 및 분진이나 냄새를 제거하고, 실내의 공기를 깨끗하게 해주는 장치로서 건식형 공기 청정기와, 습식형 공기 청정기로 분류될 수 있다.Currently used air purifiers can be classified into a dry air purifier and a wet air purifier as a device that removes dust and dust or odors in the room and cleans the indoor air.
건식형 공기 청정기는 필터 교체 및 필터 기공의 크기에 따라 흡착되는 먼지의 크기가 결정되는 활성탄을 이용한 필터식,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전기 집진식 또는 음이온을 이용한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잦은 필터의 교환으로 번거롭고, 또한 코로나 방전을 이용함으로써 오존과 질소 산화물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Dry type air purifiers are mainly composed of filter type using activated carbon, size of dust adsorbed by filter pore size, electric dust collection type using corona discharge or negative ion type, but frequent filter replacement It is cumberso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ozone and nitrogen oxides can be generated by using corona discharge.
습식형 공기 청정기는 화학공장의 탈취공정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는 물의 스프레이 분사 등의 방법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것인데, 이와 같은 습식형 공기 청정기는 물의 분사시의 소음과 높은 소비전력 등에 의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적용하기 어렵고, 물에 흡착된 먼지나 가스등에 의하여 청정기 내에 물을 공급하는 수조의 오염을 유발하여 2차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Wet air cleaners purify the air by spraying water, which is often used in deodorization processes in chemical plants. Wet air cleaners are used in homes and offices due to noise and high power consumption. It is difficult to apply, and the dust or gas adsorbed on the water causes pollution of the water tank supplying the water to the cleaner, causing secondary problems.
아울러 종래의 공기 청정기들은 오염된 실내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신선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한 상태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반복적으로 순환시키게 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산소 농도의 지속적 감소)하게 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창문을 개방할 경우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공기 청정(미세먼지 제거) 효과를 제대로 거둘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air cleaner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for the purpose of purifying contaminated indoor air, but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s continuously maintained by circulating and circulating the polluted air in the room repeatedly while blocking the inflow of fresh external air. When the window is opened to solve the increase (continuous decrease in oxygen concent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outside air having a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thus, air purification (removal of fine dust) cannot be properly achiev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와는 별도로 건물마다 전열 교환 설비가 시공될 필요가 있는데, 신축 건물이 아닌 경우 전열 교환 설비 시공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total heat exchange facility for each building separately from the air cleaner for indoor installation,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cost i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 facility in a non-new building.
따라서, 적은 비용과 간편한 구조로 실내 공기 청정 및 환기가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도입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introduce a new concept of indoor air cleaner that enables indoor air cleaning and ventilation at low cost and simple structure.
[선행기술문헌][Preceding technical literature]
공개특허 제10-2018-0131160호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31160
등록특허 제10-0908464호Patent Registration No. 10-0908464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청정 기능과 함께 환기 기능이 일체로 결합되어 모듈화된 새로운 개념의 공기 청정기를 제공함으로써 전열 교환 설비가 시공되어 있지 않는 기존 건물에서도 공기 청정 및 환기 효과, 열교환을 통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purifier of a new concept modularized by combining the ventilation function together with the indoor air purifying function, thereby providing air cleaning and ventilation even in an existing building in which no heat exchange facility is installed. The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and the energy saving effect through heat exchang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Techn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 청정기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구성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단부를 막는 상부커버(110)와 하단부를 막는 하부커버(120)가 구비된 하우징부(100); 상기 상부커버(110)와 이격되어 상기 상부커버(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는 상부격벽(130); 상기 상부격벽(130) 하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 공간을 수직 방향으로 구획하는 한 쌍의 수직격벽(160); 상기 수직격벽(160)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상부격벽(130)과 이격되어 상기 상부격벽(1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중간격벽(140); 상기 수직격벽(16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커버(120)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하부격벽(150); 상기 상부커버(110)와 상기 상부격벽(13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급기송풍부(210); 상기 급기송풍부(210)의 흡입부 측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메인필터부(220); 상기 하우징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급기송풍부(210)의 작동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역할을 하는 제1실내공기 흡입구(101); 상기 하우징부(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급기송풍부(21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메인필터부(2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출구 역할을 하는 청정공기 공급구(103); 상기 상부격벽(130), 상기 중간격벽(140) 및 상기 수직격벽(160)으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외부공기가 공급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외부공기 흡입구(104); 상기 중간격벽(140), 상기 하부격벽(150) 및 상기 수직격벽(160) 사이의 공간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역할을 하는 제2실내공기 흡입구(102); 상기 중간격벽(140), 상기 하부격벽(150) 및 상기 수직격벽(16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 역할을 하는 실내공기 배출구(105); 상기 중간격벽(140)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04)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하강 통로 역할을 하는 제1외부공기 하강구(141); 상기 중간격벽(140), 상기 하부격벽(150) 및 상기 수직격벽(16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1외부공기 하강구(141)를 통하여 하강하는 외부공기와 상기 제2실내공기 흡입구(102)로 유입되어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부(240); 상기 하부격벽(150)에 형성되며, 상기 전열교환부(240)를 통과하면서 하강한 외부공기가 상기 하부격벽(150)과 상기 하부커버(1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하우징부(100)와 상기 수직격벽(16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퍼져나가는 하강 통로 역할을 하는 제2외부공기 하강구(151); 상기 중간격벽(140), 상기 하부격벽(150) 및 상기 수직격벽(16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배기송풍부(230); 상기 상부격벽(130)에 형성되며, 상기 제2외부공기 하강구(15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부(100)와 상기 수직격벽(16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퍼져나가는 외부공기를 상기 메인필터부(220)로 공급하는 상승 통로 역할을 하는 외부공기 상승구(131);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04)를 개폐하는 차단댐퍼(170); 및, 상기 급기송풍부(210), 상기 배기송풍부(230) 및 상기 차단댐퍼(1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installed indoors, the housing having a space for mounting the components while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air cleaner, the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Technic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실내 공기만 순환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외기를 유입시키거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를 실시하여 이산화탄소나 휘발성 유기 물질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circulating only the indoor air, and if necessary,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r volatile organic substances is not exceeded by performing ventilation to introduce outside air or discharge indoor air to the outside. You can adjust it.
둘째, 실내 이산화탄소나 휘발성 유기 물질의 농도에 따라 자동제어가 이루어져 상시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Second, automatic control is mad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indoor carbon dioxide or volatile organic substances, so that the indoor environment can be maintained comfortably at all times.
셋째, 실외 공기와 환기가 이루어질 경우 건물 자체에 설치되는 전열 교환 설비와 마찬가지로 급배기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Third, when the outdoor air and the ventilation is made, like the heat exchange facility installed in the building itself, heat exchange is performed between the supply and exhaust air to minimize heat loss.
넷째, 공기 정화 및 환기 기능이 일체로 결합되어 모듈화됨으로써, 전열 교환 설비가 시공되지 않은 기존 학교 건물이나 기타 공공시설, 또는 오래된 아파트 등에도 별도로 전열 교환 설비를 시공하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Fourth, by combining the air purification and ventilation functions integrally and modularized,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n the existing school building, other public facilities, old apartments, etc., where the heat exchange facility is not constructed, without additional construction.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외형으로서 정면에서 본 모습과 후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측면에서 본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위에서 내려다 본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a)상부격벽(130) 위에서 내려다 본 구조와 상부격벽(130)의 구조, (b)중간격벽(140) 위에서 내려다 본 구조와 중간격벽(140)의 구조, 및 (c)하부격벽(150) 위에서 내려다 본 구조와 하부격벽(150)의 구조를 각각 도시한다.Figure 1 show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as an appearance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cross sectional structure of a front view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ide view.
Figure 4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top down view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e structure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외형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 내부 구조는 도3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installed indoors, and may have an external shape as shown in FIG. 1 or 2, and its internal structure is as shown in FIG.
하우징부(100)는 공기 청정기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는 구성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이 마련된다.The
하우징부(100)의 상단부는 착탈식 상부커버(110)가 장착되고, 하단부는 하부커버(120)가 구비되어 베이스 역할을 하게 된다. The upper end of the
하우징부(100) 내부에 장착되는 메인필터부(220)를 구성하는 필터를 교체하거나 급기송풍부(210)를 구성하는 송풍팬의 정비나 수리가 필요할 경우 상부커버(110)를 개방할 수 있다.The
하우징부(100)의 외형은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적인 기능이 동일한 범위 내에서 적절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outer shape of the
하우징부(100)의 내부에는 상부격벽(130), 중간격벽(140), 하부격벽(150), 및 수직격벽(160)으로 구분되어 공기의 유로가 적절하게 분리되도록 한다.The interior of the
상부격벽(130)은 상부커버(110)와 이격되어 상부커버(110)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급기송풍부(210)와 메인필터부(220)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하우징부(100)의 전체 높이에서 1/3 내지 1/5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러한 상부격벽(13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면서, 메인필터부(220)와 급기송풍부(210)가 설치되는 발판(베이스) 역할을 하게 된다.The
이러한 상부격벽(130)에는 도3 또는 도4(a)에 도시된 것처럼 제2외부공기 하강구(151)를 통하여 하우징부(100)와 수직격벽(16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퍼져나가는 외부공기를 메인필터부(220)가 설치된 공간으로 공급되는 상승 통로 역할을 한다. The
다시 말하면, 급기송풍부(210)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 흡입구(104)로 유입되어 제1외부공기 하강구(141), 전열교환부(240), 및 제2외부공기 하강구(151)를 통과한 외부공기가 하우징부(100)와 수직격벽(16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을 거쳐 메인필터부(220)가 설치된 공간으로 상승되는 통로가 된다.In other words, the operation of the air
이와 같은 경로에 따라 흐름이 형성되는 외부공기는 메인필터부(2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급기송풍부(210)의 작동으로 청정공기 공급구(103)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는데, 전열교환부(2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배기송풍부(230)가 작동하고 있다면 제2실내공기 흡입구(102)로 유입되어 실내공기 배출구(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ternal air in which the flow is formed along the path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수직격벽(160)은 상부격벽(130) 하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우징부(100)의 내부 공간을 수직 방향으로 구획한다.The
중간격벽(140)은 상부격벽(130)과 이격되어 상부격벽(1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격벽(160) 사이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한다.The
중간격벽(140)에는 도3 또는 도4(b)에 도시된 것처럼 제1외부공기 하강구(14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외부공기 하강구(141)는 외부공기 흡입구(104)를 통하여 하우징부(10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하강 통로 역할을 한다.The
다시 말하면, 제1외부공기 하강구(141)는 외부공기 흡입구(104)를 통하여 상부격벽(130), 수직격벽(160) 및 중간격벽(140)으로 이루어진 공간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하강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first external air down
하부격벽(150)은 수직격벽(16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하부커버(120)와 이격되도록 하부커버(120)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전열교환부(240)가 설치되는 발판(베이스) 역할을 한다.The
제2외부공기 하강구(151)는 하부격벽(150)에 형성되는데, 급기송풍부(210)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 흡입구(104)로 유입되어 제1외부공기 하강구(141), 및 전열교환부(240)를 통과하면서 하강한 외부공기가 하부격벽(150)과 하부커버(1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하우징부(100)와 수직격벽(16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퍼져나가는 하강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The second external air down
급기송풍부(210)는 상부커버(110)와 상부격벽(13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하우징부(100) 내부로 유입하여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동력장치 역할을 한다.The air supply
이러한 급기송풍부(210)는 다수의 송풍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송풍팬의 규격이나 종류, 설치 갯수 등은 제품의 사양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The air
메인필터부(220)는 급기송풍부(210)의 흡입부 측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메인필터부(220)는 여러 종류의 필터가 적층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큰 먼지 입자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여 헤파필터를 보호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프리필터, 휘발성 유기 화합물, 세균, 바이러스 및 각종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는 활성탄필터, 0.3㎛ 이상의 초미세 먼지 입자를 99퍼센트 이상 제거하는 헤파필터, 항균 작용을 하는 은나노필터가 복합적으로 구비된 것을 사용한다.The
제1실내공기 흡입구(101)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부(100)의 일측(도면에서 하우징부(100)의 후면)에 형성되고, 급기송풍부(210)의 작동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The first
청정공기 공급구(103)는 도1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부(100)의 타측(도면에서 하우징부(100)의 전면)에 형성되고, 급기송풍부(210)의 작동에 의하여 메인필터부(2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출구 역할을 하는 한다.The clean
외부공기 흡입구(104)는 상부격벽(130), 중간격벽(140) 및 수직격벽(160)으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외부공기가 공급(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데,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자바라 형태의 관체를 외부공기 흡입구(104)에 연결하고, 관체의 단부를 실외로 노출시키는 단순한 시공만으로 외부공기를 쉽게 유입할 수 있다. The
제2실내공기 흡입구(102)는 도1 및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격벽(140), 하부격벽(150) 및 수직격벽(160) 사이의 공간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역할을 하는데, 제2실내공기 흡입구(102)를 통하여 유입된 실내공기는 전열교환부(240)를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게 되는데, 급기송풍부(210)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 흡입구(104)로 유입되어 제1외부공기 하강구(141)를 통하여 전열교환부(240)를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는 외부공기와 교차하면서(직접 접촉하여 혼합되는 것은 아니며 전열 교환 소자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열교환만 이루어지는 구조)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second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제2실내공기 흡입구(102)에는 별개의 필터가 장착되어 전열교환부(240) 또는 배기송풍부(230)의 오염을 방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실내공기 흡입구(102)는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내부 유로를 구성하여 전열교환부(240)를 통과하면서 외부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질 수 있다면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eparate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econd indoor
실내공기 배출구(105)는 제2실내공기 흡입구(102)로 유입되어 전열교환부(240)를 통과한 후 중간격벽(140), 하부격벽(150) 및 수직격벽(16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외부(실외)로 배출하는 출구 역할을 한다.The
배기송풍부(230)는 중간격벽(140), 하부격벽(150) 및 수직격벽(16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제2실내공기 흡입구(102)로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실내공기 배출구(105)를 통하여 외부(실외)로 배출하는 동력장치 역할을 한다.The exhaust blower 230 i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전열교환부(240)는 중간격벽(140), 하부격벽(150) 및 수직격벽(16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제1외부공기 하강구(141)를 통하여 하강하는 외부공기와 제2실내공기 흡입구(102)로 유입되어 실내공기 배출구(1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전열교환부(240)는 서로 교차하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전열 교환 소자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직접 접촉하여 혼합되는 구조가 아니라 격리된 다수의 교차 유로를 통과하면서 격리된 막을 통하여 열교환만 이루어지는 구조이다.The total
차단댐퍼(170)는 외부공기 흡입구(104)를 개폐하면서 필요에 따라 외기를 유입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blocking
이러한 차단댐퍼(170)는 전동기에 의하여 개폐 작동되며, 자동 제어되는 일반적인 구조가 될 수 있다.The blocking
제어부(300)는 급기송풍부(210), 배기송풍부(230) 및 차단댐퍼(1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제어부(300)는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 기능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센서 기능을 통하여 감지된 신호에 따라 급기송풍부(210), 배기송풍부(230) 및 차단댐퍼(170) 각각의 작동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The
아울러, 제어부(300)에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제어부(300)가 급기송풍부(210), 배기송풍부(230) 및 차단댐퍼(17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구체적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specific content of the
(1)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및 미세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어부(300)는 차단댐퍼(170)가 닫힌 상태에서 급기송풍부(210) 및 배기송풍부(230)의 작동을 멈추어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한다.(1)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cluded in the indoor air are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2)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고 미세먼지 농도만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300)는 차단댐퍼(170)가 닫힌 상태(만약 열려 있다면 차단댐퍼(170)를 닫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함)에서 급기송풍부(210)만 작동시키고 배기송풍부(230)의 작동은 멈춘다.(2)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included in the indoor air are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only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다시 말하면, 외부공기와의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실내공기만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미세먼지를 제거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ile only the indoor air is repeatedly circulated in a state where ventilation with external air is not achieved, fine dust is removed.
(3)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 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300)는 차단댐퍼(170)가 열린 상태에서 급기송풍부(210) 및 배기송풍부(230)을 모두 작동시킨다.(3)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다시 말하면, 실내공기를 배출함과 동시에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고, 그 과정에서 전열교환부(240)를 통한 열교환이 이루어져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새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순환되는 실내공기를 혼합하여 그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실내로 공급하게 됨으로써, 미세먼지 제거,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실외 배출, 및 산소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and the external air is introduced at the same time, and heat exchange through the
(4) 실내공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치와 상한치 사이의 범위에 해당(외부공기의 온도도 이와 유사한 범위에 속하여 전열교환이 필요 없는 상태)되고,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고,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 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일 경우 제어부(300)는 차단댐퍼(170)가 닫힌 상태에서 급기송풍부(210)의 작동은 멈추고, 배기송풍부(230)만 작동시킨다.(4) The indoor dust temperature is within the range between the preset lower limit value and the upper limit value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air is also in a similar range so that no heat exchange is necessary), 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is set in advance. If less tha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indoor air or the concentration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다시 말하면, 실내공기를 순환시켜 정화하거나 실내로 신선한 외부공기를 적극적으로 공급하지 않고 단순히 실내공기만 배기송풍부(230)를 작동시켜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신속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In other words, instead of circulating and purifying indoor air or actively supplying fresh outside air to the room, the indoor air is simp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ctivating the exhaust blower 230 to quickly exhaust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room. Can be reduc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design changes and known technologies are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addition or deletion, simple numerical limitation, etc.,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early clarified.
100:하우징부
101:제1실내공기 흡입구
102:제2실내공기 흡입구
103:청정공기 공급구
104:외부공기 흡입구
105:실내공기 배출구
110:상부커버
120:하부커버
130:상부격벽
131:외부공기 상승구
140:중간격벽
141:제1외부공기 하강구
150:하부격벽
151:제2외부공기 하강구
160:수직격벽
170:차단댐퍼
210:급기송풍부
220:메인필터부
230:배기송풍부
240:전열교환부
300:제어부100: housing
101: First indoor air intake
102: second indoor air intake
103: clean air supply port
104: outside air intake
105: indoor air outlet
110: upper cover
120: lower cover
130: upper bulkhead
131: outside air riser
140: middle bulkhead
141: First external air downhill
150: bottom bulkhead
151: the second outside air downhill
160: vertical bulkhead
170: blocking damper
210: supply air blowing part
220: main filter
230: exhaust air blowing unit
240: electric heat exchanger
300: control unit
Claims (5)
공기 청정기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구성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단부를 막는 상부커버(110)와 하단부를 막는 하부커버(120)가 구비된 하우징부(100);
상기 상부커버(110)와 이격되어 상기 상부커버(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는 상부격벽(130);
상기 상부격벽(130) 하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 공간을 수직 방향으로 구획하는 한 쌍의 수직격벽(160);
상기 수직격벽(160)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상부격벽(130)과 이격되어 상기 상부격벽(1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중간격벽(140);
상기 수직격벽(16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커버(120)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하부격벽(150);
상기 상부커버(110)와 상기 상부격벽(13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급기송풍부(210);
상기 급기송풍부(210)의 흡입부 측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메인필터부(220);
상기 하우징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급기송풍부(210)의 작동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역할을 하는 제1실내공기 흡입구(101);
상기 하우징부(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급기송풍부(21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메인필터부(2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출구 역할을 하는 청정공기 공급구(103);
상기 상부격벽(130), 상기 중간격벽(140) 및 상기 수직격벽(160)으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외부공기가 공급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외부공기 흡입구(104);
상기 중간격벽(140), 상기 하부격벽(150) 및 상기 수직격벽(160) 사이의 공간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역할을 하는 제2실내공기 흡입구(102);
상기 중간격벽(140), 상기 하부격벽(150) 및 상기 수직격벽(16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 역할을 하는 실내공기 배출구(105);
상기 중간격벽(140)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04)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하강 통로 역할을 하는 제1외부공기 하강구(141);
상기 중간격벽(140), 상기 하부격벽(150) 및 상기 수직격벽(16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1외부공기 하강구(141)를 통하여 하강하는 외부공기와 상기 제2실내공기 흡입구(102)로 유입되어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부(240);
상기 하부격벽(150)에 형성되며, 상기 전열교환부(240)를 통과하면서 하강한 외부공기가 상기 하부격벽(150)과 상기 하부커버(1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하우징부(100)와 상기 수직격벽(16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퍼져나가는 하강 통로 역할을 하는 제2외부공기 하강구(151);
상기 중간격벽(140), 상기 하부격벽(150) 및 상기 수직격벽(16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배기송풍부(230);
상기 상부격벽(130)에 형성되며, 상기 제2외부공기 하강구(15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부(100)와 상기 수직격벽(16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퍼져나가는 외부공기를 상기 메인필터부(220)로 공급하는 상승 통로 역할을 하는 외부공기 상승구(131);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04)를 개폐하는 차단댐퍼(170); 및,
상기 급기송풍부(210), 상기 배기송풍부(230) 및 상기 차단댐퍼(1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As an air purifier installed indoors,
A housing unit 100 having a space in which components are mounted while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air cleaner, and having a top cover 110 blocking the upper end and a lower cover 120 blocking the lower end;
An upper partition 130 spaced apart from the upper cover 110 and positioned below the upper cover 110 and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part 100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air of vertical bulkheads 160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under the upper bulkhead 130 and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part 100 in a vertical direction;
An intermediate partition 140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ition 130 so as to partition an inner space of the vertical partition 16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positioned below the upper partition 130;
A lower partition wall 150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160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cover 120;
An air supply air blowing unit 210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cover 110 and the upper partition wall 130;
A main filter unit 220 installed on the suction side of the air supply air blowing unit 21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air passing through the air supply unit 210;
A first indoor air intake port 101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100 and serving as an inlet for introducing indoor air by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air blowing unit 210;
The clean air supply port 10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part 100 and serves as an outlet for supplying purified air to the room while passing through the main filter part 220 by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air blowing part 210. );
An external air intake port 104 serving as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pplied into a space including the upper partition 130, the intermediate partition 140, and the vertical partition 160;
A second indoor air suction port 102 serving as an inlet for introducing indoor air into a space between the intermediate partition 140, the lower partition 150, and the vertical partition 160;
An indoor air outlet 105 serving as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termediate partition 140, the lower partition 150, and the vertical partition 160 to the outside;
A first external air descending hole 141 formed in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140 and serving as a descending passage of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part 100 through the external air inlet 104;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intermediate partition 140, the lower partition 150, and the vertical partition 160, the external air descending through the first external air descending hole 141 and the second indoor air intake port An electrothermal heat exchanger 240 in which heat is exchanged between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102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105;
The external air formed in the lower partition wall 150 and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 part 240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lower partition wall 150 and the lower cover 120 to allow the housing part 100 to flow. A second external air downhole 151 which serves as a descending passage that spreads into a space between the outer and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vertical bulkhead 160;
An exhaust blower 230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intermediate partition 140, the lower partition 150, and the vertical partition 160;
The main air is formed in the upper partition 130 and spreads to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part 1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160 through the second outer air lowering hole 151. An external air riser 131 serving as a rising passage for supplying the unit 220;
A blocking damper 17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xternal air inlet 104; And,
A controller 3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blower 210, the exhaust blower 230, and the blocking damper 170;
Indoor installation air purifier with a ventil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제어부(300)는,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 기능이 구비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급기송풍부(210), 상기 배기송풍부(230) 및 상기 차단댐퍼(170) 각각의 작동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In claim 1,
The control unit 300,
It is equipped with a sensor function to detect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fine dust concentration contained in the indoor air,
Indoor air purifier with a ventil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air supply blower 210, the exhaust blower 230 and the blocking damper 170 according to the detected signal.
상기 제어부(300)는,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In claim 2,
The control unit 300,
Indoor air purifier with a ventil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s added.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및 미세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차단댐퍼(17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급기송풍부(210) 및 상기 배기송풍부(230)의 작동을 멈추고,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고 미세먼지 농도만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차단댐퍼(17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급기송풍부(210)만 작동시키고 상기 배기송풍부(230)의 작동은 멈추고,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 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차단댐퍼(17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급기송풍부(210) 및 상기 배기송풍부(230)을 모두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cluded in the indoor air are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300 is configured to supply the air supply air blowing unit 210 and the exhaust air blowing unit with the blocking damper 170 closed. Stop working 230,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included in the indoor air are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only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300 operates only the air supply air blowing unit 210 while the blocking damper 170 is closed. And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blower 230 is stopped,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cluded in the indoor ai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300 is configured to supply the air supply air blowing unit 210 and the exhaust air blowing unit 230 with the blocking damper 170 open. Indoor air purifier with a ventil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operate all.
실내공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치와 상한치 사이의 범위에 해당되고,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고,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 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차단댐퍼(17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급기송풍부(210)의 작동은 멈추고, 상기 배기송풍부(230)만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In claim 3,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is within a range between a preset lower limit and an upper limi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is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valu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air blowing unit 210 in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damper 170 is closed, and operates only the exhaust air blowing unit 230. air clea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4562A KR102057600B1 (en) | 2019-08-26 | 2019-08-26 | Ventilatory Indoor Air Pur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4562A KR102057600B1 (en) | 2019-08-26 | 2019-08-26 | Ventilatory Indoor Air Purifi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7600B1 true KR102057600B1 (en) | 2019-12-19 |
Family
ID=6905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4562A Expired - Fee Related KR102057600B1 (en) | 2019-08-26 | 2019-08-26 | Ventilatory Indoor Air Pur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760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56028A (en) * | 2020-12-09 | 2021-03-26 | 优氧环境技术(南通)有限公司 | Constant humidity and constant oxygen all-in-one machine |
KR20240062750A (en) | 2022-11-02 | 2024-05-09 | 이정규 | Apparatus for ventila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8263B1 (en) | 2008-05-30 | 2010-10-18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Hybrid ventilat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and humidity control |
KR101419944B1 (en) | 2008-01-03 | 2014-07-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
KR101959671B1 (en) | 2018-05-14 | 2019-07-02 | 박종찬 | Combined Type Fan Coil Unit with energy recovery ventilation and Air purifier |
-
2019
- 2019-08-26 KR KR1020190104562A patent/KR10205760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9944B1 (en) | 2008-01-03 | 2014-07-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
KR100988263B1 (en) | 2008-05-30 | 2010-10-18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Hybrid ventilat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and humidity control |
KR101959671B1 (en) | 2018-05-14 | 2019-07-02 | 박종찬 | Combined Type Fan Coil Unit with energy recovery ventilation and Air purifi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56028A (en) * | 2020-12-09 | 2021-03-26 | 优氧环境技术(南通)有限公司 | Constant humidity and constant oxygen all-in-one machine |
KR20240062750A (en) | 2022-11-02 | 2024-05-09 | 이정규 | Apparatus for ventil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7204B1 (en) | Real-time environment sensing-type system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of apartment houses | |
KR102074612B1 (en) | System unit of air cleaner with ventilator | |
KR101237259B1 (en) | Window type ventilation system with a room purifying filter and heat exchanger | |
KR101518624B1 (en) | Air purifying apparatus for air ventilation | |
KR100690987B1 (en) | Air cleaning system using ventilation unit | |
KR102256209B1 (en) | Appratus of purifying of indoor air | |
KR101921206B1 (en) | A Air purifier combined with ventilation | |
KR101860904B1 (en) | Clean air supply device, support plate supportting the same and window farame installing the same | |
KR20080013585A (en) | Ventilation unit with integrated wet air purifier | |
KR102026933B1 (en) | Ventilation System of Classroom | |
KR102142196B1 (en) | Air cleaning device and clean air supply system | |
KR102039106B1 (en) | A Ventilator | |
KR102144731B1 (en) | Toilet door ventila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 | |
JP4457774B2 (en) | Air purifier, air cleaning system and building structure | |
KR102057600B1 (en) | Ventilatory Indoor Air Purifier | |
KR102168453B1 (en) | Air cleaning device and clean air supply system | |
KR20220008560A (en) | A Ventilator | |
JP4883155B2 (en) | Air cleaner | |
KR102111216B1 (en) | Air cleaning device and clean air supply system | |
KR102036283B1 (en) | Variable ventilation system | |
KR102307537B1 (en) | Air condensing system for preventing inflow of out air | |
KR20120094731A (en) | Air cleaner | |
KR102226659B1 (en) | Dust sensor pollution prevention air purifier | |
KR100587314B1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2067232B1 (en) | A Ventil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8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