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981B1 - Connection unit for modular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nection unit for modular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5981B1 KR102055981B1 KR1020170124423A KR20170124423A KR102055981B1 KR 102055981 B1 KR102055981 B1 KR 102055981B1 KR 1020170124423 A KR1020170124423 A KR 1020170124423A KR 20170124423 A KR20170124423 A KR 20170124423A KR 102055981 B1 KR102055981 B1 KR 1020559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forming
- modular
- shape
- deformed
- de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1285 shape-memory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446 mem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435 tendo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66 auste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734 martens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은,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어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에 의해서 변형되는 변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부재는 모듈러 부재 내에 매립되고, 상기 변형 부재는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에 의해 형상 변화 또는 길이 수축이 유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for a modula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eformation member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and deformed by a temperature change or a magnetic field change, the deformation member is embedded in the modular member, and the deformation member is a temperature change or magnetic field. Changes can lead to shape changes or length shrink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 유닛에 의해 복수 개의 모듈러 부재 간의 구조적 연속성을 확보하고 결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nection unit and a modular structure for a modular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a connection unit and a modular unit for a modular member that can secure structural continuity between a plurality of modular members and improve coupling performance by the connecting unit.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ructure.
최근 건설분야에서는 시공기간의 획기적인 단축과 구조물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모듈러 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가 각광받고 있다. 조립식 구조는 대형 구조물을 단위부재 단위로 분할하여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구조형식이다. 보통 모듈러 부재라고 불리는 단위부재는 품질과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환경조건 하에서 제작된다. 또한 모듈러 부재의 제작단가와 생산성, 그리고 부재의 이송과정과 현장에서의 설치과정을 고려하여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하고 있다.In the construction field, a prefabricated structure using a modular member has been in the spotlight for a drastic shortening of construction period and improvement of structure quality. The prefabricated structure is a structure type that is manufactured by dividing a large structure into unit members and then assembling it on site. Unit members, commonly called modular members, are manufactured under environmental conditions to ensure quality and workability. In addition, consider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productivity of the modular member, the transfer process of the member and the installation process in the field to have a constant size and shape.
모듈러 부재로 구성된 구조계는 각 부재의 구조적 연속성과 충분한 연결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모듈러 부재의 연결부에서 변형 및 부재간의 상대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전체 구조계에서 원활한 하중전달이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모듈러 부재의 형식뿐만 아니라 연결방식도 조립식 구조가 성립되기 위한 중요한 필요조건이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현재까지 다양한 형식의 모듈러 구조와 연결방식이 제안되고 있다.Structural systems composed of modular members shall ensure structural continuity and sufficient connection performance of each member. When deformation and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members occur at the connection of the modular member, smooth load transfer cannot be achieved in the whole structural system. Therefore, not only the type of modular member but also the connection method is an important requirement for the prefabricated structure to be established.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proposed various types of modular structures and connection methods.
모듈러 부재를 연결하는 방법은 크게 포스트 텐션을 이용한 방법과 연결재를 이용한 기계적 결합 방법으로 구분된다.The method of connecting the modular members is classified into a method using post tension and a mechanical coupling method using a connecting member.
첫 번째 방법은 부재들을 관통하는 텐던을 이용하여 포스트 텐션을 도입하여 압축력에 의해서 부재들이 결합되는 방식이다.The first method is to introduce post tension using tendons that penetrate the members so that the members are joined by compressive forces.
두 번째 방법은 모듈러 부재 제작시 연결부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노출된 철근 혹은 커플러를 설치한 후 현장에서 인접한 모듈러 부재와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 때 노출된 철근을 겹이음하거나 커플러를 이용하여 철근을 잇는 방법뿐만 아니라, 강판 등으로 제작된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이 존재한다.The second method is to install the exposed rebar or coupler to function as a connecting part when manufacturing the modular member, and then connect it with the adjacent modular member in the field. At this time, there is a method of connecting the exposed reinforcing bars or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using a coupler, as well as using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made of steel.
하지만 기존 방식은 시공성 측면과 유지관리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있다.However, the existing method needs to be improved in terms of constructability and maintenance.
포스트 텐션 방식의 경우, 긴장력 도입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어 시공성과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별도의 정착구 및 쉬스관 매립에 따른 철근상세가 복잡해질 수 있다. 텐던에 긴장력을 도입한 후 쉬스관에 그라우팅 후 텐던의 장기손실을 막을 수 있으나, 추후 재긴장이 불가능하여 유지관리용 정착장치를 별도로 요구하게 된다. 또한 포스트 텐션의 경우 즉시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짧은 구간에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ost-tension method, a separate equipment for introducing a tension force is required, and workability and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and reinforcement details may be complicated by a separate anchorage and sheath pipe embedded. Long-term loss of tendon can be prevented after grouting to sheath pipe after introducing tension force to tendon, but it is impossible to re-tension later, requiring maintenance fixing device separately. In addition, in the case of post-tension,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to a short section as instant loss occurs.
또한, 기계적 이음 방식의 경우, 시공이 매우 복잡하고, 접합면에 압축력이 도입되지 않기 때문에 하중 재하 시 경계면에서 인장력이 발생함에 따라 균열이 매우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공용 중 결합부 균열 및 단차 발생의 위험이 있고, 누수와 철근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echanical joint method, the construction is very complicated, and since the compressive force is not introduced to the joint surface, cracking may occur very easily as the tensile force is generated at the interface during loading. Therefore, there is a risk of cracking and stepped joints during common use, and problems such as leakage and steel corrosion may occur.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모듈러 부재의 이음부에 매설된 연결 유닛에 의해 모듈러 부재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현장타설부(CIP부) 및 사전제작부(PC부) 경계면에서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modular member by the connection unit embedded in the joint of the modular member, and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ite casting part (CIP part) and the pre-production part (PC part) It is to provide a connecting unit for a modular member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dular structure.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모듈러 부재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기존의 포스트 텐션 방식의 장점과 기계적 이음 방식의 장점을 융합하여 시공성 및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ular unit connection unit and a modular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joint part of the modular member to fuse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post tension method and the mechanical joint method to improve workability and maintainability. It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연결 유닛을 매설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시공성 저하를 최소화시키고, 공용 중 발생할 수 있는 경계면에서의 균열에 대한 제어 및 회복이 가능한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ar unit connection unit capable of minimizing workability degradation that may occur in embedding a connection unit using a shape memory alloy, and controlling and recovering from cracks at an interface that may occur during use. It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dular structure.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공용 중에 경계면의 손상 발생 시 경계면의 균열을 닫을 수 있는 결합력(또는 부착력)을 추가로 발생시켜 보수/보강을 실시할 수 있는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nection unit and a modular structure for a modular member that can perform repair / reinforcement by additionally generating a bonding force (or an adhesive force) that can close a crack at an interface when the interface is damaged during use.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은,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어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에 의해서 변형되는 변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부재는 모듈러 부재 내에 매립되고, 상기 변형 부재에는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에 의해 형상 변화 또는 길이 수축이 유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r more exemplary embodiments, a connecting member for a modular member includes a deformation member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and deformed by a temperature change or a magnetic field change, and the deformation member is embedded in the modular member. The member may be induced in shape change or length contraction by temperature change or magnetic field change.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변형 부재의 일부는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고, 상기 변형 부재의 다른 일부는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에 의해 길이가 수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a part of the deformable member may be changed in shape by temperature change or magnetic field change, and the other part of the deformable member may be shrunk in length by temperature change or magnetic field change.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변형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가 연결되는 이음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는 상기 이음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deformation member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further includes a joint member to which the plurality of deformation members are connected, and the plurality of deformation member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member.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는 서로 다른 상변태 온도를 갖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plurality of deformation members may have different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s, and may be de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는 상기 이음 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는 서로 다른 상변태 온도를 갖는 변형 부재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plurality of deformation members are arranged to be symmetrical about a central axis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member, or the plurality of deformation members are alternate members having different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alternately It can be arranged as.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변형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변형 부재에 인가되는 열 또는 자기장을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에 의해 상기 변형 부재의 일부 및 상기 변형 부재의 다른 일부의 형상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member connected to the deformable member to adjust the heat or magnetic field applied to the deformable member, the shape of the part of the deforming member and the other part of the deforming member by the adjustment member Can be controlled individual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제1 모듈러 부재 및 제2 모듈러 부재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 틀에 이음 부재 및 상기 이음 부재에 연결되고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에 의해 변형되는 복수 개의 변형 부재를 포함하는 연결 유닛을 각각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상기 제2 모듈러 부재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상기 제2 모듈러 부재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제2 모듈러 부재에는 현장 타설 영역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 유닛의 일부는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상기 제2 모듈러 부재 내에 매립되고, 상기 연결 유닛의 나머지 일부는 현장 타설 영역에 의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Method for constructing a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the joint member and the joint member in the forming mold for manufactur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and by a temperature change or a magnetic field change Providing each connec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eforming members to be deformed; Fabricat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And connect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wherein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are each provided with a site casting area, and a part of the connection unit is the first modular member. Embedded in the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an in situ casting area.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상기 제2 모듈러 부재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 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일부에 열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일부는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상기 제2 모듈러 부재 내에서 변형이 유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the step of pouring concrete into the molding die; And applying heat or a magnetic fiel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deforming members, wherein some of the plurality of deforming members may be deformed in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상기 제2 모듈러 부재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 타설 영역에 타설재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나머지 일부에 열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현장 타설 영역 내에서 변형이 유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tep of connect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the step of placing a pour material in the site-pouring area; And applying heat or a magnetic field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plurality of deforming members, wherein the remaining part of the plurality of deforming members may be induced within the in-site casting region.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모듈러 부재의 이음부에 매설된 연결 유닛에 의해 모듈러 부재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현장타설부(CIP부) 및 사전제작부(PC부) 경계면에서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dular unit connection unit and the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ve force of the modular member by the connection unit embedded in the joint portion of the modular member, the site casting portion (CIP portion) and advance Cohesion force at the fabrication part (PC part) interface can be increased.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모듈러 부재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기존의 포스트 텐션 방식의 장점과 기계적 이음 방식의 장점을 융합하여 시공성 및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modular structure for the modula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installed on the joint portion of the modular member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maintainability by fusing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post tension method and the mechanical joint method You can.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연결 유닛을 매설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시공성 저하를 최소화시키고, 공용 중 발생할 수 있는 경계면에서의 균열에 대한 제어 및 회복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dular unit connection unit and the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in workability that may occur when embedding the connection unit using the shape memory alloy, and to prevent cracking at the interface that may occur in common. Control and recovery may be possible.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공용 중에 경계면의 손상 발생 시 경계면의 균열을 닫을 수 있는 결합력(또는 부착력)을 추가로 발생시켜 보수/보강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dular unit connection unit and the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pair / reinforcement can be performed by additionally generating a bonding force (or adhesive force) that can close the crack of the interface when the interface damage occurs during the common hav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이 모듈러 부재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변형 부재의 형상기억효과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의 거동 방식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절차를 도시한다.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unit for a modular member is applied to a modular memb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shows a front view of a connection unit for a modular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 shows a side view of a connection unit for a modular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shows the shape memory effect of the deforming member.
5 (a) to (c) show the behavior of the connection unit for a modula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a) to (d) show a construction procedure of a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in any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overlapping rang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이 모듈러 부재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변형 부재의 형상기억효과를 도시하고, 도 5(a) 내지 (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의 거동 방식을 도시한다.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modular unit connection unit is applied to a modular member, FIG. 2 illustrates a front view of a modular member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llustrates an embodiment. 4 shows a side view of the connection unit for the modular member, FIG. 4 shows the shape memory effect of the deformable member, and FIGS. 5A to 5C show the behavior of the connection unit for the modula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10)은 복수 개의 모듈러 부재, 예를 들어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제2 모듈러 부재(PC2)의 이음부(또는 결합부)(C)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구체적으로, 제1 모듈러 부재(PC1)에는 제1 현장 타설 영역(A1)이 구비되고, 제2 모듈러 부재(PC2)에는 제2 현장 타설 영역(A2)이 구비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modular member PC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spot pouring area A1,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PC2 may be equipped with a second spot pouring area A2.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제2 모듈러 부재(PC2)가 사전 제작된 후에,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제2 모듈러 부재(PC2)의 이음부(C)를 연결하고, 제1 현장 타설 영역(A1) 및 제2 현장 타설 영역(A2)에 콘크리트와 같은 현장 타설재를 타설함으로써,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제2 모듈러 부재(PC2)를 접합시킬 수 있다.After the first modular member PC1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PC2 are prefabricated, the joints C of the first modular member PC1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PC2 are connected, and the first site-pouring is performed. The first modular member PC1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PC2 can be joined by pouring the site pouring material such as concrete into the area A1 and the second site-pouring area A2.
이때,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10)이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제2 모듈러 부재(PC2)의 이음부(C)와 인접한 표면에 매설될 수 있으며,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제2 모듈러 부재(PC2)의 결합력 또는 접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처리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dular
도 1에는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제2 모듈러 부재(PC2)의 상단 표면에 제1 현장 타설 영역(A1) 및 제2 현장 타설 영역(A2)이 구비되어,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제2 모듈러 부재(PC2)의 상단 표면에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10)이 매설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10)의 배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제2 모듈러 부재(PC2)에 구비된 제1 현장 타설 영역(A1) 및 제2 현장 타설 영역(A2)의 배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FIG. 1, a first site-pouring area A1 and a second site-pouring area A2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modular member PC1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PC2, and the first modular member PC1 is provided. Although the modular
특히, 도 2 또는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10)은, 이음 부재(100) 및 변형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2 or 3, the modular
상기 이음 부재(100)는 예를 들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이때, 일 방향은 이음 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서, 예를 들어 제1 현장 타설 영역(A1) 또는 제2 현장 타설 영역(A2)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된 방향이 될 수 있고, 제1 현장 타설 영역(A1) 또는 제2 현장 타설 영역(A2)의 세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one direction may be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상기 제1 현장 타설 영역(A1) 또는 제2 현장 타설 영역(A2)의 내측면은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제1 현장 타설 부재(미도시)의 경계면 또는 제1 모듈러 부재(PC2) 및 제2 현장 타설 부재(미도시)의 경계면이 될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te-pouring area A1 or the second site-pouring area A2 may be an interface between the first modular member PC1 and the first site-pouring member (not shown) or the first modular member PC2 and It may be an interface of a second in-site casting member (not shown).
또한, 이음 부재(100)의 일부는 제1 모듈러 부재(PC1)의 표면에 매설되고, 이음 부재(100)의 나머지 일부는 제1 현장 타설 부재의 표면에 매설될 수 있다. 또는 이음 부재(100)의 일부는 제2 모듈러 부재(PC2)의 표면에 매설되고, 이음 부재(100)의 나머지 일부는 제2 현장 타설 부재의 표면에 매설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그러나 이음 부재(10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이음 부재(10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변형 부재(200)를 제 위치에 유지시키고, 변형 부재(200)의 하중 전달 거동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However, the shape of the
상기 이음 부재(100)에는 변형 부재(200)가 연결될 수 있다.The deforming
상기 변형 부재(200)는 형상기억합금(SMA)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를 통해서 변형될 수 있다. The
특히, 도 4를 참조하여, 형상기억효과는 임의의 형상을 기억하고 있는 합금을 냉각하여 마르텐사이트로 만든 후, 형상을 변화시키고,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로 만들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현상을 말한다.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4, the shape memory effect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n alloy, which stores an arbitrary shape, is cooled and made into martensite, and then changed into a shape and heated to be made of austenite to restore its original shape.
이러한 형상기억효과를 적용하여, 변형 부재(200)에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를 유도하여 형상을 변화시키거나 길이를 수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제2 모듈러 부재(PC2) 사이에 부착력 또는 결합력을 도입시킬 수 있다.By applying the shape memory effect, the
또한, 변형 부재(200)에 열 또는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변형 부재(200)에 인가하는 열 또는 자기장을 조절함으로써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제2 모듈러 부재(PC2) 사이에 도입되는 부착력 또는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 temperature change or a magnetic field change may be induced by applying heat or a magnetic field to the deforming
상기 변형 부재(200)는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에 의해 갈고리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The
여기에서는 변형 부재(200)가 갈고리 형상으로 변화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변형 부재(200)의 변화된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1 모듈러 부재(PC1)와 제1 현장 타설 부재 사이에 또는 제2 모듈러 부재(PC2)와 제2 현장 타설 부재 사이에 부착력 형성에 용이한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Herein, the case in which the
이하에서는 변형 부재(200)가 갈고리 형상으로 변화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deforming
이때, 변형 부재(200)의 일부는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고, 변형 부재(200)의 다른 일부는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에 의해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art of the
다시 도 2 또는 3을 참조하여, 변형 부재(200)는 제1 변형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or 3, the deforming
상기 제1 변형 부재(210)는 제1 변형 부분(212), 제2 변형 부분(214) 및 제3 변형 부분(216)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 변형 부분(212)은 이음 부재(100)의 하단에 연결되고 온도 변화에 의해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형 부분(212)은 온도 변화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변형 부분(212)은 제1 상변태 온도를 가질 수 있고, 제1 변형 부분(212)에 인가되는 열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과 같이 다양한 방향 중 하나로 변형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1 변형 부분(212)의 단부에는 제2 변형 부분(21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변형 부분(214)은 자기장 변화에 의해 길이가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변형 부분(214)의 변형 여부에 따라서 제1 변형 부재(210)의 전체 길이가 축소되거나 초기 길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A second
상기 제2 변형 부분(214)의 단부에는 제3 변형 부분(216)이 연결되고, 제1 변형 부분(212)과 마찬가지로 온도 변화에 의해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변형 부분(216)은 온도 변화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변형 부분(216)은 제1 상변태 온도를 가질 수 있고, 제3 변형 부분(216)에 인가되는 열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과 같이 다양한 방향 중 하나로 변형될 수 있다.A third
전술된 제1 변형 부재(210)는 제1 변형 부분(212) 및 제3 변형 부분(216)의 변형에 의해 초기 곧은 형상에서 굽은 형상으로, 예를 들어 갈고리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2 변형 부분(214)의 길이 수축에 의해 모듈러 부재, 예를 들어 도 1의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제2 모듈러 부재(PC2) 사이에 부착력 또는 결합력을 도입할 수 있다.The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2 변형 부분(214)의 길이가 수축되지 않도록 하여 제1 변형 부재(210)의 초기 길이가 유지되게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However, in some cases, it is obvious that the initial length of the first deforming
또한, 제1 변형 부분(212), 제2 변형 부분(214) 및 제3 변형 부분(216) 모두가 온도 변화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거나 길이가 변화될 수 있고, 제1 변형 부분(212), 제2 변형 부분(214) 및 제3 변형 부분(216) 모두가 자기장 변화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거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또는, 이음 부재(100)에 제1 변형 부분(212), 제2 변형 부분(214) 및 제3 변형 부분(216)이 연결되는 순서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Alternatively, the first deforming
한편, 변형 부재(20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이음 부재(100)에 복수 개의 변형 부재(200)가 연결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변형 부재(200)는 이음 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deforming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변형 부재(200)는 전술된 제1 변형 부재(210)뿐만 아니라, 제2 변형 부재(220), 제3 변형 부재(230), 제4 변형 부재(240) 및 제5 변형 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eforming
도 2에는 복수 개의 변형 부재(200)가 총 5개의 변형 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변형 부재(200)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5보다 많거나 적은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lurality of deforming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변형 부재(200)가 제1 변형 부재(210), 제2 변형 부재(220), 제3 변형 부재(230), 제4 변형 부재(240) 및 제5 변형 부재(25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lurality of deforming
상기 제2 변형 부재(220)는 이음 부재(100)의 하단에서 제1 변형 부재(210)에 인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 제2 변형 부재(220)는 제4 변형 부분(222), 제5 변형 부분(224) 및 제6 변형 부분(226)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4 변형 부분(222)은 온도 변화에 의해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변형 부분(222)은 온도 변화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변형 부분(222)은 제2 상변태 온도를 가질 수 있고, 제4 변형 부분(222)에 인가되는 열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과 같이 다양한 방향 중 하나로 변형될 수 있다.The fourth
이때, 제2 상변태 온도는 전술된 제1 상변태 온도와 다른 온도가 될 수 있고, 제2 방향은 전술된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may b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direction.
이에 의해 복수 개의 변형 부재(200)에 전체적으로 온도 변화가 유도되는 경우, 제1 변형 부재(210)는 변형되고 제2 변형 부재(220)는 변형되지 않거나, 제1 변형 부재(210)는 변형되지 않고 제2 변형 부재(220)는 변형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temperature change is induced to the plurality of deforming
또한, 제1 변형 부재(210)가 시계 방향으로 형상이 변화되는 경우, 제2 변형 부재(2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ape of the first deforming
상기 제4 변형 부분(222)의 단부에는 제5 변형 부분(22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 변형 부분(224)은 자기장 변화에 의해 길이가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5 변형 부분(224)의 변형 여부에 따라서 제2 변형 부재(220)의 전체 길이가 축소되거나 초기 길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A fifth
상기 제5 변형 부분(224)의 단부에는 제6 변형 부분(226)이 연결되고, 제4 변형 부분(222)과 마찬가지로 온도 변화에 의해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변형 부분(226)은 온도 변화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6 변형 부분(226)은 제2 상변태 온도를 가질 수 있고, 제6 변형 부분(226)에 인가되는 열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과 같이 다양한 방향 중 하나로 변형될 수 있다.The sixth
이와 같이 제2 변형 부재(220)는 제4 변형 부분(222) 및 제6 변형 부분(226)의 변형에 의해 초기 곧은 형상에서 굽은 형상으로, 예를 들어 갈고리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5 변형 부분(224)의 길이 수축에 의해 모듈러 부재, 예를 들어 도 1의 제1 현장 타설 영역(A1) 또는 제2 현장 타설 영역(A2) 내에 타설될 제1 현장 타설 부재 및 제2 현장 타설 부재 사이에 부착력 또는 결합력을 도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5 변형 부분(224)의 길이가 수축되지 않도록 하여 제2 변형 부재(220)의 초기 길이가 유지되게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However, in some cases, it is obvious that the initial length of the
한편, 제3 변형 부재(230)는 제1 변형 부재(210)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제4 변형 부재(240)는 제2 변형 부재(220)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제5 변형 부재(250)는 제1 변형 부재(210)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변형 부재(200)는 이음 부재(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상변태 온도를 갖는 변형 부재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deforming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변형 부재(200)가 3개의 변형 부재로 구성된 경우, 이음 부재(100)에 제1 변형 부재(210), 제2 변형 부재(220) 및 제3 변형 부재(230) 순서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deforming
또는 복수 개의 변형 부재(200)가 4개의 변형 부재로 구성된 경우, 이음 부재(100)에 제1 변형 부재(210), 제2 변형 부재(220), 제2 변형 부재(220)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된 변형 부재, 및 제1 변형 부재(210)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된 변형 부재 순서로 연결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plurality of deforming
그러나 이음 부재(100)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변형 부재(200)의 배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1 모듈러 부재(PC1)와 제1 현장 타설 부재 사이에 또는 제2 모듈러 부재(PC2)와 제2 현장 타설 부재 사이에 결합력 또는 부착력을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10)은 변형 부재(200)에 연결되어 변형 부재(200)에 인가되는 열 또는 자기장을 조절하는 조절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the modular
예를 들어, 상기 조절 부재는 제1 변형 부분(212), 제2 변형 부분(214), 및 제3 변형 부분(216)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거나, 복수 개의 변형 부재(200)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djustment member may b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이에 의해 온도 변화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 부재(200)의 일부 및 자기장 변화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 부재(200)의 다른 일부의 형상이 개별적으로 제어되거나, 복수 개의 변형 부재(200)의 형상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shape of a part of the deforming
특히, 도 5(a) 내지 (c)를 참조하여, 전술된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10)의 거동 방식은 다음과 같이 될 수 있다.In particular, with reference to Figures 5 (a) to (c), the behavior of the above-described modular
도 5(a)는 제1 상변태 온도(T1) 상태이며, 제1 변형 부재(210)가 PC부(예를 들어, 도 1의 제1 모듈러 부재(PC1) 또는 제2 모듈러 부재(PC2))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FIG. 5A illustrates a first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T1, in which the first deforming
구체적으로, 온도 변화에 의해 PC부 내에서 제1 변형 부분(212) 및 제3 변형 부분(216)의 형상이 예를 들어 갈고리 형상으로 변화되고, 제2 변형 부분(214)의 길이는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first
또한, 제2 변형 부재(220)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CIP부(예를 들어, 도 1의 제1 현장 타설 영역(A1) 또는 제2 현장 타설 영역(A1))에 곧은 형태로 노출된 상태로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에 의해 제1 현장 타설 영역(A1) 또는 제2 현장 타설 영역(A1)에 CIP부 형성 시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다.Thereby, when forming a CIP part in the 1st site pouring area | region A1 or the 2nd site pouring area | region A1, it can work easily.
도 5(b)는 제2 상변태 온도(T2) 상태이며, 제2 변형 부재(220)가 CIP부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FIG. 5B illustrates a second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T2 state, in which the
구체적으로, 온도 변화에 의해 CIP부 내에서 제4 변형 부분(222) 및 제6 변형 부분(226)의 형상이 예를 들어 갈고리 형상으로 변화되고 제5 변형 부분(224)의 길이는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fourth
도 5(c)는 자기장 인가 상태이며, 자기장 변화에 의해 PC부 및 CIP부 내에서 제1 변형 부재(210)의 제2 변형 부분(214) 및 제2 변형 부재(220)의 제5 변형 부분(224)의 길이가 수축될 수 있다. FIG. 5C shows a magnetic field applied state, and the second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은 모듈러 부재의 이음부에 매설되어 모듈러 부재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현장타설부(CIP부) 및 사전제작부(PC부) 경계면에서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연결 유닛을 매설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시공성 저하를 최소화시키고, 공용 중 발생할 수 있는 경계면에서의 균열에 대한 제어 및 회복이 가능할 수 있다.Thus, the modular uni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embedded in the joint of the modular member to improve the adhesive force of the modular member, and the coupling forc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ite casting part (CIP part) and the pre-production part (PC par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in workability that can occur in embedding the connection unit using the shape memory alloy, and to control and recover from cracks at the interface that can occur during common use.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다.The modular uni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dular structure using the modular uni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a) 내지 (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절차를 도시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S. 7A to 7D illustrate a construction procedure of a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여, 모듈러 구조물은 다음과 같이 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 the modular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as follows.
우선, 제1 모듈러 부재 및 제2 모듈러 부재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 틀에 이음 부재 및 상기 이음 부재에 연결되고 온도 변화 또는 자기장 변화에 의해 변형되는 복수 개의 변형 부재를 포함하는 연결 유닛을 각각 제공한다(S10).Firstly, a jointing unit for forming a first modular member and a second modular member is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joint member and a connec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eformable members connected to the joint member and deformed by a temperature change or a magnetic field change, respectively ( S10).
구체적으로, 제1 모듈러 부재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 틀에 연결 유닛을 제공하고, 제2 모듈러 부재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 틀에 연결 유닛을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connecting unit is provided in the forming mold for manufactur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connecting unit is provided in the forming mold for manufacturing the second modular member.
예를 들어, 제1 모듈러 부재 및 제2 모듈러 부재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 틀에는 복수 개의 연결 유닛이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연결 유닛은 성형 틀 내에서 높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 molding frame for manufactur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units,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uni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within the molding frame. have.
그런 다음, 제1 모듈러 부재 및 제2 모듈러 부재를 제작한다(S20).Then,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are manufactured (S20).
특히, 도 7(a)를 참조하여, 제1 모듈러 부재(PC1)는 성형 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S22),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일부(210)에 열 또는 자기장을 인가한다(S24)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7 (a), the first modular member PC1 casts concrete into a molding mold (S22), and applies heat or a magnetic fiel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deformation members 210 (S24).
이때,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일부(210)는 제1 모듈러 부재(PC1)의 내부를 향하여 결합력 확보에 용이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나머지 일부(220)는 거푸집 작업에 용이하도록 제1 모듈러 부재(PC1)와 현장 타설 부재(CIP) 사이의 경계면 상에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some of the plurality of deforming
도 7(a)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모듈러 부재 또한 제1 모듈러 부재(PC1)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FIG. 7A, the second modular member may also b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modular member PC1.
이어서, 제1 모듈러 부재 및 제2 모듈러 부재를 연결한다(S30).Next,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are connected (S30).
구체적으로, 제1 모듈러 부재 및 제2 모듈러 부재에는 각각 현장 타설 영역(도 7(a)의 A1)이 구비되고, 제1 모듈러 부재 및 제2 모듈러 부재에 각각 구비된 현장 타설 영역이 서로 접하도록 제1 모듈러 부재 및 제2 모듈러 부재가 연결된다.Specifically,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are each provided with a site-pouring area (A1 in FIG. 7A), and the site-pouring areas provided in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respectively contact each other.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are connected.
특히, 도 7(b)를 참조하여, 제1 모듈러 부재(PC1)에 구비된 현장 타설 영역(A1)에 타설재를 타설하고(S32),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나머지 일부(220)에 열 또는 자기장을 인가한다(S34).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7B, a pouring material is poured into the spot pouring area A1 provided in the first modular member PC1 (S32), and heat or the oth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eforming
이때,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나머지 일부(220)는 현장 타설 부재(CIP)의 내부를 향하여 결합력 확보에 용이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maining
도 7(b)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모듈러 부재에 구비된 현장 타설 영역에 타설재를 타설하고,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나머지 일부에 열 또는 자기장을 인가한다.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FIG. 7B, a pour material is poured into the spot pouring area provided in the second modular member, and heat or a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deforming members.
이후에,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현장 타설 부재(CIP)의 경계면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열 또는 자기장 인가를 통해서 2차 변형을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제1 모듈러 부재(PC1) 및 현장 타설 부재(CIP)의 경계면에 발생된 균열을 치유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a crack occur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modular member PC1 and the in-site casting member CIP, as shown in FIG. 7C, for example,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by creating an environment capable of inducing secondary deformation through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cracks genera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modular member PC1 and the in situ casting member CIP may be cured.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다른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공용 중에 경계면의 손상 발생 시 경계면의 균열을 닫을 수 있는 결합력(또는 부착력)을 추가로 발생시켜 보수/보강을 실시할 수 있고, 모듈러 부재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기존의 포스트 텐션 방식의 장점과 기계적 이음 방식의 장점을 융합하여 시공성 및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generate and / or maintain a bonding force (or an adhesive force) that can close the crack of the interface in case of damage to the interface during sharing, thereby performing repair / reinforcement. It is installed in the joint part, and it can improve the workability and maintainability by fusing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post tension method and the mechanical joint metho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mited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모듈러 부재용 연결 유닛
100: 이음 부재
200: 변형 부재10: connection unit for modular members
100: joint member
200: deformation member
Claims (9)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또는 상기 제2 모듈러 부재에 매설되도록 구성된 이음 부재;
상기 이음 부재에 연결되고 제1 상변태 온도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제1 변형 부분과, 상기 제1 변형 부분에 연결되고 자기장 변화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제2 변형 부분과, 상기 제2 변형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변태 온도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제3 변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1 변형 부재; 및
상기 이음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변태 온도와 다른 제2 상변태 온도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제4 변형 부분과, 상기 제2 변형 부분에 연결되고 자기장 변화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제5 변형 부분과, 상기 제5 변형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상변태 온도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제6 변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변형 부재;
를 포함하는, 연결 유닛.
In the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A joint member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first modular member or the second modular member;
A first deformed portion connected to the joint member and deformed based on a first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a second deforme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deformed portion and deformed based on a magnetic field chang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deformed portion A first deforming member including a third deforming part deformed based on the first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And
A fourth deforma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deformed based on a second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different from the first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and a fifth deforma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deformation portion and deformed based on a magnetic field change, and A second deformation member connected to a fifth deformation part and including a sixth deformation part deformed based on the second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Including, the connection unit.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형상은 상기 제1 변형 부분의 변형 및 상기 제3 변형 부분의 변형에 의해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그리고 상기 제2 변형 부분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제2 형상에서 제3 형상으로 변화하고,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형상은 상기 제4 변형 부분의 변형 및 상기 제6 변형 부분의 변형에 의해 제4 형상에서 제5 형상으로, 그리고 상기 제5 변형 부분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제5 형상에서 제6 형상으로 변화하는, 연결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shape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is formed from the first shape to the second shape by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deformable portion and the deformation of the third deformable portion, and from the second shape by the deformation of the second deformable portion. I change to three shapes,
The shape of the second deformable member is changed from the fourth shape to the fifth shape by the deformation of the fourth deformable part and the deformation of the sixth deformed part and from the fifth shape by the deformation of the fifth deformed part. Connection unit, changing to 6 shapes.
상기 제1 형상은 곧은 형상이고, 상기 제2 형상은 제1 방향으로 굽은 형상이고, 상기 제3 형상은 길이가 수축된 형상이고,
상기 제4 형상은 곧은 형상이고, 상기 제5 형상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굽은 형상이고, 상기 제6형상은 길이가 수축된 형상인, 연결 유닛.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hape is a straight shape, the second shape is a shape bent in a first direction, the third shape is a shape having a contracted length,
And said fourth shape is a straight shape, said fifth shape is a shape bent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said first direction, and said sixth shape is a shape in which the length is shrunk.
상기 제1 방향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인, 연결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first direction is one of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the other of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상기 제1 변형 부분과, 상기 제2 변형 부분과, 상기 제3 변형 부분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제1 변형 부재 및 상기 제4 변형 부분과, 상기 제5 변형 부분과, 상기 제6 변형 부분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제2 변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변형 부재, 상기 제2 변형 부재, 상기 추가적인 제1 변형 부재 및 상기 추가적인 제2 변형 부재는 상기 이음 부재를 따라 교대하며 배치되는, 연결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An additional first deforming member comprising the first deforming part, the second deforming part, the third deforming part and the fourth deforming part, the fifth deforming part, and the sixth deforming part;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second deforming member,
And the first deforming member, the second deforming member, the further first deforming member and the further second deforming member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joint member.
상기 제1 변형 부재 및 상기 제2 변형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변형 부재 및 상기 제2 변형 부재에 인가되는 열 또는 자기장을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일부와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일부 및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다른 일부와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다른 일부의 형상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연결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adjus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deforming member and the second deforming member to adjust a heat or magnetic field applied to the first deforming member and the second deforming member, wherein the first deforming member is adjusted by the adjusting member. And a shape of a part of the member, a part of the second deforming member, another part of the first deforming member, and another part of the second deforming member are individually controlled.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상기 제2 모듈러 부재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상기 제2 모듈러 부재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는
상기 이음 부재에 연결되고 제1 상변태 온도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제1 변형 부분과, 상기 제1 변형 부분에 연결되고 자기장 변화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제2 변형 부분과, 상기 제2 변형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변태 온도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제3 변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1 변형 부재; 및
상기 이음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변태 온도와 다른 제2 상변태 온도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제4 변형 부분과, 상기 제2 변형 부분에 연결되고 자기장 변화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제5 변형 부분과, 상기 제5 변형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상변태 온도에 기초하여 변형되는 제6 변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2 변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제2 모듈러 부재에는 현장 타설 영역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 유닛의 일부는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상기 제2 모듈러 부재 내에 매립되고, 상기 연결 유닛의 나머지 일부는 현장 타설 영역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
Providing a jointing unit in a forming mold for manufactur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respectively, and a connecting unit including a joint member and a plurality of deformation members connected to the joint member and deformed by a temperature change or a magnetic field change;
Fabricat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And
Connect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Including,
The plurality of deforming members are
A first deformed portion connected to the joint member and deformed based on a first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a second deforme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deformed portion and deformed based on a magnetic field chang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deformed portion A first deforming member including a third deforming part deformed based on the first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And
A fourth deforma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deformed based on a second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different from the first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and a fifth deforma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deformation portion and deformed based on a magnetic field change, and A second deformation member connected to a fifth deformation part and including a sixth deformation part deformed based on the second phase transformation temperature;
Includ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are each provided with an in-situ casting area, a part of the connection unit is embedded in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connection unit is an in-site pouring area. Method of constructing a modular structure,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상기 제2 모듈러 부재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 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일부에 열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일부는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상기 제2 모듈러 부재 내에서 변형이 유도되는,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Produc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Pouring concrete into the mold; And
Applying heat or a magnetic fiel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deforming members;
Including,
Wherein some of the plurality of deforming members are induced to deform within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상기 제1 모듈러 부재 및 상기 제2 모듈러 부재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 타설 영역에 타설재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나머지 일부에 열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변형 부재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현장 타설 영역 내에서 변형이 유도되는,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8,
Connecting the first modular member and the second modular member,
Placing a pour material in the spot pouring area; And
Applying heat or a magnetic field to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eforming members;
Including,
And a remaining part of the plurality of deforming members is deformed in the in-site pouring are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4423A KR102055981B1 (en) | 2017-09-26 | 2017-09-26 | Connection unit for modular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4423A KR102055981B1 (en) | 2017-09-26 | 2017-09-26 | Connection unit for modular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5340A KR20190035340A (en) | 2019-04-03 |
KR102055981B1 true KR102055981B1 (en) | 2019-12-13 |
Family
ID=6616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4423A Active KR102055981B1 (en) | 2017-09-26 | 2017-09-26 | Connection unit for modular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5981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3692B1 (en) * | 2005-08-17 | 2007-05-0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stressed connection type pier using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ing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
CH707301B1 (en) * | 2013-04-08 | 2014-06-13 | Empa | Method for creating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by means of profiles of a shape memory alloy and structure, produced by the process. |
KR101479613B1 (en) | 2014-04-25 | 2015-01-0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Precast composite deck for forming deck joint using connection beam of box-type, and connecting method for the same |
KR101704291B1 (en) | 2015-11-19 | 2017-02-07 |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 Aassembled precast girder for bridge |
-
2017
- 2017-09-26 KR KR1020170124423A patent/KR102055981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5340A (en) | 2019-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00608B1 (en) | Reinforced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slab | |
KR100665876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rrugated steel girder bridge of prestressed opening with concrete caisson installed on upper flange | |
KR101077821B1 (en) | Tunnel conctruction method using arch pre-cast segmental structural body | |
JP2017172143A (en) | Jun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floor slab for rapid construction work,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JP3585444B2 (en) | Concrete member connection structure | |
KR10188634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HYBRID RAILWAY BRIDGE USING PRESTRESSED CONCRETE FILLED TUBE and TRANSVERSE PRESTRESSED CONCRETE BLOCK | |
JP7218194B2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precast floor slabs | |
KR10221907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Structures Using Segmented Preflex Girders and Segmented Preflex Girder | |
KR101703798B1 (en) | Prestressed Concrete Beam with curve implementation possibl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JP5444203B2 (en) | Bridge closure construction method | |
KR102055981B1 (en) | Connection unit for modular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 |
JP2010236258A (en) | Precast floor slab panel joint | |
JP5875951B2 (en) | Girder and floor slab joint structure and method | |
KR100639153B1 (en) | Slab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Slab Panels with Lateral Force Support | |
KR102120477B1 (en) | Segmented girder structure and splicing method for the same | |
KR102226921B1 (en) | Apparatus for fixing cover for withdrawing H-beam | |
KR101178255B1 (en) | Non-synthetic arch rib for which steel and reinforced concrete were used and the arch bridge construction technique for which this was used | |
KR102045121B1 (en) | Connection unit for modular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 |
JP7087260B2 (en) | Column-beam joint structure | |
KR100712622B1 (en) | Continuous Preflex Girder Structure Using Prestress in Parent Section Using Expanded Concret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2327700B1 (en) | Gird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ity of supporting portion of girder using the same | |
JP5702167B2 (en) | Method for suppressing cracking of concrete with temperature prestress | |
KR10166416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 |
KR100913161B1 (en) | How to make prestressed steel composite beam | |
JP6820208B2 (en) |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block and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b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