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5826B1 - 기지국 및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기지국 및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826B1
KR102055826B1 KR1020160163927A KR20160163927A KR102055826B1 KR 102055826 B1 KR102055826 B1 KR 102055826B1 KR 1020160163927 A KR1020160163927 A KR 1020160163927A KR 20160163927 A KR20160163927 A KR 20160163927A KR 102055826 B1 KR102055826 B1 KR 102055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terminal device
uplink
base station
communication qua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375A (ko
Inventor
오종민
최오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3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8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8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에 따라 구성된 제1 셀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그리고 제2 셀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2 셀에서의 통신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상태였다가 낮은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제2 셀의 업링크가 상기 반송파 집적을 구성하지 않도록 상기 제2 셀의 업링크를 해제(deleting)시키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지국 및 단말 장치 {BASE STATION AND TERMINAL APPARATUS}
본 발명은 기지국 및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에 따라 제1 셀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그리고 제2 셀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가 구성되었을 때, 제2 셀의 업링크에서의 통신 품질에 따라 제2 셀의 업링크를 해제(deleting)하거나 또는 이와 같이 해제된 제2 셀의 업링크를 추가(adding)하는 기술을 구현하는 기지국 및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A (Long-Term Evolution Advanced) 시스템은 LTE 시스템을 ITU-R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Radiocommunication sector, 국제전기통신연합 - 무선통신부문)에서 권고하는 4세대 이동통신 조건인 IMT-Advanced 조건에 맞도록 발전시킨 시스템이다. 이러한 LTE-A 시스템은 LTE 시스템 표준을 개발한 3GPP에서 정의한다.
LTE 시스템의 경우 20MHz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LTE-A 시스템의 경우 기존의 20MHz 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해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반송파 집적 기술은, 여러 주파수 대역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하나로 집적함으로써,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한편, 단말 장치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LTE-A 기술 표준화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대역을 묶어서 송신하는 업링크 반송파 집적(uplink carrier aggregation, UL CA)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도 1은 이러한 UL CA 기술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UL CA 기술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100)과 단말 장치(200)는 제1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Pcell(Primary Cell)을 통해 업링크(301) 및 다운링크(302) 통신을 수행하며, 제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Scell(Secondary Cell)을 통해 업링크((303) 및 다운링크(304) 통신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UL CA 기술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UL CA 기술을 적용되는 경우에 오히려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call drop 율이 증가하거나 HD-Voice 호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단말 장치가 중/약전계 지역에 있을 때에 단말 장치에 할당되는 최대 송신 전력(Max Tx Power)이, UL CA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단말 장치가 중/약전계 지역에 있을 경우, UL CA 기술이 적용되면 복수 개의 대역 각각에는 약 20dBm으로 고정된 최대 송신 전력이 할당된다. 반면, UL CA 기술이 적용되지 않으면, 1개의 대역에 23dBm의 최대 송신 전력이 할당된다. 결과적으로 단말 장치가 중/약전계 지역에 있을 경우, UL CA 기술이 적용될 때 단말 장치에 할당되는 최대 송신 전력이, UL CA 기술이 적용되지 않을 때 단말 장치에 할당되는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492542 (2015.02.23. 공고)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UL CA 기술이 적용된 단말 장치에서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call drop 율이 증가하거나 HD-Voice 호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에 따라 구성된 제1 셀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그리고 제2 셀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2 셀에서의 통신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상태였다가 낮은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제2 셀의 업링크가 상기 반송파 집적을 구성하지 않도록 상기 제2 셀의 업링크를 해제(deleting)시키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에 따라 구성된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포함하는 제1 셀과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포함하는 제2 셀 중 상기 제2 셀에서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제2 셀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상태였다가 낮은 상태로 변경된 경우를 상기 기지국에게 알리는 통신부와, 상기 경우에 대응하여서 상기 제2 셀의 업링크가 상기 반송파 집적을 구성하지 않도록 해제(deleting)되면, 상기 단말 장치에 할당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을 상기 제1 셀에 할당하는 전력 할당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L CA 기술이 적용된 단말 장치에서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call drop 율이 증가하거나 HD-Voice 호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절차가 진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에 따라 Scell의 업링크의 상태 및 Pcell에 할당되는 최대 송신 전력의 변화 추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기지국(100)과 단말 장치(200)를 포함한다. 다만, 도 1은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와 같이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10)에 한정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반송파 집합(Carrier Aggregation)을 사용하는 LTE-A(LTE-Advanced) 시스템일 수 있다. LTE-A 시스템은 기존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가질 수 있는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로서 정의한다. 이러한 LTE-A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요소 반송파가 묶임으로써 이론적으로 요소 반송파의 수만큼 데이터 전송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다수의 요소 반송파 중 제1 요소 반송파의 대역을 관할하는 셀을 Pcell(Primary Cell) 또는 제1 셀(이하에서는 Pcell로 지칭)로 정의하고, 제2 요소 반송파의 대역을 관할하는 셀을 Scell(Secondary Cell) 또는 제2 셀(이하에서는 Scell로 지칭)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하나의 기지국(100)에서 하나의 Pcell과 다수의 Scell을 통해 단말기(200)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나,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Pcell과 하나의 Scell만을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기초로 살펴보면, 기지국(100)과 단말 장치(200)는 제1 요소 반송파의 대역을 포함하는 Pcell을 통해 업링크(301) 및 다운링크(302) 통신을 수행하며, 또한 제2 요소 반송파의 대역을 포함하는 Scell을 통해 업링크(303) 및 다운링크(304) 통신을 수행한다.
기지국(100)(base station, BS)은 셀이라고 지칭되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지국(100)은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 장치(200)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지는 장치이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으며, 기지국(10)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단말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통신부(110) 및 관리부(15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설정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설정부(130) 및 관리부(15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기지국(100)은 무선 통신 시스템(10)에서 수행되는 일반적인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단말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며,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기지국(100)은 이러한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200)에게 데이터를 송신하고(다운링크), 단말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업링크). 예컨대, 기지국(100)은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한다.
설정부(130)는 설정 명령을 생성한다. 설정 명령은 단말 장치(200)로 하여금 단말 장치(200)가 동작해야 하는 방식을 정의한다. 생성된 설정 명령은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 장치(200)로 전달되며, 단말 장치(200)는 설정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설정 명령의 종류에는, 예컨대 단말 장치(200)가 Scell에 대한 통신 품질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 Scell에 대하여 측정된 통신 품질에 따라 단말 장치(200)가 기 정의된 이벤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정 명령 중에서, 단말 장치(200)로 하여금 이벤트를 발생시키도록 설정하는 설정 명령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설정부(130)는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낮은 상태였다가 높은 상태로 변경된 경우를 A1 이벤트로 정의하며,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상태였다가 낮은 상태로 변경된 경우를 A2 이벤트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정의된 이벤트를 각각 포함하는 설정 명령은 통신부(110)를 통해서 단말 장치(200)에게 송신되고, 단말 장치(200)는 설정 명령에 포함된 각각의 이벤트에 따른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기지국(100)에게 알린다.
추가적으로, 설정 명령 중에서, 단말 장치(200)로 하여금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설정하는 설정 명령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A1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설정부(130)는 그 이후에 A2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한 단말 장치(200)로 하여금 더 이상 A1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설정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A2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설정부(130)는, 그 이후에 A1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한 단말 장치(200)로 하여금 더 이상 A2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설정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명령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가 동일한 이벤트의 발생을 중복적으로 기지국(100)에게 송신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관리부(150)는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에 따라 Scell의 업링크를 추가(adding)하거나 해제(deleting)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관리부(150)는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이 기 정의된 기준보다 높은 상태였다가 낮은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Scell의 업링크를 해제(deleting)시키고, 기준보다 낮은 상태였다가 높은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Scell의 업링크를 추가(adding)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살펴보면, 단말 장치(200)가 중/약전계 지역에 진입함으로써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이 기 정의된 기준보다 높은 상태였다가 낮은 상태로 변경된 경우, Scell의 업링크는 해제되고, 이에 따라 단말 장치(200)로부터 기지국(100)으로의 업링크는 Pcell에 대한 것만이 남게 되며, 이 경우 후술하겠지만 단말 장치(200)은 최대 송신 전력을 Pcell에만 할당하게 되는데, 이 때 Pcell에 할당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그 값이 23dBm이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가 중/약전계 지역에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반송파 집적에 따른 Psell과 Scell의 업링크를 모두 이용하지 않고 Pcell의 업링크만 이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 장치에 할당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20dBm이 아닌 23dBm이 될 수 있다. 따라서, UL CA 기술이 적용된 단말 장치가 중/약전계 지역에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도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call drop 율이 증가하거나 HD-Voice 호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부(150)가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이 기준보다 높았다가 낮아지거나 또는 낮았다가 높아진 것을 인식하는 방법에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달된 Scell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예컨대, 제2 셀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A2 이벤트인지 아니면 A1 이벤트인지)를 구분하는 방법 또는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의 값을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서 기준과 비교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여기 언급된 기준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 가능하다. 예컨대, Pcell의 업링크와 Scell의 업링크 모두를 이용하여서 단말 장치(200)로부터 기지국(100)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Pcell과 Scell 각각에 할당되는 최대 송신 전력의 합은 전술한 바와 같이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준은 전술한 최대 송신 전력의 합이 Pcell의 업링크만을 이용하여서 단말 장치(200)로부터 기지국(100)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Pcell에 할당되는 최대 송신 전력의 합과 동일하게 만드는 Scell에서의 통신 품질에 대한 값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10), 측정부(230) 및 전력 할당부(270)를 포함한다. 아울러, 단말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10) 하에서 기지국(10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기지국(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며,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이러한 통신부(210)를 통하여 기지국(100)에게 데이터를 송신하고(업링크), 기지국(10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다운링크). 예컨대,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기지국(100)의 설정부(130)가 생성한 설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100)에게 전술한 이벤트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측정부(230)는 Scell에서의 통신 품질을 측정한다. Scell의 통신 품질은 예컨대 Scell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 power)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Scell의 업링크에서의 RSRP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부(230)는 주기적으로 또는 기 정의된 시점에 Scell에 대한 통신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설정 명령에 따라서 단말 장치(2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250)는 측정부(230)가 Scell 에 대한 통신 품질을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측정부(230)가 측정한 Scell에서의 통신 품질을 기초로 전술한 A1 이벤트 또는 A2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이벤트가 통신부(210)를 통해 기지국(100)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설정 명령에 따라서, A1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A2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A1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이 기지국(100)에게 송신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A2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A1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A2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이 기지국(100)에게 송신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전력 할당부(270)는 Pcell과 Scell에 대하여 최대 송신 전력을 할당한다. 예컨대 전력 할당부(270)는 Pcell에만 최대 송신 전력을 할당할 수 있는데, 이는 측정부(230)가 측정한 Scell에서의 통신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상태였다가 낮은 상태로 변경됨으로써, 기지국(100)의 관리부(150)가 Scell의 업링크를 해제한 경우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전력 할당부(270)는 Pcell과 Scell에 최대 송신 전력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할당할 수 있다. 이는 측정부(230)가 측정한 Scell에서의 통신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낮은 상태였다가 높은 상태로 변경된 경우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가 중/약전계 지역에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반송파 집적에 따른 Psell과 Scell의 업링크를 모두 이용하지 않고 Pcell의 업링크만 이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 장치에 할당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20dBm이 아닌 23dBm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UL CA 기술이 적용된 단말 장치가 중/약전계 지역에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도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call drop 율이 증가하거나 HD-Voice 호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절차가 진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기에 앞서, 기지국(100)과 단말 장치(200)는 반송파 집적에 따라 Pcell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그리고 Scell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로 연결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즉, 초기에는 기지국(100)과 단말 장치(200)는 Pcell과 Scell 모두를 이용하여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단말 장치(200)로 하여금 Scell에서 통신 품질을 측정하도록, 그리고 단말 장치(200)가 전술한 A2 이벤트의 발생을 인지하도록 및 A2 이벤트의 발생을 인지한 경우 이를 기지국(100)에게 알릴 수 있도록 설정 명령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설정 명령은 단말 장치(200)에게 전달된다(S100).
단말 장치(200)는 단계 S100에서 전달된 설정 명령에 따라 설정된다. 설정 명령에 따라 단말 장치(200)에 대한 설정이 완료된 사실은 기지국(100)에게 송신된다(S110)
단말 장치(200)는 Scell에서의 통신 품질을 측정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측정된 Scell에서의 통신 품질이 기준보다 높았다가 낮아지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만약 Scell에서의 통신 품질이 기준보다 높았다가 낮아진 것이 감지되면, 단말 장치(200)는 A2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한다. A2 이벤트의 발생은 기지국(100)에게 송신된다(S120).
A2 이벤트의 발생을 단말 장치(200)로부터 보고받은 기지국(100)은 Scell의 업링크를 해제하고, A1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단말 장치(200)로 하여금 A2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설정 명령을 생성한다. 생성된 설정 명령은 단말 장치(200)에게 송신된다(S130).
단말 장치(200)는 단계 S130에 의한 설정 명령에 따라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기지국(100)에게 응답하며, 또한 단말 장치(200)는 최대 송신 전력을 Pcell에만 할당한다(S140).
이 후 단말 장치(200)는 Scell에서의 측정된 통신 품질이 기준보다 낮았다가 높아지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만약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이 기준보다 낮았다가 높아진 것이 감지되면, 단말 장치(200)는 A1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한다. A1 이벤트의 발생은 기지국(100)에게 송신된다(S150).
이 경우, 기지국(100)은 Scell의 업링크를 추가하고, A2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단말 장치(200)로 하여금 A1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설정 명령을 생성한다. 이러한 설정 명령은 단말 장치(200)에게 송신된다(S160).
단말 장치(200)는 단계 S160에 의한 설정 명령에 따라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기지국(100)에게 응답하며, 또한 단말 장치(200)는 최대 송신 전력을 Pcell과 Scell에 기 설정된 비율로 분할 할당한다(S170).
이 후, 단말 장치(200)는 단계 S120의 단계로 가서 A2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에 따라 Scell의 업링크의 상태 및 Pcell에 할당되는 최대 송신 전력의 변화 추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이 기준보다 높았다가 낮아지는 경우, Scell의 업링크는 해제되는 상태로 변경된다. 그에 따라 단말 장치(200)가 Pcell에 할당하는 최대 송신 전력은 20dBm에서 23dBm으로 상승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가 중/약전계 지역에 진입함으로써 Scell의 통신 품질이 기준보다 낮아지게 되더라도, Scell의 업링크는 해제가 되고 그에 따라 단말 장치(200)가 Pcell에 할당하는 최대 송신 전력은 20dBm에서 23dBm으로 상승된다. 따라서, UL CA 기술이 적용된 단말 장치가 중/약전계 지역에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도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call drop 율이 증가하거나 HD-Voice 호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면, Scell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이 기준보다 낮았다가 높아지는 경우, Scell의 업링크는 해제된 상태에서 추가되는 상태로 변경된다. 그에 따라 단말 장치(200)에서 기지국(100)으로의 업링크는 Pcell과 Scell 모두 존재하므로, 단말 장치(200)가 Pcell에 할당하는 최대 송신 전력은 23dBm에서 20dBm으로 제한 고정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L CA 기술이 적용된 단말 장치가 중/약전계 지역에 있는 경우,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call drop 율이 증가하거나 HD-Voice 호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100: 기지국
200: 단말 장치

Claims (6)

  1.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에 따라 구성된 제1 셀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그리고 제2 셀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가 중/약전계 지역에서 위치해 있으면서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반송파 집적에 따른 기술이 적용되어서 상기 반송파 집적을 구성하는 각각의 대역에 제1 크기의 최대 송신 전력이 할당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서의 통신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상태였다가 낮은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제2 셀의 업링크를 해제(deleting)시켜서 상기 단말 장치가 업링크에서 상기 반송파 집적을 구성하지 않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2 셀의 다운링크는 유지시키고, 업링크에서 상기 반송파 집적을 구성하지 않은 단말 장치에게 상기 제1 크기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2 크기의 최대 송신 전력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2 셀의 업링크가 해제된 이후 상기 제2 셀에서 측정된 통신 품질이 상기 기준보다 낮은 상태에서 높은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업링크에서 상기 반송파 집적을 구성하도록 상기 제2 셀의 업링크를 추가(adding)하는
    기지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셀에서의 통신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설정하는 설정 명령을 생성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설정 명령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단말 장치에게 송신되는
    기지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명령은,
    상기 제2 셀에서의 통신 품질이 상기 기준보다 높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셀에서의 통신 품질이 상기 기준보다 높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변경되는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기 정의된 이벤트를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기지국에게 송신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
  4. 삭제
  5.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로서,
    상기 단말 장치가 중/약전계 지역에서 위치해 있으면서 상기 단말 장치에 반송파 집적에 따른 기술이 적용되어서 상기 반송파 집적을 구성하는 각각의 대역에 제1 크기의 최대 송신 전력이 할당되고, 제1 셀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그리고 제2 셀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이용하여서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2 셀에서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제2 셀에서의 통신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상태였다가 낮은 상태로 변경되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가 업링크에서 상기 반송파 집적을 구성하지 않도록 상기 제2 셀의 업링크가 해제되되 상기 제2 셀의 다운링크는 유지되면, 상기 제1 크기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2 크기의 최대 송신 전력을 상기 제1 셀에 할당하는 전력 할당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2 셀의 업링크가 해제된 이후 상기 제2 셀에서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제2 셀의 업링크가 해제된 이후에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2 셀에서의 통신 품질이 상기 기준보다 낮은 상태에서 높은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경우에 해당하는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게 송신되는
    단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할당부가 상기 제1 셀에 상기 최대 송신 전력을 할당한 이후,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상기 제2 셀에서의 통신 품질이 상기 기준보다 낮은 상태에서 높은 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측정되면,
    상기 전력 할당부는,
    상기 단말 장치에 할당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을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에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분할하여 할당하는
    단말 장치.
KR1020160163927A 2016-12-02 2016-12-02 기지국 및 단말 장치 Active KR102055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27A KR102055826B1 (ko) 2016-12-02 2016-12-02 기지국 및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27A KR102055826B1 (ko) 2016-12-02 2016-12-02 기지국 및 단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452A Division KR102025641B1 (ko) 2018-07-09 2018-07-09 기지국 및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375A KR20180080375A (ko) 2018-07-12
KR102055826B1 true KR102055826B1 (ko) 2019-12-13

Family

ID=6291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927A Active KR102055826B1 (ko) 2016-12-02 2016-12-02 기지국 및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8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30097A1 (en) * 2004-08-12 2015-01-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carrier and antenna selection in mimo-ofdm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0474B2 (ja) * 2010-04-30 2012-06-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KR101492542B1 (ko) 2013-08-30 2015-02-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반송파 집합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30097A1 (en) * 2004-08-12 2015-01-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carrier and antenna selection in mimo-ofdm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375A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92804B2 (en) Cell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2024452B1 (ko) 거의 연속적인 자원 할당 a-mpr이 업링크 송신에 적용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3105958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pattern information
EP3238495B1 (en) Scheduling enhanc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KR20230078778A (ko) 전력 제어 방법, 장치 및 단말 기기
EP4395437A1 (en)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EP3125623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3458457A (zh) 一种上报功率余量的方法、系统和设备
EP3706344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4105192A (zh) 支持多链路连接的功率余量报告的方法和装置
US20140113645A1 (en) Mobile communications method, mobile station, and radio base station
EP3703434A1 (en)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CN107690760A (zh) 用于在无线信号环境中测试射频(rf)数据包信号收发器的方法
WO2020170452A1 (ja)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05101250A (zh) 一种用于降低d2d带内干扰对蜂窝传输的影响的方法
US20230095844A1 (en) Beam failure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EP3965516A1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device
EP3920636B1 (e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229043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9151810B (zh) 一种用户能力上报和处理的方法、用户设备及基站
US9699699B1 (en) Consideration of carrier characteristics when providing carrier aggregation service
WO2021029085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WO2021029084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KR102025641B1 (ko) 기지국 및 단말 장치
KR102055826B1 (ko) 기지국 및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9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6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904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70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90930

Appeal identifier: 2018101002905

Request date: 201807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90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09

Effective date: 201909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909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80709

Decision date: 20190930

Appeal identifier: 2018101002905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1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2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